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339B1 - Supercoo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upercool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4339B1 KR100764339B1 KR1020067005983A KR20067005983A KR100764339B1 KR 100764339 B1 KR100764339 B1 KR 100764339B1 KR 1020067005983 A KR1020067005983 A KR 1020067005983A KR 20067005983 A KR20067005983 A KR 20067005983A KR 100764339 B1 KR100764339 B1 KR 100764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subcooling
- heat source
- cooling fluid
- circu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25B2313/023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during coo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2—Refrigeration systems for supermark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3—Time de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3—Temperatures near a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7/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cascade operation, i.e. with two or more circuits, the heat from the condenser of one circuit being absorbed by the evaporator of the next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과냉각 유닛(200)은, 그 냉매통로(205)가 냉동장치(10)의 액측 연락배관(21, 22)에 접속된다.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운전하면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 내에서 과냉각용 냉매가 순환하고 냉동순환이 이루어져, 냉매통로(205)를 흐르는 냉동장치(10)의 냉매가 냉각된다. 과냉각 유닛(200)의 제어기(240)에는, 흡입압력센서(234)나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이 입력된다. 제어기(240)는 이들 센서(234, 236)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과냉각 유닛(200) 내에서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제어를 한다. 이로써, 설치대상의 냉동장치와의 사이에서 신호수수를 하는 일없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운전 제어할 수 있다.The subcooling unit 200 has a refrigerant passage 205 connected to the liquid side communication pipes 21 and 22 of the refrigerating device 10. When the subcooling compressor 221 is operated, the subcooling refrigerant circulates in the subcooling refrigerant circuit 220 and the freezing circulation is performed to cool the refrigerant in the refrigerating device 10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205. The detection value of the suction pressure sensor 234 or the refrigerant temperature sensor 236 is input to the controller 240 of the subcooling unit 200. The controller 2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bcooling compressor 221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subcooling unit 200 using the input signals from the sensors 234 and 236. Thereby, the operation of the subcooling compressor 221 can be controlled without the need for signal passing between the refrigeration apparatus to be installed.
Description
열원유닛과 이용유닛을 구비하는 냉동장치에 설치되어, 액측 연락배관을 통해 열원유닛으로부터 이용유닛으로 보내지는 냉매를 냉각하는 과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It is installed in a refrigeration apparatus having a heat source unit and a use unit, and relates to a super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refrigerant sent from the heat source unit to the use unit through the liquid side communication pipe.
종래, 냉각능력의 증대를 목적으로 냉동장치에 설치되어, 열원유닛으로부터 이용유닛으로 보내지는 냉매를 냉각하는 과냉각 장치가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subcooling devices are known which are installed in a refrigerating devic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cooling capacity and cool the refrigerant sent from the heat source unit to the use unit.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과냉각 장치는, 실외유닛과 실내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이 과냉각 장치는, 실외유닛과 실내유닛을 접속하는 액측 연락배관의 중간에 설치됨과 더불어, 과냉각용 냉매 회로를 구비한다. 이 과냉각 장치는, 과냉각용 냉매 회로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순환을 행하며, 액측 연락배관으로부터 보내진 공조기 냉매를 과냉각용 냉매 회로의 증발기에서 냉각시킨다. 그리고 이 과냉각 장치는, 공조기의 실외유닛으로부터 실내유닛으로 보내지는 액 냉매를 냉각시켜, 실내유닛으로 보내지는 액 냉매의 엔탈피를 저하시킴으로써 냉방능력을 향상시킨다.For example, the supercooling apparatus disclosed i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과냉각 장치는, 공기 조화기 등의 냉동장치를 보조하여 그 냉각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때문에 냉동장치의 정지 중에 과냉 각 장치만을 운전시켜도 무의미하다. 또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과 같이 냉동장치가 히트펌프로서 동작하는 상태에서 과냉각 장치를 운전시키는 것도 무의미하다. 이와 같이, 과냉각 장치를 운전시켜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는, 과냉각 장치가 설치된 냉동장치의 운전상태를 알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bcooling device is for assisting a refrigerating device such as an air conditioner to increase its cooling capacity. Therefore, it is meaningless to operate only the supercooling device while the freezing device is stopped. It is also meaningless to operate the supercool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ing device operates as a heat pump like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 this way, in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subcooling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ing apparatus in which the subcooling apparatus is installed.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과냉각 장치에서는, 과냉각 장치의 제어부를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와 접속시켜 1개의 제어시스템을 구성했다. 이 과냉각 장치의 제어부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로부터 입력된다. 그리고 이 과냉각 장치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그 운전제어가 실행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subcooling apparatus disclosed in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10-18533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85333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the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과냉각 장치는, 이것이 설치될 냉동장치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는다. 때문에, 과냉각 장치를 냉동장치에 설치할 때에는 양자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배선공사가 필요하여, 과냉각 장치의 설치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과냉각 장치를 설치할 때에 배선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으며, 이와 같은 설치작업 시의 작업 오류에 기인하는 고장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ubcooling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refrigeration apparatus to which it is installed. Therefore, when the supercool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device, wiring 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two devices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supercooling device is complicated. In addition, a wiring error may occur when the supercooling device is installed, and there is a fear of causing a failure due to an operation error during such installation work.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설치대상의 냉동장치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는 일없이 과냉각 장치의 운전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과냉각 장치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함과 더불어, 설치작업 시의 인적 작업 오류에 의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enable operation control of a supercooling device without exchanging a signal with a refrigeration device to be installed, thereby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supercooling device. In addition, it is to prevent failure due to human error during installation work.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제 1 발명은, 연락배관으로 접속된 열원유닛(11)과 이용유닛(12, 13, 14) 사이에서 열원측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순환을 실행하는 냉동장치(10)에 설치되어, 열원유닛(11)으로부터 이용유닛(12, 13, 14)으로 보내지는 상기 냉동장치(10)의 열원측 냉매를 냉각시키는 과냉각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장치(10)의 액측 연락배관(21, 22)에 접속되는 냉매통로(205)와, 냉각용 유체가 유통하는 냉각용 유체회로(220)와, 상기 냉매통로(205) 내의 열원측 냉매를 상기 냉각용 유체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기 위한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와,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상기 냉매통로(205) 내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수단(240)을 구비하는 것이다.The firs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과냉각 장치(200)가 설치되는 냉동장치(10)에서는, 연락배관을 통해 열원유닛(11)과 이용유닛(12, 13, 14) 사이에서 냉매가 왕래한다. 과냉각 장치(200)의 냉매통로(205)는 냉동장치(10)의 액측 연락배관(21, 22)에 접속되며, 그 내부를 냉동장치(10)의 열원측 냉매가 유통한다. 과냉각 장치(200)의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는 냉각용 유체가 유통한다.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냉매통로(205) 내를 흐르는 열원측 냉매는, 냉각용 유체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된다.In the refrigerating
이 발명의 과냉각 장치(200)는, 냉동장치(10)의 운전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과냉각 장치(200)의 운전은 냉동장치(10)의 운전 중에만 필요하며, 냉동장치(10)의 정지 중에 과냉각 장치(200)만을 운전시키는 것은 무의미하다. 또 이 발명의 과냉각 장치(200)는, 이용유닛(12, 13, 14)에서의 냉각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냉동장치(10)가 히트펌프로서 기능하는 식의 상태에서는, 과냉각 장치(200)를 운전해도 실질적 이익은 거의 기대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과냉각 장치(200)에 대해서는, 냉동장치(10)의 운전상태에 따라 운전해야 할 경우와 운전하지 말아야 할 경우가 있다.The
이에 반해, 이 발명의 과냉각 장치(200)에서는, 제어수단(240)이 냉각용 유체회로(220)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수단(240)은, 냉각용 유체의 유통상태 제어를, 냉매통로(205) 내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에 따라 행한다. 냉매통로(205) 내에서는, 액측 연락배관(21, 22)을 통해 열원유닛(11)과 이용유닛(12, 13, 14) 사이를 오가는 열원측 냉매가 유통한다. 따라서 냉매통로(205) 내에서의 냉매 유통상태에 기초하여 냉동장치(10)의 운전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과냉각 장치(200)의 제어수단(240)은, 냉동장치(10)의 운전상태에 관한 신호를 냉동장치(10)로부터 받는 일없이, 냉매통로(205) 내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에 따라,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contrast, in the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는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로 구성되며,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구비하고, 냉각용 유체로서의 과냉각용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순환을 실행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fluid circuit includes a
상기 제 2 발명에서, 과냉각 장치(200)의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는, 과냉각용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냉동순환이 이루어진다.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는, 냉매통로(205) 내를 흐르는 열원측 냉매가 과냉각용 냉매와 열교환 된다. 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는, 과냉각용 냉매가 열원측 냉매로부터 흡열하고 증발하여, 열원측 냉매가 냉각된다.In the second invention, in the
제 3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의 과냉각용 냉매 순환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second invention, in the second invention, the control means 2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40)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용량을 조절하면,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의 과냉각용 냉매 순환량이 변화한다. 따라서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하면, 그에 따라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의 과냉각용 냉매 순환상태가 제어된다.In the third invention, when the control means 240 adjusts the operating capacity of the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40)은, 과냉각용 압축기(221) 운전 중의 냉매통로(205) 내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방향과 이 냉매통로(205) 내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의 유무를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로서 검출하여,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흐르는 상태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하며, 상기 냉매통로(205) 내를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흐르는 상태 및 상기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측 냉매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fourth invention, in the third invention, the control means 240 includes a heat source-side refrigerant flow direction in the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제어수단(240)은, 과냉각용 압축기(221) 운전 중의 냉매 유통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수단(240)은, 냉매통로(205) 내에서의 냉매 유통방향과 이 냉매통로(205) 내에서의 냉매 유통 유무를, 냉매의 유통상태로서 검출한다.In the fourth invention, the control means 240 detects the refrigerant flow stat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이 발명의 제어수단(240)은, 검출한 냉매의 유통상태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제어를 행한다.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상태에서는, 냉동장치(10)가 이용유닛(12, 13, 14)에서 대상물을 냉각하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는, 제어수단(240)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켜, 과냉각 장치(200)가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하는 냉매를 냉각시킨다. 한편, 냉매통로(205) 내를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상태나,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유통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냉동장치(10)가 이용유닛(12, 13, 14)에서 대상물을 냉각하는 동작을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는 제어수단(240)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정지시켜, 과냉각 장치(200)의 불필요한 운전을 회피한다.The control means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operation control of the
제 5 발명은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40)은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fourth invention, in the fourth invention, the control means 240 is configured to start the
상기 제 5 발명에 있어서 제어수단(240)은,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시점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수단(240)은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다. 이 제어수단(240)은,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 후에 냉매통로(205) 내에서의 냉매 유통상태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킬지,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킬지를 판단한다.In the fifth invention, the control means 240 calculates the elaps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제 6 발명은 상기 제 3, 제 4 또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 시점으로부터의 상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에 기초하여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 sixth invention, in the third, fourth, or fifth invention, the heat source sid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상기 제 6 발명에서는 과냉각 장치(200)에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이 구성된다.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은,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에서 냉매온도를 검출한다.In the sixth invention, the coolant
이 발명의 제어수단(240)은,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 시점으로부터의 상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에 기초하여, 냉매통로(205)의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저하되어 가는 상태에서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냉각된 냉매의 온도가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에 의해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 결과, 냉매통로(205)에서는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해도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변화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로 유입되기 전의 냉매온도가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에 의해 검출되었거나, 또는 냉매통로(205) 내에서 냉매가 유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means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judges the coolant flow state of the
제 7 발명은 상기 제 3, 제 4 또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과, 상기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의 과냉각용 냉매 증발온도를 검출하는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상기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third, fourth or fifth invention, the heat source sid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과냉각 장치(200)에 냉매온도 검출수단(236)과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이 구성된다.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은,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에서 냉매온도를 검출한다.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은,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의 과냉각용 냉매 증발온도를 검출한다.In the seventh invention, the
이 발명의 제어수단(240)은, 상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상기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냉매통로(205)에서의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의 검출값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냉각된 냉매의 온도가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에 의해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 결과, 냉매통로(205)에서는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의 검출값보다 대폭으로 높은 상태이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로 유입되기 전의 냉매온도가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에 의해 검출되었거나, 또는 냉매통로(205) 내에서 냉매가 유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means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judges the refrigerant circulation state in the
제 8 발명은 상기 제 3, 제 4 또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과,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열원유닛(11)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의 검출값과 상기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third, fourth or fifth invention, the heat source sid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상기 제 8 발명에서는, 과냉각 장치(200)에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과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이 구성된다.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은,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에서 냉매온도를 검출한다.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은,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열원유닛(11) 쪽 부분에서 냉매온도를 검출한다.In the eighth invention, the
이 발명의 제어수단(240)은, 상기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의 검출값과 상기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냉매통로(205)의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의 검출값이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의 검출값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으로 향하는 냉매가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냉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의 검출값이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의 검출값보다 충분히 높은 상태에서는,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으로 향하는 냉매가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냉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의 검출값과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의 검출값이 거의 같은 상태에서는, 냉매통로(205) 내에서 냉매가 유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means 240 of this invention is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said 1st refrigerant | cool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7, and the detected value of the said 2nd refrigerant | cool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8, The refrigerant | coolant circulation state of the refrigerant |
제 9 발명은 제 1,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로(205)에는 열원측 냉매흐름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계(251)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유량계(251)의 검출값을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 냉각용 유체가 유통하는 상태에 있어서, 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을 계속시킬지 정지시킬지를 상기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In the ninth invention, in the first, second or third invention, the
상기 제 9 발명에서는, 유량계(251)의 검출값이 제어수단(240)에 입력된다. 냉매통로(205)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는, 유량계(251)의 검출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상기 유량계(251)의 검출값을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이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ninth inventi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제 10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과,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열원유닛(11)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의 검출값과 상기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 검출값의 차를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 냉각용 유체가 유통하는 상태에 있어서, 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을 계속시킬지 정지시킬지를 상기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tenth invention, in the first, second or third invention, the heat source sid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상기 제 10 발명에서는,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과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의 검출값이 제어수단(240)에 입력된다.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의 검출값과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의 검출값을 비교하면, 냉매통로(205)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의 검출값이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의 검출값보다 낮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유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그렇지 않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또는 열원측 냉매가 흐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237)의 검출값과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238) 검출값의 차를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이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의 냉각용 유체의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tenth invention, the detection values of the first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7 and the second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8 are input to the control means 240.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first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7 and the detection value of the second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8 are compar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at source-side refrigerant distribution state in the
제 11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를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 냉각용 유체가 유통하는 상태에 있어서, 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을 계속시킬지 정지시킬지를 상기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eleventh invention, in the first, second or third invention, the heat source sid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상기 제 11 발명에서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제어수단(240)에 입력된다.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를 감시하면, 냉매통로(205)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용 유체가 유통하는 상태에서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저하되어 가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유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그렇지 않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또는 열원측 냉매가 흐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을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이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eleventh inventi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is input to the control means 240. By monitoring the change in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ol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at source-side coolant distribution state in the
제 12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 입구에서의 냉각용 유체 온도를 검출하는 입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2)과, 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 출구에서의 냉각용 유체 온도를 검출하는 출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3)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입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2)의 검출값과 상기 출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3) 검출값의 차를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 냉각용 유체가 유통하는 상태에서, 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을 계속시킬지 정지시킬지를 상기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twelfth invention, in the first, second or third invention, the inlet fluid temperatur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oling fluid temperature at the inlet of the
상기 제 12 발명에서는 입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2)과 출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3) 검출값이 제어수단(240)에 입력된다. 입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2)의 검출값과 입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2) 검출값을 비교하면, 냉매통로(205)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2)의 검출값이 입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2)의 검출값보다 높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유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그렇지 않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또는 열원측 냉매가 흐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입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2)의 검출값과 출구 쪽 유체온도 검출수단(253) 검출값의 차를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이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twelfth invention, the inlet fluid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52 and the outlet fluid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53 detected values are input to the control means 240. Comparing the detected value of the inlet fluid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52 and the detected value of the inlet fluid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5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at source-side refrigerant distribution state in the
제 13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의 과냉각용 냉매 증발압력을 검출하는 증발압력 검출수단(23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증발압력 검출수단(234)의 검출값을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 과냉각용 냉매가 순환하는 상태에 있어서, 이 과냉각용 냉매의 순환을 계속시킬지 정지시킬지를 상기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thirteenth invention, in the second or third invention, the subcooling
상기 제 13 발명에서는 증발압력 검출수단(234)의 검출값이 제어수단(240)에 입력된다. 증발압력 검출수단(234)의 검출값 변화를 감시하면, 냉매통로(205)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냉각용 냉매가 순환하는 상태에서 증발압력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어느 정도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측 냉매가 유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그렇지 않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측 냉매가 흐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증발압력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을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고, 이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의 과냉각용 냉매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thirteenth inventi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evaporation pressure detecting means 234 is input to the control means 240. By monitoring the change in the detection value of the evaporation pressure detecting means 23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at source-side refrigerant distribution state in the
제 14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과, 상기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의 과냉각용 냉매 증발온도를 검출하는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상기 증발온도 검출수단(234) 검출값의 차를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 과냉각용 냉매가 순환하는 상태에서, 이 과냉각용 냉매의 순환을 계속시킬지 정지시킬지를 상기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second or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second or third invention, a refrigerant for detecting a heat source sid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제 14 발명에서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과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의 검출값이 제어수단(240)에 입력된다.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증발온도 검출수단(234)의 검출값을 비교하면, 냉매통로(205)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증발온도 검출수단(234) 검출값의 차가 소정값(예를 들어 10℃ 정도) 이내이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유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그렇지 않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또는 열원측 냉매가 흐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증발온도 검출수단(234) 검출값의 차를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이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의 과냉각용 냉매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fourteenth invention, the detection values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6 and the evaporation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4 are input to the control means 240. Comparing the detection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6 with the detection value of the evaporation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at source-side refrigerant distribution state in the
제 15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을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 냉각용 유체의 유통이 정지된 상태에 있어서, 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을 개시시킬지 정지상태를 계속시킬지를 상기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fifteenth invention, in the first, second or third invention, the heat source sid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상기 제 15 발명에서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제어수단(240)에 입력된다.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을 감시하면, 냉매통로(205)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이 정지된 상태에서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어느 정도 이상의 값이 됐다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유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그렇지 않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또는 열원측 냉매가 흐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를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이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냉각용 유체회로(220)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fifteenth inventi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is input to the control means 240. By monitoring the detection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at source-side refrigerant distribution state in the
제 16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를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 냉각용 유체의 유통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을 개시시킬지 정지상태를 계속시킬지를 상기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sixteenth invention, in the first, second, or third invention, the heat source-sid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상기 제 16 발명에서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제어수단(240)에 입력된다.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를 감시하면, 냉매통로(205)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이 정지된 상태에서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상승해가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유닛(11)에서 이용유닛(12, 13, 14)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유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그렇지 않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을 향해 열원측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또는 열원측 냉매가 흐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를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이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sixteenth inventi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is input to the control means 240. By monitoring the change in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ol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at source-side coolant distribution state in the
제 17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실외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온도 검출수단(231)과, 상기 냉매통로(205) 중,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이용유닛(12, 13, 14) 쪽 부분의 열원측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상기 실외온도 검출수단(231) 검출값의 차를 열원측 냉매의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 과냉각용 냉매의 유통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 과냉각용 냉매의 유통을 개시시킬지 정지상태를 계속시킬지를 상기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seventeenth invention, in the second or third invention, the outdoor unit (231)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passage (205), the use unit (12) rather than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210) And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for detecting th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side of the
상기 제 17 발명에서는 실외온도 검출수단(231)과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제어수단(240)에 입력된다.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실외온도 검출수단(231) 검출값을 비교하면, 냉매통로(205)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이 정지된 상태에서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실외온도 검출수단(231) 검출값과의 차가 소정값 이상이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측 냉매가 유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그렇지 않으면, 냉매통로(205) 내를, 열원측 냉매가 흐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실외온도 검출수단(231) 검출값과의 차를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하여, 이 유통상태 표시값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의 과냉각용 냉매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seventeenth invention, the detection values of the outdoor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1 and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6 are input to the control means 240. Comparing the detection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6 with the detection value of the outdoor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1,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at source-side refrigerant distribution state in the
제 18 발명은, 연락배관으로 접속된 열원유닛(11)과 이용유닛(12, 13, 14) 사이에서 열원측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순환을 실행하는 냉동장치(10)에 설치되어, 열원유닛(11)으로부터 이용유닛(12, 13, 14)으로 보내지는 상기 냉동장치(10)의 열원측 냉매를 냉각시키는 과냉각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장치(10)의 열원유닛(11)이 열원측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 시키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냉동장치(10)의 액측 연락배관(21, 22)에 접속되는 냉매통로(205)와, 냉각용 유체가 유통하는 냉각용 유체회로(220)와, 상기 냉매통로(205) 내의 열원측 냉매를 상기 냉각용 유체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기 위한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와, 실외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온도 검출수단(231)과,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상기 실외온도 검출수단(231)의 검출값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수단(240)을 구비하는 것이다.The eighteenth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device (10) for circulating a heat source side refrigerant between the heat source unit (11)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ipe and the use units (12, 13, 14) to perform a freezing circulation, The sub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heat source side refrigerant of the refrigerating
상기 제 18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냉매통로(205) 내의 열원측 냉매가 냉각용 유체에 의해 냉각된다. 이 발명의 제어수단(240)에는 실외온도 검출수단(231)의 검출값이 입력된다. 실외온도 검출수단(231)의 검출값을 감시하면, 이용유닛(12, 13, 14)에서의 냉각부하 크기를 추측할 수 있어, 냉매통로(205) 내의 열원측 냉매를 냉각해야 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수단(240)은 실외온도 검출수단(231)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의 냉각용 유체 유통상태를 제어한다.In the eighteenth invention, as in the first invention, the heat source-side refrigerant in the
제 19 발명은 상기 제 18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는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로 구성되며,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구비하고, 냉각용 유체로서의 과냉각용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순환을 실행하는 것이다.In a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ighteenth invention, the cooling fluid circuit includes a subcooling
제 19 발명에 있어서, 과냉각 장치(200)의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는 과냉각용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냉동순환이 이루어진다.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는, 냉매통로(205) 내를 흐르는 열원측 냉매가 과냉각용 냉매와 열교환 된다. 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는, 과냉각용 냉매가 열원측 냉매로부터 흡열하고 증발하여, 열원측 냉매가 냉각된다.In the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ubcooling
제 20 발명은 상기 제 18 또는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 냉각용 유체가 유통하는 상태에서, 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을 계속시킬지 정지시킬지를 상기 실외온도 검출수단(231)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eighteenth or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the cooling fluid flows in the cooling
제 21 발명은 상기 제 18 또는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40)은, 상기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 냉각용 유체 유통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 냉각용 유체의 유통을 개시시킬지 정지상태를 계속시킬지를 상기 실외온도 검출수단(231)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twen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ighteenth or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240 starts the circulation of the cooling fluid in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is stopped in the cooling
상기 제 20, 제 21 발명에서는 제어수단(240)이 실외온도 검출수단(231)의 검출값을 감시한다. 실외온도 검출수단(231)의 검출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어 25℃)을 초과했다면, 이용유닛(12, 13, 14)에서의 냉각부하가 증가되어 냉매통로(205) 내의 열원측 냉매를 냉각시켜야 할 상황에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또 그렇지 않으면, 이용유닛(12, 13, 14)에서의 냉각부하가 그다지 크지 않아 냉매통로(205) 내의 열원측 냉매를 냉각시킬 필요성이 낮은 상황에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그래서 이들 발명의 제어수단(240)은 실외온도 검출수단(231)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냉각용 유체회로(220)에서 냉각용 유체를 유통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20th and 21st inventions, the control means 240 monitors the detection value of the outdoor temperature detection means 231. If the detected value of the outdoor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1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or example, 25 ° C.), the cooling load in the
제 22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 접속되어 과냉각용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방열용 열교환기(222)와, 상기 방열용 열교환기(222)에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실외 팬(230)을 구비하며,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는 상기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 중에 상기 실외 팬(230)을 운전시킴으로써 과냉각용 냉매를 자연순환 시키는 자연순환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240)은 과냉각용 냉매의 순환을 개시시킬 때에는 상기 실외 팬(230)을 기동시키고 상기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 자연순환 동작을 실행시켜, 이 자연순환동작 중의 상기 냉매통로(205) 내에서의 열원측 냉매 유통상태에 따라,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킬지 계속 정지시켜 둘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22nd invention is the heat
제 22 발명에 있어서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는, 실외 팬(230)을 운전시킴으로써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 중이라도 과냉각용 냉매가 순환한다. 즉 이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는, 실외 팬(230)을 운전하는 것만으로도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열원측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다. 과냉각용 냉매의 순환을 개시시킬 경우, 이 발명의 제어수단(240)은 먼저 실외 팬(230)만을 운전시키고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 내에서 과냉각용 냉매를 자연순환 시켜, 자연순환 하는 과냉각용 냉매에 의해 열원측 냉매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제어수단(240)은 이 상태에서 열원측 냉매의 냉각이 충분한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따라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수단(240)은, 열원측 냉매의 냉각이 충분하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채로 하며, 열원측 냉매의 냉각이 불충분하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켜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의 냉동순환을 개시시킨다.In the twenty-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ubcooling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과냉각 장치(200)에서 제어수단(240)은, 냉매통로(205) 내부에서의 냉매 유통상태에 따라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한다. 즉, 이 과냉각 장치(200)에서는, 냉동장치(10)와의 사이에서 신호 수수 등을 하지 않아도, 냉동장치(10)의 운전상태에 따라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과냉각 장치(200)를 냉동장치(10)에 설치할 때에는, 냉동장치(10)의 액측 연락배관(21, 22)에 과냉각 장치(200)의 냉매통로(205)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되며, 냉동장치(10)와 과냉각 장치(200)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용 배선을 부설할 필요가 없어진다.In th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과냉각 장치(200)를 냉동장치(10)에 설치할 때의 작업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선 오류 등 설치작업 시의 인적 작업 오류에 기인하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work steps when the
도 1은 과냉각 유닛을 구비한 냉동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1 is a piping system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ion system having a subcooling unit.
도 2는 냉동시스템의 냉방운전 시 동작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2 is a piping system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system.
도 3은 냉동시스템의 제 1 난방운전 시 동작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3 is a piping system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during a first heating operation of a refrigeration system.
도 4는 냉동시스템의 제 1 난방운전 시 동작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4 is a piping system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during a first heating operation of a refrigeration system.
도 5는 냉동시스템의 제 2 난방운전 시 동작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5 is a piping system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during the second heating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system.
도 6은 과냉각 유닛에 있어서 제어기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in the subcooling unit.
도 7은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냉동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7 is a piping system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ion system in a first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도 8은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냉동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8 is a piping system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ion system in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도 9는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에 있어서 냉동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9 is a piping system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fth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도 10은 실시형태의 제 10 변형예에 있어서 과냉각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10 is a piping system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percooling unit in a tenth modification example of th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본 실시형태의 냉동시스템은, 편의점 등에 설치되어, 점내의 공기조화와 진열장 내의 냉각을 행하는 것이다. 이 냉동시스템은, 본 발명에 관한 과냉각 장치로서의 과냉각 유닛(200)과, 이 과냉각 유닛(200)이 설치된 냉동장치(10)로 구성된다.The refriger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convenience store etc. and performs air conditioning in a store and cooling in a showcase. This refrigerating system is comprised from th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시스템에는, 실외유닛(11)과, 공조유닛(12)과, 냉장진열장(13)과, 냉동진열장(14)과, 부스터유닛(15)과, 과냉각 유닛(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실외유닛(11)과, 공조유닛(12)과, 냉장진열장(13)과, 냉동진열장(14)과, 부스터유닛(15)이 냉동장치(10)를 구성한다. 이 냉동시스템에서는, 실외유닛(11)과 과냉각 유닛(200)이 옥외에 설치되며, 나머지 공조유닛(12) 등이 편의점 등의 점포 내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tion system includes an
실외유닛(11)에는 실외회로(40)가, 공조유닛(12)에는 공조회로(100)가, 냉장진열장(13)에는 냉장회로(110)가, 냉동진열장(14)에는 냉동회로(130)가, 부스터유닛(15)에는 부스터회로(140)가 각각 구성된다. 또 과냉각 유닛(200)에는 냉매통로(205)가 배치된다. 냉동시스템에서는, 이들 회로(40, 100, ...)나 과냉각 유닛 (200)의 냉매통로(205)를 배관으로 접속함으로써 냉매 회로(20)가 구성된다. 이 냉매 회로(20)에는 열원측 냉매가 충전된다.The
상기 냉매 회로(20)에는, 제 1 액측 연락배관(21)과, 제 2 액측 연락배관(22)과,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과, 제 2 가스측 연락배관(24)이 배치된다.The
제 1 액측 연락배관(21)은, 과냉각 유닛(200)의 냉매통로(205) 한끝이 실외회로(40)에 접속된다. 제 2 액측연락배관(22)의 한끝은 냉매통로(205)의 다른 끝에 접속된다. 제 2 액측연락배관(22)의 다른 끝은 3개로 분기되어 공조회로(100)와 냉장회로(110)와 냉동회로(130)에 접속된다. 제 2 액측연락배관(22) 중, 냉동회로(130)에 접속되는 분기관에는, 액측 폐쇄밸브(25)가 설치된다.In the first liquid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의 한끝은, 2개로 분기되어 냉장회로(110)와 부스터회로(140)에 접속된다.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 중, 부스터회로(140)에 접속되는 분기관에는, 가스측 폐쇄밸브(26)가 설치된다.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의 다른 끝은 실외회로(40)에 접속된다. 제 2 가스측 연락배관(24)은 공조회로(100)를 실외회로(40)와 접속한다.One end of the first gas
<실외유닛><Outdoor unit>
실외유닛(11)은 냉동장치(10)의 열원유닛을 구성한다. 이 실외유닛(11)은 실외회로(40)를 구비한다.The
실외회로(40)에는, 가변용량 압축기(41)와,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와,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와, 실외 열교환기(44)와, 수액기(45)와, 실외 팽창밸브(46)가 구성된다. 또 실외회로(40)에는 3개의 흡입관(61, 62, 63)과, 2개의 토출관 (64, 65)과, 4개의 액관(81, 82, 83, 84)과, 1개의 고압가스관(66)이 구성된다. 또한 실외회로(40)에는, 3개의 십자절환밸브(51, 52, 53)와, 1개의 액측폐쇄밸브(54)와, 2개의 가스측 폐쇄밸브(55, 56)가 설치된다.The
이 실외회로(40)에서, 액측 폐쇄밸브(54)에는 제 1 액측 연락배관(21)이, 제 1 가스측 폐쇄밸브(55)에는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이, 제 2 가스측 폐쇄밸브(56)에는 제 2 가스측 연락배관(24)이 각각 접속된다.In the
가변용량 압축기(41),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 및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는 모두 전밀폐형이며 고압 돔형의 스크롤압축기이다. 가변용량 압축기(41)에는 인버터를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이 가변용량 압축기(41)는, 인버터의 출력주파수를 변화시켜 압축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변경함으로써, 그 용량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제 1,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2, 43)는 압축기 모터가 항상 일정 회전속도로 운전되는 것으로, 그 용량이 변경 불가능하다.The
제 1 흡입관(61)은, 그 한끝이 제 1 가스측 폐쇄밸브(55)에 접속된다. 이 제 1 흡입관(61)은, 다른 끝 쪽에서 제 1 분기관(61a)과 제 2 분기관(61b)으로 분기되며, 제 1 분기관(61a)이 가변용량 압축기(41)의 흡입 쪽에, 제 2 분기관(61b)이 제 3 십자절환밸브(53)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흡입관(61)의 제 2 분기관(61b)에는, 제 1 가스측 폐쇄밸브(55)로부터 제 3 십자절환밸브(53)로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CV-1)가 설치된다.One end of the
제 2 흡입관(62)은 그 한끝이 제 3 십자절환밸브(53)에, 다른 끝이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의 흡입측에 각각 접속된다.One end of the
제 3 흡입관(63)은, 그 한끝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에 접속된다. 이 제 3 흡입관(63)은, 다른 끝 쪽에서 제 1 분기관(63a)과 제 2 분기관(63b)으로 분기되며, 제 1 분기관(63a)이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의 흡입 쪽에, 제 2 분기관(63b)이 제 3 십자절환밸브(53)에 각각 접속된다. 제 3 흡입관(63)의 제 2 분기관(63b)에는, 제 2 십자절환밸브(52)로부터 제 3 십자절환밸브(53)로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CV-2)가 설치된다.One end of the
제 1 토출관(64)은 한끝 쪽에서 제 1 분기관(64a)과 제 2 분기관(64b)으로 분기되며, 제 1 분기관(64a)이 가변용량 압축기(41)의 토출 쪽에, 제 2 분기관(64b)이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의 토출 쪽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토출관(64)의 다른 끝은 제 1 십자절환밸브(51)에 접속된다. 제 1 토출관(64)의 제 2 분기관(64b)에는,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로부터 제 1 십자절환밸브(51)로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CV-3)가 설치된다.The
제 2 토출관(65)은 그 한끝이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의 흡입 쪽에, 다른 끝이 제 1 토출관(64)의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바로 앞에 각각 접속된다. 제 2 토출관(65)에는,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로부터 제 1 십자절환밸브(51)로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CV-4)가 설치된다.One end of the
실외 열교환기(44)는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이 실외 열교환기(44)에서는 냉매와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외 열교환기(44)의 한끝은 폐쇄밸브(57)를 개재하고 제 1 십자절환밸브(51)에 접속된다. 한편, 실외 열교환기(44)의 다른 끝은 제 1 액관(81)을 개재하고 수액기(45)의 정상 부에 접속된다. 이 제 1 액관(81)에는, 실외 열교환기(44)로부터 수액기(45)로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CV-5)가 설치된다.The
수액기(45)의 저부에는, 폐쇄밸브(58)를 개재하고 제 2 액관(82)의 한끝이 접속된다. 제 2 액관(82)의 다른 끝은 액측 폐쇄밸브(54)에 접속된다. 이 제 2 액관(82)에는, 수액기(45)로부터 액측 폐쇄밸브(54)로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CV-6)가 설치된다.One end of the second
제 2 액관(82)의 역지밸브(CV-6)와 액측 폐쇄밸브(54) 사이에는, 제 3 액관(83)의 한끝이 접속된다. 제 3 액관(83)의 다른 끝은, 제 1 액관(81)을 개재하고 수액기(45)의 정상부에 접속된다. 또 제 3 액관(83)에는 그 한끝으로부터 다른 끝으로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CV-7)가 설치된다.One end of the third
제 2 액관(82)의 폐쇄밸브(58)와 역지밸브(CV-6) 사이에는, 제 4 액관(84)의 한끝이 접속된다. 제 4 액관(84)의 다른 끝은, 제 1 액관(81)의 실외 열교환기(44)와 역지밸브(CV-5) 사이에 접속된다. 또 제 4 액관(84)에는 그 한끝으로부터 다른 끝을 향해 차례로, 역지밸브(CV-8)와 실외팽창밸브(46)가 설치된다. 이 역지밸브(CV-8)는 제 4 액관(84)의 한끝으로부터 다른 끝을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한다. 또 실외팽창밸브(46)는 전자팽창밸브로 구성된다.One end of the fourth
고압가스관(66)은, 그 한끝이 제 1 토출관(64)의 제 1 십자절환밸브(51) 바로 앞에 접속된다. 고압가스관(66)은, 다른 끝 쪽에서 제 1 분기관(66a)과 제 2 분기관(66b)으로 분기되며, 제 1 분기관(66a)이 제 1 액관(81)의 역지밸브(CV-5) 하류 쪽에, 제 2 분기관(66b)이 제 3 십자절환밸브(53)에 각각 접속된다. 고압가 스관(66)의 제 1 분기관(66a)에는 전자(電磁)밸브(SV-7)와 역지밸브(CV-9)가 설치된다. 이 역지밸브(CV-9)는 전자밸브(SV-7)의 하류 쪽에 배치되며, 전자밸브(SV-7)로부터 제 1 액관(81)으로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한다.One end of the high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가 제 1 토출관(64)의 종단에, 제 2 포트가 제 2 십자절환밸브(52)에, 제 3 포트가 실외 열교환기(44)에, 제 4 포트가 제 2 가스측 폐쇄밸브(56)에 각각 접속된다. 이 제 1 십자절환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first four-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가 제 2 토출관(65)의 역지밸브(CV-4) 하류 쪽에, 제 2 포트가 제 2 흡입관(62)의 시작 단에, 제 4 포트가 제 1 십자절환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또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3 포트가 봉입된다. 이 제 2 십자절환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second four-
제 3 십자절환밸브(53)는, 제 1 포트가 고압가스관(66)의 제 2 분기관(66b) 종단에, 제 2 포트가 제 2 흡입관(62)의 시작 단에, 제 3 포트가 제 1 흡입관(61)의 제 2 분기관(61b) 종단에, 제 4 포트가 제 3 흡입관(63)의 제 2 분기관(63b) 마 직막 끝단에 각각 접속된다. 이 제 3 십자절환밸브(53)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third four-
실외회로(40)에는 또, 주입관(85), 연통관(87), 오일분리기(75), 및 오일회수관(76)이 구성된다. 그리고 실외회로(40)에는 4개의 균유관(71, 72, 73, 74)도 구성된다.The
주입관(85)은, 이른바 액 주입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주입관(85)은, 그 한끝이 제 4 액관(84)의 역지밸브(CV-8)와 실외팽창밸브(46) 사이에, 다른 끝이 제 1 흡입관(61)에 각각 접속된다. 이 주입관(85)에는, 그 한끝으로부터 다른 끝을 향해 차례로, 폐쇄밸브(59)와 유량조절밸브(86)가 설치된다. 유량조절밸브(86)는 전자팽창밸브로 구성된다.The
연통관(87)은, 그 한끝이 주입관(85)의 폐쇄밸브(59)와 유량조절밸브(86) 사이에, 다른 끝이 고압가스관(66)의 제 1 분기관(66a)에서의 전자밸브(SV-7) 상류 쪽에 각각 접속된다. 이 연통관(87)에는, 그 한끝에서 다른 끝을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CV-10)가 설치된다.The
오일분리기(75)는, 제 1 토출관(64) 중 제 2 토출관(65) 및 고압가스관(66)의 접속위치보다 상류 쪽에 배치된다. 이 오일분리기(75)는, 압축기(41, 42)의 토출가스로부터 냉동기유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The
오일회수관(76)은, 그 한끝이 오일분리기(75)에 접속된다. 오일회수관(76)은, 다른 끝 쪽에서 제 1 분기관(76a)과 제 2 분기관(76b)으로 분기되며, 제 1 분기관(76a)이 주입관(85)의 유량조절밸브(86) 하류 쪽에, 제 2 분기관(76b)이 제 2 흡입관(62)에 각각 접속된다. 또 오일회수관(76)의 제 1 분기관(76a)과 제 2 분기관(76b)에는, 전자밸브(SV-5, SV-6)가 1개씩 설치된다. 제 1 분기관(76a)의 전자밸브(SV-5)를 열면, 오일분리기(75)에서 분리된 냉동기유가 주입관(85)을 통해 제 1 흡입관(61)으로 회송된다. 한편, 제 2 분기관(76b)의 전자밸브(SV-6)를 열면, 오일분리기(75)에서 분리된 냉동기유가 제 2 흡입관(62)으로 회송된다.One end of the
제 1 균유관(71)은 그 한끝이 가변용량 압축기(41)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2 흡입관(62)에 접속된다. 이 제 1 균유관(71)에는 전자밸브(SV-1)가 설치된다. 제 2 균유관(72)은, 그 한끝이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3 흡입관(63)의 제 1 분기관(63a)에 접속된다. 이 제 2 균유관(72)에는 전자밸브(SV-2)가 설치된다. 제 3 균유관(73)은, 그 한끝이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1 흡입관(61)의 제 1 분기관(61a)에 접속된다. 이 제 3 균유관(73)에는 전자밸브(SV-3)가 설치된다. 제 4 균유관(72)은, 그 한끝이 제 2 균유관(72)의 전자밸브(SV-2) 상류 쪽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1 흡입관(61)의 제 1 분기관(61a)에 접속된다. 이 제 4 균유관(74)에는 전자밸브(SV-4)가 설치된다. 각 균유관(71~74)의 전자밸브(SV-1~SV-4)를 적절하게 개폐함으로써, 각 압축기(41, 42, 43)의 냉동기유 저류량이 평균화된다.One end of the first
실외회로(40)에는 각종 센서나 압력스위치도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흡 입관(61)에는, 제 1 흡입온도센서(91)와 제 1 흡입압력센서(92)가 설치된다. 제 2 흡입관(62)에는 제 2 흡입압력센서(93)가 설치된다. 제 3 흡입관(63)에는, 제 3 흡입온도센서(94)와 제 3 흡입압력센서(95)가 설치된다. 제 1 토출관(64)에는, 제 1 토출온도센서(97)와 제 1 토출압력센서(98)가 설치된다. 제 1 토출관(64)의 각 분기관(64a, 64b)에는 고압압력스위치(96)가 1개씩 설치된다. 제 2 토출관(65)에는 제 2 토출온도센서(99)와 고압압력스위치(96)가 설치된다.The
또 실외유닛(11)에는, 외기온도센서(90)와 실외 팬(48)이 설치된다. 실외 열교환기(44)에는, 이 실외 팬(48)에 의해 실외공기가 보내진다.In addition, the
<공조유닛><Air conditioning unit>
공조유닛(12)은 이용유닛을 구성한다. 공조유닛(12)은 공조회로(100)를 구비한다. 이 공조회로(100)는, 그 액 쪽 끝이 제 2 액측 연락배관(22), 가스 쪽 끝이 제 2 가스측 연락배관(24)에 각각 접속된다.The
공조회로(100)에서는, 그 액 쪽 끝으로부터 가스 쪽 끝을 향해 차례로, 공조팽창밸브(102)와 공조 열교환기(101)가 설치된다. 공조 열교환기(101)는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이 공조 열교환기(101)에서는 냉매와 실내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공조 팽창밸브(102)는 전자팽창밸브에 의해 구성된다.In the
공조유닛(12)에는 열교환기 온도센서(103)와 냉매온도센서(104)가 설치된다. 열교환기 온도센서(103)는 공조 열교환기(101)의 전열관에 설치된다. 냉매온도센서(104)는 공조회로(100)의 가스 쪽 끝 근방에 설치된다. 또 공조유닛(12)에는 내 기온도센서(106)와 공조 팬(105)이 설치된다. 공조 열교환기(101)에는, 이 공조 팬(105)에 의해 점포 내의 실내공기가 보내진다.The
<냉장진열장><Cold Showcase>
냉장진열장(13)은 이용유닛을 구성한다. 냉장진열장(13)은 냉장회로(110)를 구비한다. 이 냉장회로(110)는 그 액 쪽 끝이 제 2 액측 연락배관(22), 가스 쪽 끝이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에 각각 접속된다.The
냉장회로(110)에서는, 그 액 쪽 끝으로부터 가스 쪽 끝을 향해 차례로, 냉장 전자밸브(114)와 냉장팽창밸브(112)와 냉장 열교환기(111)가 설치된다. 냉장 열교환기(101)는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이 냉장 열교환기(111)에서는 냉매와 냉장고 내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냉장팽창밸브(112)는 온도자동 팽창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냉장팽창밸브(112)의 감온통(113)은 냉장 열교환기(111)의 출구 쪽 배관에 설치된다.In the refrigerating circuit 110, the refrigerating
냉장진열장(13)에는 냉장고내 온도센서(116)와 냉장고내 팬(115)이 설치된다. 냉장 열교환기(111)에는, 이 냉장고내 팬(115)에 의해 냉장진열장(13)의 냉장고 내 공기가 보내진다.The
<냉동진열장><Frozen showcase>
냉동진열장(14)은 이용유닛을 구성한다. 냉동진열장(14)은 냉동회로(130)를 구비한다. 이 냉동회로(130)는 그 액 쪽 끝이 제 2 액측 연락배관(22)에 접속된다. 또 냉동회로(130)의 가스 쪽 끝은, 배관을 개재하고 부스터유닛(15)에 접속된다.The freezing
냉동회로(130)에서는, 그 액 쪽 끝으로부터 가스 쪽 끝을 향해 차례로, 냉동 전자밸브(134)와 냉동팽창밸브(132)와 냉동 열교환기(131)가 설치된다. 냉동 열교환기(131)는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이 냉동 열교환기(131)에서는 냉매와 냉동고 내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냉동팽창밸브(132)는 온도자동 팽창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냉동팽창밸브(132)의 감온통(133)은 냉장 열교환기(131)의 출구 쪽 배관에 설치된다.In the refrigerating circuit 130, the refrigerating
냉동진열장(14)에는 냉동고내 온도센서(136)와 냉동고내 팬(135)이 설치된다. 냉동 열교환기(131)에는, 이 냉동고내 팬(135)에 의해 냉동진열장(14)의 냉동고 내 공기가 보내진다.The
<부스터유닛><Booster Unit>
부스터유닛(15)은 부스터회로(140)를 구비한다. 이 부스터회로(140)에는, 부스터압축기(141)와, 흡입관(143)과, 토출관(144)과, 바이패스관(150)이 구성된다.The
부스터압축기(141)는 전밀폐형이며 고압 돔형의 스크롤압축기이다. 부스터압축기(141)에는 인버터를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이 부스터압축기(141)는 인버터의 출력주파수를 변화시켜 압축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변경함으로써, 그 용량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흡입관(143)은, 그 종단이 부스터압축기(141)의 흡입측에 접속된다. 흡입관(143)의 시작 단은, 배관을 개재하고 냉동회로(130)의 가스측 끝에 접속된다.The
토출관(144)은, 그 시작 끝단이 부스터압축기(141)의 토출 쪽에, 종단이 제 1 가스 쪽 연락배관(23)에 각각 접속된다. 이 토출관(144)에는, 그 시작 단부터 종단을 향해 차례로, 고압압력 스위치(148)와, 오일분리기(145)와, 토출측 역지밸브(149)가 설치된다. 토출측 역지밸브(149)는, 토출관(144)의 시작 단부터 종단을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한다.The
오일분리기(145)는, 부스터압축기(141)의 토출가스로부터 냉동기유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오일분리기(145)에는 오일회수관(146)의 한끝이 접속된다. 오일회수관(146)의 다른 끝은 흡입관(143)에 접속된다. 오일회수관(146)에는 모세관(147)이 설치된다. 오일분리기(145)에서 분리된 냉동기유는, 오일회수관(146)을 통해 부스터압축기(141)의 흡입측으로 회송된다.The
바이패스관(150)은, 그 시작 단이 흡입관(143)에, 종단이 토출관(64)의 오일분리기(145)와 토출측 역지밸브(149)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이 바이패스관(150)에는, 그 시작 단부터 종단을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바이패스 역지밸브(141)가 설치된다.The
<과냉각 유닛><Super Cooling Unit>
과냉각 장치로서의 과냉각 유닛(200)은, 냉매통로(205)와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와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와 제어기(240)를 구비한다.The
냉매통로(205)는, 그 한끝이 제 1 액측 연락배관(21)에, 다른 끝이 제 2 액측 연락배관(22)에 각각 접속된다.One end of the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와,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와, 과냉각용 팽창밸브(223)와,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를 차례로 배관 접 속시켜 구성된 폐회로이다. 이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는 냉각용 유체회로를 구성한다.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는 냉각용 유체로서의 과냉각용 냉매가 충전된다. 이 과냉각용 냉매로는 R407C 등의 이른바 프레온냉매만이 아닌, 이산화탄소(CO2)나 암모니아 등의 각종 냉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는, 충전된 과냉각용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냉동순환이 이루어진다.The subcooling
과냉각용 압축기(221)는, 전밀폐형이며 고압 돔형의 스크롤압축기이다. 과냉각용 압축기(221)에는 인버터를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이 과냉각용 압축기(221)는 인버터의 출력주파수를 변화시켜 압축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변경함으로써, 그 용량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는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이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에서는, 과냉각용 냉매와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과냉각용 팽창밸브(223)는 전자팽창밸브에 의해 구성된다.The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는 이른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는 제 1 유로(211)와 제 2 유로(212)가 복수개씩 형성된다. 제 1 유로(211)에는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가, 제 2 유로(212)에는 냉매통로(205)가 각각 접속된다. 그리고 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는, 제 1 유로(211)를 흐르는 과냉각용 냉매와, 제 2 유로(212)를 흐르는 냉동장치(10)의 냉매를 열교환 시킨다.The supercooling
과냉각 유닛(200)에는 각종 센서나 압력스위치도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흡입측에 흡입온도센서(235)와 흡입압력센서(234)가 설치되며,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토출측에 토출온도센서 (233)와 고압압력스위치(232)가 설치된다. 냉매통로(205)에서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다른 끝 쪽의 부분, 즉 제 2 액측 연락배관(22)에 접속되는 단부 쪽의 부분에 냉매온도센서(236)가 설치된다. 이 냉매온도센서(236)는 냉매온도 검출수단을 구성한다.The
또 과냉각 유닛(200)에는 외기온도센서(231)와 실외 팬(230)이 설치된다.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에는, 이 실외 팬(230)에 의해 실외공기가 보내진다.In addition, the
제어기(240)는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제어기(240)에는,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과,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과, 외기온도센서(231)의 검출값이 입력된다. 그리고 이 제어기(240)는, 입력된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과 정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어기(240)에는, 실외유닛(11)이나 공조유닛(12) 등으로 구성된 냉동장치(10)로부터의 신호는 일체 입력되지 않는다. 즉 제어기(240)는, 과냉각 유닛(200)에 설치된 센서의 검출값 등, 과냉각 유닛(200)의 내부에서 얻어진 정보만을 기초로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한다.The
-냉동시스템의 운전동작-Operation of refrigeration system
상기 냉동시스템이 행하는 운전동작 중, 주요동작에 대해 설명한다.The main operation of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refriger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냉방운전><Cooling operation>
냉방운전은, 냉장진열장(13) 및 냉동진열장(14)에서 냉장고 및 냉동고 내 공기를 냉각시키며, 공조유닛(12)에서 실내공기를 냉각시켜 점포 내를 냉방하는 운전이다.The cool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cooling the air in the refrigerator and the freezer in the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방운전 중은, 제 1 십자절환밸브(51), 제 2 십자절환밸브(52), 및 제 3 십자절환밸브(53)가 각각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또 실외팽창밸브(46)가 전면 폐쇄되는 한편, 공조팽창밸브(102), 냉장팽창밸브(112) 및 냉동팽창밸브(132)의 개방도가 각각 적절하게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가변용량 압축기(41),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 및 부스터압축기(141)가 운전된다. 이 냉방운전 중에는 과냉각 유닛(200)이 운전상태로 된다. 과냉각 유닛(200)의 운전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2,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he first four-
가변용량 압축기(41),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 및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를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44)로 보내진다. 실외 열교환기(44)에서는 냉매가 실외공기에 방열하여 응축된다. 실외 열교환기(44)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 1 액관(81)과 수액기(45)와 제 2 액관(82)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 1 액측 연락배관(21)으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41), the first fixed capacity compressor (42), and the second fixed capacity compressor (43) is sent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44) through the first four-way switching valve (51). Los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44), the refrigerant radiates heat to the outdoor air to condense.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44) passes through the first liquid pipe (81), the receiver (45), and the second liquid pipe (82) in order and flows into the first liquid side communication pipe (21).
제 1 액측 연락배관(21)으로 유입된 냉매는, 과냉각 유닛(200)의 냉매통로(205)로 유입된다. 냉매통로(205)로 유입된 냉매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의 제 2 유로(212)를 통과하는 사이에 냉각된다.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냉각된 과냉각상태의 액 냉매는, 제 2 액측 연락배관(22)을 통과하여 공조회로(100)와 냉장회로(110)와 냉동회로(130)로 분배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liquid
공조회로(100)로 유입된 냉매는, 공조팽창밸브(102)를 통과할 때에 감압된 후, 공조 열교환기(101)로 도입된다. 공조 열교환기(101)에서는 냉매가 실내공기로부터 흡열하여 증발한다. 이 때, 공조 열교환기(101)에서는 냉매의 증발온도가 예를 들어 5℃ 정도로 설정된다. 공조유닛(12)에서는, 공조 열교환기(101)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점포 내로 공급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공조 열교환기(101)에서 증발한 냉매는 제 2 가스측 연락배관(24)을 통과하여 실외회로(40)로 유입된 후, 제 1 십자절환밸브(51)와 제 2 십자절환밸브(52)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 3 흡입관(63)으로 유입된다. 제 3 흡입관(63)으로 유입된 냉매는, 그 일부가 제 1 분기관(63a)을 통과하여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로 흡입되고, 나머지가 제 2 분기관(63b)과 제 3 십자절환밸브(53)와 제 2 흡입관(62)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로 흡입된다.After the refrigerant evaporated from the air conditioning heat exchanger (101) flows into the outdoor circuit (40) through the second gas side communication pipe (24), the first four-way switching valve (51) and the second four-way switching valve (52). Passes in order to flow into the third suction pipe (63).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냉장회로(110)로 유입된 냉매는, 냉장팽창밸브(112)를 통과할 때에 감압된 후, 냉장 열교환기(111)로 도입된다. 냉장 열교환기(111)에서는 냉매가 냉장고내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증발한다. 이 때, 냉장 열교환기(111)에서는 냉매의 증발온도가 예를 들어 -5℃ 정도로 설정된다. 냉장 열교환기(111)에서 증발한 냉매는,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으로 유입된다. 냉장진열장(13)에서는, 냉장 열교환기(111)에서 냉각된 냉장고내 공기가 냉장고 내로 공급되어, 냉장고내 온도가, 예를 들어 5℃ 정도로 유지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ting circuit 110 is reduced in pressure when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ting
냉동회로(130)로 유입된 냉매는, 냉동팽창밸브(132)를 통과할 때에 감압된 후, 냉동 열교환기(131)로 도입된다. 냉동 열교환기(131)에서는, 냉매가 냉동고내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증발한다. 이 때, 냉동 열교환기(131)에서는 냉매의 증발온도가 예를 들어 -30℃ 정도로 설정된다. 냉동진열장(14)에서는, 냉동 열교환기(131)에서 냉각된 냉동고내 공기가 냉동고 내로 공급되어, 냉동고내 온도가, 예를 들어 -20℃ 정도로 유지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ting circuit 130 is reduced in pressure when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ting
냉동 열교환기(131)에서 증발한 냉매는, 부스터회로(140)로 유입되어 부스터압축기(141)로 흡입된다. 부스터압축기(141)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관(144)을 지나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으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에서는, 냉장회로(110)로부터 유입된 냉매와, 부스터회로(140)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합류한다. 그리고 이들 냉매는,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을 통과하여 실외회로(40)의 제 1 흡입관(61)으로 유입된다. 제 1 흡입관(61)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분기관(61a)을 지나 가변용량 압축기(41)로 흡입된다.In the first gas
<제 1 난방운전><1st heating operation>
제 1 난방운전은, 냉장진열장(13) 및 냉동진열장(14)에서 냉장고 및 냉동고 내 공기를 냉각시키며, 공조유닛(12)에서 실내공기를 가열시켜 점포 내를 난방하는 운전이다.The first heat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cooling the air in the refrigerator and the freezer in the refrigerating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회로(4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제 3 십자절환밸브(53)가 제 1 상태로 각각 설정된다. 또 실외팽창밸브(46)가 전면페쇄되는 한편, 공조팽창밸브(102), 냉장팽창밸브(112), 및 냉동팽창밸브(132)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가변용량 압축기(41) 및 부스터압축기(141)가 운전되고,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 및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가 휴지상태로 된다. 또 실외 열교환기(44)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아 휴지상태로 된다. 이 제 1 난방운전 중에 는, 과냉각 유닛(200)이 정지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 3, in the
가변용량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와 제 2 가스측 연락배관(24)을 차례로 통과하여 공조회로(100)의 공조 열교환기(101)로 도입되며, 실내공기에 방열하여 응축된다. 공조유닛(12)에서는, 공조 열교환기(101)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점포 내로 공급된다. 공조 열교환기(101)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 2 액측 연락배관(22)을 통과하여 냉장회로(110)와 냉동회로(130)로 분배된다.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41) is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heat exchanger (101) of the air conditioning circuit (100)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four way switching valve (51) and the second gas side communication pipe (24) in order. It condenses by radiating heat to indoor air. In the
냉장진열장(13) 및 냉동진열장(14)에서는, 상기 냉방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냉장고 및 냉동고 내 공기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냉장회로(110)로 유입된 냉매는, 냉장 열교환기(111)에서 증발한 후에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으로 유입된다. 한편 냉동회로(130)로 유입된 냉매는, 냉동 열교환기(131)에서 증발한 후에 부스터압축기(141)에서 압축된 후,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으로 유입된다.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흡입관(61)을 통과한 후에 가변용량 압축기(41)로 흡입되어 압축된다.In the
이와 같이 제 1 난방운전에서는, 냉장 열교환기(111) 및 냉동 열교환기(131)에서 냉매가 흡열하며, 공조 열교환기(101)에서 냉매가 방열한다. 그리고 냉장 열교환기(111) 및 냉동 열교환기(131)에서 냉매가 냉장고 및 냉동고 내의 공기로부터의 흡열을 이용하여, 점포 내의 난방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heat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absorbs heat in the refrigerating
또 제 1 난방운전 중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를 운전시켜도 된다.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를 운전시킬지의 여부는, 냉장 진열장(13) 및 냉동진열장(14)의 냉각부하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에는 제 3 십자절환밸브(53)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 1 흡입관(61)으로 유입된 냉매는, 그 일부가 제 1 분기관(61a)을 통과하여 가변용량 압축기(41)로 흡입되고, 나머지가 제 2 분기관(61b)과 제 3 십자절환밸브(53)와 제 2 흡입관(62)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로 흡입된다.In addition, during the first heat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fixed
<제 2 난방운전><2nd heating operation>
제 2 난방운전은, 상기 제 1 난방운전과 마찬가지로 점포 내의 난방을 행하는 운전이다. 이 제 2 난방운전은, 상기 제 1 난방운전으로는 난방능력이 부족할 경우에 행해진다.2nd heating operation is operation | movement which heats in a store similarly to said 1st heating operation. This second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heating capacity is insufficient in the first heating operation.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회로(40)에서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가 제 2 상태로, 제 2 십자절환밸브(52)가 제 1 상태로, 제 3 십자절환밸브(53)가 제 1 상태로 각각 설정된다. 또 실외팽창밸브(46), 공조팽창밸브(102), 냉장팽창밸브(112), 및 냉동팽창밸브(132)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가변용량 압축기(41),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 및 부스터압축기(141)가 운전되며, 제 1 고정용량 압축기(42)가 휴지상태로 된다. 이 제 1 난방운전 중에는, 과냉각 유닛(200)이 정지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 5, in the
가변용량 압축기(41) 및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십자절환밸브와 제 2 가스측 연락배관(24)을 차례로 통과하여 공조회로의 공조 열교환기(101)로 도입되고, 실내공기에 방열하여 응축된다. 공조유닛(12)에서는, 공조 열교환기(101)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점포 내로 공급된다. 공조 열교환기 (101)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 2 액측 연락배관(22)으로 유입된다. 제 2 액측 연락배관(22)으로 유입된 냉매는, 그 일부가 냉장회로(110)와 냉동회로(130)로 분배되고, 나머지가 과냉각 유닛(200)의 냉매통로(205)로 도입된다.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41) and the second fixed capacity compressor (43) pass sequentially through the first four-way switching valve and the second gas side communication pipe (24) to the air conditioning heat exchanger (101) of the air conditioning circuit. It is introduced and condensed by radiating heat to indoor air. In the
냉장진열장(13) 및 냉동진열장(14)에서는, 상기 냉방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냉장고 및 냉동고 내 공기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냉장회로(110)로 유입된 냉매는, 냉장 열교환기(111)에서 증발한 후에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으로 유입된다. 한편 냉동회로(130)로 유입된 냉매는, 냉동 열교환기(131)에서 증발한 후에 부스터압축기(141)에서 압축된 후,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1 가스측 연락배관(23)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흡입관(61)을 통과 후에 가변용량 압축기(41)로 흡입되어 압축된다.In the
과냉각 유닛(200)의 냉매통로(205)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액측 연락배관(21)과 제 3 액관(83)을 차례로 통과하여 수액기(45)로 유입된 후, 제 2 액관(82)을 통과하여 제 4 액관(84)으로 유입된다. 제 4 액관(84)으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팽창밸브(46)를 통과할 때에 감압된 후, 실외 열교환기(44)로 도입되어, 실외공기로부터 흡열하여 증발한다. 실외 열교환기(44)에서 증발한 냉매는, 제 1 십자절환밸브(51)와 제 2 십자절환밸브(52)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 2 흡입관(62)으로 유입되고, 제 2 고정용량 압축기(43)로 흡입되어 압축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이와 같이 제 2 난방운전에서는, 냉장 열교환기(111), 냉동 열교환기(131), 및 실외 열교환기(44)에서 냉매가 흡열하며, 공조 열교환기(101)에서 냉매가 방열한다. 그리고 냉장 열교환기(111) 및 냉동 열교환기(131)에서 냉매가 냉장고 및 냉동고 내의 공기로부터 흡열한 열과, 실외 열교환기(44)에서 냉매가 실외공기로부터 흡열한 열을 이용하여, 점포 내의 난방이 이루어진다.In this manner, in the second heat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absorbs heat in the refrigerating
-과냉각 유닛Subcooling Unit 의of 운전동작- Operation
과냉각 유닛(200)의 운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과냉각 유닛(200)의 운전상태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운전됨과 더불어, 과냉각용 팽창밸브(223)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The operation of th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냉각용 압축기(221)로부터 토출된 과냉각용 냉매는,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에서 실외공기에 방열하여 응축된다.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에서 응축된 과냉각용 냉매는, 과냉각용 팽창밸브(223)를 통과할 때에 감압된 후,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의 제 1 유로(211)로 유입된다.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의 제 1 유로(211)에서는, 과냉각용 냉매가 제 2 유로(212)의 냉매로부터 흡열하여 증발한다.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증발한 과냉각용 냉매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로 흡입되어 압축된다.As shown in FIG. 1, the subcooling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240)는, 입력된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과 정지를 제어한다. 여기서는 제어기(240)의 제어동작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어기(240)의 제어동작은, 일정 시간간격(예를 들어 10초 간격)으로 반복 실행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먼저 단계(ST10)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운전 중인지 정지 중인지의 판단이 행해진다.First, in step ST10, it is judged whether the
단계(ST10)에서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T11)로 진행한다. 단계(ST11)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기동된 시점에서 소정시간(예를 들어 2분간)이 경과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했다면 단계(ST12)로 진행한다. 한편,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단계(ST14)로 이동하여 제어동작을 일단 종료하고,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T10 that the
단계(ST12)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킬지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진다. 이 단계(ST12)에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4가지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이들 4가지 조건 중 어느 1가지라도 만족된다면, 단계(ST13)로 진행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 한편, 이들 4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되지 않는다면, 단계(ST14)로 이동하여 제어동작을 일단 종료하고,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In step ST12,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the
단계(ST12)의 제 1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 1 조건은,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 후에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이 순조롭게 저하되어갈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이다.The first condition of step ST12 will be described. This first condition is a condi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etected value of the
단계(ST12)의 제 1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음의 6가지 요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제 1 요건은, 외기온도센서(231)의 검출값(Ta)이 20℃ 미만(Ta<20)이라는 것이다. 제 2 요건은, 과냉각용 압축기(221) 기동시점의 냉매온도센서(236) 검출값(Tout_0)과,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으로부터 1분 경과 후의 냉매온도센서(236) 검출값(Tout_1)과의 차가 3℃ 이하(Tout_0-Tout_1≤3)라는 것이다. 제 3 요건은, 과냉각용 압축기(221) 기동시점의 냉매온도센서(236) 검출값 (Tout_0)과,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으로부터 2분 경과 후의 냉매온도센서(236) 검출값(Tout_2)과의 차가 5℃ 이하(Tout_0-Tout_2≤5)라는 것이다. 제 4 요건은, 과냉각용 압축기(221) 기동시점의 냉매온도센서(236) 검출값(Tout_0)과,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으로부터 3분 경과 후의 냉매온도센서(236) 검출값(Tout_3)과의 차가 7℃ 이하(Tout_0-Tout_3≤7)라는 것이다. 제 5 요건은,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시점에서 이미 3분 경과했다는 것이다. 제 6 요건은, 냉매온도센서(236)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이다.In order to satisfy the first condition of step ST12,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following six requirements. The first requirement is that the detected value Ta of the
이들 제 1~제 6 요건이 모두 만족될 경우에는, 실외공기의 온도가 그다지 높지 않아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의 냉각능력이 충분히 얻어짐에도 불구하고,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Tout)이 그다지 저하되어가지 않는 상태이다. 이로써 단계(ST12)의 제 1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제 1 난방운전 중과 같이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거나, 제 2 난방운전 중과 같이 냉매통로(205) 내를 실외유닛(11)을 향해 냉매가 흐르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제 1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기(240)는 냉동장치(10)가 과냉각 유닛(200)의 운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운전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When all of the first to sixth requirements are satisfied, the detected value of the
단계(ST12)의 제 2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 2 조건은,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이 과냉각용 냉매의 증발온도에 대응한 타당한 값이 됐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이다.The second condition of step ST12 will be described. This second condition is a condi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value of the
단계(ST12)의 제 2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음의 4가지 요건을 충족 시킬 필요가 있다. 제 1 요건은,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시점에서 이미 5분 경과했다는 것이다. 제 2 요건은,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Tout)이, 과냉각용 열교환기(220)에서의 과냉각용 냉매의 증발온도(Tg)에 15를 더한 값보다 크다(Tout>Tg+15)는 것이다. 제 3 요건은, 냉매온도센서(236)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는 것이다. 제 4 요건은, 흡입압력센서(234)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는 것이다.In order to satisfy the second condition of step ST12,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following four requirements. The first requirement is that 5 minutes have already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여기서, 이 제어기(240)에서는, 흡입압력센서(234) 검출값(LP)의 과냉각용 냉매 포화온도를, 과냉각용 냉매의 증발온도(Tg)로 간주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냉각용 냉매의 증발온도를 검출하는 증발온도 검출수단이 흡입압력센서(234)로 구성된다.Here, the
이들 제 1~제 4 요건이 모두 만족될 경우에는,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 냉동순환이 실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Tout)과 과냉각용 냉매 증발온도(Tg)와의 차가 15℃보다 큰 상태로 된다. 이로써, 단계(ST12)의 제 2 조건이 만족된 경우도, 제 1 난방운전 중과 같이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거나, 제 2 난방운전 중과 같이 냉매통로(205) 내를 실외유닛(11)을 향해 냉매가 흐르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제 2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기(240)는 냉동장치(10)가 과냉각 유닛(200)의 운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운전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When all of the first to fourth requirements are satisfied, although the refrigeration circulation is performed in the subcooling
단계(ST12)의 제 3 조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LP)이 0.2㎫ 미만이며 또 흡입압력센서(234) 가 이상상태인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이 정상이 아니므로, 이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없다. 그래서 제 3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The third condition of step ST12 will be described. The third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detected value LP of the
단계(ST12)의 제 4 조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4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LP)이 0.15㎫ 미만인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이 통상의 운전상태에서는 있을 수 없을 정도의 낮은 값이다. 그래서 제 4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기(240)는 어떤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The fourth condition of step ST12 will be described. This fourth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detection value LP of the
단계(ST10)에서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정지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T15)로 이동한다. 단계(ST15)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 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과 정지가 짧은 시간 사이에 반복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일단 정지되면, 그 정지시점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재기동을 제한한다. 단계(ST15)에서,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단계(ST14)로 이동하여 제어동작을 일단 종료시키고,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했다면, 단계(ST16)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T10 that the
단계(ST16)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킬지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진다. 이 단계(ST16)에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3가지 조건이 만족될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이들 3가지 조건 중 어느 1가지라도 만족되었다면, 단계(ST17)로 진행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다. 한편, 이들 3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되지 않았다면, 단계(ST14)로 이동하여 제어동작을 일단 종료시키고,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In step ST16,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the
단계(ST16)의 제 1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 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외기온도센서(231)의 검출값(Ta)이 25℃ 이상이며 또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시점에서 이미 1분 경과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실외공기가 매우 고온임에도 불구하고, 1분 이상에 걸쳐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정지된 상태이다. 그래서 제 1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기(240)는 냉매통로(205) 내의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다.The first condition of step ST16 will be described.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detected value Ta of the outside
단계(ST16)의 제 2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 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외기온도센서(231)의 검출값(Ta)이 20℃ 이상이며 또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시점에서 이미 3분 경과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실외공기가 비교적 고온임에도 불구하고, 3분 이상에 걸쳐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정지된 상태이다. 그래서 제 2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기(240)는 냉매통로(205) 내의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다.The second condition of step ST16 will be described. This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detected value Ta of the outside
단계(ST16)의 제 3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 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시점에서 이미 10분 경과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정지된 상태이다. 그래서 제 3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기(240)는 냉매통로(205) 내의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 (221)의 정지시간이 10분 이상에 달하면, 반드시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을 실행한다.The third condition of step ST16 will be described. The third condition is satisfied when 10 minutes have already passed from the stop point of the
-실시형태의 효과-Effect of Embodiments
상기 과냉각 유닛(200)에서 제어기(240)는, 과냉각 유닛(200)에 설치된 센서의 검출값 등, 과냉각 유닛(200) 내에서 얻어지는 정보에만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한다. 즉, 이 과냉각 유닛(200)에서는, 냉동장치(10)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지 않아도, 냉동장치(10)의 운전상태에 따라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하기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상기 과냉각 유닛(200)을 냉동장치(10)에 설치할 때에는, 냉동장치(10)의 제 1, 제 2 액측 연락배관(21, 22)에 과냉각 유닛(200)의 냉매통로(205)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되며, 냉동장치(10)와 과냉각 유닛(200)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용 배선을 부설할 필요가 없어진다.In the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과냉각 유닛(200)을 냉동장치(10)에 설치할 때의 작업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또 배선 오류 등 설치작업 시의 인적 작업 오류에 기인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work processes at the time of installing the
여기서 과냉각 유닛(200)과 냉동장치(10)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과냉각 유닛(200)만이 아닌 냉동장치(10)에도 통신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때문에, 운전제어에 냉동장치(10)로부터의 신호입력이 필요한 과냉각 유닛(200)에 대해서는, 적용 가능한 냉동장치(10)의 기종이 제한되게 되어, 과냉각 유닛(200)의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도 있었다.Here, in order to exchange signals between the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과냉각 유닛(200)은, 냉동장치(10)와의 사이에서 신호 수수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설치대상인 냉동장치(10)에 대해 제약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과냉각 유닛(200)의 설치대상이 될 냉동장치(10)의 기종 제약을 없앨 수 있어, 과냉각 유닛(200)의 사용 간편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contrast, the
-실시형태의 제 1 First embodiment 변형예Variant --
본 실시형태의 과냉각 유닛(200)에서는, 냉매통로(205)의 과냉각용 열교환기(210) 양측에 온도센서(237, 238)를 설치하여, 이들 온도센서(237, 238)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운전제어 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매통로(205)에서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다른 끝 쪽의 부분, 즉 제 2 액측 연락배관(22)에 접속되는 단부 쪽의 부분에 제 1 냉매온도센서(237)가 설치된다. 또 이 냉매통로(205)에서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한끝 쪽의 부분, 즉 제 1 액측 연락배관(21)에 접속되는 단부 쪽의 부분에 제 2 냉매온도센서(238)가 설치된다. 이 과냉각 유닛(200)에서는, 제 1 냉매온도센서(237)가 제 1 냉매온도 검출수단을, 제 2 냉매온도센서(238)가 제 2 냉매온도 검출수단을 각각 구성한다.As shown in FIG. 7, in the
본 변형예의 제어기(240)에는 제 1 냉매온도센서(237)의 검출값과 제 2 냉매온도센서(238)의 검출값이 입력된다. 이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 운전 중의 2개의 냉매온도센서(237, 238) 검출값을 대비시키고, 그 결과에 따라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킬지 정지시킬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The detected value of the first
이 제어기(240)의 제어동작에 대해 설명한다.The control operation of this
우선, 과냉각용 압축기(221) 운전 중에 제 1 냉매온도센서(237)의 검출값이 제 2 냉매온도센서(238)의 검출값보다 낮은 상태이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냉각된 냉매의 온도가 제 1 냉매온도센서(237)에 의해 검출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냉방운전 중과 같이 냉매통로(205) 내를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에서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First,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first
한편, 과냉각용 압축기(221) 운전 중에 제 2 냉매온도센서(238)의 검출값이 제 1 냉매온도센서(237)의 검출값보다 낮은 상태이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냉각된 냉매의 온도가 제 2 냉매온도센서(238)에 의해 검출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 2 난방운전 중과 같이 냉매통로(205) 내를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에서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정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tection value of the second
또 과냉각용 압축기(221) 운전 중에 제 1 냉매온도센서(237)의 검출값과 제 2 냉매온도센서(238)의 검출값이 거의 같은 상태이면, 예를 들어 제 1 난방운전 중과 같이 냉매통로(205) 내에서 냉매가 유통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정지시킨다.If the detected value of the first
여기서, 본 변형예의 제어기(240)에서는, 제 1 냉매온도센서(237)의 검출값과 제 2 냉매온도센서(238) 검출값과의 차를, 냉매통로(205)의 냉매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해도 된다. 즉, 제 1 냉매온도센서(237)의 검출 값에서 제 2 냉매온도센서(238) 검출값을 뺀 값이 음이면, 제 1 냉매온도센서(237)의 검출값이 제 2 냉매온도센서(238) 검출값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 또 제 1 냉매온도센서(237)의 검출값에서 제 2 냉매온도센서(238) 검출값을 뺀 값이 제로 이상이면, 제 1 냉매온도센서(237)의 검출값이 제 2 냉매온도센서(238) 검출값보다 높거나 혹은 양자가 같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Here, in the
-실시형태의 제 2 -Second of embodiment 변형예Variant --
본 실시형태의 과냉각 유닛(200)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매통로(205)에 유량계(流量計)(250)를 설치하고, 이 유량계(251)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운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이 과냉각 유닛(200)에서는, 유량계(251)의 검출값이 제어기(240)에 입력된다. 제어기(240)는, 냉매통로(205) 내에서의 냉매의 유통방향과 냉매통로(205) 내에서 냉매가 유통하고 있는지 여부를, 유량계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즉 이 제어기(240)는, 유량계(251)의 검출값을, 냉매통로(205)에서의 냉매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한다.In this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냉매통로(205) 내를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에서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 또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냉매통로(205) 내를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에서 제 1 액 측 연락배관(21)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혹은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유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정지시킨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실시형태의 제 3 Third of embodiment 변형예Variant --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240)에서는, 외기온도센서(231)의 검출값에만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해도 된다.In the
제어기(240)의 동작을 설명한다. 외기온도센서(231)의 검출값이 소정의 상한값(예를 들어 30℃)을 웃돌면, 냉장진열장(13)이나 냉동진열장(14)에서의 냉각부하, 또는 공조유닛(12)에서의 냉방부하가 높아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정지 중이라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키며,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운전 중이라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 냉매통로(205) 내를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에서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을 향해 흐르는 냉매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냉각된 후, 냉장진열장(13) 등에 공급된다.The operation of the
한편, 외기온도센서(231)의 검출값이 소정의 하한값(예를 들어 20℃)을 밑돌면, 냉장진열장(13)이나 냉동진열장(14)에서의 냉각부하, 또는 공조유닛(12)에서의 냉방부하가 낮아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정지 중이라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채로 하며,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운전 중이라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ed value of the outside
-실시형태의 제 4 Fourth embodiment 변형예Variant --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240)에서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에만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제어기(240)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변화를, 냉매통로(205)에서의 냉매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한다.In the
제어기(240)의 동작을 설명한다.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 시점부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점점 저하되어갈 경우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에서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한편,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켜도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저하되어가지 않을 경우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에서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혹은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흐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tected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does not decrease even when the
또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시점부터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점점 상승되어갈 경우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에서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재기동 시킨다.When the detected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ime when the
한편,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 중이라도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 출값이 상승되어가지 않을 경우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에서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혹은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흐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채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does not rise even when the
-실시형태의 제 5 Fifth embodiment 변형예Variant --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240)에서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 제 1 유로(211)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과냉각용 냉매 온도차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해도 된다.In the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과냉각 유닛(200)에는 제 1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2)와 제 2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3)가 설치된다.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 제 1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2)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 의 제 1 유로(211) 바로 앞에 배치되어, 이 제 1 유로(211)로 유입하고자 하는 과냉각용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한편, 제 2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3)는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의 제 1 유로(211) 바로 뒤에 배치되어, 이 제 1 유로(211)에서 유출된 직후의 과냉각용 냉매 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제어기(240)는, 제 1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2)의 검출값과 제 2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3) 검출값과의 차를, 냉매통로(205)에서의 냉매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한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subcooling
제어기(240)의 동작을 설명한다.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제 2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3)의 검출값이 제 1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2)의 검출 값보다 높을 경우(즉, 제 2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3)의 검출값에서 제 1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2)의 검출값을 뺀 값이 양(+)일 경우)에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에서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한편,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제 2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3)의 검출값이 제 1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2)의 검출값보다 낮을 경우 또는 양자에 차가 없을 경우(즉, 제 2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3)의 검출값에서 제 1 과냉각용 냉매온도센서(252)의 검출값을 뺀 값이 제로 이하일 경우)에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에서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혹은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흐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during operation of the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Sixth Modification of Embodiments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240)에서는,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에만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해도 된다.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은,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의 제 1 유로(211)에서의 냉매압력, 즉 과냉각용 냉매의 증발압력과 거의 동등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흡입압력센서(234)가 증발압력 검출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제어기(240)는,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을, 냉매통로(205)의 냉매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 로 이용한다.In the
제어기(24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어 0.2㎫)을 웃돌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의 제 1 유로(211)에서 과냉각용 냉매가 증발된 것으로 되어,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한편,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흡입압력센서(234)의 검출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로 되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의 제 1 유로(211)에서 과냉각용 냉매가 거의 증발되지 않은 것으로 되어,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실시형태의 제 7 변형예-Seventh Modification of Embodiments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240)에서는,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Tout)과 과냉각용 냉매의 증발온도(Ta) 차에만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제어기(240)는,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Tout)과 과냉각용 냉매의 증발온도(Tg) 차를, 냉매통로(205)의 냉매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한다.In the
제어기(240)의 동작을 설명한다.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Tout)에서 과냉각용 냉매의 증발온도(Tg)를 뺀 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어 15℃) 이하가 될 경우에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1 액측 연 락배관(21) 쪽에서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한편,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 중에,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Tout)에서 과냉각용 냉매의 증발온도(Tg)를 뺀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가 될 경우에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에서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또는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during operation of the
-실시형태의 제 8 -Eighth embodiment 변형예Variant --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240)에서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에만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제어기(240)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을, 냉매통로(205)의 냉매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한다.In the
제어기(24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 중에,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웃돌 경우는, 실외유닛(11)으로부터 냉장진열장(13) 등의 이용측으로 보내지는 냉매의 온도가 높아져있어, 냉장진열장(13) 등에서의 냉각능력이 약간 부족해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한편,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 중에,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됐을 경우는, 실외유닛(11)으로부터 냉장진열장(13) 등의 이용측으로 보내지는 냉매의 온도가 그다지 높지 않아, 냉장진열장(13) 등에서의 냉각능력이 충분히 확보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채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refrigera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236 is low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hile the
-실시형태의 제 9 -Ninth embodiment 변형예Variant --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240)에서는, 냉매온도센서(236)의 검출값과 외기온도센서(231) 검출값과의 차에 기초하여,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운전을 제어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제어기(240)는,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과 외기온도센서(231) 검출값과의 차를, 냉매통로(205)의 냉매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유통상태 표시값으로 이용한다.In the
제어기(240)의 동작을 설명한다. 냉매통로(205) 내를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에서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를 때는, 실외 열교환기(44)에서 실외공기로 방열하여 응축된 냉매가 냉매통로(205)로 유입하게 되지만, 이 냉매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를 밑도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이로써,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 중에,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에서 외기온도센서(231)의 검출값을 뺀 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웃돌 경우에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에서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으로 냉매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한편,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정지 중에, 냉매온도 검출수단(236)의 검출값 에서 외기온도센서(231)의 검출값을 뺀 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가 될 경우에는, 냉매통로(205) 내를 제 2 액측 연락배관(22) 쪽에서 제 1 액측 연락배관(21) 쪽을 향해 냉매가 흐르고 있거나, 또는 냉매통로(205) 내를 냉매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채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etection value of the outside
-실시형태의 제 10 -Tenth embodiment 변형예Variant --
본 실시형태의 과냉각 유닛(200)에 있어서 과냉각용 냉매 회로(200)는, 냉매를 자연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In the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는,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가 과냉각용 열교환기(210)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또 이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는 바이패스배관(224)이 설치된다. 이 바이패스배관(224)은 그 한끝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흡입측에, 다른 끝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토출측에 각각 접속된다. 또 바이패스배관(224)에는, 그 한끝으로부터 다른 끝을 향하는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225)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0, in the subcooling
이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는,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정지 중이어도, 실외 팬(230)을 운전함으로써 과냉각용 냉매가 순환한다. 구체적으로 실외 팬(230)을 운전하면,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에서는 냉매가 실외공기에 방열하여 응축된다.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에서 응축된 과냉각용 냉매는 중력에 의해 내려, 전개방 상태로 설정된 과냉각용 팽창밸브(223)를 통과하여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의 제 1 유로(211)로 유입된다.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의 제 1 유로 (211)에서는, 과냉각용 냉매가 제 2 유로(212)의 냉매로부터 흡열하여 증발한다.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 증발한 과냉각용 냉매는, 바이패스배관(224)을 통과하여 과냉각용 실외 열교환기(222)로 돌아와, 실외공기와 열교환하여 다시 응축된다.In this subcooling
과냉각 유닛(200)의 기동 시에 있어서 본 변형예의 제어기(240)는, 먼저 실외 팬(230)을 기동시키고, 실외 팬(230)을 운전시킨 상태에서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기(240)는, 냉매통로(205) 내를 흐르는 냉매의 냉각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채 실외 팬(230)만을 기동시킨다. 실외 팬(230)을 기동시키면, 냉매통로(205)에서는 과냉각용 냉매가 자연순환 되어,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는 과냉각용 냉매에 의해 제 2 유로(212)의 냉매가 냉각된다. 제어기(240)는, 이 실외 팬(230)만을 운전하는 상태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분간)에 걸쳐 계속시키고, 그 후에 냉매통로(205) 내를 흐르는 냉매의 냉각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냉매통로(205) 내를 흐르는 냉매의 냉각이 부족하면, 제어기(240)가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킨다.At the start of the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기동되면,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에서 냉동순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 냉매의 냉각이 부족하지 않다면, 제어기(240)는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정지시킨 채로 실외 팬(230)의 운전만을 계속시킨다.When the
본 변형예에서는,실외 팬(230)의 운전에 의해 과냉각용 냉매를 자연순환 시키는 것만으로는 열원측 냉매의 냉각이 부족한 경우에만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이 필요 없는데도 불구하고 과냉각용 압축기(221)를 기동시켜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기동회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과냉각용 압축기(221)가 불안정한 과도상태에서 운전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과냉각용 압축기(22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modification, the supercooling
-실시형태의 제 11 -Eleventh embodiment 변형예Variant --
본 실시형태의 과냉각 유닛(200)은, 과냉각용 냉매 회로(220) 대신, 냉수가 유통하는 냉수회로를 냉각용 유체회로로서 구성시켜도 된다. 이 냉수회로에서는, 예를 들어 5℃ 정도의 비교적 저온의 물이 유통한다. 본 변형예의 과냉각용 열교환기(210)에서는, 그 제 1 유로(211)에 냉수회로가 접속되어, 제 1 유로(211) 내를 흐르는 냉수가 제 2 유로(212)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 교환된다.In the
여기서,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above embodiments are essentially preferred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thereof, or the scope of use thereo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장치의 열원유닛으로부터 이용유닛으로 공급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과냉각 장치에 대해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a subcooling device for cooling a refrigerant supplied from a heat source unit of a refrigerating device to a use unit.
Claims (2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174288 | 2004-06-11 | ||
JP2004174288 | 2004-06-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0734A KR20060060734A (en) | 2006-06-05 |
KR100764339B1 true KR100764339B1 (en) | 2007-10-05 |
Family
ID=3550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5983A Expired - Lifetime KR100764339B1 (en) | 2004-06-11 | 2005-06-09 | Supercool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022777A1 (en) |
EP (1) | EP1674806A4 (en) |
KR (1) | KR100764339B1 (en) |
CN (1) | CN100417875C (en) |
AU (1) | AU2005252958B2 (en) |
WO (1) | WO200512165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42054B2 (en) * | 2006-02-27 | 2010-09-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Refrigeration equipment |
KR100800002B1 (en) * | 2007-03-15 | 2008-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ing system |
WO2008130412A1 (en) * | 2007-04-23 | 2008-10-30 | Carrier Corporation | Co2 refrigerant system with booster circuit |
US9989280B2 (en) * | 2008-05-02 | 2018-06-05 | Heatcraft Refrigeration Products Llc | Cascade cooling system with intercycle cooling or additional vapor condensation cycle |
EP2431684B1 (en) * | 2009-05-13 | 2020-04-15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US8011191B2 (en) * | 2009-09-30 | 2011-09-06 | Thermo Fisher Scientific (Asheville) Llc | Refrigeration system having a variable speed compressor |
EP2472202B1 (en) * | 2009-10-28 | 2019-03-20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ir conditioning device |
KR101585943B1 (en) * | 2010-02-08 | 2016-01-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20120055185A1 (en) * | 2010-09-02 | 2012-03-08 | Ran Luo | Refrigeration apparatus |
CN102486452A (en) * | 2010-12-05 | 2012-06-06 | 西安中科麦特电子技术设备有限公司 | Supercooled water generator |
US9845981B2 (en) * | 2011-04-19 | 2017-12-19 | Liebert Corporation | Load estimator for control of vapor compression cooling system with pumped refrigerant economization |
JP5445569B2 (en) * | 2011-12-09 | 2014-03-19 | 株式会社デンソー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US11175073B2 (en) * | 2015-08-20 | 2021-11-16 | Lennox Industries Inc. | Carbon dioxide cooling system with subcooling |
US11255580B2 (en) * | 2015-08-20 | 2022-02-22 | Lennox Industries Inc. | Carbon dioxide cooling system with subcooling |
EP3614071B1 (en) * | 2017-04-17 | 2021-12-22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Refrigeration cycle device |
WO2018235832A1 (en) | 2017-06-23 | 2018-12-2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Heat transfer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5333A (en) | 1996-12-19 | 1998-07-14 | Daikin Ind Ltd | Air 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10586A (en) * | 1971-02-16 | 1973-01-16 | Borg Warner | Refrigeration system with fluid transformer for controlling regrigerant flow |
GB1544804A (en) * | 1977-05-02 | 1979-04-25 | Commercial Refrigeration Ltd |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transferring heat between bodies of fluid or other substance |
JPS59120876U (en) * | 1983-02-04 | 1984-08-15 | 三洋電機株式会社 | Refrigeration equipment |
JPH06201176A (en) * | 1992-12-28 | 1994-07-19 | Toshiba Corp | Air-conditioner |
JPH0828984A (en) * | 1994-07-14 | 1996-02-02 | Toshiba Corp | Air conditioner |
JP3601134B2 (en) * | 1995-09-28 | 2004-12-1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Refrigeration equipment |
US7076964B2 (en) * | 2001-10-03 | 2006-07-18 | Denso Corporation | Super-critical refrigerant cycle system and water heater using the same |
CN2572309Y (en) * | 2002-06-18 | 2003-09-10 |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 High supercooling degree vapour compression circulation supercooler set |
CN1283961C (en) * | 2002-08-02 | 2006-11-08 | 大金工业株式会社 | Refrigeration equipment |
-
2005
- 2005-06-09 US US10/570,879 patent/US2007002277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6-09 EP EP05748863.7A patent/EP1674806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5-06-09 AU AU2005252958A patent/AU2005252958B2/en not_active Ceased
- 2005-06-09 KR KR1020067005983A patent/KR10076433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06-09 CN CNB2005800009378A patent/CN10041787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6-09 WO PCT/JP2005/010584 patent/WO2005121654A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5333A (en) | 1996-12-19 | 1998-07-14 | Daikin Ind Ltd |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842680A (en) | 2006-10-04 |
AU2005252958B2 (en) | 2007-06-28 |
AU2005252958A1 (en) | 2005-12-22 |
WO2005121654A1 (en) | 2005-12-22 |
US20070022777A1 (en) | 2007-02-01 |
EP1674806A4 (en) | 2014-02-26 |
KR20060060734A (en) | 2006-06-05 |
EP1674806A1 (en) | 2006-06-28 |
CN100417875C (en) | 2008-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62387B1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EP3279580B1 (en) | Air-conditioning device | |
KR100764339B1 (en) | Supercooling apparatus | |
US20240085044A1 (en) | Air-conditioning apparatus | |
US20150059380A1 (en) | Air-conditioning apparatus | |
US20140026605A1 (en) | Air-conditioning apparatus | |
KR100795291B1 (en) | Freezer | |
US12235002B2 (en) | Air-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ction | |
JP4905018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WO2009139187A1 (en) | Refrigeration device | |
JP3861912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JP2010276239A (en) | Refrigerating air-conditioning device | |
KR100738780B1 (en) | Subcooling apparatus | |
JP5872052B2 (en) | Air conditioner | |
JP4868049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CN114341569A (en) | Heat source unit and refrigerating device | |
JP2009293887A (en) | Refrigerating device | |
JP4023386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JP2008032337A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JP3824009B2 (en) | Supercooling device | |
JP3966345B2 (en) | Supercooling device | |
CN100436961C (en) | Refrigeration unit | |
JP2006162240A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JP3824008B2 (en) | Supercooling device | |
JP5194842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