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741B1 -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9741B1 KR100769741B1 KR1020040037502A KR20040037502A KR100769741B1 KR 100769741 B1 KR100769741 B1 KR 100769741B1 KR 1020040037502 A KR1020040037502 A KR 1020040037502A KR 20040037502 A KR20040037502 A KR 20040037502A KR 100769741 B1 KR100769741 B1 KR 1007697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ommunication
- radio
- public
- terminal
- network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8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21 re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00048435 Caenorhabditis elegans unc-18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LAN 단말로부터 인터넷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무선 접속의 상황을 무선 LAN 단말에 통지하고, 그것에 의하여 그 네트워크로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불안감이 경감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nables access to the Internet from the wireless LAN terminal, notifies the wireless LAN terminal of the situation of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reby causes anxiety of the user at the time of connection to the network. This is alleviated.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 NW 이용 정보를 검출하여 무선 LAN 단말에 통지하고, 그것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불안감을 경감한다.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detects the external NW usage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radio LAN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educing the anxiety of the user when connecting to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를 무선 통신 단말이 이용할 경우에,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부하를 경감하여, 인터넷 액세스 환경의 향상을 도모한다. When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that accesses the Internet using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load using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s reduced, and the Internet access environment is improved.
인증부는, 단말 장치가 접속 요구를 행하고 있을 때에, 미리 기억부에 기억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 장치를 인증한다. 암호부는, 미리 기억부에 기억한 암호에 근거하여 암호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인증 정보의 누설을 방지한다. When the terminal device makes a connection request, the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encryption unit executes encryption processing based on the password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is prevents leakag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무선 LAN 단말은, 하차 예약 정보와 자기 특정 식별자로 미리 등록해 둔다. 차량이 정류소에 가까이 가면, 식별자를 확인하여 무선 LAN 단말에 하차 예약 정보를 통지한다. 이에 의해, 무선 LAN 단말을 소지하는 승객은 원하는 정류소에서 하차할 수 있다. The wireless LAN terminal registers in advance by getting off reservation information and a self-identification identifier. When the vehicle is near the stop, the identifier is checked and the getting off reservation information is notified to the wireless LAN terminal. Thereby, the passenger who carries a wireless LAN terminal can get off at desired stop.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무선 LAN)(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LA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단말(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4는 도 3의 무선 통신 장치(3)가 실행하는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executed by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퀸스 차트, 5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 flow of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i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퀸스 차트, 6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 flow of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i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8은 Web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web page;
도 9는 Web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9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web pag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퀸스 차트, 11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 flow of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in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무선 LAN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LA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시스템(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퀸스 차트, 14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 flow of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in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시스템(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퀸스 차트, 15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 flow of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in the
도 16은 무선 LAN 단말(2)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24a)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1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도 17은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의 제 1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17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xternal NW
도 18의 (a) 및 (b)는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의 제 2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18A and 18B show a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external NW
도 19의 (a), (b), (b), 및 (d)는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의 제 3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19 (a), (b), (b), and (d) show a thir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external NW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적용한 인터넷 액세스에 따른 시스템 구성 예를 게시하는 블럭도, 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example according to Internet access to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도 22는 도 20에 도시하는 관리 장치(307)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FIG. 2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23은 도 22에 도시하는 Web 액세스 빈도 집계 데이터베이스(357)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FIG. 2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Web access
도 24는 도 21에 도시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3)가 Web 페이지로의 액세스 요구 수신시에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24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executed by the mobile
도 25는 도 22에 도시하는 관리 장치(307)에 따른 캐시 갱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25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cache update process according to the
도 26은 운행 전의 이동 차량(210)에 대한 제 2 캐시 서버(337)의 갱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FIG. 26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update processing of the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2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도 27의 기억부에 기억된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28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f information about a terminal device stored in a storage unit in FIG. 27;
도 29는 도 27의 인증 처리를 도시하는 시퀸스 도면, FIG. 29 is a sequence diagram show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of FIG. 27;
도 30의 (a), (b), 및 (c)는, 도 27의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A), (b), and (c) of FIG. 30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device of FIG. 27;
도 3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운행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3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도 31에 있어서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무선 LAN 단말이 무선 중계 장치에 대해 하차 예약을 실행할 경우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FIG. 3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flow when any wireless LAN terminal performs getting off reservation for a wireless relay device in the service management system in FIG. 31; FIG.
도 33은 도 31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예약 통지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의 일례,33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reservation notification processing in the service management system of FIG. 31;
도 34는 운행 관리 시스템에 의해 PDA로 표시된 다음 하차 정류소의 통지 예를 도시한 도면, Fig. 3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notification of the next getting off stop indicated by the PDA by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도 35는 이동 차량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3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a mobile vehicle;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이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도착 시간의 추정을 실행하는 개념도, 36 is a conceptual diagram of estimating the arrival time when the vehicle does not stop at the sto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류소에 있어서의 승객 수나 날씨 등을 고려하여 도착 시간의 추정을 실행하는 개념도, 37 is a conceptual diagram of estimating arriva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assengers, weather, and the like at a sto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류소로의 도착 시간을 계산으로 구하는 개념도, 3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alculating the arrival time to a sto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교차점 부근에 있어서의 교통 사정을 고려하였을 경우에 도착 시간을 추정하는 개념도,3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stimating the arrival time when considering traffic conditions near the inters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의 외측에 정류소로의 추정 도착 시간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4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stimated arrival time of a stop is displayed on the outside of a vehic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무선 LAN 2 : 무선 LAN 단말1: wireless LAN 2: wireless LAN terminal
3 : 무선 통신 장치 4 : 휴대 전화 기지국3: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4: mobile phone base station
5 : 인터넷 6 : WEB 서버5: Internet 6: WEB server
21 : 무선 LAN 액세스부 22 : 제어부21: wireless LAN access unit 22: control unit
23 : 기억부 24 : 표시부23: memory 24: display
25 : 조작부 25: control pane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에 액세스할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또한, 통신 대상의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specifying a device to be communicated with,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또한, 버스나 전차 등의 대중 수송 차량에 구축된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승객에 하차 안내 등에 관한 정보(이하, 하차 정보라 함)를 제공하여 차량의 운행 관리를 실행하는 운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management system that executes vehicle management by providing information on getting off guid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etting off information) to a passeng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uilt in a public transport vehicle such as a bus or a train. .
최근, 휴대 전화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고, 그 액세스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정 내 LAN이 무선 LAN으로 간이하게 구축되거나, 외출 장소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전자 메일을 주고 받거나, 인터넷 상의 홈 페이지를 열람하거나 하는 것이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In recent year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a mobile telephone and a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have become widespread and are widely used because of their good accessibility. For example, a home LAN is easily established as a wireless LAN, a mobile phone is used to send and receive e-mails, or a home page on the Internet is routinely performed at the place of going out.
또한, 버스나 전차 등의 비교적 장시간의 승차가 이루어지는 차량 내에서의 무선 LAN 서비스가 검토되고 있다. 이 무선 LAN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하는 차량 내에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무선 LAN용의 무선 통신 장치를 설치하여 무선 LAN을 구축한다. 또한, 해당 무선 통신 장치는, 인터넷 등의 외부와의 액세스 방법으로서,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인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이동 차량 내에 있는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등,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LAN 등의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 및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In addition, wireless LAN services in vehicles in which a relatively long time of boarding, such as a bus or a train, are performed have been consider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alizing this wireless LAN service, a wireless LAN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a wireless LAN as a wireless base station in a moving vehicle. In additio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s a function for connecting to a cellular phone network which is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s an access method to the outside such as the Internet. Thereby,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Interne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terminal such as a wireless LAN used by a user, such as a notebook personal computer in a mobile vehicle.
이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서, 셀룰라 시스템, PHS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고속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cdma2000 1xEV-D0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300644 호 공보를 참조.Examples of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 a cellular system and a PHS system. Especially, a system using the cdma2000 1xEV-D0 system is known as a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300644.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인, 예컨대, 무선 LAN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wireless LAN, there are problems shown below.
무선 통신 장치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은, 무선 LAN 단말로부터 인터넷 상의 WEB 서버 등의 외부에 대해 액세스가 있었던 경우에, 필요에 따라 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무선 LAN 단말이, 예를 들어 소정의 홈 페이지로의 액세스를 요구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우선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개시하고, 이 접속이 완료하고 나서 원하는 홈 페이지로의 액세스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동 차량으로부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 무선 전파 환경이 변동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그 접속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PPP(Point to Point Protocol)가 사용되는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이나, 「cdma2000 1xEV-D0」이라고 불리는 부호 분할 다원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네트워크에서는 현저하게 된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performed as necessary when there is access from the wireless LAN terminal to the outside such as a WEB server on the Internet. For this reason, when the wireless LAN terminal requests access to a predetermined home page,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irst starts a connection with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fter the connection is complet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tarts to the desired home page. Initiate access. However, when connecting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mobile vehicle, the connection may require a long time due to a change in the radio wave environment. In particular,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PPP (Point to Point Protocol) is used, for example,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o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cheme called "cdma2000 1xEV-D0" This is remarkable in the network of.
이 때문에,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완료하기 전에, 무선 LAN 단말측의 애플리케이션(브라우저(browser))에서 홈 페이지로의 액세스 시에 있어서의 타임아웃(timeout) 쪽이 먼저 발생하고, 실제로는 홈 페이지로의 액세스가 가능한데도 불구하고 무선 LAN 단말위로 원하는 홈 페이지로의 액세스를 할 수 없는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이용자에 따라서는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불가 혹은 시간이 걸리고 있는지, 혹은, 정말로 원하는 홈 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것인지를 알 수 없고, 이용자에 대해 불안감을 주는 것으로 되어, 매우 사정이 좋지 않다. 또한, 무선 LAN 단말측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타이머가 타임아웃하여 홈 페이지로의 액세스가 불가능하다는 표시가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게 되어, 쓸데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For this reason, before the connection to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completed, the timeout at the time of accessing the home page from the application (browser) on the wireless LAN terminal side occurs first, and in fact, Although access to the home page is possible, a message may be displayed to prevent access to the desired home page on the wireless LAN terminal.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connection to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time consuming or time-consuming, or cannot access the desired home page depending on the user. Not good. On the wireless LAN terminal side, although the timer of the application has timed out and an indication that access to the home page is not possib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s access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lso useless.
또한, 상술한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인, 예컨대 무선 LAN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도 있다. Moreover, in the wireless LAN which is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ntioned above, there also exists a problem shown below.
이동 차량 내의 무선 통신 장치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 차량의 위치에 따라서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가 변화하므로, 반드시 접속에 성공한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PPP(Point to Point Protocol)가 사용되는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이나, 「cdma2000 1xEV-D0」이라고 불리는 부호 분할 다원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네트워크에서는, 무선 상태나 무선 이용자 수 등에 따라 접속에 요하는 시간이 변동한다. 그러나, 이동 차량 내의 이용자에게는,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나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자 수를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우선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 경유의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는 것으로 되지만, 무선 통신 장치가, 예를 들면,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권 외(外)이었을 경우, 이용자의 무선 통신 단말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혼잡하고 있는 곳에 있는 경우, 이용자의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에 액세스해도 응답(respoense)이 매우 늦어진다. Whe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n the mobile vehicle connects to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 radio state between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han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connection is not necessarily successful. In addition,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PPP (Point to Point Protocol), for example,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called "cdma2000 1xEV-D0" In a network, the time required for conne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radio state, the number of radio users, and the like. However, the user in the mobile vehicle cannot know the radio state with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number of users of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the user first attempts to connect to the Internet via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outside the service right of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user'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 can't access the Internet. In addition, whe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s in a place where the traffic of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s congested, the response is very slow even if the user's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Internet.
즉, 이용자로부터는 무선 통신 장치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나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자 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무엇 때문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지, 또는 액세스해도 응답이 나쁜 것 인지라고 하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user cannot know the radio status between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number of users of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 reason why the user cannot connect to the Internet or the response is bad even if the user accesses it There was a problem of unknown caus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도 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 are also problems shown below.
무선 LAN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이동 차량 내의 이동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인터넷에 접속할 때에는,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인 휴대 전화 네트워크가 이용되지만,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통신 속도가 무선 LAN 등과 비교하면 충분하지 않고, 쾌적한 인터넷 액세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차량의 위치에 따라서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가 나빠지거나, 이동 차량의 외부에 동일한 기지국을 이용하는 휴대 전화 이용자가 다수 존재하거나 하면, 통신 속도가 더 늦어진다. When connecting to the Internet from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 mobile vehicle by a request from a wireless LAN terminal, a cellular phone network, which is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used, but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cellular phone network is not sufficient compared to wireless LAN and the like, and is comfortable.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internet access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peed becomes slower when the radio state between the cellular phone network becomes wors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or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cellular telephone users who use the same base station outside the mobile vehicle.
최근, 차세대의 고속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cdma2000 1x-EVDO(이하, 「EV-DO」라고 함)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EV-DO 방식이란, cdmaOne 방식을 확장하여 제 3 세대 방식에 대응시킨 cdma2000 1x 방식을, 데이터 통신으로 더 특화하여 전송 레이트를 고속화시킨 방식이다. 여기에, 「EV」는 Evolution, 「DO」는 Data Only를 의미한다. Recently, the cdma2000 1x-EVDO (hereinafter referred to as "EV-DO") system has been developed as a next generation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EV-DO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cdma2000 1x method, which is extended to the cdmaOne method and corresponds to the third generation method, is further specialized in data communication to speed up the transmission rate. Here, "EV" means Evolution and "DO" means Data Only.
EV-DO 방식에 있어서,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 링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cdma2000 1X 방식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로의 다운 링크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서는, 1.23MHz로 규정된 대역폭이 cdma2000 1x 방식과 동일한 한편, 변조 방식, 다중화 방법 등이 cdma2000 1x 방식과 크게 상이하다. 변조 방식은, cdma2000 1x 방식에서 사용되고 있는 QPSK, HPSK에 대해, EV-DO 방식에 있어서, QPSK, 8-PSK, 16QAM이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의 다운 링크의 수신 상태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상태가 양호할 경우에, 오류 내성이 낮고 또한 고속의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고, 수신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저속이지만 오류 내성이 높은 전송 레이트를 사용한다. In the EV-DO scheme, the configuration of the uplink air interface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cdma2000 1X scheme. In the downlink air interface configuration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ndwidth defined by 1.23 MHz is the same as the cdma2000 1x method, while the modulation method, the multiplexing method, and the like are greatly different from the cdma2000 1x method. In the modulation scheme, QPSK, 8-PSK, and 16QAM can be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downlink reception stat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EV-DO scheme for QPSK and HPSK used in the cdma2000 1x scheme. As a result, when the reception state is good, a low error tolerance and a high transmission rate are used, and when the reception state is poor, a low transmission rate but a high error tolerance is used.
또한,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로의 통신을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다중화 방법에는, cdmaOne 방식이나 cdma2000 1x 방식에서 사용되는 부호 분할 다중 액세스(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아니라, 시간을 1/600 초 단위로 분할하고, 그 시간 내에서는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과만 통신을 실행하고, 또한 통신 대상으로 되는 무선 통신 단말을 단위 시간마다 전환하여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과 통신을 실행하는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In addition, the multiplexing method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communication from one base station to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is not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sed by the cdmaOne method or the cdma2000 1x method. Time division multiplexing which divides by / 600 seconds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only on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that time, and switche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to be communicated at every unit time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Us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무선 통신 단말은, 통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 링크의 수신 상태로서 파일롯 신호의 반송파 대 간섭파 비(이하 「CIR : Carrier to Interference power Ratio」라고 함)를 측정하고, 그 변동으로부터 다음의 수신 타이밍의 수신 상태를 예측하고, 그로부터 기대되는 「소정의 오류율 이하에서 수신 가능한 최고 전송 속도」를 데이터 레이트 콘트롤 비트(이하,「DRC : Data Rate Control bit」라고 함)로서 기지국에 통지한다. 여기서, 소정의 오류율은, 시스템 설계에 의존하지만 통상 1% 정도로 된다. 기지국은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DRC를 수신하고, 기지국 내의 스케줄러(scheduler) 기능이 각 시분할 단위로 어느 무선 통신 단말과 통신할 지를 결정하지만, 각 무선 통신 단말과의 통신에는, 기본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DRC를 바탕으로 가능한 한 높은 전송 레이트를 사용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easures the carrier-to-interference rat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CIR: Carrier to Interference power ratio") of the pilot signal as a downlink reception state from the base station to be communicated with, and receives the next reception from the variation. The reception state of the timing is predicted, and the base station is notified of the expected "maximum transmission rate that can be received below a predetermined error rate" as a data rate control b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C: Data Rate Control bit"). The predetermined error rate here is usually about 1%, depending on the system design. The base station receives DRCs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determines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scheduler function in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each time division unit, but the communication with each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basically a wireless communication. Use the transmission rate as high as possible based on the DRC from the terminal.
EV-DO 방식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운 링크에 있어서, 섹터 당 최대2.4Mbps(Mega-bit per second)의 전송 레이트를 가능하게 한다. 단, 이 전송 레이트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과, 통상 복수 갖는 섹터 중의 하나에 있어서, 하나의 기지국이 접속하고 있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량의 합계이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 전송 레이트도 증가한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300644 호 공보를 참조. The EV-DO scheme enables a transmission rate of up to 2.4 megabits per second (Mbps) per sector in the downlink by the above configuration. However, this transmission rate is the sum of the data communication amounts with a plurality of radio communication terminals connected to one base station in one frequency band and one of a plurality of sectors, which are usually transmitted when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re used. The rate also increases.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300644.
이러한 EV-DO 방식과는 별도로, 회사, 가정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인 LAN의 사용 가능 영역을 넓히기 위해, 무선 LAN도 개발되고 있고, 특히, IEEE802.11b로 표준화된 무선 LAN은, 최대 1lMbps의 전송 속도와 반경 50∼100m의 통신 에어리어(area)라고 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전송 속도의 고속화, 액세스·포인트, 모바일·터미널의 저 가격화, 또한, 가정에 있어서의 ADSL의 보급도 도와,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또한, 다른 옥외에서의 이용으로서, 극히 한정된 장소에서 가각(街角) 스폿(spot)·서비스가 개시되었다. 즉, 무선 LAN은, EV-DO 방식과 비교하여, 서비스 에어리어는 좁지만, 보다 고속인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Apart from the EV-DO system, wireless LANs have also been developed to expand the available area of LANs, which are networks in companies and homes. In particular, wireless LANs standardized by IEEE802.11b have a transmission rate of up to 1 lMbps. And a communication area with a radius of 50 to 100 m. Higher transmission speeds, lower access points, lower prices for mobile terminals, and the wider spread of ADSL in the home are also becoming widespread. In addition, for use in other outdoor areas, individual spot services have been started at extremely limited places. In other words, the wireless LAN can provide a higher transmission speed although the service area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EV-DO system.
한편, 버스, 전차 등의 비교적 장시간 승차하는 차량 내에서의 무선 LAN 서비스도 검토되고 있고, 이동 차량에 무선 LAN의 통신 수단과 휴대 전화의 통신 수단을 갖는 통신 장치를 설치하고, 차량 내의 노트북 PC 등과의 사이를 무선 LAN에서 접속하고, 차량 외의 인터넷에는 휴대 전화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에 의해, 차량 내의 노트북 PC 등으로부터 차량 외의 인터넷 망으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된다. 차량 내에서 무선 LAN을 사용할 경우, 서비스의 제공측은, 관계없는 사람이 무선으로 접속하지 않도록, 인증 수속을 취하거나, 또한, 사용자가 송신한 정보가, 부주의하게 다른 사용자에 누설하지 않도록 암호화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통상, 무선 LAN에 있어서, 부주의하게 다른 사용자가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암호 키(WEP), MAC 어드레스 등록 등이 있다. 차량 등에 있어서의 무선 LAN 서비스의 경우, 이용 대상자에게 무선 LAN 카드 등을 배포하지는 않기 때문에, MAC 어드레스 등록에 의한 이용자의 한정은 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액세스·포인트에 따른 암호 키를 사전에 사용자에 알리고,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에 설정되게 하는 방법이 취해진다. 또한, 서비스 자체가 유료의 경우, 사용자가 무선 중계 장치에 무선 접속하였을 때에, 특정한 포털 사이트를 표시하여, 사용자 이름, 패스워드에 의한 사용자 인증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ireless LAN services in vehicles that ride relatively long, such as buses and trains, have also been considered, and mobile devices ar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means of a wireless LAN and a communication means of a cellular phone, and a notebook PC or the like in a vehicle. By connecting to a wireless LAN and connecting to the Internet outside the vehicle by using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it is possible to connect from the notebook PC in the vehicle to the Internet network outside the vehicle. When using a wireless LAN in a vehicle, the provider of the service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to prevent an unrelated person from connecting wirelessly, and encrypt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so as not to inadvertently leak it to another user. Needs to be. Usually, in a wireless LAN, encryption key (WEP), MAC address registration, etc. are methods for preventing another user from inadvertently connecting to an access point. In the case of a wireless LAN service in a vehicle or the like, wireless LAN cards and the like are not distributed to the person to be used, so the user cannot be restricted by MAC address registration. For this reason, the method of notifying a user beforehand about the encryption key according to an access point, and making it set to the terminal used by a user is taken. In addition, when the service itself is charged, when a user wirelessly connects to the wireless relay device, a specific portal site is displayed, and user authentication by user name and password is also possible.
전술한 무선 LAN에 있어서의 암호 키에 의한 암호화는, 통상 하나의 액세스·포인트에 대해 하나뿐이다. 이 때문에, 하나의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끼리는, 동일한 암호 키를 이용하고 있다. 동일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 간에 있어서는, 보안성(security)의 한계는 낮고, 무선 통신되고 있는 정보가 판독될 위험성을 갖고 있다. 보다 안전성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상이한 암호 정보, 인증 정보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통상의 WEP 키의 이용, 또한, 인증 수속인 경우에 대응시키면, 적어도 처음 접속할 경우, 미리 배포된 암호 정보, 인증 정보가 기재된 용지를 보면서, 단말 화면을 보 면서 사용자가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암호 정보나, 인증 수속에 있어서의 사용자 명, 패스워드 등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면 좋다. 통상, 버스, 전차 등의 이동 차량의 경우, 사람들은 어깨를 접촉할 거리에 앉아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는, 이전의 암호 정보, 인증 정보가 기재된 용지의 내용은, 용이하게 옆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보이고 있는 것으로 되어, 보안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고, 또한, 사용자가 흔들리는 버스나 전차 안에서, 기억하기 어려운 암호 키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The encryption by the encryption key in the above-described wireless LAN is usually only one for one access point. For this reason, users who are connected to one access point use the same encryption key. Among users who use the same access point, the security limit is low and there is a risk that information being wirelessly communicated is read. In order to make security more secure, it is necessary to set different encryp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etc. for each user. In the case of using the normal WEP key and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t least for the first time, the user uses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while viewing the terminal screen while viewing the paper containing the previously distributed password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password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user name and password i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input. Usually, in a mobile vehicle such as a bus or a tram, people are sitting at a distance to touch the shoulders.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contents of the paper containing the previous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easily displayed to the person sitting next to them, and the security is not secured, and the user is stored in a bus or a train that the user shakes. Entering an encryption key that is difficult to do correctly is cumbersome.
최근, 휴대 전화기는 광대역화의 방향에 있고, 제 3 세대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다운 방향의 통신 속도는 최대 2.4[Mbps]를 실현하고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300644 호 공보를 참조). 또한, 회사나 가정에 있어서 네트워크화되어 있는 LAN에 있어서는, 그 사용의 장점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선 LAN이 구축되어 있다. 특히, IEEE802.1lb 규격에 적합한 차세대 무선 LAN은, 최근, 전송 속도의 고속화, 액세스·포인트나 모바일·터미널의 저 가격화, 더 니아가, 일반 가정에 있어서의 ADSL의 보급과 더불어,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무선 LAN을 사용한 휴대 전화기의 옥외에서의 이용으로서 가각(길목)에서의 스폿 서비스(이하, 가각 스폿 서비스라고 함) 등도 개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mobile phones are in the direction of widening, and in the third generation mobile phones, the communication speed in the down direction has been realized at a maximum of 2.4 [Mbps]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300644). . In addition, in a LAN networked in a company or home, a wireless LAN is generally constructed because of its advantages. In particular, next-generation wireless LANs conforming to the IEEE802.1lb standard have been generally widely used 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 of the transmission speed, the low cost of access points and mobile terminals, and the spread of ADSL in general households. It is beginning to spread. In addition, spot ser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gular spot services) at each corner are also disclosed as outdoor use of mobile telephones using these wireless LANs.
또한, 무선 LAN은, 종래의 유선 케이블로 단말간을 접속하고 있었던 것을 무선으로 대체한 것이며, 종래부터의 유선에 의한 LAN과의 친화성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에 있어서, 현재 주류로 되어 있는 무선 LAN은 IEEE802.11b에 적합한 것이며, 그 전송 속도는 최대로 11[Mbps]까지 인상되어 있다. 또, 이러 한 무선 LAN에 있어서의 하나의 액세스·포인트의 에어리어는 반경 50∼100[m] 정도로 좁은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무선 LAN을 사용한 휴대 전화기의 가각 스폿 서비스는 극히 한정된 장소에서의 서비스로 한정된 것으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replaces what was connected between terminals with the conventional wired cable by the wireless, and has a high affinity with the LAN by the conventional wired cable. Against this background, the mainstream wireless LAN is compliant with IEEE802.11b, and its transmission rate is raised to 11 [Mbps] at maximum. In addition, since the area of one access point in such a wireless LAN is as small as a radius of 50 to 100 [m], each spot service of a cellular phone using these wireless LANs is a service in a very limited place. It is limited.
한편, 휴대 전화기의 전송 속도는, 해마다, 광대역에 걸쳐서 고속화하여 가고 있지만, 아직 무선 LAN과 비교하면 전송 속도는 느린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의 액세스·포인트의 서비스 에어리어는 반경 2[km] 정도로 넓은 것으로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transmission speed of mobile telephones has been increasing over a wide bandwidth year by year, the transmission speed is still slow compared to wireless LAN. However, the service area of one access point is as large as a radius of 2 [km].
또한, 무선 LAN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많은 액세스·포인트를 설치하고, 이들의 액세스·포인트를 떠돌아다니면서도, 모바일·노드가 IP 어드레스를 변경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IP의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IP는, 모바일·노드의 홈 링크 위에 인터페이스를 갖는 라우터인 홈·에이전트(Home Agent)와, 모바일·노드의 이동처의 링크 상에 인터페이스를 갖는 라우터인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가 있고, 또한, 모바일·노드는, 이동처의 링크 상에 있어서 방 어드레스(care-of address)를 취득하여, 이 방 어드레스를 홈·에이전트에게 이동처의 방 어드레스로서 등록한다. 한편, 홈·에이전트는, 모바일·에이전트를 향해 송신된 패킷을 캡슐(capsule)화하여 방 어드레스에 전송함으로써, 모바일·노드의 IP 어드레스를 변경하지 않고, 이동처의 링크 상에 존재하는 모바일·노드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LAN, as in the case of a cellular phone, there is a technology of mobile IP that allows a mobile node to continuously access without changing an IP address while installing many access points and navigating these access points. It is spreading. These mobile IPs include a Home Agent, which is a router having an interface on the mobile node's home link, and an Foreign Agent, which is a router having an interface on the link of the mobile node's moving destination. The mobile node also acquires a care-of address on the link of the moving destination, and registers the room address as the moving address of the moving destination with the home agent. On the other hand, the home agent encapsulates the packet transmitted to the mobile agent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room address, thereby changing the mobile node's IP address without changing the mobile node's IP address. Packets can be sent to
또한,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광역 교통 관리 시스템을 융합시킨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 고도 도로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는, 카 네비게 이션 시스템의 무선 통신화가 도모되고 있고,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메일 등의 송수신이나 인터넷 액세스 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의 저 가격화와 함께 CD(Compact Disk)이나 DVD(Digital Versatile Disk)에 비해 고속인 액세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도로 정보는 DVD로부터 HDD(Hard Disk Drive)에 축적하는 형태로 이행하고 있다. 또한, 도로 정보의 갱신 방법으로서 무선을 이용한 시스템도 실현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n which a car navigation system and a wide area traffic management system are fused, wireless communication of a car navigation system is aimed at, and a mobile telephone is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e-mails and the like. And internet access are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hard disk can be lowered and high-speed access is possible compared to a CD (Compact Disk) or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road information of a car navigation system can be stored from a DVD to a HDD (Hard Disk Drive). Is moving to form. In addition, a system using wireless is also realized as a method of updating road information.
그런데, 차량 내에서의 무선 LAN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객은, 버스나 전차 등의 이동 차량에 대해서는, 미리 결정된 시각 표를 확인하는 것은 가능해도, 현재 어느 부근을 주행하고 있는 것인지 라고 하는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는 없다. 또한, 교통 사정 등에 의해 지연이 발생한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이용객은, 원하는 역이나 정류소에 있어서의 출발 시간이나 도착 시간에 어떻게 영향을 주어 오는 것인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다. By the way, even if it is possible for the user using the wireless LAN service in the vehicle to check a predetermined timetable about moving vehicles such as a bus or a train, it is driving information such as which neighborhood it is currently traveling. It is not known in real time. In addition, when a delay occurs due to traffic conditions or the like, the user cannot grasp in real time how it affects the departure time or arrival time at a desired station or stop.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무선 통신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에 액세스할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situation, The objective is the radio |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es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the user connected to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ccesses the Internet. A system for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reduce anxiety of a user when connecting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인터넷에 액세스할 경우에, 이용자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시도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 이에 의해 이용자로부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효율적으로 행해짐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의 처리 능력 및 소비 전력의 사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whether a user attempts to access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esses the Internet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at can be judged, thereby efficiently accessing the user from the user to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mproves the processing capacity and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t the time of connection to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reduce anxiety of a us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를 무선 통신 단말이 이용할 경우에,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부하를 경감하고, 인터넷 액세스 환경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accesses the Internet by using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mmunication load using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mprove the Internet access environment. It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for use in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한 조작으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는 인증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Moreover, this invention provides the authentication method which ensures high security by the easy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버스나 전차 등의 이동 차량에 승차 중의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에 운행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적정하게 운행 관리를 행할 수 있는 운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oreover,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operation | movement management system which can perform operation | movement appropriately by notifying the mobile information which the passengers hold | maintains in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bus or a train, to the portable terminal which a passenger carri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접속되는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해당 검출한 접속 상황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3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3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수신한 상기 접속 상황 정보를 사용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ed to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aid wireless communica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first radio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radio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ir connected via the second radio communication mean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connection state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detected connec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connection status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접속되는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Web 페 이지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으로의 액세스 요구가 있었던 때에,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Web 페이지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3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3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인터넷에 액세스 요구하는 액세스 요구 수단과, 해당 액세스 요구의 이후에 상기 제 3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수신한 상기 Web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accesses the Interne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status betwe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execut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storing means for storing the Web page, and the storing means when the connection status to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connected when there is an access reques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Internet. The web page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 requesting means for requesting access to the Internet via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Web page received via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fter the access reques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통신 요구에 근거하여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접속되는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해당 검출한 접속 상황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connects to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enables the data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a data communication request from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wherein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Detec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means for detecting transmission of the detected connec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first radio communica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인터넷 액세스 요구에 근거하여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인터넷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접속되는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Web 페이지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으로의 액세스 요구가 있었던 때에,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Web 페이지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enables access to the Internet by connecting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n Internet access request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Connection status betwe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message, storage means for storing a Web page, and the storage means when the connection status to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connected when there is an access reques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Internet. The web page stored in the web page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means which carries out transmission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해당 무선 통신 장치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 상황 정보를 사용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via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 radio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radio communication. And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a user of connection status information betwee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d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via the mean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인터넷에 액세스 요구하는 액세스 요구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수신한 Web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액세스 요구 수단이 상기 무선 통신 수단에 대해 인터넷으로의 액세스 요구를 하였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요구한 Web 페이지와는 상이한 Web 페이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수신한 Web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for accessing the Internet via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radio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radio communication means; Access request means for requesting access to the Interne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Web pag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herein the access requesting means requests access to the Interne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receives a web page different from the web page requested to access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display means displays the received web pag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접속되는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해당 검출한 무선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3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3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수신한 상기 무선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ed to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aid wireless communica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first radio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radio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ir connected via the second radio communication mean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radio state with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detected radio state information to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first radio communication means; And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sai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aid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radio state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new mean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통신 요구에 근거하여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접속되는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해당 검출한 무선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connects to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enables the data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a data communication request from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wherein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A wireless state betwe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ignal and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detected radio state information to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first radio communica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해당 무선 통신 장치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via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 radio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radio communication. And a notifying means for notifying a user of radio status information betwee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d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via the mean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무선 통신 단말 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해당 검출한 단말 수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3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3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수신한 상기 단말 수를 사용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means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detected number of terminals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e number of terminals received via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the user And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통신 요구에 근거하여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 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무선 통신 단말 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해당 검출한 단말 수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connects to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enables the data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a data communication request from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wherein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Detecting th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a detecting means and a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detected number of terminals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해당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무선 통신 단말 수를 사용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via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 radio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radio communication. And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a user of th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are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via mean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인터넷 액세스 요구에 근거하여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인터넷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액세스한 Web 페이지를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으로의 액세스 요구가 있었던 때에, 상기 제 1 기억 수단의 Web 페이지 중에서 당해 액세스 요구에 합치하는 Web 페이지를 검색하고, 합치하는 Web 페이지가 검색되었을 경우에는 당해 Web 페이지 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mobile radio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is invention connects to a public radio |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internet access request from the radio |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and enables the mobile radio | communication access to the said internet. An apparatus comprising: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eb accessed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 web page that searches for and matches a web page that matches the access request from a web page of the first storage means when there is an access reques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Internet from the first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page; If is found, the corresponding web page is accessed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at the standing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is characterized.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이동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액세스한 Web 페이지를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과, 상기 제 2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액세스가 시도된 Web 페이지에 관한 액세스 빈도를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액세스 빈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 Web 페이지를 기억하는 제 2 기억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으로의 액세스 요구가 있었던 때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억 수단의 Web 페이지 중에서 당해 액세스 요구에 합치하는 Web 페이지를 검색하고, 합치하는 Web 페이지가 검색되었을 경우에는 당해 Web 페이지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이동 무선 통신 장치와, 복수의 상기 이동 무선 통신 장치가 각각 갖는 상기 제 2 기억 수단의 Web 페이지를 각 상기 이동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 3 기억 수단을 구비한 관리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accesses the Internet via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irst storage means for storing a web page accessed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 access frequency for a Web page attempted to access via means, second storage means for storing a Web page estimated to have high access frequency, and an access reques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Internet. When there was, the access request from the web page of the first or second storage means. And a plurality of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es having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web page to be transmitted to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first radio communication means when a matching web page is searched. And a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third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Web page of the second storage means each of 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es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es.
본 발명에 의하면, 과거에 액세스된 인터넷상의 Web 페이지가 이동 무선 통신 장치 내에 기억되므로, 재차 동일한 Web 페이지가 액세스되었을 때에는, 해당 기억되어 있는 Web 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무선 통신 장치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감소하므로,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이동 차량 내에 있어서의 인터넷 액세스 환경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eb page on the Internet that has been accessed in the past is stored in 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hen the same web page is accessed again, the stored web page can be used. As a result,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ccesses the Internet using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s reduced, so that the communication load using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reduced, and the Internet access environment in the mobile vehicle can be improved. can do.
본 발명의 한 형태는, 통신 장치이다. 이 장치는, 단말 장치의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생성한 인증 정보와 기억한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기억 매체에 기입하는 기입 수단과, 기억 매체를 통신 장치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기억 매체를 접수한 단말 장치와, 기억 매체에 기입한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통신 수단을 거쳐서 단말 장치로부터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한 인증 정보와 생성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 장치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인증한 단말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신 수단에 허가하는 허가 수단을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device. The apparatus comprises: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storage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device, writing means for writing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stored communication device into a storage medium;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storage medium to the outsid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storage medium,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based on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device written to the storage medium, and a communication means from the terminal device.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means for authenticating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acqui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ermission means for allowing the communication means to permi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uthenticated terminal device.
「배출한다」는 것은, 강제적으로 외부에 출력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의 취지로 취출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Discharging"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forcibly outputting to the outside, but also the case where the user takes out at his or her intention.
이상의 장치에 의해, 인증 정보를 기입한 기억 매체를 외부에 배출하고, 당해 기억 매체로부터 인증 정보를 취득한 단말 장치에 대해, 무선 네트워크를 거친 인증을 실행하기 위해, 인증 정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By the above apparatus, the leakag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in order to discharge th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has been written to the outside, and to perform authentication via the wireless network to the terminal device which obtaine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medium. .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단말 장치이다. 이 장치는, 통신 대상의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와 인증 정보가 기입된 기억 매체를 장치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접수한 기억 매체로부터, 통신 대상의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와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한 통신 대상의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 대상의 통신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취득한 인증 정보로부터, 통신 대상의 통신 장치에서의 인증 처리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생성한 인증 처리를 위한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고, 또한 통신 대상의 통신 장치에서 인증되었을 경우에, 통신 수단에 대해 데이터 통신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device. This apparatus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means for physically accepting a storage medium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device to be communicated with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written from outside of the device, and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device to be communicated from the received storage medium. A signal for authentication processing in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communication object, based on the obtaining means to be acquired,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communication object based on the acquired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communication object, and acqui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and instructing means for instructing transmission of a signal for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process, and instructing data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means when it is authenticat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communication object.
이상의 장치에 의해, 통신 대상의 무선 장치로부터, 인증 정보를 기입한 기억 매체를 접수하고, 해당 기억 매체로부터 인증 정보를 취득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거친 인증을 무선 장치에 대해 요구하기 위해, 인증 정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bove apparatus receives th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has been written from the wireless device to be communicated with, obtain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medium, and requests the wireless device for authentication via the wireless network. Leakag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인증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단말 장치와의 통신에 앞서, 통신 장치는, 기억 매체에,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와 인증 정보를 기입하고, 기억 매체를 접수한 단말 장치는, 기억 매체에 기입된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 장치에 대해, 신호의 송수신을 실행하고, 또한 기억 매체에 기입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통신을 허가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hentication method. In this method, prior to th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pparatus, the communication apparatus writes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apparatus in the storage medium, and the terminal apparatus which has received the storage medium relates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written in the storage medium.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and permits data communication based 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written on the storage medium.
또,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유효하다. In addition, any combination of the above components and the expre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ed between a method, an apparatus, a system, a recording medium, a computer program, and the like are also effective a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한 조작으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gh safety can be ensured by easy operation.
본 발명의 운행 관리 시스템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 로, 복수의 차량의 진행 상황을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구비한 관리 센터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운행 상황을 관리 센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차량으로 구성되는 운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센터는, 복수의 차량의 운행 상황으로부터 각 차량의 운행 시간을 추측하는 추측 수단과, 추측 수단에 의해 추측된 운행 시간을, 네트워크를 거쳐서 각 차량에 송신하는 운행 시간 송신 수단을 갖고, 차량은, 추측 수단에 의해 추측된 운행 시간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운행 시간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iv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includes a management center having management means for managing the progress of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 transmissio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status to a management center via a network. In a driving management system composed of a vehicle provided with means, the management center includes estimating means for estimating the running time of each vehicle from a driving state of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 running time estimated by the estimating means via a network. And a traveling time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o each vehicle, wherein the vehicle has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running time estimated by the guessing means and a notifying means for notifying the running time received by the receiving means.
본 발명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버스나 열차 등의 차량 내에 무선 LAN을 구축해 두고, 이 무선 LAN을 통과시켜, 차량 내의 승객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로부터 하차하고자 하는 역이나 정류소를 미리 서브컴퓨터에 예약 등록해 둔다. 그렇게 하면, 서브컴퓨터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교통 정보에 근거하여, 하차 예약한 역이나 정류소에 도착하기 전에 그 휴대 단말에 대해 하차 예약 정보를 통지해 준다. 이것에 의해, 승객은, 하차하고자 하는 역이나 정류소의 안내를 빠뜨리고 들어도 확실하게 하차하고자 하는 역이나 정류소에서 하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버스 등에 승차 중의 승객은, 하차 예정의 하나 전의 정류소를 통과하기 전에 하차 예정의 정류소를 예약할 수 있으므로, 차량 내 방송을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나 다음 정류소의 게시판을 볼 수 없는 경우에도, 하차하는 취지를 이동 차량의 승무원에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의 하차 예약의 정보에 근거하여, 그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은 하차 예정의 정류소가 다음이라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알아차리지 못 하고 하차 예정의 정류소를 통과해 버린다고 하는 사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LAN is constructed in a vehicle such as a bus or a train, and the wireless LAN is passed through the wireless LAN to reserve a station or a stop to be departed from a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a passenger in the vehicle in advance in a subcomputer. Register. In doing so, the subcomputer notifies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getting off reservation information before arriving at the station or stop where the bus has been reserved for getting off based on the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host computer. Thereby, the passenger can get off at the station or the stop which he / she wants to get off reliably even if it misses the guidance of the station or the stop which he wants to get off. That i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assengers on boarding a bus or the like can reserve the stop of the scheduled stop before passing through one of the scheduled stops. Even when the bulletin board cannot be viewed, the crew of the moving vehicle can be reliably notified of the getting off. Also,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s getting off reservation, the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the passenger may receive a notice stating that the next scheduled stop is the following, so the passenger does not notice and passes through the scheduled stop We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situation to throw away.
또한, 본 발명의 연행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카 네비게이션과 동일한 기능으로서, 지상의 호스트 컴퓨터의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 데이터와 실제의 운행 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지점의 통과 시간이나 소요 시간을 휴대 단말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전을 달리고 있는 버스의 소요 시간 등의 데이터를 직전의 정류소 통과 시점에서 이용하여 다음 정류소의 통과 시간을 연산함으로써, 도로의 지체 상황 등을 반영하고, 다음 버스가 정류소에 도착하는 시각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ntrainment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ar navigation syste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ing vehicle is determined by the system of the host computer on the ground, and the current position data and the actual traveling speed data are used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poin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notified of the passing time or the required time. For example, by calculating the passing time of the next stop using data such as the time required for the bus running at the previous stop at the time of passing the last stop, it reflects the delay of the road and the next bus arrives at the stop. The time can be predicted relatively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하차 예약되어 있을 경우에는, 승무원에 대해 하차 예약이 있는 취지를 통지하는 동시에, 차량 내의 하차 버튼을 강제적으로 눌러서 하차 버튼의 점등 및 부저를 울린다. 이렇게 하여, 모든 승객에 대해 다음의 정류소에서 정차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동시에 승무원에 대해 정차를 재촉하는 것에 의해, 하차 예약된 정류소에서의 정차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getting off a reservation, the crew is notified that there is a getting off reservation, and the stop button of the vehicle is forcibly pressed to turn on and turn off the buzzer. In this way, all the passengers are notified of the stop at the next stop, and the crew is urged to stop so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stop at the stop reserved.
본 발명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미리 휴대 단말로부터 서브컴퓨터에 대해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소를 하차 예약 정보로서 등록해 두면, 서브컴퓨터는,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소의 바로 앞에서 자동적으로 하차 예약 정보를 휴대 단말에 통지해 준다.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 승객은, 확실하게 하차 예약하고자 하는 정류소에서 하차할 수 있다. 또한, 정류소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있 는 승객은, 교통 사정을 반영한 버스 도착 예정 시간이 휴대 단말에 표시되므로, 정신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버스를 기다릴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op to be disembark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ubcomputer is registered as the drop reservation information, the subcomputer automatically transfer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mmediately before the stop to be disembarked. Notify me. Thereby, the passenger who carries the portable terminal can get off at the stop to which he / she wants to make reservation. In addition, the passenger waiting for the bus at the stop can display the bus arrival scheduled time reflecting the traffic conditions on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passenger can wait for the bus in a mentally stable stat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버스나 전차 등의 이동 차량을 이용하는 이용객은, 미리 결정된 시각 표를 의지하지 않고, 현재 어느 부근을 주행하고 있는 것인가 라고 하는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또한, 교통 사정 등에 의해 운행에 지연이 생겼을 때라도, 이용객은, 원하는 역이나 정류소에 있어서의 출발 시간이나 도착 시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iv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ho uses a moving vehicle such as a bus or a tram, in real time, provides driving information such as which area he / she is currently traveling without relying on a predetermined timetable. Able to know. In addition, even when there is a delay in service due to traffic conditions, the user can grasp in real time how it affects the departure time and arrival time at a desired station or stop.
(발명의 실시예)(Example of the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1)은 무선 LAN 시스템을 도시하며, 무선 LAN 단말(2)과 무선 통신 장치(3)로 구성된다. 무선 LAN(1)은, 버스나 전차 등이 이동하는 차량 내에 구축되어 있다. 이 무선 LAN(1)로서는, 예를 들면 「IEEE802.11b」 규격에 준거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무선 LAN 단말(2)은, 무선 LAN(1)의 무선 통신 단말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무선 LAN 단말(2)로서는, 예컨대,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 개인용 정보 기기)라 지칭되는 휴대형의 단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무선 통신 장치(3)는, 무선 LAN(1)의 무선 기지국 및 서버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각 무선 LAN 단말(2)은, 무선 통신 장치(3)와 무선 접속하고, 해당 무선 통신 장치(3)와 통신 가능하다. 또한, 각 무선 LAN 단말(2)은, 무선 통신 장치(3)와 무선 접속하고, 해당 무선 통신 장치(3)를 거쳐서 인터넷 등에 액세스할 수 있다. The
또한, 무선 통신 장치(3)는,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하, 외부 네트워크라 칭함)인, 예컨대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다. 무선 통신 장치(3)는, 휴대 전화 기지국(4)과 무선 접속하고, 해당 휴대 전화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외부 액세스용 무선 통신 회선(101)을 확립한다. 휴대 전화 기지국(4)은, 예를 들면 PPP가 사용되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무선 기지국이다. 예를 들면, TDMA 방식의 PHS나, 「cdma2000 1xEV-D0」이라고 불리는 CDMA 방식의 네트워크의 무선 기지국이다. 외부 액세스용 무선 통신 회선(101)은, PPP에 의해 확립된다. 이 외부 액세스용 무선 통신 회선(101)이 확립되면, 무선 LAN 단말(2)은 무선 LAN(1) 및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거쳐서 인터넷(5)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선 LAN 단말(2)은, 예컨대, 인터넷(5) 상의 WEB 서버(6)에 액세스할 수 있어, 이용자는 원하는 홈 페이지를 열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단말(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무선 LAN 단말(2)은, 무선 LAN 액세스부(21)와 제어부(22)와 기억부(23)와 표시부(24)와 조작부(25)를 구비한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무선 LAN 액세스부(21)는, 무선 통신 장치(3)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2)는 무선 LAN 액세스부(21)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 는 동시에, 무선 LAN 단말(2)의 각 부를 제어한다. 기억부(23)는, 제어부(22)에 의해 액세스되어,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표시부(24)는 LED나 액정 표시 패널 등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제어 회로로 구성된다. 조작부(25)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로 구성된다. The wireless
제어부(22)는, 전자 메일 기능이나 홈 페이지의 열람 기능(WEB 브라우저 기능) 등의 각종의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무선 통신 접속의 상황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으로서, 무선 통신 장치(3)와의 무선 접속의 상황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키는 기능과, 무선 LAN(1)로부터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속(외부 액세스용 무선 통신 회선(101)의 접속)의 상황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3)는,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31)와 모바일 터미널부(32)와 제어부(33)와 기억부(34)와 WEB 서버부(35)를 구비한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31)는, 각 무선 LAN 단말(2)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각 무선 LAN 단말(2)마다 무선 통신 회선을 확립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모바일 터미널부(32)는, 외부 네트워크 휴대 전화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외부 액세스용 무선 통신 회선(101)을 확립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The wireless LAN
제어부(33)는,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31) 및 모바일 터미널부(32)에 의 해 각각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시에, 무선 통신 장치(3)의 각 부를 제어한다. 기억부(34)는, 제어부(33)에 의해 액세스되어,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WEB 서버부(35)는, 무선 LAN 단말(2)에 제공하기 위한 홈 페이지를 개설한다. The
제어부(33)는, 무선 LAN 단말(2)과 무선 LAN(1) 외부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외부 네트워크와의 무선 접속의 상황(상태)을 무선 LAN 단말(2)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The
다음에, 도 4∼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의 무선 통신 장치(3)가 실행하는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퀸스 차트이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4-6, the operation | movemen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in the
도 4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3)는, 무선 LAN 단말(2)로부터 액세스 요구(패킷)를 수신하면, 해당 패킷의 목적지를 참조하여, 목적지가 외부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여기서, 목적지가 외부 네트워크가 아닌 경우에는, 무선 LAN(1) 내의 해당하는 서버(예를 들면, WEB 서버부(35))에 액세스한다(단계 S11). In FIG. 4, when the
단계 S1에서의 판단 결과, 목적지가 외부 네트워크이었던 경우에는, 단계 S2로 진행하여,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 상황을 판단한다. 여기서, 이미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 완료된 경우에는,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요구를 모바일 터미널부(32)를 거쳐서 외부 네트워크에 송신한다(단계 S1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 when the destination is the external network, the flow advances to step S2 to determine the connection status with the external network. If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network has already been completed, the access request to the external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network via the mobile terminal unit 32 (step S10).
단계 S2에서의 판단 결과, 외부 네트워크와 미접속인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개시하는 동시에, 무선 LAN 단말(2)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요구를 기억부(34)에 보존한다(단계 S4).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 if it is not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the flow advances to step S3 to initiate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network and store the access request received from the
다음에, 해당 액세스 요구의 송신원(送信元)인 무선 LAN 단말(2)에 대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취지의 메시지를 회신한다(단계 S5). 이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LAN 단말(2)은, 해당 수신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현재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Next, the
다음에, 무선 통신 장치(3)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 처리가 종료하면, 기억부(34)로부터, 보존되어 있는 액세스 요구를 판독한다(단계 S6, S7). 다음에,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성공하였는지, 혹은 실패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 여기서,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액세스 요구의 송신원인 무선 LAN 단말(2)에 대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 불가인 취지의 메시지를 회신한다(단계 S9). 이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LAN 단말(2)은, 해당 수신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3)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었 것을 인식할 수 있다. Next, when the connection processing with the external network is completed, the
단계 S8에서의 판단 결과,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성공하였을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3)는, 해당 액세스 요구를 모바일 터미널부(32)를 거쳐서 외부 네트워크에 송신한다(단계 S1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network is successful, the
도 5에는, 상술한 무선 LAN(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실패하였을 경우의 시퀸스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 5의 예에서는, 무선 LAN 단말(2)이 인터넷(5) 상의 WEB 서버(6)에 액세스 요구한다(단계 S21). 이 액세스 요구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3)는, 휴대 전화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PPP 접속 처리를 개시(단계 S22)함과 동시에, 해당 무선 LAN 단말(2)에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통지로서 「접속중」을 송신한다(단계 S23). 그리고, 해당 PPP 접속이 실패하면(단계 S24), 무선 통신 장치(3)는, 해당 무선 LAN 단말(2)에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통지로서 「접속 실패」를 송신한다(단계 S25). 이에 의해, 무선 LAN 단말(2)에서는, 처음에,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 중인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 중인 것이 이용자에게 통지되며, 이어서,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에 실패한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실패한 것이 이용자에게 통지된다. FIG. 5 shows a sequence chart when the connection to the external network fails in the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in the
도 6에는, 상술한 무선 LAN(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성공하였을 경우의 시퀸스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 6의 예에서는, 상기 도 5와 마찬가지로, 무선 LAN 단말(2)이 인터넷(5) 상의 WEB 서버(6)에 액세스 요구한다(단계 S21). 이 액세스 요구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3)는, 휴대 전화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PPP 접속 처리를 개시(단계 S22)함과 동시에, 해당 무선 LAN 단말(2)에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통지로서 「접속 중」을 송신한다(단계 S23). 그리고, 해당 PPP 접속이 성공하면(단계 S31), 무선 통신 장치(3)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WEB 서버(6)로의 액세스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32). 이에 의해, 무선 LAN 단말(2)로부터의 WEB 서버(6)로의 액세스 요구가 실행된다. FIG. 6 shows a sequence chart when the connection to the external network is successful in the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in the
또, 무선 통신 장치(3)가, PPP 접속의 완료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통지로서 「접속 완료」를 외부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해도 좋다. 이에 의해, 외부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서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에 성공한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성공한 것이 이용자에게 통지된다. In addition, the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 상황이, 외부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 통지되어 이용자에게 통지되므로, 이용자는 외부 액세스 시의 접속 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불안감이 경감된다. 이 결과로서, 무선 통신 서비스에 관한 이용자로부터의 신뢰성이 향상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ion status with the external network is notified to the
다음에,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3)가,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통지 시에, 무선 통신 장치(3)에 기억하고 있는 Web 페이지(예를 들면, HTML 도큐먼트(document))를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하여 표시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3)에는, 상기 도 3의 구성에 있어서, Web 페이지 기억부(41)가 더 마련되어 있다. WEB 페이지 기억부(41)는, Web 페이지(예를 들면, HTML 도큐먼트)를 기억하고 있다. 이 Web 페이지의 목적은, 하나는 무선 LAN 단말(2)의 브라우저 기능의 타임아웃을 방지하는 것이며, 하나는 무선 통신 장치(3)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중인 것을 무선 LAN 단말(2)에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33)는, 상기 도 4의 단계 S5 및 S9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통지인 때에, 해당 Web 페이지를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한다. 그리고, 이 We b페이지를 표시시킴으로써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을 표시시킬 수 있다. Next,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또,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 완료하면, 액세스 요구한 Web 페이지를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한다. When the connection to the external network is completed, the web page requested for access is transmitted to the
이 Web 페이지의 데이터는, 해당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서 수신되어 표시된다. 또한, 해당 Web 페이지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에 의해, 해당 무선 LAN 단말(2)에서는, WEB 브라우저 기능의 하나인 홈 페이지로의 액세스 시에 있어서의 타임아웃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3)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을 때에는, 이용자는 외부 액세스 시의 접속 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Web 브라우저도 타임아웃 표시하지 않으므로 이용자의 불안감이 경감되는 동시에,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완료하면, 무선 LAN 단말(2)에서는 액세스 요구한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The data of this Web page is received and displayed by the
도 8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된 Web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예에서는, 무선 LAN 단말(2)의 표시부(24)에 무선 통신 장치(3)이 기억하는 Web 페이지 화면(201)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Web 페이지 화면(201) 상에,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 중이며, 접속 완료할 때까지 잠시 시간이 걸리는 것을 이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web page display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external network is being accessed. In the example of FIG. 8, the
또, Web 페이지에서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하나의 프레임에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하는 정보(광고 등)를 표시하여, 별도의 프레임에서 접속 중의 표시를 하는 등 해도 좋다. The web pag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display information (advertisement, etc.) provid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 one frame, and display during connection in another frame.
도 9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실패한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된 Web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예에서는, 무선 LAN 단말(2)의 표시부(24)에 Web 페이지 화면(202)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Web 페이지 화면(202) 상에,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실패한 것을 이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Web page display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connection to an external network has failed. In the example of FIG. 9, the
다음에,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3)가,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 중인 기간에 있어서, 무선 LAN 단말(2)이 요구하는 어드레스의 Web 페이지의 화면을 무선 통신 장치(3)가 캐시하고 있었던 경우, 무선 LAN 단말(2)에 그 캐시 데이터를 표시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3)에는, 상기 도 3의 구성에 있어서, 캐시부(42)가 더 마련되어 있다. 캐시부(42)는, 액세스된 페이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제어부(33)는, 상기 도 4의 단계 S5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통지인 때에, 외부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 요구와 동일한 어드레스의 페이지 데이터를 캐시부(42)가 기억하고 있었던 경우, 캐시부(42)의 해당 페이지 데이터를 송신한다. 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is third embodiment, the
이 페이지 데이터는, 해당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서 수신되어 표시된다. 또한, 해당 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에 의해, 해당 무선 LAN 단말(2)에서는, Web 페이지로의 액세스 시에 있어서의 타임아웃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의 접속이 완료할 때까지 캐시되어 있는 페이지 화면이 표시되므로, 대기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불안감이 경감되는 동시에,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완료하면, 최신의 페이지가 표시된다. This page data is received and displayed by the
다음에,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 4 실시예는, 상술한 제 1∼제 3 실시예와는 달리, 무선 LAN 단말(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3)에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을 문의하는 것이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무선 LAN 단말(2) 뿐만 아니라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을 무선 LAN 단말(2)이 유지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자율 행동형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무선 LAN 단말(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3)에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을 문의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Next, a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nlike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fourth embodiment inquires of the external network connection status from the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퀸스 차트이다. Next, referring to Fig. 11, the ope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1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 flow of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in the
도 11에 있어서, 우선, 무선 LAN 단말(2)이 인터넷(5) 상의 WEB 서버(6)에 액세스 요구한다(단계 S41). 이 액세스 요구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3)는, 휴대 전화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PPP 접속 처리를 개시(단계 S42)함과 동시에, 해당 무선 LAN 단말(2)에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송신한다(단계 S43). In Fig. 11, first, the wireless LAN terminal 2 requests access to the
이어서, 외부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은, 해당 프로그램을 수신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기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3)에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44). 무선 통신 장치(3)는, 해당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요구를 수신하면, 현재의 접속 상황을 응답한다. 단계 S45의 응답에서는, 아직 PPP 접속이 완료하고 있지 않으므로 「접속 중」이 회신된다. 이에 의해, 외부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서는,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중인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중인 것이 이용자에게 통지된다. Subsequently, upon receiving the program, the
이어서, PPP 접속이 완료하면(단계 S46), 무선 통신 장치(3)는, 외부 네트워크에 WEB 서버(6)로의 액세스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47). 또한, PPP 접속의 완료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3)는,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요구의 응답으로서 「접속 완료」를 송신한다(단계 S48). 이에 의해, 외부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서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에 성공한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성공한 것이 이용자에게 통지된다. Subsequently, when the PPP connection is completed (step S46), the
상술한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LAN 단말측으로부터 자율적으로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을 취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network connection status can be obtained autonomously from the wireless LAN terminal side.
또, 상술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LAN 단말(2)이 미리 프로그램을 갖도록 해도 좋다. In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또한, 무선 LAN 단말(2)로부터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요구가 있을 때, 무선 통신 장치(3)가, PPP 접속 완료 후 곧이어 해당 액세스 요구를 외부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은 아니고, PPP 접속 완료 후에 있어서, 외부 액세스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로부터 외부 네트워크 접속 상황 요구를 수취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해당 액세스 요구를 외부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무선 LAN 단말(2)이 액세스 요구를 취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쓸데없는 패킷(액세스 요구)을 외부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 방지된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n access request from the
또한, 무선 LAN 단말(2)이, 송신 완료된 외부 액세스 요구를 유지해 두고,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 완료를 수신하였을 때에, 재차, 해당 액세스 요구를 송신하고, 이 액세스 요구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3)가, 해당 액세스 요구를 외부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In addition, when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drawings, a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e design change etc. of the range which do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are included.
예를 들면, 무선 LAN 단말(2)에 있어서, 외부 네트워크와의 무선 접속의 상황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은, 상기한 화면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LAN 단말(2)이, 표시 램프의 점등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와의 무선 접속의 상황을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음성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와의 무선 접속의 상황을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For example, in the
또한, 무선 LAN(1)은, 가정 내 LAN 등이 고정된 설치 환경에 구축되는 것이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또한, 외부와의 액세스용의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PPP 이외의 통신 접속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어도 좋다.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access to the outside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protocol other than PPP is used.
또한, 무선 통신 단말은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 상태를 항상 수신하여, 통지하도록 하면,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요구 전에 사용자가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Further, if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lways receives and notifies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external network, the user can confirm the connection state before requesting access to the external network.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인터넷 등의 무선 통신 장치의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접속 상황을 이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이용자의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다. 이 결과로서,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로부터의 신뢰성이 향상하고, 무선 통신 서비스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accesses an external networ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the Interne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s anxiety can be reduced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connection status wit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user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2에는, 버스나 전차 등이 이동하는 차량(210)이 그려져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도 12의 설명은 생략한다.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the same as FIG. 1 except that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단말(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는, 도 2에 도시된다. 이 설명은 이미 기재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단, 이하의 사항을 추가한다. 제어부(22)는, 전자 메일 기능이나 홈 페이지의 열람 기능(WEB 브라우저 기능) 등의 각종의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무선 통신 접속의 상황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으로서, 무선 통신 장치(3)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상태(외부 액세스용 무선 통신 회선(101)의 상태)를 도시하는 무선 상태 정보를 표시부(24)에 표시시키는 기능과, 외부 네트워크의 이용자 수(이용 단말 수)를 표시부(24)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무선 상태 정보 및 이용 단말 수는, 외부 네트워크의 이용 시에 무선 LAN 단말(2)의 사용자에 의해 참조되는 정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무선 상태 정보 및 이 용 단말 수를 총칭하여 외부 NW(NetWork) 이용 정보라고 한다. However, add the following.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3)는,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231)와 모바일 터미널부(232)와 제어부(233)와 기억부(234)와 WEB 서버부(235)와 외부 NW 이용 정보 갱신부(236)를 구비한다.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231)는, 각 무선 LAN 단말(2)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각 무선 LAN 단말(2)마다 무선 통신 회선을 확립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The wireless LAN
모바일 터미널부(232)는, 외부 네트워크 휴대 전화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외부 액세스용 무선 통신 회선(101)을 확립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모바일 터미널부(232)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무선 상태 정보의 측정 기능을 갖는다. 해당 무선 상태 정보로서는, 예컨대, 수신 전계 강도,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 등이 있다. 또한, 모바일 터미널부(232)는, 외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무선 LAN 단말(2)의 수(이용 단말 수)를 검출한다. The mobile
제어부(233)는,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231) 및 모바일 터미널부(232)에 의해 각각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시에, 무선 통신 장치(3)의 각 부를 제어한다. 기억부(234)는, 제어부(233)에 의해 액세스되어,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WEB 서버부(235)는, 무선 LAN 단말(2)에 제공하기 위한 홈 페이지를 개설한다. The
외부 NW 이용 정보 갱신부(236)는, 모바일 터미널부(232)로부터 외부 NW 이용 정보(무선 상태 정보 또는 이용 단말 수)를 취득하여 기억부(234)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외부 NW 이용 정보 갱신부(236)는, 해당 외부 NW 이용 정보를 모바일 터미널부(232)로부터 정기적으로 취득하여, 기억부(234)에 기억되는 외부 NW 이용 정보를 갱신한다. The external NW usage
상기한 제어부(233)는, 무선 LAN 단말(2)과 무선 LAN 시스템(1)의 외부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부(233)는, 기억부(234)에 기억되어 있는 외부 NW 이용 정보를 무선 LAN 단말(2)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The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시스템(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시스템(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의 내부, 외부 NW 이용 정보의 통지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퀸스 차트이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14, operation according to communication control in the
무선 통신 장치(3)의 통상의 처리로서, 모바일 터미널부(232)는, 외부 NW 이용 정보(무선 상태 정보 또는 이용 단말 수)를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1초마다 검출한다. 또한, 외부 NW 이용 정보 갱신부(236)는, 모바일 터미널부(232)로부터 외부 NW 이용 정보를 소정의 주기, 예컨대, 모바일 터미널부(232)에 의한 검출 주기 이상의 주기(예를 들면, 3초마다)에서 취득하고, 기억부(234)에 기억되는 외부 NW 이용 정보를 갱신하고 있다. As a normal process of the
도 14에 있어서, 우선, 무선 LAN 단말(2)이 무선 LAN 접속을 개시한다(단계 S201). 그리고, 무선 통신 장치(3)에 인증 정보를 송신하여 인증 수속을 실행한다(단계 S202). 이 인증 정보에는, 차량(210)의 승차권이나 운임 지불용의 정리권, 운임 지불용의 프리페이드 카드 등에 기록되어 있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개인 전용의 카드, 예를 들면, 크레디트 카드의 카드 번호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In Fig. 14, first, the wireless LAN terminal 2 starts a wireless LAN connection (step S201). T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이어서, 무선 통신 장치(3)의 제어부(233)는, 무선 LAN 단말(2)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인증 정보가 정당한 것인지를 검증하고, 정당한 것일 경우에 인증 가능이라고 판단한다(단계 S203). 이어서, 인증 가능의 경우, 제어부(233)는, 소정의 주기에서 기억부(234)에 기억되어 있는 외부 NW 이용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한다(단계 S204). 바람직하게는 외부 NW 이용 정보 갱신부(236)에 의한 외부 NW 이용 정보의 갱신 주기 이상의 주기(예를 들면, 3초마다)에서, 기억부(234)로부터 외부 NW 이용 정보를 판독하여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한다. Subsequently, upo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무선 LAN 단말(2)의 제어부(22)는, 무선 통신 장치(3)로부터 외부 NW 이용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외부 NW 이용 정보를 표시부(24)의 화면 위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외부 NW 이용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한 외부 NW 이용 정보에 의해 표시부(24)의 화면 표시 내용을 갱신한다(단계 S205). 이에 의해, 이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3)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상태 또는 이용 단말 수에 근거하여,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시도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중지된다. 혹은, 이용 단말 수가 많은 경우에는, 이용 단말 수가 감소하고 나서 외부 네 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한 단계 S204, S205의 처리는, 무선 LAN 단말(2)의 무선 LAN 접속이 종료할 때까지 계속하여 실행된다. 이어서, 무선 LAN 단말(2)이 LAN 접속을 종료하면, 무선 통신 장치(3)는, 외부 NW 이용 정보의 통지를 정지한다(단계 S206, S207).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of steps S204 and S205 continue to be executed until the wireless LAN connection of the
상술한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NW 이용 정보(무선 통신 장치(3)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 또는 외부 네트워크의 이용 단말 수)가 무선 LAN 단말(2)에 통지되어 통보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해당 외부 NW 이용 정보에 근거하여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시도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로서, 예컨대, 무선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이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삼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효율적으로 행해져, 무선 통신 장치(3)의 처리 능력 및 소비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since the external NW usage information (radio state information between the
또한, 이용자에 있어서는,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잘 되지 않는 원인을 무선 상태의 불량, 또는 이용 단말 수의 많음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불안감이 경감된다. 또한, 이용자는 자신의 바로 앞에서 외부 NW 이용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매우 사용 편의성이 좋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know that the cause of poor access to the external network is due to a poor wireless state or a large number of terminals, the anxiety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grasp the external NW usage information in front of himself, it is very easy to use.
다음에, 제 6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 6 실시예는, 상술한 제 5 실시예와는 달리, 무선 LAN 단말(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3)에 외부 NW 이용 정보를 요구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무선 LAN 단말(2) 뿐만 아니라 동작 가능한 프 로그램을 무선 LAN 단말(2)이 유지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자율 행동형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무선 LAN 단말(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3)에 외부 NW 이용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과, 외부 NW 이용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Next, a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nlike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ixth embodiment requests external NW usage information from the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여, 제 6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시스템(1)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처리의 내부, 외부 NW 이용 정보의 통지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퀸스 차트이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15, the oper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5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 flow of processing corresponding to no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NW usage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in the
제 6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 장치(3)의 통상의 처리로서, 모바일 터미널부(232)가 외부 NW 이용 정보를 소정 주기에서 검출하고, 또한, 외부 NW 이용 정보 갱신부(236)가 모바일 터미널부(232)로부터 외부 NW 이용 정보를 정기적으로 취득하여 기억부(234)의 외부 NW 이용 정보를 갱신하고 있다. Also in the sixth embodiment,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s a normal process of the
도 15에 있어서, 우선, 무선 LAN 단말(2)이 무선 LAN 접속을 개시한다(단계 S211). 그리고, 무선 통신 장치(3)에 인증 정보를 송신하여 인증 수속을 실행한다(단계 S212). 무선 통신 장치(3)의 제어부(233)는, 무선 LAN 단말(2)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인증 정보가 정당한 것이지 여부를 검증하고, 정당한 것인 경우에 인증 가능이라고 판단한다(단계 S213). 이어서, 인증 가능의 경우, 제어부(233)는, 해당 무선 LAN 단말(2)에 기억부(234)에서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송신한다(단계 S214). In Fig. 15, first, the wireless LAN terminal 2 starts a wireless LAN connection (step S211). T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무선 LAN 단말(2)은, 해당 프로그램을 수신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무선 통신 장치(3)에 대해 정기적으로 외부 NW 이용 정보의 요구를 실행한다(단계 S215, S216). 이 요구를 수취하면, 무선 통신 장치(3)의 제어부(233)는, 기억부(234)에 기억되어 있는 외부 NW 이용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한다(단계 S217). Upon reception of the program, the
무선 LAN 단말(2)은, 무선 통신 장치(3)로부터 외부 NW 이용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외부 NW 이용 정보를 표시부(24)의 화면 위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무선 상태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한 외부 NW 이용 정보에 의해 표시부(24)의 화면 표시 내용을 갱신한다(단계 S218). 이에 의해, 이용자는, 외부 NW 이용 정보(외부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 또는 외부 네트워크의 이용 단말 수)에 근거하여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시도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한 단계 S216∼S218의 처리는, 무선 LAN 단말(2)의 무선 LAN 접속이 종료할 때까지 계속하여 실행된다. 이어서, 무선 LAN 단말(2)은, LAN 접속을 종료하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단계 S219, S220). The process of said step S216-S218 is continued until the wireless LAN connection of the
상술한 제 6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LAN 단말로부터 자율적으로 외부 NW 이용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NW usag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utonomously from the wireless LAN terminal.
또, 상기한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LAN 단말(2)이 미리 프로그램을 갖도록 해도 좋다. In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다음에,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외부 NW 이용 정보의 구체적인 표시 예를 설명한다. 도 16∼도 19의 (d)는, 외부 NW 이용 정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Next, a specific display example of the external NW usage information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16-19 (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display of external NW usage information.
도 16은, 무선 LAN 단말(2)의 표시부(24)의 표시 화면(24a)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16의 예에서는, 표시 화면(24a) 위에 web 화면(2201)과 함께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이 표시되어 있다.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은, 외부 NW 이용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이다.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은, 외부 NW 이용 정보가 이용자에게 인식 가능한 크기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작은 화면으로 한다. 이에 의해, 표시 화면(24a) 상에 있어서, 다른 표시를 방해하지 않고, 외부 NW 이용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5)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을 수시로 호출 및 종료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도 17은,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의 제 1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17의 예에서는, 외부 NW 이용 정보 중의 무선 상태 정보로서 수신 전계 강도가 사용되고 있다. 도 17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가, 안테나의 표시(2301)와 함께, 표시 영역(2302)에 있어서 3 단계로 레벨 표시된다. 도 17의 예에서는, 수신 전계 강도가 레벨 2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신 전계 강도의 레벨이 무선 통신 장치(3)와 외부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의 목표로 되므로, 해당 무선 상태의 양호/불량이 일목 요연하게 되어, 매우 알기 쉽다.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external NW
도 18의 (a), 도 18의 (b)는,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의 제 2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18의 (a), 도 18의 (b)의 예에서는, 상기한 도 17의 구성에 부가하여, 무선 상태 정보로서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이 더 사용되고 있다. 또한, 외부 NW 이용 정보 중의 이용 단말 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8의 (a), 도 18의 (b)에 있어서,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이, 표시 바(2311)의 크기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이용 단말 수가, 표시 영역(2312)에 숫자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자신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전송 대역이 어느 정도 있는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18A and 1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external NW
도 19의 (a)∼도 19의 (d)는, 외부 NW 이용 정보 화면(2202)의 제 3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19의 (a)∼도 19의 (d)의 예에서는, 상기한 도 17의 구성에 부가하여, 무선 상태 정보로서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이 더 사용되고 있다. 또한, 외부 NW 이용 정보 중의 이용 단말 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9의 (a)∼도 19의 (d)에 있어서,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이, 표시 바(2321)의 수에 의해 3 단계로 레벨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19의 (a)에서는, 표시 바(2321)는 하나이며,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이 레벨 1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9의 (b)에서는, 표시 바(2321)는 2개이며,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이 레벨 2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9의 (c), 도 19의 (d)에서는, 표시 바(2321)는 3개이며,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이 레벨 3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19A to 19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hir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external NW
그리고,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과 이용 단말 수에 근거하는 예측 데이터 통신 속도가, 표시 바(2321)의 유효 표시 부분의 크기에 의해 표시된다. 예측 데이터 통신 속도는, 예컨대,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을 이용 단말 수로 나누어서 구해진다. 예를 들면, 도 19의 (a), 도 19의 (c)에서는, 표시 바(2321)의 모두가 유효 표시로 되어 있어, 무선 전송 대역의 전체 할당량을 1대의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9의 (b)에서는, 표시 바(2321)의 대략 절반이 유효 표시로 되어 있어,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의 대략 절반을 1대의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9의 (d)에서는, 표시 바(2321)의 1/4 정도가 유효 표시로 되어 있어,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의 1/4 정도를 1대의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The predicted data communication rate based on the allocation amount of the radio transmission band and the number of terminals used is displayed by the size of the effective display portion of the
한편, 도 19의 (a)와 도 19의 (b)를 비교하였을 경우, 도 19의 (a)에서는 무선 전송 대역의 전체 할당량을 1대의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고, 도 19의 (b)에서는,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의 대략 절반을 1대의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지만, 도 19의 (a)에서는,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이 레벨 1인 것에 대해, 도 19의 (b)의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은 레벨 2이다. 그 때문에, 예측 데이터 통신 속도로서는, 도 19의 (a), 도 19의 (b)는, 대략 동일한 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9의 (a), 도 19의 (c)를 비교하였을 경우, 모두 무선 전송 대역의 전체 할당량을 1대의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도 19의 (a)의 경우,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은 레벨 1인 것에 대해, 도 19의 (c)의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은 레벨 3이며, 도 19의 (c) 쪽이, 예측 데이터 통신 속도가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9의 (c), 도 19의 (d)를 비교하였을 경우,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은 모두 레벨 3이지만, 유효 표시 부분은, 도 19의 (c) 쪽이 많기 때문에, 도 19의 (d)에 비해 도 19의 (c)의 예측 데이터 통신 속도가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9의 (c)의 예측 데이터 통신 속도를 1로 한 경우, 도 19의 (a)는 약 1/3, 도 19의 (b)는 약 1/3, 도 19의 (d)는 약 1/4로 된다(또, 무선 전송 대역의 할당량이 레벨의 개수에 비례하고 있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예측 데이터 통신 속도의 산 출 방법으로서 단순하게 이용 단말 수로 나눈 일 실시예의 경우임). On the other hand, when FIG. 19 (a) and FIG. 19 (b) are compared, in FIG. 19 (a), the total allocation of the radio transmission band can be used by one terminal, and in FIG. 19 (b), Although approximately half of the allocation amount of the radio transmission band can be used by one terminal, in FIG. 19 (a), the allocation amount of the radio transmission band i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drawings, a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e design change etc. of the range which do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are included.
예컨대, 무선 LAN 단말(2)에 있어서, 외부 NW 이용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은, 상기한 화면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LAN 단말(2)이, 표시 램프의 점등에 의해, 외부 NW 이용 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음성에 의해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For example, in the
또한, 외부 NW 이용 정보에 근거하여 외부 네트워크의 이용 환경의 상태를 구체적인 메시지로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현재의 외부 네트워크의 이용 환경은 매우 양호합니다」, 「현재의 외부 네트워크의 이용 환경은 양호합니다」, 「현재의 외부 네트워크의 이용 환경은 불량합니다」, 「권외입니다」 등의 메시지를, 표시 또는 음성으로 통지한다. Further, based on the external NW usage information, a specific message may be notified of the state of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external network. For example, "the use environment of the current external network is very good", "the use environment of the current external network is good", "the use environment of the current external network is bad", "it is outside" Notify or voice the message.
또한, 무선 LAN 시스템(1)은, 가정 내 LAN 등의 고정된 설치 환경에 구축되는 것이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또한, 외부와의 액세스용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PPP 이외의 통신 접속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어도 좋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access to the outside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protocol other than PPP is us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 크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를 이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이용자는 해당 무선 상태에 근거하여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시도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로서, 예컨대, 무선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이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삼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효율적으로 행해져, 무선 통신 장치의 처리 능력 및 소비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부 네트워크 이용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user accesses an external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re provided.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radio status with the network,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o attempt to access an external network based on the radio status. As a result of this,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state is poor, the user can be expected to refrain from accessing to the external network, so that access to the external network is efficiently performed, thereby efficiently using the processing power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anxiety of the user when using an external network.
본 발명에 의하면,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무선 통신 단말 수를 이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이용자는 해당 단말 수에 근거하여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시도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로서, 예컨대, 단말 수가 많은 경우에는 이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삼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효율적으로 행해져, 무선 통신 장치의 처리 능력 및 소비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부 네트워크 이용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using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o attempt to access an external network based on the number of terminals. have. As a result of this,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is large, the user can be expected to refrain from accessing the external network, so that access to the external network is efficiently performed to efficiently use the processing power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anxiety of the user when using an external network.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적용한 인터넷 액세스에 따른 시스템 구성 예를 게시하는 블럭도이다. 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example according to Internet access to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0은, 관리 장치(307), 이동 차량의 예로서의 버스(210), 및 버스 센터(311)를 제외하고, 도 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도 1과의 상위 사항만을 이하에 기재하고, 동일 사항의 기재는 생략한다. 단, 구성 요소(3)은, 도 1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하지만, 도 20에서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FIG. 20 is the same as FIG. 1 except for the
인터넷(5)에는 관리 장치(307)가 접속되어 있다. 관리 장치(307)는 이동 차량(210)의 운행 관리, 이동 차량(210)내로부터의 Web 액세스에 따른 관리 등을 실행한다. The
또한, 버스 센터(311)에는, 인터넷(5)에 접속되는 라우터(312)가 마련되어 있다. 이동 차량(210) 내의 이동 무선 통신 장치(3)와 라우터(312) 사이는, LAN 케이블(313)을 거쳐서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차량(210) 내의 이동 무선 통신 장치(3)는, 라우터(312)를 경유하여 인터넷(5)에 접속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 라우터(312) 및 LAN 케이블(313)로 이루어지는 인터넷 액세스용 설비는, 상기 버스 센터(311) 이외에, 버스 터미널, 버스 주위 부분 등에 마련해도 좋다. In addition to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LAN 케이블(313)을 거쳐서 이동 무선 통신 장치(3)와 라우터(312) 사이를 접속하고 있지만, 고속인 무선 통신 회선에 의해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mobile
도 20에 도시하는 무선 LAN 단말(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는, 도 2에 도시된다. 이 설명은 이미 기재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무선 통신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도 21에 있어서,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331)는, 각 무선 LAN 단말(2)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각 무선 LAN 단말(2)마다 무선 통신 회선을 확립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In FIG. 21, the wireless LAN
모바일 터미널부(332)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 휴대 전화 기지국(4)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외부 액세스용 무선 통신 회선(101)을 확립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The mobile
제어부(333)는,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331) 및 모바일 터미널부(332)에 의해 각각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시에, 이동 무선 통신 장치(3)의 각 부를 제어한다. 해당 제어부(333)는, 무선 LAN 단말(2)과 무선 LAN 시스템(1)의 외부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부(333)는, 인터넷 액세스에 따른 제어 기능을 갖는다. The
기억부(334)는, 제어부(333)에 의해 액세스되어,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WEB 서버부(335)는, 무선 LAN 단말(2)에 제공하기 위한 홈 페이지를 개설한다. The
제 1 캐시 서버(336)는, 모바일 터미널부(332)를 거쳐서 액세스한 인터넷(5) 상의 Web 페이지를 기억한다. 그리고, Web 페이지의 요구가 있으면, 해당 Web 페이지를 출력한다. The
제 2 캐시 서버(337)는, 액세스 빈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 인터넷(5) 상의 Web 페이지를 기억한다. 그리고, Web 페이지의 요구가 있으면, 해당 Web 페이지를 출력한다. The
캐시 데이터베이스(338)는, 제 2 캐시 서버(337)에 기억되어 있는 Web 페이지에 관한 관리 정보(URL, 갱신일 등)를 축적한다. The
캐시 갱신 제어부(339)는,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하는 Web 페이지의 갱신 제어를 실행한다. The cache
Web 액세스 빈도 계측부(340)는, 모바일 터미널부(332)를 거쳐서 액세스가 시도된 Web 페이지에 관한 액세스 빈도를 계측한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넷(5) 상의 Web 페이지마다, 액세스 요구한 사용자 수를 카운트한다. The web access
LAN 케이블 액세스부(341)는, 버스 센터(11) 등에 설정된 LAN 케이블(13) 및 라우터(312)를 거쳐서 인터넷(5)에 액세스한다. The LAN
도 22는, 도 20에 도시하는 관리 장치(307)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FIG. 2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22에 있어서, 통신부(351)는 인터넷(5)을 거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예컨대, 인터넷(5) 상의 WEB 서버(6), 휴대 전화 네트워크 경유에 의한 이동 차량(210) 내의 이동 무선 통신 장치(3), 버스 센터(311)의 라우터(312) 경유에 의한 이동 차량(210) 내의 이동 무선 통신 장치(3)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FIG. 22, the
캐시 서버(352)는, 액세스 빈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 인터넷(5) 상의 Web 페이지를 기억한다. 그리고, Web 페이지의 요구가 있으면, 당해 Web 페이지를 출력한다. The
캐시 데이터베이스(353)는, 캐시 서버(352)에 기억되어 있는 Web 페이지에 관한 관리 정보(URL, 갱신 일시 등)를 축적한다. The
캐시 갱신 제어부(354)는, 캐시 서버(352)에 축적하는 Web 페이지의 갱신 제어를 실행한다. The cache
운행 차량 캐시 관리부(355)는, 운행에 기여하게 되는 이동 차량(210)(운행 차량)의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된 Web 페이지를 파악한다. 또한, 그 파악한 내용을 캐시 서버(352)에 반영시킨다. 즉,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된 Web 페이지를 캐시 서버(352)에도 축적시킨다. The running vehicle
운행 차량 캐시 갱신부(356)는, 운행 차량의 제 2 캐시 서버(337)를 갱신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그 갱신 계기는, 운행 중의 이동 차량(210)에 대해서는 Web 페이지의 제공원의 갱신이 이루어졌을 때, 버스센터(311) 등에서 대기 중의 이동 차량(210)에 대해서는 해당 이동 차량(210)으로부터의 갱신 요구를 수취하였을 때이다. The running vehicle
Web 액세스 빈도 집계 데이터베이스(357)는, 운행 경로, 운행 시간대, URL 액세스 빈도 리스트 등의 정보를 축적한다. 도 23에, Web 액세스 빈도 집계 데이터베이스(357)의 구성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 있어서, 예컨대, 운행 경로 1의 운행 시간대 「6:00∼10:00」인 경우, URL1의 액세스 빈도는 100, URL2의 액세스 빈도는 98, URL3의 액세스 빈도는 80 등으로 되어 있다. 액세스 빈도 리스트는, 각 이동 차량(1O)의 Web 액세스 빈도 계측부(340)에 의한 액세스 빈도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작성된다. The web access
다음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처음에, 도 24를 참조하여, 운행 중의 이동 차량(210) 내의 이동 무선 통신 장치(3)가 사용자로부터 Web 페이지로의 액세스 요구를 수취하였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3)가 Web 페이지로의 액세스 요구 수신 시에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 24, the operation when the mobile
도 24에 있어서, 우선, 이동 차량(210)에 승차 중의 사용자가 무선 LAN 단말(2)을 사용하여 인터넷(5)상의 Web 페이지로의 액세스 요구를 실행한다. 이동 무선 통신 장치(3)의 제어부(333)는, 이 액세스 요구를 수취하면(단계 S3101), Web 액세스 빈도 계측부(340)에 등록을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의해, Web 액세스 빈도 계측부(340)는, 요구 Web 페이지, 및 액세스 요구하고 있는 무선 LAN 단말(2)을 특정하는 식별자(예컨대, MAC-ID, 혹은 이동 무선 통신 장치(3) 등의 서비스원이 배포한 식별자 등)를 자신의 계측표에 등록하고, 해당 Web 페이지의 액세스 사용자 수를 1 카운트 업한다(단계 S3102). In Fig. 24, first, a user who is riding on a
또한, 제어부(333)는, 제 2 캐시 서버(337)를 검색하여 요구 Web 페이지가 축적되어 있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103, S3104). 그리고, 요구 Web 페이지가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Web 페이지를 제 2 캐시 서버(337로부터 판독하여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한다(단계 S3110). The
한편, 요구 Web 페이지가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333)는, 제 1 캐시 서버(336)를 검색하여 요구 Web 페이지가 축적되어 있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105, S3106). 그리고, 요구 Web 페이지가 제 1 캐시 서버(336)에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Web 페이지를 제 1 캐시 서버(336)로부터 판독하여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한다(단계 S3111).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quest Web page is not accumulated in the
상기 검색 결과, 제 1 및 제 2 캐시 서버(336, 337) 중 어느 하나에도 요구 Web 페이지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333)는, 모바일 터미널부(332)에 의해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판정한다(단계 S3107). 그리고,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 불가이기 때문에 요구 Web 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없는 취지의 액세스 불가 메시지를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한다(단계 S3109). As a result of the search, if none of the first and
한편,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5) 상의 해당의 WEB 서버(6)에 액세스하여, 요구 Web 페이지를 취득한다(단계 S3112). 이어서, 해당 취득한 요구 Web 페이지를 제 1 캐시 서버(336)에 등록한다(단계 S3113). 또한, 해당 취득한 요구 Web 페이지를 요구원의 무선 LAN 단말(2)에 송신한다(단계 S3114).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cellular phone network, the
또, Web 액세스 빈도 계측부(340)에 의해 계측된 Web 페이지마다의 액세스 사용자 수는, 버스 센터(311) 등에서 관리 장치(7)에 수속되어 Web 액세스 빈도 집계 데이터베이스(357)에 반영된다. The number of access users for each Web page measured by the Web access
상술한 바와 같이, 과거에 액세스된 인터넷(5) 상의 Web 페이지가 제 1 캐시 서버(336)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재차 동일한 Web 페이지가 액세스되었을 때에는, 제 1 캐시 서버(336)의 Web 페이지를 사용자에 회신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터넷(5)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감소하므로,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이동 차량 내로부터 인터넷 엑세스할 때의 액세스성이 향상한다. 또한 통신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eb pages on the
또한, 제 2 캐시 서버(337)에는 액세스 빈도가 높다고 추정된 인터넷(5) 상의 Web 페이지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로부터의 Web 페이지 요구 수신 시에 해당 제 2 캐시 서버(337)를 제 1 캐시 서버(336)보다도 우선하여 검색함으로써, 검색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eb page on the
다음에, 도 25를 참조하여, 관리 장치(307)에 의한 캐시 갱신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하는 관리 장치(307)에 의한 캐시 갱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25,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ache update by the
도 25에 있어서, 우선, 관리 장치(307)의 캐시 갱신 제어부(354)는, 캐시 데이터베이스(53)에 등록되어 있는 Web 페이지의 갱신 상황을 임의의 주기에서 검사하고 있어, 해당 WEB 서버(6)의 갱신 상태를 판정한다(단계 S3201, S3202). 그리고, Web 페이지의 갱신을 검지한 경우에는, 캐시 갱신 제어부(354)는, 해당의 WEB 서버(6)로부터 갱신된 Web 페이지를 취득하여 캐시 서버(352)의 해당 Web 페이지를 갱신한다(단계 S3203). 이어서, 캐시 갱신 제어부(354)는, 캐시 데이터베이스(53)의 해당 갱신 Web 페이지의 갱신 일시를 갱신한다(단계 S3204). In FIG. 25, first, the cache
이어서, 운행 차량 캐시 관리부(355)는, 해당 갱신한 Web 페이지를 사용하고 있는 운행 중의 이동 차량(210)의 유무를 Web 액세스 빈도 집계 데이터베이스(357)에 근거하여 판정한다(단계 S3205). 그리고, 해당하는 이동 차량(210)이 있는 경우에는, 운행 차량 캐시 갱신부(356)가, 해당 이동 차량(210)의 제 2 캐시 서버(337)를 갱신하기 위해, 해당 이동 차량(210)에 갱신 Web 페이지를 송신한다(단계 S3206). Subsequently, the running vehicle
이어서, 해당 갱신 Web 페이지를 수신한 이동 차량(210)의 캐시 갱신 제어부(339)는, 해당 갱신 Web 페이지에 의해 제 2 캐시 서버(337)의 해당 Web 페이지를 갱신한다(단계 S3301). 이어서, 캐시 데이터베이스(338)에 해당 갱신 내용 을 반영시킨다(단계 S3302). Next, the cache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장치(307)가 Web 페이지의 갱신 상황을 감시하여, 갱신이 있으면 캐시 서버(352)에 반영시킨다. 또한, 해당 갱신한 Web 페이지가 사용되고 있는 운행 중의 이동 차량(210)에 대해서만, 제 2 캐시 서버(337)의 갱신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운행 중의 이동 차량(210)의 캐시 내용을 효율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동시에, 운행 중의 각 이동 차량(210)으로부터는 Web 페이지의 갱신 상황을 감시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26은, 운행 전의 이동 차량(210)에 관한 제 2 캐시 서버(337)의 갱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다음에, 도 26을 참조하여, 운행 전의 이동 차량(210)에 대한 제 2 캐시 서버(337)의 갱신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FIG. 26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update processing of the
도 26에 있어서, 우선, 버스 센터(311)에 있어서 이동 차량(210) 내의 이동 무선 통신 장치(3)와 라우터(312) 사이가 LAN 케이블(313)을 거쳐서 접속되면, 이동 무선 통신 장치(3)의 LAN 케이블 액세스부(341)는 LAN 케이블(313)을 거친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401). 이어서, 승무원이 제 2 캐시 서버의 갱신 요구를 입력하면, 캐시 갱신 제어부(339)는, 제 2 캐시 서버의 갱신 요구 메시지를 관리 장치(307)에 송신한다(단계 S3402, S3403). 이 갱신 요구 메시지는 해당 이동 차량(210)의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다. In FIG. 26, first, when the mobile
이어서, 관리 장치(307)가 해당 갱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운행 차량 캐시 갱신부(356)는, 해당 갱신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차량 식별자에 근거하여, 해 당 이동 차량(210)이 다음에 버스 센터(311)에 귀착할 때까지의 운행 경로, 운행 시간을 운행 계획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취득한다(단계 S3501, S3502). 여기서 취득된 운행 경로, 운행 시간은, 제 2 캐시 서버(337)의 다음 회의 갱신 시기까지 행해지는 운행에 걸리는 것이다. Subsequently, when the
이어서, 운행 차량 캐시 갱신부(356)는, Web 액세스 빈도 집계 데이터베이스(357)를 참조하여, 상기 단계 S3502에서 취득한 운행 경로, 운행 시간에 해당하는 URL 액세스 빈도 리스트에 근거하여 Web 페이지 집합(예를 들면, URL 리스트)을 작성한다(단계 S3503). 이 Web 페이지 집합에는, 액세스 빈도가 상위(예를 들면, 1위부터 3위까지)의 Web 페이지가 지정된다. Subsequently, the driving vehicle
이어서, 운행 차량 캐시 갱신부(356)는, 해당 작성한 Web 페이지 집합에 근거하여 해당 이동 차량(210)용의 캐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리고, 작성한 캐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해당 이동 차량(210)에 송신한다(단계 S3504). 이 캐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동 차량(210)의 캐시 갱신 제어부(339)는 캐시 데이터베이스(338)를 갱신한다(단계 S3404). Subsequently, the driving vehicle
이어서, 관리 장치(307)의 운행 차량 캐시 갱신부(356)는, Web 페이지 집합에 근거하여 캐시 서버(352)로부터 해당하는 Web 페이지를 판독하고, 제 2 캐시 축적 데이터로서 해당 이동 차량(210)에 송신한다(단계 S3505). 이 제 2 캐시 축적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동 차량(210)의 캐시 갱신 제어부(339)는 제 2 캐시 서버(337)를 갱신한다(단계 S3405). 이어서, 캐시 갱신 제어부(339)는, 갱신 완료 메시지를 관리 장치(307)에 송신한다(단계 S3406). 이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 면, 관리 장치(307)의 운행 차량 캐시 갱신부(356)는, 갱신 완료로서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3506). Subsequently, the running vehicle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장치(307)는, Web 액세스 빈도 집계 데이터베이스(357)에 근거하여, 버스 센터(311) 등에서 대기 중의 이동 차량(210)에 대한 제 2 캐시 서버(337)의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이 갱신 처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버스 센터(311)에 있어서 대기 중의 이동 차량(210)의 제 2 캐시 서버(337)에 미리 축적해 두는 Web 페이지를, 다음의 운행 경로 및 운행 시간대의 URL 액세스 빈도 리스트 내의 액세스 빈도가 2위까지의 것으로 한다. 그렇게 하니, 도 23의 예에서는, 운행 경로 1의 운행 시간대 「6:00∼10:00」의 경우, URL1 및 URL2의 Web 페이지가 해당 운행 전에 미리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된다. 한편, 동일한 운행 경로 1이여도 운행 시간대가 「10:00∼16:00」인 경우에는, URL1 및 URL4의 Web 페이지가 해당 운행 전에 미리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되는 것으로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운행 전의 이동 차량(210)에 대해서는, 다음 운행에 맞추어서 동일한 운행 경로 또한 시간대에 있어서의 과거의 액세스 빈도에 근거하여 제 2 캐시 서버(337)를 갱신함으로써, 운행 중의 제 2 캐시 서버(337)의 히트(hit)율을 높일 수 있다. 왜냐하면, 동일한 운행 경로 또한 시간대에는 대략 동일한 승차 목적의 사람 또한 동일인이 승차하고, 대략 동일한 목적으로 Web 페이지에 액세스하는 것이 예상되므로, 동일한 운행 경로 또한 시간대에 있어서의 과거의 액세스 빈도가 높은 Web 페이지가 가장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In this way, for the
예를 들면, 주택지로부터 역에 도달하는 경로를 연행하는 차량의 경우, 시간대 「6:00∼10:00」은 통근, 통학의 시간대이며, 하루의 시작에 있어서의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여, 뉴스, 날씨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Web 페이지가 날마다 반복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ehicle following a route from a residential area to a station, the time zone "6:00 to 10:00" is the time zone for commuting and attending school, and the news is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inform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day. Web pages that provide information such as weather and weather are more likely to be accessed every day.
한편, 시간대 「10:00∼16:00」에 있어서의 중요한 승객은 주부층이며, 쇼핑 정보나 취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Web 페이지가 마찬가지로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t passengers in the time zones "10: 00-16: 00" are housewives, and it is expected that Web pages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and hobby information will be similarly accessed.
따라서, 각각의 운행에 따른 과거의 액세스 빈도가 높은 Web 페이지를 운행 전에 미리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해 두면, 제 2 캐시 서버(337)의 히트율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결과로서, 인터넷(5)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감소하므로,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이용 빈도가 감소한다. Therefore, if a web page having high past access frequency according to each operation is accumulat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과거에 액세스된 인터넷(5) 상의 Web 페이지가 제 1 캐시 서버(336)에 기억되므로, 재차 동일한 Web 페이지가 액세스되었을 때에는, 해당 제 1 캐시 서버(336)의 Web 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터넷(5)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감소하므로,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이동 차량 내에 있어서의 인터넷 액세스 환경이 향상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web page on the
또한, 제 2 캐시 서버(337)에는 액세스 빈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 인터넷(5) 상의 Web 페이지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로부터 Web 페이지 요구 수신 시에 해당 제 2 캐시 서버(337)를 제 1 캐시 서버(336)보다도 우선하여 검색 함으로써, 검색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eb page on the
또한, 운행 전의 이동 차량(210)에 대해서는, 다음 운행에 따른 Web 페이지가 미리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되므로, 히트율이 높은 캐시를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또한,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운행 중의 제 2 캐시 서버 갱신 작업은, 당해 운행 중에 갱신이 있었던 Web 페이지만을 행하면 좋으므로,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ache server update operation during the operation using the mobile phone network only needs to perform a web page updated during the operation, communication load using the mobile phone network can be minimized.
또한, 이동 차량(210)에 있어서 계측된 Web 페이지마다의 액세스 사용자 수를 운행마다 Web 액세스 빈도 집계 데이터베이스(357)에 반영함으로써, 운행마다의 액세스 빈도 계측 결과를, 다음 이후의 차량 운행에 있어서 제 2 캐시 서버에 축적하는 내용에 반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최적의 캐시가 구성되어, 제 2 캐시 서버(337)의 히트율이 향상한다. In addition, by reflecting the number of access users for each web page measured in the
또, Web 페이지에 관한 액세스 빈도의 집계를 요일마다, 평일, 휴일 등으로 구별하여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제 2 캐시 서버(337)의 최적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drawings, a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e design change etc. of the range which do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are included.
예를 들면, 이동 무선 통신 장치(3)의 제어부(333)가, 제 1 캐시 서버(336)또는 제 2 캐시 서버(337)에 축적되어 있는 Web 페이지의 일람을 무선 LAN 단말(2) 뿐만 아니라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캐시되어 있는 Web 페이지를 파악할 수 있어, Web 페이지 액세스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한다. For example, th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스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 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당해 무선 장치는, 버스 내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를 접속해야 할 기지국 장치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버스의 외부에 설치된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의 기능도 아울러서 갖는다. 여기서는, 버스 내의 통신 시스템을 무선 LAN으로 하고 버스의 외부와의 무선 시스템을 EV-DO 방식으로 하지만, 당해 무선 장치는, 이들을 통합한 형태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와 외부에 설치된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를 중계하는 통신 시스템을 구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특정한 사용자에게만 당해 통신 시스템을 이용시킨다. 즉, 불특정 사용자에 의한 당해 통신 시스템의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 장치에 관한 인증을 실행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wireless device provided on a bus. The radio apparatus has a function of a base station apparatus to which a terminal apparatus used by a user in a bus is to be connected, and also has a function of a terminal apparatu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apparatus installed outside the bus. In this example, th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bus is a wireless LAN and the wireless system with the outside of the bus is an EV-DO system. However, the wireless device is a combination of these terminals, which is used by a user and a base station apparatus installed externally. Build a communication system to relay betwee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communication system only for a specific user. 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system by an unspecified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on the terminal device.
사용자는 버스의 운임을 지불하기 위해, 예를 들면 프리페이드 카드 등의 지불 카드를 버스에 구비된 지불 장치에 접촉시킨다. 무선 장치는, 지불 카드에 인증 정보, 암호 정보, 사용해야 할 주파수 등의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기입한다. 버스 운임의 지불을 종료한 지불 장치는, 지불 카드를 배출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지불 카드를 집어넣고, 단말 장치는, 지불 카드에 기입된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장치에 접속 요구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인증 정보와 암호 정보를 사용하여 접속 요구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해야 할 주파수에서 당해 신호를 출력한다. In order to pay the bus fare, a user contacts, for example, a payment card such as a prepaid card to a payment device provided in the bus. The wireless device writes information on the terminal device such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encryption information, and frequency to be used on the payment card. The payment device that has finished the payment of the bus fare discharges the payment card. The user inserts a payment card into the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output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wireless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device written in the payment card. For exampl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encryption information are used to generate a signal for the connection request, and the signal is output at the frequency to be used.
무선 장치는, 당해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 장치의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정규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 장치이면, 접속을 허가한다. 또한,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데이터를 EV-DO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전송한다. The wireless device executes an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ignal, and permits connection if it is a terminal device owned by a regular user. Furthermore, data with the termi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EV-DO system.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4100)은, 무선 장치(410), 지불 장치(412), 지불 카드(414), 단말 장치(416), 기지국 장치(418), 네트워크(420)를 포함한다. 지불 장치(412)는, 판독부(442), 기입부(444)를 포함하고, 무선 장치(410)는, 제 1 통신용 안테나(460), 제 1 통신부(422), 제 2 통신용 안테나(462), 제 2 통신부(424), 생성부(426), 통신 처리부(428), 제어부(430), 기억부(432)를 포함하며, 단말 장치(416)는, 단말용 안테나(464), 통신부(446), 판독부(448), 인증부(450), 암호부(452), 제어부(454)를 포함한다. 또한, 생성부(426)는, 인증 정보 생성부(434), 암호 정보 생성부(436)를 포함하며, 통신 처리부(428)는, 인증부(438), 암호부(440)를 포함한다. 27 shows a configuration of a
기지국 장치(418)는, EV-DO 방식에 대응하고, 백본(backbone)인 네트워크(420)에 접속된다. 또한, 무선 통신을 위해 기지국용 안테나(466)를 구비한다. 기지국용 안테나(466)는, 복수의 안테나나 섹터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The base station apparatus 418 corresponds to the EV-DO system and is connected to a
제 1 통신부(422)는, 기지국 장치(418)에 대응한 EV-DO 방식의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경우, 제 1 통신부(422)는 EV-DO 단말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무선 통신 때문에 제 1 통신용 안테나(460)를 구비한다. 한편, 제 2 통신부(424)는, 후술하는 무선 LAN의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경우, 제 2 통신부(424)는, 무선 LAN으로서의 기지국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무선 통신을 위해 제 2 통신용 안테나(462)를 구비한다. The
지불 카드(414)는, 버스의 운임을 지불하기 위한 카드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페이드 카드가 예시된다. 사용자는, 버스를 탈 때에 지불 카드(414)를 지불 장치(412)에 접촉시킨다. 판독부(442)는, 지불 카드(414) 중의 정보, 예컨대, 잔금을 판독하고, 운임 청산의 처리를 행한 후, 기입부(444)는, 지불 카드(414)에 최종적인 잔금을 기입한다. 또한, 기입부(444)는, 무선 장치(410)와 단말 장치(416)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도 기입한다. The
인증 정보 생성부(434)는, 단말 장치(416)를 위해 인증 정보, 예컨대, 패스워드 등을 생성하고, 지불 카드(414)에 기입하기 위해 기입부(444)에 출력한다. 암호 정보 생성부(436)는, 단말 장치(416)를 위해 암호 정보, 예컨대, 비밀 열쇠 등을 생성하고, 지불 카드(414)에 기입하기 위해 기입부(444)에 출력한다. The authentication
기억부(432)는, 인증 정보 생성부(434)와 암호 정보 생성부(436)에서 인증 정보와 암호 정보를 생성한 단말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생성한 인증 정보와 암호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 정보와 암호 정보를 기억한다. 또, 운임 청산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 예컨대, 운임표도 기억하고 있다. The
도 28은, 기억부(432)에 기억된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여기서, 「식별 번호」는, 단말 장치(416)를 식별하는 번호이며, 예컨대, 단말 장치(416)를 소유한 사용자의 식별 번호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는, A1 내지 AN로 예시한다. 「인증 정보」는, 인증 정보 생성부(434)에서 생성한 패스워드이며, 여기서는, B1 내지 BN로 예시한다. 「암호 정보」는, 암호 정보 생성부(436)에서 생성한 비밀 열쇠이며, 여기서는, C1 내지 CN으로 예시한다. 「주파수 정보」는, 제 2 통신부(424)가 송신하고 있는 주파수이며, 여기서는 f1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28 shows a data structure of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device stored in the
인증부(438)는, 단말 장치(416)가 접속 요구를 행하고 있을 때에, 미리 인증 정보 생성부(434)가 생성해서 기억부(432)에 기억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 장치(416)를 인증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432)에 기억한 패스워드와 단말 장치(416)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포함된 패스워드가 동일하면, 해당 단말 장치(416)의 접속을 허가한다. 암호부(440)는, 단말 장치(416)가 접속 요구를 행하여 갔을 때에, 미리 암호 정보 생성부(436가 생성해서 기억부(432)에 기억한 암호에 근거하여 암호 처리를 실행한다. The
제어부(430)는, 무선 장치(410)에 있어서의 각종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시에, 전술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지불 장치(412)에 의한 운임의 지불 처리도 실행한다. The
통신부(446)는, 제 2 통신부(424)와 통신하기 위해, 무선 LAN의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무선 통신을 위해 단말용 안테나(464)를 구비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446 executes communication processing of the wireless LA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판독부(448)는, 기입부(444)로부터 배출된 지불 카드(414)를 삽입하고, 삽입된 지불 카드(414)에 기입된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판독한다. 지불 장치(412)와 마찬가지로 지불 카드(14)를 삽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또, 판독한 정보 중, 인증 정보를 인증부(450)에, 암호 정보를 암호부(452)에, 사용해야 할 주파수를 통신부(446)에 출력한다. 판독부(448)는, 주파수가 입력된 값으로 세트하여, 무선 장치(410)에 액세스한다. The
인증부(450)는, 무선 장치(410)에 대해 접속 요구를 실행할 때에, 요구 패킷에 인증 정보를 기입한다. 또한, 인증에 관하여 무선 장치(410)로부터 응답이 있었던 경우에, 그것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The
암호부(452)는, 판독부(448)로부터 접수한 암호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의 암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The
제어부(454)는, 단말 장치(416)에서의 각종 타이밍을 제어한다. The
이 구성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그 밖의 LSI로 실현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메모리의 로드된 예약 관리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지만, 여기서는 이들의 연계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 소프트웨어만,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각종 형태로 실현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되는 바이다. This configuration can be realized in hardware by a CPU, a memory, or other LSI of a computer, and in software, by a program having a loaded reservation management function of a memory. The functional blocks realized are shown. Therefore, it i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functional blocks are realized in various forms by only hardware, only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9는, 인증 처리를 도시하는 시퀸스 도면이다. 사용자는, 지불 장치(412)에 지불 카드(414)를 접촉시킨다(S410). 판독부(442)가 지불 카드(414)의 내용을 판독하는 것에 위해, 지불 장치(412)는, 지불 처리를 실행한다(S412). 또한, 인증 정보 생성부(434)와 암호 정보 생성부(4436)가 소정의 정보를 생성한다(S14). 기입부(444)는, 소정의 정보를 지불 카드(414)에 기입한다(S416). 지불 장치(412)는, 외부에 지불 카드(414)를 배출한다(S418). 다음에 사용자는, 지불 카드(414)를 판독부(448)에 삽입한다(S420). 또한, 판독부(448)는 정보를 판독하여(S422), 판독한 정보를 인증부(450), 암호부(452), 통신부(446) 등에 출력한다. 인증부(450), 암호부(452)의 동작에 근거하여, 통신부(446)는 접속 요구의 패킷을 생성한다(S424). 제 2 통신부(424)는, 패킷을 수신하여, 인증부(438)는 정보를 확인한다(S426). 정보가 올바르면, 무선 장치(410)는 단말 장치(416)에 대해 통신을 허가한다(S428). 그 후, 무선 장치(410)는, 단말 장치(416)와의 사이의 통신에서의 데이터와 기지국 장치(418)와의 사이의 통신에서의 데이터를 중계한다. 29 is a sequence diagram show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The user contacts the
도 30의 (a)-도 30의 (c)는, 도 27의 단말 장치(416)의 외관을 도시한다. 단말 장치(416)에 대해, 도 30의 (a)는 경사의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도 30의 (b)는 경사의 배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도 30의 (c)는 경산의 배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이며 또한 카드 수납부 커버(470)를 연 상태를 도시한다. 카드 수납부 커버(470)를 열면, 지불 카드(414) 등의 각종 카드를 카드 수납부(472)에 출납이 가능하게 된다. 도 30의 (b)와 같이 카드 수납부 커버(470)를 닫으면, 카드 수납부(472)에 받아들여진 지불 카드(414)는, 내부에서 고정되고, 무선 통신에서 지불 카드(414)에 기입된 암호 정보, 인증 정보가, 단말 장치(416)에 판독된다. 카드와의 통신 수단을 비접촉 타입으로 함으로써, 카드마다 상이한 접촉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작은 카드의 경우이더라도, 비접촉을 위해, 이동 차량의 진동, 흔들림에 관계없이 카드를 세트할 수 있다. 30A to 30C illustrate the appearance of the
이상의 구성에 따른 통신 시스템(4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7에 있어서, 버스에 지불 카드(414)를 가진 손님이 탑승하였을 때에, 지불 장치(412)에 지 불 카드(414)를 꽂으면, 탑승에 따른 지불이 행해지는 동시에, 무선 장치(410)의 인증 정보 생성부(434), 암호 정보 생성부(436)에서 새롭게 생성된 인증 정보, 암호 정보가 기입부(444)에서 지불 카드(414)에 기입된다. 동일 인증 정보, 암호 정보는, 기억부(432)에 기억된다. 지불 카드(414)를 단말 장치(416)의 카드 수납부(472)에 넣으면, 단말 장치(416)의 판독부(448)는, 지불 카드(414)로부터, 먼저 기입된 인증 정보, 암호 정보를 판독하고, 암호부(452)는, 상기 암호 정보를 기초로 하여 무선 장치(410)에 송신하는 정보를 암호화한다. The operation of the
또, 해당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장치(410)와의 사이의 인증 수속을 실행한다. 단말 장치(416)는, 통신부(446), 단말용 안테나(464)를 거쳐서, 정보를 송신하고, 무선 장치(410)의 제 2 통신용 안테나(462)에서 수신되어, 제 2 통신부(424)를 거쳐서, 암호부(440)에서 신호를 해독하며, 인증부(438)에서 인증 수속이 행해지고, 기억부(432)에 먼저 기억된 암호 정보,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것을 판정하여, 일치하는 경우, 통신을 허가한다. 이에 의해, 버스에 탑승하지 않는 자는, 무선 장치(410)를 이용한 서비스를 받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말마다 고유의 암호 정보, 인증 정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조나 무선 정보의 해독이 곤란하게 하어, 탑승자 개인의 정보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Further,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with the
또한, 통신 시스템(4100)에서의 정보 배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아진다. 승차 시에, 무선 장치(410)의 암호 정보 생성부(436)에서, 새로운 암호 정보를 생성하고, 인증 정보 생성부(434)에서, 새로운 인증 정보를 생성하며, 지불 카드(414)에 기입하는 동시에, 기억부(432)에 보존한다. 한편, 이용 시에 있어서 는, 먼저 지불 카드(414)에 기억한 암호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인증 정보를 무선 장치(410)에 보내면, 암호부(440)에서 해독하는 동시에, 인증부(438)에서, 인증 수속을 실행하고, 기억부(432)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 정보, 인증 정보를 참조하여, 일치하는 것을 확인한다. 카드마다 고유한 암호 정보, 인증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안전하게 암호 정보, 인증 정보를 배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차 시에 지불 카드에 기재된 정보를 폐기함으로써, 다른 단말에서, 동일 암호 정보, 동일 인증 정보의 조합으로 계속적으로 통신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istribution in the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카드에 기입한 인증 정보에 의해, 단말 장치의 인증을 실행하기 위해, 인증 정보의 누설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장치가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의 정보를 미리 단말 장치에 통지하기 위해, 단말 장치는 확실하게 접속을 희망하는 무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 인증 정보를 기입한 카드는, 운임의 지불에 사용하기 위한 카드와 공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새로운 카드의 소지를 요구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erform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ritten on the predetermined card, leakage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and safe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order to notify the terminal device of the information of the frequency used by the wireless device in advance, the terminal device can reliably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device to which connection is desired. In addition, since the card in whic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written is shared with the card used for payment of the fare, the user does not require possession of a new card.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는 예시이며, 이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각종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examples. This embodiment is an illustration, It i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ach of these components and the combination of each processing process,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수납부(472)가 단말 장치(416)와 일체로 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분리 가능해도 좋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별도 고체의 카드 수납부(472)를 단말 장치(416)와 USB 케이블 등에 의해 접속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카드 수납부(472)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 장치(416)에서도 지불 카드(414)를 판독할 수 있다. 즉, 지불 카드(414)를 판독하면 좋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장치(410)와 기지국 장치(418)의 통신망을 EV-DO 방식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등 다른 무선 통신 수단이어도 무방한 것으로 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각종 형태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버스 등의 외부에 있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면 좋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스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였지만, 전차 등의 이동 물은 본래부터, 고정의 시설 내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환경의 제공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증 정보, 암호 정보의 전달에 지불 카드(414), 정리권을 들어 설명을 행하였지만, 사전에 발권되는 차표나, 개인이 항상 소유하는 기타 카드나 반도체 메모리 등이어도 좋은 것으로 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각종 형태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카드에 의해, 인증 정보가 단말 장치(416)에 통지되면 좋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scription has been given by taking a bus as an example, but movements such as trains are inherently applicable to the provis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a fixed facility. In addition, although the
정리권을 이용한 인증 정보, 암호 정보의 배포에 관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정리권 자체에 IC 태그를 이용하여, 정리권의 발권 시에, 정리권에 인증 정보, 암호 정보를 기입한다. 또한, 동시에 탑승한 정류소 등의 정보를 기입한다. 이용 시에는, 지불 카드(41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416)의 카드 수납부(472)에 정리권을 넣고, 판독부(448)에서 정리권에 기입된 인증 정보, 암호 정보를 판독시킨다. 또한, 하차 시에 지불 장치(412)에 투입된 정리권에 근거하여, 기재된 암호 정보, 인증 정보를 기억부(432)로부터 삭제하는 동시에, 정리 권으로부터 판독한 탑승한 정류소와, 현재의 정차하고 있는 정류소, 및 어른, 아이, 인원 수 등의 운전수로부터의 입력 정보로부터 지불하여 금액을 산출, 표시하고, 현금의 투입에 대해, 거스름돈의 반환, 또 부족분의 표시를 한다. 버스 카드의 종류에서, 후 청산 타입의 경우에도, 전술한 정리권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가능하다. Distribution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using the rearrangement right operates as follows, for example. The IC tag is used for the reorganization ticket itself,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are written in the reorganization ticket at the time of ticketing. In addition, information on a bus stop etc. which boarded simultaneously is entered. At the time of use,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의 정보」라고 기재하였지만, 주파수만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무선 장치와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의 변조 방식, 통신 규격(IEEE802.1la, IEEE802.1lb, IEEE802.1lg, HiS WAN, 와이어리스(wireless) 1394, UWB 등) 등의 무선 통신에 관계되는 정보이어도 좋은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frequency information" is described, but not only the frequency, but also the modulation scheme and the communication standard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IEEE802.1la, IEEE802.1lb, IEEE802. 1lg, HiS WAN, wireless 1394, UWB, etc.)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운행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운행 관리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xample of the running management system i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using drawing. First, in order to make understanding easy, the outline | summary of a running management system is demonstrated.
버스나 전차 등과 같이 다수의 승객이 오르고 내리는 대중 수송 차량 내에 있어서 무선 LAN의 서비스가 구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대중 수송 차량(이하, 이동 차량이라 함)에 무선 LAN의 통신 수단과 휴대 전화기의 통신 수단을 갖는 무선 중계 장치를 설치하고, 이동 차량 내의 노트북 PC 등의 휴대 단말과의 사이를 무선 LAN으로 접속하고, 이동 차량 외부의 네트워크 접속에는 휴대 전화기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에 의해, 이동 차량 내의 노트북 PC 등으로부터 이동 차량 외부의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Wireless LAN services are established in public transport vehicles where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rise and fall, such as buses and trams. In these mass transport vehi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vehicles), a wireless relay device having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ans and a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means is provid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notebook PC in the mobile vehicle. By connecting to a LAN and connecting to a network outside the mobile vehicle by using a cellular phone network,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Internet network outside the mobile vehicle from a notebook PC or the like in the mobile vehicle.
또한, 버스나 전차 등의 이동 차량과 무선 통신 시스템을 조합한 서비스로서는, 예컨대, 일반 도로를 이용하는 버스에서는, 도로의 혼잡 사정 등에 의해 운행 시간이 좌우되기 때문에,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버스의 현재 위치나 정류소의 출발 시간이라고 하는 운행 상황 등의 정보를 송신하고, 센터 컴퓨터(호스트 컴퓨터) 등을 거쳐서 정류소에 최신의 운행 상황을 표시하는 시스템도 구축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Web을 이용하여 버스나 전차 등의 운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실현되고 있다. 이에 의해, 정류소 등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에 버스가 도착할 지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에 정신적인 안심감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as a service combin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bus or a trai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in a bus using a general road, the running time depends on the congestion of the road, etc. The system which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a position and the departure time of a stop, and displays the latest operation | movement state in a stop via a center computer (host computer) etc. is also established. Similarly, a ser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a bus, a train or the like using the Web has also been realized. As a result, the person waiting for the bus at a stop or the like can know in advance how long the bus will arrive, thereby providing mental security to the passenger waiting for the bus.
도 35는, 이동 차량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동 차량(51')의 무선 중계 장치(512')는 1xEV-DO(1x Evolution Data 0nly) 기지국(53)을 거쳐서 네트워크(54)에 접속되고, 또한, 네트워크(54)에는 Web 정보 등을 제공하는 WWW 서버(5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동 차량(51') 내부의 무선 중계 장치(512')와 각 승객이 소지하는 무선 LAN 단말(513, 514, 515)은, 무선 중계 장치(512')에 구성된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5125)의 로컬 네트워크(52')의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승객은, 무선 중계 장치(512')를 거쳐서 WWW 서버(55)로부터 원하는 Web 정보를 각각의 무선 LAN 단말(513, 514, 515)에 취입할 수 있다. 3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a mobile vehicle. The radio relay device 512 'of the mobile vehicle 51' is connected to the
그러나,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무선 LAN 단말(513, 514, 515)은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소에 관한 정보 등을 취입할 수는 없다. 즉, 도 35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의 기술에 있어서는, 버스 등에 승차하고 있는 사람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에 버스가 원하는 정류소에 도착할 것인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한, 버스에 승차한 승객은,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소가 다음의 정류소로 되었을 경우에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하차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승무원에 대해 하차의 취지를 알리는 것으로 되지만, 차량 내가 붐비고 있을 때나 깜박하고 있을 때에는, 하차 버튼을 누를 수 없기 때문에 타고 지나쳐 가 버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다음 정류소를 알리는 차량 내 방송이나 다음 정류소를 표시하는 차량 전방의 게시판에 의해 승객에 대해 다음 정류소를 통지하고 있지만, 버스 등의 이동 차량 내에는 각종 승객이 동시에 승차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이 이야기하는 소리에 의해 차량 내 방송을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나 앉고 있는 위치에 따라서는 사각이 되어서 게시판이 보이지 않을 경우도 있다. 혹은, 버스의 후방에 앉고 있을 경우에는, 전방에 키가 큰 사람이 서 있으면 게시판이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다음 정류소를 알 수 없는 상태도 생긴다. Howev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hown in FIG. 35, each wireless LAN terminal 513, 514, 515 cannot take in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stop which a passenger wants to get off. In other words, in the technolog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shown in Fig. 35, there is no way of knowing how long the bus will arrive at a desired stop for a person riding on a bus or the like. In addition, the passenger who boarded the bus informs the crew of the getting off by pressing the button of disembarkation installed in the vehicle when the stop to be unloaded becomes the next stop, but when the vehicle is crowded or blinks When you are doing it, you may not be able to press the button to get off. In addition, the next stop is notified to the passenger by an in-vehicle broadcast informing the next stop or a bulletin board in front of the vehicle displaying the next stop. However, since various passengers ride simultaneously in a moving vehicle such as a bus, a person talks. If you can not hear the broadcast in the vehicle by the sound of the sound or depending on the sitting position may be a blind spot may not be visible. Or, if you are sitting in the back of the bus, you may not see the bulletin board if a tall person is standing in front of you, and you may not know the next stop.
또한, 통근이나 통학 등과 같이 매일 이용하고 있는 버스인 경우에는, 차량 내 방송이나 게시판 등을 듣거나 보거나 하지 않고, 바깥의 풍경 등을 보는 것에 의해 다음 정류소를 알 수 있지만, 처음으로 승차하는 버스인 경우에는 다음 정류소의 명칭을 모르면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소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깜박하여 타고 지나쳐 가 버리는 경우도 있다. 또, 승객이 앉아서 졸게 되는 등의 경우에는, 차량 내 방송을 빠뜨리고 들어 버려, 눈을 떴을 때에 바깥의 풍경에서 당황하여 하차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사태도 발생하고, 예컨대, 정류소를 통과하려고 하는 직전에 알아차렸을 경우에는, 운전수가 급브레이크를 걸어서 버스를 정차시키거나, 갑자기 차선 변경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태가 발생하는 등, 버스의 운행 상에서 보아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도 일어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bus is used every day, such as commuting or going to school, the next stop can be known by viewing the scenery outside without listening to or watching the in-vehicle broadcasts or bulletin boards. If you do not know the name of the next stop, you may not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you are going to get off. In addition, when a passenger is sitting and dozing, the on-board broadcast is missed and entered, and when the eyes are opened, a situation such as pressing the button of getting off in confusion in the scenery outside occurs, for example, just before trying to pass through the stop. When it is noticed, an undesired condition may occur in the operation of the bus, such as a driver may stop the bus by suddenly braking or suddenly change the lane.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버스나 전차 등의 이동 차량에 승차 중의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에 대해 적확한 운행 정보나 하차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승객에 있어서 사용하기가 편리한 운행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management system such as a bus or a train is notified to the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the passenger while riding, and the driving information and getting off information, thereby constructing a driving management system that is convenient for use by passengers. .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running management system i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도 3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운행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1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차량(51)의 무선 중계 장치(512)는 1xEV-DO 기지국(53)을 거쳐서 네트워크(5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동 차량(51)과 마찬가지의 구성인 이동 차량(516)도 1xEV-DO 기지국(517)을 거쳐서 네트워크(5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54)에는, 교통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집중 관리하는 데이터 센터(510)와 Web 정보를 제공하는 WWW 서버(5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동 차량(51)에는 무선 중계 장치(512)가 설치되고, 또한, 무선 LAN 단말(513, 514, 515)을 각각 소지한 각 승객이 이동 차량(1)에 승차 중이다. 또, 이동 차량(51)의 내부는, 무선 중계 장치(512)에 구성된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5125)의 로컬 네트워크(52)의 에어리어 내로 되어 있다. 3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iving management system of FIG. 31, the
또한, 무선 중계 장치(512)는, 1xEV-DO 모바일 터미널부(5120), 제어부(5121),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부(5125), WWW 서버부(5126), 차량 위치 정보 취득부(5251), 경로 정보 기억부(5252), 하차 예약 정보 갱신부(5253), 하차 예 약 정보 통지부(5254),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5255), 표시부(5256), 및 조작부(5257)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동 차량(516)에 있어서의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 이동 차량(51)과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 차량(51)의 무선 중계 장치(512)에 대해 서술하기로 한다. The
무선 중계 장치(512)의 1xEV-DO 모바일 터미널부(5120)는, 안테나(5129)를 거쳐서, 이동 차량(1) 외부의 1xEV-DO 기지국(53)과 무선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1xEV-DO 기지국(53)은 유선에 의해 네트워크(54)에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54) 위에 존재하는 WWW 서버(55) 및 데이터 센터(510)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다. 또한, 차량 위치 정보 취득부(5251)는, 안테나(5250)를 거쳐서, 도시하지 않는 GPS 등에 의해 차량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무선 LAN 단말(513, 514, 515)로부터 무선 중계 장치(512)의 WWW 서버부(5126)의 하차 예약 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있다. The 1xEV-DO mobile
WWW 서버부(5126)의 하차 예약 페이지에서는, 차량 위치 정보 취득부(5251)가 취득한 차량 위치를 판독하는 동시에 경로 정보 기억부(5252)로부터 이동 차량(51)의 운행 경로 정보나 지도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운행 경로 및 지도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의 이동 차량(51)의 위치에 따른 표시 가공을 실행하고, 예컨대, 액세스가 있었던 무선 LAN 단말(513)에 이동 차량(51)의 위치 정보를 표시시킨다. 또한, 무선 LAN 단말(513)로부터 하차 예정의 정류소가 선택되면, 하차 예약 정보 갱신부(5253)는, 하차 예정의 정류소 및 무선 LAN 단말(513)을 식별하는 식별자(예컨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IP 어드레스나 LAN에 접속하는 정보 기기를 식 별하기 위한 MAC 어드레스, 혹은, 무선 중계 장치가 배포한 식별자 등)를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5255)에 기억시킨다. On the disembarkation reservation page of the
또한, 하차 예약 정보 갱신부(5253)는, 이동 차량(51)이 정류소를 통과할 때마다, 이동 차량(51)의 차량 위치 정보 취득부(5251)와 경로 정보 기억부(5252)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음 정류소 정보에 근거하여,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5255)에 기억되어 있는 하차 예정 정보를 판독하고, 다음 정류소에서 하차 예정이 있을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하차 예정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 정류소에 관련되어 있었던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LAN 단말(513)에 대해 하차 정보를 통지 메시지로서 송신한다. 이상, 무선 LAN 단말(513)이 무선 중계 장치(512)에 액세스하였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무선 LAN 단말(514, 515)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무선 중계 장치(512)에 액세스하면, 무선 중계 장치(512)로부터 하차 정보를 통지 메시지로서 수신할 수 있다. The getting off reservation information update unit 553 can be obtained from the vehicle position
도 32는, 도 31에 있어서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무선 LAN 단말이 무선 중계 장치에 대해 하차 예약을 실행할 경우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따라서, 도 31 및 도 32를 이용하여 하차 예약의 처리를 실행하는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이동 차량(51)에 승차한 승객이 자신이 휴대하는 무선 LAN 단말에 의해 무선 중계 장치(512)의 하차 예약 화면을 열면, 하차 정류소를 특정하는 방법으로서, 『노선도에서 선택』이나 『지도로부터 선택』이나 『목적지로부터 선택』의 3개의 방법이 표시된다(단계 S51). FIG. 3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ing flow when any wireless LAN terminal executes a get off reservation for a wireless relay device in the service management system in FIG. 31. Therefore, the flow of performing the process of getting off reservation by using FIG. 31 and FIG. 32 is demonstrated. First, when the passenger who boarded the
단계 S51에서 『노선도에서 선택』의 항목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현재 승 차하고 있는 버스의 노선도, 정류소명, 추정되는 통과 시간 등이 표시됨과 동시에, 각 정류소에 관해, 하차 예약을 실행하기 위한 「하차」 버튼과, 정류소를 포함하는 에어리어의 지도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도」 버튼과, 정류소 부근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정보」 버튼이 화면에 표시된다(단계 S52). 여기서, 승객이 하차할 예정의 정류소의 「하차」 버튼을 선택하면, 하차 예약의 재차 확인용의 화면 『○○○에서 하차하십니까?』가 표시된다(단계 S57). 이 화면에 있어서 「예」버튼을 선택하면, 무선 중계 장치(512)의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5255)에 해당하는 정류소에서의 하차 예약이 기억되어, 예약 완료의 화면 『정류소 ○○○에서 하차 예약되었습니다』라고 표시되어 하차 예약이 완료한다(단계 S58). If the item "Select from route map" is selected in step S51, the route map of the bus currently being boarded, the name of the bus stop, the estimated passing time, etc. are displayed, and for each bus stop, the " The "Get Off" button, the "Map" button for displaying a map of the area including the stop, and the "Information" butt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near the stop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tep S52). Here, when the passenger selects the "get off" button of the stop where the passenger is going to get off, the screen "Do you get off at ○○○?" For checking the getting off again is displayed (step S57). If the "Yes" button is selected on this screen, the disembarkation reservation at the stop corresponding to the disembark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255 of the
또한, 단계 S51에서 『지도로부터 선택』의 항목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현재의 이동 차량(51)의 위치에 근거하여 경로를 기입한 지도를 표시시킨다(단계 S53). 여기서, 이미 통과한 정류소에 대해서는 「통과」의 문자가 부가된다. 또한, 원하는 정류소의 버튼(예를 들면, 「CCC」)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정류소「CCC」을 포함한 확대 지도가 표시된다(단계 S56). 그래서, 「하차 예약합니다」 버튼을 선택하면 하차 예약의 재차 확인용의 화면 『○○○에서 하차하십니까?』가 표시된다(단계 S57). 또한, 「예」 버튼을 선택하면, 무선 중계 장치(512)의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255)에 해당하는 정류소에서의 하차 예약이 기억되고, 예약 완료의 화면 『정류소 ○○○에서 하차 예약되었습니다』라고 표시되어 하차 예약이 완료한다(단계 S58). When the item " select from map " is selected in step S51, a map on which a route is writte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ing
또한, 단계 S51에서 『목적지로부터 선택』의 항목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목적지명을 입력하는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S54). 그래서, 승객은 목적명을 입력하여 「결정」 버튼을 선택하면, 목적지명, 및 가장 가까운 정류소명(예컨대, 「CCC」)이 표시된다(단계 S55). 또한, 「지도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정류소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된다(단계 S56). 또한, 목적지를 지도 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에는, 목적지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쉬운 것과 같이, 지도 상에서 점멸을 행하거나, 다른 색과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거나 한다. 또, 동시에, 정류소로부터 목적로의 경로를 나타내는 선을 지도 상에 묘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하차 예약합니다」 버튼을 선택하면, 하차 예약의 재차 확인용의 화면 『○○○에서 하차하십니까?』가 표시된다(단계 S57). 또, 「예」 버튼을 선택하면, 무선 중계 장치(512)의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255)에 해당하는 정류소에서의 하차 예약이 기억되어, 예약 완료의 화면 『정류소 CCC에서 하차 예약되었습니다』라고 표시되어 하차 예약이 완료한다(단계 S58). When the item " Select from destination " is selected in step S51, a screen for inputting a destination name is displayed (step S54). Thus, when the passenger enters the destination name and selects the "determination" button, the destination name and the nearest station name (for example, "CCC") are displayed (step S55). If the "Map Confirmation" button is selected, a map including the corresponding stop is displayed (step S56). In addition, when it is possible to display a destination in a map, it flashes on a map or displays it in a color different from another color, as the location of a destination is visually easy to recognize.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draw a line on the map indicating the route from the stop to the destination. When the "Get off reservation" button is selected, the screen "Do you get off at ○○○?" Screen for re-checking the getting off reservation is displayed (step S57). If the "Yes" button is selected, the drop off reservation at the stop corresponding to the drop off reserv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55 of the
또, 단계 S52의 『노선도에서 선택』 화면에 기재된 정류소간의 추정 통과 시간에 대해서는, 예컨대, 각 이동 차량은, 각 정류소에 있어서의 도착, 발차, 통과한 시각을, 1xEV-DO 무선 통신 회선망 및 네트워크(54)를 거쳐서, 데이터 센터(510)에 송신해 두면, 데이터 센터(510)는, 동일 노선을 먼저 통과한 이동 차량으로부터 얻어진 도착, 발차, 통과 시각의 정보에 근거하여, 이후에 주행하여 오는 이동 차량의 예정 통과 시간을 추정하고, 데이터 센터(510)로부터 이동 차량(51)에 대해 이 예정 통과 시간을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about the estimated passing time between the stops described in the "Selection in the route map" screen of step S52, for example, each mobile vehicle shows the arrival, departure, and passing times of each stop at the 1xEV-DO wireless communication line network and network. When transmitted to the
또한,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5255)에 예약을 기억할 경우에는, 하차 예약된 정류소의 이외에, 예약한 무선 LAN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예를 들면,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무선 중계 장치(512)로부터 할당한 식별자 등)를 동시에 기억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식별자를 동시에 기억시킴으로써, 다음 정류소가 하차 예정의 정류소로 되었을 경우에, 그 정류소에서 하차 예정으로 되어 있는 식별자(즉, 대응하는 무선 LAN 단말)에 대해, 차가 하차하는 정류소인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또, 이 통지를 음성에 의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하차 예약 이외에 하차하는 예약 정류소의 변경이나 삭제를 하는 화면을 마련할 수도 있다. When the reservation is stored in the getting off reserv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255, an identifier (for example, an IP address, a MAC address, a wireless relay device) that can identify the reserved wireless LA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stop reserved for getting off It is assumed that the identifier assigned from 512) is stored simultaneously. By storing the identifiers at the same time in this way, when the next stop becomes a stop which is scheduled to get off, it can be notified that an identifier (that is, a corresponding wireless LAN terminal) that is scheduled to get off at that stop is the stop where the car is getting off. have. The notification may also be executed by voice. Although not described here, a screen for changing or deleting the reserved stop other than the reserved reservation can be provided.
도 33은, 도 31의 운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예약 통지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의 일례이다. 우선, 이동 차량(51)이 있는 정류소를 통과하면(단계 S511), 다음 정류소의 안내 방송이 개시된다(단계 S512). 그리고,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5255)로부터 다음 정류소의 하차 예약 정보를 판독하여(단계 S513), 하차 예약의 유무를 판단한다(단계 S514). 여기서, 하차 예약되어 있을 경우에는(단계 S514에서 "아니오"인 경우), 하차 예약 정보 통지부(5254)는 승무원에 대해 하차 예약이 있는 취지를 통지한다(단계 S515). 또한, 차량 내의 하차 버튼을 강제적으로 눌러서 하차 버튼의 점등 및 부저를 울린다(단계 S516). 이렇게 하여 모든 승객에 대해 다음 정류소에서 정차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동시에 승무원에 대해 정차를 재촉한다. 또한, 하차 예약자에 대해 예약한 하차 정류소인 취지의 메시지를 통지한다(단계 S517). 그리고, 다음 정류소에 정차하는 취지의 차량 내 안내 방송을 흘려보낸다(단계 S518). FIG. 33 is an example of the flowchart which shows the reservation notification process flow in the service management system of FIG. First, when passing through the stop where the moving
또한, 단계 S514에 있어서의 하차 예약 유무의 판단에 있어서 하차 예약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에는(단계 S514에서 "예"인 경우), 종래와 같이, 소정의 정류소를 통과한 것인지 여부의 판단(단계 S519)과, 하차 버튼이 눌러진 것인지 여부의 판단(단계 S520)을 실행하면서 이동 차량(51)을 주행시킨다. 또한, 소정의 정류소를 통과한 때에는, 다음 정류소에 대해 최초의 단계 S511로부터 개시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In addition, when getting off reservation cannot be made in the judgmen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getting off reservation in step S514 (YES in step S514), it is judged whether it passed the predetermined stop as before (step S519). ) And the moving
도 34는, 운행 관리 시스템에 의해 PDA(Persona1 Digital Assistant)에 표시된 다음 하차 정류소의 통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LAN의 통신 기능을 갖는 PDA(5400)에 있어서, 승객이 하차 예정으로서 등록한 정류소가 다음 정류소로 되었을 경우에는, 도 31의 무선 중계 장치(512)로부터 로컬 네트워크(52)의 무선 LAN을 경유하여 그 취지의 메시지가 통지되어, 그 승객의 PDA(5400)(예컨대, 도 31의 무선 LAN 단말(513))의 화면 위에 통지 메시지(5401)가 표시된다. 또한, 동시에, PDA(5400)의 본체가 진동하거나 도시하지 않는 스피커로부터 소리나 메시지가 발음되면, PDA(5400)를 소유하고 있는 승객에 대해, 다음 정류소가 하차 예정하고 있는 정류소인 것을 알린다. Fig. 3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notification of the next getting off stop displayed on the PDA (Persona1 Digital Assistant) by the driving management system. As shown in FIG. 34, in the
이에 의해, 승객이 앉아서 졸고 있는 등이어도, 예정하고 있는 정류소에서 하차할 수 없이 타고 지나쳐 가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차 예정의 정류소에 정차하고 있을 때에, 하차 예정되어 있는 PDA(5400)의 식별자가 아직 이동 차량(51) 내에 존재하는 무선 LAN 단말의 식별자일 것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승무원은 그 정류소에서 하차 예정되어 있는 승객이 하차한 것 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reby, even if a passenger is dozing and sleep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tuation that a person passes by and cannot get off at the planned stop. In addition, when the bus stops at the scheduled stop, the crew member gets off at the stop by checking whether the identifier of the
여기서, 도 31의 무선 중계 장치(512)로부터 도 34의 PDA(5400)에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1의 무선 LAN 단말(513)이 무선 중계 장치(512)에 접속하였을 때에, 무선 중계 장치(512)의 1xEV-DO 모바일 터미널(5120)로부터, 안테나(5129)를 거쳐서, 이동 차량(51) 외부의 1xEV-DO 기지국(53)에 무선 전파가 발신된다. 이에 의해, 무선 중계 장치(512)로부터 이동 차량 1 외부의 1xEV-DO 기지국(53)으로의 접속 상황을 나타내는 PDA(5400)의 EV-DO 안테나(5403)를 표시하는 소프트웨어(예컨대, Java(등록 상표) 등에 의해 구축되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어, 무선 중계 장치(512)로부터 무선 LAN 단말(513)(즉, PDA(5400))에 통지 메시지가 송신된다. Here, a mode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도 34의 EV-DO 안테나(5403)는, 임의의 주기에서 도 31의 무선 중계 장치(512)에 액세스하여 안테나 바의 표시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다음 정류소가 하차 예정의 정류소인 것인지 여부의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다음 정류소가 하차 예정의 정류소일 경우에는, 그 취지의 통지 메시지(5401)를 화면에 표시하여 PDA(5400)의 소유자에 대해 원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EV-DO 안테나(5403)를 표시하는 소프트웨어 자체가 하차 예정의 정류소를 유지해 두고, 도 31의 무선 중계 장치(512)로부터 통지된 다음 정류소의 정보에 근거하여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EV-DO 안테나(5403)를 표시시킴과 동시에 다음 정류소를 항상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The EV-
또한, 통근, 통학과 같이 항상 동일한 정류소에서 하차하는 승객인 경우에 는, 승객이 소유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예컨대, MAC-ID)와 하차 정류소를 조합하여, 무선 중계 장치(512)의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5255)에 대해, 항상 동일한 정류소에서 하차하는 상시 하차 예약 정보로서 등록해 둔다. 이에 의해, 그 승객이 소유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승차하였을 때에, 그 무선 통신 단말의 식별자와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5255)에 기억되어 있는 상시 하차 예약 정보를 비교하여, 그 무선 통신 단말의 식별자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차 예약으로서 취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정 승객이 승차할 때마다 하차 예약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는 동시에, 차량 내의 무선 LAN으로의 트래픽으로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assenger who always gets off at the same stop, such as commuting and attending school, the
또한, 무선 중계 장치(512)와 같이 하차 예약 설정에 관한 기능 부분과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갖는 장치를 각 정류소에 설치하고, 정류소에 설치된 무선 중계 장치에 하차 예약을 등록하며, 해당하는 이동 차량(51)이 도착하였을 때에 그 정류소의 무선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차량(51) 내의 무선 중계 장치(512)에 하차 예약 정보를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정류소에서 이동 차량(51)의 도착을 기다리고 있는 동안에 하차할 정류소의 예약 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승차해야 할 이동 차량(51)이 도착하였을 때에, 하차 예약을 행한 정류소의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 승차해야 할 이동 차량(51)이 도착한 취지의 통지 메시지, 및 그 이동 차량(51)에 표시되어 있는 행선지 등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정보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복수 노선의 이동 차량이 정차하는 정류소에 있어서, 승객은 목적으로 하는 이동 차량(51)을 발견하여 헤매는 일없이 승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evice having a function portion related to getting off reservation setting and a function of an access point of a wireless LAN, such as the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컴퓨터(서브컴퓨터)가 차량 위치 정보 취득부(5251), 경로 정보 기억부(5252), 하차 예약 정보 갱신부(5253), 하차 예약 정보 통지부(5254), 하차 예약 정보 기억부(5255), 표시부(5256), 및 조작부(5257)의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서브컴퓨터에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에 담당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mputer (subcomputer) mounted in the vehicle is a vehicle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차량으로서 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차 등과 같은 다른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차량 외부의 공중 통신망으로서 1xEV-DO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PHS 등 다른 무선 통신 수단이어도 상관없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oving vehicle, but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vehicles such as a train or the lik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xEV-DO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outside the mobile vehicle, but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PHS may be used.
다음에, 버스 등의 차량이 정류소에 도착하거나 통과할 경우에 있어서, 정류소로의 도착 시각이나 출발 시각을 추정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각각의 차량으로부터 정류소의 도착 시각, 출발 시각 등의 정보를 관리 센터에 업 로드한다. 이 때, 날씨 정보 등도 가미하여 관리 센터에 업 로드한다. Next, when a vehicle, such as a bus, arrives at or passes through a stop, a specific embodiment for estimating the arrival time or departure time to the stop will be described. First, information, such as the arrival time and departure time of a stop, is uploaded from each vehicle to a management center. At this time, the weather information is uploaded to the management center.
이것에 의해, 관리 센터는, 각 차량의 정류소로의 도착 시각, 출발 시각에 근거하여, 각각의 차량이 다음 정류소에 도착하는 시각을 추정한다. 또한, 관리 센터는, 각 차량으로부터 취득한 시각 정보로부터 정류장에서의 정차 시간을 산출하여, 이들의 시간 정보를 각 정류소, 시각, 날씨 등에 따라 집계한다. 이 때, 관리 센터는, 동일한 경로를 주행하는 먼저 통과한 차량의 주행 시간에 근거하여 다 음 정류소에 도착하는 시각을 추정한다. 또, 정류소에 정차하는 차량과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는 차량에서는 다른 경로라고 판단하여 도착 시각의 추정을 실행한다. Thereby, the management center estimates the time when each vehicle arrives at the next stop based on the arrival time and departure time of each vehicle. Further, the management center calculates the stop time at the stop from the time information acquired from each vehicle, and aggregates these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stop, time, weather,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management center estimates the time of arrival at the next stop based on the traveling time of the first passing vehicle traveling on the same route. In addition, in the vehicle which stops at a stop and the vehicle which does not stop at a stop, it determines with a different route, and estimates arrival time.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이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 도착 시각의 추정을 실행하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류소에 있어서의 승객 수나 날씨 등을 고려하여 도착 시각의 추정을 실행하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류소로의 도착 시각을 계산으로 구하는 개념도이다. 3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stimating the arrival time when the vehicle does not stop at the sto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stimating the arriva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assengers, the weather and the like at the sto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conceptual diagram of calculating the arrival time to the sto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에 있어서, 차량 2가 정류소 S를 통과하고, 정류소 S+1에 도착하는 시간 YY2(S+1)은, 동일한 경로를 먼저 통과한 차량 0 및 차량 1에 근거하여 추정한다. 또, 차량 2가 정류소에 정차할 경우에는, 차량 0, 차량 1도 마찬가지로 정류소에 정차한 차량의 데이터를 이용한다. 또한, 더 멀리 있는 정류소 S+n으로의 도착 시각을 추정할 경우에는, 정류소 S로부터 정류소 S+n의 사이에 존재하는 각 정류소의 정차 시간(승강 시간)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통계값을 이용하여 실행한다. 또, 도 3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정류소의 승객 수, 시간, 날씨 등을 고려한 통계값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으므로, 해당하는 통계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여 각 정류소의 도착 시각이나 출발 시각을 구한다. In FIG. 36, the time YY2 (S + 1) when the
다음에, 도 38을 참조하여 정류소로의 도착 시각을 계산에 의해 구하고. 즉, 정류소 S+2에 도착 시각은 다음 식과 같이 하여 구해진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38, the arrival time to a stop is calculated | required. In other words, the arrival time at the stop S + 2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정류소 S+2의 도착 시각]=[정류소 S+1의 도착 시각](T1(S+1))+[정류소 S+1의 정차 시간](W1(S+1))+[정류소 S+1로부터 정류소 S+2까지의 주행 시간](S1(S+2)) 으로 된다. [Arrival time of stop S + 2] = [arrival time of stop S + 1] (T1 (S + 1)) + [stop time of stop S + 1] (W1 (S + 1)) + [stop S + Travel time from 1 to stop S + 2] (S1 (S + 2)).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교차점 부근에 있어서의 교통 사정을 고려하였을 경우에 도착 시각을 추정하는 개념도이다.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점의 부근에 있어서는, 교차점까지가 혼잡하고 있어 교차점을 빠져 나가면 혼잡이 해소되는 것과 같은 도로 사정이 발생하거나, 그 반대의 도로 사정이 발생하거나 한다. 이 때문에, 주행 시간의 추정에 있어서는, 교차점을 분기점으로 하여 그 전후로 나누어서 추정을 실행한다. 또, 이러한 도로 사정을 고려한 도착 시각의 추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각 차량은 교차점에 들어가는 시각이나 교차점으로부터 나가는 시각을 데이터 센터에 업 로드하여 놓을 필요가 있다. 3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stimating the arrival time when considering traffic conditions near the inters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9,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road conditions such as congestion are eliminated when the intersection is congested and exiting the intersection, or vice versa. For this reason, in the estimation of the traveling time, the estimation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intersection as a branch point and before and after. In addition, in order to estimate the arrival time in consideration of such road conditions, each vehicle needs to upload the time at which the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or the time at which the vehicle exits from the intersection to the data center.
또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사고를 인식한 차량의 운전수에 의해, GPS 좌표에 의한 사고 발생 위치를 데이터 센터에 업 로드하고, 후속 차량의 도착 추정 시각으로의 사고 요인에 따른 시간 초과 사항을 추가하여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In addition, when an accident occurs, the driver of the vehicle recognizing the corresponding accident uploads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in GPS coordinates to the data center, and time-out according to the accident factor to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the subsequent vehicle. Add the item to execute the correction process.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데이터 센터에 업 로드하는 시각으로서, 정류소 및 교차점의 도착 시각, 발차 시각을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착 시각이나 발차 시각의 추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고려하면, 정류소 사이를 더 세밀한 구간으로 구분하고, 그 구간마다 데이터의 업 로드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류소 사이의 거리가 긴 개소나, 사고 등에 의한 지체에 의해 통상보다 긴 시간을 요하는 경우에도, 보다 정확한 도착 시각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arrival time and departure time of a stop and an intersection point were mentioned as the time to upload to a data center as an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result of the arrival time or the departure time,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stations into finer sections, and to upload data for each s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estimate the more accurate arrival time even when a longer distance than the stop between stations and a delay due to an accident is required.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의 외측에 정류소로의 추정 도착 시각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외측에 정류소로의 추정 도착 시각을 표시함으로써, 승객은 승차 전에 대략의 도착 시간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시각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로부터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4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stimated arrival time at the stop is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0, by display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the stop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passenger can know the approximate arrival time before boarding.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same visual information from a server on the Interne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행 관리 시스템 시스템은, 버스나 열차 등의 차량 내에 무선 LAN을 구축해 두고, 이 무선 LAN을 통과시켜, 차량 내의 승객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에 대해 하차한 역이나 정류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로서는, 하차할 정류소나 역의 통지와, 정류소나 역을 통과하는 통과 시간의 통지 등이다. 또한, 열차의 경우에는, 휴대 단말이 지정권을 판독하면 자동적으로 정차역이나 시각 등을 알도록 해도 좋다.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anagement syste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stablishes a wireless LAN in a vehicle such as a bus or a train, passes the wireless LAN to a station or a stop where the passengers in the vehicle get off. Provid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a notification of a stop or a station to get off, a notification of a passing time passing through a stop or a station. In the case of a train, when the portable terminal reads the designated ticket, the train station may automatically know the station or time.
휴대 단말에 대해 하차 통지를 실행할 경우에는, 미리, 승차중의 승객이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소를 등록해 둔다. 그렇게 하면, 호스트 컴퓨터가, 등록한 승객의 휴대 단말에 대해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소의 하나 전을 통과한 후의 적당한 타이밍에서 하차 통지를 실행한다. 이 때, 호스트 컴퓨터가 실행하는 이동 차량의 위치 판단은 GPS나 지도 등을 조회하여 실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승무원이 수동으로 하차 안내의 녹음 테이프를 돌었을 때의 정보에 의해 판단해도 좋다. When the getting off notification is executed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passengers on boarding the vehicle register the stop to be getting off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n advance. In doing so, the host computer executes the disembarkation notification at an appropriate timing after passing one of the stops to be disembark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registered passenger. At this time, the position determination of the mobile vehicle executed by the host computer is most preferably performed by inquiring about a GPS, a map, or the like, but it may be judged by the information when the crew manually turns the recording tape for getting off.
또한, 호스트 컴퓨터는, 이동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지상의 사령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어느 것으로 해도 통지 기능에 차이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위치 정보만 지상의 지령소로부터 수신하여, 등록된 휴대 단말의 식별은 이동 차량 내에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운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역할 분담은 각종 방법이 생각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운행 관리 시스템은, 지상에 설치된 호스트 컴퓨터와, 이동 차량에 탑재된 서브컴퓨터와, 이동 차량에 승차하는 승객이 소유하는 휴대 단말로 구성되지만, 각각의 기능 분담은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host computer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vehicle or in the ground command station, the host computer does not produce a difference in the notification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only the positional information from the ground command station and process the identification of the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in the moving vehicle. That is, various methods can be considered for the role sharing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other words, the driv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st computer installed on the ground, a subcomputer mounted on the mobile vehicle, and a portable terminal owned by a passenger riding on the mobile vehicle. no.
또한, 카 네비게이션과 같은 것과 같은 기능으로서, 지상의 호스트 컴퓨터의 시스템에서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 데이터와 실제의 운행 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지점의 통과 시각이나 소요 시각을 휴대 단말에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하나 전을 달리고 있는 버스의 소요 시간 등의 데이터를 직전의 정류소 통과 시점에서 이용하여 다음 정류소의 통과 시간을 연산하면, 도로의 지체 상황 등을 반영하여 정확하게 정류소의 통과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Also, as a function such as car navigati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ing vehicle is determined by the system of the ground host computer, and the passing time or the required time of the predetermined point is carried out using the current position data and the actual traveling speed data. It is also possible to notify. For example, when the pass time of the next stop is calculated by using data such as the time required for the bus running one time at the last stop passing tim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redict the pass time of the stop by reflecting the road dela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하면, 무선 통신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에 액세스할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가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함에 있어서, 공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the user connected to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ccesses the Internet. Whe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es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s anxiety at the time of connection to the public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reduced.
Claims (4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152685 | 2003-05-29 | ||
JP2003152685A JP4566524B2 (en) | 2003-05-29 | 2003-05-29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JPJP-P-2003-00187111 | 2003-06-30 | ||
JP2003187111A JP4152817B2 (en) | 2003-06-30 | 2003-06-30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JP2003356499A JP4307211B2 (en) | 2003-10-16 | 2003-10-16 | Authent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
JPJP-P-2003-00356499 | 2003-10-16 | ||
JP2003399451A JP4275515B2 (en) | 2003-11-28 | 2003-11-28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JPJP-P-2003-00399451 | 2003-11-28 | ||
JP2004104292A JP4588346B2 (en) | 2004-03-31 | 2004-03-31 | Operation management system |
JPJP-P-2004-00104292 | 2004-03-3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7851A Division KR20060093311A (en) | 2003-05-29 | 2006-07-20 | Driving management system |
KR1020060067808A Division KR20060096188A (en) | 2003-05-29 | 2006-07-20 |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3321A KR20040103321A (en) | 2004-12-08 |
KR100769741B1 true KR100769741B1 (en) | 2007-10-23 |
Family
ID=3313625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7502A KR100769741B1 (en) | 2003-05-29 | 2004-05-25 |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KR1020060067808A KR20060096188A (en) | 2003-05-29 | 2006-07-20 |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
KR1020060067851A KR20060093311A (en) | 2003-05-29 | 2006-07-20 | Driving management system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7808A KR20060096188A (en) | 2003-05-29 | 2006-07-20 |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
KR1020060067851A KR20060093311A (en) | 2003-05-29 | 2006-07-20 | Driving management system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5) | US8903385B2 (en) |
EP (5) | EP1947892A1 (en) |
KR (3) | KR100769741B1 (en) |
CN (2) | CN101815246B (en) |
DE (1) | DE602004023454D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7905A (en) * | 2016-08-30 | 2017-01-11 | 无锡卓信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Vehicle seeking method for parking pla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radio frequency |
US11102158B2 (en) | 2008-01-28 | 2021-08-24 | Seven Networks, Llc | System and method of a relay server for managing communications and notif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serv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05700B2 (en) | 2002-01-08 | 2007-12-04 | Seven Networks, Inc. | Secure transport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AU2003226951A1 (en) * | 2002-04-19 | 2003-11-03 | Linak A/S | A drive unit, preferably an actuator, a control and a construction |
US8468126B2 (en) * | 2005-08-01 | 2013-06-18 | Seven Networks, Inc. | Publishing data in an information community |
US7917468B2 (en) | 2005-08-01 | 2011-03-29 | Seven Networks, Inc. | Linking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ata |
US20040235449A1 (en) * | 2003-05-22 | 2004-11-2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
CN100386999C (en) * | 2003-07-23 | 2008-05-07 | 华为技术有限公司 | Method for monitoring user connection state |
US7113779B1 (en) * | 2004-01-08 | 2006-09-26 | Iwao Fujisaki | Carrier |
KR100620713B1 (en) * | 2004-07-28 | 2006-09-19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Packet service setting control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KR100727932B1 (en) * | 2005-02-14 | 2007-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mobile node |
US7408896B2 (en) | 2005-03-02 | 2008-08-05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wireless access points |
US8438633B1 (en) | 2005-04-21 | 2013-05-07 | Seven Networks, Inc. | Flexible real-time inbox access |
KR100663405B1 (en) * | 2005-06-03 | 2007-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navigation between countries |
WO2006136660A1 (en) | 2005-06-21 | 2006-12-28 |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 Maintaining an i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
US20070027997A1 (en) * | 2005-07-29 | 2007-02-01 | Cisco Technology, Inc. | Technique for translating location information |
US8412804B2 (en) * | 2005-07-29 | 2013-04-02 | Cisco Technology, Inc. | Acquir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relative to a location |
US20070025337A1 (en) * | 2005-07-29 | 2007-02-01 | Cisco Technology, Inc. | Technique for providing ancillary information to an entit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
US8190134B2 (en) * | 2005-08-01 | 2012-05-29 | Cisco Technology, Inc. | Techniqu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cillary to a location of an entity in a communication network |
JP2007102390A (en) * | 2005-10-03 | 2007-04-19 | Hitachi Ltd | Vacant seat reservation system |
KR100779313B1 (en) * | 2006-01-04 | 2007-11-2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승객 Notification system for passengers on public transport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tification method thereof |
KR101261434B1 (en) * | 2006-01-19 | 2013-05-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ma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 a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and there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7769395B2 (en) * | 2006-06-20 | 2010-08-03 | Seven Networks, Inc. | Location-based operations and messaging |
US7865583B2 (en) | 2006-03-31 | 2011-01-04 |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 Aggregating network activity using software provenance data |
US8340027B2 (en) * | 2006-08-07 | 2012-12-25 | Qualcomm Incorporated | Monitor period for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
US9008002B2 (en) * | 2006-08-07 | 2015-04-14 | Qualcomm Incorporated | Conditional requests for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
US8310996B2 (en) * | 2006-08-07 | 2012-11-13 | Qualcomm Incorporated | Conditional scheduling for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
US8737313B2 (en) * | 2006-08-07 | 2014-05-27 | Qualcomm Incorporated | Transmit time segments for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
US8416762B2 (en) * | 2006-08-07 | 2013-04-09 | Qualcomm Incorporated | Message exchange scheme for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
GB2441574A (en) | 2006-09-08 | 2008-03-12 | Fujitsu Ltd | Network entry to a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080085688A1 (en) * | 2006-10-06 | 2008-04-10 | Motorola, Inc. | Method and system for data retrieval using push to talk |
JP2008143669A (en) * | 2006-12-11 | 2008-06-26 | Brother Ind Ltd | Article management system, wireless tag, and wireless tag information reader |
US8391775B2 (en) * | 2007-03-09 | 2013-03-05 | Airbiquity Inc. | Mobile digital radio playlist system |
KR100824066B1 (en) * | 2007-04-13 | 2008-04-22 | 한국광기술원 |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vehicles and remote control method of vehicle using same |
US8805425B2 (en) | 2007-06-01 | 2014-08-12 | Seven Networks, Inc. | Integrated messaging |
JP5217266B2 (en) * | 2007-06-21 | 2013-06-19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ITMO20070227A1 (en) * | 2007-07-06 | 2009-01-07 | Teko Telecom S P A |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 COVERING OF A VEHICLE, WHICH CAN BE USED IN PARTICULAR WITHIN THE RAIL OR SIMILAR TRANSPORT" |
KR101387502B1 (en) * | 2007-08-10 | 2014-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recognizing a module,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
US8600302B2 (en) | 2007-08-10 | 2013-12-0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recognizing a module,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
KR101387501B1 (en) * | 2007-08-10 | 2014-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recognizing a module,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
US10783232B2 (en) * | 2007-09-27 | 2020-09-22 | Clevx, Llc | Management system for self-encrypting managed devices with embedded wireless user authentication |
US10181055B2 (en) | 2007-09-27 | 2019-01-15 | Clevx, Llc | Data security system with encryption |
WO2009041006A1 (en) | 2007-09-27 | 2009-04-02 | Panasonic Corporation | Network node and mobile terminal |
US10778417B2 (en) | 2007-09-27 | 2020-09-15 | Clevx, Llc | Self-encrypting module with embedded wireless user authentication |
US11190936B2 (en) | 2007-09-27 | 2021-11-30 | Clevx, Llc | Wireless authentication system |
US8000286B1 (en) * | 2007-10-18 | 2011-08-16 | Sprint Spectrum L.P. | Alternate operational-data transmission scheme for low-cost-internet-base-station-(LCIB) systems |
US8305991B1 (en) | 2007-11-14 | 2012-11-06 | Sprint Spectrum L.P. | Method and system for sector switching during packet transmission |
US8364181B2 (en) | 2007-12-10 | 2013-01-29 | Seven Networks, Inc. | Electronic-mail filtering for mobile devices |
US9002828B2 (en) | 2007-12-13 | 2015-04-07 | Seven Networks, Inc. | Predictive content delivery |
US9154947B2 (en) * | 2007-12-13 | 2015-10-06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Secure home-to-vehicle wireless connectivity |
US8862657B2 (en) | 2008-01-25 | 2014-10-14 | Seven Networks, Inc. | Policy based content service |
JP5136891B2 (en) * | 2008-02-27 | 2013-02-06 | 日本電気株式会社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con display method and icon display control program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WO2009121413A1 (en) * | 2008-04-03 | 2009-10-0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internet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
US8787947B2 (en) | 2008-06-18 | 2014-07-22 | Seven Networks, Inc. | Application discovery on mobile devices |
US8078158B2 (en) | 2008-06-26 | 2011-12-13 | Seven Networks, Inc. | Provisioning applications for a mobile device |
US8516096B2 (en) * | 2008-07-09 | 2013-08-20 | In Motion Technology Inc. | Cognitive wireless system |
US8909759B2 (en) | 2008-10-10 | 2014-12-09 | Seven Networks, Inc. | Bandwidth measurement |
MX2011004378A (en) * | 2008-10-28 | 2011-06-21 | Airbiquity Inc | Purchase of a piece of music being played on a radio in a vehicle. |
JP4767306B2 (en) | 2008-11-07 | 2011-09-07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US8103310B1 (en) | 2009-08-07 | 2012-01-24 | Sprint Spectrum L.P. |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femtocells to address macro-network backhaul congestion |
US8942888B2 (en) | 2009-10-15 | 2015-01-27 | Airbiquity Inc. | Extensible scheme for operating vehicle head unit as extend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
US9002574B2 (en) | 2009-10-15 | 2015-04-07 | Airbiquity Inc. | Mobile integration platform (MIP) integrated handset application proxy (HAP) |
US8838332B2 (en) * | 2009-10-15 | 2014-09-16 | Airbiquity Inc. | Centralized management of motor vehicle software applications and services |
US8831823B2 (en) * | 2009-10-15 | 2014-09-09 | Airbiquity Inc. | Centralized management of motor vehicle software applications and services |
KR100958615B1 (en) * | 2009-10-19 | 2010-05-19 | (주)한국기술비젼 |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DE102009052675A1 (en) * | 2009-11-12 | 2011-05-19 | Deutsche Telekom Ag | Method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to mobile terminals |
JP5230824B2 (en) | 2010-01-06 | 2013-07-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EP2599003B1 (en) | 2010-07-26 | 2018-07-11 | Seven Networks, LLC |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
US8838783B2 (en) | 2010-07-26 | 2014-09-16 | Seven Networks, Inc. | Distributed caching for resource and mobile network traffic management |
US20120039248A1 (en) * | 2010-08-10 | 2012-02-16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and system for in-vehicle wireless connectivity |
JP2013518338A (en) * | 2010-09-07 | 2013-05-20 | エスケー プラネット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System for displaying a cached web page, server for this, terminal for this, method for thi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is method |
TW201215525A (en) * | 2010-10-11 | 2012-04-16 | Htc Corp | Operational method between on to board unit and mobile device and OBU system thereof |
US8484314B2 (en) | 2010-11-01 | 2013-07-09 | Seven Networks, Inc. |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
US8903954B2 (en) | 2010-11-22 | 2014-12-02 | Seven Networks, Inc. | Optimization of resource polling intervals to satisfy mobile device requests |
US8843153B2 (en) | 2010-11-01 | 2014-09-23 | Seven Networks, Inc. | Mobile traffic categorization and policy for network use optimization while preserving user experience |
WO2012060995A2 (en) | 2010-11-01 | 2012-05-10 | Michael Luna |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
JP2012109742A (en) * | 2010-11-16 | 2012-06-07 | Sony Corp |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
KR101761811B1 (en) * | 2010-11-22 | 2017-07-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handover between macro base station and open moving relay |
EP2596658B1 (en) | 2010-11-22 | 2018-05-09 | Seven Networks, LLC | Aligning data transfer to optimize connections established for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network |
AT12733U1 (en) * | 2010-11-23 | 2012-10-15 | Josef Fischl | REGISTRATION STATION FOR BUSES |
US9325662B2 (en) | 2011-01-07 | 2016-04-26 | Seven Networks, Llc |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mobile network traffic used for domain name system (DNS) queries |
EP2700021A4 (en) | 2011-04-19 | 2016-07-20 | Seven Networks Llc | Shared resource and virtual resource management in a networked environment |
US8804619B2 (en) * | 2011-04-27 | 2014-08-12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thods for assigning radio resources for mobile device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related systems and devices |
EP2621144B1 (en) | 2011-04-27 | 2014-06-25 | Seven Networks, Inc. |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requests on behalf of a mobile device based on atomic processes for mobile network traffic relief |
US8621075B2 (en) | 2011-04-27 | 2013-12-31 | Seven Metworks, Inc. | Detecting and preserving state for satisfying application requests in a distributed proxy and cache system |
US20120289151A1 (en) * | 2011-05-09 | 2012-11-15 | Chih-Hsiang Wu | Method of Handling Attach Procedur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
US8937903B2 (en) * | 2011-06-14 | 2015-01-20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delivery network via a motor vehicle |
US8965430B2 (en) * | 2011-06-30 | 2015-02-24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quality reporting modes u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rs |
US9718371B2 (en) * | 2011-06-30 | 2017-08-0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Recharging of battery electric vehicles on a smart electrical grid system |
WO2013015995A1 (en) | 2011-07-27 | 2013-01-31 | Seven Networks, Inc. | Automatic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policy information regarding malicious mobile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
US9866277B2 (en) * | 2011-08-15 | 2018-01-09 | Adam James Wang | Vehicle wireless hub |
US8995956B2 (en) * | 2011-09-23 | 2015-03-31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cellular offload |
WO2013050216A1 (en) | 2011-10-04 | 2013-04-1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e-emptive content caching in mobile networks |
US8934414B2 (en) | 2011-12-06 | 2015-01-13 | Seven Networks, Inc. | Cellular or WiFi mobile traffic optimization based on public or private network destination |
WO2013086225A1 (en) | 2011-12-06 | 2013-06-13 | Seven Networks, Inc. | A mobile device and method to utilize the failover mechanisms for fault tolerance provided for mobile traffic management and network/device resource conservation |
EP2788889A4 (en) | 2011-12-07 | 2015-08-12 | Seven Networks Inc | Flexible and dynamic integration schemas of a traffic management system with various network operators for network traffic alleviation |
WO2013086447A1 (en) | 2011-12-07 | 2013-06-13 | Seven Networks, Inc. | Radio-awareness of mobile device for sending server-side control signals using a wireless network optimized transport protocol |
WO2013090212A1 (en) | 2011-12-14 | 2013-06-20 | Seven Networks, Inc. | Mobile network reporting and usage analytics system and method using aggregation of data in a distributed traffic optimization system |
US8909202B2 (en) | 2012-01-05 | 2014-12-09 | Seven Networks, Inc. | Detection and management of user interactions with foreground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in distributed caching |
US9203864B2 (en) | 2012-02-02 | 2015-12-01 | Seven Networks, Llc | Dynamic categorization of applications for network access in a mobile network |
US9326189B2 (en) | 2012-02-03 | 2016-04-26 | Seven Networks, Llc | User as an end point for profiling and optimizing the delivery of content and data in a wireless network |
US8843158B2 (en) | 2012-02-22 | 2014-09-23 | Apple Inc. | Delivering content by predicting predetermined routes using wireless networks |
US8892053B2 (en) | 2012-03-14 | 2014-11-1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ache hits via a users speed, direction of movement, location, and band within a cellular network |
US8812695B2 (en) | 2012-04-09 | 2014-08-19 | Seven Networks, Inc. |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virtual network connection without heartbeat messages |
WO2013155208A1 (en) | 2012-04-10 | 2013-10-17 | Seven Networks, Inc. | Intelligent customer service/call center services enhanced using real-time and historical mobile application and traffic-related statistics collected by a distributed caching system in a mobile network |
CN103379037A (en) * | 2012-04-27 | 2013-10-30 | 株式会社Ntt都科摩 | Route equipment and method and system thereof |
CN104364827B (en) | 2012-06-08 | 2016-06-08 | 爱尔比奎特公司 | The sensing data assessment of motor vehicles |
US8775631B2 (en) | 2012-07-13 | 2014-07-08 | Seven Networks, Inc. |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for browsing or streaming activity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prediction of user behavior when interacting with mobile applications |
US12138041B1 (en) | 2012-09-25 | 2024-11-12 | Micro Mobio Corporation | Mobile device case with satellite communication capability |
US11786146B1 (en) | 2012-09-25 | 2023-10-17 | Micro Mobio Corporation | Wireless hub system and method |
US9161258B2 (en) | 2012-10-24 | 2015-10-13 | Seven Networks, Llc | Optimized and selective management of policy deployment to mobile clients in a congested network to prevent further aggravation of network congestion |
US9307493B2 (en) | 2012-12-20 | 2016-04-05 | Seven Network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management of mobile device radio state promotion and demotion |
ES2882885T3 (en) | 2012-12-20 | 2021-12-03 | Airbiquity Inc | Efficient main unit communication integration |
US9241314B2 (en) | 2013-01-23 | 2016-01-19 | Seven Networks, Llc | Mobile device with application or context aware fast dormancy |
US8874761B2 (en) | 2013-01-25 | 2014-10-28 | Seven Networks, Inc. | Signaling optim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traffic utilizing proprietary and non-proprietary protocols |
US9326185B2 (en) | 2013-03-11 | 2016-04-26 | Seven Networks, Llc | Mobile network congestion recognition for optimization of mobile traffic |
US9066326B2 (en) * | 2013-03-14 | 2015-06-23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Automatic user notification, with quick response (QR) code generation following failed NFC device pairing |
US9065765B2 (en) | 2013-07-22 | 2015-06-23 | Seven Networks, Inc. | Proxy server associated with a mobile carrier for enhancing mobile traffic management in a mobile network |
CN103648091A (en) * | 2013-11-29 | 2014-03-19 | 北京中勤世帝生物技术有限公司 | Transceiver board, transceiver and wireless authorization system |
CN103634400B (en) * | 2013-11-29 | 2017-10-31 | 深圳市航盛电子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data receiver caching method |
US9386462B2 (en) | 2014-03-28 | 2016-07-05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planning wireless network deployment sufficiency when utilizing vehicle-based relay nodes |
US9386624B2 (en) | 2014-03-28 | 2016-07-05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Systems and methods of facilitating portable device communications |
WO2015170451A1 (en) * | 2014-05-08 | 2015-11-12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 In-vehicle network system, electronic control unit, and irregularity detection method |
CN104865906A (en) * | 2014-06-27 | 2015-08-26 |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environment regulating device, server and mobile terminal |
CN105162761B (en) * | 2015-07-28 | 2018-10-12 |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dynamic selection method, system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of Portal certifications URL |
CN108702786B (en) * | 2016-03-25 | 2020-09-08 | 华为技术有限公司 |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CN106231592A (en) * | 2016-07-21 | 2016-12-14 | 北京谛听机器人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Wireless networking systems without inputting password and method |
CN106157601B (en) * | 2016-07-21 | 2018-05-18 | 宁波大学 | A kind of investigation method of the bus passenger flow demand based on mobile data |
CN106184290A (en) * | 2016-07-27 | 2016-12-07 | 中车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 Power concentration EMUs emergency runn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
US11068837B2 (en) * | 2016-11-21 | 2021-07-2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of securely sending and receiving packages via drones |
CN106851770B (en) * | 2017-02-28 | 2019-10-29 | 电子科技大学 | Car networking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link-quality |
US10903894B1 (en) * | 2017-06-27 | 2021-01-26 |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 Mobile wireless repeater |
CN108197678B (en) * | 2017-12-28 | 2021-06-15 | 新开普电子股份有限公司 | Traffic data management system |
CN108924953B (en) * | 2018-07-05 | 2020-06-26 | 新华三技术有限公司 | AP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
CN108909777B (en) * | 2018-07-13 | 2023-07-07 | 洪清喜 | Railway CIR basic data analysis and verification equipment |
DE102018221742A1 (en) * | 2018-12-14 | 2020-06-18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Method for operating a data network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with a correspondingly operable data network |
WO2020217087A1 (en) | 2019-04-24 | 2020-10-29 |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 System and cryptographic hardening method for traffic signal verification |
CN110189452B (en) * | 2019-06-06 | 2022-07-12 |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 Vehicle key access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vehicle |
KR20210056177A (en) * | 2019-11-08 | 2021-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dual connectiv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
CN117579362B (en) * | 2023-11-28 | 2024-07-23 | 中国测试技术研究院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ata traceability transmiss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17537A (en) * | 1994-09-12 | 1999-06-29 | Bell Atlantic | Level 1 gateway for video dial tone networks |
WO2001037497A1 (en) | 1999-11-18 | 2001-05-25 | Prescient Networks Pty Ltd | A gateway system for interconnecting wireless ad-hoc networks |
JP2002300644A (en) | 2001-03-30 | 2002-10-11 | Kyocera Corp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WO2003007162A1 (en) | 2001-07-13 | 2003-01-23 | Adalive.Com, Inc. |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coupled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s |
Family Cites Families (9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7537A (en) * | 1898-01-18 | Table-fastener | ||
JPS5966417U (en) * | 1982-10-28 | 1984-05-04 | 日本精工株式会社 | Buckle assembly |
JPH079666B2 (en) | 1988-04-30 | 1995-02-01 | 株式会社東芝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ndling system |
US5736940A (en) | 1993-04-06 | 1998-04-07 | Burgener; E. C. | Portable transit data information system and apparatus |
US6278936B1 (en) | 1993-05-18 | 2001-08-21 | Global Research Systems, Inc. | System and method for an advance notif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proximity of a vehicle |
JP3414843B2 (en) | 1993-06-22 | 2003-06-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Transportation control device |
KR100304238B1 (en) | 1993-07-16 | 2001-11-22 | 맨스 에케로프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ceiver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JPH08129699A (en) | 1994-10-31 | 1996-05-21 | Omron Corp | Ride information system and ride information reception device |
US6074376A (en) * | 1995-01-30 | 2000-06-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side flap fastener cover |
EP0785537A4 (en) | 1995-08-09 | 2000-04-19 | Toyota Motor Co Ltd | TRAVEL PROGRAM PREPARATION DEVICE |
US6132306A (en) * | 1995-09-06 | 2000-10-17 | Cisco Systems, Inc. |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dedicated repeater channels |
JPH09146818A (en) | 1995-11-17 | 1997-06-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nformation switching device and machine translation system |
US5867785A (en) | 1996-01-31 | 1999-02-02 | Motorola, Inc. |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to communication units located within a common carrier transportation device |
ATE231636T1 (en) | 1996-08-13 | 2003-02-15 | Kenneth J Schmier | ARRIVAL INFORMATION SYSTEM FOR PUBLIC TRANSPORT VEHICLES |
US5914668A (en) * | 1996-08-30 | 1999-06-22 | Lucent Technologies Inc. | Wireless terminal controlled mobility operational parameters |
FI103469B (en) | 1996-09-17 | 1999-06-30 | Nokia Telecommunications Oy | Prevention of abuse of a copied subscriber code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
US6047376A (en) | 1996-10-18 | 2000-04-04 | Toshiba Information Systems (Japan) Corporation | Client-server system, server access authentication method, memory medium stores server-access authentication programs, and issuance device which issues the memory medium contents |
US6031528A (en) * | 1996-11-25 | 2000-02-29 | Intel Corporation | User based graphical computer network diagnostic tool |
US5873100A (en) | 1996-12-20 | 1999-02-16 | Intel Corporation | Internet browser that includes an enhanced cache for user-controlled document retention |
JPH10243015A (en) | 1997-02-27 | 1998-09-11 | Asuteru Tokyo:Kk | Information service system |
US6473704B1 (en) | 1997-04-28 | 2002-10-29 | Mitsubishi Precision, Co., Ltd. | Information guidance system |
DE69702308T2 (en) | 1997-07-11 | 2000-12-28 | Ico Services Ltd., London | Web access for users in a vehicle |
US6680694B1 (en) | 1997-08-19 | 2004-01-20 |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 Vehicle information system |
JP3450666B2 (en) | 1997-09-11 | 2003-09-29 | 富士通株式会社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transfer / arrival notification function, transfer / arrival no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fer / arrival notification method 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US6094659A (en) | 1997-09-26 | 2000-07-25 | 3Com Corporation | Web server for use in a LAN modem |
US6098878A (en) | 1998-04-30 | 2000-08-08 | Ericsson Inc. | Tariff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terminals using smart cards |
US6212560B1 (en) | 1998-05-08 | 2001-04-03 | Compaq Computer Corporation | Dynamic proxy server |
AUPP411098A0 (en) | 1998-06-15 | 1998-07-09 | Newcom Technologies Pty Ltd |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mprovements |
KR100268237B1 (en) | 1998-07-24 | 2000-10-16 | 윤종용 |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successful call of wireless terminal |
JP2000083273A (en) * | 1998-09-07 | 2000-03-21 | Fujitsu Ltd | Soft handoff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JP3036635B1 (en) | 1998-12-15 | 2000-04-24 | 日本電気株式会社 | Transportatio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
JP4123621B2 (en) | 1999-02-16 | 2008-07-2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Main memory shared multiprocessor system and shared area setting method thereof |
US6272598B1 (en) | 1999-03-22 | 2001-08-07 | Hewlett-Packard Company | Web cache performance by applying different replacement policies to the web cache |
JP3826613B2 (en) | 1999-04-09 | 2006-09-27 | 日本電気株式会社 | Mobile phone with traffic monitoring function and traffic monitoring method thereof |
US6526131B1 (en) * | 1999-04-30 | 2003-02-25 | Hewlett-Packard Company | Initi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 service system and customer-premises equipment |
US20030078880A1 (en) | 1999-10-08 | 2003-04-24 | Nancy Alley |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signing and processing digital documents |
JP3842500B2 (en) | 1999-11-10 | 2006-11-08 | 株式会社東芝 | Wireless portable terminal device |
DE69923981T2 (en) | 1999-12-06 | 2006-03-1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
JP4101420B2 (en) | 1999-12-27 | 2008-06-1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Electronic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
JP2001189722A (en) | 2000-01-04 | 2001-07-10 | Toshiba Corp |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uthentication card and authenticating method |
JP2001222795A (en) | 2000-02-10 | 2001-08-17 | Sanyo Electric Works Ltd | Operation information system for traffic facilities |
JP4453146B2 (en) * | 2000-02-23 | 2010-04-2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Web page providing method and web page providing apparatus |
TW507196B (en) * | 2000-02-25 | 2002-10-21 | Via Tech Inc | Device and method of signal compensation for high speed disk drive |
JP4372300B2 (en) | 2000-02-25 | 2009-11-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
AU2001251644A1 (en) | 2000-04-17 | 2001-10-30 | Circadence Corporation | Conductor gateway buffer prioritization |
JP4515598B2 (en) | 2000-05-19 | 2010-08-0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Operatio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
JP3642004B2 (en) | 2000-05-22 | 2005-04-27 | 日本電気株式会社 | Relay device,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failure notification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failure notification program thereof |
KR100369796B1 (en) | 2000-05-24 | 2003-01-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alarming cell secession in mobile st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KR100735406B1 (en) * | 2000-06-23 | 2007-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orward link data of handoff mobile station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
JP2002109689A (en) | 2000-09-29 | 2002-04-12 | Nippon Signal Co Ltd:The | Support system for boarding bus |
GB2371711B (en) * | 2000-11-27 | 2004-07-07 | Nokia Mobile Phones Ltd | A Server |
JP2002199450A (en) | 2000-12-26 | 2002-07-12 | Canon Inc | Communication system |
JP2002204277A (en) | 2000-12-28 | 2002-07-19 | Ntt Docomo Kansai Inc |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cli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
KR20020055891A (en) * | 2000-12-29 | 2002-07-10 | 윤종용 | Information service method of mobile station |
AU2002251766A1 (en) | 2001-01-09 | 2002-09-04 | T-Telematik Venture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d exchange of information |
US7035911B2 (en) | 2001-01-12 | 2006-04-25 | Epicrealm, Licensing Llc |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ty data caching |
US6871236B2 (en) | 2001-01-26 | 2005-03-22 | Microsoft Corporation | Caching transformed content in a mobile gateway |
JP2002236997A (en) | 2001-02-07 | 2002-08-23 | Casio Comput Co Ltd | Passenger terminal devic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boarding data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
JP4037061B2 (en) | 2001-02-16 | 2008-01-23 | 株式会社東芝 | Wireless access system |
ES2189626B1 (en) * | 2001-02-21 | 2005-03-16 |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 PROCEDURE TO INCREASE CURIE TEMPERATURE IN MAGNETORESISTIVE OXIDES WITH DOUBLE PEROVSKITA STRUCTURE. |
JP2002251313A (en) | 2001-02-23 | 2002-09-06 | Fujitsu Ltd | Cache server and distributed cache server system |
KR20020071068A (en) | 2001-03-02 | 2002-09-12 | 유수경 | Auto announce vibrator of train arriving station for traveler |
US6954934B2 (en) | 2001-03-15 | 2005-10-11 | Intel Corporation | Management of links to data embedded in blocks of data |
JP2002297486A (en) | 2001-03-29 | 2002-10-11 | Sanyo Electric Co Ltd |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
JP4703882B2 (en) | 2001-04-03 | 2011-06-1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Vehicle shared use management device |
US20020146980A1 (en) | 2001-04-04 | 2002-10-10 | Solondz Max Aaron | Wireless architecture using multiple air interface |
JP2002312439A (en) | 2001-04-11 | 2002-10-25 | Fujitsu Ten Ltd | Guide system, portable terminal unit, device on vehicle side, portable terminal unit on reception side, portable terminal unit on transmission side, device on getting on and off place side, and getting on and off center device |
JP2002319094A (en) | 2001-04-19 | 2002-10-31 | Nissin Electric Co Ltd | Method of controlling bus operation schedule |
JP2002329293A (en) | 2001-05-07 | 2002-11-15 | Nec Soft Ltd |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bus service information |
JP2002334013A (en) | 2001-05-09 | 2002-11-22 | Sharp Corp |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ith recorde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
JP2002344478A (en) | 2001-05-18 | 2002-11-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Network connection system in train |
JP3655575B2 (en) | 2001-10-30 | 2005-06-02 |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 Gateway device |
JP4090711B2 (en) | 2001-07-10 | 2008-05-28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ntent provi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content providing program is recorded |
GB0121492D0 (en) | 2001-09-05 | 2001-10-24 | Cit Alcatel | A multi-channel optical loading channel transmitter |
JP2003085032A (en) | 2001-09-10 | 2003-03-20 | Kanazawa Inst Of Technology | Self-organizing cache method and cache server capable of utilizing the method |
EP1429127B1 (en) | 2001-09-20 | 2008-02-1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Guide system, guide apparatus, and radio apparatus which communicates with guide apparatus |
JP2003132205A (en) | 2001-10-26 | 2003-05-09 | Sharp Corp | Network cooker system |
KR20030035245A (en) | 2001-10-30 | 2003-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to give notice of arrival position |
JP2003179542A (en) | 2001-12-11 | 2003-06-27 | Nef:Kk | Arrival station guide system |
JP2003187111A (en) | 2001-12-13 | 2003-07-04 | Fuji Electric Co Ltd | Price calculation system for used parts |
JP2003186785A (en) | 2001-12-14 | 2003-07-04 | Sanyo Electric Co Ltd | Local server,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user terminal devices |
JP4166466B2 (en) | 2001-12-19 | 2008-10-15 | ソニー株式会社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
JP2003204540A (en) | 2002-01-09 | 2003-07-18 | Ntt Docomo Inc | Contents server, control method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US20030169460A1 (en) * | 2002-03-11 | 2003-09-11 | Siemens Technology-To-Business Center, Llc | On-demand service performance upgrade for wireless network |
WO2003079642A2 (en) * | 2002-03-18 | 2003-09-25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A ddns server, a ddns client terminal and a ddns system, and a web server terminal, its network system and an access control method |
US20030179542A1 (en) * | 2002-03-22 | 2003-09-25 | Compal Electronic, Inc | Means for externally connecting battery pack to portable computer |
JP2003281021A (en) | 2002-03-25 | 2003-10-03 | Alps System Integration Co Ltd | Url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ing proxy cache or proxy log |
JP3822126B2 (en) | 2002-03-27 | 2006-09-1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
US6708893B2 (en) | 2002-04-12 | 2004-03-23 | Lucent Technologies Inc. | Multiple-use smart card with security features and method |
JP2003319462A (en) | 2002-04-26 | 2003-11-07 | Toshiba Corp |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
JP2004104292A (en) | 2002-09-06 | 2004-04-02 | Murata Mach Ltd | Communication apparatus |
US20040204151A1 (en) * | 2002-12-30 | 2004-10-14 | Sivakumar Muthuswamy | Method and apparatus for advising a user of a wireless device as to a connection status thereof |
US7119716B2 (en) | 2003-05-28 | 2006-10-10 | Legalview Assets, Limited | Response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ication systems for modifying future notifications |
-
2004
- 2004-05-25 KR KR1020040037502A patent/KR10076974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25 US US10/853,604 patent/US89033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5-26 CN CN2010101574931A patent/CN101815246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5-26 CN CNB2004100476955A patent/CN100438378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5-26 EP EP08008017A patent/EP1947892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5-26 DE DE602004023454T patent/DE602004023454D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26 EP EP04012392A patent/EP148275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26 EP EP08008022A patent/EP194789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26 EP EP08008020A patent/EP1950995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5-26 EP EP08008021A patent/EP1947893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6
- 2006-07-20 KR KR1020060067808A patent/KR20060096188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07-20 KR KR1020060067851A patent/KR2006009331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
- 2007-09-27 US US11/863,146 patent/US868229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9-27 US US11/863,136 patent/US863928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9-27 US US11/863,155 patent/US2008010368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
- 2008-09-23 US US12/236,380 patent/US8521216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17537A (en) * | 1994-09-12 | 1999-06-29 | Bell Atlantic | Level 1 gateway for video dial tone networks |
WO2001037497A1 (en) | 1999-11-18 | 2001-05-25 | Prescient Networks Pty Ltd | A gateway system for interconnecting wireless ad-hoc networks |
JP2002300644A (en) | 2001-03-30 | 2002-10-11 | Kyocera Corp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WO2003007162A1 (en) | 2001-07-13 | 2003-01-23 | Adalive.Com, Inc. |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coupled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02158B2 (en) | 2008-01-28 | 2021-08-24 | Seven Networks, Llc | System and method of a relay server for managing communications and notif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server |
CN106327905A (en) * | 2016-08-30 | 2017-01-11 | 无锡卓信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Vehicle seeking method for parking pla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radio frequenc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02004023454D1 (en) | 2009-11-19 |
KR20040103321A (en) | 2004-12-08 |
US20040259545A1 (en) | 2004-12-23 |
CN100438378C (en) | 2008-11-26 |
US20080103685A1 (en) | 2008-05-01 |
US20080102796A1 (en) | 2008-05-01 |
US8521216B2 (en) | 2013-08-27 |
EP1950995A1 (en) | 2008-07-30 |
EP1947892A1 (en) | 2008-07-23 |
EP1482751B1 (en) | 2009-10-07 |
EP1482751A2 (en) | 2004-12-01 |
CN1574700A (en) | 2005-02-02 |
EP1947894B1 (en) | 2012-12-12 |
CN101815246B (en) | 2013-01-16 |
KR20060096188A (en) | 2006-09-08 |
KR20060093311A (en) | 2006-08-24 |
EP1947893A1 (en) | 2008-07-23 |
US20090073946A1 (en) | 2009-03-19 |
CN101815246A (en) | 2010-08-25 |
EP1947894A2 (en) | 2008-07-23 |
US20080043692A1 (en) | 2008-02-21 |
EP1947894A3 (en) | 2009-04-08 |
EP1482751A3 (en) | 2005-04-13 |
US8639283B2 (en) | 2014-01-28 |
US8682294B2 (en) | 2014-03-25 |
US8903385B2 (en) | 2014-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9741B1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
WO2016197622A1 (en) | Internet of vehicle architecture and service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therein | |
KR102317551B1 (en) |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v2x communicaton | |
Huang et al. | Towards commercial mobile ad hoc network applications: A radio dispatch system | |
CN104702657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and vehicle supporting the same | |
AU2011200075B2 (en) | Network node for an ad-hoc network and process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s in an ad-hoc network | |
CN109922483B (en) | Method for adjusting wireless resources and related equipment | |
EP3668209A1 (en) | Bu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backhaul system using mobile tvw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WO2019081255A1 (en) | System for managing automated vehicles | |
CN116615892A (en) |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y server | |
Hasan et al. |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802.11-based Vehicular Communications | |
JP2006186449A (en) |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 |
CN101052226B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 |
JP6328412B2 (en) |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program | |
JP6552669B2 (en) |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program | |
JP2007317117A (en) | On-vehicle equipment for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 |
WO2022210063A1 (en) |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s, relay server, and communication instrument for vehicles | |
JP4677729B2 (en) | Mobile device and cell detection method | |
Hoque | Protocol design in wireless networks: featuring channel access and vehicular communications | |
Barciela et al. | Business Models | |
Hasan et al. |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
Jose et al.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7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