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8369B1 - 자동 이륜차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369B1
KR100768369B1 KR1020060023893A KR20060023893A KR100768369B1 KR 100768369 B1 KR100768369 B1 KR 100768369B1 KR 1020060023893 A KR1020060023893 A KR 1020060023893A KR 20060023893 A KR20060023893 A KR 20060023893A KR 100768369 B1 KR100768369 B1 KR 10076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head pipe
cover
fender
steering 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676A (ko
Inventor
가즈노리 요시무라
고 후쿠마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3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2Front wheel forks or equivalent, e.g. single t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커버로 덮이고 헤드 파이프에 삽통되는 스티어링 스템과, 이 스티어링 스템의 하부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각부를 갖는 프론트 포크가 헤드 파이프로 조향(操向)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티어링 스템을 관통하게 하는 삽통 구멍을 천정부에 갖는 프론트 펜더가 프론트 포크에 장착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부품 점수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여 프론트 펜더의 삽통 구멍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극력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성도 높인다.
프론트 펜더(24)의 천정부(24a)의 상면에는, 삽통 구멍(3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벽부(37)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상면에서 볼 때 벽부(37)에 일부 겹치는 차량부품(41)이 프론트 커버(18) 내에 고정 배치된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MOTORCYCLE}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프론트 커버 내부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3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4-4선을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화살표5에서 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프론트 포크 8: 헤드 파이프
18: 프론트 커버 24: 프론트 펜더
24a: 천정부 30: 각부
32: 스티어링 스템 33: 삽통 구멍
37: 벽부 38: 전타 범위 규제 수단
41: 차량부품인 배터리 F: 차체 프레임
WF: 전륜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의 전단(前端)에 있는 헤드 파이프가 프론트 커버로 덮이고, 상기 헤드 파이프에 삽통되는 스티어링 스템과, 이 스티어링 스템의 하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전륜을 하단부 사이에서 축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각부를 갖는 프론트 포크가 상기 헤드 파이프로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티어링 스템을 관통하는 삽통(揷通) 구멍을 천정부에 가지며 상기 전륜 및 상기 양 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펜더가 프론트 포크에 장착되는 자동 이륜차에 관한 것이다.
프론트 포크의 스티어링 스템을 삽통시키도록 하여 프론트 펜더의 천정부에 설치되는 삽통 구멍을 상방으로부터 막는 커버를, 프론트 포크 및 프론트 펜더 사이에 설치한 자동 이륜차가, 특허문헌 1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소58-60588호 공보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커버로 삽통 구멍을 상방으로부터 막음으로써, 삽통 구멍 내에 돌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지만, 커버는 프론트 펜더 및 프론트 포크와는 별체로 하여, 부품 점수가 늘어나고, 조립 공정도 증가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품 점수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여 프론트 펜더의 삽통 구멍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극력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성도 높인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차체 프레임 전단의 헤드 파이프가 프론트 커버로 덮이고, 상기 헤드 파이프에 삽통되는 스티어링 스템 과, 이 스티어링 스템의 하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전륜을 하단부 사이에서 축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각부를 갖는 프론트 포크가 상기 헤드 파이프로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티어링 스템을 관통하게 하는 삽통 구멍을 천정부에 가지며 상기 전륜 및 상기 양 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펜더가 프론트 포크에 장착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펜더의 천정부의 상면에는, 상기 삽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벽부(壁部)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상면에서 볼 때 상기 벽부에 일부 겹치는 차량부품이 상기 프론트 커버 내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헤드 파이프에 대한 상기 프론트 포크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전타(轉舵) 범위 규제 수단이 상기 삽통 구멍의 전반부에서 이 삽통 구멍에 임하여 배치되고, 상기 벽부가 상기 삽통 구멍의 전반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2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차량부품이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토대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프론트 커버 내부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화 살표3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4-4선을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화살표5에서 본 도면이다.
우선, 도 1에서, 자동 이륜차인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을 축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6) 및 이 프론트 포크(6)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7)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8)와, 이 헤드 파이프(8)로부터 후방 아래로 연장되는 다운 튜브(9)와, 다운 튜브(9)의 하부 양측에 전단이 고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로어 프레임 파이프(10…)와, 로어 프레임 파이프(10…)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 파이프(11…)를 구비하고, 리어 프레임 파이프(11)는, 로어 프레임 파이프(1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 위로 연장되는 라이즈 프레임부(11a)와, 라이즈 프레임부(11a)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수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프레임부(11b)로 이루어지며, 양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의 후부는 상호 연결된다.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양 로어 프레임 파이프(10…) 및 양 리어 프레임(11…)의 일체 연결 설치부에는 브래킷(1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래킷(12)에는 파워 유닛(P)의 전부(前部)가 링크 기구(13)를 개재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파워 유닛(P)의 후부 우측에 배치되는 후륜(WR)이 파워 유닛(P)의 후부에 축 지지된다. 또 상기 양 리어 프레임 파이프(11…) 중, 좌측의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의 후부 및 파워 유닛(P)의 후부 사이에는 리어 쿠션 유닛(14)이 설치된다.
파워 유닛(P)의 상방에는, 수납 박스(15)와, 이 수납 박스(15)의 후방에 배 치되는 연료 탱크(16)가 배치되고, 수납 박스(15) 및 연료 탱크(16)는 상기 리어 프레임 파이프(11…)로 지지된다.
차체 프레임(F)은,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17)로 덮이는 것으로, 이 차체 커버(17)는, 헤드 파이프(8)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커버(18)와, 운전자 발의 전방을 덮는 레그실드(19)와, 운전자의 발을 얹기 위해 레그실드(19)의 하부에 연결되는 저상식 스텝 플로어(20)와, 스텝 플로어(20)에 연결되어 차체 후부를 양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21)를 구비하고, 사이드 커버(21)상에는, 수납 박스(15) 및 연료 탱크(16)를 상방으로부터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탠덤형의 승차용 시트(22)가 설치된다.
프론트 포크(6)에는 전륜(WF)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펜더(24)가 장착되고, 조향 핸들(7)의 중앙부를 덮는 핸들 커버(25)에는 헤드 램프(26)가 장착된다. 또 후륜(WR)의 후반부 상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펜더(27)가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에 장착되고, 사이드 커버(21)의 후부에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28)가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에서, 프론트 포크(6)는, 전륜(WF)을 하단 사이에서 축 지지함과 동시에 전륜(WF)의 양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각부(30, 30)와, 양 각부(30, 30)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부(31)와, 브릿지부(31)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티어링 스템(32)을 구비한 것으로, 스티어링 스템(32)이 헤드 파이프(8)에 삽통됨과 동시에 이 헤드 파이프(8)로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티어링 스템(32)의 상단부에 조향 핸들(7)이 연결된다.
도 4를 아울러 참조하여, 상기 프론트 포크(6)에 있어서의 양 각부(30, 30) 및 전륜(WF)을 덮는 프론트 펜더(24)의 천정부(24a)는 후방 아래로 완만하게 경사진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천정부(24a)의 형상에 의하여, 프론트 커버(18) 내에서의 프론트 펜더(24)의 상방 공간을 넓게 하여, 차량부품을 배치하기 쉽게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디자인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프론트 펜더(24)의 상기 천정부(24a)에는 스티어링 스템(32)을 삽통하는 삽통 구멍(33)이 설치된다. 또, 프론트 포크(6)에 있어서의 브릿지부(31)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판(34)이 고착되어 있고, 삽통 구멍(33)의 전방에서 상기 천정부(24a)에 상방으로부터 삽통되는 볼트(35)가, 상기 지지판(34)의 하면에 고착되는 웰드 너트(36)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35)를 체결함으로써 프론트 펜더(24)가 프론트 포크(6)에 장착되게 된다.
프론트 펜더(24)의 천정부(24a)에 있어서의 상면에는, 삽통 구멍(3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벽부(37)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삽통 구멍(33)의 전반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삽통 구멍(33)의 전반부에는, 헤드 파이프(8)에 대한 프론트 포크(6)의 회동 범위를, 예를 들면 43도로 규제하는 전타 범위 규제 수단(38)이 삽통 구멍(33)에 임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이 전타 범위 규제 수단(38)은, 헤드 파이프(8)의 하단 전면(前面)에 고착되어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39)와, 삽통 구멍(33)의 전반측에서 상기 돌기(39)의 양측에 배치되는 규제면(40, 4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 규제면(40, 40)은, 헤드 파이프(8)의 후방측을 둘러싸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론트 포크(6)에서의 브릿지(3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돌출부(31a)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규제면(40, 40)이 상기 돌기(39)에 접촉함으로써 헤드 파이프(8)에 대한 프론트 포크(6)의 회동 범위가 규제되게 된다.
도 5를 아울러 참조하여, 프론트 커버(18) 내에는, 상면에서 볼 때는 상기 벽부(37) 전체에 일부를 덮도록 차량부품인 배터리(41)가 고정 배치된다. 배터리(41)의 하부는, 상단을 개방한 합성수지제의 박스(42)에 수납되고, 박스(42)로부터의 배터리(41)의 돌출부는 합성수지제의 덮개 부재(43)로 덮여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박스(42)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수납 케이스(44) 내에 위치 결정 수납되고, 덮개 부재(43)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누름 부재(45)가 덮개 부재(43)에 상방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수납 케이스(4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헤드 파이프(8)의 전면의 상하로 간격을 둔 위치에 하부 브래킷(46) 및 상부 브래킷(47)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수납 케이스(44)의 배면은, 좌우 한 쌍의 볼트(48…) 및 너트(49…)에 의하여 하부 브래킷(46)에 고정됨과 동시에, 단일의 볼트(50) 및 웰드 너트(52)에 의하여 상부 브래킷(47)에 고정된다.
수납 케이스(44)의 후부 중앙 상단부에 설치되는 걸어맞춤 돌출부(44b)가, 누름 부재(45)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걸어맞춤 구멍(54)에 걸어맞춤 되어 있으며, 누름 부재(45)의 전단부는, 수납 케이스(44)의 전부 중앙 상단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장착 판부(44a)에, 볼트(52)와, 장착 판부(44a)에 고착되는 웰드 너트(53)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 수납 케이스(44)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브래킷(55)이 고착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55)에 그로멧(56)이 장착된다. 또, 프론트 커버(18)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이 프론트 커버(18)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 돌출부(18a)의 선단에, 걸어맞춤 돌출부(5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 돌출부(57)가 상기 그로멧(56)에 탄발적으로 삽통, 걸어맞춤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프론트 포크(6)의 스티어링 스템(32)을 관통하게 하는 삽통 구멍(33)이, 프론트 포크(6)에 장착되어 전륜(WF) 및 프론트 포크(6)의 양 각부(30…)를 덮는 프론트 펜더(24)의 천정부(24a)에 설치되는 것이지만, 그 천정부(24a)의 상면에는, 삽통 구멍(3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벽부(37)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고, 상면에서 볼 때 벽부(37)의 전체에 일부를 덮는 배터리(41)가 프론트 커버(18) 내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론트 펜더(24)의 천정부(24a)의 상면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삽통 구멍(3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벽부(37)와, 상면에서 볼 때 일부를 벽부(37)에 덮도록 프론트 커버(18)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41)로, 삽통 구멍(33)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극력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삽통 구멍(33)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적은 부품 점수로 구성할 수 있어, 부품 점수의 저감에 의하여 조립 공정 수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장의 조립 라인에서는 전륜(WF), 프론트 포크(6) 및 프론트 펜더(24)를 콤팩트하게 차체 프레임(F) 측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립성이 보다 향상된다.
특히 비교적 큰 폭을 갖는 배터리(41)를 삽통 구멍(33)의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삽통 구멍(33)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헤드 파이프(8)에 대한 프론트 포크(6)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전타 범위 규제 수단(38)이 삽통 구멍(33)의 전반부에서 이 삽통 구멍(33)에 임하여 배치되고, 벽부(37)가 삽통 구멍(33)의 전반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전타 범위 규제 수단(38)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적은 부품 점수로써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프론트 펜더(24)의 천정부(24a)는, 프론트 커버(18) 내에서의 프론트 펜더(24)의 상방 공간을 넓게 하여, 차량부품을 배치하기 쉽게 함과 동시에 디자인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후방 아래로 완만하게 경사진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삽통 구멍(33)의 전반부에 아무런 대책도 마련하지 않으면, 메인터넌스 시 등에 낙하한 볼트 등이 상기 천정부(24a)상을 굴러 삽통 구멍(33)에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있지만, 벽부(37)가 삽통 구멍(33)의 전반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볼트 등의 이물이 천정부(24a)상을 굴러 삽통 구멍(33) 내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 펜더의 천정부의 상면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삽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벽부와, 상면에서 볼 때 일부 벽부를 덮도록 프론트 커버 내에 배치되는 차량부품으로, 삽통 구멍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극력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삽통 구멍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적은 부품 점수로 구성할 수 있어, 부품 점수의 저감에 의하여 조립 공정 수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장의 조립 라인에서는 전륜, 프론트 포크 및 프론트 펜더를 콤팩트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 측에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 청구항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타 범위 규제 수단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적은 부품 점수로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큰 폭을 가진 배터리를 삽통 구멍의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삽통 구멍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차체 프레임(F)의 전단의 헤드 파이프(8)가 프론트 커버(18)로 덮이고, 상기 헤드 파이프(8)에 삽통(揷通)되는 스티어링 스템(32)과, 이 스티어링 스템(32)의 하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전륜(WF)을 하단부 사이에서 축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각부(30)를 갖는 프론트 포크(6)가 상기 헤드 파이프(8)로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티어링 스템(32)을 관통하게 하는 삽통 구멍(33)을 천정부(24a)에 가지며 상기 전륜(WF) 및 상기 양 각부(30)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펜더(24)가 프론트 포크(6)에 장착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펜더(24)의 천정부(24a)의 상면에는, 상기 삽통 구멍(3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벽부(37)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상면에서 볼 때 상기 벽부(37)에 일부 겹치는 차량부품(41)이 상기 프론트 커버(18) 내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파이프(8)에 대한 상기 프론트 포크(6)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전타(轉舵) 범위 규제 수단(38)이 상기 삽통 구멍(33)의 전반부에서 이 삽통 구멍(33)에 임하여 배치되고, 상기 벽부(37)가 상기 삽통 구멍(33)의 전반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품(41)이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KR1020060023893A 2005-03-31 2006-03-15 자동 이륜차 Expired - Fee Related KR100768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1607A JP4502863B2 (ja) 2005-03-31 2005-03-31 自動二輪車
JPJP-P-2005-00101607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76A KR20060106676A (ko) 2006-10-12
KR100768369B1 true KR100768369B1 (ko) 2007-10-18

Family

ID=3702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8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8369B1 (ko) 2005-03-31 2006-03-15 자동 이륜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02863B2 (ko)
KR (1) KR100768369B1 (ko)
CN (1) CN100457533C (ko)
TW (1) TW2006377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46450B (zh) * 2008-11-28 2012-10-31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摩托车
JP6982041B2 (ja) * 2019-09-30 2021-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84Y2 (ja) * 1987-04-24 1994-02-16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シートロック解錠防止構造
JP2772430B2 (ja) 1989-03-31 1998-07-02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ーのスタンドグリップ
JP2002264859A (ja) * 2001-03-07 2002-09-18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用オープナーのいたずら防止装置
JP2004009769A (ja) * 2002-06-03 2004-01-15 Honda Motor Co Ltd 可撓長尺部品支持構造
JP2004182108A (ja) * 2002-12-04 2004-07-02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の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878A (ja) * 1982-09-16 1984-03-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等のフロントフエンダ取付構造
JPS6398890U (ko) * 1986-12-19 1988-06-27
JP3094164B2 (ja) * 1990-11-30 2000-10-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3321673B2 (ja) * 1992-03-10 2002-09-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3561333B2 (ja) * 1995-07-21 2004-09-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三輪車におけるフロントフェンダ取付け構造
JPH09216593A (ja) * 1996-02-14 1997-08-19 Suzuki Motor Corp オートバイのハンドルストッパー
TW415407U (en) * 1996-06-05 2000-12-11 Honda Motor Co Ltd Scooter type vehicle
JP3569597B2 (ja) * 1996-06-05 2004-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車体構造
JP4124290B2 (ja) * 1998-03-27 2008-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カバー取付構造
JP3403937B2 (ja) * 1998-03-27 2003-05-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ォークカバーの取付構造
TW593046B (en) * 2001-02-09 2004-06-21 Honda Motor Co Ltd Motor-scooter type vehicle body cover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84Y2 (ja) * 1987-04-24 1994-02-16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シートロック解錠防止構造
JP2772430B2 (ja) 1989-03-31 1998-07-02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ーのスタンドグリップ
JP2002264859A (ja) * 2001-03-07 2002-09-18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用オープナーのいたずら防止装置
JP2004009769A (ja) * 2002-06-03 2004-01-15 Honda Motor Co Ltd 可撓長尺部品支持構造
JP2004182108A (ja) * 2002-12-04 2004-07-02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の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2863B2 (ja) 2010-07-14
JP2006281878A (ja) 2006-10-19
KR20060106676A (ko) 2006-10-12
TWI296592B (ko) 2008-05-11
CN100457533C (zh) 2009-02-04
CN1840419A (zh) 2006-10-04
TW200637755A (en)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75906A1 (en) Saddle type vehicle having an accommodation box
US20150258888A1 (en) Motorcycle fuel tank cover
JP5049822B2 (ja) 自動二輪車のフロントカウルおよびウインドスクリーン取付け構造
CN101357656A (zh) 机动两轮车的倾覆传感器的设置结构
JP5460526B2 (ja) 自動二輪車の前部構造
JP5969785B2 (ja) 鞍乗型車両
JP4786933B2 (ja)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CN111232115B (zh) 鞍乘型车辆的保护结构
KR100768369B1 (ko) 자동 이륜차
JP4112818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4299099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前部カバー構造
JP5171515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08162358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リザーブタンク配置構造
JP6129350B2 (ja) 鞍乗型車両
WO2019117239A1 (ja) 鞍乗り型車両
JP2010083359A (ja) 小型車両
US10597103B2 (en) Saddle-type vehicle
CN216861692U (zh) 滑板车
JP6083816B2 (ja) 自動二輪車用車体カバーの前部構造
JP7018417B2 (ja) 鞍乗型車両
JP6982041B2 (ja) 鞍乗型車両
WO2018047127A1 (en) Support structure for rear panel of step-through scooter type motorcycle
JPH0834380A (ja) 車両の車体構造
JP4711561B2 (ja) 小型車両の車体フレーム構造
CN109153423B (zh) 鞍乘式车辆的车身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