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2909B1 -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909B1
KR100772909B1 KR1020060048981A KR20060048981A KR100772909B1 KR 100772909 B1 KR100772909 B1 KR 100772909B1 KR 1020060048981 A KR1020060048981 A KR 1020060048981A KR 20060048981 A KR20060048981 A KR 20060048981A KR 100772909 B1 KR100772909 B1 KR 10077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ilt angle
center point
display area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정
최창규
이광현
김연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909B1/ko
Priority to US11/797,493 priority patent/US8149214B2/en
Priority to JP2007130707A priority patent/JP2007323637A/ja
Priority to EP07108694A priority patent/EP1862921A1/en
Priority to CNA2007101046981A priority patent/CN10108283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909B1/ko
Priority to US13/406,082 priority patent/US886674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방법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가해진 가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소정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기울임각 및 기울임각의 이력(history)에 따라서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검색, 기울임각, 가속도

Description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Image brow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관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함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함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함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함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함수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10 : 감지부 320 : 판별부
330 : 기울임각 측정부 340 : 화면 관리부
510 : 위치 결정부 520 : 복귀부
530 : 전환부 540 : 제어부
본 발명은 이미지 검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기울임각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들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서,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성능 또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저장 용량이 방대해짐에 따라서, 휴대용 디지털 장치가 다량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사용자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하는 일이 일상 생활에서도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나 PMP의 경우에는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이미지를 저장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소정의 화면과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자주 검색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히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점차 소형화 되어가는 추세로 다수의 버튼 장착이 곤란하기 때문에 이미지 검색 시 버튼에 구애 받지 않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작업에 버튼 조작없이 기울임만으로 조작하는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방법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가해진 가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소정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기울임각에 따라서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장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가해진 가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소정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기울임각에 따라서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화면 관리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가 이미지 검색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를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화면(110)에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에 따라서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화면(110)에 디스플레이되는데, 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였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가 기준축(10)을 중심으로 하여 +φ만큼 회전하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된 제1 이미지(210)가 화면(110)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 이미지(210)에 인접한 제2 이미지(220)가 화면(110) 상에 나타나게 되고, 결국 화면(110)에는 제2 이미지(220)가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가 기준축(10)을 중심으로 하여 -φ만큼 회전하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화면(110)에 디스플레이된 제1 이미지(210)가 화면(110)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 이미지(210)에 인접한 제3 이미지(230)가 화면(110) 상에 나타나게 되고, 결국 화면(110)에는 제3 이미지(230)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서 이미지의 검색을 진행시키는 이미지 검색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장치(3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이미지 검색 장치(300)는 감지부(310), 판별부(320), 기울임각 측정부(330), 및 화면 관리부(3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미지 검색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감지부(310)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를 파지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310)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가속도를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감지부(310)는 하나 이상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지부(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서 서로 수직한 세개의 기준축(x축, y축, z축) 방향으로 설치된 세 개의 가속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판별부(320)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에 따라서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이 이미지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도록 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320)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화면 관리부(340)가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화면(110) 상에서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허락한다. 그러나,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판별부(320)는 화면 관리부(340)가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을 이미지의 움직임에 반영시키지 않도록 한다.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는 감지부(310)가 각 기준축에 대하여 측정한 가속도를 병합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한 세개의 기준축 방향으로 측정된 가속도가 각각
Figure 112006038599194-pat00001
,
Figure 112006038599194-pat00002
, 및
Figure 112006038599194-pat00003
라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 A는 수학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112006038599194-pat00004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A는 중력가속도에 해당하는 약
Figure 112006038599194-pat00005
의 값을 갖겠지만, 사용자가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힘을 가하게 되면 적어도 하나의 기준축에 추가적인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의 가속도가 더해지므로 A는
Figure 112006038599194-pat00006
의 값을 갖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예를 들어 손떨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Figure 112006038599194-pat00007
의 크기와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힘을 가할 경우 발생하는
Figure 112006038599194-pat00008
의 크기를 사전 실험을 통해서 계산함으로써 제1 임계치의 적정한 값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경우에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으로 인하여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보다 크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화면(110) 상에서 이미지가 움직이는 현상은 판별부(320)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기울임각 측정부(330)는 소정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을 측정한다.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은 감지부(310)가 소정의 기준축에 대하여 감지한 중력 가속도 성분 간의 비율의 변화량을 통해서 계산될 수 있다. 물론, 자이로스코프나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s)식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을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지 검색 장치(300)는 감지부(310)와 기울임각 측정부(330)이 통합된 하나의 기능성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화면 관리부(340)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회전 방향 및 기울임각에 따라서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화면(110) 상에서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화면 관리부(340)에 의한 이미지의 움직임의 일 실시예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밖에도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회전 방향과 그에 따른 화면(110)상의 이미지의 이동 방향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화면 관리부(340)가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상황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이 일정 크기보다 작을 경우,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이 멈춘 경우, 및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이 일정 크기보다 클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관리부(34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화면 관리부(340)는 위치 결정부(510), 복귀부(520), 전환부(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한다.
위치 결정부(510)는 기울임각 측정부(330)가 측정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에 따라서 화면(110) 상에서 현재의 제어 대상인 이미지의 위치 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510)에 의하여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이 커질수록 화면(110) 상에서 이미지의 움직임(즉 이미지의 이동 거리)도 커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울임각이 클수록 이미지의 위치 변화율이 커지고, 기울임각이 작을수록 이미지의 위치 변화율이 작아진다. 이를 통해서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이 클수록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가 보다 잘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이 제1 임계치보다 크더라도 기울임각의 절대적인 크기가 일정 레벨 이하라면 사용자가 현재 이미지에서 이웃한 이미지로 화면을 이동하려는 의도보다는 현재 이미지를 패닝(panning)하여 감상하려는 의도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기울임각을 갖는 움직임에 대하여는 화면 변화량을 작게 하고, 큰 기울임 움직임에 대하여는 화면 변화량을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비의도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손떨림)에 의해서 화면(110) 상에서 이미지가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현상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판별부(320)의 기술과 더불어서 이미지의 움직임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기울임 동작에 따른 화면상의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510)에서는 사용자에게 마치 그릇 안에 들어있는 구슬을 움직이는 것과 같은 직관성과 실재성을 주기 위하여 기울임 동작에 따른 위치 제어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름을 R로 하는 호(610) 안에 구슬(620)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여기서 구슬(620)은 이미지의 중심점과 대응되고, 호(610)는 화면(110)과 대응된다.
구슬(620)의 움직임은 구슬(620)의 현재 위치로부터 호의 중심점 O까지 이어지는 선분과 기준 선분(630) 간의 각도(이하 사잇각이라 하며, 도 6에서는 θ로 표시되었다)에 의해서 결정된다. 사잇각이 0이면 이미지의 중심점이 화면(110)의 중심점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구슬(620)이 이미지의 중심점에 대응된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사잇각은 이미지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변수이다. 예를 들어 구슬(620)이 호(610) 상에서 이동하는 거리를 이미지의 이동량에 대응시킨다면, 이미지의 이동량은
Figure 112006038599194-pat00009
로 결정될 수 있다.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에 따른 사잇각은 수학식2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수학식2]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0
수학식2에서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1
는 기울임각이고,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2
은 구하고자 하는 사잇각이다. 또한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3
는 기울임각과 사잇각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함수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울임각이 클수록 이미지의 위치 변화율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4
은 이러한 조건을 반영할 수 있는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5
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함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6
에 따르면 기울임각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7
의 절대값이 커질수록 사잇각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8
의 절대값의 증가율이 높아지고, 기울임각이 0에 가까워질수록 사잇각
Figure 112006038599194-pat00019
의 절대값의 증가율이 낮아진다. 이를 통하여 기울임각이 적은 시점에 화면 변화가 적음으로써 이미지 감상시 흔들림을 적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복귀부(520)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 경우, 이미지가 화면(110)의 중심 위치로 복귀하도록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복귀를 위한 기울임 동작이 없더라도 가만히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를 잡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이미지를 화면(110)의 중심 위치에 놓고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복귀부(520)에 의하여 이미지의 움직임이 제어되는 상황에서,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이 길수록 이미지는 화면(110)의 중심점에 점차 가까워지고,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 시점에서 이미지의 중심점이 화면(110)의 중심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짧을수록 이미지가 화면(110)의 중심점에 접근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개념을 이용하면, 복귀부(520)에 의하여 결정되는 사잇각은 수학식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3]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0
수학식3에서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1
는 구하고자 하는 사잇각이고,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2
는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 는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경과한 시간이고,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3
는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 시점에서의 사잇각이다. 또한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4
는 사잇각을 결정하는 함수인데, 그 일 실시예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함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5
에 따르면 시간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6
가 길어질수록 사잇각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7
가 중심점에 0에 가까워지게 된다. 한편, 도시된 도면은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 시점(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8
가 0일 때)에서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29
가 1인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만약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0
가 더 작은 수치라면 그래프의 시작위치가 낮아지게 되며 사잇각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1
가 0에 가까워지는 시간이 더 짧아진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는 화면(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중심점의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진동 폭은 점차 좁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움직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없이 점차 화면(110)의 중심점에 가까워질 수도 있다. 물론, 이미지의 움직임 제어 시 사용자가 실제의 물리적 객체를 다루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의 움직임에 진동의 요소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전환부(530)는 기울임각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을 다음 이미지로 전환한다. 만약 제어 대상이 전환된다면 전환 부(530)는 새롭게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이미지가 점차 화면(110)의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대상이 전환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새로운 이미지가 점차 화면(110)의 중심점에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개념을 이용하면 사잇각은 수학식4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4]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2
수학식4에서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3
는 구하고자 하는 사잇각이고,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4
는 제어 대상이 전환된 때로부터 경과한 시간이다. 또한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5
는 사잇각을 결정하는 함수인데, 그 일 실시예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함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6
에 따르면 시간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7
가 길어질수록 사잇각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8
가 0에 가까워진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는 화면(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중심점의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진동 폭은 점차 좁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움직임은 도 9에 도시된 함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39
와 유사하게 진동 없이 점차 화면(110)의 중심점에 가까워질 수도 있다.
제어부(540)는 위치 결정부(510), 복귀부(520), 및 전환부(530)가 결정한 이 미지의 위치에 따라서 화면(110) 상에서의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540)는 위치 결정부(510), 복귀부(520), 및 전환부(53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정보들을 합성한 결과를 통해서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위치 결정부(510)를 통하여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기울임각의 변화율이 클수록 이미지의 움직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 경우 위치 결정부(510)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가중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0
는 기울임각의 변화율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1
가 클수록 커지게 된다. 가중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2
의 일 실시예를 도 11a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또한, 위치 결정부(510)를 통하여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경우 일정한 방향으로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가 회전한 시간이 길수록 이미지의 움직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 경우 위치 결정부(510)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가중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3
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가 동일 이미지 내에서 기울여진 시간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4
가 길수록 커지게 된다. 가중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5
의 일 실시예를 도 11b에 도시하였다.
전술한 두 가지 가중치를 종합하면 위치 결정부(510)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최종 가중치를 얻을 수 있는데, 최종 가중치는 수학식5를 통해 나타낸 바와 같다.
[수학식5]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6
수학식5에서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7
는 구하고자 하는 최종 가중치이다.
다음으로, 복귀부(520)를 통하여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기울임각의 변화가 없는 시점, 즉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이 없는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8
가 클수록 이미지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귀부(520)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가중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49
는 시간
Figure 112006038599194-pat00050
가 커질수록 감소하며,
Figure 112006038599194-pat00051
의 일 실시예를 도 11c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끝으로, 전환부(530)를 통하여 이미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어 대상이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
Figure 112006038599194-pat00052
가 클수록 이미지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환부(530)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가중치
Figure 112006038599194-pat00053
는 시간
Figure 112006038599194-pat00054
가 커질수록 감소하며,
Figure 112006038599194-pat00055
의 일 실시예를 도 11d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치 결정부(510), 복귀부(520), 및 전환부(530)에 의하여 제공되는 이미지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가중치를 반영하고, 가중치가 반영된 정보들을 합성하면 제어부(540)는 이미지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제어부(540)가 제어하는 이미지의 움직임은 수학식6을 통하여 결 정될 수 있다.
[수학식6]
Figure 112006038599194-pat00056
수학식6에서
Figure 112006038599194-pat00057
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념을 적용할 경우의 사잇각이고, W는 수학식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7]
Figure 112006038599194-pat00058
한편, 제어부(540)는 현재 제어 대상이 되는 이미지(이하 기준 이미지라 한다)뿐만 아니라 기준 이미지에 인접한 이미지(이하 인접 이미지라 한다)에 대한 움직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이미지가 이동하여 화면(110) 상에 일정 크기 이상의 여백이 생기는 경우, 제어부(540)는 기준 이미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인접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이 경우 인접 이미지는 기준 이미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기준 이미지의 움직임에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 어 과정을 도 12에 도시하였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를 기울임으로써 기준 이미지인 제1 이미지(1210)가 화면(110)의 하단으로 이동하면 화면(110)의 상단에 여백이 생긴다. 이 때, 제어부(540)는 제1 이미지(1210)로부터 간격 d만큼 이격된 위치에 인접 이미지인 제2 이미지(1220)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시간 t2참조). 제1 이미지(1210)가 화면(110)의 하단으로 이동할수록 제1 이미지(1210)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좁아지고, 제2 이미지(1220)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넓어진다.
만약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 이상이었다면, 도 11의 시간 t3에서 제어 대상의 전환이 발생한다. 이 경우 제2 이미지(1220)가 기준 이미지가 되고, 제1 이미지(1210)는 인접 이미지가 된다.
제어 대상이 전환된 경우, 제어부(540)는 전환부(530)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서 제2 이미지(1220)를 화면(110)의 중심으로 점차 이동시킨다(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진동 과정은 생략하였다). 이 경우, 인접 이미지인 제1 이미지(1210)는 기준 이미지인 제2 이미지(1220)와 일정 간격 d를 유지하면서 제2 이미지(12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제2 이미지(1220)가 화면(11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이미지 검색 장치(300)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가 이미지 검색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가 움직이면, 감지부(310)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가해진 가속도를 측정한다(S13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축에 대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판별부(320)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에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치보다 큰지 판단한다(S1320). 만약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면,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은 이미지의 검색을 위한 움직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검색 장치(300)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움직임을 이미지의 움직임에 반영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치보다 크다면, 이는 이미지의 검색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울임각 측정부(330)는 소정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100)의 기울임각을 측정한다(S1330). 기울임각은 감지부(310)가 각 기준축에 대하여 측정한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구해질 수 있다.
화면 관리부(340)는 기울임각 측정부(330)가 측정한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큰지 판단한다(S1340). 만약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면 화면 관리부(340)는 기울임각의 크기에 따라서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1350). 이 경우의 이미지의 움직임은 위치 결정부(510)가 제공하는 정보에 주된 영향을 받게 된다.
그 후, 화면 관리부(340)는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지 판단한다(S1360). 기 울임각의 변화 여부는 감지부(310)에 의하여 감지된 가속도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만약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다면 화면 관리부(34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이미지를 점차 화면(110)의 중심으로 이동시킨다(S1370). 이 경우의 이미지의 움직임은 복귀부(520)가 제공하는 정보에 주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약 과정 S1360의 판단 결과 기울임각에 변화가 생기면, 과정 S1340으로 돌아가서 변화된 기울임각을 제2 임계치와 비교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한편, 과정 S1340에서의 판단 결과,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큰 경우, 화면 관리부(340)는 인접 이미지가 기준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제어 대상을 전환하고(S1380), 새로운 기준 이미지를 화면(110)의 중심으로 이동시킨다(S1390). 이 경우의 이미지의 움직임은 전환부(530)가 제공하는 정보에 주된 영향을 받게 된다.
그 후, 이미지 검색 작업에 대한 종료가 요청되지 않으면(S1395), 다시 과정 S1310에서부터 이미지 검색 과정이 반복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미지 검색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을 지칭하는 '~부'는 일종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작업에 있어 버튼을 누리지 않고도 검색할 수 있다는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기울임각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이미지의 위치 변화가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이미지 검색 시 이미지의 움직임을 안정화시키는 장점도 있다.
넷째, 이미지 검색 시 사용자에게 물리적인 객체를 다루는 듯한 느낌을 줌으로써 실감성을 증대시키는 장점도 있다.

Claims (23)

  1.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가해진 가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소정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기울임각에 따라서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기울임각이 클수록 상기 이미지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기울임각이 클수록 상기 이미지의 이동 거리의 증가 비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기울임각의 변화시간이 길수록 상기 이미지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기울임각의 변화율이 클수록 상기 이미지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의 중심점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에 점진적으로 접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중심점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변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에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이미지에 인접한 다음 이미 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울임각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커진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상기 다음 이미지의 중심점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에 점진적으로 접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다음 이미지의 중심점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변동하면서 상기 중심점에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12.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가해진 가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가속도의 크기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소정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기울임각에 따라서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화면 관리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기울임각이 클수록 상기 이미지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는, 이미지 검색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기울임각이 클수록 상기 이미지의 이동 거리의 증가 비율을 증가시키는, 이미지 검색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기울임각의 변화시간이 길수록 상기 이미지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이미지 검색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기울임각의 변화율이 클수록 상기 이미지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이미지 검색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이미지 검색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기울임각에 변화가 없는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의 중심점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에 점진적으로 접근시키는, 이미지 검색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이미지의 중심점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변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에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각이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이미지에 인접한 다음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이미지 검색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기울임각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커진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상기 다음 이미지의 중심점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에 점진적으로 접근시키는, 이미지 검색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리부는 상기 다음 이미지의 중심점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변동하면서 상기 중심점에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2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각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KR1020060048981A 2006-05-30 2006-05-30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772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981A KR100772909B1 (ko) 2006-05-30 2006-05-30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US11/797,493 US8149214B2 (en) 2006-05-30 2007-05-03 Method, medium and apparatus browsing images
JP2007130707A JP2007323637A (ja) 2006-05-30 2007-05-16 イメージ検索方法及び装置
EP07108694A EP1862921A1 (en) 2006-05-30 2007-05-22 Method, medium and apparatus browsing images
CNA2007101046981A CN101082837A (zh) 2006-05-30 2007-05-29 浏览图像的方法、介质和设备
US13/406,082 US8866741B2 (en) 2006-05-30 2012-02-27 Method, medium and apparatus for browsing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981A KR100772909B1 (ko) 2006-05-30 2006-05-30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909B1 true KR100772909B1 (ko) 2007-11-05

Family

ID=3832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981A KR100772909B1 (ko) 2006-05-30 2006-05-30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149214B2 (ko)
EP (1) EP1862921A1 (ko)
JP (1) JP2007323637A (ko)
KR (1) KR100772909B1 (ko)
CN (1) CN1010828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926A (ko) * 2010-08-24 2012-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4622A3 (en) * 2006-10-16 2012-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list on picture plane
AU2007249153B2 (en) * 2007-12-20 2010-08-26 Canon Kabushiki Kaisha A method of browsing media items using thumbnails
WO2009084213A1 (ja) * 2007-12-28 2009-07-09 Capcom Co., Ltd.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8217964B2 (en) 2008-02-14 2012-07-10 Nokia Corpora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based on display screen orientation
US9513704B2 (en) 2008-03-12 2016-12-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ally enabled user interface
JP5537044B2 (ja) * 2008-05-30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343034B2 (en) * 2008-06-07 2016-05-17 Nokia Technologies Oy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table screen view
US8890802B2 (en) * 2008-06-10 2014-11-18 Intel Corporation Device with display position input
JP4636131B2 (ja) * 2008-07-04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02475B2 (ja) * 2008-12-25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JP5793426B2 (ja) * 2009-01-29 2015-10-14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との物理的相互作用を解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GB2467578A (en) 2009-02-06 2010-08-11 Sony Corp Determining, based on the status of a handheld device, users of other network devices who the user of the handheld device may be interested in contacting.
GB2467577A (en) 2009-02-06 2010-08-11 Sony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location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when tilted
JP5520512B2 (ja) * 2009-04-09 2014-06-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601040B1 (ko) * 2009-05-19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20151415A1 (en) * 2009-08-24 2012-06-14 Park Yong-Gook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motion and device adopting the method
CN102043569A (zh) * 2009-10-26 2011-05-04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大尺寸图像的浏览装置及其方法
CN102109948B (zh) * 2009-12-28 2013-08-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行动装置及其文件阅读辅助方法
US9564075B2 (en) 2009-12-30 2017-02-07 Cyweemotion Hk Limited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sively controlling media content displayed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413250B2 (ja) 2010-03-05 2014-02-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R112012023540B1 (pt) 2010-03-18 2019-07-09 Nokia Technologies Oy Um alojamento de um dispositivo eletrônico portátil
JP5754074B2 (ja) * 2010-03-19 2015-07-2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376290B (zh) * 2010-08-05 2014-01-22 宏碁股份有限公司 结合感测器的数据浏览系统及方法
EP2423796B1 (en) * 2010-08-24 2019-10-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JP5635850B2 (ja) * 2010-09-16 2014-12-0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743632B1 (ko) 2010-10-01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책 페이지 넘김 장치 및 방법
EP2437151B1 (en) 2010-10-01 2020-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US9678572B2 (en) * 2010-10-01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TW201220174A (en) * 2010-11-15 2012-05-16 Ind Tech Res Inst Graphical user interface in multimedia apparatus and graphic object brows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JP5742187B2 (ja) * 2010-11-26 2015-07-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85883B2 (en) * 2011-03-01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display content based on viewing orientation
JP4966421B1 (ja) * 2011-03-31 2012-07-0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9110580B2 (en) * 2011-08-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529816B2 (ja) * 2011-08-31 2014-06-25 楽天株式会社 携帯型再生装置、携帯型再生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13084029A (ja) * 2011-10-06 2013-05-09 Sony Corp 表示制御装置
JP2013214234A (ja) * 2012-04-03 2013-10-17 Sony Corp 移動制御装置、移動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80059B1 (ko) * 2012-05-02 201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058103B2 (en) * 2012-07-25 2015-06-16 Facebook, Inc. Gestures for keyboard switch
EP2916204A4 (en) * 2012-10-31 2016-06-29 Warld Ltd IMAGE DISPLAY SYSTEM, ELECTRONIC DEVICE, PROGRAM, AND IMAGE DISPLAY METHOD
TWI540492B (zh) 2012-12-20 2016-07-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以及電子裝置控制方法
CN103885685B (zh) * 2012-12-24 2017-12-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页面处理方法和装置
CN103914220B (zh) * 2013-01-05 2017-09-26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电子装置控制方法
JP6219037B2 (ja) * 2013-02-06 2017-10-25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3235681B (zh) * 2013-04-25 2019-08-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列表界面的方法及装置
US9181760B2 (en) 2013-07-24 2015-11-10 Innovations, Inc. Motion-based view scrolling with proportional and dynamic modes
US10126839B2 (en) 2013-07-24 2018-11-13 Innoventions, Inc. Motion-based view scrolling with augmented tilt control
US20150062178A1 (en) * 2013-09-05 2015-03-05 Facebook, Inc. Tilting to scroll
US9299103B1 (en) * 2013-12-16 2016-03-29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image browsing
US9865033B1 (en) 2014-01-17 2018-01-09 Amazon Technologies, Inc. Motion-based image views
US20150213784A1 (en) * 2014-01-24 2015-07-30 Amazon Technologies, Inc. Motion-based lenticular image display
CN104244045B (zh) 2014-09-28 2016-02-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视频画面呈现的方法及装置
US10782859B2 (en) * 2015-12-14 2020-09-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gesture based word sentence augmentation and systems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CN107797652B (zh) * 2016-09-05 2020-03-03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调整显示效果的方法、装置及终端
WO2018122896A1 (ja) * 2016-12-26 2018-07-05 千葉 信行 電子機器における情報の表示方法および操作方法
CN110187781B (zh) * 2019-05-30 2022-09-06 携程旅游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以瀑布流方式显示图片的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US11328693B2 (en) 2019-07-19 2022-05-1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Image display device, method,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mobile termin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6920A2 (en) 2000-05-12 2001-11-15 Zvi Lapidot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kinematic control of hand-held devices
JP2004120514A (ja)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端末装置
KR20050060923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68663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조작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EP1583333A2 (en) 2004-03-31 2005-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for searching data based on rotation degreee and a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754A (ja) * 1993-08-24 1995-03-10 Hitachi Ltd 小型情報処理装置
GB9620464D0 (en) 1996-10-01 1996-11-20 Philips Electronics Nv Hand held image display device
US7152210B1 (en) * 1999-10-20 2006-12-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of browsing an image collection
FI117488B (fi) * 2001-05-16 2006-10-31 Myorigo Sarl Informaation selaus näytöllä
TWI313835B (en) 2002-06-04 2009-08-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relative to a user's input device and related input device,mobile phone apparatus, cordless phone apparatus, laptor computer, mouse and remote control
US20050222802A1 (en) * 2002-08-27 2005-10-06 Yasuhiro Tamura Mobile terminal apparatus
JP4014504B2 (ja) * 2002-12-27 2007-11-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力覚付与型入出力装置
FI20045078L (fi) * 2004-03-16 2005-09-17 Myorigo Oy Laajakulmaoptiikalla ja säteilysensorilla varustettu mobiililaite
KR100774479B1 (ko) 2004-07-06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
US7958456B2 (en) * 2005-12-23 2011-06-07 Apple Inc. Scrolling list with floating adjacent index symbo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6920A2 (en) 2000-05-12 2001-11-15 Zvi Lapidot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kinematic control of hand-held devices
JP2004120514A (ja)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端末装置
KR20050060923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68663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조작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EP1583333A2 (en) 2004-03-31 2005-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for searching data based on rotation degreee and a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926A (ko) * 2010-08-24 2012-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8533B1 (ko) * 2010-08-24 201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323637A (ja) 2007-12-13
US8149214B2 (en) 2012-04-03
US8866741B2 (en) 2014-10-21
US20070290999A1 (en) 2007-12-20
EP1862921A1 (en) 2007-12-05
US20120154271A1 (en) 2012-06-21
CN101082837A (zh)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909B1 (ko)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406289B1 (ko) 스크롤 기반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
EP3042275B1 (en) Tilting to scroll
US10095316B2 (en) Scrolling and zooming of a portable device display with device motion
US10101873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user interface func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70075436A1 (en) Viewing Images with Tilt Control on a Hand-Held Device
KR20150000632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2402328A (zh) 信息处理装置、程序以及控制方法
JP2006113859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RU2009104550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ключаемым трехмерным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 интерфейсом и использующий его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US20160078850A1 (en) Display Rotation Management
JP572886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105818A (ko) 데스크톱 컨테이너 페이지들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JP2014029522A (ja) 電子情報端末および電子情報端末の表示方法
US201700766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isplay screen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JP2012058332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049173B (zh) 内容选择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9753199A (zh) 一种应用页面展示方法及移动终端
KR101530517B1 (ko)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 아이콘 위치 조정 방법
US9413870B2 (e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ttribute of application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KR101383537B1 (ko) 이동 단말의 화면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화면 전환 장치
CN105068740A (zh) 一种页面切换的方法及智能手表
JP2021077171A (ja)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461005B2 (en)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1520812B1 (ko) 스크롤 기반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