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252B1 - Prefabricated slab bridge with H-girder installed on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inserted on the lattice pile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slab bridge with H-girder installed on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inserted on the lattice pile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8252B1 KR100778252B1 KR1020060043768A KR20060043768A KR100778252B1 KR 100778252 B1 KR100778252 B1 KR 100778252B1 KR 1020060043768 A KR1020060043768 A KR 1020060043768A KR 20060043768 A KR20060043768 A KR 20060043768A KR 100778252 B1 KR100778252 B1 KR 1007782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support member
- pile
- concrete
- pill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에 일정한 크기의 부두를 설치하기 위하여 잔교를 설치하거나 또는 하천을 복개하기 위하여 복개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bridge to install a pier of a certain size on the shore or to cover the river to install a bridge,
일정한 면적에 파일기둥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로 교각을 다수개 설치한 다음, 상기 파일기둥의 상부에 연결지지부재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네방향에 형성된 거더지지홈내에 H형거더를 상호 연결거치하여 격자형으로 H형거더를 설치하고, 상기 격자형으로 설치된 H형거더의 하부플랜지 위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을 인접한 H형거더의 하부플랜지위에 거치하면서, 인접하여 설치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을 상호 밀착설치한 다음, 그 위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타설슬래브를 설치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한 조립식슬래브교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piers with a lattice at regular intervals at regular intervals in a predetermined area, inserting and supporting a connection membe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pillar, H-shaped girder in the girder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four directions of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H-girder is installed in a lattice shape by interconnecting them, and precast concrete panels are mount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H-girder installed in the lattice shape and mount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adjacent H-girder, and adjacent pre-cast concrete panels are installed. It is related to the prefabricated slab construction method to form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by placing the reinforcing bars, and then placing the reinforcing bar, and placing the concrete to install the cast-in-place slab.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완성된 조립식슬래브교를 위에서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completed prefabricated slab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도 2는 도 1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FIG. 2 shows a cross section A-A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 3 shows a section B-B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지지부재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Figure 4 is a view showing in three dimensions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지지부재의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 5 is a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지지부재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b)(c)는 본 발명의 H 형거더의 여러 가지 예를 보여주는 도면. Figure 7 (a) (b) (c) is a view showing several examples of the H-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을 보여주는 도면. 8 is a view showing a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b)(c)(d)(e)(f)(g)(h)(i)(j)(k)(l)(m)은 본 발명의 조립식슬래브 Figure 9 (a) (b) (c) (d) (e) (f) (g) (h) (i) (j) (k) (l) (m) is a prefabricated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교를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Drawing showing step by step the process of installing bridge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조립식슬래브교 11 : 지반 10: prefabricated slab bridge 11: ground
13 : 측면마감부 13: side finish
20 : 연결지지부재 21 : 관통구 20: connecting support member 21: through hole
22 : 전단부재 23 : 거더거치홈 22: shear member 23: girder groove
24 : 상부면 25 : 하부면 24: upper surface 25: lower surface
26 : 단턱홈부 26: stepped groove
30 :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 31 : 판넬몸체 30: Precast concrete panel 31: Panel body
40 : H형거더 41 : 상부플랜지 40: H type girder 41: upper flange
42 : 하부플랜지 43 : 복부 42: lower flange 43: abdomen
44 : 하부케이싱콘크리트 45 : 프리플렉스빔 44: lower casing concrete 45: preflex beam
46 : H형강재 47 :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 46: H-shaped steel 47: prestressed concrete girder
50 : 현장타설슬래브 50: cast-in-place slab
60 : 파일기둥 61 : 몸체 60: pile pillar 61: body
62 : 선단부 63 : 돌출턱 62: tip 63: protruding jaw
64 : 상부돌출부 64: upper protrusion
70 : 전단뿌리 71 : 철근 70: shear root 71: rebar
72 : 띠철근 73 : 관통구멍 72: band reinforcement 73: through hole
본 발명은 해안에 일정한 크기의 부두를 설치하기 위하여 잔교를 설치하거나 또는 하천을 복개하기 위한 복개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emnant bridge to install a pier or to cover the river to install a pier of a constant size on the coast,
일정한 면적에 파일기둥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로 교각을 다수개 설치한 다음, 상기 파일기둥의 상부돌출부가 연결지지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내로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기둥의 일부인 상부돌출부가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관통구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충전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네방향에 형성된 거더지지홈내에 H형거더를 거치하여 반대편에 설치된 또 다른 연결지지부재의 거더지지홈내에 거치되도록 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틈새를 마감하여 H형거더를 격자로 설치하고, While installing a plurality of piers with a grid at regular intervals in a certain area, the upper projections of the pile pillars penetrate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while the upper projections are part of the pillars.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concrete is poured while being mounted in the girder support groove of another connection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by mounting an H-girder in the girder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four directions of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Close the gap and install the H-girder as a grid,
상기 격자로 설치되되 마주보고 설치된 H형거더의 하부플랜지 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을 거치하도록 하면서 상호 밀착시켜 설치하고, The grids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precast concrete panels are mounted on the lower flanges of the H-type girder facing each other.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과 상기 연결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부돌출부와 H형거더의 상부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현장타설슬래브를 설치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한 조립식슬래브교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Prefabricated slab bridge construction for placing the reinforcing bar on top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e upper support part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and the H-type girder, and casting the concrete to install the site casting slab to form the bridge upper structure It is about a method.
상기와 같이 조립식으로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목적은 수상에 교량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가물막이 작업, 기초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상의 지반을 굴착하는 작업과 그 위에 기둥을 설치하는 작업이 모두 수상에서 설치되거나 또는 연약지반 상에서 이루어지게되어 교량을 설치하는데 많은 공기와 공사비가 소요되는 문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상의 연약지반상에 바로 교량의 교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파일기둥을 지반내에 격자로 다수개 타입 또는 관입시킨 다음, 그 위에 미리 제작된 연결지지부재로 파일기둥을 상부에서 고정시키면서 격자로 설치된 연결지지부재끼리 H형거더를 상호 연결하여 격자로 설치한 다음, 상기 격자로 설치된 H형거더의 하부플랜지 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로 상호설치하면서 밀착설치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한 조립식슬래브교를 제공하는데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installing the bridges in the prefabricated manner is to install the bridges in the water, and to install the foundations, the work of excavating the ground of the riverbed to install the foundation and the work of installing the columns thereon are all installed in the water or Or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air and construction cost to install bridges on the soft ground, pile type pillars that can be used as bridge piers directly on the soft ground of the river as a grid in the ground Then, while fixing the pile column from the top with a pre-fabricated support member thereon, the support members installed in the gri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girder and installed as a grid, and then on the lower flange of the H-girder installed by the grid. Precast concrete panels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n, it is to cure the casting of concrete and providing a prefabricated slab bridge to install the bridge superstructure.
종래에는 하천 또는 바닷가에 교량을 설치하기 위하여, 가물막이를 설치하고, 가물막이가 설치된 내부의 지반을 굴착하여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교량의 교각을 설치하고, 그 위에 교좌장치를 설치하고 그 위에 거더를 설치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과정을 거치므로서, 공사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면서, 이로인하여 공사비 또한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install a bridge in a river or a beach, a clamshell is installed, reinforcement and concrete are laid to form a foundation by excavating the internal ground where the clamshell is installed, and then a foundation is installed thereon. As the bridge is installed, the bridge device is installed thereon, and the girder is installed thereon, and the bridge is installed.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period is excessively consu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공사기간을 감축시키면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과 효율성이 있는 교량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발명으로서, 하상의 연약지반상에 바로 교량의 교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수개의 파일기둥을 지반내에 격자로 타입 또는 관입설치한 다음, 연결지지부재로 파일기둥의 상부에서 관입고정시키고, 상기 격자로 설치된 연결지 지부재의 네방향에 설치된 거더거치홈내에 H형거더를 설치한 다음, 격자형으로 설치되어 양쪽에 한쌍으로 설치된 H형거더의 하부플랜지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을 설치하면서 상호 밀착시켜 설치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하는 조립식슬래브교로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provide an economical and efficient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while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more efficiently while improving the above problems, the bridge of the bridge directly on the soft ground of the bed A plurality of pile pillars that can be utilized as piers are installed in a grid type or penetrated into the ground, and then fixedly penetr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pillar by a connecting support member, and in the girder grooves installed in four directions of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s installed by the grid. After installing the H-girder, install the precast concrete panel on the lower flange of the H-girder install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H-girder and install i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range the reinforcing bars, and pour concrete Prefabricated slab bridge to install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기초부를 생략하고, 파일기둥을 바로 교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파일기둥위에 설치되는 연결지지부재와 연결지지부재를 상호 연결거치하도록 한 H형거더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모두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한 자재를 이용하여 간단히 조립하고, 콘크리트 작업량을 거의 없애므로서, 교량을 가설하는데 소요되는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하도록 하는 교량시공방법인 것이다. The H-girder and precast concrete panels, which omit the foundation part, utilize the pile pillar as a piers, and interconnect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pile pillar, pre-fabricated by the factory. It is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to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by simply assembling and eliminating the amount of concrete work.
본 발명은 해안에 일정한 크기의 부두를 설치하기 위하여 잔교를 설치하거나 또는 하천을 복개하기 위한 복개교량의 설치를 위한 조립식 슬래브교(10)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stallation of a prefabricated slab bridge (10)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emnant bridge or to install the bridge to cover the river to install a pier of a constant size on the coast,
일정한 면적의 하상 또는 해저의 지반(11)내에 강관기둥, 강재기둥,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콘크리트파일기둥 및 프리플렉스가 도입된 프리플렉스 기둥의 어느 한가지인 파일기둥(6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로 교각을 다수개 설치한 다음, 상기 파일기둥(60)의 상부돌출부(64)가 연결지지부재(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21)내로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기둥의 일부인 상부돌출부(64)가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관통구(21)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충전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20) 의 네방향에 형성된 거더거치홈(23)내에 H형거더(40)를 거치하여 반대편에 설치된 또 다른 연결지지부재(20)의 거더거치홈(23)내에 거치되도록 하면서 거더거치홈(23)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틈새를 마감하여 H형거더(40)를 격자로 설치하고, Steel pipe columns, steel columns, concrete pile columns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and
상기 격자로 설치되되 마주보고 설치된 H형거더(40)의 하부플랜지(42) 위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을 거치하도록 하면서 상호 밀착시켜 설치하고,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grid and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mounting the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30)과 상기 연결지지부재(20)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부돌출부(64)와 H형거더(40)의 상부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현장타설슬래브(50)를 설치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한 조립식슬래브교(10)시공방법인 것에 특징이 있다. Reinforcing bar is placed on top of the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완성된 조립식슬래브교를 위와 단면 A-A와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일정한 면적의 하상 또는 해저의 지반(11)내에 강관기둥, 강재기둥,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콘크리트파일기둥 및 프리플렉스가 도입된 프리플렉스 기둥의 어느 한가지인 파일기둥(6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로 교각을 다수개 설치한 다음, 상기 파일기둥(60)의 상부돌출부(64)가 연결지지부재(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21)내로 관통하여 상부돌출부(64)가 돌출설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관통구(21)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충전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20)의 네방향에 형성된 거더거치홈(23)내에 H형거더(40)를 거치하여 반대편에 설치된 또 다른 연결지지부재(20)의 거더거치홈(23)내에 거치되도록 하면서 거더거 치홈(23)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틈새를 메워마감하여 H형거더(40)를 격자로 설치하고, 1, 2 and 3 is a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AA and cross-section BB of the completed prefabricated slab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pipe column, steel column,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상기 격자로 설치되되 마주보고 설치된 H형거더(40)의 하부플랜지(42) 위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을 거치하도록 하면서 상호 밀착시켜 설치하고,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grid and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mounting the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30)과 상기 연결지지부재(20)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부돌출부(64)와 H형거더(40)의 상부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현장타설슬래브(50)를 설치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한 조립식슬래브교(10)인 것이다. Reinforcing bar is placed on top of the
모서리에 설치되는 파일기둥(60) 위에 삽입된 연결지지부재(20)에는 각이 형성되도록 H형거더(40)를 기역자형식으로 설치하고, 네방향의 주변부에 설치된 파일기둥(60)에 설치된 연결지지부재(20)에는 3방향에서 H형거더(40)가 거치되도록 하고, 중앙부에 설치된 파일기둥(60) 위에는 연결지지부재(20)의 네방향에 각각 형성된 거더거치홈(23)내에 H형거더(40)가 거치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다수개의 격자가 형성되도록 H형거더(40)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The
도 2는 도 1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격자로 설치된 파일기둥(60)위에 각각 설치된 연결지지부재(20)의 네방향에 형성된 거더거치홈(23)내에 H형거더(40)를 설치하여 반대측에 설치된 H형거더(40)의 하부플랜지(42)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30)을 밀착설치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되, 네방향의 모서리에는 측면마감부(13)를 형성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설치한 조립식슬래브교(10)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ure 1, by installing the H-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지지부재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한 프리캐스트 제품으로서,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육각형으로 제작하되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의 관통구(21)를 형성하면서 하부면의 관통구(21)의 주위에는 단턱홈부(26)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면(24)의 네방향에는 일정한 깊이로 직사각형의 거더거치홈(23)을 형성하도록 하면서, 상기 관통구(21)와 거더거치홈(23)을 형성하는 내부면에는 전단부재(2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연결지지부재(20)이다. 4 and 5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ree dimensions, as a precast product made in advance in the factory, made of a hexagon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area, but the through
상기 관통구(21)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다각형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며, 관통구(21)내에 파일기둥(60)의 상부돌출부(64)가 관통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관통구(21)의 하부면 주위에 형성된 단턱홈부(26)는 상기 파일기둥(60)의 상부돌출부(64)가 삽입될때 파일기둥(60)의 돌출턱(63)이 관통구(21)의 하부면의 주위에 형성된 단턱홈부(26)내에 걸려끼워지도록 하여 파일기둥(60)이 관통구(21)를 통하여 위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면서,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이 연결지지부재(20)에 전달되면서 파일기둥(60)으로 원활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through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지지부재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부면(24)과 하부면(25)은 평평한 면이 되도록 하면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육면체로 제작하되, 중앙에는 관통구(21)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관통구내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전단부재(22)를 설치하고, 상부면(24)에서 하부면(25)까지 관통되어 설치된 관통구(21)의 하부면(25) 주위에는 관통구의 직경보다 크되, 파일기둥(60)의 직경보다 다소 큰 단턱홈부(26)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관통구(21)를 통하여 파일기둥(60)의 상부돌출부(64)를 관통삽입시킬때 단턱홈부(26)내에 파일기둥(60)의 돌출턱(63)이 삽입되어 돌출턱(63)이 단턱홈부(26)에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며, 단턱홈부(26)의 크기는 파일기둥(60)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하여 관통구(21)를 통하여 파일기둥(60)의 상부돌출부(64)를 관통시킬때 파일기둥의 단턱홈부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When the
도 7(a)(b)(c)는 본 발명의 H 형거더의 여러 가지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a)는 위로 휘게 제작된 H형강재(46)에 하향의 하중을 작용하면서 하부플랜지(42)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하부케이싱콘크리트(44)를 타설양생하여 형성한 프리플렉스거더(45)인 H형거더(40)이며, Figure 7 (a) (b) (c) is a view showing a number of examples of the H-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a) is a lower portion while applying a downward load on the H-shaped
도 (b)는 H형강재(46)인 H형거더(40)이며, (B) is the H-
도 (c)는 철근콘크리트로 H형으로 거더를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47)이다. Figure (c) is a prestressed
상기에서 언급한 거더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거더를 이용하여 H형거더로 사용할 수 있음도 아울러 밝혀두는 바이다. In addition to the girder mentioned above, it can also be used as an H-type girder by using various types of girders.
도 8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공장에서 제작한 철근콘크리트의 프리캐스트 제품으로서, 철근을 판형상이 되도록 배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판넬형상으로 제작하면서 판넬몸체(3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전단부재(22)가 설치된 것이다.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ecast product of reinforced concrete manufactured at the factory, the reinforcement is placed in the shape of a panel and then cast the concrete to produce a panel shape panel body 31 A plurality of
상기 전단부재(22)는 H형거더(40)의 하부플랜지(42)상에 일렬로 다수개를 밀착설치하고 난 후에 그 위에 교량상부구조물인 현장타설슬래브(50)를 설치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과 일체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도 9(a)(b)(c)(d)(e)(f)(g)(h)(i)(j)(k)(l)(m)은 본 발명의 조립식슬래브교를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a)는 하상 또는 해저의 지반(11)내에 설치되는 강관기둥, 강재기둥,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콘크리트파일기둥 및 프리플렉스가 도입된 플리플렉스 기둥의 어느 한가지의 파일기둥(60)으로서, 상기 파일기둥(60)의 상부에서 파일기둥의 직경보다 작은 상부돌출부(64)가 설치되고, 상부돌출부(64)가 파일기둥(60)에서 시작되는 부분에는 파일기둥의 직경에 의하여 돌출턱(63)이 형성된 파일기둥(60)을 설계된 교량의 폭과 길이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로 다수개의 파일기둥(60)을 타입 또는 관입시킨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9 (a) (b) (c) (d) (e) (f) (g) (h) (i) (j) (k) (l) (m) show the prefabricated slab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step by step, Figure (a) is any one of the steel pipe pillars, steel columns, prestressed concrete pile pillars and preflex introduced pillars installed in the
이때, 파일기둥(60)은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여 교량의 안전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지반내에 단단하게 타입 또는 관입시키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도 (b)와 (c)는 지반(11)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로 다수개 설치된 파일기둥(60)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상부돌출부(64)를 연결지지부재(20)의 관통구(21)내면에 다수개의 전단부재가 설치된 관통구(21)내에 삽입관통시키면서 일정길이 상부돌출부(64)가 위로 돌출되도록 하고, 관통구(21)의 하부면(25)에 형성된 단턱홈부(26)내에 파일기둥(60)의 돌출턱(63)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면서 관통구(21)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돌출부(64)와 연결지지부재(20)가 일체화되도록 하여 파일기둥(60) 상부에 연결지지부재(20)를 고정설치한 것이다. Figures (b) and (c) are through
도 (d), (e), (f)는 지반내에 격자로 다수개 설치된 파일기둥(60)의 상부에 연결지지부재(20)를 고정설치한 다음, 도 (f)는 중앙에 설치된 연결지지부재(20)의 네방향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거더거치홈(23)내에 다수개의 전단부재(22)가 설치된 H형거더(40)의 단부가 각각 설치되도록 하고, 거더거치홈(23)과 H형거더(40)의 단부와의 사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일체화되도록 거치한 것이다. Figures (d), (e), (f) is fixed to the connecting
도 (d)와 (e)는 일정한 면적의 슬래브교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파일기둥을 격자로 다수개 설치한 다음 파일기둥(60)의 상부에 연결지지부재(20)를 관통설치한 것을 측면과 위에서 본 것으로서, 지반내에 격자로 다수개 설치된 파일기둥(60) 상부에 연결지지부재(20)를 설치하고, 격자로 설치된 파일기둥(60)의 중앙에 설치된 연결지지부재(20)의 경우에는 도 (f)와 같이 연결지지부재(20)의 네방향에 형성된 거더거치홈(23)에 H형거더(40)의 단부를 거치하고, 도 (e)의 네방향의 모서리에 설치된 연결지지부재(20)에는 각이 형성되도록 직각으로 두방향의 거더거치홈(23)내에 H형거더(40) 단부를 거치하고, 네방향의 측면에 설치된 연결지지부재(20)에는 세방향의 거더거치홈(23)내에 H형거더(40)의 단부를 거치하여 전체적으로 H형거더가 격자로 설치되어 직사각형의 범위가 형성되도록 한다. Figures (d) and (e) shows that the pile pillars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grid columns so that the slab bridge of a predetermined area is installed, and then the
도 (g)와 (h)는 상기 도 (e)와 같이 격자로 다수개 설치된 H형거더(40)와 거더의 하부플랜지(42) 위에 일면에 다수개의 전단부재(2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을 설치하되, 상호밀착되게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격자로 설치된 모든 H형거더(40)의 하부플랜지(42)상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을 마루와 같이 깔도록 한 것이다. Figures (g) and (h) are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H형거더(40)의 하부플랜지(42) 상에 마루와 같이 프리캐스트콘 크리트판넬(30)을 까는 것은 추후에 교량상부구조물인 현장타설슬래브(50)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H형거더(40)와 거더사이에 설치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이 하부 거푸집의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며, 타설이 완료되면,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의 일면에 설치된 전단부재(22)에 의하여 콘크리트를 매개로 하여 현장타설슬래브(50)와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이 일체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cast
도 (i), (j), (k)는 상기 도 (g)에 의하여 H형거더와 거더 사이의 하부플랜지(42) 상부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을 마루와 같이 밀착설치한 다음, 교량상부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H형거더(40)와 거더(40) 사이에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넬(30) 위에 타설하면서 H형거더(40)와 파일기둥(60)의 상부돌출부(64)를 포함하도록 일정한 두께의 현장타설슬래브(50)가 되도록 타설양생하여 설치한다. Figures (i), (j), (k) is a precast
도 (j)는 직사각형 슬래브교의 네방향 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타설슬래브(50)의 측면마감부(13)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k)는 중앙부에 설치되는 현장타설슬래브(50)를 보여주는 것이다. Figure (j) shows the
도 (l)은 상기 도 (j)와 (k)의 연결지지부재(20)의 관통구(21)에 의하여 파일기둥(60)의 상부돌출부(64)가 관통삽입되어 일부가 돌출된 상부돌출부(64)의 몸체에 일정한 관통구멍(73)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73)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철근(71)을 원형으로 설치하되 양측단의 철근이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원형으로 배치된 철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띠철근(72)으로 묶어 설치한 전단뿌리(70)를 보 여주는 것이다. (L) is an upper protrusion part through which the
상기와 같이 일정길이 연결지지부재(20)의 관통구(21) 외부로 돌출설치된 상부돌출부(64)에 전단뿌리(70)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현장타설슬래브(50)를 설치할 때 현장타설슬래브(50)와 상기 상부돌출부(64)가 일체로 강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When the
도 (m)은 상기의 과정을 거쳐 조립식으로 슬래브교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Figure (m) shows that the slab bridge is installed prefabric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일정한 면적의 하상 또는 해저의 지반(11)내에 강관기둥, 강재기둥,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콘크리트파일기둥 및 프리플렉스가 도입된 프리플렉스 기둥의 어느 한가지인 파일기둥(6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로 교각을 다수개 설치한 다음, 상기 파일기둥의 상부돌출부(64)가 연결지지부재(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21)내로 관통하여 상부돌출부(64)가 돌출설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관통구(21)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충전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20)의 네방향에 형성된 거더거치홈(23)내에 H형거더(40)를 거치하여 반대편에 설치된 또 다른 연결지지부재(20)의 거더거치홈(23)내에 거치되도록 하면서 거더거치홈(23)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틈새를 마감하여 H형거더(40)를 격자로 설치하고, Steel pipe columns, steel columns, concrete pile columns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and pile
상기 격자로 설치되되 마주보고 설치된 H형거더(40)의 하부플랜지(42) 위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30)을 거치하도록 하면서 상호 밀착시켜 설치하고,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grid and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mounting the precast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30)과 상기 연결지지부재(20)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부돌출부(64)와 H형거더(40)의 상부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현장타설슬래브(50)를 설치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한 조립식슬래브교(10)인 것이다. Reinforcing bar is placed on top of the
본 발명은 하천 및 바다의 하상에 교량을 설치할 때 교량을 지지하는 교각기초부의 설치를 생략하고, 지반내에 바로 파일기둥을 격자로 다수개를 설치하면서 그 위에 연결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에 형성된 거더거치홈내에 H형거더를 연결설치하여 격자로 상기 H형거더를 설치한 다음, 상기 격자로 설치된 H형거더의 하부플랜지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넬을 마루를 깔듯이 밀착시켜 거치한 다음 교량상부구조물인 현장타설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일정한 두께의 현장타설슬래브가 설치되도록 한 조립식으로 슬래브교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된 부재인 H형거더, 파일기둥, 연결지지부재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을 단순히 조립설치하도록 하여 콘크리트타설작업을 최소한으로 줄여 교량을 설치하는 기간을 단축하면서 설치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효율적이면서 경제성이 뛰어난 교량설치방법인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omits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foundation to support the bridge when the bridge is installed on the river and the river bed, and installs a plurality of pile support pillars directly in the ground and installs a connection support member thereon. H type girders are installed in the girder grooves formed in the member to install the H type girders with a lattice, and then the precast concrete panels ar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lange of the H type girders installed with the lattice. Then, in order to install the site casting slab,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e concrete is placed on top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e slab bridge is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so that the site casting slab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installed. H-shaped girders, pile columns, connecting support members and precast concrete panels are simply assembled and installed. Efficiently and to shorten the period while registered to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reduced the concrete tasks to a minimum to reduce the economic cost of installation is an excellent bridge installa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3768A KR100778252B1 (en) | 2006-05-16 | 2006-05-16 | Prefabricated slab bridge with H-girder installed on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inserted on the lattice pile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3768A KR100778252B1 (en) | 2006-05-16 | 2006-05-16 | Prefabricated slab bridge with H-girder installed on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inserted on the lattice pile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3112U Division KR200422840Y1 (en) | 2006-05-17 | 2006-05-17 | Prefabricated slab bridge with H-girder mounted on connecting support member inserted on lattice pile pill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1000A KR20070111000A (en) | 2007-11-21 |
KR100778252B1 true KR100778252B1 (en) | 2007-11-22 |
Family
ID=3909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3768A Active KR100778252B1 (en) | 2006-05-16 | 2006-05-16 | Prefabricated slab bridge with H-girder installed on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inserted on the lattice pile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825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740B1 (en) | 2009-08-07 | 2010-01-20 | 정석으뜸기술(주) | A method of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house under water using caisson |
KR101306253B1 (en) * | 2011-07-18 | 2013-09-0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Foundation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marine bridge using the same |
KR102209709B1 (en) * | 2020-06-05 | 2021-01-29 | 포엠 주식회사 | Prefabricated bridge with pocket type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4834B1 (en) * | 2014-06-19 | 2016-10-13 | 한국도로공사 | Earth pressure seperation type integral abutment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683216B1 (en) * | 2015-08-03 | 2016-12-20 | (주)센벡스 | Construction method of pier |
KR102330759B1 (en) * | 2018-10-18 | 2021-11-24 | 주식회사 지랜드피씨 | Precast structure for expanding road |
CN109930474A (en) * | 2019-04-04 | 2019-06-25 |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 A kind of connected structure for pile foundation type trestle and barrel type basis |
KR102308731B1 (en) * | 2020-07-29 | 2021-10-05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Combined Structure of Column and Coping and Girders |
KR102635973B1 (en) | 2021-09-29 | 2024-02-14 | 주식회사 더브릿지 | Installation structure for overcoming the buckling field of steel pip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7641A (en) * | 1994-01-21 | 1995-08-08 | Pooto Consultant Kk | Pier |
KR100538410B1 (en) | 2005-03-16 | 2005-12-22 | 매크로드 주식회사 | The connecting device for pre-cast girder and installation method applied the connecting device |
-
2006
- 2006-05-16 KR KR1020060043768A patent/KR1007782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7641A (en) * | 1994-01-21 | 1995-08-08 | Pooto Consultant Kk | Pier |
KR100538410B1 (en) | 2005-03-16 | 2005-12-22 | 매크로드 주식회사 | The connecting device for pre-cast girder and installation method applied the connecting devi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740B1 (en) | 2009-08-07 | 2010-01-20 | 정석으뜸기술(주) | A method of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house under water using caisson |
KR101306253B1 (en) * | 2011-07-18 | 2013-09-0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Foundation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marine bridge using the same |
KR102209709B1 (en) * | 2020-06-05 | 2021-01-29 | 포엠 주식회사 | Prefabricated bridge with pocket type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1000A (en) | 2007-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8252B1 (en) | Prefabricated slab bridge with H-girder installed on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inserted on the lattice pile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95801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 |
CN110541354B (en) | A single-segment prefabricated seismic bridge pi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84995B1 (en) | Central connection device combined with steel pipe piles installed in grid type and prefabricated slab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CN113026993B (en) | Assembly type combined connecting beam window opening compone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339946B1 (en) | Precast bridge post | |
KR200422840Y1 (en) | Prefabricated slab bridge with H-girder mounted on connecting support member inserted on lattice pile pillar | |
KR100766888B1 (en) | Prefabrica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pier coping part by connecting pile column with pillar connecting member | |
JP4472726B2 (en) | Base-isolated building structure | |
KR101086646B1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prestressed non-introduced parts at both ends, its fabrication method and prefabricated slab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KR20100109654A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plural steel wires disposed at shear surface of tension por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ssembling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2010047962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c bridge | |
KR10104136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the long span ramen structure | |
CN218912371U (en) | Directional ramp of foundation pit | |
KR101194866B1 (en)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longitudinal and lateral steel member | |
KR20100113940A (en) | Rahm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20040034555A (en) | Abutment and pier using composite pile and sheet pile of a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20030206A (en) | A precast concrete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lab structure by using it | |
KR101131631B1 (en) | Assembling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plural steel wires disposed at shear surface of tension port | |
KR20100125504A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its pre-stressed non-introduced section installed only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compressive force, its manufacturing method, slab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616234B1 (en) | Connection method of concrete filled tube bridge column and reinforced concrete footing | |
KR200435076Y1 (en) | Composite pile in which steel pile is connected to concrete composite pile with prestress | |
CN113026994B (en) | Assembly type double-connecting-beam combined shear wall compone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7554445B1 (en) | Pier PC beam end joint structure and joint method | |
JP2002115324A (en) | Column base unit, column integrated column base fixing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column base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1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