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9885B1 - 전자음향변환기 - Google Patents

전자음향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885B1
KR100769885B1 KR1020070013637A KR20070013637A KR100769885B1 KR 100769885 B1 KR100769885 B1 KR 100769885B1 KR 1020070013637 A KR1020070013637 A KR 1020070013637A KR 20070013637 A KR20070013637 A KR 20070013637A KR 100769885 B1 KR100769885 B1 KR 10076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electroacoustic transducer
yoke
coil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엽
Original Assignee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1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88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6Single (sub)woofer with two or more satellite loudspeakers for mid- and high-frequency band reproduction driven via the (sub)woo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한정된 공간(좁은 공간)에 2개 이상의 출력 유닛을 설치하여 각 유닛에서 각기 다른 레벨의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 유닛의 진동판이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각각의 유닛이 동시에 작동함에 따른 진동의 감쇄를 최소화하는 전자음향변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코일)가 자계(磁界 ; 마그네트와 탑플레이트 및 요크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이 직각으로 쇄교하는 공극 내)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전자음향변환기에 있어서, 외부의 음원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번 신호에 따라 자계 속에서 전자기 반응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코일1ㆍ2; 및 상기 코일1ㆍ2의 직경에 따라 각각 고정되면서, 동심원을 갖으며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독립적으로 진동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진동판; 을 마련하되, 상기 진동판 중 직경이 큰 진동판1(12)의 중앙 부분에 직경이 작은 진동판2를 마련하여서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에 2개 이상의 출력 유닛을 설치하여 각 유닛에서 각기 다른 레벨의 출력을 얻음으로써, 고음ㆍ중음ㆍ저음으로 음을 분리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구조를 간소화하고 슬림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유닛의 진동판이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각각의 유닛이 동시에 작동함에 따른 진동의 감쇄를 최소화함으로써, 입력신호 내지는 소비전력 대비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음향변환기{THE SPEAKER}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일실시예(2-WAY 방식)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또 다른 실시예(각 진동판의 연결 구조)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또 다른 실시예(자기회로 탑제 상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를 다른 실시예(3-WAY 방식)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를 또 다른 실시예(마이크로 스피커 구조)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자음향변환기 11 : 진동판
12,13,14 : 진동판1,2,3 12a,13a,14a : 에지1,2,3
C : 코일 C1,C2,C3 : 코일1,2,3
M1,M2,M3 : 마그네트1,2,3 T1,T2,T3 : 탑플레이트1,2,3
Y : 요크 Y1,Y2 : 환턱1,2
S1,S2 : 공극1,2 F1 : 프레임
F2 : 케이스
본 발명은 전자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음향을 출력시키는 스피커(리시버 포함)와 같은 전자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음향변환기에는 음성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ㆍ리시버 내지는 버저 등이 있으며, 음향 뿐 아니라 진동력을 발생시켜 음향을 입체적으로 출력시키는 진동발생장치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리시버 포함)는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장치로서,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磁界)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공극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스 코일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신호가 보이스 코일(Voice Coil)에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은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있는 잔동판에 진동을 발생시켜 궁극적으로 인간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음압(音壓)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음압 중에서 비교적 낮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인간의 귀에 가 까이 밀착시켜 사용하는 것들을 흔히 리시버(Receiver)라고 하고, 이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음압이 크고 인간의 귀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사용하는 것들을 스피커(Speaker)라고 한다.
이와 같은 스피커의 자기회로는 철금속 성분으로 된 요크 내에 마그네트(Magnet, 영구자석)와 탑 플레이트(Top Plate)를 이용하여 공극내에 존재하는 보이스 코일에 직각으로 자속(磁束, Magnetic Flux )이 쇄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보이스 코일은 진동판에 접착되어 있어 입력신호에 의해 상하로 가진력을 발생시켜 프레임에 접착 구속되어 있는 진동판을 진동시켜서 음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판은 상하 진동시에 우수한 응답성과 좌굴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웨이브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진동판의 형상은 주파수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설계변수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스피커는 오랜 기간동안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최근에 이르러 고 에너지 영구자석의 상용화와, 미소 구조물의 성형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소형 경량화 추세에 부응하여 지속적인 소형 경량화 및 고성능화가 실현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기술발전 속에서도, 전자음향변환기 및 이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소형화는 스피커의 출력특성 향상을 제한하는 걸림돌이자 해결해야할 문제점이었다.
특히, 고음ㆍ중음ㆍ저음으로 구분하여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음질을 개선시키는 스피커의 경우, 함체 형상의 캐비닛에 각각의 스피커를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므로, 그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밖에, 최근에는 자기회로와 진동구조를 수용 지지하는 하나의 프레임에 2개의 자기회로와 진동구조를 수용하여서 된 전자음향변환기가 소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 멀티형 전자음향변환기는 진동 구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어, 동시에 진동 작동함에 따라 각각의 진동력이 감쇄하여 입력신호 내지는 소비전력 대비 출력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좁은 공간)에 2개 이상의 출력 유닛을 설치하여 각 유닛에서 각기 다른 레벨의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 유닛의 진동판이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각각의 유닛이 동시에 작동함에 따른 진동의 감쇄를 최소화하는 전자음향변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 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전자음향변환기에 있어서, 외부의 음원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번 신호에 따라 자계 속에서 전자기 반응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코일1ㆍ2; 및 상기 코일1ㆍ2의 직경에 따라 각각 고정되면서, 동심원을 갖으며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독립적으로 진동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진동판; 을 마련하되, 상기 진동판 중 직경이 큰 진동판1(12)의 중앙 부분에 직경이 작은 진동판2를 마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에 2개 이상의 출력 유닛 즉, 2개 이상의 자기회로와 2개 이상의 진동구조를 설치하여 각 유닛에서 각기 다른 레벨의 출력을 얻음으로써, 고음ㆍ중음ㆍ저음으로 음을 분리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구조를 간소화하고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유닛의 진동판이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각각의 유닛이 동시에 작동함에 따른 진동의 감쇄를 최소화함으로써, 입력신호 내지는 소비전력 대비 출력 효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에 참고가 되는 도면으로, 도 1을 본 발명의 구조를 일실시예(2-WAY 방식)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 도 2를 본 발명의 구조를 또 다른 실시예(각 진동판의 연결 구조)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 도 3을 본 발명의 구조를 또 다른 실시예(자기회로 탑제 상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 도 4를 본 발명의 구조를 다른 실시예(3-WAY 방식)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 도 5를 본 발명의 구조를 또 다른 실시예(마이크로 스피커 구조)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 제시한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 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기적 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전자음향변환기에 있어서, 외부의 음원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번 신호에 따라 자계 속에서 전자기 반응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코일1ㆍ2(C1)(C2); 및 상기 코일1ㆍ2(C1)(C2)의 직경에 따라 각각 고정되면서, 동심원을 갖으며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독립적으로 진동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진동판(11);을 마련하되, 상기 진동판(11) 중 직경이 큰 진동판1(12)의 중앙 부분에 직경이 작은 진동판2(13)를 마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자기회로는 예컨대, 중앙에 환턱(Y1)이 형성된 요크(Y); 상기 요크의 환턱(Y1) 외주면과 내주면 방향 각각에 공극1,2(S1)(S2)가 형성되도록 마그네트1,2(M1)(M2)와 탑 플레이트1,2(T1)(T2) 적층물 각각을 유격지게 마련하여, 상기 공극1,2(S1)(S2)에 위치하는 코일1,2(C1)(C2)에 직각으로 자속이 쇄교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적으로 설명하며 도시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코일1,2(C1)(C2)의 일측 단부에 상기 진동판1,2(12)(13) 각각의 중앙 부분이 결합되어서 진동구조가 마련되는 것으로, 코일1,2(C1)(C2)와 진동판1,2(12)(13)의 결합은 직접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도 있고, 보빈에 권취되어 접착 결합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직경이 큰 진동판1(12)의 외주연은 프레임(F1)에 탄발 고정시키고 중앙 부분은 천공시켜, 천공된 내경 부분에 직경이 작은 진동판2(13)의 외주연 부분을 탄발 고정시켜서 될 수 도 있고, 상기 직경이 큰 진동판1(12)의 외주연은 프레임(F1)에 탄발 고정시키고 중앙 부분은 천공시키되, 직경이 작은 진동판2(13)을 진동판1(12)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진동판2(13)를 진동시키는 코일2(C2)는 진동판1(12)의 천공 부분을 관통하여 하향 설치될 수 도 있으며, 상기 직경이 서로 다른 진동판(11)은 자유공간상에 구속없이 위치시키고, 진동판(11) 각각을 진동시키는 각각의 코일(C) 부분을 댐퍼(D)가 탄발 지지하여서 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댐퍼(D)는 프레임(F1)에 고정되어 코일부분(C)을 지지할 수 도 있고, 진동판1ㆍ2(12)(13)를 각각의 댐퍼(D)가 탄발 지지하되, 상기 각각의 댐퍼(D)는 탑플레이트1ㆍ2(T1)(T2)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판1ㆍ2(12)(13)를 탄발지지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직경이 큰 진동판1(12)의 외주연은 프레임(F1)에 탄발 고정시키고 중앙 부분은 천공시켜, 천공된 내경 부분에 직경이 작은 진동판2(13)의 외주연 부분을 탄발 고정시키되, 상기 진동판1ㆍ2(12)(13)를 진동시키는 코일1ㆍ2(C1)(C2) 부분을 댐퍼(D)를 통해 프레임(F1)에 탄발 고정시켜서 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코일1ㆍ2(C1)(C2)은 보빈에 권취되고, 댐퍼(D)가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프레임(F1)에 대해 탄발 지지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동판1(12)은 예컨대, 외주연부분에 에지1(12a)이 마련되어, 프레임(F1)에 대해 탄발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한된 진동 폭 내에서 탄발하면서 진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지1(12a)은 예컨대, 코팅된 종이재로 이루어지면서 단면상 만곡진 탄발지지체 일 수 도 있고, 판체 형상의 스프링일 수 도 있는 것으로, 상기 에지1(12a)이 코팅된 종이재인 탄발지지체일 경우에는 진동판1(12)의 외주연 및 프레임(F1)의 개방 단부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될 수 있고, 판체 형상의 스프링일 경우에는 진동판1(12)의 외주연 및 프레임(F1)의 개방 단부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될 수 있고, 열융착 고정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F1)은 예컨대, 진동판1(12)의 에지1(12a) 외주연이 고정되고, 개스킷으로 마감된 일측 단으로부터 혼 형상으로 협소 연장되어, 탑플레이트1(T1)의 면에 고정될 수 도 있고, 마그네트1(M1)에 고정될 수 도 있으며, 요크(Y)에 고정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동판2(12)는 예컨대, 외주연부분에 에지2(13a)가 마련되어, 진동판1(12)에 대해 탄발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한된 진동 폭 내에서 탄발하면서 진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지2(13a)는 예컨대, 코팅된 종이재로 이루어지면서 단면상 만곡진 요철이 형성된 탄발지지체 일 수 도 있고, 판체 형상의 스프링일 수 도 있는 것으로, 상기 에지2(13a)가 코팅된 종이재인 탄발지지체일 경우에는 진동판2(13)의 외주연 및 진동판1(12)의 내주연 부분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될 수 있고, 판체 형상의 스프링일 경우에는 진동판2(13)의 외주연 및 진동판1(12)의 내주연 부분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될 수 있고, 열융착 고정될 수 도 있다.
이때, 특히, 진동판과 진동판을 연결하면서 탄발 지지하는 에지 부분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이 형성되지 않게 평면에 가깝게 마련(여기서 평면이라 함은 요철 형상 없이 매끄럽게 직선상 또는 만적상으로 형성되는 면을 뜻 함)할 수 도 있는데,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타날 수 있는 출력 특성의 찌그러짐(잡음)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진동판1(12)과 진동판2(13)를 연결하면서 진동판1(12)에 대해 진동판2(13)를 탄발 지지하는 에지2(13a)가 상향으로 입설되면서 진동판1(12)과의 사이에 홈이 형성되므로, 그 부분에서 진동 시 찌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으나,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진동판1(12)과의 사이에 홈 부분이 형성되지 않아, 찌그러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한편, 상기 마그네트1(M1)과 탑플레이트1(T1)은 예컨대, 환형의 영구자석과 철편으로서, 상기 요크의 환턱(Y1) 외주연에 대해 코일1(C1)이 위치하는 공극1(S1)을 형성하는 간격만큼 유격져서 요크(Y)의 면상에 안착 고정될 수 있으며, 마그네트2(M2)와 탑플레이트2(T2)는 예컨대, 원형의 블럭형 영구자석과 철편으로서, 상기 요크의 환턱(Y1) 내주연에 대해 코일2(C2)가 위치하는 공극2(S2)를 형성하는 간격만큼 유격져서 요크(Y)의 면상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요크(Y)는 예컨대, Fe 또는 Al 또는 Cu를 재질로 하거나, 이들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외주연이 환턱(Y1)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그네트와 탑플레이트를 감싸는 케이스형 일 수 도 있고, 첨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케이스(F2)에 수용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외부의 음원부로부터 교번 신호가 코일1(C1)에 입력되면, 코일1(C1)은 마그네트1(M1)와 탑플레이트1(T1)의 적층물과 요크(Y)의 환턱(Y1) 외주면 사이의 공극1(S1)에 형성되는 자계 속에서 전자기적으로 반응하여 상하 진동하게 되며, 이때, 코일1(C1)의 단부에 중앙 부분이 고정된 진동판1(12)이 진동하면서 음향, 즉, 저음을 출력한다.
이때, 교번 신호가 코일2(C2)에 입력되면, 코일2(C2)는 마그네트2(M2)와 탑플레이트2(T2)의 적층물과 요크(Y)의 환턱(Y2) 내주면 사이의 공극2(S2)에 형성되는 자계 속에서 전자기적으로 반응하여 상하 진동하게 되며, 이때, 코일2(C2)의 단부에 중앙 부분이 고정된 진동판2(13)이 진동하면서 음향, 즉, 고음을 출력하는 2-WAY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음을 출력하는 진동판1(12)과 고음을 출력하는 진동판2(13) 사이에 진동판3(14)를 마련 즉, 상기 진동판1(12)의 내주연 부분에 외주연 부분이 에지3(14a)을 통해 고정되어 탄발 지지되고, 내주연 부분은 상기 진동판2(13)의 외주연 부분에 마련된 에지(13a)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요크(Y)의 환턱(Y1)과 돌출된 외주연 부분 사이에 별도의 환턱(Y2)을 더 마련하여, 상기 진동판3(14)이 마그네트3(M3) 및 탑플레이트3(T3)의 적층물과 환턱(Y1) 외주면 사이의 공극3(S3) 내에 위치한 코일3(C3)에 의해 진동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코일1(C1)은 환턱2(Y2) 외주면과 마그네트1(M1) 및 탑플레이트1(T1) 사이의 공극1(S1)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외부의 음원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번신호가 각각의 코일에 인가되고, 해당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적층물과 요크의 환턱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 내의 자계에 반응하여 진동 즉, 진동판1(12)은 저음, 진동판2(13)는 고음, 진 동판3(14)은 중음을 출력하는 3-WAY 방식으로 작동한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피커의 진동 구조와 자기회로에 적용될 수 도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되면, 마이크로스피커가 적용되는 이어폰 또는 휴대폰ㆍMP3와 같은 개인 통신 단말기 또는 게임기ㆍPMPㆍ전자사전과 같은 휴대 단말기 등에 적용되어 원음에 가까운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어폰에 본 발명이 적용될 경우, 극히 제한된 좁은 면적에 스피커(리시버)를 설치해야 하므로, 고음인 트위터(Tweeter)에서 우퍼(woofer)에 이르는 스피커 기능을 하나로 합해서, 즉, 하나의 유닛에서 출력이 불가능하였으며, 가능하다 하더라도 그 출력 특성이 극히 불량하였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일반 스피커에서는 채널 디바이더가 시스템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나, 이어폰의 경우 이어폰 내부에 장착이 어려우므로 별도로 구성하거나 컨트롤러 내부 또는 출력기기 내에 장착하였다. 이때, 상기 채널디바이더는 보통 네트워크라고 불리우며, 네트워크는 2-WAY 이상의 다중 유닛 스피커 시스템에서 각 유닛에 재생신호를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채널 디바이더를 통해 본 발명으로 음원부의 신호가 입려된다. 이때, 컨트롤러는 고음ㆍ중음ㆍ저음의 레벨을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에 2개 이상의 출력 유닛을 설치하여 각 유닛에서 각기 다른 레벨의 출력을 얻음으로써, 고음ㆍ중음ㆍ저음으로 음을 분리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구조를 간소화하고 슬림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유닛의 진동판이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각각의 유닛이 동시에 작동함에 따른 진동의 감쇄를 최소화함으로써, 입력신호 내지는 소비전력 대비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1)

  1.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 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전자음향변환기에 있어서, 외부의 음원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번 신호에 따라 자계 속에서 전자기 반응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코일1·2(C1)(C2); 및 상기 코일1·2(C1)(C2)의 직경에 따라 각각 고정되면서, 동심원을 갖으며 자유공간에 위치하여 독립적으로 진동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진동판(11);을 마련하되, 상기 직경이 큰 진동판1(12)의 외주연은 프레임(F1)에 탄발 고정시키고 중앙 부분은 천공시켜, 천공된 내경 부분에 직경이 작은 진동판2(13)의 외주연 부분을 탄발 고정시키고, 상기 진동판 각각을 진동시키는 코일1·2(C1)(C2) 부분을 댐퍼(D)가 탄발 지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는 중앙에 환턱(Y1)이 형성된 요크(Y); 상기 요크의 환턱(Y1) 외주면과 내주면 방향 각각에 공극1,2(S1)(S2)가 형성되도록 마그네트1,2(M1)(M2)와 탑 플레이트1,2(T1)(T2) 적층물 각각을 유격지게 마련하여, 상기 공극1,2(S1)(S2)에 위치하는 코일1,2(C1)(C2)에 직각으로 자속이 쇄교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이 큰 진동판1(12)의 외주연은 프레임(F1)에 탄발 고정시키고 중앙 부분은 천공시키되, 직경이 작은 진동판2(13)을 진동판1(12)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진동판2(13)를 진동시키는 코일2(C2)는 진동판1(12)의 천공 부분을 관통하여 하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D)는 프레임(F1)에 고정되어 코일1·2(C1)(C2)부분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1ㆍ2(12)(13)를 댐퍼(D)가 탄발 지지하되, 상기 댐퍼(D) 양단은 각각 탑플레이트1ㆍ2(T1)(T2)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이 큰 진동판1(12)의 외주연은 프레임(F1)에 탄발 고정시키고 중앙 부분은 천공시켜, 천공된 내경 부분에 직경이 작은 진동판2(13)의 외주연 부분을 탄발 고정시키되, 상기 진동판1ㆍ2(12)(13)를 진동시키는 코일1ㆍ2(C1)(C2) 부분을 댐퍼(D)를 통해 프레임(F1)에 탄발 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ㆍ2(C1)(C2)은 보빈에 권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D)는 코일1ㆍ2(C1)(C2)가 권취된 보빈과 연결되어 프레임(F1)에 대해 탄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2(C1)(C2)의 일측 단부에 상기 진동판1,2(12)(13) 각각의 중앙 부분이 결합되어서 진동구조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1(12)은 외주연 부분에 에지1(12a)이 마련되어, 프레임(F1)에 대해 탄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1(12a)은 단면상 만곡진 탄발지지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2(12)는 외주연 부분에 에지2(13a)가 마련되어, 진동판1(12)에 대해 탄발 가능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M1)과 탑플레이트1(T1)은 환형의 영구자석과 철편으로서, 상기 요크의 환턱(Y1) 외주연에 대해 코일1(C1)이 위치하는 공극1(S1)을 형성하는 간격만큼 유격져서 요크(Y)의 면상에 안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2(M2)와 탑플레이트2(T2)는 원형의 블럭형 영구자석과 철편으로서, 상기 요크의 환턱(Y1) 내주연에 대해 코일2(C2)가 위치하는 공극2(S2)를 형성하는 간격만큼 유격져서 요크(Y)의 면상에 안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1(12)의 내주연 부분에 외주연 부분이 에지3(14a)을 통해 고정되어 탄발 지지되고, 내주연 부분은 상기 진동판2(13)의 외주연 부분에 마련된 에지(13a)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요크(Y)의 환턱(Y1)과 돌출된 외주연 부분 사이에 별도의 환턱(Y2)을 더 마련하여, 상기 진동판3(14)이 마그네트3(M3)과 탑플레이트3(T3)의 적층물과 환턱(Y1) 사이의 공극3(S3) 내에 위치한 코일3(C3)에 의해 진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음향변환기는 함체형 캐비닛에 수용되는 스피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음향변환기는 마이크로스피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21. 제 12항 또는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1ㆍ2(12a)(13a)는 평면 상태로 진동구조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변환기.
KR1020070013637A 2007-02-09 2007-02-09 전자음향변환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6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637A KR100769885B1 (ko) 2007-02-09 2007-02-09 전자음향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637A KR100769885B1 (ko) 2007-02-09 2007-02-09 전자음향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885B1 true KR100769885B1 (ko) 2007-10-24

Family

ID=3881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6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9885B1 (ko) 2007-02-09 2007-02-09 전자음향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8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188B1 (ko) * 2020-06-08 2021-06-23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3-웨이 스피커
CN114071330A (zh) * 2020-07-30 2022-02-18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发声装置的振动结构
CN114095840A (zh) * 2021-12-31 2022-02-25 深圳市原泽电子有限公司 双音圈动圈单元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8998A (ja) * 1989-11-02 1991-06-25 Mitsubishi Electric Corp 音声再生装置
JPH0424880A (ja) * 1990-05-18 1992-01-28 Yaskawa Electric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0354296A (ja) * 1999-06-09 2000-12-19 Sony Corp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KR20020011488A (ko) * 2000-08-02 2002-02-09 홍경 리시버-라우드 스피커 통합형의 이중 스피커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90000880U (ko) * 2017-09-29 2019-04-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야간항공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8998A (ja) * 1989-11-02 1991-06-25 Mitsubishi Electric Corp 音声再生装置
JPH0424880A (ja) * 1990-05-18 1992-01-28 Yaskawa Electric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0354296A (ja) * 1999-06-09 2000-12-19 Sony Corp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KR20020011488A (ko) * 2000-08-02 2002-02-09 홍경 리시버-라우드 스피커 통합형의 이중 스피커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90000880U (ko) * 2017-09-29 2019-04-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야간항공등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188B1 (ko) * 2020-06-08 2021-06-23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3-웨이 스피커
CN114071330A (zh) * 2020-07-30 2022-02-18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发声装置的振动结构
CN114071330B (zh) * 2020-07-30 2023-03-24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发声装置的振动结构
CN114095840A (zh) * 2021-12-31 2022-02-25 深圳市原泽电子有限公司 双音圈动圈单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093B1 (ko) 감각 신호 출력 장치
US8774447B2 (en) Crossover double speaker
CN201657291U (zh) 多功能微型喇叭
CN101888581B (zh) 多功能微型喇叭
US9288600B2 (en) Sound generator
CA2407160A1 (en) Flat panel sound radiator with supported exciter and compliant surround
US10820113B2 (en) Speaker
CN101883308A (zh) 多功能微型喇叭
WO2022222489A1 (zh) 发声装置
US8611583B2 (en) Compact coaxial crossover-free loudspeaker
CN104349251A (zh) 扬声器结构
JP5032707B2 (ja) 多機能マイクロスピーカー
KR20090040952A (ko) 전자음향변환기
KR20030039926A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CN103118319A (zh) 一体式微型降噪喇叭
JP2013522946A (ja) スピーカー
KR100769885B1 (ko) 전자음향변환기
KR100413374B1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KR101848735B1 (ko) 막대자석을 이용한 멀티 음역 재생이 가능한 스피커
JP2012119845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KR101111100B1 (ko) 이어폰용 고음질 스피커 유닛
KR20080095962A (ko) 왜율 방지 성능을 구비한 동 위상 저음 반전 방식의 출력구조를 갖는 전기음향변환 유닛
CN207460437U (zh) 一种平板耳机发音装置及耳机
CN115314815B (zh) 一种扬声器单体及电子设备
CN217789879U (zh) 耳机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