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643B1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out alternate side reaction force devic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out alternate side reaction forc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6643B1 KR100776643B1 KR1020050099875A KR20050099875A KR100776643B1 KR 100776643 B1 KR100776643 B1 KR 100776643B1 KR 1020050099875 A KR1020050099875 A KR 1020050099875A KR 20050099875 A KR20050099875 A KR 20050099875A KR 100776643 B1 KR100776643 B1 KR 1007766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mold
- bridge
- pylon
- altern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517 secondary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사장교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교대측의 부반력교좌장치를 배제하기 위해 교대의 기둥과 상부 주형인 주형빔을 강결하는 방법과 강관이 설치된 파일론에 연결설치되는 사재의 정착을 위한 정착구설치방법과 강재사장교를 임시 가교에 적용할 경우 주형빔의 연결을 위하여 고장력볼트에 의한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anchorage method for fixing the alternating pillars and the upper mold of the mold beam and the steel pipe is installed in the pylon installed in order to exclude the negative side reaction force device of the shift side generally applied in the steel cable-stayed bridge Method and connection method by high tension bolt for connection of mold beam when steel bridge bridge is applied to temporary bridge,
주형빔과 강결된 탄성교대빔은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옹벽기능의 기존교대벽체와 별도로 교대전면에 H빔의 강재를 기둥으로 설치하고, 교량상부구조인 주형빔과 강결하면서, Molded beams and rigid alternating beams are provided with H beams as pillars on the front of the alternating wall, apart from the existing alternate wall of retaining wall function supporting the back earth pressure,
교량상부구조물인 주형빔의 온도변화에 의한 수평변위는 상기 주형빔과 강결연결된 탄성교대빔의 기둥으로 설치된 H빔인 강재의 탄성에 의한 유연성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하고, 종래 파일론에서 감당하던 교축방향 수평력을 주형빔과 강결연결된 탄성교대빔이 감당하도록 하므로서 수직력만을 감당하도록 역할분담을 하도록 하여 교량전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강재 사장교시공방법이다. The horizontal displacement caused by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old beam, which is the bridge upper structure, is absorbed by the flexibility of the steel, the H beam installed as the pillar of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which is tightly connected to the mold beam, and absorbs the lateral horizontal force in the conventional pylon. It is a steel cable-stay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at reduces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of bridges by allowing the role beams to bear only vertical force while allowing the elastic beams that are rigidly connected to the mold beam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out the alternate side reaction for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사장교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의 강결연결부와 백스테이케이블을 탄성교대빔에 정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that the rigid connection portion of the cable-stayed bridge and the mold beam and the backstay cable of the cable-stayed bridge omitting the alternating secondary reaction for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elastic shift beam.
도 3(a)(b)은 본 발명의 주형빔의 연결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Figure 3 (a) (b) shows in detail the connection of the mol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b)는 본 발명의 파일론에 사재를 설치한 것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Figure 4 (a) (b)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at the material installed in the pyl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본 발명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연결한 강결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rigi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and the mol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연결한 강결연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igi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and the mol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강재 사장교 11 : 기초 10: steel cable-stayed bridge 11: foundation
13 : 사재 14 : 백스테이케이블(사재) 13: material 14: backstay cable (material)
15 : 교대 16 : 파일론(PYLON) 15: shift 16: PYLON
17 : 탄성교대빔 18 : 탄성충전재 17: elastic alternating beam 18: elastic filler
20 : 강결연결부 21 : 수직보강재 20: steel connection 21: vertical reinforcement
22 : 수평보강재 23 : 헌치 22: horizontal stiffener 23: haunch
30 : 고정정착브라켓 30: fixed fixing bracket
40 : 주형빔 41 : 상부플랜지 40: mold beam 41: upper flange
42 : 하부플랜지 43 : 복부 42: lower flange 43: abdomen
44 : 돌출강판 45 : 상부강판 44: protruding steel sheet 45: upper steel sheet
46 : 하부강판 47 : 볼트체결 46: lower steel plate 47: bolted
48 : 복부강판 48: abdominal steel sheet
50 : 파일론사재설치장치 51 : 고정브라켓 50: pylon re-installation device 51: fixed bracket
52 : 전단월플레이트 53 : 강관 52: shear wall plate 53: steel pipe
본 발명은 H빔인 강재를 이용하여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각각 설치하고, 교대에는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강결연결하고, 파일론에 설치된 사재는 주형빔을 지지하도록 한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 사장교시공방법에 관한 것으 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and the mold beam, respectively, using the steel H-beams, the rigid alternating beam and the mold beam is connected to the alternating, and the material installed on the pylon alternately to support the mold beam Regard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out omission,
강재사장교 시공방법은 지반위에 설치된 기초위에 종래의 교대를 설치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H빔인 강재로 설치된 강재기둥인 탄성교대빔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교대빔과 강재로 설치된 주형빔을 강결연결한 강결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형빔을 지지하도록 교각으로 설치된 파일론에 다수개 설치된 사재를 상기 주형빔에 고정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파일론에 설치된 사재중 교대측에 설치된 백스테이케이블을 강결연결된 교대의 주형빔에 고정정착브라켓에 의하여 고정연결되도록 하여 주형빔의 교축방향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한 변위 및 온도에 의한 신축변위를 탄성교대빔의 강재의 탄성에 의한 유연도로 흡수하도록 하고, 교량에 발생되는 수직하중은 교각부인 파일론이, 교축방향 수평력은 교대가 하중을 전담하도록 역할분담이 되도록 한 것이다. The steel cable-stay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is to install a conventional shift on the foundation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nstall a resilient alternating beam, which is a steel pillar installed with H beam steel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teel alternating steel beam and the cast beam installed by steel Alternately connecting the backstay cable installed on the alternating side of the yarns installed on the pylon while supporting the mold beams while supporting the mold beams while supporting the mold beams. It is fixed to the mold beam by the fixed fixing bracket so that the displacement caused by the loa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ld beam and the elastic displacement due to the temperature can be absorbed with the elasticity of the steel of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The vertical load is the pilon, the pier, and the horizontal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is responsible for the load to carry the load. One will be.
상기 강재 사장교는 교대의 탄성에 의하여 교축방향에서 발생되는 변위를 교대에서 흡수하게 되므로 종래 교량의 교대에 설치하던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종래의 파일론은 교축수평력 및 수직방향의 하중을 동시에 받도록 설계되어 설치비가 고가인 반면에 본 발명의 파일론은 수직하중만을 전담케하므로서 파일론의 단면력을 종전의 것보다 줄일 수 있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파일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교량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강재사장교시공방법인 것에 특징이 있다. Since the steel cable-stayed bridge absorbs displacement generate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hift,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secondary reaction force device installed in the shift of the conventional bridge, and the conventional pylon is used for horizontal axial load and vertical load. While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because it is designed to receive at the same time, the pyl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verall bridge construction cost by all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pylon at a lower cost 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force of the pylon because it is only responsible for the vertical load. It is characterized by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eel bridge bridge.
본 발명의 목적은 H빔인 강재의 탄성교대와 주형빔을 강결연결하여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변위를 탄성교대에 전달시켜 H빔인 강재의 탄성에 의한 유연 도에 의하여 교량에 발생된 수평변위를 흡수하도록 하고, 교각부인 파일론은 수직하중을 전담하도록 하므로서, 종래에는 파일론이 수평 및 수직하중을 모두 받도록 설게되므로서 내구력이 큰 단면으로 설치하게되어 이로인하여 고가의 파일론의 설치가 요구되어 교량공사비가 높게 책정되는 점을 본 발명의 파일론은 오직 수직하중만 부담하도록 하여 종래에 설치된 파일론의 단면적보다 작은 규모로 설치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단면적인 파일론 공사비로 인하여 전체적인 교량설치비를 보다 저렴하게 하면서, 교량상판인 주형빔과 강결연결한 탄성교대빔의 H빔인 강재의 탄성에 의한 유연도를 이용하여 주형빔에 발생되는 교축방향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하므로서 교대에서 발생되는 부반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지 않는 부반력 교좌장치의 설치가 필요치 않도록 하여 경제성이 있으면서, 구조적으로 교축방향의 수평력은 교대측이, 연직하중인 수직력은 교각측인 파일론이 각각 지지하도록 구조적 역할분담을 갖도록 하므로서 파일론의 공사비 및 부반력 교좌장치의 설치를 생략하므로서 교좌장치의 설치비 및 유지관리비를 절감하도록 하는 경제적이면서 구조적으로 강한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사장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bsorb the horizontal displacement generated in the bridge by the flexibility of the H-beam steel elasticity by transferr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by rigidly connecting the elastic alternation of the steel H-beam and the mold beam. Since the pylon, which is the bridge part, is dedicated to vertical load, conventionally, the pylon is installed to receive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loads, so that it is installed in a cross section with high durability, which requires installation of expensive pylons, resulting in high bridge construction costs. It is established that the pyl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nly be installed in a smaller scale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a conventional pylon installed to bear only vertical loads, thereby making the overall bridge installation cost cheaper due to the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pylon construction cost. On the elasticity of the steel, the H beam, By absorbing the displacement in the axial direction generated in the mold beam by using a degree of flexibil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id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shift, so tha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ide reaction force device that is not produced in Korea The construction cost and maintenance of the bridge system are omitted by omitt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pylon and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ary reaction bridge device so that the horizontal force in the bridge direction is structurally supported by the shift side and the vertical force under the vertical bridge is supported by the pylon, which is the bridge sid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able-stayed bridge that omits the economical and structurally strong side-effect bridge system to reduce the management cost.
또 다른 목적은 강재사장교의 주형빔을 상호 연결할 때 주형빔의 복부양측면에 복부강판을 설치하고 고장력볼트체결을 하면서, 상부플랜지의 하부에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돌출강판을 양측면에 설치하면서 상기 돌출강판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을 설치하고 고장력볼트체결을 하여 주형빔을 연결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을 설치하고 고장력볼트체결하도록 하여 축력만 작용하 는 본 발명의 강재 사장교의 주형빔이 보다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nother purpose is to install the abdominal steel plate on both sides of the abdomen of the mold beam and to tighten the high tension bolt, and to install the protrusion steel plate on both sides so as to protrud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lange while interconnecting the mold beam of the steel cable-stayed bridge The steel beam cable-stayed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eel cable-stayed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cts only by the axial force by installing the upper and lower steel plates and connecting the mold beam by fastening high tension bolts, and by installing the upper and lower steel plates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ower flange. It is to work strongly.
종래에는 복공판이 높으므로 복부와 하부플랜지에 만 강판을 대고 연결하여 수직력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종래의 사장교의 주형이 취약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Conventionally, since the perforated plate is hig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ld of the conventional cable-stayed bridge, where vertical and axial forces simultaneously act by connecting only the steel plate to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is weak.
본 발명의 강재사장교를 가교에 사용하는 경우, 교량상부판인 주형빔의 상부에 복공판을 설치할 때 상기 주형빔과 주형빔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별도의 추가보강장치인 복부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별도의 강판을 대고 그 강판의 상하부에 덧댄 강판을 볼트체결하여 연결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강재 사장교인 가교의 주형빔의 교축방향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조적으로 강한 상태에서 부담하도록 하여 종래의 H빔으로 설치하는 가교에는 복공판의 높이를 감안하여 상부플랜지의 연결을 하지 않고 바로 복부와 하부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여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없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When the steel cable-stayed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ross-linking, when the double-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beam, which is the bridge upper plate,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mold beam and the mold beam to each other separately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abdomen, which is a separate additional reinforcement device. The stee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bol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eel plate to connect the steel bea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ructurally strong state so as to bear the load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linked mold beam of the steel cable-stayed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ross-linking to improve the structural weakness that can not effectively bear the load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by interconnecting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immediately without connecting the upper flange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perforated plate.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사장교에 발생되는 전체의 수직력을 파일론이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강관의 일정한 위치에 사재를 설치할 때 강관을 사선의 단면으로 전단월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한 다음, 강관의 외측이면서 상기 전단월플레이트의 끝단부에 고정브라켓을 용접부착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사재의 일측단부를 고정정착하고 타단은 주형빔을 연결고정하도록 설치한 파이론사재설치장치이다. Another object is that the pylon receives the total vertical force generated in the cable-stayed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steel material in a certain position of the steel pipe, the steel pipe is installed through the shear wall plate in the cross-section of the diagonal line, and then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A fixed bracket is welded to the end of the shear wall plate, and one side end of the yarn is fixed and fixed to the fixed bracket, and the other end is a pylon material mounting apparatus installed to connect and fix the mold beam.
상기와 같이 파일론사재설치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을 관통하여 사재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사재에 의하여 주형빔이 강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to install the yarn through the steel pipe by using the pylon yarn installation device is to ensure that the mold beam is strongly supported by the yarn.
종래의 사장교에서 백스테이케이블이 설치되는 교대측에서는 교축방향으로 자유롭게 가동되는 부반력교좌장치를 배치하고, 교축방향 수평력과 모든 수직하중을 교각인 파일론이 부담하도록 하도록 하고 있어 파일론에 모든 힘이 집중되어 하중분산효과가 없어서 공사비가 고가로 되는 단점과 부반력교좌장치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In the conventional cable-stayed bridge, on the side of the shift where the backstay cable is installed, the sub-reaction force device that is freel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is arranged, and the pylon, which is the pier, bears the horizontal force and all the vertical load in th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construction cost is high because there is no load distribution effect, and the problem of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secondary reaction bridg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H빔인 강재의 주형빔을 상호 연결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인 주형빔으로 설치하고, 이들을 파일론의 사재에 의하여 연결지지하도록 하면서,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이 강결연결되도록 하면서 탄성교대빔의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에 의한 유연도를 이용하여 교축방향에 작용하는 변위를 상기 탄성교대빔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를 생략하고, 파일론에는 오직 수직하중만 전담하도록 하여 공사비를 절감하도록 하면서 효율적인 교량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교대의 부반력교좡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mold beams of the steel, which is the H beam, and installs them as the mold beam,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supports them by the yarn of the pylon, while the elastic shift beam and the mold beam are rigid. By using the flexibility by the elasticity of the steel pillar, which is the H beam of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the displacement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absorbed by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to omit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ary reaction force device, and only the vertical load on the pylon. It is to provide a steel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at omits the alternating reaction force exchange device that enables efficient installation of bridges while reducing construction costs.
본 발명은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간의 양측부에 설치된 기초(55) 위에 종래 교량의 교대에 해당하는 교대(15)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탄성교대빔(17)을 설치하고, 종래의 교대와 탄성교대빔의 사이에 탄성충전재(18)를 채우고,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alternating beam (17)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shift (15) corresponding to the alternation of a conventional bridge on the base (5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where the bridge is to be installed. Fill the
상기 탄성교대빔(17) 상부와 주형빔(40)을 강결연결한 강결연결부(20)를 형성하고, Forming a
상기 탄성교대빔(17)과 강결연결된 상기 주형빔(40)과 연이어서 설치된 또 다른 주형빔(40)을 상호 연결한 연결부(60)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교량상판인 주형빔(40)을 설치하면서, 상기 교대와 교대 사이에 설치된 파일론(16)에 파일론사재설치장치에 의하여 연결된 사재(13)와 상기 주형빔(40)을 연결지지하도록 하되, 탄성교대빔(17)과 강결연결된 주형빔(40)의 복부(43)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정착브라켓(30)에 의하여 백스테이케이블(14)이 고정연결되도록 하여, 교대인 탄성교대빔(17)에는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에의한 유연도를 이용하여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변위를 흡수하도록 하고, 교각인 파일론(16)에는 수직하중만을 전담하도록 역할분담을 하도록 하는 구조체를 갖도록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를 시공하는 방법인 것에 특징이 있다. The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간의 양측부에 설치된 기초(11) 위에 종래의 교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교대(15)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교대빔(17)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탄성충전재(18)를 채움토록하고, 1 is a view showing the steel cable-stayed bridge omitting the alternating side reaction for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the shift (15) acting as a conventional shift on the base (1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ridge to install the bridge; At a certain distance from and to the elastic
상기 탄성교대빔(17) 상부와 H빔인 강재의 주형빔(40)과 강결연결되도록 하는 강결연결부(20)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교대빔(17)와 강결연결(20)된 상기 주형빔(40)과 연이어서 설치된 또 다른 주형빔(40)을 상호 연결한 연결부(60)를 형성하면서 교량상부인 주형빔을 설치하되, The
상기 교대와 교대 사이에 설치된 파일론(16)에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에 의하여 연결된 사재(12)와 주형빔(40)을 각각 연결지지하도록 하되, 탄성교대빔(17)과 강결연결된 주형빔(40)의 복부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정착브라켓(30)에 의하여 백스테이케이블(14)이 고정연결되도록 하여, 교량상판인 주형빔(40)의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변위를 상기 탄성교대빔(17)의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에 의한 유연도를 이용하여 흡수되도록 하여 교축방향에서는 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교대에 부반력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여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를 생략하도록 하면서, 교량에 발생하는 수직하중은 오직 파일론(16)만이 부담하도록 하는 역할분담이 되는 구조계를 갖도록 하는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시공방법이다. The mold 12 and the
도 2는 본 발명의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사장교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의 강결연결부와 백스테이케이블이 탄성교대빔에 정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탄성교대빔(17)과 주형빔(40)의 강결연결(20)된 부분의 주형빔(40)의 양측면에 파일론(16)에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에 의하여 연결된 사재(13)로서 교대측에 설치된 백스테이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하여 주형빔(40)의 복부에 고정정착브라켓(30)을 설치하도록 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rigid alternating beam of the cable-stayed bridge and the mold beam and the backstay cable are fixed to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of the cable-stayed bridge omitting the alternating secondary reaction for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stay cable installed on the alternating side as the
상기 고정정착브라켓(30)은 강판을 주형빔(40)의 복부측에 용접부착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브라켓(3)의 강판을 관통한 사재(13)의 일측단을 너트로 체결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사재(13)의 타측탄의 연장부는 파일론(16)의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에 의하여 파일론(16)에 연결고정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The fixed
상기 백스테이케이블(Back Stay Cable)(14)은 파일론(16)에 연결되도록 하고, 그 일측단은 탄성교대빔(17)과 주형빔(40)이 강결연결된 부분의 주형빔(40)의 양측면에 고정연결된 것으로서, 파일론(16)은 수직하중만을 전담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특수한 구조에 의하여 파일론(16)에 고정연결된 백스테이케이블(14)이 탄성교대빔(17)과 강결연결된 주형빔(40)에 고정연결되어 교대에 부반력교좌장치 없이도 탄성교대빔과 강결연결된 주형빔이 일체로 저항하도록 하면서, 파일론(16)이 수직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체역할을 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 back stay cable (14) is connected to the pylon (16), one end of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도 3(a)(b)은 본 발명의 주형빔의 연결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a)는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b)는 평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Figure 3 (a) (b)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l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a) shows a side view, Figure (b) shows a plane.
강재 사장교의 주형빔(40)을 상호 연결할 때 주형빔의 복부(43)양측면에 복부강판(48)을 설치하고 볼트체결(47)을 하면서, 상부플랜지(41)의 하부에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돌출강판(44)을 양측면에 설치하면서 상기 돌출강판(44)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45,46)을 설치하고 볼트체결(47)을 하여 주형빔(40)을 연결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42)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44, 45)을 설치하고 볼트체결(47)하도록 한 연결부(60)를 설치하도록 하여 교축방향의 변위만 작용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강재사장교의 주형빔(40)이 보다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When interconnecting the
종래에는 복공판이 높으므로 복부와 하부플랜지에 만 강판을 대고 연결하 여 수직력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종래 사장교의 주형이 취약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Conventionally, since the perforated plate is hig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ld of the conventional cable-stayed bridge, where vertical and axial forces simultaneously act by connecting the steel plate only to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is weak.
다시말하면, 본 발명의 강재사장교를 가교에 사용하는 경우, 교량상부판인 주형빔(40)의 상부에 복공판을 설치할 때 상기 주형빔과 주형빔(4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60)에는 별도의 추가보강장치인 복부(43)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별도의 강판(44)을 대고 그 강판의 상하부에 덧댄 강판(45, 46)을 볼트체결(47)하여 연결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강재사장교인 가교의 주형빔의 교축방향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조적으로 강한 상태에서 부담하도록 하여 종래의 강재로 설치하는 가교에는 복공판의 높이를 감안하여 상부플랜지의 연결을 하지 않고 바로 복부와 하부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여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없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steel cable-stayed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ross-linking, when the perforated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도 4(a)(b)는 본 발명의 파일론인 중공의 강관에 파일론사재설치장치를 설치하여 사재를 연결고정설치한 것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파일론인 중공의 강관(53)의 일정한 위치에 사재(13)를 설치할 파일론사재설치장치를 설치하여 여기에 사재를 연결고정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는 도 4(b)와 같이 파일론인 중공의 강관(53)의 사선단면으로 전단월플레이트(52)를 관통하여 설치한 다음, 강관(53)의 외측이면서 상기 전단월플레이트(52)의 양측면 끝단부에 고정브라켓(51)을 각각 용접부착하고(도 4a참조), 상기 고정브라켓(51)에 사재(13)의 일측단부를 설치하고, 너트로 사재를 고정정착하면서, 전단월플레이트면에 안내관(미도시)을 부착하고, 상기 부착된 안내관내에 사재(13)를 삽입연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안내관을 관통하여 연장된 사재(13)의 타단은 주형빔(40)에 연결고정되도록 하므로서, 사재(13)의 일측단은 파일론(16)에 연결고정되고, 사재(13)의 타측단은 주형빔(40)에 연결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Figure 4 (a) (b)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pylon steel material installation device in the hollow steel pipe of the pyl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 fixed installation, the steel material in a certain position of the
The pylon
The other end of the
상기와 같이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를 이용하여 강관(53)을 관통하여 사재(13)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사재에 의하여 주형빔이 강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of the
또한, 강관을 관통하여 사선으로 설치된 전단월플레이트의 양단면에 안내관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안내관내에 사재를 관통시켜 연장된 사재의 타단을 주형빔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안내관을 설치하게되는데 그 이유는 사재에 의하여 연결된 주형빔에 작용하는 반복하중에 따라 사재가 전단월플레이트면에서 반복적으로 움직이게되므로 사재와 전단월플레이트가 직접접촉되어 접촉되는 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내관을 설치하고, 사재가 안내관을 관통하여 연장설치되도록 하여 사재와 전단월플레이트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하므로서 사재 및 전단월플래이트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모에 의하여 발생되는 단면적 감소로 인하여 교량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guide pipe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hear wall plate installed diagonally through the steel pipe,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ded yarn is fixed to the mold beam by passing the yarn in the guide tube.
At this time, the guide pipe is installed because the yarn repeatedly moves on the shear wall plate surface according to the cyclic load acting on the mold beam connected by the yarn, so that the surface where the sand and the shear wall plate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is worn. This is to prevent.
The guide tube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yarn is extended through the guide tube so that the yarn and the shear wall plate are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yarn and shear wall plate from being worn, there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caused by the wear. This is to avoid adversely affecting the bridge.
안내관내에 설치된 사재가 마모 및 부식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방청 및 윤활작용을 하는 물질을 충전할 수 있다. The material installed in the guide tube can be filled with anti-rusting and lubricating materials to prevent wear and corrosion.
상기 파이론은 오직 수직하중만을 부담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중공의 원형단면의 강관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Since the pylons bear only vertical loads, the efficient hollow circular sectioned steel pipe is used.
종전의 파일론은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동시에 받도록 설계되어 큰 규모의 단면력이 필요하여 파일론설치비가 과다하게 책정되어 공사비의 낭비요인이 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파일론은 수직하중만 전담하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어 효율성이 뛰어난 중공의 원형강관을 이용하므로, 종전의 파일론 설치비에 비하여 크게 절감된 공사비로 파일론을 설치하도록 하여 공사비의 절감을 가져오도록 한 것이다. Conventional pylons are designed to receiv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loads at the same time, and require large cross-sectional forces, so that the pylon installation cost is overestimated and has been a waste of construction costs, but the pyl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to be dedicated to vertical loads only. Since the hollow circular steel pipe with high efficiency is used,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by installing the pylon with the construction cost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ylon installation cost.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연결한 강결연결부의 실시예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주형빔(40)과 탄성교대빔(17)이 강결연결된 부분의 주형빔(40)의 상하플랜지(41,42) 사이와 복부(43)에 수직보강재(21)를 용접부 착하고, 탄성교대빔(17)의 상하플랜지(41,42)사이와 복부(43)에 수평보강재(22)를 용접부착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보강재(21,22)가 설치된 코너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측모두에 헌치(23)를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한 강결연결부(20)이다.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igi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and the mol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beam (40) and the elastic beam (17) of the mold beam of the rigid connection portion ( A vertical reinforcing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H빔인 강재를 연결하여 주형빔을 설치하고, 이들을 파일론에 연결된 사재에 의하여 연결고정하도록 하고, 교량상판인 주형빔과 탄성교대빔을 강결연결하되, 교량의 주형빔의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변위는 탄성교대빔의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의 유연도를 이용하도록 하여 탄성교대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교대에는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를 생략하도록 하고, 교각인 파일론에는 수직하중만을 전담하도록 역할분담이 되도록 힘의 배분을 유도하여 해당부재의 힘의 거동에 맞는 효율적인 부재설계를 하므로서 교량전체공사비를 절감하면서 교대에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가 배제되므로서 교량시공의 간편성과 교좌장치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시공방법인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abricated by connecting the steel beams of the H beam to install the mold beam, and to connect them fixed by the sand connected to the pylon, and rigidly connecting the bridge beam of the mold beam and the elastic shift beam, the bridge shaft direction of the bridge beam Displacement acts as the H-beam of the elastic alternating beam, so that it is absorbed by the elastic alternating so as to be absorbed by the elastic alternating,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ary reaction force device is omitted in the alternation, and only the vertical load is dedicated to the pylon as the pil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of bridges by elimin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ary reaction bridge device while reducing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by inducing the distribution of force to induce the distribution of the roles, thereby eliminating the installation of bridges. It is a steel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at omits a shift reaction force device to reduce maintenance cost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9875A KR100776643B1 (en) | 2005-10-21 | 2005-10-21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out alternate side reaction forc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9875A KR100776643B1 (en) | 2005-10-21 | 2005-10-21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out alternate side reaction forc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3516A KR20070043516A (en) | 2007-04-25 |
KR100776643B1 true KR100776643B1 (en) | 2007-11-15 |
Family
ID=3817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9875A KR100776643B1 (en) | 2005-10-21 | 2005-10-21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out alternate side reaction forc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66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0004B1 (en) | 2008-07-07 | 2009-03-25 | (주)평화엔지니어링 | Bridge plate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rigidly connecting active and non-active material to mold and pro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26448B (en) * | 2016-05-03 | 2017-05-31 |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ble stayed Bridge Main Tower in the double rope faces of the only tower of curve |
CN108505428B (en) * | 2018-05-23 | 2023-12-19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Large-included-angle small-radius multi-tower curve cable-stayed bridge |
CN111074793A (en) * | 2019-12-20 | 2020-04-28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Temporary lock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utt welding of steel beam segments in cantilever construction |
CN111778834A (en) * | 2020-06-17 | 2020-10-16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A tensile device for side piers and auxiliary piers of large-span bridges |
CN112048987B (en) * | 2020-08-12 | 2022-03-25 |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 Single-tower space cable-surface ground anchor cable-stayed bridge under limited space condition under bridge |
CN114808722A (en) * | 2022-05-09 | 2022-07-29 | 中铁四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cable-stayed bridge reinforced concrete main beam |
CN115341450A (en) * | 2022-07-30 | 2022-11-15 | 中铁三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 Main girder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long-span low-tower cable-stayed brid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3191U (en) * | 1989-11-17 | 1991-07-23 | ||
JPH07207618A (en) * | 1994-01-18 | 1995-08-08 | Taisei Corp | Installation method and device for casing pipe of cable-stayed bridge |
-
2005
- 2005-10-21 KR KR1020050099875A patent/KR10077664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3191U (en) * | 1989-11-17 | 1991-07-23 | ||
JPH07207618A (en) * | 1994-01-18 | 1995-08-08 | Taisei Corp | Installation method and device for casing pipe of cable-stayed bridg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0004B1 (en) | 2008-07-07 | 2009-03-25 | (주)평화엔지니어링 | Bridge plate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rigidly connecting active and non-active material to mold and pro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3516A (en) | 2007-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4514B1 (en) | Scaffolding girder introducing prestress using a device generating tension in steel wire and prestress introducing method thereof | |
KR100987062B1 (en) | Expansion joint for bridges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capable of a drainage sheet change | |
KR101728700B1 (en) | Reinforcement apparatus for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and temporary structure having the same | |
CN109930480B (en) | Hidden anchor cantilever beam type comb-tooth bridge expansion device | |
CN105970800B (en) | The abutment connect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monoblock type combination beam is seamless bridge | |
KR10077664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out alternate side reaction force device | |
KR100758994B1 (en) | Beam reinforced with vertical reinforcement member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4667266B2 (en) | Pile pier | |
KR101389285B1 (en) | Pc girder shift of the chest wall with a block end integrated method | |
KR102054709B1 (en) | Extension sidewalk | |
KR101390169B1 (en) | Arch type footpath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27923B1 (en) | Pylon of cable-stayed bridge having composite combin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45088B1 (en) | Steel bridge exterior material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1126081B1 (en) | A truss temporary bridge structure using across-beam bracket | |
KR101347555B1 (en) | Method for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KR20130047403A (en) | Rapid cnstruction method of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end diaphragm | |
KR102163560B1 (en) | Girdir and bridge hav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 |
CN210946479U (en) | High-performance maintainable highway cantilever tooth-shaped expansion joint | |
KR101483173B1 (en) |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KR102433621B1 (en) |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 |
WO2021057173A1 (en) | High-performance maintainable highway cantilever tooth-shaped expansion joint | |
KR100622008B1 (en) | Composite structure of integral shift bridge | |
KR100530024B1 (en) | Apparatus for reinforcing slab installing the upper and lower cover plate and fixing device of tension materials in prelexed H-type beam, and method for reinforcing slab using the apparatus | |
KR20040054639A (en) |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of PS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by Anchoring and Holding Tendon on Precast Cross-Beam | |
JP5860723B2 (en) | Floor slab bridge using square steel pi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