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8517B1 -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517B1
KR100778517B1 KR1020060106697A KR20060106697A KR100778517B1 KR 100778517 B1 KR100778517 B1 KR 100778517B1 KR 1020060106697 A KR1020060106697 A KR 1020060106697A KR 20060106697 A KR20060106697 A KR 20060106697A KR 100778517 B1 KR100778517 B1 KR 10077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substrate
light emitting
electrode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종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517B1/ko
Priority to US11/843,368 priority patent/US20080100198A1/en
Priority to EP07115252A priority patent/EP1918962A3/en
Priority to CNA2007101671060A priority patent/CN10117453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51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46Control electrodes, e.g. grid;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3/00Cathode-ray or electron-stream lamps
    • H01J63/02Details, e.g. electrode, gas filling, shape of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3/00Cathode-ray or electron-stream lamps
    • H01J63/02Details, e.g. electrode, gas filling, shape of vessel
    • H01J63/04Vessels provided with luminescent coating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2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 H01J9/025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of field emission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 H01J9/148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of electron emission flat panels, e.g. gate electrodes, focusing electrodes or anod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19Circuit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emitters by direct integration
    • H01J2201/3195Resistive members, e.g. resistiv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세기를 높일 수 있는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밀봉 부재로 구성되는 진공 용기와, 제1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제1 기판 위에서 스페이서 둘레를 감싸면서 구동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층을 포함한다.
전자방출부, 캐소드전극, 게이트전극, 절연층, 스페이서, 저항층, 형광층, 애노드전극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유효 영역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에서 스페이서 장착 이전과 스페이서 장착 이후 상태를 도시한 전자 방출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전자 방출 유닛과 스페이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전자 방출 유닛과 스페이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세기를 높일 수 있는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면 기판에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을 구비하고, 전면 기판에 형광층과 애노드 전극을 구비하며, 전자 방출부에서 방출된 전자들로 형광층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방출하는 발광 장치가 알려져 있다.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은 밀봉 부재에 의해 가장자리가 일체로 접합되고 내부 공간이 배기되어 진공 용기를 구성하며,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는 진공 용기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들이 위치한다.
발광 장치가 표시 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될 때 중요한 광학적 특성은 낮은 소비 전력으로 높은 휘도를 구현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발광 장치에서는 애노드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할수록 진공 용기 내부에 아킹이 발생하기 쉽다. 아킹은 진공 용기 내부의 불순 가스와 부도체 표면의 전하 차징, 특히 스페이서 표면의 전하 차징 등에 기인하며, 내부 구조물을 손상시켜 제품 불량을 유발한다. 따라서 종래의 발광 장치는 아킹 발생을 고려하여 애노드 전압을 높일 수 없으므로 고휘도 구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전하 차징과 이로 인한 아킹 발생을 억제하며 발광 휘도를 높일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밀봉 부재로 구성되는 진공 용기와, 제1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제1 기판 위에서 스페이서 둘레를 감싸면서 구동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층을 포함한다.
구동 전극들은 제1 전극들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들 상부에서 제1 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방출부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중 어느 한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들은 제2 전극들 사이로 절연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저항층은 각각의 스페이서 둘레를 감싸면서 절연층 윗면에 위치하며, 제2 전극들과 접촉할 수 있다. 저항층은 제2 전극들 사이에서 제2 전극과 나란한 연장부를 형성하거나, 적어도 한 쌍의 제2 전극들 사이에서 스페이서 장착 부위를 제외하고 제2 전극들 사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스페이서의 폭은 제2 전극들 사이 간격보다 클 수 있으며, 제2 전극들은 스페이서 장착 부위에 대응하여 스페이서와 저항층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저항층은 106 내지 1012Ωcm의 비저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를 포함하고, 발광 장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밀봉 부 재로 구성되는 진공 용기와, 제1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제1 기판 위에서 스페이서 둘레를 감싸면서 구동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층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이 제1 화소들을 구비할 때 발광 장치는 제1 화소들보다 작은 개수의 제2 화소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화소별로 발광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유효 영역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을 포함한다.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의 가장자리에는 밀봉 부재(16)가 배치되어 두 기판을 접합시키며, 내부 공간이 대략 10-6 Torr의 진공도로 배기되어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 및 밀 봉 부재(16)가 진공 용기를 구성한다.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은 밀봉 부재(16)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실제 가시광 방출에 기여하는 유효 영역과,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제1 기판(12) 내면의 유효 영역에는 전자 방출을 위한 전자 방출 유닛(18)이 제공되고, 제2 기판(14) 내면의 유효 영역에는 가시광 방출을 위한 발광 유닛(20)이 제공된다.
전자 방출 유닛(18)은 절연층(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들(24) 및 제2 전극들(26)과, 제1 전극들(24)과 제2 전극들(26) 중 어느 한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방출부들(28)을 포함한다.
전자 방출부(28)가 제1 전극(24)에 형성되는 경우, 제1 전극(24)이 전자 방출부(28)에 전류를 공급하는 캐소드 전극이 되고, 제2 전극(26)이 캐소드 전극과의 전압 차에 의해 전계를 형성하여 전자 방출을 유도하는 게이트 전극이 된다. 반대로 전자 방출부(28)가 제2 전극(26)에 형성되는 경우, 제2 전극(26)이 캐소드 전극이 되고, 제1 전극(24)이 게이트 전극이 된다.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6) 가운데 주로 발광 장치(10)의 행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전극이 주사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주사 전극으로 기능하고, 주로 발광 장치(10)의 열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전극이 데이터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데이터 전극으로 기능한다.
도면에서는 일례로 전자 방출부(28)가 제1 전극(24)에 형성되고, 제1 전극 들(24)이 발광 장치(10)의 열 방향(도면의 y축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제2 전극들(26)이 발광 장치(10)의 행 방향(도면의 x축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6)의 교차 영역마다 제2 전극(26)과 절연층(22)에 개구부(261, 221)가 형성되어 제1 전극(24)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며, 절연층 개구부(221) 내측으로 제1 전극(24) 위에 전자 방출부(28)가 위치한다.
전자 방출부(28)는 전계가 가해지면 전자를 방출하는 물질들, 가령 탄소계 물질 또는 나노미터 사이즈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방출부(28)는 일례로 탄소 나노튜브, 흑연, 흑연 나노파이버,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탄소, C60, 실리콘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조법으로 스크린 인쇄, 직접 성장, 화학기상증착 또는 스퍼터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 방출부는 몰리브덴(Mo) 또는 실리콘(Si) 등을 주 재질로 하는 선단이 뾰족한 팁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서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6)의 교차 영역 하나가 발광 장치(10)의 한 화소 영역에 대응하거나, 2개 이상의 교차 영역이 발광 장치(10)의 한 화소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 하나의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제1 전극들(24) 및/또는 2개 이상의 제2 전극들(26)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구동 전압을 인가받는다.
다음으로, 발광 유닛(20)은 형광층(30)과, 형광층(30)의 일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32)을 포함한다.
형광층(30)은 백색 형광층으로 이루어지거나, 적색과 녹색 및 청색 형광층들이 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형광층(30)은 적색과 녹색 및 청색 형광체가 혼합되어 백색광을 방출하는 혼합 형광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기판(14)의 유효 영역 전체에 형성되거나, 화소 영역마다 소정의 패턴으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2)은 형광층(30) 표면을 덮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 전극(32)은 전자빔을 끌어당기는 가속 전극으로서 고전압을 인가받아 형광층(30)을 고전위 상태로 유지시키며, 형광층(30)에서 방사된 가시광 중 제1 기판(12)을 향해 방사된 가시광을 제2 기판(14) 측으로 반사시켜 발광면의 휘도를 높인다.
그리고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 사이에는 진공 용기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지지하고 두 기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들(34)이 배치된다. 스페이서(34)는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6)의 교차 영역 외곽에 위치하며, 제2 전극들(26) 사이에서 제1 전극들(24) 사이 부위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34)는 사각 기둥형, 원 기둥형 및 막대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 세라믹, 강화유리 및 유리-세라믹 혼합체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사각 기둥형 스페이서(34)를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34)가 위치하는 제2 전극들(26) 사이 부위로는 소정의 폭으로 스페이서(34) 둘레를 감싸면서 제2 전극들(26)과 접촉하는 저항층(36)이 형성된다. 저항층(36)은 대략 106 내지 1012Ωcm의 비저항을 가지며, 스페이서(34) 표면에 차징되는 전하를 제2 전극(26)으로 흘려주는 역할을 한다. 저항층(36)은 고저항체이므로 서로 이웃한 제2 전극들(26)이 저항층(36)에 의해 단락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저항층(36)은 절연층(22) 윗면에서 스페이서(34)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2 전극들(26) 사이에서 제2 전극(26)과 나란한 연장부(361)를 형성하여 절연층(22) 표면의 전하 차징을 억제하도록 한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에서 스페이서 장착 이전과 스페이서 장착 이후 상태를 도시한 전자 방출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절연층(22) 위에 제2 전극들(26)을 형성함 다음, 전술한 비저항을 가지는 물질로 저항층(36)을 형성한다. 저항층(36)은 p형 또는 n형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거나, 도전 물질과 절연 물질의 혼합물로 형성할 수 있다. 저항층(36)은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패터닝되어 스페이서(34)가 위치할 개구부(362)를 형성한다.
도 3b를 참고하면, 프릿과 같은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저항층 개구부(362)에 스페이서(34)를 장착한다. 스페이서(34)를 고정시키는 접착층(38)은 도전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페이서(34) 표면에 차징되는 전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층(36)에 전달할 수 있다. 저항층(36)은 스페이서(34) 장착시 접착 물질이 넘치지 않게 막아주는 담 역할을 한다.
전술한 구성의 발광 장치(10)는 진공 용기 외부로부터 제1 전극들(24)과 제2 전극들(26)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애노드 전극(32)에 수천 볼트의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한다.
그러면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6)의 전압 차가 임계치 이상인 화소들에서 전자 방출부(28)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이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되고, 방출된 전자들이 애노드 전압에 이끌려 대응하는 형광층(30) 부위에 충돌함으로써 이를 발광시킨다. 화소별 형광층(30)의 발광 세기는 해당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에 대응한다.
전술한 구동 과정에서 전자빔 퍼짐에 의해 스페이서(34) 표면에 전자들이 충돌하며, 스페이서(34)는 재료 특성(유전 상수, 2차 전자 방출계수 등)에 따라 그 표면이 양 또는 음의 전하로 대전된다. 이때 저항층(36)이 스페이서(34) 표면에 차징되는 전하를 제2 전극(26)으로 흘려줌에 따라, 스페이서(34)는 그 표면의 전하 차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10)는 진공 용기 내부의 아킹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애노드 전극(32)에 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면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은 5 내지 20mm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으며, 애노드 전극(32)은 애노드 전압 인가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10kV 이상, 바람직하게 10 내지 15kV 정도의 고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1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유효 영역 중앙부에서 대략 10,000cd/m2 이상의 최대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전자 방출 유닛과 스페이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면서 스페이서(34)가 위치하는 제2 전극들(26) 사이에서 저항층(36')이 제2 전극들(26) 사이 전체에 형성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저항층(36')은 제2 전극들(26) 사이에서 제2 전극들(26)로 덮이지 않은 절연층(22) 윗면 전체에 형성되며, 스페이서(34)와 더불어 절연층(22) 표면의 전하 차징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전자 방출 유닛과 스페이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34')는 제2 전극(26')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폭이 제2 전극들(26') 사이 간격보다 크게 이루어지며, 제2 전극들(26')이 스페이서(34') 장착 영역에 대응하여 스페이서(34')와 저항층(36")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40)를 형성한다.
도 6은 전술한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발광 장치(10)와, 발광 장치(10)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50)을 포함한다. 발광 장치(10)와 표시 패널(50) 사이에는 발광 장치(10)에서 출사된 빛을 고르게 확산시켜 표시 패널(40)에 제공하는 확산판(60)이 위치할 수 있으며, 확산판(60)과 발광 장치(10)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표시 패널(50)의 전방과 발광 장치(10)의 후방에는 각각 탑 섀시(top chassis)(62)와 버텀 섀시(bottom chassis)(64)가 위치한다.
표시 패널(50)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다른 수광형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일례로 표시 패널(5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 패널(50)은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된 TFT 기판(52)과, TFT 기판(52) 상부에 위치하는 컬러필터 기판(54)과, 이 기판들(52, 54)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기판(54)의 상부와 TFT 기판(52)의 하부에는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표시 패널(50)을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킨다.
각 TFT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연결된다.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각각 인쇄회로기판(56, 58)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면, TFT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신호 입력에 따라 TFT는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화소 전극 구동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드레인 단자로 출력된다.
컬러필터 기판(54)은 빛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 화소를 형성하며,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을 전면에 형성하고 있다. TFT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TFT가 턴 온되면,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이 전계에 의해 TFT 기판(52)과 컬리필터 기판(54)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 화소별로 광 투과도가 변화한다.
표시 패널(50)의 인쇄회로기판(56, 58)은 각각의 구동 IC 패키지(561, 581)와 접속한다. 표시 패널(50)을 구동하기 위하여, 게이트 인쇄회로기판(56)은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인쇄회로기판(58)은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발광 장치(10)는 표시 패널(50)보다 적은 수의 화소들을 형성하여 발광 장치(10)의 한 화소가 2개 이상의 표시 패널(50) 화소들에 대응하도록 한다. 발광 장치(10)의 각 화소는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표시 패널(50)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에 대응하여 발광할 수 있으며, 발광 장치(10)는 화소별로 2 내지 8비트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편의상 표시 패널(50)의 화소를 제1 화소라 하고, 발광 장치(10)의 화소를 제2 화소라 하며, 하나의 제2 화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화소들을 제1 화소군이라 명칭한다.
발광 장치(10)의 구동 과정은 표시 패널(50)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제1 화소군의 제1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를 검출하고, 검출된 계조에 따라 제2 화소 발광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여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광 장치(1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장치(10)의 구동 신호는 주사 구동 신호와 데이터 구동 신호를 포함한다.
발광 장치(10)의 인쇄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 즉 주사 인쇄회로기판과 데이터 인쇄회로기판은 각각의 구동 IC 패키지(421, 441)와 접속한다. 발광 장치(10)를 구동하기 위하여, 주사 인쇄회로기판은 주사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인쇄회로기판은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전술한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6) 중 어느 한 전극이 주사 구동 신호를 인가받고, 다른 한 전극이 데이터 구동 신호를 인가받는다.
발광 장치(10)의 제2 화소는 대응하는 제1 화소군에 영상이 표시될 때 제1 화소군에 동기되어 소정의 계조로 발광한다. 이와 같이 발광 장치(10)는 화소별로 발광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50) 화소들에 적절한 세기의 광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화면의 동적 대비비(dynamic contrast)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장치는 스페이서와 제2 전극 사이에 저항층을 형성함에 따라, 스페이서 표면에 차징되는 전하를 제2 전극으로 흘려주어 스페이서 표면의 전하 차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장치는 진공 용기 내부의 아킹 발생을 억제하고, 애노드 전압을 높여 발광면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전술한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함에 따라 화면의 동적 대비비를 높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밀봉 부재로 구성되는 진공 용기와;
    상기 제1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상기 제2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들; 및
    상기 제1 기판 위에서 상기 스페이서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구동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층
    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극들이 제1 전극들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들 상부에서 상기 제1 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방출부들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들이 상기 제2 전극들 사이로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는 발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이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절연층 윗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들과 접촉하는 발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이 상기 제2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제2 전극과 나란한 연장부를 형성하는 발광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2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스페이서 장착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제2 전극들 사이 전체에 형성되는 발광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스페이서의 폭이 상기 제2 전극들 사이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2 전극들이 상기 스페이서 장착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저항층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발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이 106 내지 1012Ωcm의 비저항을 가지는 발광 장치.
  9.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장치가,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밀봉 부재로 구성되는 진공 용기와, 상기 제1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상기 제2 기판의 내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상기 제1 기판 위에서 상기 스페이서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구동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층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극들이 제1 전극들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들 상부에서 상기 제1 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방출부들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 전극에 전 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들이 상기 제2 전극들 사이로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저항층이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절연층 윗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들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2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스페이서 장착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제2 전극들 사이 전체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화소들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장치가 상기 제1 화소들보다 작은 개수의 제2 화소들을 구비하며, 제2 화소별로 발광 세기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표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인 표시 장치.
KR1020060106697A 2006-10-31 2006-10-31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7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697A KR100778517B1 (ko) 2006-10-31 2006-10-31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US11/843,368 US20080100198A1 (en) 2006-10-31 2007-08-22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EP07115252A EP1918962A3 (en) 2006-10-31 2007-08-30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CNA2007101671060A CN101174538A (zh) 2006-10-31 2007-10-18 发光装置与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697A KR100778517B1 (ko) 2006-10-31 2006-10-31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517B1 true KR100778517B1 (ko) 2007-11-22

Family

ID=3872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6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8517B1 (ko) 2006-10-31 2006-10-31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00198A1 (ko)
EP (1) EP1918962A3 (ko)
KR (1) KR100778517B1 (ko)
CN (1) CN1011745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937B1 (ko) * 2011-05-12 2017-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경량 박형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N102610471B (zh) * 2012-03-27 2014-09-10 福州大学 用厚膜介质作为隔离子的场致发射显示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49A (ja) * 1995-07-07 1997-01-21 Canon Inc 電子線発生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74471A (ja) 1996-05-28 1998-03-17 Motorola Inc 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ディスプレイ用の被覆スペーサ
JP2000090859A (ja) 1997-08-01 2000-03-31 Canon Inc 電子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及び前記電子線装置で用いる部材及び前記電子線装置の製造方法及び前記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及び前記部材の製造方法
JP2003323853A (ja) 2002-05-01 2003-11-14 Sony Corp 冷陰極電界電子放出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7432A (en) * 1997-04-07 1998-07-07 Motorola Inc. High breakdown field emission device with tapered cylindrical spacers
US6046539A (en) * 1997-04-29 2000-04-04 Candescent Technologies Corporation Use of sacrificial masking layer and backside exposure in forming openings that typically receive light-emissive material
JP3302341B2 (ja) * 1998-07-02 2002-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緩和膜及び電子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JP4115050B2 (ja) * 1998-10-07 2008-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線装置およびスペーサの製造方法
TW564452B (en) * 2001-04-20 2003-12-01 Toshiba Corp Image display device
JP2006173093A (ja) * 2004-11-18 2006-06-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20060095317A (ko) * 2005-02-28 2006-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KR20070044175A (ko) * 2005-10-24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방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49A (ja) * 1995-07-07 1997-01-21 Canon Inc 電子線発生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74471A (ja) 1996-05-28 1998-03-17 Motorola Inc 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ディスプレイ用の被覆スペーサ
JP2000090859A (ja) 1997-08-01 2000-03-31 Canon Inc 電子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及び前記電子線装置で用いる部材及び前記電子線装置の製造方法及び前記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及び前記部材の製造方法
JP2003323853A (ja) 2002-05-01 2003-11-14 Sony Corp 冷陰極電界電子放出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4538A (zh) 2008-05-07
EP1918962A2 (en) 2008-05-07
EP1918962A3 (en) 2008-08-13
US20080100198A1 (en)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5463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JP2009059703A (ja) 発光装置、及びこの発光装置を光源として使用する表示装置
US7663297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0804704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80045464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90076552A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US7737620B2 (en) Light emission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 emission unit for the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KR100778519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78517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US20080012468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0863959B1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0889527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KR20080043536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814850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90006352A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US7800294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KR20080044090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90056448A (ko) 백라이트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869804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US20090021142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0814856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78447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CN100578723C (zh) 发光装置、电子发射单元的制造方法及显示装置
KR100814857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66950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