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3360B1 -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360B1
KR100773360B1 KR1020070035792A KR20070035792A KR100773360B1 KR 100773360 B1 KR100773360 B1 KR 100773360B1 KR 1020070035792 A KR1020070035792 A KR 1020070035792A KR 20070035792 A KR20070035792 A KR 20070035792A KR 100773360 B1 KR100773360 B1 KR 10077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mb
gps
satellite orbi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to KR1020070035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360B1/ko
Priority to CN2007103022144A priority patent/CN101285876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2Determining the position of transmitters to be subsequently used in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9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processing capability normally carried out by the rece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국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성 궤도정보에 따라 A-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에 의해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정보 단말기는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장치,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 수신장치 및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DMB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DMB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GPS 수신장치로 제공하고, GPS 수신장치로부터 위치 측정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측정한 의사거리 정보 및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A-GPS(Assisted GPS) 방식에 의해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하드웨어를 장착하거나 통신요금을 지불하지 않고도 A-GPS 방식으로 위치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A-GPS, DMB, 네비게이션

Description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Data Terminal and Position Measurement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SDI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정보 단말기 20 : GPS 위성
30 : DMB 방송국 서버 40 : DMB 기지국
110 : 제어부 120 : GPS 수신장치
130 : DMB 수신 장치 140 : 메모리
본 발명은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국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성 궤도정보에 따라 A-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에 의해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치 측정 방식 중 하나인 A-GPS 방식은 GPS 수신기가 탑재된 단말기가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혼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A-GPS 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GPS 수신기만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위치 결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차량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점차 그 보급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는 일반적으로 GPS 수신기가 탑재되어 있다.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주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위성으로부터 궤도 정보 및 의사거리(Pseudo Range; PR)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위성이 건물 등에 의해 가려지는 등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데 수 분이 소요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여기에서, PR이란 위성에서 신호를 전송한 시간과 단말기에서 신호를 수신한 시간 간의 차이로부터 측정된 단말기와 위성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위성의 궤도 정보는 현재 4시간 주기로 갱신되는데, 차량의 출발 시점에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구동하여 위성의 궤도 정보를 확인한 결과, 위성 궤도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위성으로부터 궤도정보를 획득하는 데 긴 시간이 소요되어 고객의 불만이 증대하게 된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A-GPS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할 경우 초기 위치 파악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현재 A-GPS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모뎀 등의 하드웨어가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추가로 탑재되어야 하고, 위치 측정시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신 요금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보급률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또한 활발히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형 정보 단말기 또한 A-GPS 방식으로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접속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통신 요금이 발생하여 고객 부담이 증가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의 이용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 털 멀티미디어 방송국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궤도 정보를 이용하여 A-GPS 방식으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DMB 수신 모듈을 구비한 정보 단말기에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고 A-GPS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고속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정보 단말기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장치;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및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DMB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DMB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로부터 위치 측정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측정한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A-GPS(Assisted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정보 단말기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장치;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및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DMB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DMB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측정한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A-GPS(Assisted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위치 측정 결과를 저장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정보 단말기는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는 DMB 수신장치; 및 상기 DMB 수신장치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로부터 위치 측정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측정한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A-GPS(Assisted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정보 단말기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및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DMB 수신장치; 및 상기 GPS 수신장치 및 상기 DMB 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측정한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A-GPS(Assisted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위치 측정 결과를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 측정 방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장치가 각각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접속되고,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기에서의 위치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GPS 수신장치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의사거리를 측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DMB 수신장치가 DMB 방송 시스템으로 튜닝하여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정보 단말기가 상기 DMB 방송 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정보 단말기가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을 추출하는 제 4 단계; 상기 정보 단말기가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략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GPS 수신장치가 상기 의사거리 및 상기 위성 궤도정보, 상기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 및 상기 대략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모듈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단말기, 셀룰러 폰, PCS 폰, PDA, PMP 등과 같은 정보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예로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기(10)는 제어부(110), GPS 수신장 치(120), DMB 수신장치(130) 및 메모리(140)를 구비하여, 위성(20)으로부터 궤도정보를 수신하는 한편, DMB 방송국 서버(30)에서 송출되는 위성 궤도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DMB 기지국(40)을 통해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GPS 수신장치(120) 및 DMB 수신장치(130)를 내장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GPS 수신장치(120) 및 DMB 수신장치(130)를 외장형으로 탑재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DMB 방송국 서버(30)는 위성 DMB 방송국 서버 또는 지상파 DMB 방송국 서버가 될 수 있다. 어떠한 방식의 DMB 서비스를 제공하든지 DMB 방송국 서버(30)는 자체적으로 위성 궤도정보를 갖기 때문에, 이 궤도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제공하게 되면,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A-GPS 방식으로 위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10)는 전원 인가시 GPS 수신장치(120) 및 DMB 수신장치(130)를 구동하여, GPS 수신장치(120)에서 수신한 PR 정보와 DMB 수신장치(130)에서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DMB 기지국(40)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성 궤도정보는 DMB 방송국 서버(30)의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간 및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는 DMB 방송국 서버(30) 또는 DMB 기지국(40)의 대략적인 위도/경도 정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1)는 제어부(110-1), GPS 수신장치(120-1), DMB 수신장치(130-1) 및 메모리(140)를 포함 하며, GPS 수신장치(120-1) 및 DMB 수신장치(130-1)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탑재될 수 있다.
각 구성부의 상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10)는 GPS 수신장치 제어 모듈(1101), DMB 수신장치 제어 모듈(1102), 위치정보 관리 모듈(1103),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104), 시간정보 추출 모듈(1105) 및 위치정보 추출 모듈(1106)을 포함한다.
GPS 수신장치 제어 모듈(1101) 및 DMB 수신장치 제어 모듈(1102)은 각각 GPS수신장치(120-1) 및 DMB 수신장치(13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104)은 DMB 수신장치(130-1)가 수신한 DMB 방송 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GPS 수신장치(120-1)로 제공하고, 시간정보 추출 모듈(1105)은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간을 검출하여 GPS 수신장치(120-1)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시간정보는 DMB 기지국(40)이 DMB 수신장치(130-1)로 전송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이용하거나, GPS 수신장치(120-1) 또는 제어부(110-1)에 시계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정보 추출 모듈(1106)은 DMB 수신장치(130-1)가 수신한 DMB 방송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 관리 모듈(1103)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방송국 서버(30) 또는 DMB 기지국(40)의 위치이거나, 경우에 따라 임의의 위치로 고정 설정될 수 있다.
위치정보 관리 모듈(1103)은 위치정보 추출 모듈(1106)이 제공한 위치 정보와 메모리(140)에 저장된 위치정보 즉, GPS 수신장치(120-1)가 전송한 가장 최근의 위치정보를 비교한 후, 네비게이션 단말기(10-1)의 최적 위치 정보를 선택하여, 이를 GPS 수신장치(120-1)로 제공한다.
다음, GPS 수신장치(120-1)는 GPS RF부(1201), GPS 기저대역 처리부(1202) 및 GPS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GPS 신호처리부는 PR 측정모듈(1203) 및 위치 계산 모듈(1204)을 포함한다.
GPS RF부(1201)는 GPS 위성(2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 대역의 주파수로 변환하고, GPS 기저대역 처리부(1202)는 기저 대역 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를 처리하여 PR 측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PR 측정 모듈(1203)은 GPS 기저대역 처리부(120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위성(20)과 네비게이션 단말기(10-1) 사이의 PR을 측정한다.
그리고, 위치 계산 모듈(1204)은 제어부(110-1)의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104)로부터 전송받은 위성 궤도정보, 위치정보 관리 모듈(1103)에서 전송받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1)의 최적 위치 정보, 시간정보 추출 모듈(1105)에서 전송받은 시간 정보 및 PR 측정 모듈(1203)에서 측정한 PR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1)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110-1)로 전송하여, 위치정보 관리 모듈(1103)이 이를 메모리(140)에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DMB 수신장치(130-1)는 DMB RF부(1301), DMB 기저대역 처리부(1303) 및 DMB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DMB 신호처리부는 비디오 재생 모듈(1303), 오디오 재생모듈(1304) 및 데이터 재생모듈(1305)을 포함한다.
DMB RF부(1301)는 DMB 기지국(40)으로부터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 역의 주파수로 변환하고, DMB 기저대역 처리부(1302)는 주파수 변환된 신호에 포함된 신호를 처리하여 DMB 신호처리부에 전달한다.
아울러, DMB 신호처리부의 비디오 재생 모듈(1303) 및 오디오 재생모듈(1304)은 DMB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 재생 모듈(1305)은 DMB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10-1)에 제공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네비게이션 단말기(10-1)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위치 계산 모듈(1204)에서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목적지 정보가 설정됨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2)는 도 2에 도시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1)의 제어부(110-2)에 포함되어 있던 위치정보 관리 모듈(1103)이 GPS 수신 장치(120-2)에 구비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110-2)는 GPS 수신장치 제어 모듈(1111), DMB 수신장치 제어 모듈(1112),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113), 시간정보 추출 모듈(1114) 및 위치정보 추출 모듈(1115)을 구비한다.
그리고, GPS 수신장치(120-2)의 GPS 신호 처리부는 PR 측정 모듈(1213), 위치 계산 모듈(1214) 및 위치정보 관리 모듈(1215)을 포함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2)에서, DMB 수신장치(130-2)는 DMB 기지국(40)으로 튜닝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10-2)의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113) 및 시간정보 추출 모듈(1114)은 각각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성 궤도정보 및 시간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GPS 수신장치(120-2)의 위치 계산 모듈(1214)로 제공하며, 위치정보 추출 모듈(1115)은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 또는 고정 설정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위치 정보 관리 모듈(1215)로 제공한다.
한편, 위치정보 관리 모듈(1215)은 위치 계산 모듈(1214)에서 가장 최근에 측정한 위치정보를 GPS 수신장치(120-2)의 제 2 메모리(1216)에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10-2)의 위치정보 추출 모듈(1115)에서 전송받은 위치 정보와, 제 2 메모리(1216)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한 후, 최적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위치 계산 모듈(1214)로 제공한다.
그리고, 위치 계산 모듈(1214)은 제어부(110-2)의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113)로부터 전송받은 위성 궤도정보, 시간정보 추출 모듈(1114)에서 전송받은 시간 정보, 위치 정보 관리 모듈(1215)에서 전송되는 최적 위치 정보 및 PR 측정 모듈(1213)에서 측정한 PR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2)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 아울러, 측정 결과는 위치정보 관리 모듈(1215)에 의해 제 2 메모리(1216)에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3)는 도 2에 도시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1)의 제어부(110-2)에 포함되어 있던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104), 시간정보 추출 모듈(1105) 및 위치정보 추출 모듈(1106)이 DMB 수신 장치(130-3)에 구비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110-3)는 GPS 수신장치 제어 모듈(1121), DMB 수 신장치 제어 모듈(1122) 및 위치정보 관리 모듈(1123)을 구비한다.
그리고, DMB 수신장치(130-3)의 DMB 신호 처리부는 비디오 재생 모듈(1323), 오디오 재생 모듈(1324), 데이터 재생 모듈(1325),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326), 시간정보 추출 모듈(1327) 및 위치정보 추출 모듈(132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326)은 DMB 기지국(40)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110-3)로 전송하고, 시간정보 추출 모듈(1327) 및 위치정보 추출 모듈(1328)은 각각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110-3)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3)의 위치정보 관리 모듈(1123)은 DMB 수신장치(130-3)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GPS 수신장치가(120-3)가 가장 최근에 전송한 위치정보 중 최적의 위치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위치정보를 GPS 수신장치(120-3)의 위치 계산 모듈(1224)로 전송하며, 상기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326)이 전송한 위성 궤도정보과 시간정보 추출 모듈(1327)이 전송한 시간정보를 GPS 수신장치(120-3)의 위치 계산 모듈(1224)로 전송한다.
또한, GPS 수신장치(120-3)는 제어부(110-3)를 통해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와, PR 측정 모듈(1223)에서 측정한 PR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3)의 위치를 측정하고, 위치 측정 결과는 위치정보 관리 모듈(1123)에 의해 메모리(140)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DMB 수신장치(130-3)가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326), 시간정보 추출 모듈(1327) 및 위치정보 추출 모듈(1328)을 구비하는 것에 대하여 설 명하였으나, DMB 수신장치(130-3)에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326)을 구성하고, 시간정보 추출 모듈 및/또는 위치정보 추출 모듈(1328)은 제어부(110-3)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4)는 도 2에 도시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1)의 제어부(110-2)에 포함되어 있던 위치정보 관리 모듈(1103)이 GPS 수신장치(120-4)에 구비되어 있고,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104), 시간정보 추출 모듈(1105) 및 위치정보 추출 모듈(1106)이 DMB 수신 장치(130-4)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4)는 GPS 수신장치 제어 모듈(1121) 및 DMB 수신장치 제어 모듈(1122)을 구비한다.
그리고, GPS 수신장치(120-4)의 GPS 신호 처리부는 PR 측정 모듈(1233), 위치 계산 모듈(1234) 및 위치정보 관리 모듈(1235)을 포함하고, DMB 수신장치(130-4)의 DMB 신호 처리부는 비디오 재생 모듈(1333), 오디오 재생 모듈(1334), 데이터 재생 모듈(1335),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336), 시간정보 추출 모듈(1337) 및 위치정보 추출 모듈(133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DMB 수신장치의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1336), 시간정보 추출 모듈(1337) 및 위치정보 추출 모듈(1338)은 각각 DMB 기지국(40)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위성 궤도정보,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110-4)로 전송하고, 제어부(110-4)는 이를 GPS 수신장치(120-4)로 전송하여, GPS 수신장치(120-4)의 위치 계산 모듈(1234)이 위치 측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GPS 수신장치(120-4)의 위치정보 관리 모듈(1235)은 제어부(110-4)를 통해 전송받은 위치정보와 제 2 메모리(1236)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 중 최적의 위치정보를 선택하고, 위치 계산 모듈(1234)은 제어부(110-4)를 통해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 시간정보, 위치정보 관리 모듈(1235)에서 선택한 위치정보 및 PR 측정 모듈(1233)에서 측정한 PR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4)의 위치를 측정한다.
아울러, 위치 측정 결과는 위치정보 관리 모듈(1236)에 의해 제 2 메모리(1236)에 저장된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는 DMB 기지국(40)으로부터 데이터 채널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위성 궤도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10)의 위치 측정에 이용하는데, DMB 기지국(40)은 특히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성 궤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최근에는 DMB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교통 및 여행정보(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TTI)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상용화되었으며, 이러한 정보는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한다.
TPEG 표준은 도로교통 메시지(Road Traffic Message; RTM), 대중교통 정보(Public Transport Information; PTI) 등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지도에 주행 예정 도로의 교통 상황이나 소통 속도를 미리 알아볼 수 있고, 도로 공사, 사고 소식 등 위험구간 정보 등을 미리 안내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TPEG 메시지에 포함되는 안전운전 정보(Safety-Driving-Information; SDI) 메시지를 이용하여, DMB 방송국 서버 및 DMB 기지국으로 이루어지는 DMB 시스템으로부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같은 정보 단말기로 위성 궤도정보를 송출하여, 정보 단말기에서 A-GPS 방식으로 위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TPEG 메시지는 동일한 컨테이너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TPEG 메시지 중 하나가 SDI 메시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SDI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PEG 응용 서비스에 관련된 TPEG 메시지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태로 DMB 수신장치(130)로 전송된다. SDI 메시지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 SDI 이벤트 컨테이너, TTI 위치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는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 메시지 식별자; 각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에 대한 식별자
- 버전 정보; 동일한 메시지를 가진 연속적인 메시지들을 식별하기 위한 순차적인 번호
- 메시지 생성시간; 날짜와 시간 스탬프는 메시지가 실제로 생성된 일시를 기록하며, 메시지를 관리할 목적으로 사용됨
- 시작시간; 이벤트가 어떤 상태로 진입하는 시간으로, 이미 진입하였거나 향후 진입이 예정된 일시를 나타낼 수 있음
- 종료시간; 이벤트가 어떤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시간으로, 이미 벗어났거나 향후 벗어 나도록 예정된 일시를 나타낼 수 있음
- 메시지 유효 시간; 메시지의 유효성이 상실되는 일시 즉, 메시지가 삭제되는 일시
한편, SDI 이벤트 컨테이너는 지점 안전운전 항목, 구간 안전운전 항목, RSF(Roadside Service Facility Component) 및 유효성 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점 안전운전 항목은 도로상의 사고 잦은 지점 및 위험지점 등 안전운전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부분이고, 구간 안전운전 항목은 도로상의 사고 잦은 구간 및 위험구간 등 안전운전에 관련된 정보를 기술하는 부분이며, RSF는 도로상에서 안전운전을 위하여 필요한 교통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부분이고, 유효성 항목은 SDI 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체 메시지의 개수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 TTI 위치 컨테이너는 지상파 또는 위성 DMB 교통 및 여행 정보 서비스 정합 표준에 따른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SDI 메시지의 이벤트 컨테이너 중, 네비게이션 단말기(10) 제조사에게 할당된 예비 영역에 위성 궤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SDI 메시지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GPS 수신장치(120)에서 측정한 PR과 함께 A-GPS 방식으로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SDI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위성 궤도정보는 DMB 방송국 서버(30)의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간 및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는 DMB 방송국 서버(30) 또는 DMB 기지국(40)의 대략적인 위도/경도 정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먼저, 네비게이션 단말기(1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S101), GPS 수신장치(120)가 구동되어 PR을 측정하는 한편(S103), DMB 수신장치(130)가 구동되어 DMB 기지국(40)으로 튜닝한다(S105).
이에 따라, DMB 수신장치(130)는 DMB 기지국(40)으로부터 위성 궤도정보, 또는 위성 궤도정보와 시간정보, 또는 위성 궤도정보와 위치정보, 또는 위성 궤도정보, 시간 정보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107).
이후, 제어부(110) 또는 DMB 수신장치(130)에 구비된 위성 궤도정보 추출 모듈(도 2의 1105, 도 3의 1113, 도 4의 1326, 도 5의 1336)은 DMB 방송 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고(S111) 이를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10) 또는 DMB 수신장치(130)에 구비된 시간정보 추출 모듈(도 2의 1106, 도 3의 1114, 도 4의 1327, 도 5의 1337)은 위성 궤도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추출한다. 이때, 제어부(110)에서 시간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시간정보는 DMB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되거나, 제어부(110) 또는 GPS 수신장치(120)에 내장된 시계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10) 또는 DMB 수신장치(130)에 구비된 위치정보 추출 모듈(도 2의 1107, 도 3의 1115, 도 4의 1328, 도 5의 1338)은 제어부(110) 또는 GPS 수신장치(120)에 구비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 관리 모듈(도 2의 1103, 도 3의 1215, 도 4의 1123, 도 5의 1235)은 GPS 수신장치(120)가 가장 최근에 저장한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추출 모듈에서 추출한 위치 정보 중 최적 의 위치정보를 선택한다(S113).
이때, 제어부(110)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위치정보는 DMB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하지 않고 고정 설정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위성 궤도정보,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가 검출된 후, GPS 수신 장치의 위치 계산 모듈은 상기 단계 S103에서 측정한 PR 정보 및 단계 S109 내지 S113에서 추출한 위성 궤도정보,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의 위치를 측정한다(S115).
아울러, 측정된 위치 정보는 제어부(110) 또는 GPS 수신장치(120)에 구비된 위치정보 관리 모듈(도 2의 1103, 도 3의 1215, 도 4의 1123, 도 5의 1235)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제어부(110), GPS 수신장치(120) 및 DMB 수신장치(130)는 셀룰러 폰, PCS 폰, PDA, PMP 등과 같은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휴대형 정보 단말기는 GPS 수신장치와 DMB 수신장치를 각각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탑재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접속할 필요 없이, DMB 수신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성 궤도 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정확하게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측정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접속하여 위성 궤도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DMB 방송국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를 장착하거나 통신요금을 지불하지 않고도 A-GPS 방식으로 위치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단말기에서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이용 요금 또한 절감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8)

  1.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장치;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및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DMB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DMB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로부터 위치 측정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측정한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A-GPS(Assisted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수신장치로 상기 위성 궤도정보와 함께 위성 궤도정보를 수신한 시간정보, 또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략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을 검출하는 시간정보 추출 모 듈;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략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 모듈; 및
    상기 GPS 수신장치가 가장 최근에 측정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 추출 모듈에서 추출한 위치정보와, 상기 GPS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중 최적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내장된 시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임의의 위치로 고정 설정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된 DMB 방송국 서버 또는 DMB 기지국의 대략 위도/경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장치, 또는 상기 DMB 수신장치, 또는 상기 GPS 수신장치 및 DMB 수신장치는 상기 정보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0.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장치;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및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DMB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DMB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측정한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A-GPS(Assisted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위치 측정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의사거리 정보를 측정하는 PR 측정 모듈;
    상기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계산 모듈; 및
    상기 위치 계산 모듈에서 측정한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저장 및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수신장치로 상기 위성 궤도정보와 함께 위성 궤도정보를 수신한 시간정보, 또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략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을 검출하는 시간정보 추출 모듈; 및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략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내장된 시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임의의 위치로 고정 설정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된 DMB 방송국 서버 또는 DMB 기지국의 대략 위도/경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장치, 또는 상기 DMB 수신장치, 또는 상기 GPS 수신장치 및 DMB 수신장치는 상기 정보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0.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는 DMB 수신장치; 및
    상기 DMB 수신장치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로부터 위치 측정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측정한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A-GPS(Assisted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장치는, 상기 제어부로 상기 위성 궤도정보와 함께 위성 궤도정보를 수신한 시간정보, 또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략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장치는,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을 검출하는 시간정보 추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내장된 시계로부터 획득한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을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장치는, 상기 방송정보로부터 DMB 방송 시스템의 대략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 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된 DMB 방송국 서버 또는 DMB 기지국의 대략 위도/경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위치로 고정 설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장치, 또는 상기 DMB 수신장치, 또는 상기 GPS 수신장치 및 DMB 수신장치는 상기 정보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0.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DMB 수신장치; 및
    상기 GPS 수신장치 및 상기 DMB 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측정한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A-GPS(Assisted GPS)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위치 측정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의사거리 정보를 측정하는 PR 측정 모듈;
    상기 의사거리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계산 모듈; 및
    상기 위치 계산 모듈에서 측정한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저장 및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장치는, 상기 제어부로 상기 위성 궤도정보와 함께 위성 궤도 정보를 수신한 시간정보, 또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략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장치는,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을 검출하는 시간정보 추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내장된 시계로부터 획득한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을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장치는, 상기 방송정보로부터 DMB 방송 시스템의 대략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된 DMB 방송국 서버 또는 DMB 기지국의 대략 위도/경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8.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위치로 고정 설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GPS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39.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장치, 또는 상기 DMB 수신장치, 또는 상기 GPS 수신장치 및 DMB 수신장치는 상기 정보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40.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4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장치가 각각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접속되고,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기에서의 위치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GPS 수신장치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의사거리를 측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DMB 수신장치가 DMB 방송 시스템으로 튜닝하여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정보 단말기가 상기 DMB 방송 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정보 단말기가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을 추출하는 제 4 단계;
    상기 정보 단말기가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략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GPS 수신장치가 상기 의사거리 및 상기 위성 궤도정보, 상기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 및 상기 대략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DMB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DMB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DMB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 를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GPS 수신장치에 내장된 시계로부터 위성 궤도정보 수신 시각을 검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상기 DMB 방송신호로부터 위성 궤도정보 수신시각을 검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4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DMB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DMB 방송 시스템의 위도/경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4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임의의 위치로 고정 설정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48.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DMB 수신장치가 상기 DMB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DMB 방송 시스템의 위도/경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KR1020070035792A 2007-04-12 2007-04-12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KR10077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792A KR100773360B1 (ko) 2007-04-12 2007-04-12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CN2007103022144A CN101285876B (zh) 2007-04-12 2007-12-17 信息终端及用于此的位置测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792A KR100773360B1 (ko) 2007-04-12 2007-04-12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360B1 true KR100773360B1 (ko) 2007-11-05

Family

ID=3906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792A KR100773360B1 (ko) 2007-04-12 2007-04-12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3360B1 (ko)
CN (1) CN101285876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804A (ko) * 1998-09-01 2000-04-25 마이클 더블유.세일즈 고속 gps 기반의 측위를 위한 통신 네트워크 초기화 장치및 방법
KR20020078361A (ko) * 2001-04-09 2002-10-18 (주)비웨이 공중파 부가방송을 이용한 디지피에스 정보 자료처리부내장형 고정밀 지피에스 칩셋
KR20060070865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위치정보 획득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38936A (ko) * 2005-10-0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초기 위성 신호 획득 방법 및 그에 따른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4487A1 (en) * 2001-11-14 2004-09-08 Rosum Corporation Using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signals to provide gps aiding information
US20040080454A1 (en) * 2002-10-23 2004-04-29 Camp William O.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digital television signals
KR20050122992A (ko) * 2004-06-26 2005-12-29 주식회사중앙시스템 지피에스 겸용 디엠비 수신 장치
KR100677150B1 (ko) * 2004-11-1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804A (ko) * 1998-09-01 2000-04-25 마이클 더블유.세일즈 고속 gps 기반의 측위를 위한 통신 네트워크 초기화 장치및 방법
KR20020078361A (ko) * 2001-04-09 2002-10-18 (주)비웨이 공중파 부가방송을 이용한 디지피에스 정보 자료처리부내장형 고정밀 지피에스 칩셋
KR20060070865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위치정보 획득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38936A (ko) * 2005-10-0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초기 위성 신호 획득 방법 및 그에 따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85876B (zh) 2012-07-18
CN101285876A (zh)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8457B (zh) 卫星定位系统接收机和方法
EP1946140B1 (en) Method for providing assistance data to a mobile station of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US9063223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CN101365957A (zh) 全球导航卫星系统
EP31904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hybrid positioning based on v2x and gnss
JP2009515156A5 (ko)
CN105301950A (zh) 使用gnss的移动设备中的utc时间的快速估计
EP1373922A2 (en) Reduced acquisition time for gps cold and warm starts
CN102437890A (zh) 在车辆中基于实时定位信息管理收音机的方法及系统
KR100773360B1 (ko)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KR101085581B1 (ko)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KR101100834B1 (ko)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JP2007520684A (ja) 移動通信端末機の位置情報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方法
JP400716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750323B1 (ko)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위치 측정 방법
KR20110006051A (ko)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날씨정보 서비스 방법
JP2000081476A (ja) Gps装置
US20110092170A1 (en)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apparatus, communications system, method of purging error data therefor and method of reducing re-tuning delay therefor
KR20140075222A (ko) 인터넷으로 전송된 agps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과 그 장치
TWI440826B (zh) 導航裝置及方法
KR2006007741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
KR20060028140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택시요금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4185567A (ja) 車両運行位置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