[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2643B1 - 열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643B1
KR100782643B1 KR1020060050724A KR20060050724A KR100782643B1 KR 100782643 B1 KR100782643 B1 KR 100782643B1 KR 1020060050724 A KR1020060050724 A KR 1020060050724A KR 20060050724 A KR20060050724 A KR 20060050724A KR 100782643 B1 KR100782643 B1 KR 100782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acetate
ethylene vinyl
extrusion coating
resin
acetate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기현
이구형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6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 C08L23/0853Ethene vinyl acetat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J201/005Dendritic macro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7/00Polyolefins
    • B05D2507/01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와의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지수(MI)가 15.0~30.0g/10분이고,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12~20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80~99.9중량% 및 접착성 수지 0.1~2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써 기재와의 열 접착성이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초고속 압출코팅

Description

열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ETHYLENE VINYL ACETATE RESIN COMPOSITION FOR HIGH SPEED EXTRUSION COATING HAVING HIGH HEAT-ADHESION STRENGTH}
본 발명은 기재와의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써 열 접착성이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압출코팅법이란, 코팅대상이 되는 OPP(Oriented 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종이 등과 같은 기재위에 코팅하고자 하는 수지를 압출하여 코팅하므로써, 기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상기 압출코팅을 위한 우수한 수지의 조건은, 기재와의 우수한 접착력 이외에 압출코팅 속도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압출코팅은 100m/분 이상의 매우 빠른 속도로 작업되므로 수지가 고속가공에 적합하지 않으면, 압출기 T-다이(die)에서 필름의 폭이 줄어드는 현상(네크인:Neck-in)이 발생하거나, 또한 T-다이 출구 에서 필름이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네크인 현상은 기재의 폭이나 T-다이의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조절이 가능하지만, T-다이 출구에서 필름이 절단되는 현상은 고속가공을 위해 꼭 해결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52547호, 특허공개 제2002-0046388호, 특허공개 제2003-0055478호 등에서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코팅 수지와 기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코팅 수지와 기재와의 접착성은 향상되었으나, 압출코팅 속도를 250m/분 이상 유지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압출코팅한 후, 최종적인 용도목적으로 타 기재의 보호목적(주로, 종이나 책 겉 표지보호필름)으로 열 라미네이션(Heat Lamination)을 통해 타 기재와 접착할 때 접착성이 약하여 박리가 되는 단점을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52017호에서는 우수한 네크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존에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제조된 EVA를 사용하는 대신, 튜블러 공정시 2종 이상의 퍼옥사이드 개시제를 사용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킨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것 역시 250m/분 이상의 고속가공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지금까지 압출코팅용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최종 용도로서 타 기재와의 열 접착시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다이에서 PET나 OPP 등과 같은 기재와의 압출코팅을 할때, 350m/분 이상의 고속 압출코팅이 가능하며, 최종 용도로서 종이나 책의 겉표지 등과 같은 타 기재와의 열 접착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MI)가 15.0~30.0g/10분이고,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12~20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80~99.9중량% 및 접착성 수지 0.1~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용융지수가 15.0~3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한데, 15.0g/10분 미만이면 압출 흐름성에 문제가 있고, 30.0g/10분을 초과하면 네크인성이 심해져서 압출코팅 가공성이 안정화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12~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12중량% 미만이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PET 또는 OPP 등의 기재와의 접착성 문제가 있어 사용이 불가능하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최종적으로 블로킹 문제로 인하여 실제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접착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무수말레인산 변성율(그라프트율)이 0.2~3중량%인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올레핀 및 무수말레인산 변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20중량% 이상이고 멜트인덱스가 30g/10분 이상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수지, 및 연화점이 120℃ 이하인 폴리부텐계 수지 및 폴리터핀계 수지 등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80.0~9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80.0중량% 미만이면, 접착성이 너무 강해져서 압출코팅 가공중에 블로킹 문제가 심각하여 실제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99.9중량%를 초과하면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 수지라 할지라도 전체 표면에 충분히 분산되지 않아 효과가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일반적인 물성은 용융지수와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에 의해 결정되는데, 비록 용융지수와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같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라고 하더라도,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제조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동일한 용융지수와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을 갖는 튜블러 공법에서 제조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보다 압출가공속도는 느리고 네크인성이 적은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튜블러 공정에서 제조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상대적으로 빠른 압출가공속도를 보이는 장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튜블러 공법으로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
고압법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제조공정중에서 튜블러 공정을 이용하 여, 각각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물성을 갖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고,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성 수지를 배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kg에서 측정하였다.
최대 압출코팅 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을, 스크류 직경이 4.5인치이며, T-다이 폭이 2300mm인 압출기에서 가공온도 120~220℃의 조건으로 압출하여, 기재 OPP 필름위에 두께 10㎛로 코팅하였다.
이때, 코팅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T-다이에서 필름의 절단이 일어나기 직전까지의 코팅 속도로 정의되는 최대 압출코팅 속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열 접착강도 측정
상기와 같이 압출코팅된 시료를 크래프트 종이위에 열 접착온도 100℃에서 30m/분의 속도로 열 라미네이션 시키면서 열 접착한 후, 박리시킬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강도의 측정은 유니버샬 인장강도 테스트기를 사용하여 크로스 헤드속도 20mm/분, 온도 23℃, 상대습도 50% 및 그립간격 25mm에서의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단위 :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EVA1-1 MI2=20 VA%3=16 99.9 85 100 99.95
EVA-2 MI=25 VA%=16 95 90 100
EVA-3 MI=20 VA%=10 99.9
EVA-4 MI=12 VA%=10 95
접착성 수지 Escorez 23944 0.1 0.1 0.05
Clearon P 855 5 5
무수말레인산변성(0.5중량%)폴리에틸렌 15
무수말레인산변성(0.5중량%)EVA 10
압출코팅 속도 (m/min, Line speed) 370 400 360 380 380 180 360 360 370
열 접착강도 (g/cm) 470 450 410 430 260 240 180 170 180
1. EV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2. MI: 용융수지(g/10분)
3. VA%: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4. Escorez 2394(상품명, 액숀모빌사제): 방향족 변성 지방족 수지
5. Clearon P 85(상품명, YASUHARA사제): 폴리부텐계 수지(수소화된 테르펜 폴리머)
상기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1~4는 비교예1~5와 비교하여 동등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압출코팅속도 및 400g/cm 이상의 우수한 열 접착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1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너무 낮아 압출 코팅속도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접착성 수지를 혼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접착강도가 낮게 나타나고, 비교예2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용융지수가 낮고 비닐아세테이트 함량도 낮아 압출코팅 속도와 접착강도가 모두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 4의 경우에는 접착성 수지의 사용없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만 사용한 경우로서 역시 압출코팅 속도는 양호하나 접착강도가 200g/cm 이하의 낮은 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5는 실시예 1과 같은 수지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접착성 수지가 0.05중량%로 너무 적게 혼합되어 접착강도가 크게 떨어지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공압출 코팅을 할 경우, 350m/분 이상의 초고속 압출코팅이 가능하며, 열 접착강도가 400g/cm 이상으로 우수한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제공이 가능하다.

Claims (3)

  1. 용융지수가 15.0~30.0g/10분이고,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12~20중량%이며, 튜블러 공법으로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80~99.9중량% 및 접착성 수지 0.1~20중량%를 포함하는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최대 압출코팅 속도가 350m/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는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올레핀 또는 무수말레인산 변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수지, 또는 폴리부텐계 수지 또는 폴리터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KR1020060050724A 2006-06-07 2006-06-07 열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Active KR100782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724A KR100782643B1 (ko) 2006-06-07 2006-06-07 열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724A KR100782643B1 (ko) 2006-06-07 2006-06-07 열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643B1 true KR100782643B1 (ko) 2007-12-06

Family

ID=3913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724A Active KR100782643B1 (ko) 2006-06-07 2006-06-07 열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387B1 (ko) 2016-06-30 2017-12-28 한화토탈 주식회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6064A (en) 1980-10-30 1982-05-12 Sumitomo Chem Co Ltd Adhesive resi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6064A (en) 1980-10-30 1982-05-12 Sumitomo Chem Co Ltd Adhesive resin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387B1 (ko) 2016-06-30 2017-12-28 한화토탈 주식회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7046B1 (en) Low-acid ethylene copolymers for improving the adhesion of LDPE to aluminum foil in extrusion coating
EP2110408B1 (en) Adhesive and multilayer body using the same
KR100743355B1 (ko) 박리 강도가 크고 응집 파괴도가 높은 저온 활성화 접착제조성물
CN109837040B (zh) 胶粘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胶合板
EP2545131B1 (en) Adhesive composition
US6855432B1 (en) Low activation temperature adhesive composition with high peel strength and cohesive failure
WO2001053079B1 (en) Multilayer blown film structure with polypropylene non-sealant layer and polyethylene sealant layer
KR20160106612A (ko) 다층화된 필름,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N114032049B (zh) 一种高性能聚丙烯阻隔膜用热熔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7125929B2 (en) Adhesiv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larity for coextruded barrier films
TW201825532A (zh) 用於多層結構的聚合物摻合物及包括其的多層結構
CA2580686C (en) Thermoplastic olefin polymer blend and adhesive films made therefrom
CN112920743B (zh) 粘接性树脂组合物、使用所述组合物的片材、盖材、密封容器用构件组及容器
KR100782643B1 (ko) 열 접착강도가 우수한 초고속 압출코팅용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EP3638506B1 (en) Polymer blends for use in laminates, laminates, and articles
US7314901B2 (en) Polypropylene films
CN114269829B (zh) 膜及其制备方法
WO2022209431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当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層を有する積層体
JP7069976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組成物を用いた積層体
KR100656264B1 (ko)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및 필름
JP2021066469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6207714B2 (ja) 紙熱積層用のフィルム組成物
JP2015218182A (ja) 接着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組成物を使用した積層体
JPS592456B2 (ja) 押出ラミネ−ト用樹脂組成物
KR101250521B1 (ko) 동시 결정화에 의하여 열안정성이 개선된 열접착층을 갖는 연신 공압출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