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7433B1 -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 - Google Patents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433B1
KR100777433B1 KR1020060051154A KR20060051154A KR100777433B1 KR 100777433 B1 KR100777433 B1 KR 100777433B1 KR 1020060051154 A KR1020060051154 A KR 1020060051154A KR 20060051154 A KR20060051154 A KR 20060051154A KR 100777433 B1 KR100777433 B1 KR 100777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ic cell
ion
cooling tank
coo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노진환
김범
김현영
박상현
조우성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4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언제나 시원하게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탱크와, 상기 냉각탱크에 의해 냉각된 물을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이온화시키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의해 이온화된 물을 외부로 출수하는 코크 및 상기 전해조로 유입된 물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상 상기 전해조에서 체류하는 경우 상기 전해조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동작되는 유로전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을 사용하면, 장시간동안 사용자가 취수를 하지 아니하더라도 언제나 차갑게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추출용 가압장치를 생략함으로써 이온정수기의 제조원가 절감 및 소음 방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냉각수의 냉기 유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온, 정수, 냉각, 냉각탱크, 전해조, 배수

Description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Water ion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keeping up temperature of cool water and method for ionizing and purify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필터부 110 : 제1 필터
120 : 제2 필터 122 : 프리카본필터
124 : 멤브레인필터 126 : 포스터카본필터
200 : 상온수탱크 210 : 세퍼레이트
300 : 냉각탱크 310 : 냉수피드밸브
400 : 전해조 500 : 코크
600 : 단열재 700 : 정수피드밸브
800 : 유로전환밸브 810 : 알칼리수 공급라인
820 : 산성수 공급라인
본 발명은 공급되는 물을 정수 및 냉각한 후 이온화시켜 알칼리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언제나 시원하게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을 단순하게 냉수와 온수로 분리시켜서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85-6397호에 개시되어 있는 냉온수 급수 장치는, 본체 상부에 형성된 급수통에 식수통을 재치 및 장착하여 물이 식수통으로부터 급수통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급수통에 공급되어 냉온수 차단판에 의해 구분된 상부의 물은 온수공과 온수관을 경유하여 가열기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온수용 수도꼭지로 공급되도록 하며, 급수통의 내주면에 나설된 냉각관에 의해 형성된 급수통 하부 공간에 체류하면서 냉각된 냉수는 냉수공과 냉수관을 거쳐서 냉수용 수도꼭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온냉수 급수 장치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는 얻을 수 있지만 정수된 물은 얻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일반 정수기는 급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수도 배관에 연결시켜 공급되는 수돗물에 섞인 이물질만을 필터를 통해 제거하여 단순히 정화된 수도물만 을 공급시켜주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정수된 물을 바로 냉수나 온수로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점이 있다.
한편, 공급된 물을 단지 이온화만 시킨 후에 그 이온수를 여타의 후속 처리 없이 공급하는 단순형 이온수기도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데, 이 이온수기는 더운 여름에도 사용자는 이온수를 받아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마셔야 하기 때문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냉장 보관 시에는 보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보관되는 알카리수의 pH 농도가 저하되어 이온수 고유의 유용한 성질을 잃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냉온수기와 이온수기가 별도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이온화 냉온수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소망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점을 해소하고자 냉온수기와 이온수기가 일체로 형성된 기기가 제안되었다(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1-742호 참조).
상기 실용신안공개 제1991-742호에 개시된 냉온수기와 이온수기가 일체로 형성된 이온 냉온수 음료 장치는, 냉온수 및 이온수 처리 단계를 기준으로 해서 보았을 때에, 정수기 → 전해조 → 냉각탱크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온수기, 즉 전해조는 냉각수를 보관하는 냉각탱크보다 이전 단계의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공지의 이온 냉온수 음료 장치는, 상수도의 물을 정수기에서 정수하고, 정수된 물을 이온화용 전해조에서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시키고, 그 중에서 알칼리수는 냉각탱크와 온수통에 공급하여 저장했다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냉, 온수 코크를 통해 급수한다. 이 장치의 주요 구성은, 이온수기, 즉 전해조를 거쳐 알카리 이온수를 생성한 후에,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 보관통에 일차적으로 보관하면 서 냉각시킨 후에, 사용자가 냉수 꼭지를 열고 이온수를 받아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서, 이온수기를 거쳐 생성된 알카리 이온수는 사용자가 취수하기 전까지는 이온수 저장 탱크인 냉각탱크와 온수통에 장시간 저장되는데, 냉각탱크에서 보관되는 알카리 이온수의 이온 성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멸되면서 pH 농도는 점점 중성으로 떨어진다. 즉, 이온화된 이온 성분은 원래의 결합된 상태에 비해 불안정하여, 결합 인자가 있거나 에너지가 가해질 경우 안정화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그에 따라 상기 장치에서처럼 이온화된 물을 장기 보관하게 되면 이온화 성분들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멸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수기 → 냉각탱크 → 전해조 순으로 구성되는 이온 정수기가 제안된 바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의 pH가 변경되는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으나, 장시간 미사용 시 전해조 내에 냉수가 오랜 시간동안 머무르게 되는 경우 냉수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사용자가 물을 취수할 때 초기에 공급되는 물은 차갑지 아니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수 추출 후 전해조 내 격막 사이에 약간의 잔존수가 남게 되는데, 여름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높은 경우 이 잔존수가 25~30도 정도의 높은 온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냉각탱크로부터 전해조로 유입되는 냉수의 온도가 상승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온정수기에 적용되는 냉각탱크와 전해조는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므로 원활한 물의 흐름을 위해 추출용 가압장치가 요구되는데, 이와 같이 추출용 가압장치가 구비되면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추출용 가압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장시간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언제나 차갑게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추출용 가압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이온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탱크;
상기 냉각탱크에 의해 냉각된 물을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이온화시키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에 의해 이온화된 물을 외부로 출수하는 코크;
상기 전해조 내의 물을 상기 코크 또는 외부로 배수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전해조로 유입된 물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상 상기 전해조에서 체류하는 경우 상기 전해조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전해조와 상기 코크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전해조 내의 물이 외부로 배수될 때, 상기 냉각탱크의 물을 상기 전해조로 공급하는 냉수 피드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수 피드밸브는, 전해조 외부로 배출된 물의 양만큼 냉각탱크의 물을 상기 전해조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탱크와 전해조를 감싸는 단열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탱크와 전해조는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단계;
정수된 물을 냉각하는 단계;
사용자의 출수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의 출수 요청이 있으면 전해조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물을 이온화시킨 후 출수하고 출수 요청이 없으면 출수 요청이 있을 때 까지 대기하되, 상기 대기상태에서 최종 출수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이 경과되면 상기 전해조로 새로운 냉각수를 공급하고 전해조 내에 잔존하였던 물을 배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여과 및 정수하는 단계(S10)와, 정수된 물을 상온수로 저장하는 단계(S20)와, 정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단계(S30)와, 사용자의 출수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사용자의 출수 요청이 있으면 전해조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단계(S50)와, 전해조 내의 물을 알칼리성과 산성으로 이온화시켜(S60) 출수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이때, 여과 및 정수된 물을 냉각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온수를 냉각단계(S30)를 거치지 아니하고 전해조로 바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온의 이온수를 원하는 경우 여과 및 정수된 물은 냉각단계(S30)를 거치지 아니하고 이온화단계(S60)를 통해 이온화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되고, 사용자가 차갑게 냉각된 이온수를 원하는 경우 여과 및 정수된 물은 냉각단계(S30)를 거친 후 이온화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또한, 이온화된 물의 출수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0)에서 출수 요청이 없으면 출수 요청이 있을 때 까지 대기하되, 상기 대기상태에서 최종 출수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 대기 상태가 지속되었는지를 판단하여(S80),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 대기상태가 지속되었으면 전해조 내로 새로운 냉각수를 공급하고(S90), 전해조 내에 잔존하고 있던 물을 배수한다(S100).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라 함은, 냉각단계(S30)를 거친 차가운 물이 전해조 내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외부 온도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냉각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시간 즉, 미지근하게 데워지는 시간을 뜻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간 설정을 길게 하여 놓으면 대기상태의 물이 배수되는 주기가 길어지고, 사용자가 시간 설정을 짧게 하여 놓으면 대기상태의 물이 배수되는 주기가 짧아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장시간동안 이온정수기를 사용하지 아니하여 냉각단계(S30)를 거친 물이 출수 전까지 전해조 내에서 대기함으로 인하여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더라도, 온도가 상승된 물은 외부로 배수되고 차갑게 냉각된 물이 전해조 내로 유입되므로 사용자는 언제나 차갑게 냉각된 이온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여과 및 정수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0)를 통해 여과 및 정수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상온수탱크(200)와, 상온수탱크(200)에 저장된 물 중 일정량을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탱크(300)와, 상기 냉각탱크(300)에 의해 냉각된 물을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이온화시키는 전해조(400)와, 상기 전해조(400)에 의해 이온화된 물을 외부로 출수하는 코크(500) 및 상기 전해조(400)로 유입된 물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상 상기 전해조(400)에서 체류하는 경우 상기 전해조(40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유로전환밸브(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냉각탱크(300) 후단에 전해조(400)가 마련되면 추출용 가압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부품 수 감소를 통한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필터부(100)는, 지하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먼지나 각종 찌꺼기 등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제1 필터(110)와, 지하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비교적 부피가 작은 화학물질 및 미생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필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필터(110)는 약 5미크론 내외의 미세한 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함유된 먼지나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세디먼트필터로 적용된다.
또한 제2 필터(120)는, 활성판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 등을 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122)와, 0.0001미크론의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져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바이러스, 방사성 물질 등을 걸러주는 멤브레인필터(124)와,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을 제거하는 포스터카본필터(12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카본필터(122)와, 멤브레인필터(124)와, 포스터카본필터(126)는 종래의 정수기나 이온수기의 필터로 상용화되어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온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세퍼레이트(210)를 통해 냉각탱크(300)로 유입되고, 냉각탱크(300)에 의해 냉각된 물은 냉수피드밸브(310)를 통해 전해조(40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퍼레이트(210)와 냉수피드밸브(310)는 종래의 이온정수기에 적용되는 세퍼레이트 및 냉수피드밸브와 구성 및 동작에 있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가 차갑게 냉각되지 아니한 이온수를 원하는 경우를 위하여, 상온수탱크(200)와 전해조(400)는 정수피드밸브(700)로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온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냉각탱크(300)를 거치지 아니하고 전해조(400)로 직접 유입됨으로써 차갑게 냉각되지 아니한 이온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전해조(400)로 유입된 물은 음수용으로 적합한 알칼리수와 세정수로 적합한 산성수로 각각 이온화된다. 알칼리수는 알칼리수 공급라인(810)을 통해 코크(500)로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음수용으로 공급되고, 산성수는 산성수 공급라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때 사용자는 산성수 공급라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산성수만을 따로 모아 세정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냉각탱크(300)에 의해 냉각된 물이 전해조(400)에 의해 이온화된 후 코크(500)를 통해 바로 바로 공급되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은 차갑게 냉각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출수요청이 없어 냉각된 물이 전해조(400) 내에서 오랜 시간동안 머무르게 되면 외부 온도에 의해 미지근하게 데워지므로 사용자가 차갑게 냉각된 이온수를 원하는 경우에도 전해조(400)나 알칼리수 공급라인(810)에서 미지근하게 데워진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온수기는, 전해조(400) 내의 물을 상기 코크(500) 또는 외부로 배수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800)와, 전해조(400)로 유입된 물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상 상기 전해조(400)에서 체류하는 경우 즉, 냉각탱크(300)에서 냉각된 물이 전해조(400)나 알칼리수 공급라인(810)에서 미지근하게 데워지는 경우 상기 전해조(40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8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때, 알칼리수 공급라인(810) 내에 체류하는 물도 함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800)는 상기 전해조(400)와 상기 코크(500) 사이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냉수피드밸브(310)는 냉각탱크(300)에서 차갑게 냉각된 물을 전해조(400)로 공급하여, 전해조(400) 내에 잔존하는 미지근하게 데워진 물이 새롭게 유입된 냉수에 의해 밀려 유로전환밸브(800)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는 미지근하게 데워진 물을 주기적으로 배수시키고 차갑게 냉각된 물로 전해조(400)를 채우도록 구성되므로, 장시간 동안 사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언제나 차갑게 냉각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는, 냉각탱크(300)에서 냉각된 물이 전해조(400)로 유입되는 동안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탱크(300)와 전해조(400) 사이의 유로 길이가 최소화되도록 즉, 상기 냉각탱크(300)와 전해조(400)가 상호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탱크(300)와 전해조(400)가 상호 밀착되면, 냉각탱크(300) 내에 채워진 냉각수의 냉기가 전해조(400)로 전달되므로 전해조(400)는 차가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해조(400) 내의 냉각수 역시 오랫동안 차가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탱크(300)와 전해조(400)는 내부에 채워진 물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600)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냉각탱크(300)와 전해조(400)를 감싸는 단열재(600)의 재료는 열전도율을 낮출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탱크(300)와 전해조(400)가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단열재(600)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되면, 냉각탱크(300)와 전해조(400)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해조 내의 잔존수를 보다 오랫동안 낮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을 사용하면, 장시간동안 사용자가 취수를 하지 아니하더라도 언제나 차갑게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추출용 가압장치를 생략함으로써 이온정수기의 제조원가 절감 및 소음 방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냉각수의 냉기 유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탱크(300);
    상기 냉각탱크(300)에 의해 냉각된 물을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이온화시키는 전해조(400);
    상기 전해조(400)에 의해 이온화된 물을 외부로 출수하는 코크(500);
    상기 전해조(400) 내의 물을 상기 코크(500) 또는 외부로 배수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800); 및
    상기 전해조(400)로 유입된 물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상 상기 전해조(400)에서 체류하는 경우 상기 전해조(40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8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800)는 상기 전해조(400)와 상기 코크(500)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40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될 때, 상기 냉각탱크(300)의 물을 상기 전해조(400)로 공급하는 냉수피드밸브(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피드밸브(310)는, 상기 전해조(400) 외부로 배출된 물의 양만큼 냉 각탱크(300)의 물을 상기 전해조(400)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정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탱크(300)와 전해조(400)를 감싸는 단열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정수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탱크(300)와 전해조(400)는, 상기 냉각탱크(300)의 냉기가 전해조(4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호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정수기.
  6. 삭제
  7.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단계;
    정수된 물을 냉각하는 단계;
    사용자의 출수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의 출수 요청이 있으면 전해조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물을 이온화시킨 후 출수하고 출수 요청이 없으면 출수 요청이 있을 때 까지 대기하되, 상기 대기상태에서 최종 출수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상이 경과되면 상기 전해조로 새로운 냉각수를 공급하고 전해조 내에 잔존하였던 물을 배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정수 방법.
KR1020060051154A 2006-06-07 2006-06-07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 Active KR100777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54A KR100777433B1 (ko) 2006-06-07 2006-06-07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54A KR100777433B1 (ko) 2006-06-07 2006-06-07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433B1 true KR100777433B1 (ko) 2007-11-29

Family

ID=3908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154A Active KR100777433B1 (ko) 2006-06-07 2006-06-07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4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887B1 (ko) 2008-05-06 2008-09-05 (주)노바테크 신선한 이온수 공급을 위한 이온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KR100859374B1 (ko) * 2007-02-28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체 방향 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물 정화기
KR100987898B1 (ko) * 2008-05-13 2010-10-13 임하영 냉이온수기
KR20110044403A (ko) * 2009-10-23 2011-04-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101195816B1 (ko) 2011-03-02 2012-11-05 (주)교원엘앤씨 스마트 절전 기능을 갖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62188B1 (ko) 2012-08-09 2014-02-21 주식회사 바이온텍 이온수 생성시스템
KR101395863B1 (ko) 2012-08-09 2014-05-15 주식회사 바이온텍 이온수 생성시스템
CN111170490A (zh) * 2020-02-20 2020-05-19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水的净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32A (ko) * 2004-08-31 2006-03-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
KR20060024168A (ko) * 2004-09-13 2006-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정수기
KR20060025241A (ko) * 2004-09-14 2006-03-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32A (ko) * 2004-08-31 2006-03-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
KR20060024168A (ko) * 2004-09-13 2006-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정수기
KR20060025241A (ko) * 2004-09-14 2006-03-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정수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20232
10-2006-0025241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4B1 (ko) * 2007-02-28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체 방향 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물 정화기
KR100856887B1 (ko) 2008-05-06 2008-09-05 (주)노바테크 신선한 이온수 공급을 위한 이온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KR100987898B1 (ko) * 2008-05-13 2010-10-13 임하영 냉이온수기
KR20110044403A (ko) * 2009-10-23 2011-04-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101603214B1 (ko) 2009-10-23 2016-03-1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101195816B1 (ko) 2011-03-02 2012-11-05 (주)교원엘앤씨 스마트 절전 기능을 갖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62188B1 (ko) 2012-08-09 2014-02-21 주식회사 바이온텍 이온수 생성시스템
KR101395863B1 (ko) 2012-08-09 2014-05-15 주식회사 바이온텍 이온수 생성시스템
CN111170490A (zh) * 2020-02-20 2020-05-19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水的净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433B1 (ko)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
EP2793667B1 (en) Device for purifying and recycling shower water
JP2004520161A (ja) 流し台の下の水処理システム
KR20120078611A (ko)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N107512788B (zh) 水处理系统及净水机
CN202692434U (zh) 自来水供水反渗透净水机加热组件及包括该组件的净水机
CN201132787Y (zh) 电吸附除盐净水器
KR100536614B1 (ko) 이온수 겸용 냉온정수기
JP2004017016A (ja) 逆浸透膜浄水装置
KR200413957Y1 (ko) 산성수 유출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정수기
JP4833632B2 (ja) 逆浸透膜式浄水装置
KR101063982B1 (ko) 절전형 음수기
KR100484921B1 (ko) 자동 드레인 밸브를 겸비한 냉온 이온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02305B1 (ko) 냉온 이온 정수기의 누수 방지 방법
KR200327037Y1 (ko) 절전 기능을 구비한 냉온 이온 정수기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101182495B1 (ko) 냉온 전해 이온수기
KR20220153290A (ko) 정수기
JP2578937Y2 (ja) 浄水器
KR100484919B1 (ko) 냉온 이온 정수기용 전해조 밸브의 제어 방법
KR101063983B1 (ko) 급속냉각형 음수기
KR100484918B1 (ko) 레버밸브 및 전위차계를 구비한 냉온 이온 정수기
KR100583408B1 (ko) 세균억제장치를 구비한 이온 정수기
KR100580378B1 (ko) 정수기
KR20140085631A (ko)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