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764B1 - Repair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Google Patents
Repair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0764B1 KR100770764B1 KR1020060086281A KR20060086281A KR100770764B1 KR 100770764 B1 KR100770764 B1 KR 100770764B1 KR 1020060086281 A KR1020060086281 A KR 1020060086281A KR 20060086281 A KR20060086281 A KR 20060086281A KR 100770764 B1 KR100770764 B1 KR 100770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element
- planar heating
- curable resin
- concrete structure
- res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분 혹은 전체 보수시 그 내벽에 도포되는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열효율이 좋고 소음을 야기하지 않는 면상발열체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공사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소음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air method for a concrete structure using a planar heating element, by actively utilizing a planar heating element that has good thermal efficiency and does not cause noise in order to cure the curable resin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a part or the entire repair of the damaged concrete structure. Not only does it significantly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it also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unnecessary noise.
이러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하에 매설된 관로인 경우, 관상의 수지흡수재의 외표면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피복한 후 액상의 경화성 수지를 수지흡수재에 함침시켜 라이닝재를 준비하는 단계,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수지흡수재의 내표면에 면상발열체를 피복하는 단계, 면상발열체가 피복된 라이닝재를 관로 내에 공기압에 의해 반전삽입하여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단계, 면상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crete structure is a pipeline embedded in the basement, after co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resin absorbent material with a plastic film to prepare a lining material by impregnating the liquid curable resin in the resin absorbent material, the curable resin is Coat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mpregnated resin absorbent material; inverting and insert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coated lining material into the conduit by air pressure to adhere to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and applying power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to cure the curable resin. A step is mad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보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repair method.
도 2와 도 3은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보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2 and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면상발열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수지흡수재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n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6 내지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6 to 11 are a series of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12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면상발열체 110 : 절연체100: planar heating element 110: insulator
120,150 : 발열체 130 : 전극120,150: heating element 130: electrode
131,132 : 전원단자 210 : 라이닝재131,132: power supply terminal 210: lining material
211 : 플라스틱 필름 213,310 : 수지흡수재211: plastic film 213,310: resin absorbing material
215,330,415 : 열경화성 수지 320 : 보수부재215,330,415: thermosetting resin 320: repair memb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분 혹은 전체 보수시 그 내벽에 도포되는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열효율이 좋고 소음을 야기하지 않는 면상발열체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공사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소음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데 적당하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air method for a concrete structure, the construction time by actively utilizing a planar heating element that has good thermal efficiency and does not cause noise in order to cure the curable resin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damaged concrete structure or partial rep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pairing concrete structures using planar heating elements, which is suitably shortened and of course not causing problems such as unnecessary noise.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다양한 공법들이 있지만 경화성 수지를 파손부위가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얇게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의 경우 비교적 간단한 반면 효과가 우수한 편이라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In general,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repairing concrete structures, but the method of hardening and curing the curable resin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having a damaged part is relatively simple but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effect.
이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중 관로에 행해지는 보수공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repair method performed in the pipeline of the repair method of such a concrete structure as follows.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보수공법은 관상의 수지흡수재(13)의 외표면을 플라스틱 필름(11)으로 피복한 후 액상의 경화성 수지(15)를 상기 수지흡수재(13)에 함침시켜 만든 라이닝재(10)를 준비한 후, 상기 라이닝재(10)를 관로(P) 내에 반전삽입하고, 상기 라이닝재(10)의 경화성 수지(15)를 경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conventional repair method is made by co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resin
이때, 상기 경화성 수지(15)를 경화시키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 기 라이닝재(10)를 관로(P) 내에 반전삽입하기 위해 주입하였던 물(W)을 가열하여 열경화 특성을 갖는 상기 경화성 수지(15)를 경화시키는 방법이 널리 이용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harden the
한편, 상기 라이닝재(10)를 관로(P) 내에 반전삽입하기 위해 물이 아닌 공기를 가압하여 주입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온수를 샤워링하는 방식으로 라이닝재(10)의 경화성 수지(15)를 경화시켰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jecting by pressing the air, not the water in order to invert the insertion of the
하지만, 이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경화성 수지(15)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온수를 마련하기 위해 관로(P) 외부에 별도의 보일러가 사용되었는데, 상기 보일러의 소음이 지나치게 큰 관계로 주택가나 시장통에서 장시간 관로보수 공사를 진행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보일러를 구비해야 하는 관계로 전체 장비가 복잡하고 비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eparate boiler was used outside the pipe line P to prepare hot water used to cure the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비중이 높은 대량의 물(W)을 가열하여 온수를 만들고 이로써 경화성 수지(15)를 가열하여 경화시키는데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공사시간이 길어지고 인력과 비용 측면에서 큰 부담을 야기하였다.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hat takes a long time to heat a large amount of water (W)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as described above to make hot water, thereby heating and curing the curable resin (15). Therefore, the construction time was long and caused a great burden in terms of manpower and cos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시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면상발열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planar heating element to actively use a planar heating element to cure the curable resin when repairing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To provide a repair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은, 경화성 수지를 관로나 터널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한 후 경화시켜 보수하는 보수공법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면상발열체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벽에 도포된 경화성 수지 외측에 접촉시키거나 그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면상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상기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pairing method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pairing method for repairing by curing after applying the curable resin to the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pipeline or tunnel, heat generated when power is applied The planar heating elemen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installed inside the curable resin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curable resin is cured by heat generation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여기서, 상기 면상발열체는, 상기 경화성 수지의 외측 혹은 내부에서 접촉 가능하도록 면상을 갖는 한 쌍의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들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planar heating element is a pair of insulators having a planar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curable resin, a heating element installed between the insulators and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and is connected to the heating element to supply pow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ower supply terminal is authorized.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하에 매설된 관로인 경우, 관상의 수지흡수재의 외표면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피복한 후 액상의 경화성 수지를 상기 수지흡수재에 함침시켜 라이닝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수지흡수재의 내표면에 상기 면상발열체를 피복하는 단계와, 상기 면상발열체가 피복된 라이닝재를 상기 관로 내에 공기압에 의해 반전삽입하여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면상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crete structure is a pipeline embedded underground, co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resin absorbent material with a plastic film and then impregnating the liquid curable resin into the resin absorbent material to prepare a lining material, and the curable resin Coat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sin absorbent material impregnated, inverting and insert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coated lining material into the conduit by pneumatic pressure,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curing the curable resin by applying.
또한, 상기 관로 내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구간별로 상기 면상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단자들을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p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each of the section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ower supply terminals for applying power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하에 매설된 관로인 경우, 원통형태로 말려 수축된 상태로 상기 관로 내부에 삽입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어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보수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부재가 원통형으로 말려 수축된 상태에서 그 외측에 면상발열체를 둘러싸는 단계와, 상기 면상발열체의 외측에 수지흡수재를 씌우는 단계와, 상기 수지흡수재에 경화성 수지를 덧발라 함침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흡수재가 씌워지고 상기 경화성 수지가 덧발라진 상태로 상기 보수부재를 관로 내에 삽입한 후 팽창시켜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면상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oncrete structure is a pipeline buried underground, preparing a repair member that is inflated by the elastic force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pipeline in the contracted state by rolling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peline; And enclo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on the outside thereof in a state in which the repair member is rolled and contracted in a cylindrical shape,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with a resin absorbent, and impregnating the resin absorbent with a curable resin; And inserting the repair member into the conduit in a state where the resin absorbent material is covered and the curable resin is coated and expanding the insulator to closely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and applying power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to cure the curable resin.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수지흡수재는, 원관형태를 갖고, 폭방향의 씨줄과, 신축 가능한 원주방향의 날줄이 직교하여 엮어져서, 원주방향으로는 신축 가능하나 폭방향으로는 원래의 너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in absorbent material has a circular tube shape, the width of the lin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elastic circumferential blade line is woven orthogonal, stretch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ginal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to maintain can do.
또한, 상기 수지흡수재의 날줄은 스트레치얀, 스판덱스 및 고무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ade of the resin absorben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stretch yarn, spandex and rubber yarn.
또한, 관로 내부 전체 또는 일부구간 전체에 상기 수지흡수재가 씌워지고 경화성 수지가 덧발라진 상태의 상기 보수부재 복수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install a plurality of the repair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resin absorbent is covered and the curable resin is applied to the entire inner portion or the entire portion of the pipeline.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은 파손부위를 도포하여 실드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열효율이 높고, 소음발생이 거의 없어 정숙한 공사가 가능한 면상발열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 여기서 말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란 관로, 터널, 주택의 벽체, 박스암거 등과 같이 콘크리트 및 이와 유사한 소재에 의해 특정 형체를 이루고 있는 모든 구조체들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부분은 지하 혹은 지반에 매설된 경우가 많은 관계로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아 경화성 수지가 경화되기에는 열악한 환경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면상발열체를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The repairing method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tively use a planar heating element that has high thermal efficiency and hardly generates noise in order to harden the curable resin forming a shield layer by applying a damaged part. . However, the concrete structure as used herein includes all structures formed by concrete and similar materials such as pipelines, tunnels, walls of houses, box culverts, and the like. Most of the concrete structures as described above are often embedded in the basement or ground, so the temperature is low and the humidity is high, the environment was hard to harden the curable res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ely utilize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at can exhibit the best performance in such a harsh environmen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epair method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와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2 and 3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수공법은 필름 형태의 면상발열체(100)를 라이닝재(210)를 구성하고 있는 경화성 수지(215)에 밀착되게 접촉시켜 라이닝재(210)와 결합시킨 라이닝재 어셈블리(100,210)를 구성한다. 이로써 종래와 같은 반전삽입 방식을 그대로 이용하여 관로 내에 라이닝재(210)를 삽입하듯 상기 라이닝재 어셈블리(100,210)를 삽입한 후, 상기 면상발열체(100)에 의해 경화성 수지(215)를 간단히 경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As shown, the repai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lining material 210 by contacting the
본 발명의 보수공법은, 라이닝재 준비단계, 면상발열체 피복단계, 라이닝재 어셈블리의 관로 내 삽입단계, 경화성 수지의 경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진다. Th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ing material preparation step, a planar heating element coating step, an insertion step in a line of the lining material assembly, and a curing step of the curable resin.
상기 라이닝재 준비단계는, 관상의 수지흡수재(213)의 외표면을 플라스틱 필름(211)으로 피복한 후 액상의 경화성 수지(215)를 상기 수지흡수재(213)에 함침시켜 라이닝재(21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수지흡수재(213)로는 섬유소재인 부직포, 펠트(Felt) 등과 같이 경화성 수지(215)를 흡수하여 함침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면 다양한 소재의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화성 수지(215)는 열을 받으면 경화되는 열경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텔, 에폭시, 비닐에스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211)의 소재로는 주로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In the preparing of the lining material,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resin absorbent material 213 is coated with the
상기 면상발열체 피복단계는 상기 라이닝재(210)가 함침된 수지흡수재(213)의 내표면에 상기 면상발열체(100)를 피복한다. 상기 면상발열체(100)는 얇은 필름 형태의 것으로 상기 수지흡수재(213)의 내표면을 피복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면상발열체(100)가 수지흡수재(213)의 내표면에 피복되어 상기 경화성 수지(215)에 높은 밀도를 가지고 밀착된 상태가 되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되면 충분한 가열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짧은 시간 내에 상기 경화성 수지(215)를 활발하게 가열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면상발열체(100)는 부분적으로 찢어지거나 손상되더라도 선상발열체인 히팅코일과는 달리 전기적인 단락의 위험이 거의 없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공기의 접촉으로 인한 산화 등의 이유로 작동불능 상태가 되지 않는다. 이처럼 상기 면상발열체(100)는 악조건 하에서도 높은 작동 신뢰도를 갖는다. 상기 면상발열체(100)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탄소가 혼합된 카본블랙, 금속, ITO(indium-tin oxide) 등을 발열체(120,150)의 소재로 하여 필름형태로 제품화한 것이라면 좋다. In the planar heating element coating step,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면상발열체(100)는 선상발열체와는 대비되는 개념을 갖는 '면 모양의 열을 내는 물체'로서, 그 중 기본적인 하나의 형태를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를 참조로 살펴본 상기 면상발열체(100)는 피대상물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필름 형태의 면상을 갖는 한 쌍의 절연체(110)와, 상기 절연체(110)들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발열체(120,150)와, 상기 발열체(120,150)와는 전극(130)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체(120,150)로 외부 전원을 인가해주는 전원단자(131,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130)과 발열체(120,150)를 절연체(110)에 접착시켜 안정되게 고정하는 도전성 접착제(140)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체(110)의 소재로는 고분자 졀연부재로서 주로 폴리에스터,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이 사용되며, 이 외에도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에폭시, 에폭시 수지함침 유리직물, 테프론, 마이카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체(120,150)의 소재로는 금속발열체, 비금속발열체, 기타발열체에 속한 다양한 것들이 있으나, 열과 내구성이 강하고 열전도도가 우수한데 반하여 열팽창계수가 낮고 가벼운 카본 소재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바람직해 보인다. 이같은 면상발열체(100)는 최근 연구가 다방면에서 활발히 진행중이므로 더욱 우수한 형태의 것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차후에 개발되는 더욱 우수한 형태의 면상발열체(100)를 채택하여 사용하는 데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만, 상기에서는 면상발열체(100)의 기본적인 형태를 언급했을 뿐이다. The
상기 라이닝재 어셈블리의 관로 내 삽입단계에서는 상기 면상발열체(100)가 라이닝재(210)에 피복되어 형성된 라이닝재 어셈블리(100,210)를 에어튜브(미도시 됨)를 매개로 하여 공기압에 의해 관로 내에 반전삽입한다. 즉,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 미도시 됨)와 연결된 공기 공급노즐(221)에서 분사된 공기(A)가 가이드튜브(223)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에어튜브블 팽창시킨다. 그러면 상기 에어튜브의 팽창으로 인해 반전노즐(225)에 끝단이 고정된 상기 라이닝재(210)가 점진적으로 반전되면서 상기 면상발열체(100)와 함께 서서히 상기 관로(P) 내벽을 따라 밀착된다. In the inserting step of the lining material assembly, the
이후, 상기 경화성 수지 경화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면상발열체(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미 상기 면상발열체(100)와 함께 관로(P) 내벽에 도포된 형태로 밀착된 경화성 수지(215)를 경화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면상발열체(100)는 상기 관로(P) 내벽에 도포된 경화성 수지(215) 외측 전체에 밀착되게 접촉한 상태에서 활발하게 고온의 열을 전달하여 상기 경화성 수지(215)를 신속히 경화시키게 된다. 이같은 경화성 수지의 경화단계는 종전 온수에 의한 경화방법에 비하면 온수를 가열하는 데 드는 시간이 불필요하고, 상대적으로 고열에 의해 가열하기 때문에 거의 3배 이상 단축된 속도로 수행되며, 온수를 만들기 위한 고가의 보 일러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비가 간단해지는 것은 물론, 조용한 가운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보수되어야 할 관로(P)의 구간이 긴 경우에는 상기 관로(P) 내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구간별로 면상발열체(1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단자(131,132)들을 각각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면상발열체(100)가 전원의 공급부족으로 인해 충분히 발열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urable resin curing step is performed. In this step, power is applied to the
이후, 상기 면상발열체(100)를 상기 관로(P) 내벽에서 경화된 경화성 수지(215)로부터 분리한다. 이로써 관로(P)의 보수가 완료되며 분리해낸 면상발열체(100)는 다음에 관로보수를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면상발열체(100)가 경화성 수지(215)의 외측 표면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경화성 수지(215) 내부에 묻힌 형태로 설치되면 이미 경화된 경화성 수지(215)로부터 면상발열체(100)를 분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면상발열체(100)는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경화성 수지(215)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대로 나두면 된다. Thereafter, the
계속해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2실시예는 일명 보강링으로 불리우고 원통형태로 말려 수축된 상태에서 관로 내부에 삽입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어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원통형 보수부재를 사용하는 방식의 보수공법에서도 면상발열체가 적극 활 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상발열체와 함께 독특한 구성의 수지흡수재가 사용된다. 이에 먼저, 상기 수지흡수재의 구성을 설명한 후, 이들을 사용한 관로의 보수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second embodiment is also called reinforcement ring and i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erted into the conduit in a contracted state and then inflated by an elastic force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t shows that heating elements can be actively utiliz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resin absorber having a unique configuration is used together with the planar heating element. First, afte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sin absorbent material,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repair method of the pipeline using them.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수지흡수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n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ures 6 to 11 is a series of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에에 의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지흡수재(310)는 관로 보수부재(320)의 외측에 씌워질 수 있도록 원관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지흡수재(310)는 경화성 수지(330)가 덧발라진 후 함침될 수 있도록 섬유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지흡수재(310)는 폭방향의 씨줄(311)과, 신축 가능한 원주방향의 날줄(313)이 서로 직교하여 엮어진다. 이 중 원주방향으로 엮어진 상기 날줄(313)은 신축 가능하도록 스트레치얀, 스판덱스 및 고무사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날줄(313)의 소재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면서 신축 가능하다면 상기 언급된 섬유의 종류 외에도 다른 것으로 얼마든지 채택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씨줄(311)의 경우 신축되지 않고 질긴 섬유로 구비된다. 도 5는 상기 수지흡수재(310)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팽창시 신장된 날줄(313)에 의해 씨줄(311) 간 배열 간격이 유동적으로 늘어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As shown, the resin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지흡수재(310)는 보수부재(320)의 팽창시에도 무리 없이 원주방향으로 함께 신축되고 폭방향으로는 원래의 너비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지흡수재(310)는 씨줄(311)과 날줄(313)이 엮어진 섬유소재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경화성 수지(330)를 원활하게 덧발라 함침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resin
아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수공법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수공법은 먼저, 도 6과 같이 원통형으로 말려 수축된 상태로 있는 관로 보수부재(320)를 준비하고, 그 외측에 면상발열체(100)를 둘러싸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때 상기 면상발열체는 상기 보수부재(320)가 팽창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여유있는 크기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pair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begins with preparing a
이후, 도 7과 같이 면상발열체(100)의 외측에 전술된 바와 같이 원관형태를 갖고 씨줄(311)과 날줄(313)에 의해 원주방향으로만 신축 가능한 수지흡수재(310)를 씌워 설치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 the outer side of the
이후, 도 8과 같이 상기 수지흡수재(310)에 경화성 수지(330)를 균일하게 덧바른다. 그러면 상기 경화성 수지(330)가 상기 수지흡수재(310)에 침투하여 안정되게 함침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8, the
이후, 도 10과 같이 상기 관로 보수장치(350)의 팽창 가능한 몸체(351) 외측에 상기 보수부재(320)를 장착한 후 보수를 필요로 하는 관로(P) 내부에 삽입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0, the
이후, 도 11과 같이 상기 관로 보수장치(350)의 몸체(351)를 팽창시키면 상기 보수부재(320)가 팽창하면서 상기 수지흡수재(310) 역시 원주방향으로 늘어난다. 하지만 상기 수지흡수재(310)는 폭방향으로는 늘어나지 않고 원래의 폭 너비를 그대로 유지하여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로써, 상기 수지흡수재(310)에 덧발라져 함침된 경화성 수지(330)가 상기 관로(P) 내벽과 상기 보수부재(300)의 사이 틈새를 수밀하게 메우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이후, 상기 관로(P) 내벽에 밀착 설치된 관로 보수부재(320)는 그대로 남겨 두고 상기 보수장치(350)만을 몸체를 수축시켜 빼낸다. Thereafter, the
이후, 필요하다면 전술된 동일한 방법에 따라 관로(P) 내부 전체 또는 일부구간 전체에 상기 수지흡수재(310)가 씌워지고 경화성 수지(330)가 덧발라진 상태의 보수부재(320)를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그러면 관로(P) 내의 넓은 영역을 보수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resin
이후, 상기 면상발열체(100)의 전원단자(131,132)를 통해 상기 면상발열체(100) 내부에 포함된 발열체(120,15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발열체(120,150)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면상발열체(100)에 밀착된 경화성 수지(330)가 상기 면상발열체(100)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받아들여 짧은 시간만에 경화된다. 이처럼 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면 관로(P)의 보수가 완료된다.Thereafter,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계속해서,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보수대상이 2아치 터널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third embodiment exemplifies a case where the repair targ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arch tunnel.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12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터널(410)의 벽체는 숏크리트(420), 방수시트(440) 및 라이닝재(45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상기 방수시트(440) 및/또는 라이닝재(450)가 시공불량이거나 차량 소통에 따른 진동 등으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 암석으로부터 지하수가 흘러나오거나 지반이 이완되고 장기간 방치되는 경우 붕괴 위험으로까지 이어진다. As shown, the wall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보수공법은 상기 라이닝재(450)의 표면에 경화성 수지(415)를 얇게 도포하거나 덧바르고, 그 외측면에 밀착되게 면상발열체(100)를 설치하여 발열함으로써 상기 경화성 수지(415)를 신속하게 경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터널(410) 내벽에 시행되는 경화성 수지(415) 및 면상발열체(100)에 의한 보수는 터널 전체 또는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하며, 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면상발열체를 거둬들여 차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thin coating or coating the
이처럼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100)를 사용하여 경화성 수지(415)가 경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므로, 터널 보수로 인해 차량 소통이 장시간 지장을 받던 문제나 비용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종래에는 상기 경화성 수지(415)를 경화시키기 위해 자연 상태에 두고 며칠간 그대로 방치하거나, 이를 개선하기 위해 터널(410) 내부에 다수의 형광등을 설치하여 복사열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 모두 경화성 수지를 신속하게 경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time that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즉, 본 발명은 실시예로 언급된 지하에 매설된 관로, 터널뿐만 아니라 박스암거, 주택 등과 같이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for repairing various concrete structures such as box culverts, houses as well as pipelines and tunnels buried underground.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분 혹은 전체 보수시 내벽에 도포되는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면상발열체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공사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소음 등으로 인한 문제가 전혀 없다. As described above, the repair method of the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time by significantly utiliz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to harden the curable resin applied to the inner wall during partial or total repair of the concrete structure Of course, there is no problem due to unnecessary noise, etc.
또한, 본 발명은 온수를 마련하기 위한 보일러와 같은 복잡하고 다루기 어려운 고가의 장비가 필요치 않으며 작업 자체도 매우 간결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complicated and intractable expensive equipment, such as a boiler for preparing hot water, and the work itself is also very concise,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work quality.
또한,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손상되어도 작동하는 면상발열체의 특성상 작업신뢰도가 뛰어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work reliabil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at operates even when partially damaged.
또한, 본 발명은 터널, 박스암거, 주택 등과 콘크리트 구조물이라면 어느 곳에서 응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any place if the tunnel, box culvert, housing and concrete structures.
또한,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에 의한 강제 가열방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보수 대상물인 구조물이 지하 혹은 지반에 매설되어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은 등 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높은 경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follows a forced heating method using a planar heating element, a high curing effect can be expected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hardening of the curable resin is difficult, such as low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because a structure to be repaired is buried underground or in the groun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6281A KR100770764B1 (en) | 2006-09-07 | 2006-09-07 | Repair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PCT/KR2007/004305 WO2008030046A1 (en) | 2006-09-07 | 2007-09-06 | Method for maintaining conduit line using sheet heating e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6281A KR100770764B1 (en) | 2006-09-07 | 2006-09-07 | Repair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0764B1 true KR100770764B1 (en) | 2007-10-26 |
Family
ID=3881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6281A KR100770764B1 (en) | 2006-09-07 | 2006-09-07 | Repair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0764B1 (en) |
WO (1) | WO2008030046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125881B (en) | 2014-07-18 | 2016-03-31 | Picote Oy Ltd | Tube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79198A (en) * | 1988-04-29 | 1989-11-09 | Tokyo Gas Co Ltd | How to partially repair a pipe from its inside surface |
JPH06109194A (en) * | 1992-09-30 | 1994-04-19 | Asahi Tec Corp | Pipe line repairing method |
JPH06201085A (en) * | 1992-12-29 | 1994-07-19 | Sumiyoshi Seisakusho:Kk | Resin coating type pipe inner surface repairing method and resin coating type pipe inner surface repairing device |
JPH06265089A (en) * | 1993-03-15 | 1994-09-20 | Sumiyoshi Seisakusho:Kk | Resin covering type repair method and apparatus for inner surface of pipe |
JPH09123278A (en) * | 1995-10-31 | 1997-05-13 | Yoshika Kk | Covering body for repair of existing pipeline |
JP2002036363A (en) | 2000-07-27 | 2002-02-05 | Asahi Tec Corp | Method for repairing pipelin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049Y1 (en) * | 2003-10-29 | 2004-01-28 | 매직유라주식회사 | Partition for plane heater |
-
2006
- 2006-09-07 KR KR1020060086281A patent/KR10077076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9-06 WO PCT/KR2007/004305 patent/WO200803004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79198A (en) * | 1988-04-29 | 1989-11-09 | Tokyo Gas Co Ltd | How to partially repair a pipe from its inside surface |
JPH06109194A (en) * | 1992-09-30 | 1994-04-19 | Asahi Tec Corp | Pipe line repairing method |
JPH06201085A (en) * | 1992-12-29 | 1994-07-19 | Sumiyoshi Seisakusho:Kk | Resin coating type pipe inner surface repairing method and resin coating type pipe inner surface repairing device |
JPH06265089A (en) * | 1993-03-15 | 1994-09-20 | Sumiyoshi Seisakusho:Kk | Resin covering type repair method and apparatus for inner surface of pipe |
JPH09123278A (en) * | 1995-10-31 | 1997-05-13 | Yoshika Kk | Covering body for repair of existing pipeline |
JP2002036363A (en) | 2000-07-27 | 2002-02-05 | Asahi Tec Corp | Method for repairing pipel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8030046A1 (en) | 2008-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88389A (en) | Heating device and pipeline lining method using it | |
JPS6050100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pipelines with flexible hoses containing hardenable plastics | |
EP1313982A2 (en) | A liner for reinforcing a pip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US20060070676A1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repairing condu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it repair apparatus | |
KR100770764B1 (en) | Repair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
TW201036802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tube lining bag | |
US20070272679A1 (en) | Small diameter pipe repair device | |
KR100719439B1 (en) | Piping Repair Tube | |
CN116772024A (en) | Resin curing pipeline repairing air bag and pipeline repairing process thereof | |
JPH02150334A (en) | Device for partially repairing pipes from the inside | |
JP2635736B2 (en) | Pipeline repair method | |
KR100756437B1 (en) | Cured Conduit Repair | |
JP2012127381A (en) | Pipe conduit repairing method | |
CN119255899A (en) | UV lamp blankets for curing UV-resin saturated materials | |
KR100957846B1 (en) | Plumbing repair device and method | |
JPH08109672A (en) | Method of regenerating construction of joint section in existing pipe conduit and covering body for regeneration used for method of regenerating construction thereof | |
KR100347011B1 (en) | Repairing method of retired drain pipes by resin transfer molding | |
KR102373131B1 (en) | repairing apperatus for water pipe by non-digging and the reparing method | |
JP3691880B2 (en) | Cover for pipe repair | |
KR20080087400A (en) | Heated wire pipeline repair device and its method | |
JPH09123280A (en) | Repair work for branch pipe and sleeve for repair | |
WO2009028751A1 (en) | Conduit regenerating liner, heat generating unit, and conduit lining apparatus | |
JP4730739B2 (en) | Pipeline lining method | |
CN218063932U (en) | Trenchless repair steam curing corrosion-resistant application lining pipe | |
JP2006150703A (en) | Lining structure of inner surface of pipe line and lin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