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8623B1 -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장애자동 복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장애자동 복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623B1
KR100768623B1 KR1020060042957A KR20060042957A KR100768623B1 KR 100768623 B1 KR100768623 B1 KR 100768623B1 KR 1020060042957 A KR1020060042957 A KR 1020060042957A KR 20060042957 A KR20060042957 A KR 20060042957A KR 100768623 B1 KR100768623 B1 KR 100768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signal
preliminary
signa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정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4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04B10/038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using byp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1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 reflected signal, e.g. using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s [OT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8Pulse generation, e.g. generation of solit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선로의 장애를 복구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은 예비용 광신호를 생성하여 운용 광신호들과 결합시켜 출력하는 예비광 생성부; 결합된 상기 예비용 광신호와 상기 운용 광신호를 파장별로 분기시켜 출력하는 원격노드; 상기 파장 분기된 운용 광신호는 대응되는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로 바이패스시키고, 상기 파장 분기된 예비용 광신호는 모든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로 순차적으로 분배시켜 출력하는 예비광 분배부; 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를 통해 인가되는 운용 광신호와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를 통해 인가되는 예비용 광신호의 전송경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광신호 스위칭부; 상기 광신호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광신호를 반사시켜 출력하는 반사경; 및 상기 운용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환신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절환 제어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예비용 광신호만을 이용하여 광선로의 장애를 신속히 복구함으로써 자원의 활용을 높이고 초기 투자비를 줄일 수 있으며 고품질의 안정된 통신 서비스를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은 장애 발생시 현장요원의 출동 없이 자동으로 장애를 복구해줌으로써 장애 복구 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Optical line obstacle recovery system using only one reserve optical signal in passive optic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파장분할다중화 수동 광가입자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 복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예비광 분배부를 구성하는 광신호 회전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2에서 광신호 스위칭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2에서 절체 제어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예비광 생성부 12 : 예비광원
14 : 광결합부 20 : 원격노드
30 : 예비광 분배부 40 : 광신호 스위칭부
50 : 반사경 60 : 절체 제어부
본 발명은 파장분할다중화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광선로의 장애를 복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입자 댁내에 광스위치와 광반사경을 구비함으로써 각 가입자별로 독립된 예비파장을 확보하지 않고 하나의 예비파장만으로 모든 가입자 분기 광선로의 장애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기술 발달로 가입자 유선 통신환경이 크게 두가지 측면에서 변화되고 있다.
첫째 물리적으로는 가입자 댁내 통신 인프라 구조가 기존 전화선이나 동축 케이블이 아니라 전화국에서 각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FTTH(Fiber To The Home) 기반의 광 가입자망이 구축되고 있다.
둘째로는 기존 장거리 대용량 전송에 사용되던 파장분할다중화방식 기술이 점차 가입자망 영역으로 확대되어 가구당 백 Mbps ∼ Gbps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파장분할다중 수동형 광가입자망에 대한 장치와 방식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기술을 이용한 상용화된 장치도 나타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장분할다중화 수동 광가입자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은 가입자 라인 장치(OLT:Optical Line terminal)(1), 가입자 광단말(Optical Network Unit:ONU)(2), 광대역 광원(3), 파장 분기/결합 소자로 구성된 원격 노드(RN)(4) 및 가입자 분기 광선로(5)를 구비한다.
파장분할다중화 수동 광가입자망은 다른 수동형 광가입자망처럼 하나의 광섬유를 N 명의 가입입자가 공유하는 1:N 구조를 가지지만, OLT(1)와 각 ONU(2) 사이에는 독립된 파장(통신채널)이 하나씩 할당되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1:1 통신을 구축할 수 있어 큰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갖고 있다. 특히, 공유 광원을 이용한 파장분할다중화 수동 광가입자망은 OLT(1)에 위치한 비간섭성 광대역 광원(3)이 원격 노드(4)에 의해 스펙트럼 분할된 후 가입자 분기 광선로(5)를 거쳐 가입자의 댁내에 위치한 ONU(2)의 광원에 주입되어 상향 신호의 파장이 원격 노드(4)의 파장에 의해서 결정되는 구조이다. 즉, ONU(2)의 파장이 원격노드(4)의 파장분할다중화/역다중화 소자에 의해 결정되므로 파장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고 공유 광원을 사용하므로 광원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하지만 동축과 달리 각 가정까지 포설된 광케이블은 물리적인 구부러짐에 의한 광손실과 광케이블 절단과 같은 장애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파장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WDM) 기반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원격 노드(RN) 이후부터 각 가정까지 광케이블은 다른 통신사업자나 전력사업자의 전선 공사나 가입자 댁내 공사로 인해 쉽게 손상을 받을 수 있어 장애 발생시 즉각적인 회선 절체가 요구된다. 특히, 광코어당 수 Gbps의 속도가 가입자 단말까지 직접 전달되고, IP-TV와 같은 고품질의 영상서비스를 끊김없이 전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애에 대한 보호 절체 방안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회선 절체를 위해 각 가입자별로 독립된 별도의 예비파장을 확보해야 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의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수동 광가입자망의 생존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광분배함에서 가입자 댁내까지 광인입구간 광케이블 사고 발생시 현재는 현장에 직원이 직접 출동하여 한 명은 통신 전주위에 직접 올라가고 다른 한 명은 가입자 댁내에 방문하여 광파워를 상호 측정하거나 광섬유 시험기(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OTDR)을 이용하여 광케이블의 안전 유무를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고객과의 약속시간을 정해야 하는 어려움과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선로에 대한 장애 극복 방법을 개선하여 장애를 자동을 감지하고 장애 발생시 하나의 예비용 광신호만을 이용하여 현장요원의 충돌 없이도 장애를 자동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은 예비용 광신호를 생성하여 운용 광신호들과 결합시켜 출력하는 예비광 생성부; 결합된 상기 예비용 광신호와 상기 운용 광신호를 파장별로 분기시켜 출력하는 원격노드; 상기 파장 분기된 운용 광신호는 대응되는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로 바이패스시키고, 상기 파장 분기된 예비용 광신호는 모든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로 순차적으로 분배시켜 출력하는 예비광 분배부; 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를 통해 인가되는 운용 광신호와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를 통해 인가되는 예비용 광신호의 전송경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광신호 스위칭부; 상기 광신호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광신호를 반사시켜 출력하는 반사경; 및 상기 운용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환신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절체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 복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장애 복구 시스템은 예비광 생성부(10), 원격노드(20), 예비광 분배부(30), 광신호 스위칭부(40), 반사경(50) 및 절체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예비광 생성부(10)는 운용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운용 광신호의 파장들(
Figure 112006033351487-pat00001
)과 서로 다른 파장(
Figure 112006033351487-pat00002
)을 갖는 하나의 예비용 광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OLT(1)로부터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운용 광신호들과 결합시켜 출력한다. 이러한 예비광 생성부(10)는 예비용 광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예비광원(12) 및 예비광원(12)의 예비용 광신호를 운용 광신호와 결합시키는 광결합부(14)를 구비한다.
원격노드(20)는 아파트의 통신실 또는 전주 위에 위치하여 운용 광신호와 예비용 광신호가 파장분할다중화된 하향 신호를 각 파장별로 분기시켜 예비광 분배부(30)로 출력하고, 예비광 분배부(30)로부터의 상향 신호를 다중화시켜 OLT(1)로 전송한다.
예비광 분배부(30)는 원격노드(20)에서 파장 분기된 광신호들 중 운용 광신 호들(
Figure 112006033351487-pat00003
)은 대응되는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로 각각 바이패스시켜 출력하고, 예비용 광신호(
Figure 112006033351487-pat00004
)는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각 가입자 댁내의 광신호 스위칭부(40)로 순차적으로 분배시켜 출력한다. 즉, 각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로는 일대일 대응되는 운용 광신호(
Figure 112006033351487-pat00005
)가 전송되는 반면에, 모든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로는 예비광 분배부(30)에 의해 하나의 예비용 광신호(
Figure 112006033351487-pat00006
)가 순차적으로 분배되어 전송된다. 이러한 예비광 분배부(30)는 각 가입자별로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며 인가되는 예비용 광신호(
Figure 112006033351487-pat00007
)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출력하는 N개(본 실시예에서는 32개)의 광신호 회전부(31 ∼ 34)를 구비한다.
광신호 스위칭부(40)는 각 가입자 댁내에 구비되는 2×2 광스위치로서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와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를 통해 각각 수신되는 운용 광신호와 예비용 광신호를 전환신호 Ssw에 따라 선택적으로 ONU(2)로 전송한다. 즉, 전환신호 Ssw가 비활성화시 광신호 스위칭부(40)는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를 통해 수신되는 운용 광신호는 ONU(2)로 전송되도록 하고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를 통해 수신되는 예비용 광신호는 반사경(50)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반면에, 전환신호 Ssw가 활성화되면 광신호 스위칭부(40)는 운용 광신호와 예비용 광신호의 전송경로를 스위칭시켜 예비용 광신호가 ONU(2)로 전송되도록 한다.
반사경(50)은 인가되는 광신호를 반사시켜 출력한다.
절체 제어부(60)는 운용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 세기에 따라 전환신호 Ssw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도 3은 도 2에서 예비광 분배부(30)를 구성하는 어느 한 광신호 회전부(31)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각 광신호 회전부(31)(n번째 광신호 회전부)는 3개의 입출력포트("0", "1", "2")를 갖는 광서큘레이터(35)를 구비한다. 이때, "0"번 포트는 원격노드(20) 또는 이웃한 광신호 회전부(n-1번째 광신호 회전부)의 "2"번 포트와 연결되며, "1"번 포트는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와 연결되고, "2"번 포트는 이웃한 광신호 회전부(n+1번째의 광신호 회정부)의 "0"번 포트와 연결된다.
이러한 광신호 회전부(31)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노드(20) 또는 이웃한 광신호 회전부(n-1번째 광신호 회전부)로부터 "0"번 포트를 통해 인가된 예비용 광신호(
Figure 112006033351487-pat00008
)는 광서큘레이터(35)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와 연결된 "1"번 포트로 출력된다. "1"번 포트로 출력된 예비용 광신호는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를 따라 진행하다 광신호 스위칭부(40)를 거쳐 반사경(50)에서 반사된 후 다시 "1"번 포트로 되돌아온다. "1"번 포트로 반사되어 되돌아온 예비용 광신호는 다시 광서큘레이터(35)에 의해 회전되어 광신호 회전부(31)의 "2"번 포트를 통해 이웃한 광신호 회전부(n+1 번째)의 "0"번 포트로 인가된다.
도 4는 도 2에서 광신호 스위칭부(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광신호 스위칭부(40)는 물리적으로 가입자 댁내에 인입되는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 및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반사 경(50) 및 ONU(2)와 연결된다. 그리고, 광신호 스위칭부(40)는 전기적으로 절체 제어부(60)와 연결되어 절체 제어부(60)로부터 전환신호 Ssw를 인가받는다.
전환신호 Ssw가 비활성화된 상태(정상 상태)에서 광신호 스위칭부(40)는 도 4의 실선과 같이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 및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를 각각 반사경(50) 및 ONU(2)와 연결시킨다. 그러나, 전환신호 Ssw가 활성화된 상태(장애 발생 상태)에서는 도 4의 점선과 같이 전송경로를 크로스(cross)시켜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 및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를 각각 ONU(2) 및 반사경(50)과 연결시킴으로써 예비용 광신호가 ONU(2)로 인가되도록 해준다.
도 5는 도 2에서 절체 제어부(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절체 제어부(60)는 광세기 분배부(61), 광세기 측정부(62) 및 전환신호 발생부(63)를 구비한다.
광세기 분배부(61)는 대응되는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를 통해 인가되는 운용 광신호의 일부를 분기시켜 광세기 측정부(62)로 출력한다.
광세기 측정부(62)는 광세기 분배부(61)에서 분기된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전환신호 발생부(63)로 출력한다.
전환신호 발생부(63)는 광세기 측정부(62)로부터의 측정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측정값이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전환신호 Ssw를 활성화시켜 광신호 스위칭부(40)로 출력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 상태시, 예비광원(12)에서 생성된 예비용 광신호(
Figure 112006033351487-pat00009
)는 광결합기(14)에 의해 OLT(1)로부터 파장분할다중화되어 출력되는 운용 광신호들(
Figure 112006033351487-pat00010
)과 결합되어 원격노드(20)로 전송된다.
원격노드(20)는 인가된 광신호들(
Figure 112006033351487-pat00011
,
Figure 112006033351487-pat00012
)을 파장별로 분기시켜 출력한다. 이때, 운용 데이터가 실린 운용 광신호(
Figure 112006033351487-pat00013
)는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로 인가되어 광신호 스위칭부(40)로 전송된다. 반면에, 본원발명의 예비용 광신호(
Figure 112006033351487-pat00014
)는 예비광 분배부(30)에서 첫번째 광신호 회전부(31)의 "0"번 포트로 인가된다. 첫번째 광신호 회전부(31)의 "0"번 포트로 인가된 예비용 광신호는 광서큘레이터(35)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1"번 포트로 출력된다. "1"번 포트로 출력된 예비용 광신호는 대응되는 광신호 스위칭부(40)로 전송된다.
광신호 스위칭부(40)로 인가된 운용 광신호와 예비용 광신호는 광신호 스위칭부(40)에 의해 각각 ONU(2) 및 반사경(50)으로 인가된다. 즉,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는 전환신호 Ssw가 활성화되지 않으므로, 광신호 스위칭부(40)는 전송경로를 스위칭하지 않고 운용 광신호와 예비용 광신호를 각각 ONU(2) 및 반사경(50)으로 바이패스 시킨다.
이때, 반사경(50)으로 전송된 예비용 광신호는 반사경(50)에 의해 반사된 후 다시 광신호 스위칭부(40)를 거쳐 첫번째 광신호 회전부(31)의 "1"번 포트로 인가 된다. 첫번째 광신호 회전부(31)의 "1"번 포트로 인가된 예비용 광신호는 광서큘레이터(35)에 의해 회전되어 "2"번 포트로 출력되어 두번째 광신호 회전부(32)의 "0"번 포트로 인가된다. 이러한 예비용 광신호는 나머지 광신호 회전부들(32 ∼ 34)에서도 광신호 회전부(3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즉, 예비용 광신호는 순차적으로 광신호 회전부들(32 ∼ 34)에 의해 회전되어 대응되는 가입자 댁내의 반사경(50)으로 전송된 후 반사경(50)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다.
그런데, 만약 광케이블 절단 또는 커넥터 접촉불량 등의 장애가 어느 한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에 발생되어 해당 ONU(2)로 운용 광신호가 전송되지 않거나 운용 광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떨어지게 되면, 절체 제어부(60)의 전환신호 발생부(63)는 이를 감지하여 전환신호 Ssw를 활성화시켜 광신호 스위칭부(40)로 출력한다.
전환신호 Ssw가 활성화되면, 광신호 스위칭부(40)는 도 4의 점선과 같이 광경로를 크로스(cross) 시켜 예비용 광신호가 해당 ONU(2)로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해당 ONU(2)는 파장(
Figure 112007030976411-pat00015
)을 갖는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하여 OLT(1)와 정상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장애가 극복되어 해당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를 통해 운용 광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면 전환신호 발생부(63)는 이를 다시 감지하여 전환신호 Ssw를 비활성화시킨다. 이로써, 광신호 스위칭부(40)는 다시 광선로를 원래대로 전환하여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Ls)를 통해 인가되는 예비용 광신호가 ONU(2)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다시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Lm)을 통해 인가되는 운용 광신호가 ONU(2)로 인가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은 하나의 예비용 광신호만을 이용하여 광선로의 장애를 신속히 복구함으로써 자원의 활용을 높이고 초기 투자비를 줄일 수 있으며 고품질의 안정된 통신 서비스를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은 장애 발생시 현장요원의 출동 없이 자동으로 장애를 복구해줌으로써 장애 복구 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예비용 광신호를 생성하여 운용 광신호들과 결합시켜 출력하는 예비광 생성부;
    결합된 상기 예비용 광신호와 상기 운용 광신호를 파장별로 분기시켜 출력하는 원격노드;
    상기 파장 분기된 운용 광신호는 대응되는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로 바이패스시키고, 상기 파장 분기된 예비용 광신호는 모든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로 순차적으로 분배시켜 출력하는 예비광 분배부;
    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를 통해 인가되는 운용 광신호와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를 통해 인가되는 예비용 광신호의 전송경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광신호 스위칭부;
    상기 광신호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광신호를 반사시켜 출력하는 반사경; 및
    상기 운용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환신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절체 제어부를 구비하는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광 생성부는
    상기 예비용 광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예비광원; 및
    상기 예비광원에서 출력되는 상기 예비용 광신호를 가입자 라인장치(OLT:Optical Line Terminal)에서 출력되는 상기 운용 광신호들과 결합시키는 광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예비광 분배부는
    각 가입자 광단말에 일대일 대응되며 인가되는 상기 예비용 광신호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대응되는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로 출력하는 복수의 광신호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로 회전부는
    광서큘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스위칭부는
    상기 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와 상기 가입자 분기 예비 광선로를 상기 반사경과 가입자 광단말에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주는 2×2 광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스위칭부는
    상기 전환신호가 비활성화시 상기 운용 광신호를 대응되는 가입자 광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예비 광신호를 상기 반사경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스위칭부는
    상기 전환신호가 활성화시 상기 예비 광신호를 상기 가입자 광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운용 광신호를 상기 반사경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제어부는
    상기 가입자 분기 운용 광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운용 광신호의 세기를 분기하는 광세기 분배부;
    상기 분기된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광세기 측정부; 및
    상기 광세기 측정부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아지면 상기 전환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전환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장애 자동 복구 시스템.
KR1020060042957A 2006-05-12 2006-05-12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장애자동 복구 시스템 KR100768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957A KR100768623B1 (ko) 2006-05-12 2006-05-12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장애자동 복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957A KR100768623B1 (ko) 2006-05-12 2006-05-12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장애자동 복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623B1 true KR100768623B1 (ko) 2007-10-18

Family

ID=3881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957A KR100768623B1 (ko) 2006-05-12 2006-05-12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장애자동 복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821A1 (ko) * 2015-06-23 2016-12-29 유니트론 주식회사 가입자 구내망의 예비회선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796A (ja) 2000-02-17 2001-11-02 Lucent Technol Inc 放送システムの光学的検査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40024733A (ko) * 2002-09-16 2004-03-22 주식회사 케이티 광셔큘레이터를 이용한 wdm-pon 광선로 감시장치
KR20050096552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케이티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광선로 감시방법
KR20060056454A (ko) * 2004-11-20 2006-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광선로 감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796A (ja) 2000-02-17 2001-11-02 Lucent Technol Inc 放送システムの光学的検査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40024733A (ko) * 2002-09-16 2004-03-22 주식회사 케이티 광셔큘레이터를 이용한 wdm-pon 광선로 감시장치
KR20050096552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케이티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광선로 감시방법
KR20060056454A (ko) * 2004-11-20 2006-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광선로 감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821A1 (ko) * 2015-06-23 2016-12-29 유니트론 주식회사 가입자 구내망의 예비회선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676B1 (ko)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장애 검출 방법 및 검출 장치, 및그 검출 장치를 구비한 수동형 광 가입자 망
KR100539955B1 (ko) 파장분할 다중방식 자기치유 수동형 광가입자망
US5349457A (en) Fiber optic telephone loop network
US6351582B1 (en) Passive optical network arrangement
KR100569825B1 (ko) 절체형 미디어 변환기와 그를 포함하는 상하향 동일파장의 링형 wdm pon 시스템
US201302594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Fibers In A PON
US20090169200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transmission
US20060250681A1 (en) Inter-network optical fiber sharing system
USH2075H1 (en) Restorable architectures for fiber-based broadband local access networks
US20060029390A1 (e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KR100928142B1 (ko) Otdr을 이용한 wdm-pon 광선로 감시장치
JPH11275028A (ja) 光通信システム
Caviglia et al. Optical maintenance in PONs
CN101282586B (zh) 无源光网络中的光纤故障检测方法、系统及装置
US20120251097A1 (en) Passive architectural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KR100356019B1 (ko) 비동기전달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의 광분배망 서브시스템
KR100768623B1 (ko)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예비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장애자동 복구 시스템
KR20040024733A (ko) 광셔큘레이터를 이용한 wdm-pon 광선로 감시장치
JP2009212668A (ja) 光伝送システム
JP6221219B2 (ja) 冗長システム、光通信装置及び親局装置
JP4015091B2 (ja) 光線路監視用デバイス
JP6418271B2 (ja) 通信システム、親局装置及び子局装置
JP2005192138A (ja) 光分岐線路監視システム
KR20010035998A (ko) 광가입자 선로 자동 절체 장치
KR100817495B1 (ko) 감시광 루핑 방법을 이용한 피오엔 원격 광선로망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