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6476B1 -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476B1
KR100766476B1 KR1020060023303A KR20060023303A KR100766476B1 KR 100766476 B1 KR100766476 B1 KR 100766476B1 KR 1020060023303 A KR1020060023303 A KR 1020060023303A KR 20060023303 A KR20060023303 A KR 20060023303A KR 100766476 B1 KR100766476 B1 KR 10076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repeater
signal
inform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3471A (en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아이
Priority to KR1020060023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476B1/en
Publication of KR2007009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47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92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ata processing means, e.g. expert systems, neur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FDM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프리엠블 타임 옵셋을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 파악 중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에 속해 있는 중계기 장치마다 프리엠블 옵셋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단말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 terminal using a preamble time offset of an OFD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setting different preamble offsets for each repeater device belonging to a base station, radio resources can be efficiently utilized.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easily identified.

중계기, OFDM, 옵셋, 위치정보, LBS Repeater, OFDM, Offset, Location Information, LBS

Description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tehod for location acquisition of terminal in OFDM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detec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System and mtehod for location acquisition of terminal in OFDM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도1은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시스템에서의 프리엠블 관련 채널 구조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amble related channel structure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modulation system.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프리엠블의 옵셋값 설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ffset value setting of a preamble.

도4는 중계기별로 옵셋을 달리한 프리엠블 전송예이다.4 shows an example of preamble transmission with different offsets for each repeater.

도5는 프리엠블 전송 온/오프 제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5 is a graph illustrating preamble transmission on / off control.

도6은 다수의 프리엠블 온/오프 전송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graph illustrating a plurality of preamble on / off transmission states.

도7은 다수의 중계기를 가지는 기지국 시스템의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ase statio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repeaters.

도8은 계층적 중계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ierarchical repeater system.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이다.9 is a process flow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한정된 무선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위치도 함께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efficient use of limited radio resources an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user.

일반적으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이라 함)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휴대인터넷)는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Tx 신호의 첫번째 심볼은 항상 프리앰블로 사용하고 있다. 도1을 참조하면, 프리앰블 신호는 6섹터로 구성된 second tier 주변 기지국까지의 전체 subcell 수인 114 종류의 PN코드로 구분이 이루어지며, 이를 preamble_index 로 표현한다. 즉, 기지국 구분을 위하여 각기 다른 직교코드 114가지의 프리엠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본원 발명에서는 프리엠블이 기지국 또는 기지국내의 셀 구분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신호를 프리엠블이라 한다.In general,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hich us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always uses the first symbol of a Tx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s a preamble. . Referring to FIG. 1, the preamble signal is divided into 114 kinds of PN codes, which are the total number of subcells to the base station around the second tier composed of 6 sectors, and is expressed as preamble_index. That is, 114 different orthogonal codes of preambles are used to distinguish base stations. 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used by the preamble for identifying a base station or a cell in the base station is called a preamble.

그런데,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 내에는 다수의 음영지역이 존재하고, 이러한 음역지역을 커버하기 위하여 다수의 중계기를 사용하고 있다.By the way, there are a number of shaded areas in the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repeaters are used to cover such a rang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대기 상태 또는 통화중인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는 기지국 신호의 도움을 받는 단말기 내장 GPS를 이용하는 정밀한 방식과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하는 근사적인 방식이 있다. 그러나 단말기가 지하구조물 등에 설치된 중계기의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GPS 신호가 보이지 않는 문제와 기지국 신호가 중계기에 의하여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 단말기의 위치가 중계기의 위치가 아닌 중계기에 연동된 기지국의 위치로 착각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근사적으로도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 is an accurate method using a terminal built-in GPS supported by a base station signal and an approximate method using a location of a base station to determine a call waiting state or a location of a terminal in a call. However, 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repeater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GPS signal is not visible, the base station signal is delayed by the repeater, and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s linked to the repeater rather than the position of the repeater. As a result, a problem of illusion occurs,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cannot be grasped approximately.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시스템(와이브로, 와이맥스 등)의 단말기가 중계기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어느 중계기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지 중계기 단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peater unit under which the repeat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Bro, WiMAX, etc.) To understan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계기에서 발생시킨 프리엠블 신호가 잡음으로 간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preamble signal generated by the repeater to be considered as nois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 시스템의 커다란 변동 없이 주어진 한정된 프리엠블 자원을 활용하여 다수의 중계기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들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고, 프리엠블이 기지국 프리엠블 신호에 대하여 잡음으로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cate the terminals located in a plurality of repeater regions by using a given limited preamble resource without significant change of the conventional system, and the preamble acts as a noise to the base station preamble signal. It is to minimize the work done.

도1은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시스템에서의 프리엠블 관련 채널 구조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3은 프리엠블의 옵셋값 설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4는 중계기별로 옵셋을 달리한 프리엠블 전송예이며, 도5는 프리엠블 전송 온/오프 제어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6은 다수의 프리엠블 온/오프 전송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7은 다수의 중계기를 가지는 기지국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8은 계층적 중계기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amble related channel structure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modulation system,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ffset value setting of a preambl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amble transmission with different offsets for each repeater, FIG. 5 is a graph showing preamble transmission on / off control, and FIG. 6 is a graph showing a plurality of preamble on / off transmission states.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ase statio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repeaters,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ierarchical repeater system, and FIG. 9 is a process flow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됨과 같이 일반적으로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고 있 는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휴대인터넷)는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Tx 신호의 첫번째 심볼은 항상 프리앰블로 사용하고 있다. 휴대인터넷에서 프리앰블 신호는 6섹터로 구성된 second tier 주변 기지국까지의 전체 subcell 수인 114 종류의 프리앰블 신호로 구분이 이루어지며, 이를 preamble_index 로 표현한다. 이러한 프리엠블 관련 내용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2005년 12월 21일자로 발표한 TTAS.KO-06.0082/R1(2.3GHz 휴대인터넷 표준,물리 계층 및 매체접근제어 계층) 표준 "8.4.6.1.1 Preamble"에 기재된 내용 및 상기 표준안의 777페이지 기재된 "<표309> Preamble modulation series per segment and IDcell for the 1K FFT mode"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hich generally us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lways uses the first symbol of a Tx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s a preamble. In the mobile Internet, the preamble signal is divided into 114 types of preamble signals, which are the total number of subcells to the base station around the second tier composed of 6 sectors, and is expressed as preamble_index. This preamble can be found in the TTAS.KO-06.0082 / R1 (2.3 GHz portable Internet standard, physical layer and media access control layer) standard published by the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TTA) on December 21, 2005. "8.4. Refer to 6.1.1 Preamble and "Preamble modulation series per segment and IDcell for the 1K FFT mode" on page 777 of the standard.

핸드오프 프로세스Handoff process

한편, 아이들(Idle) 상태이거나 통화중인 단말기(200)는 주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주변 기지국의 Preamble 신호를 검색하여야 한다. 기지국(100)은 단말기(200)에게 주변 기지국 정보를 MOB_NBR-ADV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알려주어야 하며, 이 정보에는 주변 기지국의 Preamble_index를 포함하여야 한다. 주변 기지국의 Preamble 신호를 검색하던 단말기(200)는 MOB_SCN_RSP(스케닝 결과 보고 메시지 : Scanning rusult report message) 메시지에서 정의된 조건을 충족하게 되면 기지국(100)으로 MOB_SCN_REP 메시지를 송신한다. MOB_SCN_REP에 포함되는 중요한 정보는 현재 기지국(Anchor or serving BS : 100) 의 CINR(carrier-to-interference-and-noise ratio) 및 RSSI, 검색된 주변 기지국 (target BS) 프리앰블 신호의 preamble_index, 현재 기지국(100) 신호와의 시간차인 relative delay 값 등을 포함한다. MOB_SCN_REP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100)은 핸드오프 여건을 파악하여 핸드오프 프로세스를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idle state (Idle) or busy terminal 200 must periodically search for the preamble signal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for the handoff to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100 should periodically inform the terminal 200 of the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OB_NBR-ADV message, which should include the preamble_index of the neighbor base station. The terminal 200 searching for the preamble signal of the neighbor base station transmits the MOB_SCN_REP message to the base station 100 when the condition defined in the MOB_SCN_RSP message is met. Importa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OB_SCN_REP includes the carrier-to-interference-and-noise ratio (CINR) and RSSI of the current base station (Anchor or serving BS: 100), the preamble_index of the searched neighbor base station (target BS) preamble signal, and the current base station (100). ) And the relative delay value, which is a time difference from the signal. Upon receiving the MOB_SCN_REP signal, the base station 100 determines the handoff condition and proceeds with the handoff process.

본 발명의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Example 따른 파라미터 정의 Parameter definition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아래의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In order to implemen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parameters are defined.

파라미터parameter 정의Justice pre_index_Rpre_index_R 114개 index 중 한 개를 중계기용으로 지정Designate one of the 114 indexes for the repeater pre_index_R_delaypre_index_R_delay Pre_index_R 신호에 대한 시간지연 값Time delay value for Pre_index_R signal Pre_index_R_attPre_index_R_att 중계기 DL 출력레벨 대비 Pre_index_R 신호의 상대적 레벨 값Relative level value of Pre_index_R signal compared to repeater DL output level Pre_index_R_periodPre_index_R_period Pre_index_R 신호의 gate on/off 주기Gate on / off cycle of Pre_index_R signal Pre_index_R_dutyPre_index_R_duty Pre_index_R 신호의 gating on ratioGating on ratio of Pre_index_R signal Pre_index_R_gate_noPre_index_R_gate_no Gate on 되는 순서Gate on order

먼저, Preamble index 114 개중 한 개의 preamble (pre_index_R) 을 중계기(10) LBS(Location Based Service) 전용으로 할당하여 모든 기지국에서는 사용치 않도록 한다. 즉 기지국(100)은 113개의 preamble index를 사용한다. 중계기(10) 내부에는 아래의 기능을 추가한다.First, one preamble (pre_index_R) of the 114 preamble indexes is allocated to the repeater 10 dedicated to LBS (Location Based Service) so that it is not used by all base stations. That is, the base station 100 uses 113 preamble indexes. Inside the repeater 10 adds the following functions.

@ 중계기(10)에서 추출된 Tx/Rx 절체 신호에 동기된 pre_index-R 프리앰블 신호를 생성시키는 기능@ A function of generating a pre_index-R preambl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Tx / Rx switching signal extracted from the repeater 10

@ pre_index_R 신호를 중계기 DL( 하향 링크(기지국=>중계기 방향) 신호에 대하여 상대적인 시간지연 값(pre_index_R_delay)으로 제어하는 기능(도3 참조)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 pre_index_R signal with a time delay value (pre_index_R_delay) relative to the downlink DL (base station => relay direction) signal (see FIG. 3).

@ Pre_index_R 프리앰블 신호의 크기를 중계기 하향링크(기지국=>중계기 방향) 신호의 크기에 상대적인 레벨(pre_index_R_att)로 제어하기 위한 기능(도5 참조)@ Pre_index_R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preamble signal to a level relative to the size of the repeater downlink (base station => relay direction) signal (pre_index_R_att) (see FIG. 5).

@ pre_index_R 신호의 출력을 pre_index_R_period 주기로 pre_index_R_duty 만큼gate on/off 시키는 기능(도5 및 도6 참조)Function to gate on / off output of @ pre_index_R signal by pre_index_R_duty in pre_index_R_period period (refer to FIGS. 5 and 6)

@ pre_index_R_delay 값과 pre_index_R_att 값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Remote control of @ pre_index_R_delay and pre_index_R_att values.

@ 중계기 DL 신호와 pre_index_R 신호를 혼합하는 기능@ Repeater DL signal mixed with pre_index_R signal

한 개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중계기를 구분하는 방법How to distinguish multiple repeaters using one preamble index

먼저, 한개의 프리엠블 인덱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중계기(10)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한 개의 기지국(100)에 최대 6~7 개의 대형 중계기(10)가 연동됨을 고려하면 중계기 위치파악을 위하여 6~7 개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중계기(10) 용으로 전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114개의 인덱스에서 이와 같이 많은 수의 인덱스를 중계기용으로 전용하는 것은 무선망 설계에 많은 제약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약요소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하여 한 개의 기지국(10)에 다수의 중계기(10)가 연동되더라도 한 개의 프리앰블 인덱스만을 중계기용으로 할당한다.First, a method for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repeaters 10 by using one preamble index will be described. Considering that up to 6 to 7 large repeaters 10 are linked to one base station 100, 6 to 7 preamble indexes should be dedicated for the repeater 10 in order to locate the repeaters. However, dedicating such a large number of indexes to repeaters in 114 indexes creates a lot of limitations in the design of the wireless network. In order not to generate such a constraint, even if a plurality of repeaters 10 are linked to one base station 10, only one preamble index is allocated for the repeater.

연동된 중계기(10)들의 구분은 LBS 중계기(10)에서 발생시키는 index_R 프리앰블 신호의 시간기준을 프레임 경계에서 offset 시켜 구분하도록 한다.(도3 내지 도6 참조) 연동된 중계기들은 고유하게 할당된 pre_index_R_delay 만큼씩 프리앰블을 프레임에서 offset 시켜 송출한다. 단말기에서는 Pre_index_R 신호를 인지하여 기지국(100)으로 MOB_SCN_REP 메시지를 송신할 때 측정된 delay 값을 (index_B 신호와의 시간차 값) 메시지 필드에 포함시켜 기지국(100)으로 전송한다.The interworking repeaters 10 are distinguished by offsetting the time reference of the index_R preamble signal generated by the LBS repeater 10 at a frame boundary (see FIGS. 3 to 6). The interworking repeaters are uniquely assigned pre_index_R_delay. The preamble is offset from the frame as many times as it is sent. The terminal recognizes the Pre_index_R signal and transmits the delay value measured when transmitting the MOB_SCN_REP message to the base station 100 in the message field (time difference value with the index_B signal) to the base station 100.

MOB_SCN_REP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100)은 메시지 필드의 delay 값을 읽어보면 메시지를 송출한 단말기(200)가 어느 중계기(10) 아래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100)는 각 프리엠블 인덱스 및 옵셋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Upon receiving the MOB_SCN_REP message, the base station 100 reads the delay value of the message field to determine which repeater 10 exists under the terminal 200 that has sent the message. To this end, the base station 100 stores information of each preamble index and offset.

MOB_SCN_REP는 단말기(200)에서 기지국(100)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서 스케닝 결과값을 리포트하는 파라미터이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TTA 휴대인터넷 표준 TTAS.KO-06.0082/R1의 234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MOB_SCN_REP라는 메시지 중에서 "Neighbor_BS_Index"는 8비트로 "BS index corresponds to position of BS in MOB_NBR-ADV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Relative delay"를 통해 8비트 정보를 전달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이는 표 <108k> MOB_SCN-REP message format에 개시되어 있다. 단말기(200)에서 기지국(100)으로 송신된 전자의 파라미터를 통해 인접기지국의 정보를 알 수 있으며, 후자의 파라미터를 통해 정상 프리엠블 신호와 옵셋이 부여된 프리엠블 신호간의 시간지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MOB_SCN_REP is a parameter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o the base station 100 and reports the scanning result value in the terminal 100. This is described on page 234 of the TTA Portable Internet Standard TTAS.KO-06.0082 / R1. Among the messages of MOB_SCN_REP, "Neighbor_BS_Index" is able to transmit "BS index corresponds to position of BS in MOB_NBR-ADV message" with 8 bits, and it is defined to transmit 8 bits of information through "Relative delay". This is described in the table MOB_SCN-REP message format. The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can be known through the former parameter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o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time delay information between the normal preamble signal and the preamble signal given the offse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latter parameter. Can be.

따라서, 모든 중계기가 같은 프리엠블을 사용하더라도 중계기 단위로 프리엠블 옵셋을 달리 할당하게 되면 단말기에서 송신되어온 MOB_SCN_REP 메시지를 통해 각기 다른 중계기(10)에 속한 단말기(200)들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ll repeaters use the same preamble, if the preamble offset is allocated differently in the repeater uni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s 200 belonging to different repeaters 10 may be obtained through the MOB_SCN_REP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

중계기 Repeater 프리앰블Preamble 신호에 의한 간섭 최소화 방안 Minimization of interference by signal

한편, 중계기(10)에서 출력된 프리앰블 신호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기지국(100)에서 출력된 신호의 CINR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CINR 값이 나빠지게 되면 AMC(Adaptive Modulation & Coding)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더 낮은 효율의 변조와 채널코딩 기법을 적용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cell total throughput 은 저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중계기(10)에서 발생시키는 index_R 프리앰블 신호의 세기는 본 신호(index_B 프리앰블 : 기지국에서 송신한 신호)에 비하여 충분히 낮은 레벨(pre_index_R_att)이어야 한다(도5 참조). 이값이 너무 낮으면 CINR 영향은 최소화되지만 단말기(200)가 중계기(10) 존재 파악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너무 높으면 본 신호의 CINR 값 저하가 심각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적화 작업을 통하여 pre_index_R_att 최적의 값을 도출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amble signal output from the repeater 10 inevitably lowers the CINR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base station 100. If the CINR value is deteriorated, a lower efficiency modulation and channel coding technique is applied to improve communication reliabi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MC (Adaptive Modulation & Coding), resulting in a decrease in cell total throughput. .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strength of the index_R preamble signal generated by the repeater 10 should be at a sufficiently low level (pre_index_R_att) compared to the present signal (index_B preambl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see FIG. 5). If this value is too low, the effect of the CINR is minimized, but the terminal 200 has difficulty in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repeater 10. If the value is too high, the CINR value of the present signal is seriously deteriorated. Therefore, the optimal value is derived through pre-index_R_att optimization.

그런데, 위치정보 서비스의 특성상 중계기(10) 아래의 단말기(200)가 중계기(10) 프리앰블 신호를 msec 단위 이내의 실시간적으로 감지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중계기(10) 프리앰블 신호는 continuous 하게 송신할 필요가 없이 주기적으로 Gate on/off 시킴으로서 본 신호의 CINR 저하를 최소화하도록 한다(도5 및 도6 참조).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the terminal 200 under the repeater 10 does not need to detect the repeater 10 preamble signal within msec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repeater 10 preamble signal is gated on / off periodically without the need for continuous transmission to minimize the CINR degradation of the present signal (see FIGS. 5 and 6).

Gate 주기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pre_index_R_period 값으로 정의되며, Gate on 비율은 pre_index_R_duty 로 정의한다. 이 파라미터의 최적값은 최적화 작업을 통하여 도출하도록 한다.The gate period is defined as the pre_index_R_period valu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gate on ratio is defined as pre_index_R_duty. The optimal value of this parameter is derived through optimization.

한 개의 기지국(100)에 연동된 여러 중계기(10)의 Gate on 시점이 일치한다면 모든 중계기(10)신호의 CINR 저하가 동시에 발생하여 cell total throughput 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중계기(10)들은 도6과 같이 프리앰블 신호 Gate on 시점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한다.If the gate on time points of the multiple repeaters 10 linked to one base station 100 coincide, CINR degradation of all the repeater 10 signals occurs at the same time, thereby lowering the cell total throughpu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lurality of repeaters 10 sequentially advance the preamble signal Gate on time point as shown in FIG.

부언하면,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이용한 휴대인터넷 통신 시스템은 하향링크 프레임(송수신 한주기: 와이브로의 경우 5msec) 앞 부분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심볼을 프리앰블로 사용하여 신속한 동기와 기지국(100) 구분의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기지국(100)은 각기 다른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하거나 충분히 먼 거리의 기지국(100)에서 동일한 프리앰블 신호를 재사용하고 있다. 프리앰블 신호에 의하여 기지국(100) 구분이 이루어지기에 통화중이거나 통화대기 상태인 단말기(200)가 주변기지국(100)으로 이동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주변 기지국(100) 프리앰블 신호의 품질을 파악하여 일정 수준이 되면 기지국(100)과의 협의에 의하여 인접 기지국(100)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cheme distinguishes the fast synchronization from the base station 100 by using one or two symbols in front of a downlink frame (one transmission / reception period: 5 msec in the case of WiBro) as a preamble. Used for the purpose of. Thus, each base station 100 uses different preamble signals or reuses the same preamble signal at a sufficiently long base station 100. Since the base station 100 is distinguished by the preamble signal, the terminal 200 which is in a call or in the call waiting state detects the quality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100 preamble signal to determine the movement to the neighbor base station 100. When the level is reached, handoff is performed to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100 in consultation with the base station 10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리엠블 운영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OEC(Optic to Electronic Converter : 11)는 기지국과 광케이블로 연결된 경우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100)과 분리하여 중계기(10)에 속한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계기(10) 내부에 프리앰블 신호 발생기(12)를 내장한다. 기지국에서 송신된 pre_index_R 정보에 따른 프리앰블 신호 발생기(12)의 출력은 옵셋조절기(13)로 입력되며, 옵셋조절기(13)에서는 기지국(100)에서 송신된 pre_index_R_delay 값에 따라 옵셋을 조절하여 프리엠블 신호를 출력한다.Hereinafter, the preambl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EC (Optic to Electronic Converter) 11 converts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base station and an optical cable are conn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amble signal generator 12 is built into the repeater 10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200 belonging to the repeater 10 separately from the base station 100. The output of the preamble signal generator 12 according to the pre_index_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s input to the offset controller 13, and the offset controller 13 adjusts the offset according to the pre_index_R_delay valu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00 to preamble signal. Outputs

이는, 프리앰블 신호에 사용되는 코드 또는 시퀀스의 시작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지연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옵셋조절기(13)의 출력신호는 게이트 온/오프 조절기(14)로 입력된다. 기지국(100)에서 제공되는 게이트 온/오프 제어신호 "Pre_index_R_duty", "Pre_index_R_period" 및, "Pre_index_R_gate_no"를 중계기(10)의 제어부(19)가 검출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통해 게이트 온/오프 조절기(14)를 콘트롤하여 프리엠블 신호를 출력한다.This may be implemented by a time delay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tart of the code or sequence used for the preamble signal. The output signal of the offset regulator 13 is input to the gate on / off regulator 14. The control unit 19 of the repeater 10 detects the gate on / off control signals " Pre_index_R_duty ", " Pre_index_R_period ", and " Pre_index_R_gate_no " 14) to output a preamble signal.

게이트 온/오프 조절기(14)의 출력신호는 출력되는 신호의 상대적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조절기(15)로 입력되고, "Pre_index_R_att"에 의해 크기가 조절되어 출력된다.The output signal of the gate on / off controller 14 is input to the output controller 15 for adjusting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and is scaled and output by "Pre_index_R_att".

증폭기(15)는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일반신호와 중계기(10)에서 발생된 프리엠블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9)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리엠블 관련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프리엠블 발생기(12), 옵셋조절기(13), 게이트 온/오프 조절기(14), 출력조절기(15) 및 증폭기(15)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그외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은 도시하지 않았다.The amplifier 15 amplifies the general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preamble signal generated by the repeater 10. The control unit 19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related to the preambl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us the preamble generator 12, the offset controller 13, the gate on / off controller 14, the output controller 15, and the amplifier 15. Perform an operation to control the. In addition, means for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is not shown.

중계기(10)는 기지국(100)의 하향링크로부터 추출한 송수신 절체 신호와 동기를 맞추며, 발생된 프리엠블 신호는 기지국(100) 신호와 혼합이 이루어져 증폭기(15)를 통해 출력한다.The repeater 10 synchronizes wit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signal extracted from the downlink of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generated preamble signal is mixed with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0 and output through the amplifier 15.

사용할 수 있는 프리앰블 갯수의 제한으로 한 개의 기지국(100)에 연동된 여러 대의 중계기(10)들이 각기 다른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모든 중계기(10)에 동일한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하며 각각의 중계기(10)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기 프리앰블 신호에 사용되는 코드 또는 시퀀스의 시작시점을 프레임(송수신 한주기)의 경계에서 각기 시작점을 달리하도록 프리앰블 신호 시간지연장치인 옵셋 조절기(13)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단말기(200)는 중계기(10)를 거쳐오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기지국(100) 신호와 그 신호와 혼합되어 송신되는 중계기(10) 프리앰블 신호의 시간차(중계기별 각기 다르게 설정된)를 측정하여 기지국(100)으로 보고함으로서 단말기(200)가 어느 중계기(10)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고기능은 기존의 기지국(100) 핸드오프 기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When the plurality of repeaters 10 linked to one base station 100 cannot use different preamble signal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preambles that can be used, the same preamble signal is used for all the repeaters 10 and each repeater ( In order to distinguish 10), the offset controller 13, which is a preamble signal time delay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the start point of each code or sequence used in the preamble signal is different from the start point of the fr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iod). By such a configuration, the terminal 200 determines a time difference (set differently for each repeater) between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base station 100 signal passing through the repeater 10 and the repeater 10 preamble signal transmitted mixed with the signal. By measuring and reporting to the base station 1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repeater 10 is located below the terminal 200. This reporting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existing base station 100 handoff function.

한편, 중계기(10)에서 프리앰블 신호를 발생시켜 기지국(100) 신호를 혼합하여 송신함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중계기(10)의 프리앰블 신호에 의하여 중계기(10)를 거쳐가는 하향링크 기지국(100) 신호의 성능저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성능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지국(10) 신호의 크기에 중계기(10) 프리앰블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자동 제어되도록 함으로서 중계기(10) 프리앰블에 의한 중계기(10)를 거쳐가는 기지국(100) 신호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하고 균일화한다(도5 참조). 도6을 보면 기지국(100)에서 발생되어 중계기(1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Pre_index_B_signal과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고, 중계기(10)에서 발생된 프리엠블 신호는 Pre_index_R_signal 과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조정하여 출력한다. 또한, 프리엠블이 항상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Gate on/off 되어 Gate off 된 시간 동안에는 여타 신호에 잡음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됨과 같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Gate on/off 하여 출력하되, 중계기를 거쳐가는 기지국 하향링크 신호보다 일정한 비율의 작은 출력으로 신호를 출력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한 개의 기지국(100)에 연동된 중계기(10)들 간에도 중계기 프리앰블 신호가 Gate on 되는 시간이 서로 겹치지 않고 교차하도록 제어한다(도6 참조). 도6과 같이 각각의 중계기(10)별로 출력되는 프리엠블 신호의 Gate on 시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지국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Meanwhile, the downlink base station 100 passing through the repeater 10 by the preamble signal of the repeater 10 using the same frequency in generating the preamble signal from the repeater 10 and mixing and transmitting the base station 100 signals. The degradation of the signal inevitably occurs. In order to minimiz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the base station 100 signal passing through the repeater 10 by the repeater 10 preamble is controlled so that the size of the repeater 10 preamble is relative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base station 10 signal. Minimize and equalize performance degradation (see FIG. 5). 6, the signal generated by the base station 10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repeater 10 has the same size as Pre_index_B_signal, and the preamble signal generated by the repeater 10 has the same size as Pre_index_R_signal. Output In addition, the preamble is not always output continuously, but does not act as a noise on other signals during the gated off tim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the gate is turned on / off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output, but the signal may be output at a smaller ratio than the base station downlink signal passing through the repeater. Also, the repeaters 10 interlocked with one base station 100 are controlled so that the time when the repeater preamble signal is gated on does not overlap each other (see FIG. 6). As shown in FIG. 6, the gate-on time of the preamble signal output for each repeater 10 does not overlap each other, thereby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base station downlink signal.

한 개의 기지국(100)이나 중계기(10)에 의하여 여러 개의 지하철 역사를 서비스하는 지하철 중계기(10) 방식이나 대형 빌딩과 같은 경우 중계기(10)는 계층구조를 갖는 분산중계기(10) 형태를 갖는다(도7 및 도8 참조). 이러한 경우 건물 내의 위치구분이나 지하철 역사를 구분하기 위하여 프리앰블 발생기를 중간단 또는 최종단 중계기(10) 내에 위치시킴으로서 위치추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ubway repeater 10 system or a large building serving several subway stations by one base station 100 or a repeater 10, the repeater 10 has a form of a distributed repeater 10 having a hierarchical structure ( 7 and 8).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preamble generator may be located in the intermediate or final stage repeater 10 in order to classify the location classification or subway history in the building,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tracking.

한 개의 MHU(Main Hub Unit : 90) 에 의하여 다수의(통상 2 ~ 4개 역사) 지하철 역사를 서비스하는 경우 지하철역 단위의 위치파악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지하철 분산 중계기 구조에서는 도8 과 같이 역사 단위로 설치되는 RHU(Remote Hub Unit : 91, 92, 93) 에서 index_R 프리앰블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각각의 RHU를 구분하기 위하여는 RHU 별로 pre_index_R_delay 값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해결이 가 능하다. RU(Remote Unit : 94, 95)는 단지 RHU(91, 92, 93)에서 전송되어온 프리엠블 옵셋에 따라 수신신호를 증폭출력하는 기능만 수행한다. RH(94, 95) 후단에 연결된 장치(96)는 안테나 유닛으로 실질적인 무선출력 장치이다.When servicing a large number of subway stations (usually 2 to 4 stations) by one MHU (Main Hub Unit: 90), it becomes difficult to locate the subway station. In such a distributed structure of a subway repeater, an index_R preamble signal is generated by a RHU (Remote Hub Unit: 91, 92, 93) installed in a history unit as shown in FIG. To distinguish each RHU, it can be solved by setting different pre_index_R_delay value for each RHU. RU (Remote Unit: 94, 95)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amplifying and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the preamble offset transmitted from the RHU (91, 92, 93). The device 96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Hs 94 and 95 is an antenna unit, which is a substantial wireless output device.

본 발명의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Example 따른 동작 According to

도9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900 단계에서 기지국(100) 또는 기지국 상위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프리엠블 인덱스 및 옵셋별로 할당된 중계기(10)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9, in operation 900, the base station 100 or the base station higher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s 10 allocated for each preamble index and offset.

910 단계에서 기지국(100)은 전술한 표에 도시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프리엠블 발생을 위한 인덱스 및 옵셋 정보, 게이트온/오프정보, 프리엠블 출력세기 정보를 각각의 중계기(10)에 전달한다.In step 910, the base station 100 transmits index and offset information, gate on / off information, and preamble output strength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preamble to each repeater 10 using the parameters shown in the above table.

920 단계에서 단말기(200)는 중계기 프리엠블 정보를 획득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CINR을 획득하고, 기지국에서 중계기를 거쳐 전송되어온 프리엠블 신호와 자신이 속한 중계기(10)에서 전송되어온 프리엠블 신호와의 상대적 시간지연값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지국(100)으로 MOB_SCN_REP를 통해 리포트한다(930 단계). 본 발명에서 예로 든것은 CINR이나 일반적인 SNB(Signal to Noise Ratio)나 SIB(Signal to Interference Ratio)등도 사용될 수 있다.In step 920, the terminal 200 obtains the CINR from the received signal by acquiring the repeater preamble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preambl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preambl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10 to which it belongs. The relative time delay value information is acquired and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100 through the MOB_SCN_REP (step 930).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CINR, general signal to noise ratio (SNB),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SIB), and the like may also be used.

940 단계에서 기지국(100) 또는 상위의 위치정보 관리시스템은 수신된 MOB_SCN_REP 정보를 통해 각각의 단말기가 위치한 중계기(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단말기가 속한 중계기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950 단계에서 기지국(100)은 각각의 중계기(10)에서 송신하고 있는 프리엠블의 신호 세기를 기준값으로 정한 신호세기와 비교하여 프리엠블 출력 조절을 위한 게이느 온/오프 정보, 세기정보 등을 상술한 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하기 위해 910 단계로 루프백한다.In step 940, the base station 100 or the upper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quir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10 in which each terminal is located through the received MOB_SCN_REP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peater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In step 950, the base station 100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preamble transmitted by each repeater 10 with the signal strength determined as a reference value, and details the gay on / off information and the intensity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preamble output. Loop back to step 910 to transmit using a table parameter.

상술한 절차를 통해 기지국(100) 또는 상위의 위치정보 관리시스템 단말기가 속한 중계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peater to which the base station 100 or the upper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erminal belongs.

따라서, 본 발명은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프리엠블의 옵셋을 중계기마다 달리 할당하고, 중계기 프리엠블의 송신을 게이트 온/오프함으로써, 프리엠블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와이브로, 와이맥스 등)의 단말기가 중계기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어느 중계기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지 중계기 단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프리엠블 신호가 잡음으로 간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종래 시스템의 커다란 변동 없이 주어진 프리엠블 자원을 활용하여 중계기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고, 프리엠블이 잡음으로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ffset of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preamble is differently allocated to each repeater, and the gate of the transmission of the repeater preamble is gated on / off, so that a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Bro, WiMAX, etc.) using the preamble is a repeater. If located below, it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peater unit under which repeater it is located, minimize the preamble signal to be considered as noise, and utilize the given preamble resources without significant fluctuations in the conventional system. The location of the located terminal can be determined, and the preamble can minimize the noise.

Claims (9)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에서 송신되어온 신호를 중계하여 출력하고, 할당된 정보에 따라 각기 다른 옵셋을 가지도록 프리엠블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 및,One or more relays which relay and outpu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output a preamble signal to have different offsets according to the allocated information; And, 상기 중계기별 할당된 프리엠블 옵셋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중계기에 속한 단말기로부터 보고되는 정보에 의해 각각의 단말기 위치를 파악하는 서버The server stores the preamble offset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of the repeaters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each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terminals belonging to the repeater.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시스템.System for positioning in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중계기는,The repeater, 할당된 정보에 따라 프리엠블 신호를 게이트 온/오프하여 출력하기 위한 게이트온/오프 조절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시스템.And a gate on / off controller for gate-on / off output of a preamble signal according to the allocated information.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중계기는,The repeater, 상기 할당된 정보에 따라 해당 프리엠블을 발생하는 프리엠블 발생기;A preambl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preamble according to the allocated information; 상기 프리엠블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켜 프리엠블을 출력하기 위한 옵셋조절기; 및,An offset controller for outputting a preamble by delay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reamble generato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상기 프리엠블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조절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시스템.And an output regulator for adjusting the output strength of the preamble.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 파악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중계기별 프리엠블 발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preamble for each repeater;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메시지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속한 중계기의 프리엠블 옵셋값을 검출하는 2단계; 및,Detecting a preamble offset value of a repeater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from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상기 검출된 옵셋값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속한 중계기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3단계Step 3 of detecting and storing the position of the repeater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through the detected offset value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방법.Method for location determina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옵셋값의 검출은,Detection of the offset value, 스케닝결과보고메시지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속한 중계기의 옵셋값을 검출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방법.And detecting offset value of the repeater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from the scanning result report message.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신호의 상대적 크기 정보와 단말기가 속한 해당 영역을 관할하는 중계기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리엠블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Receives a preamble-related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relative size informat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or the corresponding area belonging to the terminal,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대적 크기 정보에 따라 프리엠블 출력 조절을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방법.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adjusting preamble output according to the relativ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ignal.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프리엠블 신호의 크기는 중계기를 거쳐가는 기지국 하향링크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방법.The size of the preamble signal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base station downlink signal passing through the repeater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중계기별 프리엠블 발생을 위한 정보와 게이트 온/오프 정보를 수신하고,Receives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preamble for each repeater and gate on / off information,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시키며,Generating a preamble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상기 발생된 프리엠블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오프 정보에 따라 온/오프시켜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the generated preamble signal on / off according to the gate on / off information 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방법.Method for positioning in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프리엠블 신호의 게이트 온 시점은 중계기별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위치파악을 위한 방법.And a gate-on time point of the preamble signal is different for each repeater.
KR1020060023303A 2006-03-14 2006-03-14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Expired - Fee Related KR1007664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03A KR100766476B1 (en) 2006-03-14 2006-03-14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03A KR100766476B1 (en) 2006-03-14 2006-03-14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471A KR20070093471A (en) 2007-09-19
KR100766476B1 true KR100766476B1 (en) 2007-10-12

Family

ID=3868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3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6476B1 (en) 2006-03-14 2006-03-14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47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8172A2 (en) 1995-08-08 1997-02-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ource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relay suitable for executing said method
EP1396730A1 (en) 2002-09-06 2004-03-10 Hitachi, Lt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terminal in a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8172A2 (en) 1995-08-08 1997-02-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ource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relay suitable for executing said method
JPH0951352A (en) * 1995-08-08 1997-02-18 Toyota Motor Corp Transmitting position detecting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repeater
US5872772A (en) 1995-08-08 1999-02-16 Toyota Kabushiki Kaisha Source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relay suitable for executing the detecting method
EP1396730A1 (en) 2002-09-06 2004-03-10 Hitachi, Lt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terminal in a network
US20040046693A1 (en) 2002-09-06 2004-03-11 Atsushi Ogino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terminal in 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471A (en)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308B2 (en)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wireless access interface
US8422461B2 (en) Self-configurable wireless network with cooperative interference measurements by base stations
CN101018082B (e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the access point
US83319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ighbor cell configur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emtocell base station configuration
US78532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relay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scheme
US20080310537A1 (en) Portab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2257756A (en) Incremental redundancy relay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080062906A1 (en) Repeater that Reports Detected Neighbors
CN102388551A (en) Adaptive signal power measurement methods and apparatus
CN108307460A (en) A kind of cell switching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KR201900392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aseband parameters
CN100536360C (en) A multi-cell joint detection method of the broadcast channel in the time-division duplex system
KR1014008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ssage for changing to heterogeneous system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CN101730122A (en) User detection device suitable for CDMA2000 network and method
CN101242644B (en) An accelerated different frequency scanning and switching method in 802.16e system
US6295290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s
KR1007664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obile Repeater
CN101167377B (en) A method of detecting illegal occupation frequency signal in radio communication network
KR100605131B1 (en) Space Recognition System of Repeater Unit in Mobile Internet and Its Method
CN101222280B (en) Single time slot power detecting method and system
WO2001026405A1 (en) Method to reduce handovers in mobile radio systems
CN101043259B (en) Self-adapting method for little smart PHS RF signal enhancement equipment to synchronize PHS base station
CN103813396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and device for cell measuring in communication system
KR100602168B1 (en) Cell Reselection Method of Mobile Stations Moving Between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Mobile Networks
KR1006461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roughput of uplink data in WiBro rep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