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4293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293B1
KR100774293B1 KR1020050075089A KR20050075089A KR100774293B1 KR 100774293 B1 KR100774293 B1 KR 100774293B1 KR 1020050075089 A KR1020050075089 A KR 1020050075089A KR 20050075089 A KR20050075089 A KR 20050075089A KR 100774293 B1 KR100774293 B1 KR 10077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805A (ko
Inventor
우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2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Echo Cancelling)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 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스피커 장치로 음성신호 또는 음악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코덱으로부터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와,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로부터의 신호를 FM(Frequency Modulation)변조하여 상기 외부스피커 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FM송신부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코덱으로 출력하기 위한 반향제거부와, 전화통화모드 및 음악재생모드에 따라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의 동작 및 상기 반향제어부의 동작을 온(On)/오프(Off)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스피커 폰 기능 사용시 FM송출을 통해 외부 스피커장치를 출력스피커로 이용하므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고, 반향제거기능을 이용해 상대방 음성신호의 반향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음악을 FM 송출할 경우, 음악 증폭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휴대단말기가 음악 방송 송출 장치 역할을 하여, 일정한 지역 안의 FM 수신기능이 있는 다수의 수신기에서 동시에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M 송출, 이동통신 단말기, 스피커 폰, MP3 재생.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 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XTERNAL SPEAKER USING ECHO CANCELLING AND AMPLIF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기존의 스피커 폰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피커폰 기능사용시 반향제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의 FM 송출 과정시 증폭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 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스피커 폰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 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1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8)는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 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내부스피커(116)와 스피커폰 스피커(118)및 마이크(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내부스피커(116) 또는 스피커폰 스피커(118)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스위칭부(117)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화통화시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할 경우, 상기 스피커폰 스피커(118)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경우에는 내부스피커(116)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피커 전환기능을 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의 스피커폰 기능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출 력을 가지는 스피커를 사용해야 하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비가 큰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폰 스피커(118)에서 나오는 출력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114)에서 입력받아 상기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한 사용자가 아닌 통화 중인 상대방이 자신의 목소리를 듣는 반향(Echo)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P3(Mpeg Layer 3) 파일재생시 스피커폰 스피커(118)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력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FM(Frequency Modulation) 송출기능을 이용한 스피커 폰 기능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핸즈프리(hands Free)기능에만 중점을 두어 그 활용성이 상기 MP3 재생기능까지 확장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증폭기능을 이용한 음악 출력을 위한 외부 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스피커 장치로 음악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코덱(Codec)에서 출력된 음악신호를 증폭하는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와 상기 음악신호를 FM(Frequency Modulation)변조하여 상기 외부 스피커 장치로 송출하는 FM송신부와 음악재생모드에 따라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의 동작을 온(On)/오프(Off)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스피커 장치로 음악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악 증폭설정이 있는 경우, 코덱으로부터 음악신호를 증폭하는 과정과 상기 증폭한 음악신호를 FM(Frequency Modulation)변조하여 상기 외부스피커 장치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 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MP3 재생기능, 스피커폰 기능, 반향제거기능, 근거리 방송용 증폭기능 등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202)은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MP3 재생기능, 상기 스피커폰 기능, 상기 반향제거기능, 근거리 방송용 증폭기능 등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206)은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MP3 파일을 저장한다.
MP3 재생부(210)는 MP3 파일을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디지털신호로 디코딩(Decoding)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코덱(212)은 상기 MP3 디지탈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외의 기능은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코덱(112)과 같다.
스위칭부(23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스피커폰 기능을 사용할 경우, 외부 스피커 장치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경우에는 내부스피커(116)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피커 전환기능을 한다.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240)는 상기 스위칭부(230) 출력한 신호를 높은 출력의 신호로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반향제거부(220)(Echo Canceller)는 디지털 필터(Digital Filter)로서 탭선 택 알고리듬 같은 특정 알고리듬을 이용해 반향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반향제거부(220)는 마이크(114)에서 상기 반향제거부(220)로 출력하는 소리 중에서 상기 스위칭부(230)에서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240)로 출력하는 소리와 동일한 신호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반향을 제거하는 음질개선기능을 수행하고, 이 기능은 항상 온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반향제거부(220)의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고, 구현 상황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반향제거부(2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FM 송신부(250)는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240)에서 출력한 신호를 FM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변조하여 안테나(260)를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미 도시하였지만, 상기 외부 스피커 장치는 FM 수신기능이 있는 장치로서, FM라디오, 카세트, 카오디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피커폰 기능사용시 반향제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310단계에서 전화통화요청을 감지하면 320단계로 진행하여 전화통화를 시작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330단계에서 스피커폰 기능사용을 설정하였다면 340단계에서 반향제거부(220)는 마이크(114)에서 상기 반향제거부(220)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중에서 스위칭부(230)에서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240)로 출력하는 상대방 음성신호와 동일한 신호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반향을 제거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3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반향을 제거한 음성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코덱(212)으로 전달한다.
만약, 상기 330단계에서 스피커폰 기능사용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345단계에서 내부스피커(116)을 사용한 일반적인 통화를 계속한다.
본 발명에서는 미 도시하였지만, 외부 스피커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FM송출을 통해 전송한 음성신호를 수신 후,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장치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360단계로 진행하여 전화통화의 종료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전화통화가 끝나지 않았다면 330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상기 전화통화가 끝났다면 37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피커 폰 기능이 사용 중인지 검사한다.
상기 스피커폰 기능이 사용 중이라면 38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FM 송출기능 사용을 중지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의 FM 송출 과정시 증폭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4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MP3파일 재생요청을 감지하면 410단계로 진행하여 MP3파일 재생을 시작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420단계에서 전화통화요청을 감지하면 4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P3파일 재생을 중지하고 440단계에서 현재 FM 송출기능을 사용하고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440단계에서 상기 FM 송출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면 상기 제어부(200)는 4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FM 송출을 중단하고 460단계에서 도 3의 320단계부터의 과정을 시행한다.
만약, 상기 420단계에서 상기 전화통화요청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470단계로 진행하여 FM 송출기능 사용 설정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FM 송출기능을 사용을 설정하였다면 상기 제어부(200)는 480단계로 진행하여 근거리 방송용 증폭 사용 설정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470단계에서 FM 송출기능 사용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200)는 485단계로 진행하여 내부스피커(116)을 사용한 MP3 파일재생을 한다.
만약, 상기 480단계에서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 기능 사용을 설정하였다면, 상기 제어부(200)는 49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재생하고 있는 MP3파일의 출력신호를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240)에서 증폭하여 FM 송출한다.
만약, 상기 480단계에서 근거리 방송용 증폭 기능 사용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200)는 49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재생하고 있는 MP3파일의 출력신호를 FM 송출하고 495단계로 진행하여 MP3파일의 재생종료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495단계에서 상기 MP3파일재생이 끝나지 않았다면 420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상기 MP3파일재생이 끝났다면 상기 제어부(200)는 49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FM 송출기능이 사용 중인지 검사한다.
만약, 상기 FM송출기능이 사용 중이라면 49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FM송출기능 사용을 중지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피커 폰 기능 사용시 FM송출을 통해 외부 스피커장치를 출력스피커로 이용하므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고, 반향제거기능을 이용해 상대방 음성신호의 반향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음악을 FM 송출할 경우, 음악 증폭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휴대단말기가 음악 방송 송출 장치 역할을 하여, 일정한 지역 안의 FM 수신기능이 있는 다수의 수신기에서 동시에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스피커 장치로 음악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코덱(Codec)에서 출력된 음악신호를 증폭하는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와,
    상기 음악신호를 FM(Frequency Modulation)변조하여 상기 외부 스피커 장치로 송출하는 FM송신부와,
    상기 코덱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신호에서 상기 코덱에서 출력된 신호와 동일한 부분을 제거하는 음질 개선 과정을 수행하고,
    음악재생모드에 따라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의 동작을 온(On)/오프(Off)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재생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악증폭 설정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의 동작을 온하고 상기 제어부의 음질 개선 과정을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재생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악증폭 설정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방송용 증폭부의 동작을 오프하고 상기 제어부의 음질 개선 과정을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50075089A 2005-08-17 2005-08-1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 KR10077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089A KR100774293B1 (ko) 2005-08-17 2005-08-1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089A KR100774293B1 (ko) 2005-08-17 2005-08-1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805A KR20070020805A (ko) 2007-02-22
KR100774293B1 true KR100774293B1 (ko) 2007-11-08

Family

ID=4163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089A KR100774293B1 (ko) 2005-08-17 2005-08-1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459B1 (ko) 2009-02-04 2015-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에프엠 라디오의 음질 개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3711A (zh) * 2020-07-21 2022-01-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声音信号处理系统、方法和智能音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759U (ko) * 1999-06-30 2001-01-26 염희철 휴대폰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20020078062A (ko) * 2001-04-04 2002-10-18 주식회사 엠씨링크 Fm 음향출력 송출기가 내장된 휴대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759U (ko) * 1999-06-30 2001-01-26 염희철 휴대폰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20020078062A (ko) * 2001-04-04 2002-10-18 주식회사 엠씨링크 Fm 음향출력 송출기가 내장된 휴대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459B1 (ko) 2009-02-04 2015-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에프엠 라디오의 음질 개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805A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4287B2 (en) Portable terminal
KR100575963B1 (ko) 외부음향기기를 통해 음성신호와 알림음을 출력하는휴대폰 제어방법
US897720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unit to determine whether a profile is operating
KR20130053058A (ko)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및 통화 음질 개선 방법
KR10065800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661907B (zh) 一种基于蓝牙的高清晰度通话录音方法
JP3022807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7742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향제거 및 증폭기능을 이용한 외부스피커 이용장치 및 방법
CN1925637B (zh) 移动通信终端的通话中传送mp3播放音乐的方法及装置
JPH11163762A (ja) ハンズフリーユニット
KR20040023331A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CN101022279A (zh) 调频/调幅发射的移动终端、方法及调频发射接收的系统
JP3680042B2 (ja) ハンズフリーユニットおよび移動無線端末装置
CN114785886B (zh) 使用多个音频设备的通话方法及电子设备
KR100502715B1 (ko) 데이터 저장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KR1003425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개의 음성신호 동시송신 및 통화내용 녹음장치 및 방법
JPH10271061A (ja) デジタル式無線電話機
CN101102356A (zh) 免提装置
JP2005295253A (ja) 情報処理装置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JP2004254023A (ja) 音楽再生システム
JP3717809B2 (ja) 携帯電話機
KR200315201Y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218483Y1 (ko) 차량용 유무선겸용 핸즈프리장치
KR200228319Y1 (ko) 녹음장치가 내장된 다목적 전화 송수화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