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254B1 - Mixed tank type needle separator - Google Patents
Mixed tank type needle sepa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8254B1 KR100778254B1 KR1020070035246A KR20070035246A KR100778254B1 KR 100778254 B1 KR100778254 B1 KR 100778254B1 KR 1020070035246 A KR1020070035246 A KR 1020070035246A KR 20070035246 A KR20070035246 A KR 20070035246A KR 100778254 B1 KR100778254 B1 KR 1007782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water
- mixing tank
- needle
- screw convey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3481 Antifreeze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89 Nylon 4,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8 anti-freez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2 coars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7 desol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510 noble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7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이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이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바닥면에 교체 가능한 소정두께의 보강판이 덧대어진 구조로서. 인양장치로부터 인양된 침사가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에 연결되는 토출파이프; 상기 혼합탱크의 바닥면에 근접배치되고, 상단이 토출파이프를 관통하여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작동함으로써, 혼합탱크 내로 유입된 침사를 토출파이프를 관통하여 이송하는 메인스크류콘베이어; 상기 메인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베어링유닛; 상기 혼합탱크 내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에어노즐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어로 이루어짐으로써 침사의 악취를 제거하고, 부패를 방지하는 에어세척수단; 상기 혼합탱크로 유입되는 침사에 대해 물을 분사하는 혼합수노즐과, 상기 혼합수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워터펌프로 이루어짐으로써 침사의 유입시 수분함량을 높여 침사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침사혼합수단; 상기 토출파이프의 토출측 선단에서 메인스크류콘베이어로 세척수를 강하게 분사하는 세척수노즐과, 상기 세척수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펌프로 이루어짐으로써 침사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세척제거하는 침사세척수단; 상기 침사와 함께 부피가 큰 협잡물이 혼합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대협잡물 제거대; 상기 혼합탱크의 상면 개방측과 길이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통되어 침사처리용량을 증대시키는 처리증설수단; 상기 토출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침사의 함수율을 낮추는 침사탈수기; 상기 침사탈수기로 유입된 침사를 측면 세척하는 침사탈수기세척수단; 상기 침사탈수기로부터 유입된 침사를 저장호퍼로 이송하도록 내부가 내마모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에어콘베이어를; 포함하는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in which a top surface is opened, a bottom surface is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reinforcing pl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replaceable on the inner bottom surface is paved. A mixing tank in which a salvage from the lifting device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an open top surface;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mixing tank; A main screw conveyor disposed close to a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tank and having an upper end passing through a discharge pipe and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to be rotated so that the sediment introduced into the mixing tank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ipe; A support bearing unit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a rotary shaft of the main screw conveyor; An air nozzle for blowing air into the mixing tank and a blower for supplying high-pressure air to the air nozzle to remove odors of the needle and prevent spoilage; A mixing water nozzle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silt entering the mixing tank and a water pump for supplying water by the mixing water nozzle to increase the moisture content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silt bath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silt, ; A washing water nozzle for spraying washing water strongly from a discharge side end of the discharge pipe to a main screw conveyor and a water pump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nozzle so as to wash and remove organic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needle bath; A coarse contaminant removal stand for preventing the bulky contaminants from flowing into the mixing tank together with the needle thread; Processing addition means for increasing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silt treatment by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ixing tank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in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ludge dehydrator for lowe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nip from the discharge pipe; A desiccant dehydrato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desiccant introduced into the desiccant dehydrator side by side; An air conveyor whose inside is made of an abrasion resistant material so as to transfer the nip from the desiccant to the storage hopp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xed tank-type needle s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이에 의하면, 악취발생 및 부패의 원인이 되는 침사 내의 유기협잡물이 제거되며, 침사 내의 수분함량이 대폭 감소되어 침사로 인한 악취발생 내지는 오염수 배출 등의 환경오염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organic contaminants in the needle beds that cause odor and corruption are removed, and the moisture content in the needle beds is greatly reduced,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such as the generation of odor or the polluted water due to the needle set.
또한, 본 발명은 주요부가 마모 및 부식에 강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종 안전장치 및 부가장치를 겸비함으로써 작동안정성 및 효율성이 향상된 침사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ludge separation apparatus improved in durability by having a structure resistant to major parts and corrosion, and having various safety devices and additional devices, thereby improving operational stability and efficienc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ixed tank type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3은 도 1의 혼합탱크 내부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및 단면도이며,2 and 3 are a structural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ixing tank of FIG. 1,
도 4는 도 2의 축처짐방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aft deflection preventing means of Fig. 2,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도 6은 도 2의 지지베어링 유닛을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며,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bearing unit of Fig. 2,
도 7은 도 3의 에어노즐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air nozzle structure of FIG. 3,
도 8은 도 1의 조대협잡물 제거대의 구조 및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8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and a mounting state of the coarse dirt removing stand of FIG. 1,
도 9는 도 1의 침사탈수기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FIG. 9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tumble-water dehydrator of FIG. 1,
도 10은 도 9의 상부 베어링유닛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bearing unit of Fig. 9,
도 11은 도 9의 하부 베어링유닛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bearing unit of Fig. 9,
도 12, 13은 도 11의 하부 디플렉터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12 and 13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lower deflector of FIG. 11,
도 14는 도 9의 침사탈수기의 비상이송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ergency transfer means of the needle thread dehydrator of FIG. 9,
도 15, 16은 도 14의 연통커버 및 차단배플의 기능을 나타낸 단면도이며,Figs. 15 and 16 are sectional views showing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cover and the blocking baffle of Fig. 14,
도 17은 도 9의 스크레퍼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17 is a plan view showing a scraper structure and an operating state of Fig. 9,
도 18은 도 9의 침사분산판 장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for mounting the needle-like scattering plate of FIG. 9,
도 19는 도 9의 점검맨홀 장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pection manhole mounting structure of Fig. 9,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의 침사탈수기세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며,FIG. 2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means for washing the desiccant dehydrator of the mixed tank type desolvation and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도 20의 침사탈수기세척수단에 의한 하향 스크류콘베이어 세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FIG. 2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wnward screw conveyor is cleaned by the tumble-water dehydrator cleaning means of FIG. 20,
도 22는 도 1의 에어콘베이어를 나타낸 구성도이며,Fig. 2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air conveyor of Fig. 1,
도 23은 도 22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며,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2,
도 24는 도 23의 유입엘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Fig. 24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flow elbow of Fig. 23,
도 25는 도 22의 곡선관을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며,Fig. 2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urved tube of Fig. 22,
도 26은 도 25의 A-A선 단면도이며,2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5,
도 27은 도 22의 A-A선 단면도이며,Fig. 2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2,
도 28은 도 22의 침사이송말단장치를 확대해서 나타낸 구성도이며,Fig. 28 is an enlarged view of the needle thread transferring end device of Fig. 22,
도 29는 도 28의 평면도이며,29 is a plan view of Fig. 28,
도 30은 도 1의 처리증설수단의 슈트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3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hute of the processing expansion means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 혼합탱크 12: 토출파이프10: Mixing tank 12: Discharge pipe
14: 메인스크류콘베이어 15: 축처짐방지수단14: main screw conveyor 15: shaft deflection preventing means
30: 침사탈수기 40: 침사분산판 30: Needle spinning dehydrator 40: Needle dispersing plate
50: 에어콘베이어 60: 침사이송말단장치50: Air conveyor 60: Needle feed end device
70: 처리증설수단70: Processing addition means
본 발명은 하수 처리장의 처리과정 중 생성되는 침사를 정화시키는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ed tank-type sludge separ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a sludge produced during a treatment process of a sewage treatment plant.
일반적으로, 하수의 중계펌프장, 빗물배수펌프장, 종말하수처리장 등에는 방류수역의 오염 및, 유입수에 있어서의 토사의 퇴적, 침사지 이후의 처리시설의 모래로 인한 마모손실·폐색을 방지하고, 처리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침사지를 두고 있다.In general, the sewerage relay pump station, the rainwater drainage pump station, the end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like are designed to prevent pollution of discharged water, deposition of the earths in the inflow water, wear loss and clogging due to the sand of the treatment facility after the geyser, To make it smooth.
이 침사지는 무기물·유기물 등을 될 수 있는 한 많이 침전시켜 하수의 물리적인 정화를 기함은 물론, 이 침사물을 침사지 밖으로 이동시켜 제거하게 된다.These sediments precipitate as much of the inorganic and organic matter as possible to evacuate the physical purification of the sewage and remove the sediments from the sediments.
이러한 침사지에서 완전히 침사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침사중에 섞여있는 유기협잡물이 부식하여 악취를 풍기게 됨은 물론 수질을 악화시키게 된다.If you do not completely remove the sediment from these gypsum, the organic contaminants in the sediments will corrode, causing bad odors and deteriorating water quality.
따라서, 효과적인 하수처리를 위해서 침사지에 고인 침사를 제거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침사제거 과정은 침사지의 침사를 퍼올리는 인양단계, 퍼올린 침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침사를 호퍼 등으로 이송하는 이송단계, 호퍼에 저장된 침사를 매립지로 운반하는 반출단계를 거쳐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an effective sewage treatment, the dead silt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In general, the silt removal process includes a salvage step of picking up the siltstock, a cleaning step of washing the burnt silt, a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washed silt to a hopper, , And a take-out step in which the stored silt is transported to the landfill.
여기서, 인양과정에서는 체인과 버켓을 사용하는 버켓콘베이어식 침사인양장치를 통해 침사지에 고인 침사를 버켓으로 퍼서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세척단계에서는 외부로 배출된 침사를 콘베이어 방식의 세척기를 이용 하여 이송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게 된다.Here, in the lifting process, a bucket conveyor-type sludge lifting device using a chain and a bucket is used to pour the lifted sludge into the sludge by a bucket, and the slud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cleaning stage,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while being transferred by using the washing water.
그리고, 이와 같이 어느 정도 세척된 침사는 이송단계에서 에어컴프레서 방식의 이송콘베이어를 통해 호퍼로 이송되고, 반출단계에서는 호퍼에 일정량의 침사가 누적되면, 트럭을 이용하여 매립지로 침사를 이송하게 된다.Then, the thus-cleaned needle thread is conveyed to the hopper through the conveying conveyor of the air compressor type in the conveying step, and when the hopper accumulates a certain amount of the needle thread in the conveying step, the needle is transferred to the landfill by using the truck.
침사제거 과정에서 세척단계에서 사용되는 콘베이어식 침사세척장치는 케이스 내에 설치된 콘베이어벨트와, 케이스 내에서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침사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veyor type silt washing apparatus used in the cleaning step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ilt is composed of a conveyor belt installed in the case and a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by the needle thread conveyed by the conveyor belt in the case.
이러한, 종래의 세척장치에 의하면 콘베이어벨트로 침사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침사를 단순세척하기 때문에 함유된 수분 및 악취성분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사가 반출되어 유기협잡물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매립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leaning device, since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clean the silkworm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 the process of conveying the silkworm with the conveyor belt, the silkworm is taken out in the state where the moisture and odor components are not removed, .
따라서, 유기협잡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악취가 발생하고 각종 병원균의 서식지가 되어 보건 환경을 저해하고 있으며, 또한 오염수가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킴으로써 2차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organic pollutants are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and odors are generated, which habitat of various pathogens hinders the health environment. Moreover, polluted water permeates into the ground and pollutes groundwater, thereby causing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종래의 콘베이어식 세척장치는, 모래성분과 수분이 다량 함유된 침사의 특성상 구동요소에 모래가 끼어 심하게 마모됨으로써 가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수분에 의해 부식됨으로써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veyor type cleaning apparatuses suffer from problems such as failure to operate properly due to abrasion of sand on the driving element due to the nature of the sil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and component and moisture, and frequent failure due to corrosion due to moisture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사의 함수율을 낮추고, 침사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제거함으로써 침사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 으며, 마모 및 부식에 강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작동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침사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nodule treatment by lowe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nodules and removing the organic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nodul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edle sepa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durabilit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이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이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바닥면에 교체 가능한 소정두께의 보강판이 덧대어진 구조로서. 인양장치로부터 인양된 침사가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에 연결되는 토출파이프; 상기 혼합탱크의 바닥면에 근접배치되고, 상단이 토출파이프를 관통하여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작동함으로써, 혼합탱크내로 유입된 침사를 토출파이프를 관통하여 이송하는 메인스크류콘베이어; 상기 메인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베어링유닛; 상기 혼합탱크내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에어노즐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어로 이루어짐으로써 침사의 악취를 제거하고, 부패를 방지하는 에어세척수단; 상기 혼합탱크로 유입되는 침사에 대해 물을 분사하는 혼합수노즐과, 상기 혼합수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워터펌프로 이루어짐으로써 침사의 유입시 수분함량을 높여 침사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침사혼합수단; 상기 토출파이프의 토출측 선단에서 메인스크류콘베이어로 세척수를 강하게 분사하는 세척수노즐과, 상기 세척수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펌프로 이루어짐으로써 침사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세척제거하는 침사세척수단; 상기 침사와 함께 부피가 큰 협잡물이 혼합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대협잡물 제거대; 상기 혼합탱크의 상면 개방측과 길이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통되어 침사처 리용량을 증대시키는 처리증설수단; 상기 토출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침사의 함수율을 낮추는 침사탈수기; 상기 침사탈수기로 유입된 침사를 측면 세척하는 침사탈수기세척수단; 상기 침사탈수기로부터 유입된 침사를 저장호퍼로 이송하도록 내부가 내마모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에어콘베이어를; 포함하는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 top surface is opened, a bottom surface is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reinforcing pl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replaceable on the inner bottom surface is paved . A mixing tank in which a salvage from the lifting device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an open top surface;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mixing tank; A main screw conveyor disposed close to a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tank and having an upper end passing through a discharge pipe and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to be rotated so that the sediment introduced into the mixing tank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ipe; A support bearing unit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a rotary shaft of the main screw conveyor; An air nozzle for blowing air into the mixing tank and a blower for supplying high-pressure air to the air nozzle to remove odors of the needle and prevent spoilage; A mixing water nozzle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silt entering the mixing tank and a water pump for supplying water by the mixing water nozzle to increase the moisture content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silt bath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silt, ; A washing water nozzle for spraying washing water strongly from a discharge side end of the discharge pipe to a main screw conveyor and a water pump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nozzle so as to wash and remove organic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needle bath; A coarse contaminant removal stand for preventing the bulky contaminants from flowing into the mixing tank together with the needle thread; Processing addition means for increasing the needle processing capacity by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ixing tank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in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ludge dehydrator for lowe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nip from the discharge pipe; A desiccant dehydrato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desiccant introduced into the desiccant dehydrator side by side; An air conveyor whose inside is made of an abrasion resistant material so as to transfer the nip from the desiccant to the storage hopp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xed tank-type needle s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이때 상기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는, 상기 메인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과 양단이 두개소 이상 볼팅 결합되며 중간부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중간부를 감싸듯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의 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오일레스베어링이 내삽되는 하우징과, 상기 혼합탱크의 수용공간 내측면에 상기 회전축 길이방향과 직교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볼팅 고정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대와 지지봉 선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탄력 지지하는 완충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지지베어링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축처짐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ixing tank type separating apparatus may include a connecting shaft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main screw conveyor, the rotating shaft and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are bolted to each other at two or more positions, A housing which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into which an oilless bearing for supporting a lateral load of the connecting shaft is inserted; a support bas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mixing tank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 support bearing unit which is composed of a support rod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which is fixed to the housing by bolting and a buffer spring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tip of the support rod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using.
상기 처리증설수단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측단면이 깊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인양장치로부터 인양된 침사를 상기 혼합탱크 내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슈트와, 상기 슈트의 수용공간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슈트 내부로 유입된 침사가 유도수에 의해 상기 혼합탱크 측으로 원활히 안내되도록 하는 혼합탱크유도수밸브로 이루어진다. Wherein the processing expanding means comprises: a chute installed to guide the needle thread pulled from the lifting device into the mixing tank, the upper side of which is opened and the side end face is inclined in the depth direction so as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mixed tank induction valve provided at a tip end of the sucker for guiding the needle thread introduced into the chute to the mixing tank side by induction water.
또한 상기 침사탈수기는, 일측에 토출파이프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호퍼부가 형성되는 유입드럼과, 상기 유입드럼과 평행하게 연접되며 유입드럼과의 사이에 연통간극을 갖는 구조로서 일측에 토출포트가 구비된 토출드럼과, 유입드럼의 호퍼부 및 하단에 구비된 퇴수관과, 상기 유입드럼 내에 장착되어 호퍼부를 통해 유입되는 침사를 하향이송하는 하향 스크류콘베이어와, 상기 토출드럼 내에 장착되어 연통간극을 통해 유입드럼으로부터 토출드럼으로 유입된 침사를 토출포트 측으로 상향이송하는 상향 스크류콘베이어와,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의 작동을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 상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유닛과,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유닛과,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에 부착되며 상부 베어링유닛의 하방에 배치되어 침사가 상부 베어링유닛측으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원반형의 상부 디플렉터와, 상기 하부 베어링유닛으로의 침사유입을 방지하는 하부 디플렉터와, 유입드럼에서 침사의 하향이송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침사를 토출드럼 상부로 직접이송할 수 있는 비상이송수단과, 상향 이송된 상기 침사가 상기 토출포트 측으로 걸림 배출되도록 상기 토출포트 상단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되는 스크레퍼와, 상기 양 드럼의 하단에 각각 관통 고정되고 양 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패킹이 내삽된 패킹박스와, 상기 패킹과 양 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이 다수 개 내삽된 슬리브와,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에 끼움 장착되는 원반형태로서 상기 패킹박스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킹박스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설치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회전함으로써 가라앉은 침사를 분산시키는 침사분산판과, 상기 본체부와 패킹박스 사이에는 테프론이 내삽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내주면과 패킹박스의 외주면 사이에는 디유부시가 내삽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와 양 드럼의 바닥면 사이에는 엠씨나일론이 내삽되는 누수실링장치와, 상기 유입드럼 및 토출드럼의 저부 일측에 각각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맨홀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needle-type dehydrator has an inlet drum having a hopper portion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of a discharge pipe at one side thereof, and a communication gap between the inlet drum and the inlet drum, and having a discharge port at one side thereof A downward screw conveyor mounted in the discharge drum and adapted to feed a downwardly conveyed needle thread fed through the hopper part; and a downward screw conveyor mounted in the discharge drum, An upper screw conveyor for upwardly feeding the needle thread fed from the drum to the discharge drum toward the discharge port, a drive motor for operating the screw conveyor, an upper bearing unit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of the screw conveyor, A lower bearing unit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of the screw conveyor, A lower deflector attach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shaft and disposed below the upper bearing unit to prevent the needle thread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upper bearing unit side, a lower deflector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needle thread into the lower bearing unit, And a scrap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ort so as to be latched and ejected from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discharge port, A packing box inserted through the lower ends of the both drums and having a packing for supporting a rotary shaft of both screw conveyors, and a plurality of O-rings inserted between the pack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both screw conveyors, And a disk-shaped member fitted a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both screw conveyor A needle thread distributing plate which is composed of a main body part mounted to be placed on the packing box and a blade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ing box to disperse the settled needle thread, A leakage seal device in which Teflon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lad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ing box and a diverging bush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box and the MC nylon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lade and the bottom surface of both the drums, And a check manho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discharge drum to check the both screw conveyors.
그리고 상기 침사탈수기세척수단은, 세척수, 축봉수, 청소수를 유량계에 의해 공급 제어하는 유입전동밸브와, 상기 유입전동밸브와 상기 유입드럼의 측면 중간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외부 배수관과 연통되는 측면세척관과, 상기 측면세척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향 스크류콘베이어로 세척수를 공급 제어하는 측면세척수밸브와, 상기 측면세척수밸브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측면세척수밸브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하향 스크류콘베이어를 세척한 후 상기 측면세척관과 연통된 외부 배수관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세척수를 공급 제어하는 측면퇴수밸브와, 상기 유입전동밸브와 연통되어 세척수를 상기 침사세척수단의 세척수노즐로 공급 제어하는 세척수노즐밸브유닛과, 상기 유입전동밸브와 연통되어 상기 청소수를 공급 제어하는 청소수밸브유닛과, 상기 유입전동밸브와 연통되어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의 회전축 하단에 상기 축봉수를 공급 제어하는 축봉수밸브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udge dehydrator cleaning means includes an inlet flow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sh water, shaft seal, and cleaning water by a flow meter, and a sidewall cleaning unit connected to the inlet middle portion of the inlet flow control valve and the inflow drum, A side washing water valve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side washing pipe and controlling supply of wash water to the downward screw conveyor, and a washing water supply valve provided adjacent to the side washing water valve and supplied from the side washing water valve, A side discharge valve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cleaning water to be smoothly discharged to an external drain pipe communicated with the side cleaning pipe after cleaning, and a cleaning water nozzle valve unit connected to the inlet electric valve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the cleaning water to the cleaning water nozzle of the needle clean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cleaning water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lowing electric valv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mall number of the valve unit, the inlet electric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axial Bongsu valve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shaft to the rotational axis Bongsu bottom of the both screw conveyor.
이때 상기 측면세척관은 관 내부를 점검하도록 중간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점검분리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배수관은 토목수로 입구를 개폐하도록 수직으로 슬라이딩 착탈되는 칸막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ide cleaning pipe includes an inspection / separation pip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so as to inspect the inside of the pipe, and the external drain pipe includes a partition slidably installed and removed vertically to open and close the inlet with civil engineering water.
또한 상기 축봉수밸브유닛은, 공급된 상기 축봉수가 상기 침사탈수기의 저면을 통해 상기 외부 배수관과 연통되어 배출되도록 축봉수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haft seal valve unit includes a shaft seal discharge pipe so that the supplied shaft seal is communicated with the external drain pip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needle thread take-out dehydrator.
그리고 상기 에어콘베이어는, 상기 침사탈수기로부터 토출되는 침사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침사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깔대기 형상으로 설치되고 내주면 일측에 초경판이 부착된 내부콘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볼팅되고 상기 유입포트와 연통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에어챔버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내부콘의 외주면 사이에 충진되는 무수축 시멘트와, 상기 뚜껑과 유입포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침사를 개폐하는 로타리 엑츄에이터와, 상기 에어챔버의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콘의 하단과 연통되는 토출포트와, 상기 토출포트로부터 저장호퍼로 이어지는 침사이송배관과,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의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챔버 및 토출포트 내부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에어배관과, 상기 에어배관과 연통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초경판 측으로 압축공기를 유도하는 특수주물재질의 유입엘보와, 상기 내부콘을 사이에 두고 상기 초경판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 외주면 상에 감싸듯이 설치되는 보강링으로 이루어진다.The air conveyor includes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needle thread discharged from the needle thread dehydrator flows, and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ner cone fitted in a funnel shape to receive the needle thread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And a lid which is bol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port; an unshrinkable cement filled betwee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one; A rotary actuator which is installed under the air chamber and opens and closes the needle thread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 discharge port which is provided below the air chamber and communicates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ne; a needle thread transferring pipe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storage hopper; A blower for generating air, and a blower for blowing compressed air of the blower into the air chamber and the discharge port An inflow elbow made of a special cast material which communicates with the air pipe and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guide compressed air to the cemented carbide plate side in the main body, And a reinforcing ring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cemented carbide plate.
여기서 상기 침사이송배관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다수개 직선관과, 상기 각 직선관 사이를 연결하는 특수주물재질의 곡선관으로 구성되어 침사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심한 곡선관의 내마모성이 높아지고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곡선관은 이송되는 침사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단면 두께가 작은 부분의 단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직선관은 상기 곡선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침사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외주면에 초경판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needle transfer piping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ainless steel straight tubes and a curved tube made of a special cast material connecting between the straight tubes, so that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curved tube, which is worn out due to friction with the needle thread, Wherein the curvilinear tube is formed such that a section having a large discharge pressure of the conveyed needle thread is relatively thicker than a section thickness of a section having a small cross section thickness and the linear tube has a discharge pressure And a hard metal plate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rge portion.
그리고 상기 에어콘베이어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침사이송배관과 측면 연통되며 상측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배출챔버와, 상기 배출챔버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어 상기 침사이송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침사로부터 내구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초경판과, 상기 배출챔버의 하측 개방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되 상측은 폭 방향으로 밴딩처리되고 하측은 이음매 상에 철판을 덧댄 후 상기 철판과 볼팅 처리되어 낙하되는 침사로 인한 소음 및 침사의 비산을 방지하는 내겹고무롤링판으로 이루어진다.The air conveyor includes a cylindrical discharge chamber having a lower side opened and a side-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transfer pipe and provided with an air vent for discharging compressed air upward, and a cylindrical discharge chamber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bottom side is ben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bottom side is brazed with an iron plate on the joint, and then the steel plate is subjected to a bolting process and then dropped It is made of an inner-layer rubber rolling plate which prevents noise caused by the needle thread and scattering of the needle threa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ixed tank type separation and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 3은 도 1의 혼합탱크 내부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및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축처짐방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지지베어링 유닛을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에어노즐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조대협잡물 제거대의 구조 및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침사탈수기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상부 베어링유닛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하부 베어링유닛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 13은 도 11의 하부 디플렉터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4는 도 9의 침사탈수기의 비상이송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 16은 도 14의 연통커버 및 차단배플의 기능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9의 스크레퍼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8은 도 9의 침사분산판 장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9의 점검맨홀 장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의 침사탈수기세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침사탈수기세척수단에 의한 하향 스크류콘베이어 세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2는 도 1의 에어콘베이어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유입엘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5는 도 22의 곡선관을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6은 도 2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8은 도 22의 침사이송말단장치를 확대해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9는 도 28의 평면도이며, 도 30은 도 1의 처리증설수단의 슈트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 is a structural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ixing tank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bearing unit of FIG. 2, and FIG. 7 is a plan view of the air nozzle structure of FIG.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and a mounting state of the coarse debris removal table of FIG. 1,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umble dehydrator of FIG. 1,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upper bearing unit of FIG.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bearing unit of Fig. 9, Figs. 12 and 13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lower deflector of Fig. 11,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transferring means of the tumble- 15, 16, FIG. 1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craper structure and the operation state of FIG. 9,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mounting the needle bar distributor plate of FIG. 9, and FIG. 19 is a cross- 2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means for washing the tumble-water dehydrator of the mixed-tank type needlel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schematic view Fig. 22 is a structural view of the air conveyor of Fig. 1, 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2, Fig. 24 is a plan view of the inflow elbow of Fig. 2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urved tube of Fig. 22, Fig. 2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5, Fig. 2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2, enlargement Fig. 29 is a plan view of Fig. 28, and Fig. 3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hute of the processing expansion means of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형태이고, 바닥면이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윗방향측 선단에 토출파이프(12)가 구비된 구조의 혼합탱크(1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바닥면에 근접배치되고 상단이 토출파이프(12)를 관통하여 구동모터(13)와 연결되어 회전작동되는 회전축(141)을 갖는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와, 상기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의 회전축(141)을 탄력지 지하는 축처짐방지수단(15)과, 상기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의 회전축(141)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베어링유닛(16)과, 상기 혼합탱크(10)내로 에어를 분사하여 침사의 악취를 제거하고, 부패를 방지하는 에어세척수단과, 상기 혼합탱크(10)로 유입된 침사의 수분함량을 높여 침사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침사혼합수단과, 상기 토출파이프(12)의 토출측 선단에서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로 세척수를 강하게 분사하여 침사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세척제거하는 침사세척수단과, 침사와 함께 부피가 큰 협잡물이 혼합탱크(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대협잡물 제거대(26)와, 상기 토출파이프(12)의 선단으로부터 토출되는 침사를 공급받아 수분을 분리함으로써 침사의 함수율을 낮추는 침사탈수기(30)와, 상기 침사탈수기(30)로부터 토출된 침사를 저장호퍼(H)로 이송하는 에어콘베이어(5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 개방측과 길이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통되어 침사처리용량을 증대시키는 처리증설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ixing tank type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 top surface, a bottom surfac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여기서, 상기 혼합탱크(10)는, 내부 바닥면에 보강판(101)(도 3 참조)이 덧대어진 보강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보강판(101)은 혼합탱크(10)의 저면과 형합되는 굴곡 패널형태로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단순 안착된다.Here, the mixing
상기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는, 상단이 구동모터(13)와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베어링유닛(16)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141)과, 회전축(141) 주변에 나선형으로 구비된 스크류날(142)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축처짐방지수단(1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41)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141)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141)과 양단이 각각 두 개소씩 볼트(V) 및 너트(N)로 결합되며 중간부(M)가 상기 회전축(14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연결축(151)과, 상기 중간부(M)를 감싸듯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151)의 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오일레스베어링(152)이 내삽되는 하우징(153)과, 상기 혼합탱크(10)의 수용공간 내측면에 상기 회전축(141) 길이방향과 직교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155)와, 상기 지지대(155)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53)에 볼팅 고정되는 지지봉(156)과, 상기 지지대(155)와 지지봉(156) 선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53)을 탄력 지지하는 완충스프링(157)으로 구성되는 지지베어링 유닛(159)으로 이루어진다. 4 and 5, the shaft
상기 지지베어링유닛(1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탱크(10)의 선단에 나사고정식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의 회전축(141) 하단을 받치는 외부커버(162)와, 상기 외부커버(162) 안쪽에서 상기 회전축(141)의 하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의 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오일리스베어링(164)과, 회전축(141)의 선단과 외부커버(162)의 선단 사이에 개재되어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의 길이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볼(166)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141)하단의 오일레스베어링(164) 전방측에는 침사가 베어링유닛(16)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디플렉터(17)가 부착된다.6, the
상기 에어세척수단의 에어노즐(18)(도 3 참조)은 혼합탱크(10)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분사구가 저면에 형성된 격자형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와 연결되어 있다.The air nozzle 18 (see FIG. 3) of the air cleaning means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ixing
상기 침사혼합수단은 혼합탱크(10)로 유입되는 침사에 대해 혼합수를 분사하 는 혼합수노즐(22)과, 상기 혼합수노즐(22)로 혼합수를 공급하기 위해 후술할 유입전동밸브(491)와 연결되는 유입관(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The needle mixing means includes a
상기 침사세척수단은 토출파이프(12)의 토출측 선단에 구비된 세척수노즐(24)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he needle wash means is provided with a wash water nozzle (24) provided at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discharge pipe (12).
상기 조대협잡물 제거대(2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크기의 격자형 프레임(262)과, 상기 프레임(262)의 양 측단에 부착된 레일캐스터(264)로 구성되며, 혼합탱크(10)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2)에 의해 지지된다.The coarse dirt removing table 26 is composed of a
상기 침사탈수기(30)는, 도 9 내지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토출파이프(12)의 토출구(121)와 연결되는 호퍼부(311)가 형성되는 유입드럼(31)과, 상기 유입드럼(31)과 평행하게 연접되며 유입드럼(31)과의 사이에 연통간극(31a)을 형성하며 일측에 토출포트(322)가 구비된 토출드럼(32)과, 유입드럼(31)의 호퍼부(311) 및 그 하단에 구비된 퇴수관(312)(313)과, 상기 유입드럼(31) 내에 장착되어 호퍼부(311)를 통해 유입되는 침사를 하향이송하는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와, 상기 토출드럼(32) 내에 장착되어 유입드럼(31)으로부터 토출드럼(32)으로 유입된 침사를 토출포트(322) 측으로 상향이송하는 상향 스크류콘베이어(34)와,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의 작동을 위한 구동모터(35)와,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의 회전축(331)(341) 상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유닛(36)과,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의 회전축(331)(341)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유닛(37)과,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의 회전축(331)(341)에 부착되며 상부 베어링유닛(36)의 하방에 배치되어 침사가 상부 베어링유닛(36)측으로 밀려드는 것 을 방지하는 원반형의 상부 디플렉터(38)와, 상기 하부 베어링유닛(37)으로의 침사유입을 방지하는 하부 디플렉터(39)와, 유입드럼(31)에서 침사의 하향이송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침사를 토출드럼(32) 상부로 직접이송할 수 있는 비상이송수단과, 상향 이송된 상기 침사가 상기 토출포트(322) 측으로 걸림 배출되도록 상기 토출포트(322) 상단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되는 스크레퍼(41)와, 상기 양 드럼(31)(32)의 하단에 각각 관통 고정되고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의 회전축(331)(341)을 지지하는 패킹(42)과, 상기 패킹(42)과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의 회전축(331)(341)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O)이 다수 개 내삽된 슬리브(43)와,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의 회전축(331)(341)에 끼움 장착되는 원반형태로서, 상기 패킹(42)의 패킹박스(421)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본체부(401)와 상기 본체부(40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킹박스(421)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설치되는 블레이드(402)로 이루어져 회전함으로써 가라앉은 침사를 분산시키는 침사분산판(40)과, 상기 본체부(401)와 패킹박스(421) 사이에는 테프론(44)이 내삽되고, 상기 블레이드(402)의 내주면과 패킹박스(421)의 외주면 사이에는 디유부시(45)가 내삽되며, 상기 블레이드(402)의 하단부와 양 드럼(31)(32)의 바닥면 사이에는 엠씨나일론(46)이 내삽되는 누수실링장치(47)와, 상기 유입드럼(31) 및 토출드럼(32)의 저부 일측에 각각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맨홀(48)과, 침사탈수기세척수단(49)으로 이루어진다. 9 to 19, an inlet drum 31 having a hopper 311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121 of a discharge pipe 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pin dryer 30, A discharge drum 32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discharge drum 31 in parallel with the discharge drum 31 and forming a communication gap 31a with the discharge drum 31 and having a discharge port 322 at one side thereof, A downward screw conveyor 33 installed in the inflow drum 31 and feeding down the needle thread flowing through the hopper 311, An upward screw conveyor 34 which is mounted in the discharge drum 32 and upwardly feeds the needle thread flowing from the inlet drum 31 to the discharge drum 32 toward the discharge port 322, 34) for supporting the upper ends of the rotating shafts (331, 341) of the screw conveyors (33, 34) A lower bearing unit 37 for supporting the lower ends of the rotary shafts 331 and 341 of the screw conveyors 33 and 34 and a lower bearing unit 37 for supporting the rotary shafts 33 and 34 of the screw conveyors 33 and 34, Shaped upper deflector 38 attached to the lower bearing unit 361 and disposed below the upper bearing unit 36 to prevent the needle thread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upper bearing unit 36, An emergency conveying means capable of directly conveying the needle threa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drum 32 when the downward conveyance of the needle thread is not smooth in the inlet drum 31, A scraper 41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ort 322 so as to be engaged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ing port 322 side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drum 31, A packing 42 for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s 331 and 341 of the screw conveyors 33 and 34, A sleeve 43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33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331 of the screw conveyors 33 and 34 to prevent water leakage, A body part 401 mounted on the packing box 421 of the packing 42 and fitted to the rotational axis 331 of the body part 401, A needle bar distributor 40 for distributing the needle thread formed by rotation of the needle bar 40 and formed by a blade 40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acking box 421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ing box 421, A teflon 44 is inserted between the box 421 and a diverging bush 45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ade 40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ing box 421.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유입드럼(31)의 호퍼부(311)에는 유입된 침사의 수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하는 레벨스위치(303)(도 9 참조)가 장착된다.A level switch 303 (see FIG. 9) is installed in the
상기 침사탈수기(30)의 상부 베어링유닛(3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드럼(31) 상단에 부착되는 베어링하우징(361)과, 상기 베어링하우징(361)에 의해 지지되어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회전축(331)에 장착됨으로써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작동시 축방향으로 위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는 트러스트 베어링(362)과, 역시 상기 베어링하우징(361)에 의해 지지되어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회전축(331)에 장착되는 레이디얼 베어링(3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하부 베어링유닛(37)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입드럼(31)의 하단에 부착되는 베어링하우징(371)과, 상기 베어링하우징(371)에 의해 지지되어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회전축(331)에 장착되는 레이디얼 베어링(372)과, 상기 베어링하우징(371)에 결합되어 레이디얼 베어링(372)의 상면을 덮는 상부커버(378)와, 상기 베어링하우징(371)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축(331)에 부착된 테이퍼롤러베어링(373)과, 상기 베어링하우징(371)과 결합되어 테이퍼롤러베어링(373)을 감싸는 저면커버(374)와, 상기 상부커버(378)에 의해 회전축(33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오일실(375)과, 상기 상부커버(378)와 베어링하우징(371) 사이 및 하부커버(374)와 베어링하우징(371)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개의 패킹링(3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하부 디플렉터(39)는, 상기 하부 베어링유닛(37)의 상방에서 회전축(331)을 감싸는 소정폭의 고무패킹(391)과, 상기 고무패킹(391)을 조이도록 회전축 (331)을 감싸는 홀을 형성하고 서로 조합되어 원반형태가 되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소정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오는 스커트부(393)가 형성된 한 쌍의 홀더(392)(도 12, 13 참조)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회전축(331) 하단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디플렉터(39)를 사이에 두고 그 아래위에 근접배치되는 한 쌍의 고무재질 침사방지막(394)(394')이 구비된다.11, a pair of rubber
상기 상,하부 베어링유닛(36)(37) 및 상,하부 디플렉터(38)(39) 그리고 침사방지막(394)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상에는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각 요소는 상,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34)에 공통적으로 적용됨을 밝혀두는 바이다.Although the upper and
상기 비상이송수단은, 도 14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드럼(31)(32) 상단의 동일높이에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는 연통홀(31b)(32b)과, 상기 양 드럼(31)(32)을 연결하여 양 연통홀(31b)(32b)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연통로를 형성하며 상면에 삽탈슬롯이 형성된 연통커버(301)과, 상기 연통커버(301)의 상면에 형성된 삽탈슬롯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삽탈되어 선택적으로 연통홀간을 연통 차단시키는 차단배플(302)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4 to 16, the emergency feeding means includes communication holes 31b and 32b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s of both the
상기 스크레퍼(4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드럼(32) 내부의 상향 이송된 침사가 상기 토출포트(322) 측인 화살표 방향으로 걸림 배출되도록 상기 토출포트(322) 상단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스크레퍼(41)의 형상은 판 상에 한정되지 않고 침사가 상기 토출포트(322) 측인 화살표 방향으로 걸림 배출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17, the
상기 점검맨홀(48)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드럼(31)(32)의 천공부(314)(324)에 설치된 가스켓(481)과, 상기 천공부(314)(324)를 개폐하도록 상기 가스켓(481) 상에 얹히는 뚜껑(482)과, 상기 뚜껑(482)을 밀봉하도록 상기 뚜껑(482)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스켓(481)에 결속되는 체결부재(483)로 구성된다. The
상기 침사탈수기세척수단(49)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축봉수 및 청소수를 공급 제어하는 유입전동밸브(491)와, 상기 유입전동밸브(491)와 상기 유입드럼(31)의 측면 중간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외부 배수관(Drainpipe)(D)과 연통되는 측면세척관(492)과, 상기 측면세척관(492)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로 세척수를 공급 제어하는 측면세척수밸브(493)와, 상기 측면세척수밸브(493)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측면세척수밸브(493)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를 세척한 후 상기 측면세척관(492)과 연통된 외부 배수관(D)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세척수를 공급 제어하는 측면퇴수밸브(494)와, 상기 유입전동밸브(491)와 연통되어 세척수를 상기 침사세척수단의 세척수노즐(24)로 공급 제어하는 세척수노즐밸브유닛(495)과, 상기 유입전동밸브(491)와 연통되어 상기 청소수를 공급 제어하는 청소수밸브유닛(496)과, 상기 유입전동밸브(491)와 연통되어 상기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의 회전축(331)(341) 하단에 상기 축봉수를 공급 제어하는 축봉수밸브유닛(49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0, the tumble-water dehydrator cleaning means 49 includes an inlet
상기 세척수노즐밸브유닛(495), 청소수밸브유닛(496) 및 축봉수밸브유닛(497)은 상기 유입전동밸브(491)와 연통되어 각각 세척수, 청소수 및 축봉수가 유 입되도록 관로를 제공하는 유입관(도면부호생략)을 각각 구비함은 물론이다.The washing water
상기 측면세척관(492)은, 관 내부를 점검하도록 중간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점검분리관(492a)(도 21 참조)을 포함한다.The
상기 축봉수밸브유닛(497)은, 양 드럼(31)(32) 내부로의 축봉수 유입을 제어하는 축봉수밸브(497a)와, 상기 축봉수를 슬리브(43) 측으로 공급하는 랜턴링(497b)과, 공급된 상기 축봉수가 상기 침사탈수기(30)의 저면을 통해 상기 외부 배수관(D)과 연통되어 배출되도록 축봉수배출관(497c)(도 9 및 도 21 참조)을 포함한다.The shaft
상기 외부 배수관(D)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토목 수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어느 한쪽의 토목수로에 대한 고장 및 점검시 다른 쪽의 수로로 배수를 유도하도록 수직으로 슬라이딩 착탈되어 상기 어느 한쪽의 토목수로 입구를 개폐하는 칸막이(W)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1, the external drain pipe (D) forms a plurality of civil engineering water passages. The external water pipe (D) is vertically slidable and detachable so as to induce drainage in the other water channel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artition W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with one civil engineering water.
그리고 상기 에어콘베이어(50)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사탈수기(30)로부터 토출되는 침사가 유입되는 유입포트(51)와, 상기 유입포트(51)로부터 유입된 침사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깔대기 형상으로 설치되고 내주면 일측에 초경판(P)이 부착된 내부콘(C)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본체(521)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볼팅되고 상기 유입포트(51)와 연통되는 뚜껑(522)을 포함하는 에어챔버(52)와, 상기 뚜껑(53)과 유입포트(5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52) 내부로 유입되는 침사를 개폐하는 로타리 엑츄에이터(53)와, 상기 에어챔버(52)의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콘(C)의 하단과 연통되는 토출포트(54)와, 상기 토출포트(54)로부터 저장호퍼(H) 측으로 이어지는 침사이송배관(55)과,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블로어(B)와, 상기 블로어(B)의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챔버(52) 및 토출포트(54) 내부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에어배관과, 상기 에어배관의 후술할 제2에어배관(57)과 연통하고 상기 본체(521)의 일측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본체(521) 내부의 초경판(P) 측으로 압축공기를 유도하는 특수주물재질의 유입엘보(58)(도 24 참조)와, 상기 내부콘(C)을 사이에 두고 상기 초경판(P)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521) 외주면 상에 감싸듯이 설치되는 보강링(59)과, 침사가 저장호퍼(H)로 최종 토출되는 압력을 저감시키는 침사이송말단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2 and 23, the air conveyor 50 includes an inlet port 51 through which a needle thread discharged from the needle thread dehydrator 30 flows, and a needle thread flown from the inlet port 51, A cylindrical body 521 which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funnel inside and has an inner cone C to which a hard metal plate P is attach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521 and a cylindrical body 521 which is bol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and which communicates with the inlet port 51 A rotary actuator 53 installed between the lid 53 and the inlet port 5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eedle thread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2, A discharge port 54 provided below the air chamber 52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ne C and a needle transfer pipe 55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port 54 to the storage hopper H, , A blower (B)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and a blower An air pipe for providing a flow path to be guided into the air chamber 52 and the discharge port 54 and a second air pipe 57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air pipe and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main body 521 An inflow elbow 58 (see FIG. 24) made of a special cast material for guiding compressed air to the cemented carbide plate P side in the main body 521 and the inflow elbow 58 for guiding the compressed air to the cemented carbide plate P, A reinforcing ring 59 provided so as to be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521 and a needle transfer end device 60 for reducing the pressure at which the needle thread is finally discharged by the storage hopper H. [
또한 상기 에어챔버(52)에는, 상기 본체(521)의 내주면과 내부콘(C)의 외주면 사이에 무수축 시멘트(S)가 충진되어 상기 내부콘(C)을 보강하도록 설치된다. The
상기 침사이송배관(55)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다수개의 직선관(551)과, 상기 각 직선관(551) 사이를 연결하는 특수주물재질의 곡선관(552)으로 구성되어 침사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심한 곡선관(552)(도 25 참조)의 내마모성이 높아지고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The needle transfer piping 5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곡선관(552)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침사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단면 두께(L)가 작은 부분의 단면 두께(L')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직선관(551)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선관(552)으로부터 유입되는 침사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외주면에 초경판(P)이 장착되어 이루어진다.26, the
상기 에어배관은, 토출포트(54)와 블로어(B)를 연결하는 제1에어배관(56)과, 에어챔버(52)와 블로어(B)를 연결하는 제2에어배관(57)을 포함하는바, 상기 제1에어배관(56)에는 블로어(B)로부터 토출포트(54)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1레귤레이터 밸브(561)가 장착되고, 상기 제2에어배관(57)에는 블로어(B)로부터 에어챔버(52)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을 상기 제1에어배관(56)보다 낮게 유지하는 제2레귤레이터 밸브(571)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The air pipe includes a
상기 침사이송말단장치(60)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침사이송배관(55)의 직선관(551)과 측면 연통되며 상측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611)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배출챔버(61)와, 상기 배출챔버(61)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어 상기 침사이송배관(55)의 직선관(551)을 통해 유입되는 침사로부터 내구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초경판(P)과, 상기 배출챔버(61)의 하측 개방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되 상측은 폭 방향으로 밴딩(621)처리되고 하측은 이음매 상에 철판(I)을 덧댄 후 상기 철판(I)과 볼팅(622) 처리되어 낙하되는 침사로 인한 소음 및 침사의 비산을 방지하는 내겹고무롤링판(62)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8 and 29, the needle thread transferring
끝으로, 상기 처리증설수단(7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측단면이 깊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사인양장치(미도시)(도 1의 침사인양장치 참조)로부터 인양된 침사를 상기 혼합탱크(10) 내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슈트(71)와, 상기 슈트(71)의 수용공간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슈트(71) 내부로 유입된 침사가 유도수에 의해 상기 혼합탱크 측으로 원활히 안내되도록 하는 혼합탱크유도수밸브(72)로 이루어진다.1 and 2, the process expanding means 70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opened and the side end face thereof is inclined in the depth direction so as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
상기 슈트(71)의 측단면 형상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혼합탱크 유도수밸브(72)로 공급되는 유도수는 상기 침사탈수기세척수단(49)의 유입전동밸브(491)를 통하여 공급됨이 바람직하다.30 and the induction water supplied to the mixed tank
이상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인 351는 구동기어이고, 352는 종동기어이며, F는 유량계(Flowmeter)이며, 498은 세척수밸브이며, 499a는 세척수조정밸브이며, 499b는 점검밸브 및 499c는 바이패스밸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mixed-tank type sedimentation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침사인양장치(5)에 의해 침사지로부터 퍼올려진 침사는 혼합탱크(10)에 부어지게 되며, 혼합탱크(10)로 유입된 침사는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의 작동에 의해 토출파이프(12)를 통해 침사탈수기(30)로 유입된다.First, the needle thread pumped up from the gimlet by the
여기서, 인양된 침사는 혼합탱크(1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조대협잡물제거대(26)를 거치게 됨으로써 침사내에 함유된 덩어리가 큰 협잡물을 걸러내게 되는데, 상기 협잡물제거대(26)는 이동 가능한 구조상 인양장치(5)와 근접토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킴으로써 혼합탱크(10)의 가장자리를 통해 혼합탱크(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걸러진 협잡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ocess of flowing the sediment into the mixing
또한, 침사가 혼합탱크(10)로 유입되는 위치에서 혼합수노즐(22)로부터 혼합수가 혼합탱크(10)내로 공급되어 침사의 수분함량을 높이기 때문에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를 통한 침사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더불어 혼합탱크(10)내에서는 에어노즐(18)로부터 침사에 대해 고압의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침사내의 악취유 발성 유기물이 증발되고, 에어압력에 의해 침사가 고르게 분산되어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에 의한 이송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mixed water is supplied into the mixing
또한, 상기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의 회전축(141)은 그 하중으로 인해 일측에 부하가 걸릴 수 있으나, 축처짐방지수단(15)에 의해 상기 회전축(141)을 탄력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축(141) 자체의 하중에 의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141)의 하중 방향 미세한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또한, 토출파이프(12)의 선단에서는 세척수노즐(24)로부터 토출파이프(12) 내부의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를 향해 세척수가 강한 압력으로 분사되는데, 이같은 세척수의 분사작용에 의해 침사에 잔존된 유기협잡물이 말끔히 제거됨으로써 침사의 부패가 적극적으로 방지된다.At the front end of the
또한, 지지베어링유닛(16)은 나사고정식으로 분리 체결 용이하게 부착된 외부커버(162)의 구조상,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를 지지하는 오일리스베어링(164)의 유지보수를 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 개방측과 연통된 상기 처리증설수단(70)에 의해 별도의 추가 설비를 배제하고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1대로써 침사처리용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설비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additional processing facility can be excluded by the processing expansion means (70)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opening side of the mixing tank (10) The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다음으로, 토출파이프(12)를 통해 배출되는 침사는 침사탈수기(30)로 유입되어 수분이 제거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needle thread discharged through the
먼저,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는 각 회전축(331)(341) 상단에 각각 구비된 종동기어(352)가, 구동모터(35)에 연결된 구동기어(351)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회전된다.The driven gears 352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이와 동시에 토출파이프(12)의 토출구(121)로부터 토출된 침사는 유입드럼(31)의 호퍼부(311)로 유입되어, 햐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작동에 의해 아래로 이송되는데, 호퍼부(311) 및 유입드럼(31)의 하단에서는 침사에 함유된 수분이 퇴수관(312)(3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침사의 수분함량을 줄이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needle thread discharged from the
계속해서, 유입드럼(31)의 하단으로 이송된 침사는 유입드럼(31)과 토출드럼(32)에 형성된 연통간극(31a)을 통해 토출드럼(32) 측으로 이송되며, 토출드럼(32)으로 유입된 침사는 상향 스크류콘베이어(34)에 의해 토출드럼(32)의 상부로 이송되어 토출포트(322)를 통해 에어콘베이어(50) 측으로 토출된다.Subsequently, the needle thread transferred to the lower end of the
이러한 침사탈수기(30)의 작동에 있어서, 상부 베어링유닛(36)에 의하면, 트러스트 베어링(362)이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회전축(331)에 수직상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적절히 지지력을 발휘함으로써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회전작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특히 침사의 하향 이송에 따른 상대적인 반발력이 상향으로 발생하는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The
또한, 상부 베어링유닛(36)의 하방에 배치된 상부 디플렉터(38)에 의해 침사가 상부 베어링유닛(36)에 근접하도록 올라오는 것이 차단된다.Further, the
또한, 상기 하부 베어링유닛(37)은, 상부커버(378)에 의해 스크류콘베이어(33)의 회전축(331)에 오일실(oil seal)(375)이 밀착되고, 상부커버(378)와 베어링하우징(371) 사이 및 하부커버(374)와 베어링하우징(371) 사이에 다수개의 패킹링(376)이 개재된 이른바 이중밀봉구조의 특성상, 침사가 각 커버(378)(374)와 베어 링하우징(371) 사이 간극을 통하여 레이디얼베어링(372) 내지는 테이퍼롤러베어링(373) 내로 침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작동안정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An
더불어, 하부 베어링유닛(37)의 상방에 배치된 하부 디플렉터(39)에 의하면 홀더(392)가 스크류콘베이어(33)의 회전축(331)의 외면을 고무패킹(391)을 통해 긴밀하게 감싸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디플렉터(39)의 상하방에도 각각 침사의 침투를 막기 위한 침사방지막(394)(394')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침사의 침투가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또한, 상기 한 쌍의 홀더(392)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쉽게 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무패킹(391)의 마모시 그 교체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한편, 유입드럼(31)의 하부로 이송된 침사는 수분이 많이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하단에서 침사가 토출드럼(34) 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적층될 우려가 있는바, 침사분산판(40)에 의하면 침사의 응고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iltus transfer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즉,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의 회전축(331)과 함께 상기 침사분산판(40)이 회전하면서, 본체부(401)의 하면에 형성된 블레이드(402)가 유입드럼(31)의 바닥에 깔린 침사를 쓸어서 외주방향으로 분산시키게 됨으로써 침사가 적층되지 않고 토출드럼(32)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The
이러한, 침사분산판(40)은, 상기 누수실링장치(47)에 의해 내측으로 침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양 드럼(31)(32) 및 패킹박스(421)와의 마찰 계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내마모성이 증대하게 된다.The
또한, 스크레퍼(41)에 의해 토출 드럼(32) 내부의 상향 이송된 침사가 상기 토출포트(322) 측으로 걸림 배출됨으로써 침사의 원활한 토출을 유도할 수 있다.Further, upward movement of the needle thread in the
또한, 상기 점검맨홀(48)이 구비됨에 따라서 작업자는 양 드럼(31)(32) 내부의 상,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34)를 효과적으로 점검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침사탈수기세척수단(49)은 점검밸브(499b) 및 바이패스밸브(499c)가 닫힌 상태에서 유입전동밸브(491) 및 유량계(F)를 통해 세척수, 축봉수, 청소수를 공급한다. The needle thread dehydrator cleaning means 49 supplies wash water, shaft seal and cleaning water through the
상기 세척수는 세척수밸브(498)가 열린 상태에서 세척수노즐밸브유닛(495)의 유입관을 통해 침사세척수단의 세척수노즐(24)로 공급되어 토출파이프(12)의 토출구(121) 선단에서 메인스크류콘베이어(14) 측으로 분사됨으로써 이송되는 침사를 세척하게 된다.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아울러 상기 세척수는 세척수밸브(498) 및 세척수조정밸브(499a)가 열린 상태에서 유입관을 거쳐 측면세척수밸브(493) 및 측면세척관(492)을 통해 하향 스크류콘베이어(33)를 세척한다.The washing water is also flushed through the inlet pipe to the
상기 축봉수는 유입관을 통해 축봉수밸브유닛(497)의 축봉수밸브(497a)가 열린 상태에서 양 스크류콘베이어(33)(34)의 회전축(331)(341) 하단 외주면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31)(341)의 마찰열을 냉각하고 아울러 상기 회전축(331)(341)의 기밀유지를 이룰 수 있다.The shaft seal is suppli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331 (341) of the
상기 청소수는 평상시 청소수밸브유닛(496)이 닫힌 상태로 미공급되는 상태 이고, 필요시 상기 청소수밸브유닛(496)가 열리게 되면 유입관을 통해 공급되어 진다.The cleaning water is normally su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만일, 유입드럼(31)으로 유입된 침사가 토출드럼(32)으로 이송되지 않고 오버플로우될 우려가 있는 경우, 상기 비상이송수단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방지되는데, 비상이송수단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case where there is a risk that the needle thread flowing into the
먼저, 기본적으로 연통커버(301)는 그 중간에 삽입장착된 배플(302)로 인해 내부공간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유입드럼(31)에 침사가 계속 적층되어 수위가 급격히 높아짐으로써 호퍼부(311)의 레벨스위치(303)에 까지 도달하게 되면, 레벨스위치(303)가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First, the
발생된 경고신호에 따라 작업자가 양 드럼(31)(32) 사이의 연통커버(301)에 삽입장착된 차단배플(302)을 연통커버(301)로부터 꺼내게 되면, 양 드럼(31)(32)사이의 연통홀(31b)(32b)을 연결하는 연통커버(301)의 내부공간이 개방됨으로써 유입드럼(31)내의 침사가 유입드럼(31)의 하단까지 내려가지 않고 곧바로 연통커버(301) 내부공간을 통해 토출드럼(32)으로 이송됨으로써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or removes the blocking
끝으로, 침사탈수기(30)에서 토출된 침사는 에어콘베이어(50)의 에어챔버(52)로 유입된 다음, 에어챔버(52) 및 토출포트(54)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이송배관(55) 및 침사이송말단장치(60)를 통해 저장호퍼(H)로 이송된다.The nip discharged from the
상기 에어콘베이어(50)에 의한 침사의 이송시 토출포트(54)에는 제1레귤레이 터 밸브(561)의 작용에 의해 큰 에어압력이 작용하고, 에어챔버(52)에는 제2레귤레이터 밸브(571)의 작용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에어압력이 작용하여 이른바 이중가압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침사가 더욱 원활하게 이송된다.A large air pressure acts on the
또한, 에어챔버(52) 내부에는 내부콘(C)의 내주면에 초경판(P)이 장착되고 내부콘(C)과 본체(521) 사이에 무수축 시멘트가 충진되어 침사로 인한 내마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cemented carbide plate P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ne C and the non-contracted cement is filled between the inner cone C and the
한편, 이송배관(55)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직선관(551)과, 각 직선관(551)을 서로 연결하는 곡선관(552)으로 이루어지는데, 침사와의 마찰로 인한 마모가 비교적 작은 직선관(551)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것으로 사용되는 반면, 마찰이 심한 곡선관(532)은 내마모성이 뛰어난 특수주물재질의 것으로 사용됨으로써 이송배관(53)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곡선관(532)의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또한 용이하게 된다.The
특히, 상기 곡선관(532)은 이송되는 침사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단면 두께(L)가 작은 부분의 단면 두께(L')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내마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직선관(551)은 상기 곡선관(552)으로부터 유입되는 침사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외주면에 초경판(P)이 장착되어 이 역시 침사와의 마찰로 인한 내마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the curved tube 532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er than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L 'of the portion where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delivered needle thread is large and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L is small,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wear resistance, The
그리고 이송배관(55)을 통해 이송된 침사는 침사이송말단장치(60)를 통해 최종적으로 저장호퍼(H) 측으로 배출된다.The needle thread transferred through the
이 과정에서 상기 침사이송말단장치(60)의 내겹고무롤링판(62)은 마찰력을 저감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직선관(551)을 통한 침사의 유입압력을 흡수 및 감소시킴으로써 최종 침사의 배출압력이 최소화되는바, 낙하 배출되는 침사로 인한 소음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inn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악취발생 및 부패의 원인이 되는 침사내의 유기협잡물이 제거되며, 침사 내의 수분함량이 대폭 감소되어 침사로 인한 악취발생 내지는 오염수 배출 등의 환경오염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contaminants in the needle bed are removed, which causes odor generation and decay, and the moisture content in the needle bed is greatly reduced, thereby greatly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such as the generation of odor or polluted water .
또한, 본 발명은 주요부가 마모 및 부식에 강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종 안전장치 및 부가장치를 겸비함으로써 작동안정성 및 효율성이 향상된 침사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ludge separation apparatus improved in durability by having a structure resistant to major parts and corrosion, and having various safety devices and additional devices, thereby improving operational stability and efficiency.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5246A KR100778254B1 (en) | 2007-04-10 | 2007-04-10 | Mixed tank type needle sepa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5246A KR100778254B1 (en) | 2007-04-10 | 2007-04-10 | Mixed tank type needle sepa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8254B1 true KR100778254B1 (en) | 2007-11-28 |
Family
ID=3908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5246A Active KR100778254B1 (en) | 2007-04-10 | 2007-04-10 | Mixed tank type needle sepa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825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87710A (en) * | 2022-03-30 | 2022-07-01 | 西南石油大学 | An underwater thermal decomposition high-efficiency separation sand removal backfill devic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5741A (en) * | 1996-11-13 | 1998-08-05 | 안장홍 | Recycling method of waste foundry and its apparatus |
KR200142646Y1 (en) * | 1995-10-17 | 1999-06-01 | 이상규 | Supporting structure of rubber screen for sorting stones |
KR20000000356A (en) * | 1999-10-14 | 2000-01-15 | 김민태 | Manufacture method of regenerate sand using industrial wastes and rocks |
KR200303298Y1 (en) * | 2002-11-13 | 2003-02-07 | (주)대명크라샤 | Recycling sand production device use construction waste |
KR20050051428A (en) * | 2003-11-27 | 2005-06-01 | 최상현 | Method of regenerating sand utilizing waste concrete and an apparatus thereof |
KR100664404B1 (en) * | 2006-01-16 | 2007-01-09 | 최정호 | Mix Tank Type Sedimentation Separator |
-
2007
- 2007-04-10 KR KR1020070035246A patent/KR1007782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2646Y1 (en) * | 1995-10-17 | 1999-06-01 | 이상규 | Supporting structure of rubber screen for sorting stones |
KR19980035741A (en) * | 1996-11-13 | 1998-08-05 | 안장홍 | Recycling method of waste foundry and its apparatus |
KR20000000356A (en) * | 1999-10-14 | 2000-01-15 | 김민태 | Manufacture method of regenerate sand using industrial wastes and rocks |
KR200303298Y1 (en) * | 2002-11-13 | 2003-02-07 | (주)대명크라샤 | Recycling sand production device use construction waste |
KR20050051428A (en) * | 2003-11-27 | 2005-06-01 | 최상현 | Method of regenerating sand utilizing waste concrete and an apparatus thereof |
KR100664404B1 (en) * | 2006-01-16 | 2007-01-09 | 최정호 | Mix Tank Type Sedimentation Separato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87710A (en) * | 2022-03-30 | 2022-07-01 | 西南石油大学 | An underwater thermal decomposition high-efficiency separation sand removal backfill device |
CN114687710B (en) * | 2022-03-30 | 2023-09-15 | 西南石油大学 | An underwater thermal decomposition efficient separation and sand removal backfil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2258B1 (en) | Mix Tank Type Sedimentation Separator | |
KR100801964B1 (en) | Mix Tank Type Sedimentation Separator | |
US9114340B2 (en) | Liquid removal apparatus with moving transport deck for filter belt | |
US201903300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 |
KR101246050B1 (en) | Drum scre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 |
KR102491949B1 (en) | Dredged soil processing device | |
CA2479443C (en) | Vacuum truck solids handling apparatus | |
US20140374331A1 (en) | Filter system | |
US6572763B2 (en) | Wastewater screening, washing and dewatering system | |
KR101498072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 |
KR101276538B1 (en) | purification processing apparatus of pollution ground | |
KR101711623B1 (en) | Purifier system for pollution soil and purification method using that | |
GB2438076A (en) | Rotary screen drum | |
KR100922231B1 (en) | Oil removal device of the waste treater | |
KR100837418B1 (en) | Polluted Soil Washer | |
US7318527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organic material from inorganic material | |
KR100778254B1 (en) | Mixed tank type needle separator | |
KR100519680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back-wash type filter bath | |
KR100664404B1 (en) | Mix Tank Type Sedimentation Separator | |
KR100778552B1 (en) | Sewer cleaner truck | |
KR100988641B1 (en) | Apparatus for synthetically pretreating sewage | |
JP2006026454A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minated soil | |
KR102772961B1 (en) | Washing water treatment system for pipe cleaning | |
KR200383114Y1 (en) | sediment seperating unit | |
JP2020081917A (en) | Scum conveyanc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8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