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2886B1 -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886B1
KR100772886B1 KR1020060105333A KR20060105333A KR100772886B1 KR 100772886 B1 KR100772886 B1 KR 100772886B1 KR 1020060105333 A KR1020060105333 A KR 1020060105333A KR 20060105333 A KR20060105333 A KR 20060105333A KR 100772886 B1 KR100772886 B1 KR 10077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etwork
network information
nodes
request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886B1/ko
Priority to US11/828,781 priority patent/US7933278B2/en
Priority to CN200710167549XA priority patent/CN10117946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based on s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 구성된 네트워크에 새로운 노드가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여 새로운 노드에 제공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가장 양호한 목적 노드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분산 무선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정보, 사용자 패턴

Description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information}
도 1은 종래의 분산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산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가 계층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노드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우선 순위가 결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0 : 통신부
520 : 저장부
530 : 제어부
540 : 패킷 생성부
550 : 정보 갱신부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 구성된 네트워크에 새로운 노드가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여 새로운 노드에 제공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전화망,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브로(WiBro)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 무선 네트워크의 등장으로 이동 단말기(이하, 노드라 한다)간의 동등 계층(Peer-to-Peer)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즉,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은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새로운 노드가 기 구성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새로운 노드의 네트워크 접속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산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 구성된 네트워 크에 새로운 노드(10)가 접속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 개의 노드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새로운 노드(10)가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새로운 노드(1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른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15)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진입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노드 1(11)과 노드 2(12)의 네트워크 정보(15)를 가지고 있는 경우 새로운 노드(10)는 우선 노드 1(11)로 연결을 시도하고, 노드 1(11)로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노드 2(12)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1(11)은 이미 많은 다른 노드들과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새로운 노드(10)가 노드 1(11)에 연결되면 노드 1(11)은 메모리 자원 또는 네트워크 자원 등의 부족으로 인하여 올바른 동작을 수행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새로운 노드(10)가 노드 2(12)에 연결을 시도하는 순간 노드 2(12)가 네트워크에서 벗어나게 되면, 새로운 노드(10)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은 실패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한 노드 예를 들면, 연결된 다른 노드의 수가 적거나 이후로도 계속 네트워크에 접속할 것으로 기대되는 노드로 새로운 노드(10)가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새로운 노드(10)가 노드 1(11) 및 노드 2(12)에 동시에 연결을 시도하는 방법이나 두 번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들이 주기적으로 자신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송수신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복수 개의 노드에 동시에 연결하는 방법은 연결된 노드들에 의하여 루프가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루프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들에 오버헤드(overhead)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노드들간에 네트워크 상태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자체의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세 번째, 노드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별도의 장치가 새로운 노드(10)로 수집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이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조건이 만족되어야 하고 또한, 노드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대역을 사용하므로 두 번째 방법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자체의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부하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제한하면서 별도의 장치 없이도 새로운 노드(10)가 유효한 노드로 연결을 시도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 구성된 네트워크에 새로운 노드가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여 새로운 노드에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구성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별로 사용자 패턴을 부여하고, 이에 따른 정보를 새로운 노드에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가장 양호한 목적 노드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로의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기 위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노드 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가장 양호한 목적 노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 구성된 네트워크에 새로운 노드(200)가 접속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새로운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290)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노드(200)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도 2의 새로운 노드(200)는 노드 1(210)의 네트워크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가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정보(290)는 노드의 주소 정보,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 네트워크에 접속 후 지속된 시간 및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이는 해당 노드의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하는 자료로 이용된다. 네트워크 정보(29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새로운 노드(200)가 노드 1(210)로 연결을 시도함에 따라 노드 1(210)은 새로운 노드(200)로 응답 패킷을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노드(200)와 노드 1(210)간에는 세션이 구성된다.
새로운 노드(200)와의 세션 구성 후, 노드 1(210)은 자신과 이미 연결되어 있는 노드 2 (220)및 노드 4(240)로 네트워크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는 패킷(이하, 갱신 요청 패킷이라 한다)을 송신한다. 즉, 노드 1(210)은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노드 2(220) 및 노드 4(240)로 하여금 기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적용하여 갱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노드 1(210)로부터 갱신 요청 패킷을 수신한 노드 2(220)는 수신된 갱신 요청 패킷에 포함된 노드 1(210)의 네트워크 정보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에 적용하여 갱신하고, 자신과 이미 연결되어 있는 노드 6(260) 및 노드 7(270)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다.
또한, 노드 4(240)는 수신된 갱신 요청 패킷에 포함된 노드 1(210)의 네트워크 정보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에 적용하여 갱신하고, 자신과 이미 연결되어 있는 노드 3(230) 및 노드 5(250)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다.
여기서, 노드 2(220) 및 노드 4(240)에 의하여 각각 송신되는 갱신 요청 패킷은 노드 2(220) 및 노드 4(240)에 의하여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된 갱신 요청 패킷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은 서로 트리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는데, 도 3은 분산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210, 220, 230, 240, 250, 260, 270)가 계층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새로운 노드(200)로부터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받은 노드 1(210)이 최상위 계층에 위치하고 있고, 노드 1(210)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 2(220) 및 노드 4(240)가 그 다음 계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노드 2(220) 및 노드 4(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노드 3(230), 노드 4(240), 노드 5(250), 노드 6(260) 및 노드 7(270) 이 그 다음 계층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신 요청 패킷(310)은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진행하고, 요청에 따른 응답인 네트워크 정보(320)는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진행하는데, 각 계층의 노드는 하위 계층의 노드에게 네트워크 정보의 갱신을 요청한 후 하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자신에게 연결된 모든 하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 노드는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상위 계층의 노드로 송신한다. 한편, 최하위 계층에 존재하는 노드 3(230), 노드 5(250), 노드 6(260) 및 노드 7(270)은 자신들에게 연결되어 있는 노드가 오로지 자신들의 상위 계층에 있는 노드 2(220) 또는 노드 4(24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정보의 갱신 요청을 수행하지 않고 자신들이 갱신한 네트워크 정보만을 상위 계층의 노드로 송신한다.
이 때, 하위 계층의 노드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 노드는 하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소정 임계 시간 이내에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네트워크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2(220)가 노드 6(260) 및 노드 7(270)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 후 노드 6(260)으로부터는 임계 시간 이내에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였지만, 노드 7(270)로부터는 임계 시간 이내에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노드 2(220)는 노드 7(270)의 네트워크 정보를 무시하고 노드 6(260)으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정보만을 노드 1(210)로 송신하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설명하면, 노드 2(220) 및 노드 4(24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 노드 1(210)은 각 네트워크 정보를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 를 생성한다.
그리고, 노드 1(210)은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전체 노드 중 가장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한 하나의 노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노드의 주소 정보를 새로운 노드(20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노드(200)는 노드 1(210)로부터 수신한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노드(이하, 목적 노드라 한다)로 연결을 시도하게 되는데, 목적 노드는 네트워크 상태가 안정적인 것으로 기대되므로, 새로운 노드(200)는 원활하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노드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새로운 노드(20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하는 노드인 노드 1(210)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패킷(이하, 접속 요청 패킷이라 한다)을 송신하고(S402), 이에 따라 노드 1(210)은 응답 패킷을 새로운 노드(200)로 송신함으로써(S411) 새로운 노드(200)와 노드 1(210)간에 세션이 구성된다.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패킷을 송신함에 있어서, 새로운 노드(200)는 타이머 1을 실행시키는데(S4010, 만일 임계 시간 이내에 노드 1(210)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른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수도 있다.
한편, 노드 1(210)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한 새로운 노드(200)는 타이머 1을 종료하고 타이머 2를 실행시킨다(S403). 타이머 2는 노드 1(210)로부터 목적 노 드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기까지의 임계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이머 2의 임계 시간은 송신된 패킷이 네트워크를 순회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로운 노드(200)와 세션을 구성한 노드 1(210)은 타이머 3을 실행시키고(S412), 자신의 하위 계층에 존재하고 있는 노드 2(220) 및 노드 4(240)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다(S413). 여기서, 타이머 3은 노드 2(220) 및 노드 4(24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기까지의 임계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노드 1(210)로부터 갱신 요청 패킷을 수신한 노드 2(220) 및 노드 4(240)는 수신된 갱신 요청 패킷에 포함된 노드 1(210)의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들이 저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한다(S421).
그리고, 노드 2(220) 및 노드 4(240)는 각각 타이머 4를 실행 시키고(S422), 자신들의 하위 계층에 존재하고 있는 노드 3(230), 노드 5(250), 노드 6(260) 및 노드 7(270)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다(S423). 여기서, 타이머 4는 노드 3(230), 노드 5(250), 노드 6(260) 및 노드 7(27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기까지의 임계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노드 2(220) 및 노드 4(240)에 의하여 송신되는 갱신 요청 패킷에는 노드 2(220) 및 노드 4(240)에 의하여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서, 노드 3(230), 노드 5(250), 노드 6(260) 및 노드 7(270)은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431).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한 노드 3(230), 노드 5(250), 노드 6(260) 및 노드 7(270)은 자신들의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노드인 노드 2(220) 또는 노드 4(240)로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한다(S432).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노드 2(220) 및 노드 4(240)는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데(S424), 갱신 요청 패킷의 송신 후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여, 만일 임계 시간이 초과한 경우 해당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를 무시하고, 임계 시간이 초과하지 않은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만을 노드 1(210)로 송신할 수 있다. 임계 시간의 초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노드 2(220) 및 노드 4(240)는 타이머 4를 참조할 수 있다.
노드 2(220) 및 노드 4(240)로부터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노드 1(210)은 타이머 3을 참조하여 갱신 요청 패킷의 송신 후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여, 만일 임계 시간이 초과한 경우 해당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를 무시하고, 임계 시간이 초과하지 않은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만을 이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한다. 임계 시간의 초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노드 1(210)은 타이머 3을 참조할 수 있다.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한 노드 1(210)은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각 노드의 성능을 참조하여 목적 노드를 추출한다(S414). 즉,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 및 네트워크에 접속 후 지속된 시간 등을 참조하여 추출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목적 노드의 추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가 새로운 노드(200)로 송신되고(S415), 새로 운 노드(200)는 수신된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는 통신부(510), 저장부(520), 제어부(530), 패킷 생성부(540) 및 정보 갱신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520)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저장부(520)에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의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로서,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계층 구조로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노드 2(220)의 저장부(520)에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는 노드 2(220)의 네트워크 정보뿐만 아니라 노드 1(210), 노드 6(260) 및 노드 7(270)의 네트워크 정보까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노드 1(210)의 경우 자신의 하위 계층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노드 1(210)로부터 갱신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노드 2(220)의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로 갱신될 수도 있다.
저장부(52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 을 수도 있다.
패킷 생성부(540)는 갱신 요청 패킷 또는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된 응답 패킷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가 도 2의 노드 1(210)인 경우 패킷 생성부(540)는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가 포함된 응답 패킷을 생성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가 도 2의 새로운 노드(200)인 경우 패킷 생성부(540)는 접속 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도 있다.
통신부(510)는 다른 노드와 통신하여 패킷 생성부(540)에 의하여 생성된 갱신 요청 패킷 또는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된 응답 패킷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가 도 2의 노드 1(210)인 경우 통신부(510)는 새로운 노드(200)로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가 포함된 응답 패킷을 송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가 도 2의 새로운 노드(200)인 경우 통신부(510)는 접속 요청 패킷을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510)와 다른 노드간의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홈 RF, 무선 랜 및 와이브로(WiBro)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정보 갱신부(550)는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적용하여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 갱신부(550)에 의한 네트워크 정보 갱신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함에 따른 제어부(5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함에 있어서, 정보 갱신부(550)는 갱신 요청 패킷이 송신된 시간과 갱신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의 수신 시간의 차이를 참조할 수 있다. 즉, 그 차이가 소정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정보 갱신부(550)는 해당 노드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 작업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정보 갱신부(550)는 하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하위 계층의 노드에 대하여 기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제어부(530)는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가장 양호한 목적 노드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는 하위 계층의 노드로 갱신 요청 패킷이 송신되고 그에 따른 응답으로 하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가 적용되어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530)는 정보 갱신부(550)에 의하여 갱신된 최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목적 노드의 추출을 수행하는 것이다.
목적 노드를 추출함에 있어서, 제어부(530)는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각 노드의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와 네트워크에 접속 후 지속된 시간을 참조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가장 높은 우선 순위에 포함되는 노드를 목적 노드로 결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를 나타낸 테이블로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600)은 노드 번호(615), 주소 정보(620), 메모리의 크기(625),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630), 현재 연결된 노드의 수(635),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와 현재 연결된 노드의 수의 차이에 대한 제 1 가중치(640), 네트워크에 접속 후 지속된 제 1 시간(645), 네트워크에 접속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 2 시간에 대한 제 2 가중치(650), 네트워크에서 접속을 해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 3 시간에 대한 제 3 가중치(655) 및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된 시각(6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주소 정보(620)는 노드간의 통신 시에 이용될 수 있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IP 주소 및 포트 번호 등이 주소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의 크기(625)는 노드에 구비된 메모리의 용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메모리의 크기(625)가 클수록 보다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도 일종의 노드이므로, 메모리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의 저장부(520)를 의미할 수 있다.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630)는 특정 노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동시에 연결되어 통신 가능한 다른 노드의 최대 수를 의미한다.
현재 연결된 노드의 수(635)는 특정 노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현재 동시에 연결되어 통신 중인 다른 노드의 수를 의미한다.
제 1 가중치(640)는 각 노드별로 부여된 고유한 값으로서, 메모리의 크기(625) 및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630) 등을 참조하여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의 크기(625)가 크고,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630)가 큰 경우 제 1 가중치(640)는 낮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 시간(645)은 특정 노드가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연결을 지속한 시간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제 2 시간 및 제 3 시간은 각각 특정 노드가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작한 후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임의의 시간 및 특정 노드가 네트워크에서 접속을 해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임의의 시간으로서, 전체 노드의 평균 접속 지속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각 노드가 동일한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노드의 평균 접속 지속 시간이 300초라고 할 때, 대부분의 노드는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작한 후 300초가 경과하면 접속을 해제할 것으로 기대될 수 있으므로, 제 3 시간은 300초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노드가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연결을 지속한 시간이 300초 주변인 경우 해당 노드는 곧 네트워크에서 접속을 해제할 것으로 기대될 수 있는 것이다.
제 3 시간이 300초로 결정됨에 따라, 제 2 시간은 0초에서 300초 사이의 임의의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시간은 100초 또는 150초로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특정 노드가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연결을 지속한 시간이 100초 또는 150초인 경우 해당 노드는 아직 네트워크에 접속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시간은 후술하는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 2 가중치(650) 및 제 3 가중치(655)는 각각 제 2 시간 및 제 3 시간에 대하여 노드별로 부여되는 고유한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노드 1(210)의 사용자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지속 시간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고, 노드 2(220)의 사 용자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지속 시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갖는 경우 노드 1(210)에 부여된 제 2 가중치(650) 및 제 3 가중치(655)는 높은 값을 갖게 되고, 노드 2(220)에 부여된 제 2 가중치(650) 및 제 3 가중치(655)는 낮은 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즉, 제 2 가중치(650) 및 제 3 가중치(655)는 노드별 사용자의 패턴을 수치로 설정한 것이다.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된 시각(660)은 상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갱신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기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새롭게 갱신한 시점을 의미한다.
목적 노드를 추출함에 있어서, 제어부(530)는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된 시각(660)을 참조할 수 있는데, 특정 노드에 대하여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된 시각(660)과 현재 시각 차이가 큰 경우 제어부(530)는 해당 특정 노드를 목적 노드의 추출에서 우선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우선 순위가 결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로축은 연결된 노드의 수를 의미하고, 세로축은 네트워크에 접속 후 연결이 지속된 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가로축은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710)로 분할되고, 세로축은 제 2 시간(720) 및 제 3 시간(730)으로 분할되는데, 이와 같은 분할에 따라 6개의 영역이 생성되고 각 영역별로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
또한, 우선 순위는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710) 미만인 영역이 이상인 영역보다 높게 부여되고, 네트워크에 접속 후 연결이 지속된 시간이 작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게 부여된다. 도 7에서 영역 내에 기재된 숫자는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710), 제 2 시간(720) 및 제 3 시간(730)은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는 모든 노드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고정된 값을 갖는다.
한편, 각 노드는 메모리의 크기 및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에 따라 다른 노드와 연결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각 노드별로 제 1 가중치가 부여된다. 즉, 제 1 가중치는 노드별로 서로 다른 값을 갖는 것이다.
또한, 각 노드의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 후 연결을 지속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 2 시간(720)에 적용되는 제 2 가중치와 제 3 시간(730)에 적용되는 제 3 가중치가 노드별로 부여된다.
도 7의 각 영역에 대한 우선 순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순위 1 : s<l n β , c n γ
우선 순위 2 : l n β≤s n α , c n γ
우선 순위 3 : s≥δ n α , c n γ
우선 순위 4 : s<l n β , c≥σ n γ
우선 순위 5 : l n β≤ s n α , c≥σ n γ
우선 순위 6 : s≥δ n α , c≥σ n γ
여기서, sc는 도 7의 세로축 및 가로축으로서 각각 네트워크에 접속 후 연결이 지속된 시간 및 연결된 노드의 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α 및 β는 각각 제 3 시간(730) 및 제 2 시간(720)을 의미한다. 그리고, l n 및 δ n 는 각각 n번째 노드의 제 2 가중치 및 제 3 가중치를 의미하고, σ n 및 γ는 각각 제 1 가중치 및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710)를 의미한다.
즉,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의 제어부(530)는 갱신되어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각 노드별로 위와 같은 우선 순위를 적용하여 목적 노드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제어부(530)는 각 노드의 작업 능력과 사용자 패턴이 반영된 목적 노드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530)에 의하여 추출된 최상위 우선 순위에 포함된 목적 노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는데 이 때, 통신부(510)는 최상위 우선 순위에 포함된 모든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를 새로운 노드(2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최상위 우선 순위에 포함된 목적 노드는 하나도 없을 수 있는데 이 때, 제어부(530)는 우선 순위를 낮추어 가며 목적 노드를 추출하여 최대한 높은 우선 순위에 포함된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를 새로운 노드(200)로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를 새로운 노드(200)에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500)의 통신부(510)는 우선 새로운 노드(200)로부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한다(S810).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패킷 생성부(540)는 갱신 요청 패킷을 생성한다(S820). 여기서, 갱신 요청 패킷에는 저장부(520)에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생성된 갱신 요청 패킷은 통신부(510)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노드로 송신된다(S830). 갱신 요청 패킷이 송신되면서 네크워크 정보 제공 장치에 구비된 타이머(미도시)가 실행될 수 있다. 갱신 요청 패킷이 송신됨에 따라, 이를 수신한 다른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된 응답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데(S840), 이를 이용하여 정보 갱신부(550)는 저장부(520)에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한다(S850).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함에 있어서, 정보 갱신부(550)는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못한 응답 정보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 작업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되면 제어부(530)는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상태가 가장 양호한 목적 노드를 추출한다(S860). 목적 노드 추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정보 갱신부(550)는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된 응답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도 갱신에 포함시킬 수 있는데, 제어부(530)는 네트워크 정보에 기재된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된 시각을 참조하여 해당 네트워크 정보를 반영시키기 않고 목적 노드 추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목적 노드가 추출됨에 따라, 패킷 생성부(540)는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은 통신부(510)를 통하여 송신된다(S870).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새로운 노드(200)는 목적 노드로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데, 목적 노드는 네트워크에 포함된 노드 중 네트워크 상태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므로, 새로운 노드(200)는 원활하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새로운 노드(200)로부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530)는 곧바로 패킷 생성부(540)로 하여금 갱신 요청 패킷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 저장부(520)에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의 갱신 시각을 확인하여, 그 시각이 현재 시각과 차이가 크지 않다면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만으로 목적 노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 구성된 네트워크에 새로운 노드가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여 새로운 노드에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노드의 네트워크 접속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기 구성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별로 사용자 패턴을 부여하고 이에 따른 정보를 새로운 노드에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노드로 하여금 최초로 연결되는 노드의 유효성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9)

  1. 삭제
  2. 네트워크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가장 양호한 목적 노드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주소 정보;
    메모리의 크기;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
    현재 연결된 노드의 수;
    상기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와 상기 현재 연결된 노드의 수의 차이에 대한 제 1 가중치;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후 지속된 제 1 시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 2 시간에 대한 제 2 가중치;
    상기 네트워크에서 접속을 해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 3 시간에 대한 제 3 가중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에 상기 노드별로 부여된 상기 제 1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노드의 제 1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시간에 상기 노드별로 부여된 상기 제 2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제 3 시간에 상기 노드별로 부여된 상기 제 3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노드의 제 2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목적 노드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목적 노드를 추출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기 위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노드 중 현재 연결된 노드로 상기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 후 임계 시간 이내에 특정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지 않고 상기 추출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트리 구조로 연결된 상기 노드 중 상위 계층의 노드에서 하위 계층의 노드로 송신된 갱신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수집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의 노드는 상기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 후 임계 시간 이내에 특정 하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하위 계층의 노드에 대하여 기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삭제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 치.
  11. 삭제
  12. 네트워크로의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기 위한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노드 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가장 양호한 목적 노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노드의 주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주소 정보;
    메모리의 크기;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
    현재 연결된 노드의 수;
    상기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와 상기 현재 연결된 노드의 수의 차이에 대한 제 1 가중치;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후 지속된 제 1 시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 2 시간에 대한 제 2 가중치;
    상기 네트워크에서 접속을 해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 3 시간에 대한 제 3 가중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가능한 최대 노드의 수에 상기 노드별로 부여된 상기 제 1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노드의 제 1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시간에 상기 노드별로 부여된 상기 제 2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제 3 시간에 상기 노드별로 부여된 상기 제 3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노드의 제 2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목적 노드가 추출되 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목적 노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 중 현재 연결된 노드로 상기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 후 임계 시간 이내에 특정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노드의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지 않고 상기 추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트리 구조로 연결된 상기 노드 중 상위 계층의 노드에서 하위 계층의 노드로 송신된 갱신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수집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의 노드는 상기 갱신 요청 패킷을 송신한 후 임계 시간 이내 에 특정 하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하위 계층의 노드에 대하여 기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삭제하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방법.
KR1020060105333A 2006-10-27 2006-10-27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72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333A KR100772886B1 (ko) 2006-10-27 2006-10-27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828,781 US7933278B2 (en) 2006-10-27 2007-07-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information
CN200710167549XA CN101179463B (zh) 2006-10-27 2007-10-26 提供网络信息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333A KR100772886B1 (ko) 2006-10-27 2006-10-27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886B1 true KR100772886B1 (ko) 2007-11-05

Family

ID=3906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333A KR100772886B1 (ko) 2006-10-27 2006-10-27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33278B2 (ko)
KR (1) KR100772886B1 (ko)
CN (1) CN1011794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045A1 (ko) * 2014-03-18 2015-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3905B2 (en) * 2007-06-15 2012-07-31 Silver Spring Networks, Inc. Load management in wireless mesh communications networks
JP5260070B2 (ja) * 2008-02-05 2013-08-14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ネットワーク構築方法およびゲ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836184B2 (en) * 2008-05-15 2010-11-16 Ray-V Technologies, Ltd. Method for managing the allocation of resources to channel swarms in a peer-to-peer network
JP5112229B2 (ja) * 2008-09-05 2013-0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配信装置、端末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5080406B2 (ja) * 2008-09-05 2012-11-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配信装置、端末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方法
US10764942B2 (en) * 2015-04-09 2020-09-01 Echelon Corporatio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sioned networking
CN110266438B (zh) * 2019-07-01 2022-11-18 深圳市迅雷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770738B2 (en) * 2021-05-12 2023-09-26 Itron, Inc. Targeted parent selection for battery-powered de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550A (ja) * 1996-03-05 1997-11-18 Digital Vision Lab:Kk 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20090467A (ko) * 2001-05-25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피엔에이 데이터 프레임 전송방법
US20040052238A1 (en) 2002-08-30 2004-03-18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transferring session speed and state information between access and home networks
KR20040053850A (ko) * 2002-12-16 200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odv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가중치에 의한 경로 설정방법
KR20060025286A (ko) * 2004-09-15 2006-03-21 주식회사 이지씨앤씨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분산 전송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60078418A (ko) * 2004-12-31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597A (en) * 1991-03-08 1993-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nchronizing asynchronous protocol interactions between peer layers in different nodes of a layered communication network
US6577634B1 (en) * 1998-07-01 2003-06-10 Hitachi, Ltd. Method for sharing network information and a router apparatus
JP4804672B2 (ja) * 2001-08-29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モバイルip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290467Y1 (ko) 2002-07-03 2002-09-28 전정욱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
CN100364340C (zh) 2002-09-17 2008-01-23 美国博通公司 混合有线/无线网络中最佳负载均衡的方法和系统
US7342896B2 (en) * 2003-03-03 2008-03-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entralized network organization and topology discover in Ad-Hoc network with central controller
WO2004114690A1 (en) 2003-06-05 2004-12-29 Meshnetworks, Inc. Optimal routing in ad ha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1631916A1 (en) 2003-06-06 2006-03-08 Meshnetworks, Inc. A method to provide a measure of link reliability to a routing protocol in an ad hoc wireless network
CN1262126C (zh) * 2003-07-01 2006-06-2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无线局域网的越区切换方法
US7701858B2 (en) * 2003-07-17 2010-04-20 Sensicast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esh network
JP2005252606A (ja) 2004-03-03 2005-09-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自立分散型ネットワーク情報収集装置と自立分散型ネットワーク情報収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0406104D0 (en) * 2004-03-17 2004-04-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necting devices to a peer-to-peer network
CN100423501C (zh) * 2004-04-27 2008-10-01 Ut斯达康通讯有限公司 无线接入点负载均衡方法
US8526463B2 (en) * 2005-06-01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data applications in a multi-homing,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550A (ja) * 1996-03-05 1997-11-18 Digital Vision Lab:Kk 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20090467A (ko) * 2001-05-25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피엔에이 데이터 프레임 전송방법
US20040052238A1 (en) 2002-08-30 2004-03-18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transferring session speed and state information between access and home networks
KR20040053850A (ko) * 2002-12-16 200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odv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가중치에 의한 경로 설정방법
KR20060025286A (ko) * 2004-09-15 2006-03-21 주식회사 이지씨앤씨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분산 전송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60078418A (ko) * 2004-12-31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045A1 (ko) * 2014-03-18 2015-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10117263B2 (en) 2014-03-18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ata and apparatus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01384A1 (en) 2008-05-01
CN101179463A (zh) 2008-05-14
CN101179463B (zh) 2011-04-06
US7933278B2 (en) 201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886B1 (ko)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724813B1 (ko)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통합 액세스 백홀 노드, 중앙집중형 유닛
US7477648B2 (en) Packet forwarding apparatus and access network system
CN108738098B (zh) 一种wlan网络多接入点间无缝切换的方法
CN110167051A (zh) 集中式单元-分布式单元架构下的通信方法、通信设备
US20080192681A1 (en) Multi-Mode User Equipment and Routing Controlling Method Thereby
JP2006509386A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のクラスタ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70202892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paging request message for a mobile terminal
CN110366153B (zh) 一种蓝牙自组网的方法
KR101719220B1 (ko) 서비스 노드 스위칭 방법 및 시스템
CN105848255B (zh) 一种选择频点的方法及装置
CN106341468B (zh) 一种智能设备的远程唤醒方法、装置及系统
CN113872835B (zh) 用于设备配网的方法及装置、服务器、智能家电设备、终端设备
JP3457259B2 (ja) プロバイダ切換可能通信方法及びその装置
CN106686598A (zh) 一种Zigbee网络的节点接入方法
CN107534917A (zh) 一种主从型网络中的切换方法、主设备、从设备和系统
WO2017181626A1 (zh) 友邻共享网络建立方法、使用方法及友邻共享网络系统
CN113098797B (zh) 基于分布式组网系统的网络连接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WO2005076851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deleting, and maintaining logical networks
KR100761185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비동기식 무선망과 동기식코어 네트워크 간 연동시 멀티 콜을 지원하는 방법
JP5715471B2 (ja) 無線通信端末
CN105792385B (zh) 一种基于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及装置
CN111752717B (zh) Smf智能扩展方法和装置、smf会话建立的通信方法
WO2013189130A1 (zh) 一种基于点对点网络的通讯系统及通讯方法
WO2016177135A1 (zh) 资源管理方法、装置及控制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