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8397B1 -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397B1
KR100778397B1 KR1020000074761A KR20000074761A KR100778397B1 KR 100778397 B1 KR100778397 B1 KR 100778397B1 KR 1020000074761 A KR1020000074761 A KR 1020000074761A KR 20000074761 A KR20000074761 A KR 20000074761A KR 100778397 B1 KR100778397 B1 KR 10077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ray tube
rigid
members
support memb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337A (ko
Inventor
신순철
하근동
최상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4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397B1/ko
Priority to US10/011,691 priority patent/US6657371B2/en
Publication of KR2002004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39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94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tub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전면 유리인 패널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색 선별 장치로, 제조 공정시 장치 구성 내에 찰 수 있는 가스나 세정액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제조 공정 상에 이점을 지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과, 속이 빈 관재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이 지지부재들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강성부재들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복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재들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이 부가하는 텐션을 받는 마스크; 및 상기 지지부재들에 대한 강성부재들의 결합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강성부재들과 상기 지지부재들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가스를 상기 강성부재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수단을 포함한다.
평면,음극선관,텐션,가스배출,마스크,절개부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COLOR SE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 선별 장치가 적용된 음극선관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색 선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색 선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스크린이 형성되는 패널을 평탄하게 하여 구성된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주자격인 음극선관은,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여러 형태로 발전해 오고 있는 바, 근래에 들어서는 스크린이 형성되는 패널이 평탄한 이른바 평면 음극선관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소비자는 음극선관(예: 텔레비젼)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좀더 큰 화면에서 보기를 원함에 따라, 이에 음극선관의 화면 크기, 다시 말해 스크린이 형성되는 패널의 크기도 대형화를 이루게 되었는데, 음극선관이 이처럼 대형화될 때에는 화면의 주변부에서 구현되는 화상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패널이 곡률져 형성되지 않고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최근의 음극선관 기술 추세이다.
이와 같이 음극선관이 패널을 대형화하고 평면화하여 형성될 때에는, 칼라 구현을 위해 채용되고 있는 색 선별 장치 즉, 새도우 마스크도 대형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나, 곡률진 새도우 마스크의 대형화에는 강도 문제를 비롯한 다수의 어려움이 있는 관계로, 음극선관의 업계에서는 새로운 모델의 색 선별 장치를 음극선관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새로운 색 선별 장치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부를 갖는 마스크가 종래와 같이 곡률져 성형되지 않고, 상기한 패널과 같이 평탄한 상태로 구비되어 소정의 텐션을 받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바, 이를 도면을 통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종래의 대형화 및 평면화된 음극선관에 적용되고 있는 색 선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색 선별 장치는, 한 쌍의 강성부재들(2,4)과, 이 강성부재들(2,4)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6,8) 및 이 지지부재(6,8)들에 결합되는 평면형의 마스크(1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강성부재들(2,4)은, 내부가 빈 관재로 구비됨은 물론, 대략 U자 형 상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들(6,8)은 대략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그 양단을 상기 강성부재들(2,4)에 연결시켜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물에 상기 마스크(10)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부(10a)를 보유하여 상기 지지부재(6,8)에 용접 결합되는 바, 이 때 이 마스크(10)는 실질적인 상기 강성부재들(2,4)의 작용에 따라 소정의 텐션을 받은 채로 상기 지지부재(6,8)에 결합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색 선별 장치는, 통상적인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와 마찬가지로 패널 내측으로 장착되어, 전자총으로부터 출사된 다수의 전자빔을 색 선별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강성부재들(2,4)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구멍부(2a)가 형성되며, 이 구멍부(2a)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철편(12)에 의해 덮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멍부(2a)는 상기 색 선별 장치의 어셈블리 공정시, 상기 강성부재들(2,4)과 상기 지지부재들(6,8)을 용접으로 결합시킬 때, 용접시 발생되어 상기 강성부재들(2,4) 내로 들어간 가스가 이 강성부재들(2,4)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멍부(2a)는, 계속되는 상기 색 선별 장치의 어셈블리 공정시, 못 등의 부재에 의해 막히게 되고, 이후에는 상기한 철편(12)에 의해 커버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구멍부(2a)가 못으로 막히게 되는 것은, 상기 색 선별 장치의 세정 공정시, 세정액이 상기 구멍부(2a)를 통해 상기 강성부재들(2,4) 내로 들어가게 되는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상기 구멍부(2a)가 상기 색 선별 장치의 어셈블리 공정에서 상기 철편(12)에 의해 커버되고 나면, 상기 색 선별 장치가 장착된 음극선관의 튜브 배기시, 상기한 용접 과정에서 상기 구멍부(2a)를 통해 미처 상기 강성부재들(2,4) 내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한 가스가 상기 강성부재들(2,4)에서 나올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를 포함한 불순 공기는 상기 강성부재(2,4) 내에 그대로 남게 된다.
이처럼 남은 불순 공기는 실질적인 음극선관의 작용시, 해당 음극선관의 성능을 떨어뜨릴 악재로 작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불순 공기가 상기 강성부재와 지지부재의 용접 부위 사이로 새어 나와 상기 음극선관의 내부 진공 상태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종래의 평면 음극선관용 색 선별 장치는, 그 구조로 인해 해당 음극선관의 수명을 단축시킬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색 선별 장치의 어셈블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음극선관 튜브 내에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음극선관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과, 속이 빈 관재로 구비되 고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이 지지부재들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강성부재들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복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재들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이 부가하는 텐션을 받는 마스크; 및 상기 지지부재들에 대한 강성부재들의 결합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강성부재들과 상기 지지부재들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가스를 상기 강성부재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가스배출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와 맞닿는 상기 강성부재의 결합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강성부재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상기 강성부재의 양 측단부에 이 강성부재의 내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일부가 개방되도록 결합되는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 선별 장치가 적용된 음극선관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선관은, 유리체로 이루어진 튜브로 외관을 형성하고 있는 바, 이 외관은 내면에 형광 스크린(20)이 형성되는 패널(22)과, 이 패널(22)에 연결 설치되어 외주 상에 편향 유닛(24)을 설치하고 있는 펀넬(26)과, 이 펀넬(26)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R,G,B)의 전자빔을 상기 스크린(20)으로 주사토록 하는 전자총(28)이 장착되는 넥크(30)가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음극선관은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패널(22)의 외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음극선관으로서, 이 때 상기 패널(22)의 내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다. 이러한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색 선별 장치(32)는 통상적인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인 새도우 마스크과 마찬가지로 상기 패널(22)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자총(28)에 주사된 다수(R,G,B)의 전자빔을 색 선별하게 되는데, 이의 구성은 도 2를 통해 더욱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 선별 장치(32)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의 구성은 각기 한 쌍으로 구비된 강성부재(320a,320b)와 지지부재(320c,320d)로 이루어지는 프레임(32a) 및 이 프레임(32a)에 인장력을 인가 받아 결합되는 마스크(34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서 강성부재들(320a,320b)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들(320c,320d)과 하나의 결합체를 이루게 되는 바, 이 때, 이들은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속이 빈 관재로 구비되며, 그 전체적인 형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 반경을 갖고 이루어진 곡률진 모양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호 형상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320c,320d)의 단면 형상은 상기한 사각 형상 이외에 원형 단면 등의 여러 형상으로도 구비됨이 가능하다.
상기 강성부재(320a,320b)에 비해, 상기한 지지부재(320c,320d)는 상기 양 강성부재(320a,302b) 사이에 배치되어 그 양단을 서로 다른 강성부재(320a,320b)의 양단에 연결시켜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재들(320c,320d)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패널(22)의 장축 방향(X)으로 길게 배치되는 모양을 이루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양 강성부재(320a,320b) 측에 접촉되어 이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320c-1,320d-1)와, 이 제1 플레이트(320c-1,320d-1)와 소정의 각(대략, 직각)을 두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32b)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320c-2,320d-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강성부재(320a,320b) 및 지지부재(320c,320d)에 결합되는 상기 마스크(34a)는, 통상의 텐션 마스크와 같이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20c,320d)의 제2 플레이트(320c-2,320d-2) 상에 상기 패널(22)의 단축방향(Y)으로 인장된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34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자빔 통과용 구멍부(340b)는 상기 단축 방향으로 확장된 슬롯형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수직 피치(Pv) 및 수평 피치(Ph)를 갖고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색 선별 장치(32)에는 상기 강성부재(320a,320b)와 상기 지지부재(320c,320d)가 상호 결합될 때 발생되는 가스를 상기 강성부재(320a,320b)의 내부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수단이 제공되는 바, 이 가스배출수단은 상기 강성부재(320a,320b)에 형성된다.
상기 가스배출수단의 첫 번째 실시 형태로는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지지부재(320c,320d)에 접촉하는 상기 강성부재(320a,320b)의 양 끝단 부위에 형성된 절개부(320a-1,320b-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절개부(320a-1,320b-1)는, 각기 상기한 강성부재(320a,320b)의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하나씩 형성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색 선별 장치는, 그 제조 공정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양 강성부재(320a,320b)와 지지부재(320c,320d)가 상호 용접되어 결합될 때, 용접시 발생되는 가스가 관재인 상기 강성부재(320a,320b) 내에 차게 되더라도 이 가스를 상기 강성부재(320a,320b)와 지지부재(320c,320d)의 조립되는 동안은 물론, 조립 완성된 이후라도, 상기한 절개부(320a-1,320b-1)를 통해 상기 강성부재(320a,320b)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색 선별 장치의 세정 공정시, 상기 강성부재(320a,320b) 내에 차게 되는 세정액도 상기 절개부(320a-1,320b-1)를 통해 상기 강성부재(320a,320b) 밖으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나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색 선별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절개부(320a-1,320b-1)의 작용에 따라 종래와 같이 상기 강성부재(320a,320b) 상에 구멍을 내고 상기 색 선별 장치의 제조 공정 단계(세정,용접 공정)에 맞추어 상기 구멍을 못이나 철편으로 막지 않고도 양호한 품질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색 선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의 색 선별 장치(42) 역시,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강성부재(420a,420b)와 지지부재(420c,420d)로 이루어지는 프레임(42a) 및 이 프레임(42a)이 부가하는 텐션을 받아 이 프레임(42a)에 결합되는 마스크(44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강성부재(420a,420b), 지지부재(420c,420d) 및 마스크(44a)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다만 상기한 가스배출수단이 다르게 구성된다.
이 두 번째 실시예에 의한 가스배출수단은, 상기 강성부재(420a,420b)의 양단에 형성되는 개구부(420a-1,420b-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강성부재(420a,420b)는 속이 빈 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양단에 상기 강성부재(420a,420b)가 관통되도록 하는 개구부(420a-1,420b-1)를 갖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개구부(420a-1,420b-1)는, 상기 강성부재(420a,420b)가 상기 지지부재(420c,420d)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420)를 형성할 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색 선별 장치(42)에 있어서는, 일부 개방된 상기 개구부(420a-1,420-1)의 부위가, 상기 선별 장치의 제조 공정시, 상기 강성부재(420a,420b)와 지지부재(420c,420d)가 용접으로 결합될 때 발생하는 가스나 세정 공정시 사용되는 세정액이 상기 강성부재(420a,420b)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색 선별 장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강성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 부위에 상기와 같은 배출 수단을 형성해 놓음으로써 제조 공정상의 이점을 가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강성부재와 지지부재를 용접을 상호 결합시킬 때 에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마스크에 부가하는 텐션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용접을 충분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는, 제조 공정시 강성부재 내에 찰 수 있는 가스나 세정액이 상기 강성부재에 내에 남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가짐으로써, 상기한 배출을 위해 별도의 작업이나 부재들을 필요치 않게 되어 이에 따른 공정상의 이점-공정 수 단축, 생산성 향상 등을 가지게 된다.

Claims (8)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과, 속이 빈 관재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들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강성부재들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복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재들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이 부가하는 텐션을 받는 마스크; 및
    상기 지지부재들에 대한 강성부재들의 결합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강성부재들과 상기 지지부재들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가스를 상기 강성부재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수단
    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수단이,
    상기 지지부재와 맞닿는 상기 강성부재의 결합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강성부재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수단이,
    상기 강성부재의 양 측단부에 상기 강성부재의 내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일부가 개방되도록 결합되는 개구부로 형성되는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들이 일측단에서 다른 일측단에 따른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을 사각 형상으로 이루는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 반경을 갖고 곡률져 형성되는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들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들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들이
    상기 강성부재와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KR1020000074761A 2000-12-08 2000-12-08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7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761A KR100778397B1 (ko) 2000-12-08 2000-12-08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US10/011,691 US6657371B2 (en) 2000-12-08 2001-11-02 Color se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761A KR100778397B1 (ko) 2000-12-08 2000-12-08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337A KR20020045337A (ko) 2002-06-19
KR100778397B1 true KR100778397B1 (ko) 2007-11-21

Family

ID=1970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7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8397B1 (ko) 2000-12-08 2000-12-08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57371B2 (ko)
KR (1) KR100778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1760A (ja) * 2003-05-15 2004-12-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6967A (ko) * 1996-05-22 1997-12-12 쟝-가브리엘 머나드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의 현가부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437B2 (ja) 1992-04-27 2001-06-25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の色選別機構及び腕部材、並びにカラー陰極線管
JPH06187918A (ja) 1992-12-16 1994-07-08 Sony Corp 陰極線管の色選別機構
KR100418036B1 (ko) * 2001-06-04 200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6967A (ko) * 1996-05-22 1997-12-12 쟝-가브리엘 머나드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의 현가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337A (ko) 2002-06-19
US20020050778A1 (en) 2002-05-02
US6657371B2 (en) 200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232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778397B1 (ko)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PL117847B1 (en) Shadow-mask picture tube
KR100717778B1 (ko)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US657364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one-dimensional tension mask with a perforated region
KR100739571B1 (ko)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US6794806B2 (en) Warp-free dual compliant tension mask frame
KR100875322B1 (ko) 음극선관용 비용접 마스크 지지 블레이드 구조물
KR100262630B1 (ko) 평면 칼라 브라운관의 섀도우 마스크 고정장치
KR100209693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739591B1 (ko) 음극선관의 색선별 장치
KR100709240B1 (ko)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KR10019244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JP3389055B2 (ja) 陰極線管のシャドウマスク用平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ャドウマスクの製造方法
US7045941B2 (en) Color cathode ray tube
US7105994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shadow mask support
CN100559543C (zh) 用于阴极射线管的罩组件
KR100786853B1 (ko) 인장 마스크를 갖는 음극선관
KR20030095623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KR20030003610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JP2001155655A (ja) カラー陰極線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46679A (ja) カラー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69939A (ja) カラー陰極線管の製造方法
KR20020028530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JPH0195443A (ja) シャドウマスク式カラー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