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5140B1 - 알루미늄과 아이티오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루미늄과 아이티오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140B1
KR100765140B1 KR1020010030192A KR20010030192A KR100765140B1 KR 100765140 B1 KR100765140 B1 KR 100765140B1 KR 1020010030192 A KR1020010030192 A KR 1020010030192A KR 20010030192 A KR20010030192 A KR 20010030192A KR 100765140 B1 KR100765140 B1 KR 10076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aluminum
ito
etc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485A (ko
Inventor
이수원
강호민
임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1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14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23F1/20Acidic compositions for etching aluminium or alloy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53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involving the removal of at least part of the materials of the treated article, e.g. etching, drying of hardened concrete
    • C04B41/5338Etching
    • C04B41/5353Wet etching, e.g. with etchants dissolved in organic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91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involving the removal of part of the materials of the treated articles, e.g. et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eting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알루미늄과 아이티오를 동시에 식각할 수 있는 식각액 조성물에 개시되어 있다. 옥살산계 식각액 조성물은 옥살산 및 조성물의 pH를 3∼4.5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염산계 식각액 조성물은 염산 및 조성물의 pH를 0.5∼2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적절한 비율로 제조된 혼산으로 이루어진 옥살산 계열 및 염산 계열의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ITO와 알루미늄을 동시에 식각할 수 있게 되므로 약액 관리가 간편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늄과 아이티오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Etchant composition For Etching Both Aluminium And ITO}
도 1은 옥살산에 의한 알루미늄의 pH 포텐셜 다이아그램이다.
도 2a 및 2b는 옥살산에 의한 인듐(도 2a) 및 주석(도 2b)의 pH 포텐셜 다이아그램이다.
도 3은 염산에 의한 알루미늄의 pH 포텐셜 다이아그램이다.
도 4a 및 4b는 염산에 의한 인듐(도 2a) 및 주석(도 2b)의 pH 포텐셜 다이아그램이다.
본 발명은 식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금속층 및 ITO(indium-tin-oxide) 막의 두가지 막을 모두 식각할 수 있는 식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투명도전막은 액정표시장치와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화소의 표시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이 필요하며 이 경우 투명도전막이 사용된다. 이러한 투명도전막으로서 ITO 막이 많이 사용된다. 이 ITO 막의 사용은 유기등의 기판상에 ITO 막을 형성하고, 레지스트를 마스크로 ITO막을 에칭하여 얻어진다.
ITO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자 기판상에 비율의 산화인듐(In2O3)과 산화주석(SnO3)의 복합체를 유기 기판상에 통상의 스퍼터링 등으로 도포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도포된 ITO막의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수행하여 원하는 형상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일단, ITO막을 얻어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식각함으로써 투명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ITO의 화학적 내성 때문에 ITO막을 화학적으로 식각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식각은 통상 다음과 같은 식각액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즉, 왕수(HCl+HNO3+H2O), 염화제이철+염산(FeCl3+HCl), 인산, 브롬화수소(HBr), 요오드화수소(HI) 등이 그것이다.
왕수는 식각 속도가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기는 하나 식각액 조성물이 약간 불안정하고 염산과 질산으로 휘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부수적인 패턴 식각으로 식각량이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왕수와 마찬가지로, 염화제이철 식각액 조성물은 식각 속도는 빠르지만 불안정하고 염산으로 분해하기 쉽다.
한편, 인산 용액은 전극에 사용될 때 Al이 식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브롬화수소와 브롬화요오드는 빠른 식각률을 가지며 부수적인 패턴 식각이 적은 반면에 고가이고 독성이 강하며 부식력이 좋아서 이에 대한 상업적인 사 용은 극히 제한적이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ITO 식각액은 강한 화학적 활성으로 인하여 화학적 내성이 약한 Al, Mo, 이들의 합금과 같은 물질로 제조된 타층에 대하여 손상을 입히는 경향이 있다. 이는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이 다양한 다층 식각 물질을 요하는 전자 기판의 제조시에 문제가 되는데, 그 결과, 종래의 식각액은 다른 종류의 물질로 제조된 다양한 식각층의 요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높은 식각선택비를 갖기 위해서는 크게 상이한 식각비를 갖는 물질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한편, 특히, TFT-LCD의 게이트 및 소오스/드레인 배선 물질로서는, TFT-LCD의 동작에서 중요한 게이트 배선의 RC Delay를 작게 하기 위하여 저항이 작은 Al 합금 형태로 사용되거나 Al 또는 Al 합금층 위에 또다른 금속층을 가지는 다층의 적층 구조가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Al 또는 Al 합금으로 된 금속 박막은 공정 가스(Cl2, BCl3, SF6, CF4, CHF3)를 이용한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건식 에칭하거나 인산, 질산, 아세트산 및 물로 구성된 식각액을 사용하여 30∼45℃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습식 식각된다. 이러한 습식 식각액의 일반적인 조성비의 한 예는 72 인산, 2 질산, 10 아세트산 및 16의 물이다.
TFT-LCD 게이트 및 소오스/드레인 어레이의 형성시에 후속 공정에서 적층되는 상부막들의 스텝 커버리지 향상을 위하여 식각 공정시에 테이퍼(taper) 각 구현 및 등방성 또는 이방성, 그리고 습각후의 단면과 같은 프로파일은 중요한 공정 관리의 항목으로 중시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ITO와 알루미늄의 식각을 위하여 독립적인 혼한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막질을 화학적 반응에 의해 식각하였다. 이에 따라 혼산 약액 관리가 이원화 되어 설비 구성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설비 투자 비용의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이들 두 막질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식각이 가능한 식각액으로서 마스터 용액(master solution)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생산성과 비용면에서 획기적인 발명이 될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공정상에서 ITO 막이 결정질이 아닌 a-ITO 필름이므로 이와 같이 공통적으로 식각이 가능한 식각액 조성물의 개발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필요에 부응하는 것으로 옥살산 계열의 혼산과 염산 계열의 혼산을 적절한 pH를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ITO와 알루미늄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식각이 가능한 식각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옥살산 및 조성물의 pH를 3∼4.5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및 ITO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pH를 3∼4.5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으로서는 불소의 염, 염화제 이철(FeCl3) 및 염산을 포함하는 산혼합물, 질산, HClO4 및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산혼합물, 및 제1 성분으로서 인산 및 제2 성분으로서 아세트산 및 질산중 어느 하나의 산을 포함하는 산혼합물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염산 및 조성물의 pH를 0.5∼2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을 포함하는 알루미늄과 ITO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경우, 상기 pH를 0.5∼2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으로서는 인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산혼합물, HClO4, 질산 및 HClO4의 산혼합물, 불소의 염 및 염화제이철(FeCl3) 중에서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LCD용 알루미늄 합금 게이트 및 ITO 투명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옥살산 계열의 식각액 조성물과 염산 계열의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고 이들의 pH를 적절한 값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특히 LCD에 적용되는 ITO막과 알루미늄막을 동시에 식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옥살산 계열의 식각액 조성물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옥살산에 의한 알루미늄의 pH 포텐셜 다이아그램이다.
알루미늄은 특히 LCD의 게이트로 적용될 때 네오디뮴(Nd)과의 합금으로서 존재하게 된다. 도면에서 pH가 4에서 존재하는 옥살산 종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포텐 셜(vs. NHE)은 -2.4V±200mV 이므로 알루미늄 합금은 다음식 (1)∼(3)에 따라 산화제에 의해 산화물을 형성한 후 3가로 부식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Al + 6H2O + 3O2 = 2Al2O3 + 6H2O --- (1)
또는 Al + 산화제 = Al2O3 + 산화제′ --- (2)
Al2O3 + 6H+ = 2Al3+ + 3H2O --- (3)
그리고, 도 2a 및 2b는 옥살산에 의한 인듐(도 2a) 및 주석(도 2b)의 pH 포텐셜 다이아그램이다. 옥살산계 식각액의 경우 pH가 4 부근에 존재하며 포텐셜(vs. NHE)은 0V±200mV 이므로 In, Sn이 산화물 형태로 존재하며 다음 식 (4)∼(7)에서 제시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In2O3 + 6H2C2O4 = 2In(C2O4) 3 3- + 6H+ + 3H2O --- (4)
2In(C2O4)3 3- + 6H+ + 4H2O = 2InC2 O2H2O + 3H2C2O4 + 2CO2 ---(5)
2SnO2 + 6H2C2O4 = 2Sn(C2O4)3 2- + 4H+ + 4H2O ---(6)
2Sn(C2O4)3 2- + 8H+ + 2H2O
= 2SnC2O2H2O + 3H2C2O4 + 2CO2 --- (7)
결국, 옥살산 계열의 혼산의 pH를 3∼4.5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ITO의 인듐 및 주석과 알루미늄을 동시에 이온화하여 용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 러한 기본 개념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조성물의 예로서는 다음 네가지를 들 수 있다. 각 조성물에서 각 성분의 혼합비는 공정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서, 설정되는 공정 조건에 준하여 적절한 비율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① 옥살산 + 불소의 염(NH4F, NaF, KF 등)
② 옥살산 + FeCl3 + HCl
③ 옥살산 + HNO3 + HClO4 + AcOH
④ 옥살산 + H3PO4 + AcOH (HNO3)
다음은, 염산 계열의 식각액 조성물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염산에 의한 알루미늄의 pH 포텐셜 다이아그램이다.
pH가 1에서 존재하는 HCl 계 식각액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포텐셜(vs. NHE)은 -1.6V±200mV 이므로 식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식의 결과물 혹은 첨가제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의 포텐셜이 올라가면서 부식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Al2O3 + 6H+ = 2Al3+ + 3H2O --- (8)
그리고 도 4a 및 4b는 염산에 의한 인듐(도 2a) 및 주석(도 2b)의 pH 포텐셜 다이아그램이다. 염산계 식각액의 경우 pH가 1 부근에 존재하며 ITO 전극의 포텐셜(vs. NHE)은 -1.4V±100mV 이므로 In, Sn이 식 (9)∼(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산 이외의 산 혹은 첨가물에 의해 산화물로 존재하게 되며 위에서 이후 염산에 의해 부식이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2In + 2HX = In2O3 + 2NO + 2H2O --- (9)
2In2O3 + 6HCl = 2InCl3 + 3H2O --- (10)
Sn + 2HX = SnO2 + NO + NO2 + H2O --- (11)
SnO2 + 4HCl = 2SnCl4 + 2H2O --- (12)
결국, 염산 계열의 혼산의 pH를 0.5∼2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ITO의 인듐 및 주석과 알루미늄을 동시에 이온화하여 용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기본 개념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조성물의 예로서는 다음 다섯 가지를 들 수 있다.
① 염산 + H3PO4 + HNO3
② 염산 + HClO4
③ 염산 + HNO3 + HClO4
④ 염산 + F의 염 (NH4F, NaF, KF 등)
⑤ 염산 + FeCl3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각액 조성물에서 식각률(etch rate)은 알루미늄막에 대하여 6000∼7000Å/분 이상이며 ITO막에 대하여는 1500Å/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각후 막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는 식각 균일도(etch uniformity)는 600∼730 x 720∼920mm 기판에 대하여 10%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절한 비율로 제조된 혼산으로 이루어진 옥살산 계열 및 염산 계열의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ITO와 알루미늄을 동시에 식각할 수 있게 되므로 약액 관리가 간편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옥살산 및 조성물의 pH를 3∼4.5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및 ITO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를 3∼4.5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은
    염화제이철(FeCl3)과 염산을 포함하는 산혼합물;
    질산과 HClO4 와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산혼합물;
    인산과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산혼합물;
    인산과 질산을 포함하는 산혼합물; 및
    불소의 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LCD용 알루미늄 합금 게이트 및 ITO 투명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4. 염산 및 조성물의 pH를 0.5∼2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을 포함하는 알루미늄과 ITO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H를 0.5∼2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산은
    인산과 질산을 포함하는 산혼합물;
    질산과 HClO4를 포함하는 산혼합물;
    HClO4;
    불소의 염; 및
    염화제이철(FeCl3)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LCD용 알루미늄 합금 게이트 및 ITO 투명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KR1020010030192A 2001-05-30 2001-05-30 알루미늄과 아이티오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76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192A KR100765140B1 (ko) 2001-05-30 2001-05-30 알루미늄과 아이티오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192A KR100765140B1 (ko) 2001-05-30 2001-05-30 알루미늄과 아이티오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485A KR20020091485A (ko) 2002-12-06
KR100765140B1 true KR100765140B1 (ko) 2007-10-15

Family

ID=2770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1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5140B1 (ko) 2001-05-30 2001-05-30 알루미늄과 아이티오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457A (ko) * 2002-07-10 2004-01-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개선된 ito 또는 비결정질 ito 식각액 조성물
CN1309870C (zh) * 2004-04-30 2007-04-11 洛阳轴承集团有限公司 一种检查渗碳钢制轴承零件加工缺陷的酸洗液
KR101026983B1 (ko) * 2004-10-28 2011-04-11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에칭 조성물
KR101154244B1 (ko) 2005-06-28 2012-06-18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알루미늄, 몰리브덴, 인듐-틴-옥사이드를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KR100819557B1 (ko) * 2006-08-17 2008-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식각용액, 이를 이용하는 금속 식각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반도체 제품의 제조방법
KR102368028B1 (ko) 2017-03-29 2022-02-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이종 금속 다층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선 형성 방법
CN117025224A (zh) * 2023-08-07 2023-11-10 安徽方兴光电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膜材黄光蚀刻液及其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1237A (ja) * 1987-12-08 1989-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透明導電性膜のエツチング方法
JPH06151380A (ja) * 1992-11-09 1994-05-31 Hitachi Ltd 金属/ito多層膜のエッチング方法
JPH07141932A (ja) * 1993-11-18 1995-06-02 Kanto Chem Co Inc 透明導電膜のエッチング液組成物
JPH0950040A (ja) * 1995-08-07 1997-02-18 Seiko Epson Corp 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及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00017470A (ko) * 1998-08-18 2000-03-25 이기원 아이티오 에칭 조성물
JP2000309888A (ja) * 1999-04-22 2000-11-07 Asahi Denka Kogyo Kk Ito膜除去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ito膜除去方法
KR20020033025A (ko) * 2000-10-19 2002-05-04 정지완 투명도전막의 에칭액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1237A (ja) * 1987-12-08 1989-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透明導電性膜のエツチング方法
JPH06151380A (ja) * 1992-11-09 1994-05-31 Hitachi Ltd 金属/ito多層膜のエッチング方法
JPH07141932A (ja) * 1993-11-18 1995-06-02 Kanto Chem Co Inc 透明導電膜のエッチング液組成物
JPH0950040A (ja) * 1995-08-07 1997-02-18 Seiko Epson Corp 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及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00017470A (ko) * 1998-08-18 2000-03-25 이기원 아이티오 에칭 조성물
JP2000309888A (ja) * 1999-04-22 2000-11-07 Asahi Denka Kogyo Kk Ito膜除去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ito膜除去方法
KR20020033025A (ko) * 2000-10-19 2002-05-04 정지완 투명도전막의 에칭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485A (ko) 200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9956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液晶表示装置のエッチング液組成物
CN1749354B (zh) 铟氧化物层的蚀刻剂组合物及使用它的蚀刻方法
US20210404068A1 (en) Etching solution, annexing ag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wiring
KR101310310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식각액 조성물
KR101518055B1 (ko) 금속막 에칭액 조성물
US20100291722A1 (en) Etch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ray substrate using the same
CN103000509B (zh) 制造显示设备的方法和蚀刻溶液组合物
CN101070596A (zh) 薄膜晶体管液晶显示装置的蚀刻组合物
JP4949416B2 (ja) Ito膜用のエッチング液組成物、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ito膜のエッチング方法
KR20080069444A (ko) Tft-lcd용 금속 배선 형성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CN103668206A (zh) 用于铜层/钛层的蚀刻溶液组合物
KR20130008331A (ko) 구리막/티타늄막의 식각액 조성물
CN102597162A (zh) 蚀刻液组合物
KR100765140B1 (ko) 알루미늄과 아이티오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
KR101339316B1 (ko) 유리 손상이 없는 구리 / 몰리브데늄막 또는 몰리브데늄 / 구리 / 몰리브데늄 3중 막의 식각 조성물
KR10137160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용 식각 조성물
KR101026983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에칭 조성물
JPWO2018154775A1 (ja) エッチング液とその使用
KR100598418B1 (ko) 알루미늄 및 투명도전막의 통합 식각액 조성물
CN111172541B (zh) 银薄膜蚀刻液组合物、蚀刻方法及金属图案的形成方法
KR100415319B1 (ko) 투명도전막의 에칭액 조성물
JP3502365B2 (ja) 透明導電膜のエッチング液組成物
KR20160090575A (ko) 인듐산화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20040097584A (ko) 평판디스플레이용 투명도전막의 에칭액 조성물
KR100595910B1 (ko) 평판디스플레이용 투명도전막의 에칭액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5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