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326B1 -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9326B1 KR100769326B1 KR1020060039012A KR20060039012A KR100769326B1 KR 100769326 B1 KR100769326 B1 KR 100769326B1 KR 1020060039012 A KR1020060039012 A KR 1020060039012A KR 20060039012 A KR20060039012 A KR 20060039012A KR 100769326 B1 KR100769326 B1 KR 1007693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arizing film
- image
- film
- screen
- surface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27 co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22 polyvin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8984 polyvin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6—Optical defects in or on transparent materials, e.g. distortion, surface flaws in conveyed flat sheet or ro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 필름에 대한 투과광 또는 반사광을 통해 편광 필름의 영역별로 확대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을 통해 결함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편광 필름이 자동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편광 필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for obtaining a magnified image for each region of the polarizing film through transmitted light or reflected light for the polarizing film to detect defects through the image, and to automatically classify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result. will be.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 검사 장치는 이송 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편광 필름을 검사 위치에 고정시키는 필름 홀더와, 상기 편광 필름에 면광을 조사하는 면광 발생 장치와, 상기 면광 발생 장치에 의해 조사된 빛에 의해 편광 필름으로부터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 검출 수단과, 상기 영상 검출 수단을 통해 검출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수단과, 상기 편광 필름을 정상품과 불량품으로 분리하는 필름 분리 수단, 및 상기 이송 수단과 면광 발생 장치와 스크린과 영상 검출 수단과, 영상 표시 수단 및 필름 분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면광 발생 장치와 상기 스크린은 상기 편광 필름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투영되도록 하기 위해기 편광 필름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film holder for fixing the polarizing film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ing means at the inspection position, a surface light generator for irradiating the surface light to the polarizing film, and the light irradiated by the surface light generator A screen on which the image reflected or transmitted from the polarizing film is projected, image detection means for capturing the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and detecting the image, imag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image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means; And a film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the polarizing film into a good product and a defective product, and a driv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onveying means, the surface light generating device, the screen, the image detecting means, the image display means and the film separating means. And the surface light generating device and the screen are reflected light from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Each group is arrang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film to make sur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 검사 장치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편광 필름 검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of Figure 1;
도 3은 조 1의 면광 발생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urface light generating device of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 반사 검사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olarization film reflection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 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 반사 검사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olarization film reflection t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일반적인 편광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polarizing film.
도 9는 도 8의 편광 필름 결함 검사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olarizing film defect inspection method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필름 홀더, 11 : 관통홀1 film holder, 11 through hole
2 : 면광 발생 장치2: surface light generating device
21 : 광원, 22 : 빔 확장 렌즈, 23 : 대물 렌즈 21: light source, 22: beam expansion lens, 23: objective lens
24 : 핀 홀 마운트, 241 : 핀 홀 24: pin hole mount, 241: pin hole
25 : 빔 가이드 25: beam guide
3 : 스크린3: screen
4 : 영상 검출 수단4: image detection means
41 : CCD 카메라, 42 : 프레임 그레버 41: CCD camera, 42: frame grabber
5 : 영상 표시 수단5: image display means
51 : 컴퓨터, 52 : LCD 모니터, 53: 경광등 51: computer, 52: LCD monitor, 53: warning light
6 : 필름 분리 수단6: film separation means
61 : 필름 언로더, 62 : 정상품 트레이, 63 : 불량품 트레이 61: film unloader, 62: regular product tray, 63: defective product tray
64 : 수동 조작 수단 64: manual operation means
7 : 구동 제어 수단7: drive control means
8 : 피딩 트레이8: feeding tray
9 : 편광 필름9: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편광 필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 필름에 대한 투과광 또는 반사광을 통해 편광 필름의 영역별로 확대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을 통해 결함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편광 필름이 자동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편광 필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obtain an enlarged image for each area of the polarizing film through the transmitted light or reflected light for the polarizing film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defect through the image, and according to the result It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sorting.
일반적으로 편광필름의 표면을 검사하여 양/불을 판정하는 방법으로는 편광필름에 램프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한 후, 위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하여 양/불을 판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In general, a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amount / fire by inspecting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after irradiating light with a lamp to the polarizing film, a hazard is identified by the naked eye to determine the amount / fire.
상기 편광 필름을 육안으로 검사하는 방법은 먼저, 일측에 구비된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발광시키고, 발광된 빛을 편광필름의 표면에 조사시킨 후에 작업자가 편광필름에서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편광필름의 표면에 발생된 기포, 이물질, 이물질의 찍힘, 취급 과정에서의 꺾임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In the method for visually inspecting the polarizing film, first, the light is emitted by using a light sourc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emitted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n the operator use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olarizing film. This is to visually check for bubbles, foreign matters, foreign matters, and bending during handling.
도 8은 일반적인 편광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 상기 편광 필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 라이너(Release liner : 110) 접착제(120), 지지체(Tri-acetyl-cellulose, TAC :130), PVA(Poly Vinyl Alcohol :140) 보호 필름(150)과 등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FIG.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polarizing film, wherein the polarizing film is a release liner (110) adhesive 120, a support (Tri-acetyl-cellulose, TAC: 130) as shown in FIG. , PVA (Poly Vinyl Alcohol: 140)
도 9는 도 8의 편광 필름 결함 검사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olarizing film defect inspection method of FIG. 8.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편광 필름의 결함 검사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등이나 할로겐 램프 형태 즉 바(Bar) 형태의 일반 광원(210)을 일정 위치에 설치한 후, 상기 편광 필름(220)을 광원(210)에 대하여 반사 및 투과 각도를 갖도록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편광 필름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order to inspect the defects of the polarizing film, as shown in the drawing, after installing a
이렇게 편광 필름을 육안으로 검사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19″ 편광 필 름을 검사하는데, 약 1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In the case of using the method of visually inspecting the polarizing film, it takes about 1 minute to inspect the 19 ″ polarizing film.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작업자의 육안으로 식별하는 검사 방법은 특정 필름에 대해서는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 또는 스크래치 등을 발견할 수가 없으므로 인해 검사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어 검사에 대한 신뢰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as described above, the inspection method for visual identification of the worker ha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the inspection is lowered due to the fact that a foreign material or a scratch of a minute size cannot be found for a specific film, and thus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cannot be maintained constantly. .
또한, 반복되는 검사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가 누적되고, 이에 의해 검사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검사 효율 저하로 인하여 검사량이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fatigue of the operator accumulates due to the repeated inspection work,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nspection amount does not meet the market demand due to the decrease in the inspection efficiency.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 필름에 간섭성이 뛰어난 면광원을 투과 또는 반사시켜 결함 부위에서 발생하는 확대된 영상을 스크린에 유도시키고, 스크린에 유도된 영상을 영역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육안 확인 후 분류 신호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편광 필름에 대한 결함 여부 판단하여 분류 신호를 출력 하도록 하여, 분류 신호에 따라 편광 필름을 자동으로 분류하도록 함으로써, 편광 필름에 대한 자동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편광 필름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o transmit or reflect the surface light source having excellent coherence to the polarizing film to induce the enlarged image generated at the defect site on the screen, and the image induced on the screen Shoot using the area camera and display the captured image so that the operator can input the classification signal after visual confirmation, or use the image processing algorithm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efect in the polarizing film and output the classification signal. In order to automatically classify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 signal,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that enables automatic inspection for the polarizing film.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 검사 장치는 이송 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편광 필름을 검사 위치에 고정시키는 필름 홀더와, 상기 편광 필름에 면광을 조사하는 면광 발생 장치와, 상기 면광 발생 장치에 의해 조사된 빛에 의해 편광 필름으로부터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 검출 수단과, 상기 영상 검출 수단을 통해 검출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수단과, 상기 편광 필름을 정상품과 불량품으로 분리하는 필름 분리 수단, 및 상기 이송 수단과 면광 발생 장치와 스크린과 영상 검출 수단과, 영상 표시 수단 및 필름 분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면광 발생 장치와 상기 스크린은 상기 편광 필름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투영되도록 하기 위해기 편광 필름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film holder for fixing the polarizing film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means at the inspection position, a surface light generating device for irradiating the surface light to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urface light generating device Displays a screen on which the image reflected or transmitted from the polarizing film by the light irradiated by the projection is projected, image detecting means for capturing the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and detecting the image, and the image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ng means Driv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image display means, the film separa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polarizing film into a good product and a defective product, the transfer means, the surface light generating device, the screen, the image detection means, the image display means and the film separation means. And a control means, wherein the surface light generating device and the screen have a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Each group is arrang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film to ensure that the light reflected by the projection.
상기 본 발명의 편광 필름 검사 장치의 필름 홀더는 모터 구동에 의해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film holder of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by a motor drive.
상기 본 발명의 편광 필름 검사 장치의 상기 필름 분리 수단은 상기 검사 완료 후 불량품 및 정상품을 적재하는 불량품 트레이 및 정상품 트레이와,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편광 필름을 상기 불량품 트레이 또는 정상품 트레이로 이송하는 필름 언로더로 구성된다. The film separating means of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fective product tray and a fixed product tray for loading defective products and regular good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spection, and the defective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drive control means It consists of a film unloader which is transferred to a tray or a regular tray.
이때, 상기 필름 분리 수단은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는 수동 조작 수단을 더 포함하거나, 정상 편광 필름에 대한 기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결함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편광 필름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 출력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lm separation means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operation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or to store the reference image data for the normal polarizing film and receives the image data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means to receive an image defec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omput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polarizing film is defective by using a detection algorithm, and output the result to the driving control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 검사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편광 필름 검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로, 본 발명 일실시 예에 따른 편광 필름 검사 장치는 편광 필름 표면에서의 반사광을 이용하는 것으로, 필름 홀더(1)와, 면광 발생 장치(2)와 스크린(3)과, 영상 검출 수단(4)과, 영상 표시 수단(5)과 필름 분리 수단(6) 및 구동 제어 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of Figure 1,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film By using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surface, the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검사될 편광 필름(9)은 200~300매 정도 피딩 트레이(8)에 적재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first, the polarizing
상기 필름 홀더(1)는 이송 수단 즉 필름 로더에 의해 이송되는 편광 필름(9)을 검사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진공척이나 정전척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필름 홀더(1)는 상기 편광 필름(9)을 다중으로 나누어 촬영해야 하는 경우 X방향이나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수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상기 면광 발생 장치(2)는 상기 편광 필름(9)에 간섭성 면광을 조사하여 편광 필름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편광 필름의 결함을 쉽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특성이 우수한 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21)과, 상기 레이저 광원(21)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빔의 직경을 확대시켜 출사시키는 빔 확장 렌즈(22)와, 상기 빔 확장 렌즈(22)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빔으로부터 광속을 분리하고 발산각을 크게 하기 위한 대물 렌즈(23)와, 상기 대물 렌즈(23) 표면 또는 레이저 빔의 출사창의 먼지나 이물에 의한 얼룩과 산란을 제거하며 레이저 빔의 회절에 의한 간섭 무늬 경계를 매끄럽게 하기 위한 핀 홀(241)이 형성된 핀 홀 마운트(24), 및 상기 핀 홀(241)을 통과한 레이저 빔의 필요 영역만 자르거나 레이저 빔을 유도하기 위한 빔 가이드(25)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The surface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와 편광 홀더(1)에 의해 고정되는 편광 필름(9)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스크린(3)에 투영되는 영상은 확대 비율이 커지지만 면광의 조사 영역이 작아지고, 반대로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와 상기 편광 필름(9)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면광의 조사 영역은 커지지만 확대 비율이 작아지게 되므로, 10~40㎝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light generating
상기 스크린(3)은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에 의해 조사된 반사광이 편광 필름(9)으로 조사된 후 상기 편광 필름(9)부터 반사되는 영상이 투영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편광 필름(9)에 대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와 상기 스크린(3)은 상기 편광 필름(9) 표면에 반사광을 조사하고 상기 편광 필름(9)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투영되도록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 필름(9)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어야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이때,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와 상기 스크린(3)의 배치 각도가 검사 위치에 놓인 상기 편광 필름(9)을 기준으로 작으면 반사된 영상의 밝기가 밝은 반면 편광 필름(9) 특유의 물결 형태 모양이 나타나고, 배치 각도가 크면 물결 형태의 모양은 줄어드는 반면 밝기가 어두워짐에 따라 각도는 30~60°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placement angle of the surface
상기 영상 검출 수단(4)은 상기 스크린(3)에 투영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스크린(3)에 투영된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41)와, 상 기 CCD 카메라(41)를 통해 촬영된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신호를 후술하는 컴퓨터(51)에서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프레임 그레버(42)로 구성된다. The
상기 영상 표시 수단(5)은 상기 영상 검출 수단(4)의 프레임 그레버(4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으로, 컴퓨터(51)와 LCD 모니터(52)로 구성된다. The image display means 5 processes the data output from the
여기서, 경광등(53)은 불량 발생이나 기계 작동 이상시 작업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알람이다. Here, the
상기 필름 분리 수단(6)은 검사가 완료된 해당 편광 필름(9)을 정상품과 불량품으로 분리하는 것으로, 정상품 트레이(62)와 불량품 트레이(63) 및 해당 편광 필름(9)을 상기 정상품 트레이(62) 또는 상기 불량품 트레이(63)로 분류 이송하는 필름 언로더(61)로 구성된다. The film separating means 6 separates the inspected
상기 구동 제어 수단(7)은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와 상기 스크린(3)과 상기 영상 검출 수단(4)과, 상기 영상 표시 수단(5) 및 상기 필름 분리 수단(6)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컴퓨터(51)에 의해 동기화 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로 이루어지며, PLC와 상기 컴퓨터(51) 간의 동기화 처리 기능을 위해 RS-232C를 통해 통신한다. The drive control means 7 controls the drive of the surface
한편, 상기 각부에는 각각 위치 센서를 구비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each part is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or,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필름 분리 수단(6)은 상기 검사가 완료된 편광 필름(9)에 대한 분류 조작 신호를 작업자가 수동 조작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조 작 수단(64)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separation means 6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operation means 64 for allowing an operator to manually operate a classification operation signal for the
즉, 상기 LCD 모니터(52)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을 육안으로 확인한 작업자가 수동 조작 수단(64)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동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 수단(7)에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편광 필름을 분류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operator who visually checks the screen provided through the
또는, 상기 컴퓨터(51)가 정상 편광 필름에 대한 기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 검출 수단(4)에서 검출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결함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편광 필름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구동 제어 수단(7)에 출력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Alternatively, the
이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 수단(7)의 출력 신호에 따라 편광 필름이 자동으로 분류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olarizing film is automat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e control means 7.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 검사 장치를 이용하면, 편광 필름의 면광 조사 영역 내에 발생한 눌림, 찍힘, 밀림 등의 결함을 확대하여 관찰 할 수 있다. When using the reflection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gnify and observe defects such as crushing, stamping, sliding, etc. generated in the surface light irradiation area of the polarizing film.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 검사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s follows.
우선, 피딩 트레이(8)에 적재된 편광 필름(9)을 필름 홀더(1)로 이송하여 필름 홀더(1)에 고정시킨 후 필름 홀더(1)를 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하여 위치 조절을 함으로써, 필름 홀더(1)를 검사 위치에 위치시킨다. First, the
그리고, 상기 편광 필름(9)으로부터 원하는 반사광을 얻기 위해 상기 편광 필름(9)을 기준으로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와 스크린(3) 및 CCD 카메라(41)의 위치 및 각도 조절을 한다.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surfac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 반사 검사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로, 도면을 참조하면, 편광 필름(9) 표면에서 반사광을 얻기 위해서 상기 편광 필름(9)을 기준으로 면광 발생 장치(2)와 스크린(3)을 각각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하되, 배치각을 30~60°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concept of a polarization film reflection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surface light is generated based on the
이어서, 상기 면광 발생 장치(2)를 발진하여 상기 편광 필름(9) 표면에 면광을 조사하여, 상기 편광 필름(9)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스크린(3)에 투영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3)에 투영된 영상을 CCD 카메라(41)로 촬영한다. Subsequently, the
그러면, 상기 CCD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은 프레임 그레버(42)를 통해 검출되어 상기 컴퓨터(51)로 입력된다.The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상기 컴퓨터(51)에 입력된 영상을 화상 처리되어 LCD 모니터(52)에 표시된다.The image input to the
이때, 상기 검출된 영상에 따른 편광 필름의 분류는 상기 LCD 모니터(52)에 표시된 화상을 작업자가 육안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관리자가 수동 조작 수단(64)을 조작하여 해당 편광 필름을 분류하도록 하거나, 획득영상에 대해 영상결함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편광 필름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컴퓨터(51)의 구동 신호에 따라 편광 필름을 자동으로 분류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lassification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detected image is to visually check the image displayed on the
한편, 상기 작업자에 의한 조작 신호 또는 컴퓨터의 구동 신호는 구동 제어 수단(7)을 동기화시키고, 상기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 수단(7)에서 상 기 필름 언로더(61)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필름 언로더(71)에 구비되는 피더(미도시함)는 해당 편광 필름을 정상품 트레이(62) 또는 불량품 트레이(63)로 분류 이송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signal by the operator or the drive signal of the computer synchronizes the drive control means 7, and outputs a drive signal from the drive control means 7 to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필름을 검사 위치로 자동으로 이송하고, 편광 필름에 간섭성이 좋은 면광을 조사하고, 편광 필름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스크린에 투영시켜 투영된 영상을 촬영 및 분석하여 작업자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게 표시해주고, 이를 확인한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편광 필름이 자동으로 분류되도록 하거나, 영상 결함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출된 영상의 결함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편광 필름이 자동 분류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film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inspection position, the polarizing film is irradiated with good coherent surface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olarizing film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to capture the projected image. And the analysis is displayed easily to the operator's naked eye, and the polarizing film is automatically classified by manual operation of the confirmed operator, or the image defect detection algorithm is used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image is defective and Accordingly, the polarizing film is automatically classified,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reliability.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 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 검사 장치는 편광 필름을 투과한 광을 이용하는 것으로, 필름 홀더(1)와, 면광 발생 장치(2)와 스크린(3)과, 영상 검출 수단(4)과, 영상 표시 수단(5)과 필름 분리 수단(6) 및 구동 제어 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그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olarizing film, the film holder (1) ), The surfac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 반사 검사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면광 발생 장치(2)와, 상기 편광 필름(9) 및 스크린(3)은 동축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에서 발생되 는 면광이 상기 편광 필름(9)을 투과하여 스크린(3)에 투영되며, 이렇게 상기 스크린(3)에 투영된 영상을 CCD 카메라(41)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편광 필름(9)에 발생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것이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concept of a polarization film reflection t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surfa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투과 검사를 실시하면, 편광 필름의 면광 조사 영역 내에 발생한 이물 및 기포 등과 같은 결함을 확대하여 관찰 할 수 있다. When performing a transmission t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large and observe defects such as foreign matter and bubbles generated in the surface light irradiation area of the polarizing film.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편광 필름(9)과 동축 선상에 배치되는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에서 조사되는 빛이 편광 필름(9)을 투과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 홀더(1)는 편광 필름(9) 각 변의 에지부만을 고정시키고, 검사 영역은 노출시키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hat the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와 편광 홀더(1)에 의해 고정되는 편광 필름(9)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스크린(3)에 투영되는 영상은 확대 비율이 커지지만 면광의 조사 영역이 작아지고, 반대로 상기 면광 발생 장치(2)와 상기 편광 필름(9)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면광의 조사 영역은 커지지만 확대 비율이 작아지게 되므로, 10~40㎝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 검사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을 도 1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6, and 7 as follows.
우선, 피딩 트레이(8)에 적재된 편광 필름(9)을 필름 홀더(1)로 이송하고 필름 홀더(1)에 고정시킨 후 필름 홀더(1)를 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하여 위치 조절을 함으로써, 면광 발생 장치(2)와 스크린(3)에 대하여 동축 선상에 배치되도록 검사 위치를 설정한다. First, the
이어서, 상기 면광 발생 장치(2)를 발진하여 상기 편광 필름(9)을 투과하는 면광을 조사하여, 상기 편광 필름(9)을 투과한 투과광이 스크린(3)에 투영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3)에 투영된 영상을 CCD 카메라(41)로 촬영한다. Subsequently, the
그러면, 상기 CCD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은 프레임 그레버(42)를 통해 검출되어 상기 컴퓨터(51)로 입력된다.The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상기 컴퓨터(51)에 입력된 영상을 화상 처리되어 LCD 모니터(52)에 표시된다.The image input to the
이때, 상기 검출된 영상에 따른 편광 필름의 분류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작업자의 수동 조작 또는 컴퓨터 내부에서 자동으로 결함을 검출한 후 출력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달성된다. At this time, the classification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detected image is achieved by a driving signal for outputting after detecting a defect automatically in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or inside the computer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필름을 검사 위치로 자동으로 이송하고, 편광 필름에 간섭성이 좋은 면광을 조사하고, 편광 필름을 투과하는 투과광을 스크린에 투영시켜 투영된 영상을 촬영 및 분석하여 작업자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게 표시해주고, 이를 확인한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편광 필름이 자동으로 분류되도록 하거나, 영상 결함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출된 영상의 결함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편광 필름이 자동 분류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ed film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inspection position, the polarized film is irradiated with coherent surface light, and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ed film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to capture the projected image. And the analysis is displayed easily to the operator's naked eye, and the polarizing film is automatically classified by manual operation of the confirmed operator, or the image defect detection algorithm is used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image is defective and Accordingly, the polarizing film is automatically classified,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reliabilit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광 필름에 간섭성이 뛰어난 면광원을 투과 또 는 반사시켜 편광 필름을 영역별로 확대한 영상을 스크린에 유도시키고, 스크린에 유도된 영상을 영역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육안 확인 후 분류 신호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편광 필름에 대한 결함 여부 판단하여 분류 신호를 출력 하도록 하여, 분류 신호에 따라 편광 필름을 자동으로 분류하도록 함으로써, 편광 필름에 대한 자동 검사 및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or reflects a surface light source having excellent coherence to the polarizing film to induce an imag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enlarged for each region on the screen, and photographs the image induced on the screen using an area camera. Display the captured image to allow the operator to input the classification signal after visual confirmation, or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polarization film is defective by using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to output the classification signal, and automatically output the polarization film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ignal. By classifying, automatic inspec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polarizing film is made.
이로써, 편광 필름 검사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되어 검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한 결함 여부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 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the accuracy of the polarizing film inspection is improved to improve the inspection reliability, and to facilitate the determination of the defect by the manager, thereby improving the inspection efficiency and thus improving the productivity.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different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9012A KR100769326B1 (en) | 2006-04-28 | 2006-04-28 |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9012A KR100769326B1 (en) | 2006-04-28 | 2006-04-28 |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69326B1 true KR100769326B1 (en) | 2007-10-24 |
Family
ID=3881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90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9326B1 (en) | 2006-04-28 | 2006-04-28 |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9326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7547B1 (en) * | 2017-06-02 | 2017-09-11 | 손명훈 | The equipment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PCB(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
WO2017204452A1 (en) * | 2016-05-24 | 2017-11-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ptical film defect detecting system and optical film defect detecting method |
KR20180132307A (en) * | 2017-06-02 | 2018-12-12 | 손명훈 | The equipment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PCB(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
WO2019022551A1 (en) * | 2017-07-28 | 2019-01-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ptical film defect detection device and optical film defect detection method |
CN116754566A (en) * | 2023-08-17 | 2023-09-15 | 绍兴旭源新材料科技有限公司 | Flexible folding screen protective film detection method |
WO2025058137A1 (en) * | 2023-09-14 | 2025-03-20 | 주식회사 도레미파 | Exterior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6114A (en) * | 1993-08-31 | 1995-03-10 | Nikon Corp | Cleaner for aligner |
JPH10115514A (en) * | 1996-07-31 | 1998-05-06 | Takiron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on of surface smoothness |
JP2000097671A (en) * | 1998-09-28 | 2000-04-07 | Olympus Optical Co Ltd | Visual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for printed board |
JP2001056270A (en) * | 1999-08-18 | 2001-02-27 | Sumitomo Chem Co Ltd | Inspection method for linear polarizing plate and inspection apparatus for linear polarizing plate |
JP2003177371A (en) * | 2001-12-10 | 2003-06-27 | Sony Corp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unit |
KR20050058856A (en) * | 2003-12-12 | 2005-06-17 |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 Apparatus for inspecting polarized film |
KR20070015819A (en) * | 2005-08-01 | 2007-02-06 | 마이크로하이테크 주식회사 | Polarizing Film Automatic Inspector |
-
2006
- 2006-04-28 KR KR1020060039012A patent/KR1007693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6114A (en) * | 1993-08-31 | 1995-03-10 | Nikon Corp | Cleaner for aligner |
JPH10115514A (en) * | 1996-07-31 | 1998-05-06 | Takiron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on of surface smoothness |
JP2000097671A (en) * | 1998-09-28 | 2000-04-07 | Olympus Optical Co Ltd | Visual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for printed board |
JP2001056270A (en) * | 1999-08-18 | 2001-02-27 | Sumitomo Chem Co Ltd | Inspection method for linear polarizing plate and inspection apparatus for linear polarizing plate |
JP2003177371A (en) * | 2001-12-10 | 2003-06-27 | Sony Corp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unit |
KR20050058856A (en) * | 2003-12-12 | 2005-06-17 |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 Apparatus for inspecting polarized film |
KR20070015819A (en) * | 2005-08-01 | 2007-02-06 | 마이크로하이테크 주식회사 | Polarizing Film Automatic Inspector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3551B1 (en) | 2016-05-24 | 2020-01-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 of optical film |
WO2017204452A1 (en) * | 2016-05-24 | 2017-11-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ptical film defect detecting system and optical film defect detecting method |
KR20170132610A (en) * | 2016-05-24 | 2017-12-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 of optical film |
US11150201B2 (en) | 2016-05-24 | 2021-10-19 | Shanjin Optoelectronics (Suzhou)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defect of optical film |
KR20180132307A (en) * | 2017-06-02 | 2018-12-12 | 손명훈 | The equipment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PCB(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
KR101949597B1 (en) | 2017-06-02 | 2019-02-18 | 손명훈 | The equipment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PCB(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
KR101777547B1 (en) * | 2017-06-02 | 2017-09-11 | 손명훈 | The equipment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PCB(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
WO2019022551A1 (en) * | 2017-07-28 | 2019-01-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ptical film defect detection device and optical film defect detection method |
CN110741245A (en) * | 2017-07-28 | 2020-01-31 | 株式会社Lg化学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 of optical film |
US11391678B2 (en) | 2017-07-28 | 2022-07-19 | Shanjin Optoelectronics (Suzhou)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 of optical film |
CN116754566A (en) * | 2023-08-17 | 2023-09-15 | 绍兴旭源新材料科技有限公司 | Flexible folding screen protective film detection method |
CN116754566B (en) * | 2023-08-17 | 2023-10-31 | 绍兴旭源新材料科技有限公司 | Flexible folding screen protective film detection method |
WO2025058137A1 (en) * | 2023-09-14 | 2025-03-20 | 주식회사 도레미파 | Exterior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0024082A1 (en) | Defect inspecting system, and defect inspecting method | |
KR10160609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defect of substrate | |
US8284396B2 (en) | System and device for the optical inspection of glass panels | |
KR100769326B1 (en) | Polarizing film inspection device | |
KR100894684B1 (en) | Metal plate surface defect inspection device and metal plate surface defect inspection method using image measuring device and laser depth measuring device | |
KR101203210B1 (en) | Apparatus for inspecting defects | |
WO199905197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inspection of optically transmissive planar objects | |
KR20100003693A (en) |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defect inspection apparatus | |
TW201245701A (en) | Method for inspecting minute defect of translucent board-like body,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minute defect of translucent board-like body | |
CN105092209A (en) | Bright spot dete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noise | |
JP2010048602A (en) | Printed board inspection device and printed board inspection method | |
JP2020101396A (en) | Device for detecting fault having rubber on topping rubber sheet | |
JP2020106295A (en) | Sheet defect inspection device | |
JP2008298557A (en) | Optical film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1445126B1 (en) | Back light unit inspecting apparatus and method | |
TW201825886A (en) |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system for surface foreign matter detection | |
JP6521227B2 (en) | Parts inspection device | |
JP2009139365A (en) | Device and method for defect inspection of translucent material | |
KR20190001789A (en) | Multi optic display inspecting device | |
TWI435069B (en) | An apparatus for inspecting defects of sheetfed film and a method for inspecting defects of sheetfed film | |
JP2001124538A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defect in surface of object | |
JP2002365227A (en) | Press inspection equipment | |
EP1126273A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specting a transparent object for flaws | |
JP2018054387A (en) |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 |
JP2005241370A (en) |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