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의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은, 운용자에 대한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여 소켓 핸들러로 전송하는 명령어 관리부, 및 상기 명령어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명령어를 구성요소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소켓 핸들러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 및 상기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와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 무선통신망의 구성요소와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로부터 전송된 명령어를 처리하여 상기 무선통신망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성 관리 기능, 장애 관리 기능, 다운로드 관리 기능, 진단 및 시험 관리 기능, 통계 관리 기능, 성능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와 연결된 GUI 어뎁터를 구비하여 상기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와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 상기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구성 관리 기능, 장애 관리 기능, 다운로드 관리 기능, 진단 및 시험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 및 상기 무선통신망의 구성요소로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메시지 및 상기 기능 수행에 필요한 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 성요소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무선통신망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EMS 매니저와 연동되는 EMS 에이전트를 구비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NMS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의 계층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운용환경설정, 유무선자원관리, 상태확인 등을 위한 억세스 네트워크 영역(Access Network Domain)과, 이동통신/휴대인터넷 서비스 제공, 가입자 관리 등을 위한 서비스 제공자 영역(Service Provider Domain)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억세스 네트워크 영역은 네트워크 구성요소 계층(Network Element Layer : NEL)(L1) 및 구성요소 관리 계층(Element Management Layer : EML)(L2)으로 이루어지며, 서비스 제공자 영역은 네트워크 관리 계층(Network Management Layer : NML)(L3), 서비스 관리 계층(Service Management Layer : SML)(L4) 및 비즈니스 관리 계층(Business Management Layer : BML)(L5)으로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구성요소 계층(L1)에는 휴대 단말기(PSS)(700), 기지국(RAS)(400), 제어국(ACR)(300)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Network Element)가 위 치하며, 구성요소 관리 계층 (L2)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PSS), 기지국(RAS), 제어국(ACR) 등을 관리하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Element Management System Server : EMS Server)(100) 및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EMS Client)(200)가 위치한다.
한편,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 관리 계층(L3)에 위치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500)과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자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과 타 시스템과의 연동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은 구성요소 관리 서버(EMS 서버)(100)와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EMS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하는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제어국(300), 기지국(400) 등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직접 연동되어 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200)는 운용자가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통해 제어국(300), 기지국(400) 등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먼저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시스템 자원 관리부(110),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120),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130),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140), NMS 인터페이스부(150), 데이터베이스부(160) 등을 포함한다.
시스템 자원 관리부(110)는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 부,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 NMS 인터페이스부 및 데이터베이스부와 연동되어, 시스템 초기화, 시스템 자원 관리, 시스템 유지보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주기적으로 또는 운용자 요구에 따라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CPU 부하율, 메모리 사용율, 파일 시스템 사용율, 네트워크 이용율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조회하여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며,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사용현황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모든 응용프로세스에 대한 상태조회, 구동중지, 재구동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임의로 다운되거나 각종 사용율이 사전 설정해 놓은 임계치를 초과하면 알람발생정보를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반대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알람해제정보를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운용자에게 알린다.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120)는 운용자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명령어 제어(Command control) 기능과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에 대한 구성(Configuration) 관리, 장애(Fault) 관리, 다운로드(Download) 관리, 진단 및 시험(Diagnostics & Test) 관리, 통계(Statistics) 관리, 성능(Performance)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130)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와 연동되어 운용자와의 정합 기능 및 로그(Log)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200)의 TCP 소켓 어뎁터와 연결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어뎁터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구성 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명령어를 전송받거나 구성요소로부터의 이벤트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140)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TFTP(Trivial FTP)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 및 제어국과 메시지,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NMS 인터페이스부(150)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상위 시스템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NMS 인터페이스부는 EMS 에이전트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상기 EMS 에이전트와 연결된 EMS 매니저를 통해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관리한다. EMS 매니저와 EMS 에이전트 사이에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MS 인터페이스부는 서비스 사업자의 OSS(Operation Support System)과 연동하기 위하여 OSS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OSS 인터페이스는 NMS 인터페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서비스 사업자가 OSS를 구비하는 지 여부에 따라서 실제 구현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60)는 시스템 자원 관리부,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 등과 연동되어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각 구성요소(기지국, 제어국 등)에 대한 패키지 정보, 구성 정보, 장애 정보, 통계 정보, 이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도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에서는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사항을 중점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시스템 자원 관리부와 NMS 인터페이스부는 도시하지 않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130)를 먼저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는 운용자와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31)과 로그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로그 관리 모듈(132)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31)은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운용자의 명령어를 수신하여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 또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또한,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이벤트를 수신하여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GUI 어뎁터(GUI adaptor)(131a), 디스패쳐(dispatcher)(131b), 이벤트 핸들러(event handler)(131c), 브로드캐스트 리시버(131d), 포맷터(Formatter)(131e), 로그 센더(Log sender)(131f)를 포함한다.
상기 GUI 어뎁터(131a)는 새로운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가 TCP로 접속하였을 때 접속 가능한 IP 주소 또는 범위 내에 있는 지 여부, 동시 접속자 수를 초 과하는 지 여부 등을 검사하여 접속을 허용하고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가 정상 또는 비정상 종료 시 해당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에 대한 세션정보를 삭제한다. 그리고,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운용자 명령어를 디스패쳐로 전송하고, 필요시 정형화된 입력 포맷의 화면 또는 로그 출력을 위하여 포맷터로 전송한다. 한편, 디스패쳐를 통해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운용자 명령어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송신한다.
디스패쳐(131b)는 GUI 어뎁터와 연결되며, GUI 어뎁터를 통해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명령어를 분류하여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 또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고, 운용자 명령어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GUI 어뎁터를 통해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패쳐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명령어가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단순처리 명령어인 경우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의 명령어 리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가 인접 셀 등록과 같이 여러 구성요소와 관련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된 여러 명령어를 읽어서 처리해야 되는 배치명령수행과 같은 복합처리 명령어인 경우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명령어 제어 모듈로 전송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단순처리 명령어'란 구성요소의 상태 조회/변경 명령, 구성요소의 파라메터 조회/변경 명령, 기타 조회 명령 등과 같이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수행을 필요로 하지 않는 명령어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로 바로 전송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반대로, '복합처리 명령어'란 운용자의 명령어 수행을 위하여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의 동작 을 필요로 하는 명령어를 말한다.
이벤트 핸들러(131c)는 시스템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장애 관리 모듈의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여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통계 관리 모듈과 성능 관리 모듈로부터 운용자가 설정한 성능 임계치 초과시 발생하는 QoS 알람을 수신하여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한편, 브로드캐스트 리시버(131d)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의 브로드캐스트 센더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포맷터로 전송하며, 포맷터(131e)는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나 디스패쳐에서 메시지를 전송받아 메시지 포맷을 변형(CLI 명령에 대한 정형화된 입출력 메시지 포맷팅)하여 운용자 화면출력을 위해 로그 센더(131f)로 전송하고 로그 파일 저장을 위해 로그 관리 모듈의 리시버로 전송한다.
로그 관리 모듈(Log Management Module)(132)은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되는 각종 메시지를 수신하여 로그 파일(Log File)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로그 관리 모듈은 리시버(Receiver)(132a), 로거(Logger)(132b), 파인더(Finder)(132c)를 포함한다. 리시버(132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포맷터(131e)에서 발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로거로 전송하며, 로거(132b)는 이에 기초하여 로그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한편, 로그 파일에 저장된 정보가 필요한 경우 파인더(132c)가 이를 검색하여 불러온다.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120)는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관리하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명령어 제어(Command control) 모듈, 구성(Configuration) 관리 모듈, 장애(Fault) 관리 모듈, 다운로드(Download) 관리 모듈, 진단 및 시험(Diagnostics & Test) 관리 모듈, 통계(Statistics) 관리 모듈, 성능(Performance) 관리 모듈 등을 포함한다.
먼저, 명령어 제어 모듈(Command Controller Module)(121)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기 등록한 배치처리명령을 읽어와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명령어 제어 모듈은 매니저 프로세서(Manager Processor)(121a), 배치 프로세서(Batch Processor)(121b), 스케줄러(Scheduler)(121c)를 포함한다. 매니저 프로세서(121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디스패쳐로부터 운영자 요청에 의한 즉시 일괄처리작업요청을 수신하여 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배치 프로세서로부터 일괄처리작업에 속한 개별 명령어를 디스패쳐로 전송하고,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명령어에 대한 결과를 디스패쳐로부터 수신하여 명령 처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 프로세서에게 전송하며, 최종 명령수행이 끝나면 배치수행 종료 응답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송한다. 배치 프로세서(122b)는 매니저 프로세서 또는 스케줄러로부터 전송된 일괄처리 작업(Batch Job) 요청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기 등록된 명령어를 차례대로 가져와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명령어를 전송함으로써 업무를 수행한다. 한편, 스케줄러는 정해진 시간이 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괄처리 작업을 불러와 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배치 프로세서는 이를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명령어를 전송한다.
구성 관리 모듈(Configuration Management Module)(122)은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의 물리적 형상 관리, 운영파라메터 설정, 인접 셀/인접 기지국/인접 제어국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구성 관리 모듈은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구성관련 요구메시지에 대해 해당 기지국 또는 제어국으로부터의 처리결과를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벤트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 받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경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실장상태(Equipment Status)나 관리상태(Administration State)가 변경된 경우 상태 변경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상기 물리적 형상 관리로는 제어국/기지국 증감설, 기지국의 FA(Frequency Assignment)/섹터(Sector)/카드(Card) 증감설 등이 있으며 운영파라메터 설정에는 시스템 타이머(System Timer), 업링크(Uplink)/다운링크(Downlink) 채널에 대한 OFDMA PHY(Physical layer)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layer) 파라메터, 보안관련 PKM(Primary Key Management) 파라메터, QoS(quality of service)를 위한 서비스 클래스(Service Class) 파라메터, 각종 RF(Radio Frequency) 파라메터, IP 풀(Pool),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파라메터, 과부하 임계치 등이 있다.
장애 관리 모듈(Fault Management Module)은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장애 정보를 수신한 후 가시, 가청 정보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지국, 제어국 등으로부터 장애의 종류(하드웨어의 특정 부분 또는 소프트웨어의 특정 기능 등)에 상응하는 장애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장애 해제 메시지 수신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장애 발생 메시지 또는 장애 해제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브로트캐스팅함으로써 알람 기능을 수행한다.
다운로드 관리 모듈(Download Management Module)은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OS & Application)와 구성 파일(Configuration File)을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다운로딩하고,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에서 실행되는 구성 파일을 백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용자 요구나 시스템 초기화 시 또는 예약 작업 등록을 통하여 네트워크 구성요소별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구성 파일을 해당 구성요소로 다운로딩하고 그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및 구성파일은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의 패키지관리모듈에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운용자 요구나 예약작업 등록을 통하여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에서 현재 수행중인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저장되어 있는 구성 파일을 구성요소 관리 서버로 백업(Backup)하고 그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진단 및 시험 관리 모듈(Diagnostics & Test Management Module)은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의 시스템 자원에 대하여 시험하고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용자의 예약 시험 설정에 따라 해당 시간에 기지국, 제어국 등의 자원에 대하여 시험하고 불안전한 자원이 발견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모듈을 통해 운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새로운 장치나 대체된 장 치가 있는 경우 서비스를 수행하기 전에 해당 장치에 대한 기능 시험을 수행하며, 이미 동작하고 있는 구성요소의 경우 해당 시스템에 대한 진단을 시작하기 전 그 자원에 대해서는 서비스를 중단시킨다.
한편, 전술한 구성 관리 모듈, 장애 관리 모듈, 다운로드 관리 모듈, 진단 및 시험 관리 모듈은 각각 리시버(Receiver), 데이터 프로세서(Data Processor), 명령어 프로세서(Command Process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 각각의 기능 모듈에서 리시버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의 라우터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프로세서로 전송하며, 데이터 프로세서는 리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해당 모듈의 기능에 부합하도록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 모듈에서 명령어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디스패쳐로부터 전송된 명령어를 처리하여 각각 구성 관리, 장애 관리, 다운로드 관리, 진단 및 시험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통계 관리 모듈 (Statistics Management Module)은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의 서비스 및 장애에 대한 통계 관련 데이터를 주기적(예, 60분)으로 수집하여 일정 기간별(매일, 매주, 매월 등)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지국, 제어국 등으로부터 성능 데이터 및 장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정 기간별 성능 통계 데이터 (예, 핸드오버 통계, 호처리 및 트래픽 통계, 무선채널 품질 통계, 장비 프로세서 부하 통계 등) 및 장애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통계데이터가 성능 임계치를 초과하면 QoS 알람을 생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벤트 핸들로 전송한다.
성능 관리 모듈(Performance Management Module)은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에 대한 성능 관련 데이터를 주기적(예, 5분)으로 수집하여 감시(Monitor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성능 관련 데이터가 들어 있는 5분 통계파일을 기지국, 제어국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감시 항목 데이터를 추출한 후 사전 설정된 임계치를 적용하여 성능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성능 감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성능 감시 데이터가 임계치를 벗어난 경우 QoS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력으로 저장하고 사용자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상기 성능 관련 데이터에는 기지국 및 제어국의 프로세서 CPU 부하율, 트래픽 전송률/에러율, 접속된 휴대 단말기 수, 핸드오버 실패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통계 관리 모듈 및 성능 관리 모듈은 각각 리시버(Receiver), 데이터 프로세서(Data Processor), 데이터베이스 로더(DB Load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도 3 참조), 각각의 기능 모듈에서 리시버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의 라우터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각각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이를 해당 모듈의 기능에 부합하도록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 로더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로더는 데이터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140)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과 다양한 방법(TCP, SNMP, FTP/TFTP 등)의 통신을 통해 직접 연결되며, 데이터를 수집, 수신하고 운용자 요구 또는 명령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와의 통신을 위한 TCP 인터페이스(141), SNMP 인터페이스(142), FTP/TFTP 인터페이스(143), 명령어 리시버(144), 구성요소 증감설 핸들러(145), 구성요소 활성 검사기(146), 브로드케스트 센더(147), 통계정보 수집기(148a), 파서(148b), 라우터(149) 등을 포함한다.
먼저 네트워크 구성요소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TCP 인터페이스, SNMP 인터페이스, FTP/TFTP 인터페이스 등을 들 수 있다.
TCP 인터페이스(141)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과의 통신을 위하여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이다.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TCP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대하여 운용, 관리, 유지보수를 위한 요청/응답 메시지 등을 송수신하고, 장애정보와 상태정보 등을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신속한 메시지의 전송과 메시지 유실 방지 등을 위하여 TCP 기반의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SNMP 인터페이스(142)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과 통신을 위하여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를 위하여, 구성요소 관리 서버(구체적으로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는 SNMP 매니저를 포함하고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SNMP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SNMP 매니저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SNMP 에이전트로 'Get/Get Next/Get Bulk/Set' 명령을 전송한 후 그 결과를 수신하여 구성요소의 상태와 설정정보 등을 수집하고, 구성요소의 SNMP 에이전트로부터 이벤트와 알람정보를 'Trap'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SNMP 매니저는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동기화 모듈(미도시)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SNMP 에이전트의 MIB를 수집하여 동기화시킨다.
FTP/TFTP 인터페이스(143)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과 통신을 위하여 FTP(File Transfer Protocol)/TFTP(Trivial FTP)를 이용하는 인터페이스이다.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소프트웨어 파일 전송, 구성정보 파일의 전송, 통계 데이터 파일전송 등 주로 데이터 양이 많은 파일 전송에 FTP/TFTP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도 3에서는, 원활한 운용을 위하여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별도의 서브 서버(sub server) 형태로 FTP/TFTP 서버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다.
명령어 리시버(Command Receiver)(14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운용자의 명령어를 수신하여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디스패쳐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면 이를 분류하여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명령어 제어 모듈 또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의 명령어 리시버로 전송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 복합처리 명령어인 경우에는 명령어 제어 모듈로 전송되고,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처리 명령어인 경우에는 명령어 리시버로 바로 전송된다. 그러면, 명령어 리시버는 TCP 인터페이스 또는 SNMP 인터페이스 중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명령어를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디스패쳐로 전송한다. 한편, 명령어 리시버는 기존에 통신하던 인터페이스(예, TCP 인터페이스, SNMP 인터페이스)의 이상이 있는 경우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통신이 가능한 다른 인터페이스로 변경하여 명령어를 전송한다.
도 4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서 명령어가 처리되는 과정을 정리한 흐름도인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GUI 어뎁터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패쳐로 전송한다(S410). 그러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디스패쳐는 상기 수신된 명령어를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S420). 상기 분류 기준은 운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수행을 필요로 하는 복합처리 명령어와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를 거칠 필요가 없는 단순처리 명령어 크게 2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구분일 뿐이며, 명령어의 종류와 등급 등을 사전 설정함으로써 이들이 진행되어야 하는 경로를 사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디스패쳐는 상기 명령어가 단순처리 명령어인 경우 이를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의 명령어 리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가 복합처리 명령어인 경우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명령어 제어 모듈로 전송한다. 한편,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명령어 제어 모듈은 디스패쳐로부터 수신된 명령어를 처리하고 또한 상기 명령어 내용 중 구성요소로 전송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의 명령어 리시버로 전송한다(S430).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의 명령어 리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전송된 명령어를 해 당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전송한다(S450). 그리고,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명령어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이를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운용자는 그 결과를 알 수 있다(S450).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구성요소 증감설 핸들러(Network Element Handler)(145)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의 추가/삭제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명령어에 의하여 기지국 또는 제어국을 추가, 삭제하는 경우 해당 기지국 또는 제어국과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의 TCP 또는 SNMP 접속을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그리고, 해당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데이터와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구성요소 활성 검사기(Network Element Alive Checker)(146)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기지국, 제어국 등의 활성(Alive)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구성요소와의 TCP 또는 SNMP 메시지 통신링크상태를 감지하고 장애 관리 모듈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제어국 등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사전 설정된 활성유지 메시지(Keep Alive Message) 통신을 사용하여 구성요소의 상태를 검사하고, 구성요소의 상태 검사 결과 통신이 되지 않거나 통신이 재개되는 경우 장애 발생 또는 장애 해제에 대한 메시지를 장애 관리 모듈로 전송한다.
브로드캐스트 센더(Broadcast Sender)(147)는 TCP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각 기능 모듈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로 전송한다.
통계정보 수집기(148a)는 FTP/TFTP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통계파일(예, 5분 통계파일, 60분 통계파일)을 읽어 라인(Line) 단위로 파서(148b)로 전송하며, 파서(148b)는 이를 세부 통계항목단위로 분석하여 라우터로 전송한다.
라우터(Router)(149)는 TCP 인터페이스, SNMP 인터페이스, 파서 등을 통해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해당 기능 모듈로 라우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는 구성 관련 데이터를 구성 관리 모듈로 라우팅하는 구성 관리 라우터, 장애 관련 데이터를 장애 관리 모듈로 라우팅하는 장애 관리 라우터, 구성요소로부터 업로딩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관리 모듈로 라우팅하는 다운로드 관리 라우터, 진단 및 시험 관련 데이터를 진단 및 시험 관리 모듈로 라우팅하는 진단 및 시험 관리 라우터, 통계 관련 데이터를 통계 관리 모듈로 라우팅하는 통계 관리 라우터, , 성능 관련 데이터를 성능 감시 모듈로 라우팅하는 성능 감시 라우터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를 도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업데이트 관리부(220), 이벤트 관리부(230), 명령어 관리부(240), 데이터베이스 핸들러(250), 소켓 핸들러(260) 등을 포함한다.
먼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에 대한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항목별 GUI 컴포넌트와 해당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모델로 구성되며, GUI 컴포넌트는 데이터 모델을 해당 화면에 적합하게 랜더링(rendering)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 모델은 장비 또는 시스템의 구성 정보, 상태 정보, 이력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외부적으로는 GUI 컴포넌트를 통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내부적으로는 업데이트 관리부, 이벤트 관리부, 명령어 관리부와 데이터 모델을 통하여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참고로, 도 4에서는 뷰(View)(211), 구성(Configuration)(212), 패키지(Package)(213), 알람(Alarm)(214), 리포트(Report)(215), 도구(Tools)(216), 운영지원(Admin)(217) 등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업데이트 관리부(220)는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모니터링하여 장비의 상세한 이력 및 상태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반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업데이트 관리부는 타이머(Timer)(221), 매니저 프로세서(Manager Processor)(222), 디스패쳐(Dispatcher)(223) 등을 포함한다. 업데이트 관리부는 성능의 최적화를 위하여 현재창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GUI와 관련 데이터 모델만을 집중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업데이트된 데이터 모델의 데이터는 이벤트 처리를 통하여 해당 GUI 컴포넌트에 반영된다.
이벤트 관리부(230)는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장애 정보 및 상태 변경 정보를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장애 발생 또는 장애 해 지 이벤트 시에 알람을 생성 또는 해지하여 가시, 가청 경보를 발생 또는 해지한다. 이를 위해, 이벤트 관리부는 리시버(Receiver)(231)와 매니저 프로세서(Manager Processor)(233)를 포함한다. 리시버(231)는 소켓 핸들러(260)를 통해 구성요소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를 수신하여 매니저 프로세서(233)로 전송하고, 매니저 프로세서(233)는 전송된 이벤트를 처리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 전송한다.
명령어 관리부(240)는 운용자 명령어를 큐(Queue) 처리하여 소켓 핸들러에 전송하고 명령어에 대한 수행 결과를 소켓 핸들러로부터 수신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명령어 관리부(240)는 트랜시버(Tranceiver)(241) 및 매니저 프로세서(Manager Processor)(242)를 포함한다. 매니저 프로세서(242)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운용자 명령어를 수신하여 큐(Queue) 처리하고, 명령어 큐로부터 개별 명령어를 꺼내어 트랜시버로 전송한다. 트랜시버는 소켓 핸들러를 통해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 운용자 명령어를 전송하며, 마찬가지로 그 결과를 수신하여 매니저 프로세서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 핸들러(DB Handler)(250)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정보, 상태, 이력 등의 데이터를 가져와 업데이트 관리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핸들러는 데이터베이스 어뎁터(DB Adaptor)(251)와 데이터베이스 래퍼(DB Wrapper)(252)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어뎁터(251)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정보를 획득하고 또한 데이터베이스부에 대하여 데이터를 추가, 삭제, 변경하며, 데이터베이스 래퍼(252)는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관리부별로 래핑(Wrapping)한다.
소켓 핸들러(Socket Handler)(260)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로 운용자 명령어를 전송하고, 알람 이벤트와 명령 처리 응답 등을 수신하여 해당 관리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통신을 위해 TCP를 이용하며, 도 4에서는 TCP 소켓 어뎁터(261)를 통해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전술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내부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6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시스템 자원 관리부,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 NMS 인터페이스부 등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상호간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하였으며, 도시된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의 구분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의 프로세서만 도시하였다. 그러므로,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구성하는 실제 프로세서의 수는 상이할 수 있으며, 예컨대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와 같이 각 기능 모듈별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경우 동일 레벨의 프로세서는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서 사용하는 내부 인터페이스는 크게 4가지로 구분되며, 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메시지 중에서 시스템 기능부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로 바로 전송되는 경우로 TCP 통신을 이용한다.
그리고,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와 시스템 프런트엔드 기능부 또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부 사이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는 'F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TCP 통신을 이용한다.
한편,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내부 프로세서 사이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는 'P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내부 프로세서들, 특히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각 기능 모듈내의 프로세서들은 쉐도우 메모리(Shadow Memory)를 이용한 메시지 큐(Message Queue) 통신을 하며, 이에 따라 서로간에 처리해야 할 데이터들을 공유함으로 신속한 데이터 호출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구성요소 관리 서버 내부의 매니저 프로세서와 서브 프로세서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H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이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통신을 이용한다.
참고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서버-클라이언트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구현하며, 클라이언트는 자바(Java)를 기반으로 개발하여 특정 OS(Operating System)에 대한 종속성이 없도록 하며, 또한 멀티-티어 모델(Multi-Tier Model: Client Tier/Business Logic Tier/Database Tier) 과 MVC(Model-View-Control) 아키텍쳐를 충실히 구현함으로써 시스템 확장이나 분산배치, 시스템 기능에 대한 요구변경 등에 대하여 신속하며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시스템 백엔드 기능부의 각 기능 모듈은 개별적으로 또는 몇 개의 모듈을 그룹으로 형성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브 서 버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