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7748B1 - Led전광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Led전광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748B1
KR100767748B1 KR1020070034054A KR20070034054A KR100767748B1 KR 100767748 B1 KR100767748 B1 KR 100767748B1 KR 1020070034054 A KR1020070034054 A KR 1020070034054A KR 20070034054 A KR20070034054 A KR 20070034054A KR 100767748 B1 KR100767748 B1 KR 10076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led
module
display
dri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재
백충엽
Original Assignee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7003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7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전광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호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제1 LED가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는 제1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1 LED와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는 제2 디스플레이모듈을 갖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 및 상기 제2 LED를 제어하는 제1 표시모드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2 LED를 소등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를 제어하는 제2 표시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조 비용, 소비전력 및 발열량을 줄이면서도 다양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며, 제1 디스플레이모듈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 간의 경계 부분에서 색상이나 휘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적인 경계선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LED전광판 시스템{LED ELECTRONIC SIG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광판 시스템의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광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된 콘텐츠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LED 전광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멀티디스플레이모듈 11 : 제1 디스플레이모듈
12 : 제2 디스플레이모듈 13 : 모듈 케이스
30 : 제어부 31 : 제1 모듈구동부
32 : 제2 모듈구동부 33 : 메인 컨트롤러
34 : 제1 인터페이스부 35 : 제2 인터페이스부
50 : 운영실
본 발명은 LED 전광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풀-컬러(Full-Color) 모드와 3-컬러(3-Color) 모드로 동작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모듈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로 구성된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을 갖는 LED 전광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빛을 발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를 의미하며, 적색, 녹색, 청색, 황색 등의 다양한 색상으로 각종 전자제품류와 계기판 등의 전자 표시판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전광판은 다수의 LED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LED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픽셀을 형성함으로써,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전광판은 하나의 픽셀(Pixel)을 구성하는 LED의 개수 및 색상에 따라 풀-컬러(Full-Color) 전광판과, 3-컬러(3-Color) 전광판으로 구분된다. 풀-컬러 전광판은 빛의 3원색인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가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여 색의 풀 컬러의 구현이 가능하고, 3-컬러 전광판은 청색을 제외한 2개의 LED, 예컨대 녹색 LED와 적색 LED가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여 색의 재현성이 제한적이다.
그러나 청색 LED가 비교적 고가이고, 풀-컬러 전광판의 경우 3개의 LED가 하나의 픽셀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전력 소모가 크며 발열량도 많은 단점이 있어, 문 자의 전달, 예를 들어 간단한 광고나 정보 안내를 위한 전광판으로는 3-컬러 전광판이 널리 사용되고, 동영상과 같은 높은 색 재현성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풀-컬러 전광판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동영상, 광고 및 정보 전달을 위한 전광판의 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전광판이 동영상과 문자와 같은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여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풀-컬러 전광판을 사용하는 것은 문자의 표시 부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풀-컬러 전광판의 단점으로 인해 비용 및 소비전력 등의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은 면이 있다.
따라서, 전광판을 동영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문자 등이 표시되는 영역을 구분하고, 두 영역에 풀-컬러 모드와 3-컬러 모드를 각각 적용하면, 비용 및 소비전력, 발열 문제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과,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구분하고, 두 영역에 풀-컬러 모드와 3-컬러 모드를 각각 적용하여, LED 전광판 시스템의 제조 비용, 소비전력 및 발열량을 줄이면서도 다양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LED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콘텐츠가 두 영역에 걸쳐 표시될 때, 풀-컬러 모드로 동작하는 영역을 3-컬러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두 영역의 경계 부분에서 색상이나 휘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적인 경계선을 제거할 수 있는 LED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풀-컬러 모드와 3-컬러 모드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때 두 영역 간의 경계 부분에서 발생하는 색상이나 휘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적인 경계선을 제거할 수 있는 LED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제1 LED가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는 제1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1 LED와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는 제2 디스플레이모듈을 갖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 및 상기 제2 LED를 제어하는 제1 표시모드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2 LED를 소등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를 제어하는 제2 표시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전광판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되는 하나의 콘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에 걸쳐 표시되는 경우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을 상기 제2 표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LED는 녹색의 빛을 발광하는 녹색 LED와 적색의 빛을 발광하는 적색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2 LED는 청색의 빛을 발광하는 청색 LED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모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이 3-컬러(3-Color)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이 풀-컬러(Full-Color)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제2 표시모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이 3-컬러(3-Color)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청색 LED가 소등된 상태로 3-컬러(3-Color)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를 구동시키는 제1 모듈구동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 및 상기 제2 LED를 구동시키는 제2 모듈구동부와; 영상소스를 상기 제1 모듈구동부 및 상기 제2 모듈구동부가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을 제2 표시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모듈구동부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2 LED가 소등된 상태로 제1 디스플레이모듈과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를 구동하도록 상기 제2 모듈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 제1 모듈구동부 및 상기 제2 모듈구동부를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모듈구동부 및 상기 제2 모듈구동부에 전달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 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광판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은 상호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2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 이하 동일)(이하, '제1 LED(R, G)'라 함)가 하나의 픽셀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LED(R, G)는 적색 LED(R)와 및 녹색 LED(G)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은 3-컬러(3-Color) 모드로 동작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이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며, 좌우 배치가 바뀌거나 상하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은 제1 LED(R, G),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적색 LED(R)와 녹색 LED(G), 그리고, 제1 LED(R, G)와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이하, '제2 LED(B)'라 함)가 하나의 픽셀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이 적색 및녹색 이외의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제2 LED(B), 예를 들어 청색 LE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은 풀-컬러(Full-Color) 모드로 동작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한편, 제어부(30)는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의 픽셀을 구성하는 제1 LED(R, G)와,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의 픽셀을 구성하는 제1 LED(R, G) 및 제2 LED(B)를 제어하여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30)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의 제1 LED(R, G)와,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의 제1 LED(R, G) 및 제2 LED(B)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제1 표시모드로 정의한다. 즉, 제1 표시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이 3-컬러 모드로 동작하고,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이 풀-컬러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로 정의된다.
또한, 제어부(30)는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의 제2 LED(B),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청색 LED(B)를 소등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의 제1 LED(R, G),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색 LED(R) 및 청색 LED(B)를 제어하여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의 제2 LED(B)를 소등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의 제1 LED(R, G)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제2 표시모드로 정의한다. 즉, 제2 표시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이 3-컬러 모드 로 동작하는 상태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을 제1 표시모드와 제2 표시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에 표시되는 하나의 콘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걸쳐 표시되는 경우,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을 제2 표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표시되고, 문자 등과 같은 정보의 전달을 위한 콘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에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30)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이 제1 표시모드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이 3-컬러 모드로 동작하고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이 풀-컬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에 하나의 콘텐츠(도 4에서는 문자)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걸쳐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30)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이 제2 표시모드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이 3-컬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서로 다른 콘텐츠가 표시될 때, 색 재현성이 높은 풀-컬러 모드로 동작 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동영상과 같이 다양한 색상의 재현이 필요한 콘텐츠를 표시하고, 높은 색 재현성이 요구되지 않은 문자 등의 콘텐츠는 3-컬러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다양하면서도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며,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을 3-컬러 모드, 즉 적색 LED(R)와 녹색 LED(G) 만으로 구성하여 전체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의 제조비용, 소비전력을 절감하면서도,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에 하나의 콘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걸쳐 표시될 때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이 제2 표시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 간의 픽셀 구성의 차이에서 오는 휘도 및/또는 색상차를 제거하여,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 간의 경계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시적인 경계선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을 3-컬러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소비전력 및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광판 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광판 시스템의 제어부(30)는 제1 모듈구동부(31), 제2 모듈구동부(32), 및 메인 컨트롤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구동부(31)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의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의 제1 LED(R, G)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제1 모듈구동부(31)는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을 3-컬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듈구동부(32)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의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의 제1 LED(R, G) 및 제2 LED(B)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제2 모듈구동부(32)는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을 풀-컬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 컨트롤러(33)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에 표시될 콘텐츠에 대한 영상소스를 제1 모듈구동부(31) 및 제2 모듈구동부(32)가 처리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예컨대, 메인 컨트롤러(33)는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표시될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를 LED의 점멸을 위한 신호 형태로 변환한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33)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을 제2 표시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 제2 모듈구동부(32)가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의 제2 LED(B), 즉 청색 LED(B)가 소등된 상태로 제1 디스플레이모듈(1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의 제1 LED(R, G)를 구동하도록 제2 모듈구동부(3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소스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걸쳐 표시되는 문자이고,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표시되는 문자가 동일한 휘도 및 색상을 갖는다고 가정할 경우, 메인 컨트롤러(33)는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표시되는 영상소스를 변환할 때 제2 LED(B) 즉, 청색 LED(B)를 소등시키고,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표시되는 문자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에 표시되는 문자와 동일한 휘도 및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의 제1 LED(R, G), 즉 녹색 LED(G) 및 적색 LED(R)의 제어를 위한 신호 형태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33)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제1 모듈구동부(31) 및 제2 모듈구동부(32)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을 제어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에 표시되는 문자는 동일한 색상 및 밝기로 표시되어 제1 디스플레이모듈(11)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12) 간의 경계 부분에 시각적인 경계선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광판 시스템은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 제1 모듈구동부(31) 및 제2 모듈구동부(32)가 수용되는 모듈 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컨트롤러(33)는 모듈 케이스(13)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 제1 모듈구동부(31) 및 제2 모듈구동부(32)는 모듈 케이스(13)에 수용되어,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33)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 제1 모듈구동부(31) 및 제2 모듈구동부(32)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실(50) 등에 위치하여, 멀티디스플레이모듈(10)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광판 시스템은 메인 컨트롤러(33)와, 제1 모듈구동부(31) 및 제2 모듈구동부(32)가 물리적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33)와, 제1 모듈구동부(31) 및 제2 모듈구동부(32)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34) 및 제2 인터페이스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34)는 모듈 케이스(13)에 마련되어 메인 컨트롤러(33)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부(35)로부터 전송받아 제1 모듈구동부(31) 및 제2 모듈구동부(32)에 전달한다.
제2 인터페이스부(35)는 운영실(50)에 위치하며, 제1 인터페이스부(34)와 연결되어 메인 컨트롤러(33)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제1 인터페이스부(34)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인터페이스부(34) 및 제2 인터페이스부(35)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물리적인 구성, 예컨대 유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케이블(예컨대, 광케이블),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안테나, 무선 송신부 및 무선 수신부와 같은 물리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전송을 위한 신호의 변환이 수반되는 경우 프로토콜(Protocol)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광판 시스템의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이 3-컬러 모드로,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이 풀-컬러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제2 디스플레이모듈(12)이 제1 디스플레이모듈(11)의 픽셀을 구성하는 LED를 포함하면서 다른 색상의 LED를 더하여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경우이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 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비용, 소비전력 및 발열량을 줄이면서도 다양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LED 전광판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콘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모듈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에 걸쳐 표시되는 경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을 제2 표시모드로 동작시켜 제1 디스플레이모듈 및 제2 디스플레이모듈 간의 경계 부분에서 색상이나 휘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적인 경계선을 제거할 수 있는 LED 전광판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5)

  1. 상호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제1 LED가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는 제1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LED와 적어도 하나의 제2 LED가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되 상기 제2 LED는 상기 제1 LED와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모듈을 갖는 멀티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 및 상기 제2 LED를 제어하는 제1 표시모드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2 LED를 소등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를 제어하는 제2 표시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를 구동시키는 제1 모듈구동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 및 상기 제2 LED를 구동시키는 제2 모듈구동부와;
    영상소스를 상기 제1 모듈구동부 및 상기 제2 모듈구동부가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을 제2 표시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모듈구동부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2 LED가 소등된 상태로 제1 디스플레이모듈과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1 LED를 구동하도록 상기 제2 모듈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전광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되는 하나의 콘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에 걸쳐 표시되는 경우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을 상기 제2 표시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전광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ED는 녹색의 빛을 발광하는 녹색 LED와 적색의 빛을 발광하는 적색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2 LED는 청색의 빛을 발광하는 청색 LED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모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이 3-컬러(3-Color)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이 풀-컬러(Full-Color)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제2 표시모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모듈이 3-컬러(3-Color)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청색 LED가 소등된 상태로 3-컬러(3-Color)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전광판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모듈, 상기 제1 모듈구동부 및 상기 제2 모듈구동부를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모듈구동부 및 상기 제2 모듈구동부에 전달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전광판 시스템.
KR1020070034054A 2007-04-06 2007-04-06 Led전광판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76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054A KR100767748B1 (ko) 2007-04-06 2007-04-06 Led전광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054A KR100767748B1 (ko) 2007-04-06 2007-04-06 Led전광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748B1 true KR100767748B1 (ko) 2007-10-17

Family

ID=3881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0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7748B1 (ko) 2007-04-06 2007-04-06 Led전광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237A (ko) * 2012-12-07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배선과 전기배선을 이용한 신호전달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KR102160620B1 (ko) * 2020-04-20 2020-09-28 포스텍네트웍스(주) IoT 기반의 지능형 동기 제어 LED 전광판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0438A (ja) * 1999-02-26 2000-09-14 Sharp Corp Led表示装置
KR100344948B1 (ko) * 1998-06-17 2002-07-20 가부시키가이샤 엔지니어 라이팅 표시장치
JP2004133164A (ja) * 2002-10-10 2004-04-30 Mk Seiko Co Ltd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948B1 (ko) * 1998-06-17 2002-07-20 가부시키가이샤 엔지니어 라이팅 표시장치
JP2000250438A (ja) * 1999-02-26 2000-09-14 Sharp Corp Led表示装置
JP2004133164A (ja) * 2002-10-10 2004-04-30 Mk Seiko Co Ltd 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449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504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33164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237A (ko) * 2012-12-07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배선과 전기배선을 이용한 신호전달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KR101955331B1 (ko) 2012-12-07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배선과 전기배선을 이용한 신호전달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KR102160620B1 (ko) * 2020-04-20 2020-09-28 포스텍네트웍스(주) IoT 기반의 지능형 동기 제어 LED 전광판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2588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078110B1 (ko) 16×24 매트릭스 발광다이오드 전광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전광판
JP2004191490A (ja) 液晶表示装置
WO2007097599A3 (en) Integrated traffic signal, sign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9548013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for
JP2004138827A5 (ko)
US20090184660A1 (en) Bl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170710B2 (en) Display module with high resolution grayscal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639569B2 (en) Integrated heads-up display and cluster projection panel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202101546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67748B1 (ko) Led전광판 시스템
US20150235589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1206848B (zh) 多色域控制显示器
US20050253824A1 (en) [serial-protocol type panel display system and method]
US20080151139A1 (en) Addressable backlight for LCD panel
CN100353404C (zh) 发光二极管全彩显示板的高分辨率驱动方法
EP4057264A1 (en) Rotating type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783759B1 (ko) 입체적인 배경효과를 제공하는 2단형 전광판 시스템
US20060001625A1 (en) Double-faced light emiting diode display
KR101093942B1 (ko) 하드웨어 방식의 가상 엘이디 모듈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시스템
TW200823822A (en) Multi-color space display
KR100958611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220415219A1 (en) Rotating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20090120789A (ko) 3차원 led 전광판
CN101089933B (zh)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电路与驱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