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3867B1 - 네트워크 신호 복구 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신호 복구 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867B1
KR100763867B1 KR1020057016216A KR20057016216A KR100763867B1 KR 100763867 B1 KR100763867 B1 KR 100763867B1 KR 1020057016216 A KR1020057016216 A KR 1020057016216A KR 20057016216 A KR20057016216 A KR 20057016216A KR 100763867 B1 KR100763867 B1 KR 100763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home
mobile station
avai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214A (ko
Inventor
자야스리 구나라트남
노우쉐드 나크비
브리안 테일러
크레이그 이안 하이트 스완
다르시 리처드 핍스
휴 힌드
바오 큐오 뉴엔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3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신호 복구 및/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자동 네트워크 선택과 관련되는 일 예시에서, 이동국(200)은 넌-홈 통신 네트워크(406)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 그 다음에 이동국(200)은 아웃-어브-커버리지 상태(또는 파워-다운 상태)를 경험하지만 후속하여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다(또는 파워-백 온된다). 응답에 있어서, 이동국(200)은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캔한다. 만일 홈 네트워크(402)가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200)은 홈 네트워크(402)를 선택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 그렇지 않고, 만일 이전의 넌-홈 네트워크(406)(예를 들어, RPLMN)가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200)은 이전의 넌-홈 네트워크(406)와의 동작을 계속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신호 복구 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WITH HOME NETWORK PRIORIZATION AFTER NETWORK SIGNAL RECOVERY OR POWER-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여기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는,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With Home Network Prioritization After Recovery From Out-Of-Coverage Conditions" 라는 명칭으로 2003년 11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0/519,514호의 우선권 주장에 기초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국 및 그것에 의해 채용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셀룰러 이동국과 같은 이동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 통화를 행하고 수신할 수 있고 또한/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것을 행할 수 있기 전에, 이동국은 그것의 지리적인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고 등록한다. 선택된 네트워크를 등록한 후, 이동국은 통화 또는 메시지를 모니터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특정한 무선 통신 채널을 "보류 접속하는(camps-on)" 아이들(idle)모드 상태에서 동작시킨다. "네트워크 선택" 은 등록하여 동작시킬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해 이동국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한 프로세스이다.
셀룰러 폰 동작 및 네트워크 선택 방식은 셀룰러 이동국 및 관련 시스템의 동작(behavior)을 지배하는 표준 기술사양으로 문서화되어 있다. 주지된 하나의 셀룰러 표준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표준이다. GSM 03.22/유럽 기술 표준 협회(European Technical Standards Institute; ETSI)TX 100 930,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부터의 기술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TS), 및 다른 관련된 표준 기술사양은 셀룰러 동작 및 네트워크 선택을 매우 자세하게 서술한다. 이들 문서는 네트워크[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s; PLMNs)로 지칭]와의 커버리지를 유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는 연속적인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이동국이 여러 지역 및 국가들 사이에서 이동하고 로밍(roam)할 때 이동국이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서술한다.
통상적으로, 이동국은 그것이 둘러싸는 커버리지 영역내의 모든 활용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초기에 스캐닝함으로써 네트워크 선택을 수행한다. 각 네트워크는 고유의 모바일 컨트리 코드(Mobile Country Code; MCC)및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obile Network Code; MNC)쌍에 의해 식별된다. 만일 이동국의 "홈 네트워크"(HPLMN)가 활용가능하다면, 이동국은 통상적으로 홈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할 것이다. 만일 HPLMN이 활용가능하지 않다면, 이동국은 통상적으로 이동국의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 설정 네트워크 리스트 중에서 최고의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 할 것이다. 이동국의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카드에 저장된, 통상 PPLMN(Preferred Public Land Mobile Metwork)리스트로 지칭되는, 여러개의 기본설정 네트워크 리스트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PLMN 리스트는 사용자-제어 PPLMN(U-PPLMN)리스트 및 오퍼레이터-제어 PLMN(O-PPLMN)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네트워크 선택 방법은 통상적으로 "자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으로 지칭된다. 자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모바일 장치 상에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활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로부터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이동국의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은 "수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동국에 대한 종래의 네트워크 선택 방법에는, 특히 HPLMN에 의한 동작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아웃-어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복구된 후, 이동국은 이동국이 바로 이전에 등록한 PLMN(즉, 그것의 "RPLMN")을 선택하여 상기 PLMN과 함께 동작한다. 만일 RPLMN이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HPLMN 일 수 있는 PLMN을 식별하여 선택하기 위해 스캔을 수행한다. 그러나, 기술사양은 RPLMN이 이동국의 HPLMN이 아니다라는 상황을 명확하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만일 RPLMN이 HPLMN이 아니고, HPLMN은 아웃-어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의 복구 이후에 활용가능하다면, 이동국이 복구시 넌-홈 RPLMN(활용가능하다면)을 선택하는데 제한된다는 것이 명기된다. 이러한 종래의 동작은 ETSI 기술사양 3.22/23.122에 개시되어 있다. 이동국이 RPLMN에 의해 동작되는 동안 파워-오프되고 후속으로 파워-백 온되는 경우에 유사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관련된 문제점에 있어서, 만일 이동국이 "수동" 모드 상에 있는 동안 최종 RPLMN이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보류 접속(camp on)할 것이라는 것이 기술표준에 명기된다. 이 선택된 네트워크는, 특히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가 활용가능하다면, 그와 함께 통신하는 최적의 네트워크일 수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발명의 개시
네트워크 신호 복구 및/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가 여기에 개시된다.
"자동" 네트워크 선택과 관련되는 일 예시에서, 이동국은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 그 다음으로 이동국은 아웃-어브-커버리지 상태(또는 파워-다운 상태)를 경험하지만 후속으로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다(또는 파워-백 온된다). 응답에 있어서, 이동국은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캔한다. 만일 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HPLMN)가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은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 그렇지 않고, 만일 이전의 넌-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RPLMN)가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은 이전의 넌-홈 통신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한다.
"수동" 네트워크 선택과 관련되는 다른 예시에 있어서, 이동국이 함께 동작할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 아웃-어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네트워크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 후에, 또는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 된 후에, 이동국은 커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캔한다. 만일 스캐닝에 의해 식별된 대로 이전의 수동-선택된 네트워크(예를 들어, RPLMN)가 활용가능하지만 홈 네트워크가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이전의 수동-선택된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한다. 그러나, 만일 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HPLMN)가 스캐닝에 의해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은 홈 네트워크의 수동 선택을 위해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표시되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이동국의 보다 상세한 예이고;
도 3은 이동국과 통신하는 시스템의 특정 구조이고;
도 4는 이동국의 홈 네트워크가 활용가능하게 만들어지는 동안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현재 등록되고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이동국을 예시하고;
도 5는 현재의 표준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네트워크 신호 복구 및/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의 "자동" 선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네트워크 신호 복구 및/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의 "수동" 선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
네트워크 신호 복구 및/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가 여기에 개시된다. "자동" 네트워크 선택과 관련되는 하나의 예시에 있어서, 이동국은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 그 다음으로, 이동국은 아웃-어브-커버리지 상태(또는 파워-다운 상태)를 경험하지만 후속으로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다(또는 파워-백 온된다). 응답에 있어서, 이동국은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캔한다. 만일 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HPLMN)가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은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 그렇지 않고 이전의 넌-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RPLMN)가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은 이전의 넌-홈 통신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한다. "수동" 네트워크 선택과 관련되는 다른 예시에 있어서, 이동국이 함께 동작할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 아웃-어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네트워크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 이후이거나 또는 파워 오프 상태로부터 파워 온 된 이후에, 이동국은 커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캔한다. 만일 스캐닝에 의해 식별된 바와 같이 이전의 수동-선택된 네트워크(예를 들어, RPLMN)는 활용가능하지 만 홈 네트워크는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이전의 수동-선택된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한다. 그러나, 만일 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HPLMN)가 스캐닝에 의해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은 홈 네트워크의 수동 선택을 위해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표시되게 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4)를 통해 통신하는 이동국(102)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이동국(102)은 가시적인 표시부(112), 키보드(114)및 하나 이상의 보조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1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부, 키보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각은 컨트롤러(106)에 결합되어 있다. 컨트롤러(106)는 또한 무선 주파수(RF)트랜시버(108)와 안테나(110)에 결합되어 있다.
대부분의 현대적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컨트롤러(106)는 메모리 컴포넌트(도시되지 않음)내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CPU)로서 구체화된다. 컨트롤러(106)가 통상적으로 이동국(102)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것이지만 통신 기능들과 관련된 신호 처리 동작들은 통상적으로 RF 트랜시버 회로(108)에서 수행된다. 컨트롤러(106)는 수신된 정보, 저장된 정보, 사용자 입력 등을 표시하기 위해 장치 표시부(112)와 인터페이스로 접속된다. 전화기형 키패드 또는 문자숫자식 키보드일 수 있는 키보드(114)는 이동국(102)내의 저장용 데이터, 네트워크(104)에 대한 송신용 정보, 전화 통화를 위치시키는 전화번호, 이동국(102)에서 실행될 명령, 및 다른 또는 상이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기 위해 보통 제공된다.
이동국(102)은 안테나(110)를 통한 무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104)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104)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RF 트랜시버 회로(108)는, 예를 들어 변조/복조와 가능하다면 인코딩/디코딩 및 암호화/암호해독을 포함하는, 기지국(120)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RF 트랜시버 회로(108)는 기지국(12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에 부가하여 어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도 고려된다. 당업자에게 RF 트랜시버 회로(108)는 이동국(102)이 함께 동작할 것으로 의도되어 있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에 맞추어 적응될 것임은 명백할 것이다. 이동국(102)이 완전히 동작적인 경우, RF 트랜시버 회로(108)의 RF 송신기는 통상적으로 그것이 네트워크로 송신중일 때만 턴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자원을 보존하기 위해 턴오프된다. 송신기의 이와 같은 간헐적인 동작은 이동국(102)의 전력 소모에 대단한 영향을 준다. 이와 유사하게, RF 트랜시버 회로(108)의 RF 수신기는 지정된 시간 동안(만일 모두에서)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요구될 때까지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통상 주기적으로 턴오프된다.
이동국(102)은 하나 이상의 재충전가능한 배터리(132)를 수용하는 배터리 인터페이스(134)를 포함한다. 이동국(102)이 최종 사용자[예를 들어, 키보드(114)에서]에 의해 파워 온되면, 배터리(132)는 이동국(102)내의 전기 회로(모두는 아니지만 대부분)에 전력을 제공한다. 배터리 인터페이스(134)는 배터리(132)에 대한 기계적인 접속 및 전기적인 접속 양쪽을 제공한다. 배터리 인터페이스(134)는 장치에 대한 전력을 조정하는 조정기(136)에 결합되어 있다. 이동국(102)을 파워-오프 상태로 두기 위해 최종 사용자에 의해 이동국(102)이 파워 오프되면, 대부분의 회로[ 예를 들어, 적어도 RF 트랜시버(108)]로의 전력이 차단된다.
이동국(102)은, 데이터 통신 장치, 셀룰러 폰, 데이터와 음성 통신 능력을 갖는 다기능 통신 장치, 무선 통신용으로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내장 모뎀을 포함하는 컴퓨터와 같이, 단일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국(102)은 무선 모뎀에 접속된 컴퓨터 또는 다른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 복수의 개별적인 컴포넌트를 구비하는 다중-모듈 유닛일 수도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도 1 의 이동국 블록도에서, RF 트랜시버 회로(108)와 안테나(110)는 랩탑 컴퓨터상의 포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무선 모뎀 유닛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랩탑 컴퓨터는 표시부(112), 키보드(114), 하나 이상의 보조적인 UI(116)및 컴퓨터의 CPU 로서 구체화된 컨트롤러(106)를 포함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할 수 없는 컴퓨터 또는 다른 장비는 전술한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단일 유닛 장치의 RF 트랜시버 회로(108)와 안테나(110)에 접속되고 효과적으로 제어하도록 알맞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이동국(102)은 도 2 의 이동국(200)과 관련하여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다 특별한 구현물을 가질 수 있다.
이동국(102)은 SIM 인터페이스(142)에서 이동국(102)에 접속되거나 또는 삽입되는 가입자 신원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140)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SIM(140)은 이동국(102)의 최종 사용자(또는 가입자)를 식별하고 다른 것들 중에서 장치를 개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스마트 카드" 의 일종이다. SIM(140)이 없으면, 이동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104)를 통한 통신에 대해 완전하 게 동작적이지 않다. SIM(140)을 이동 단말기에 삽입함으로써, 최종 사용자는 자신들의 가입된 임의의 그리고 모든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해, SIM(140)은 기본설정 네트워크 리스트 뿐만 아니라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은 사용자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SIM(140)은 보통 최종 사용자에 의해서만 알려지고 거기에 저장되어 있는 4-디지트 개인 식별 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에 의해 보호된다. SIM(140)을 사용하는 이점은 최종 사용자가 임의의 단일 물리적인 이동 단말기에 의해 반드시 속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를 개인화하는 유일한 엘리먼트는 SIM 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SIM(140)에 의해 동작하도록 장비된 대부분 임의의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입된 서비스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SIM(140)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SIM(140) 및 그것의 인터페이스 기술표준은 주지되어 있다. SIM 인터페이스(142)를 갖는 표준 GSM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통상적인 SIM(140)은 6개의 접속을 갖는다.
이동국(102)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4)내에서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104)를 통해 통신한다. 도 1 의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104)는 GSM 및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에 따라 동작한다. 무선 네트워크(104)는 관련 안테나 타워(118)를 갖는 기지국(120),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 122),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 132), 서빙 제네럴 패킷 라디오 서비스(GPRS)서포트 노드(SGSN)(126)및 게이트웨이 GPRS 서포트 노드(GGSN)(128)을 포함한다. MSC(122)는 기지국(120)과 공중전화망(PSTN)(124)과 같은 랜드라인 네트워크에 결합되어 있다. SGSN(126)은 기지국(120)과 GGSN(128)에 결합되어 있고, GGSN 은 차례로(인터넷과 같은)공중 또는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130)에 결합되어 있다. HLR(132)은 MSC(122) 및 SGSN(126)에 결합되어 있다.
그것의 관련 컨트롤러 및 안테나 타워(118)를 포함하는 기지국(120)은 "셀" 로서 공통적으로 지칭되는 특정한 커버리지 영역에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기지국(120)은 안테나 타워(118)를 통해 그것의 셀내의 이동국으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국으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기지국(120)은, 그것의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서, 특정한 보통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과 파라미터에 따라 이동국(102)으로 송신될 신호를 변조 및 가능하면 인코딩 및/또는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120)은 유사하게 그것의 셀 내의 이동국(102)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를, 필요하다면, 복조와 가능하면 디코딩 및 암호해석한다. 통신 프로토콜과 파라미터들은 상이한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네트워크는 상이한 변조 방식을 채용할 수 있고 다른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의 통신 시스템(100)에 도시된 무선 링크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채널, 통상적으로 상이한 무선 주파수(RF) 채널 및 무선 네트워크(104)와 이동국(102)사이에서 사용되는 관련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RF 채널은, 보통 전체 대역폭에서의 제한 및 이동국(102)의 제한된 배터리 전력 때문에, 보존되어야 하는 제한된 자원이다. 당업자는 실용에서의 무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소망의 전체적인 확장에 의존하여, 각각이 별개의 기지국(120)과 트랜시버에 의해 서브(serve)되 는 수백개의 셀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모든 기지국 컨트롤러 및 기지국들은 다중 스위치들 및 라우터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고 다중 네트워크 컨트롤러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등록된 모든 이동국(102)에 대해, [이동국(102)의 현재 위치와 같은] 임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이동국(102)의 사용자 프로파일과 같은] 영구 데이터가 HLR(132)에 저장되어 있다. 이동국(102)에 대한 음성 통화의 경우에, HLR(132)은 이동국(102)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질문된다. MSC(122)의 비지터 로케이션 레지스터(VLR)는 로케이션 영역들의 그룹에 책임이 있고 그것의 책임있는 영역내에 현재 있는 이동국들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것은 보다 신속한 액세스를 위해 HLR(132)로부터 VLR 로 송신된 영구적인 이동국 데이터의 일부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MSC(122)의 VLR 은 또한 임시 식별과 같은 국소적인 데이터를 할당하고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MSC(122)의 VLR 은, GPRS 와 넌-GPRS 서비스 및 기능성의 보다 효율적인 조정(co-ordination)[예를 들어, SGSN(126)및 결합된 GPRS 와 넌-GPRS 위치 갱신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회로-스위치 통화에 대한 페이징(paging)]을 위해 강화될 수 있다.
GPRS 네트워크의 일부분인 서빙 GPRS 서포트 노드(SGSN)(126)은 MSC(122)와 동일한 계층 레벨에 있고 이동국들의 개별적인 위치를 추적한다. SGSN(126)은 또한 보안 기능 및 액세스 제어를 수행한다. 게이트웨이 GPRS 서포트 노드(GGSN)(128)는 외부 패킷-스위치 네트워크와 인터워킹(interworking)을 제공하고 IP-기반 GPRS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SGSN(126)과 같은)SGSN 들과 접속되어 있다. SGSN(126)은 동일 알고리즘, 키 및 기존의 GSM 에서와 같은 기준(criteria)에 기초하여 인증(authentication)및 암호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통상적인 동작에 있어서, 셀 선택은 이동국(102)에 의해 또는 특정 셀을 선택하도록 이동국(102)에게 지시하는 기지국(120)에 의해 자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동국(102)은 그것이 다른 셀 또는 라우팅 영역으로 알려진 셀들의 그룹을 재선택하면 무선 네트워크(104)에게 통지한다.
GPRS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이동국(102)은 먼저 GPRS "부착" 으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104)에게 그의 존재를 알린다. 이러한 동작은 이동국(102)과 SGSN(126) 사이의 논리적인 링크를 확립하고 이동국(102)이 예를 들어, SGSN을 통한 페이지(page), 인커밍 GPRS 데이터의 통지, 또는 GPRS를 통한 SM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GPRS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이동국(102)은 이것이 사용하기를 원하는 패킷 데이터 어드레스를 활성화시킬 때 보조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이동국(102)이 GGSN(128)에게 알려지고;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와 인터워킹이 그 후에 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예를 들어, 캡슐화 및 터널링을 사용하여 이동국(102)과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서 투명하게 전달될 수 있다. GPRS-특정 프로토콜 정보가 갖추어진 데이터 패킷이 이동국(102)과 GGSN(128)사이에서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는 RF 트랜시버, 증폭기, 기지국 컨트롤러, 네트워크 서버 및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를 포함하는 고정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무선 네트워크가 도 1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가능하면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네트워크는 통상적으로, 실제 패킷 데이터 교환이 없을지라도, 온고잉(ongoing)에 기초하여 적어도 몇몇 종류의 페이징 및 시스템 정보를 송신중일 것이다. 네트워크가 많은 부분들로 구성될지라도, 이들 부분 모두는 무선 링크에서의 어떤 행동을 초래하도록 함께 작동한다.
도 2는 바람직한 이동 통신 장치, 이동국(200)의 상세 블록도이다. 이동국(200)은,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갖는 2-웨이 통신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국(200)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성에 의존하여, 데이터 메시징 장치, 2-웨이 페이저, 데이터 메시징 능력을 갖는 셀룰러 폰, 무선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또는(통화 능력을 갖는 또는 갖지 않는)데이터 통신 장치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이동국(200)이 2-웨이 통신을 할 수 있다면, 수신기(212), 송신기(214),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내장 또는 내부) 안테나 엘리먼트(216 및 218)과 같은 관련 컴포넌트, 로컬 오실레이터(LO)(213),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20)와 같은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서브시스템(211)을 통상적으로 포함할 것이다. 통신 서브시스템(211)은 도 1에 도시된 RF 트랜시버 회로(108)및 안테나(110)와 유사하다. 통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하듯이, 통신 서브시스템(211)의 특별한 설계는 이동국(200)이 함께 동작하고자 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네트워크 액세스 요구조건도 사용되는 네트워크의 종류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GPRS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액세스는 가입자 또는 이동국(200) 의 사용자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GPRS 장치는 GPRS 네트워크를 동작시키기 위해 "SIM"(262)으로 공통으로 지칭되는, 가입자 신원 모듈(SIM)을 요구한다. SIM(262)이 SIM 인터페이스(264)에 삽입되지 않으면, GPRS 장치는 완전하게 기능하지 않을 것이다. 로컬 또는 넌-네트워크 통신 기능(만일 있다면)이 동작가능일 수 있지만, 이동국(200)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과 관련되는 임의의 기능들을 실행할 수 없을 것이다. SIM(262)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이들 특징을 포함한다.
이동국(200)은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서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와 관련된 복수의 기지국(202) 중 하나와 관련하여 동작할 것이다. 이동국(200)은 요구되는 네트워크 등록 또는 활성화 절차가 완료된 후에 선택된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네트워크 선택은 아래의 도 6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네트워크를 통해 안테나(216)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이 수신기(212)에 입력되며, 수신기는 신호 증폭, 주파수 다운 변환, 필터링, 채널 선택 등, 및 도 2 에 도시된 예에서, 아날로그-디지털(A/D)변환과 같은 공통적인 수신기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신호를 A/D 변환함으로써, DSP(220)에서 복조와 디코딩과 같은 보다 복잡한 통신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송신될 신호들이 예를 들어 DSP(220)에 의해 변조 및 인코딩을 포함하여 처리된다. 이들 DSP-처리된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D/A)변환, 주파수 업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안테나(218)를 통한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송신기(214)에 입력된다. DSP(220)는 통신 신호들을 처리할 뿐만 아니라,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212)및 송신기(214)에서 통신 신호들에 인가되는 이득들(gains)은 DSP(220)에 의해 실행되는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적응할 수 있게 제어될 수 있다.
이동국(200)은 이동국(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도 1의 컨트롤러(106)의 하나의 구현물인) 마이크로프로세서(238)를 포함한다. 적어도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들은 통신 서브시스템(211)을 통해 수행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38)도 또한 표시부(222), 플래시 메모리(224), RAM(226), 보조 입/출력(I/O)서브시스템(228), 직렬 포트(230), 키보드(232), 스피커(234), 마이크로폰(236), 근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40)및 242 로 지시된 임의의 다른 장치 서브시스템과 같은 부가적인 장치 서브시스템과 상호작용한다. 데이터와 제어 라인들(260)이 SIM 인터페이스(254)와 마이크로프로세서(238)사이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고 제어하기 위해 SIM 인터페이스(254)와 마이크로프로세서(238)사이에서 연장한다. 도 2에 도시된 서브시스템들 중 일부는 통신-관련 기능들을 수행하는 반면, 다른 서브시스템들은 "상주(resident)" 또는 온-장치(on-divice)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키보드(232)와 표시부(222)와 같은 서브시스템들은,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의 송신용 텍스트 메시지를 도입하는 것과 같은 통신-관련 기능들, 및 계산기 또는 업무 리스트와 같은 장치-상주 기능들 양쪽에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38)에 의해 사용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플래시 메모리(224), 대안적으로는 ROM 또는 유사한 저장 엘리멘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영구적인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특정 장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그것의 일부가 RAM(226)과 같은 휘발성 저장부 내부에 임시로 로드(load)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238)는, 그것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기능들에 부가하여, 이동국(200)상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 애플리케이션들(네트워크 선택 방식과 같은)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본적인 장치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세트는 통상적으로 이동국의 제조시 이동국(200)에 인스톨될 것이다. 이동국(200)으로 로드될 수 있는 기본설정 애플리케이션은, e-메일, 카렌다 이벤트(calendar events), 음성 메일, 약속 및 업무 항목들과 같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자와 관련되는 데이터 항목들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갖는 개인 정보 매니저(PIM)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당연히, PIM 데이터 항목들 및 다른 정보를 용이하게 저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메모리 저장부가 이동국(200)및 SIM(262)상에서 활용가능하다.
PIM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항목들을 송수신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PIM 데이터 항목들은,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 및/또는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되는 이동국 사용자의 대응하는 데이터 항목들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균일하게 통합되고, 동기화되고 또한 갱신됨으로써, 그러한 항목들에 대하여 이동국(200)에 미러(mirrored)호스트 컴퓨터가 생성된다. 이것은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이 이동국 사용자의 사무실 컴퓨터 시스템인 경우에 특별히 유리하다. 부가적인 애플리케이션들도 또한 네트워크, 보조 I/O 서브시스템(228), 직렬 포트(230), 근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40), 또는 다른 적당한 서브시스템(242)을 통해 이동국(200)으로 로드되고, RAM(226)또는 바람 직하게는 비휘발성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38)에 의한 실행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인스톨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인스톨에서의 이러한 유연성(flexibility)은 이동국(200)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고 향상된 온-장치 기능들, 통신-관련 기능들,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한 통신 애플리케이션들로 인해 이동국(200)을 사용하여 전자 상거래 기능들 및 다른 금융 거래들이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 있어서, 텍스트 메시지와 같은 수신 신호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는 통신 서브시스템(211)에 의해 처리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38)에 입력될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238)는 표시부(222)또는 대안적으로 보조 I/O 장치(228)로의 출력용 신호를 추가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동국(200)의 사용자는 또한, 표시부(222)및 가능하면 보조 I/O 장치(228)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키보드(232)를 사용하여, e-메일 메시지 또는 SMS(short massage service)메시지와 같은 데이터 항목들을 조립할 수도 있다. 키보드(232)는 완전한 문자숫자식 키보드 및/또는 전화형 키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조립된 항목은 통신 서브시스템(211)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음성 통신에 대해, 이동국(200)의 전체 동작은, 수신 신호들이 스피커(234)로 출력되고 송신용 신호들이 마이크로폰(236)에 의해 발생될 것이라는 점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음성 메시지 레코딩 서브시스템과 같은 대안적인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시스템도 또한 이동국(200)에 구현될 수 있다. 비록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출력은 기본적으로 스피커(234)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만, 표시부(222)도 또한 일부 예로서, 통화 상대의 신원의 표시, 음성 통화의 기간, 또는 다른 음성 통화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 에서의 직렬 포트(23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데스크탑 컴퓨터와의 동기화가, 비록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한 컴포넌트인 PDA 형 통신 장치로 구현된다. 직렬 포트(230)에 의해 사용자는 외부 장치를 통한 선호설정(preference)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외에 정보 또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이동국(200)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동국(200)의 능력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다운로드 경로가 암호키를 직접적이고 그에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접속을 통해 이동국(200)으로 다운로드하는데 사용됨으로써 안전한 장치 통신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 의 근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40)은 이동국(200)과 반드시 유사한 장치일 필요는 없는 다른 시스템들 또는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선택적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서브시스템(240)은 유사하게-작동되는 시스템들 및 장치들과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적외선 장치와 관련 회로들 및 컴포넌트들 또는 BluetoothTM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BluetoothTM 는 Bluetooth SIG, Inc 의 등록 상표이다.
이동국(2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재충전가능한 배터리(256)를 수용하는 배터리 인터페이스(2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200)이 최종 사용자(예를 들어, 키보드(232)에서)에 의해 파워 온되면, 배터리(256)는 이동국(200)내의 모든 전기 회 로는 아니지만 대부분에게 전력을 제공한다. 배터리 인터페이스(254)는 배터리(256)에 대한 기계적인 접속 및 전기적인 접속 양쪽을 모두 제공한다. 배터리 인터페이스(254)는 모든 회로에 대한 전력을 조정하는 조정기(도 2 에 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있다. 이동국(200)을 파워-오프 상태로 놓기 위해 최종 사용자에 의해 이동국(200)이 파워 오프되면, 대부분의 회로(예를 들어, 적어도 통신 서브시스템(211))에 대한 전력이 차단된다.
도 3은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특정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다. 특히, 도 3은 GPRS 네트워크와 같은 IP-기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의 기본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이동국(200)은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345)와 통신하고, 또한 무선 음성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음성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GSM 및 GPRS 네트워크들과 유사한 IP-기반 무선 네트워크(345)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완전히 별개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GPRS IP-기반 데이터 네트워크는 GSM 음성 네트워크 상에 효과적으로 오버레이(overlay)된다는 면에서 유일(unique)하다. 이와 같이, GPRS 컴포넌트들은 기지국(320)과 같은 기존의 GSM 컴포넌트를 확장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로서 어드밴스드 게이트웨이 GPRS 서비스 노드(GGSN)와 같은 부가될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을 요구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340)는 내부 또는 외부 어드레스 레졸루션 컴포넌트(335)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에 결합될 수 있다. 데이터 패킷들은, 게이트웨이(340)로부터 이동국(200)까지 무선 네트워크 터널 (325)을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345)를 통해, 송신될 정보의 원천인 게이트웨이(340)로부터 이동국(200)으로 송신된다. 이러한 무선 터널(325)을 생성하기 위해, 유일한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이동국(200)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IP-기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드레스들은 통상적으로 특정 이동국(200)에게 영구적으로 할당되지 않지만 대신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된다. 이동국(200)이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게이트웨이(340)가 무선 터널(325)을 확립하도록 이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는 일반적으로 많은 게이트웨이들, 공동 서버들 및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벌크(bulk)접속들 중에서 다중화하고 역다중화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이들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들도 또한 외부적으로 활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중심에 모으도록 의도되어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는 종종 게이트웨이들과 이동 장치들 사이의 어드레스 할당 및 룩업(lookup)을 보조하는 어드레스 레졸루션 컴포넌트(335)의 몇몇 형태를 사용한다. 본 예에서, 어드레스 레졸루션 컴포넌트(335)는 어드레스 레졸루션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하나의 방법과 같이 동적 호스트 배치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로서 도시되어 있다.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345)의 내부 중심 컴포넌트는 네트워크 라우터(315)이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라우터(315)는 특정 네트워크에 대해 독점적이지만, 그들은 대안적으로 상업적으로 활용가능한 표준 하드웨어로부터 구축될 수 있다. 네 트워크 라우터(315)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큰 네트워크에서 통상적으로 실행되는 수천개의 기지국(320)을 장거리 접속에 대한 중심 위치로 모아서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로 되돌리는 것이다. 몇몇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라우터(315)의 다중 타이어(tier)일 수도 있고 마스터와 슬레이브 네트워크 라우터(315)들이 존재하는 경우들도 있을 수 있지만, 그러한 모든 경우에서 그 기능들은 유사하다. 종종 네트워크 라우터(315)는, 이 경우에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대로 다이내믹 네임 서버(dynamic name server; DNS)(307)로서 도시된 네임 서버(307)에 액세스하여 라우팅 데이터 메시지에 대한 목적지를 찾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320)은 이동국(200)과 같은 이동 장치들에 대한 무선 링크를 제공한다.
무선 터널(325)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터널들이 무선 네트워크(345)를 가로질러 개방되어 IP 패킷을 전달하도록 필요한 메모리, 라우팅 및 어드레스 자원을 할당한다. GPRS 에서, 그러한 터널(325)들은 "PDP 콘텍스트"(즉, 데이터 세션)으로서 지칭되는 것의 일부분으로서 확립된다. 무선 터널(325)을 개방하기 위해, 이동국(200)은 무선 네트워크(345)와 관련된 명시적인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한 무선 터널(325)을 개방하는 단계는 이동국(200)이 도메인 또는 무선 터널(325)을 개방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를 가리키기를 요구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터널은 먼저 어느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가 제공된 도메인과 정합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네임 서버(307)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라우터(315)에 도달한다. 다중 무선 터널들은 중복을 위해 또는 상이한 게이트웨이들 및 네트워크상의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하나의 이동국(200)으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일단 도 멘인 네임이 발견되면, 터널이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까지 확장되고 필요한 자원이 경로를 따른 각 노드에서 할당된다. 네트워크 엔트리 포인트(305)는 이동국(200)용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기 위해 어드레스 레졸루션(또는 DHCP(335))컴포넌트를 사용한다. IP 어드레스가 이동국(200)에 할당되었고 게이트웨이(340)로 통신되었을 때, 정보가 게이트웨이(340)로부터 이동국(200)으로 보내질 수 있다.
무선 터널(325)은 통상적으로, 이동 장치(100)의 커버리지 프로파일 및 활동성에 의존하는, 제한된 수명을 갖는다. 다른 사용자들을 위해 본 무선 터널(325)에 의해 유지되는 자원을 되찾기 위해, 소정 기간의 비활동성 또는 아웃-오브-커버리지 기간 이후에 무선 네트워크(345)는 무선 터널(325)을 붕괴시킬 것이다. 이에 대한 주된 이유는 무선 터널(325)이 처음 개방되었을 때 이동국(200)용으로 임시로 예약된 IP 어드레스를 재청구하는 것이다. 일단 IP 어드레스가 분실되고 무선 터널(325)이 붕괴되면, 게이트웨이(340)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을 통해 이동국(200)으로 IP 데이터 패킷들을 전수하는 모든 능력을 잃는다.
본 출원에서, "IP-기반 무선 네트워크"(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의 명시적인 종류)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1) 퀄컴(Qualcomm)에 의해 개발되고 운용되어 온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네트워크; (2) CEPT(European Conference of Postal and Telecommunications Administrations)의 표준 위원회에 의해 개발된 GSM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GPRS 네트워크; (3) GSM 에볼루션(EDGE)과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를 위한 인핸스드 데이터 레이트와 같은 미래의 3-세대(3G)네트워크. 비록 특정 IP-기반 무선 네트워크가 설명되었지만, 본 출원의 통신-재확립 방식들은 임의의 적당한 종류의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 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기반 구조는 동일한 지리적인 영역에 제공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의 각각을 대표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가 통신을 위해 이동국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선택될 것이다.
도 4는 넌-홈 통신 네트워크(406)와 통신하고 현재 등록된 이동국(200)의 예시이다. 이동국(200)의 홈 통신 네트워크(402)는 근접이고 점선(405)으로 부분적으로 표시된 신호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404)을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402)는 제1 MCC(Mobile Country Code)/MNC(Mobile Network Code)쌍과 관련되어 있다. 넌-홈 네트워크(406)는 또한 점선(409)으로 부분적으로 표시된 신호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408)을 포함한다. 넌-홈 네트워크(406)는 제2 MCC/MNC 쌍과 관련되어 있다. MCC 와 MNC 는 이동국들의 스캐닝 동작 중에 네트워크들에 의해 방송되고 이동국들(200)에 의해 수신되는 코드들이다.
이동국(200)은 초기에 넌-홈 통신 네트워크(406)에 의해 서브되고, 후속으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out-of-coverage condition)를 경험하는 상황을 고려한다. 기술사양(specifications)에 따르면,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복구된 이후에, 이동국(200)은 이전에 등록된 PLMN(즉, 그것의 "RPLMN")을 선택하도록 동작해야 한다. 도 4 에서, 이것은 넌-홈 네트워크(406)일 것이다. 만일 RPLMN이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200)은(그것의 HPLMN 일 수 있는) 상이한 PLMN을 식별하여 선택하기 위해 스캔을 수행한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사양은 RPLMN이 이동국(200)의 HPLMN이 아닌 상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만일 RPLMN이 HPLMN이 아니지만, HPLMN(즉, 도 4의 홈 네트워크(402))이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의 복구 이후에 활용가능하다면, 이동국(200)은 복구 하자마자(활용가능하다면) 넌-홈 RPLMN을 선택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상황은 양쪽 네트워크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국이 RPLMN과 함께 동작하는 동안 파워 오프되고 이어서 파워 백 온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동작은 ETSI 스펙(specs) 3.22/23.122에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현재의 ETSI 스펙 3.22/23.122에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는, 현재의 기술표준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시작 블록(502)에서 시작하면, 이동국은 넌-홈 통신 네트워크(단계 504)(예를 들어, 도 4 의 넌-홈 네트워크(406)) 상에서 동작한다. 넌-홈 네트워크는 이동국의 홈 네트워크가 아니다; 홈 네트워크는 제1 MCC/MNC 쌍을 갖고 넌-홈 네트워크는 상기 제1 MCC/MNC 쌍과 상이한 제2 MCC/MNC 쌍을 갖는다. 만일 이동국이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를 경험하면(단계 506), 이동국은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기 위해 기다린다(단계 508). 대안적으로, 만일 이동국이 최종 사용자에 의해 파워 오프되면(단계 506), 이동국은 파워 백 온되도록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다린다(단계 508). 만일 이동국이 네트워크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거나, 또는 파워 백 온되면, 이동국은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모든 활용가능한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해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510). 활용가능한 네트워크들은 이동국의 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4의 홈 네트워크(402))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현재의 기술표준에 따르면, 이동국은 이전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넌-홈 네트워크(406))가 스캐닝 동작에 의해 식별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해야 한다(단계 512). 이전의 네트워크는 "등록된 PLMN" 또는 "RPLMN" 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만일 이전의 네트워크가 단계 512 에서 활용가능하면, 이동국은 이전의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이전의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해야 한다. 이것은 그 당시에 HPLMN 이 활용가능할지라도 변하지 않는다. 만일 이전의 네트워크가 단계 512 에서 활용가능하지 않다면, 이동국은 네트워크 선택 기술(예를 들어, 우선순위 결정된 네트워크 리스트에 기초하여)을 사용하여 최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한다(단계 516). 이동국이 RPLMN과 함께 동작하는 동안 파워 오프되고 후속으로 파워 백 온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6은 네트워크 신호 복구 및/또는 파워-온 이후에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를 "자동"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전술한 장치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들은 도 2의 마이크로프로세서(238) 및 통신 서브시스템(2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시작 블록에서 시작하면, 이동국은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등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4의 넌-홈 네트워크(406))와 함께 동작한다(단계 604). 넌-홈 네트워크는 이동국의 홈 네트워크가 아니다; 홈 네트워크는 제1 MCC/MNC 쌍을 갖고 넌-홈 네트워크는 제1 MCC/MNC 쌍과 상이한 제2 MCC/MNC 쌍을 갖는다. 만일 이동국이 상기 네트워크와 함께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를 경험하면(단계 606), 이동국은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기 위해 기다린다(단계 608). 대안적으로, 만일 이동국이 최종 사용자에 의해 파워 오프되면(단계 606), 이동국은 파워 백 온되도록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다린다(단계 608). 만일 이동국이 네트워크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면, 또는 파워 백 온되면, 이동국은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모든 활용가능한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610). 활용가능한 네트워크들은 이동국의 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4 의 홈 네트워크(402))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이동국은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표시된 대로 홈 네트워크가 활용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한다(단계 612). 만일 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4의 홈 네트워크(402))가 활용가능하면, 이동국은 동작을 위해 홈 네트워크를 등록한다(단계 614). 따라서, 홈 네트워크에는 제1 우선권이 주어진다. 만일 홈 네트워크가 단계 612에서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이전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넌-홈 네트워크(406))가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표시된 바와 같이 활용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한다(단계 616). 이전의 네트워크는 "등록된 PLMN" 또는 "RPLMN"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만일 이전의 네트워크가 단계 616에서 활용가능하다면, 이동국은 이전의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618). 만일 이전의 네트워크가 단계 616에서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네트워크 선택기술을 사용하여(예를 들어, 우선순위 결정된 네트워크 리스트에 기초하여)다음 "최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등록 하고, 상기 다음 최상의 네크워크와 함께 동작한다(단계 620).
따라서, 상기 방법은, RPLMN이 이동국의 HPLMN 이 아니라는 상황을 기술사양이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만일 RPLMN이 HPLMN이 아니고, HPLMN이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의 복구 이후에 또는 파워-온 이후에 활용가능하면, 기술 표준은 이동국이 넌-홈 RPLMN(활용 가능하다면)을 선택하는 것으로 제한된다는 것을 명시한다.
도 7은 네트워크 신호 복구 및/또는 파워 온 이후에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전술한 장치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들은 도 2의 마이크로프로세서(238)및 통신 서브시스템(2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도 6의 방법을 수행하는 동일한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시작 블록에서 시작하면, 이동국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넌-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4의 넌-홈 네트워크(406))의 최종-사용자 수동 선택 이후에 넌-홈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한다(단계 704). 넌-홈 네트워크는 이동국의 홈 네트워크가 아니다; 홈 네트워크는 제1 MCC/MNC 쌍을 갖고 넌-홈 네트워크는 제1 MCC/MNC 쌍과 상이한 제2 MCC/MNC 쌍을 갖는다. 만일 이동국이 상기 네트워크와 함께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를 경험하면(단계 706), 이동국은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기 위해 기다린다(단계 708). 대안적으로, 만일 이동국이 최종 사용자에 의해 파워 오프되면(단계 706), 이동국은 파워 백 온되도록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다린다(단계 708). 만일 이동국이 네트워크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면, 또는 파워 백 온되면, 이동국은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모든 활용가능한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710). 활용가능한 네트워크들은 이동국의 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4의 홈 네트워크(402))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동국은 이전의 수동-선택된 넌-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4의 넌-홈 네트워크(406))가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표시된 대로 활용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한다(단계 712). 상기 이전의 네트워크는 "등록된 PLMN" 또는 "RPLMN" 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만일 이전의 수동-선택된 넌-홈 네트워크가 단계 712에서 활용가능하면, 이동국은 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4의 홈 네트워크(402))가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표시된 대로 활용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한다(단계 714). 만일 홈 네트워크가 단계 714에서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이전의 수동-선택된 넌-홈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716).
만일 홈 네트워크가 단계 714에서 식별된 대로 활용가능하면, 이동국은 최종 사용자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수동 선택을 위해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이동국의 가시적인 표시부에 표시되게 한다(단계 718). 예를 들어,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는 "SELECT HOME NETWORK? YES or NO" 일 수 있다. 이동국은 추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들을 수 있는 경고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만일 최종 사용자가 단계 718에서 홈 네트워크를 선택하면("예"), 이동국은 홈 네트워크를 등록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단계 720). 만일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고 소 정 시간이 단계 718 에서 경과되면("타임 아웃"), 또는 최종 사용자가 단계 718에서 홈 네트워크를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으면("아니오"), 이동국은 이전의 수동-선택된 넌-홈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등록하고, 상기 이전의 수동-선택된 넌-홈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단계 716).
만일 이전의 수동-선택된 넌-홈 네트워크가 단계 712에서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4의 홈 네트워크(402))가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표시된 대로 활용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한다(단계 722). 만일 홈 네트워크가 단계 722에서 식별된 대로 활용가능하면, 이동국은 최종 사용자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수동 선택을 위해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이동국의 가시적인 표시부에 표시되게 한다(단계 724). 예를 들어, 가시적인 프롬프트는 "SELECT HOME NETWORK? YES or NO" 일 수 있다. 이동국은 추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들을 수 있는 경고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만일 최종 사용자가 단계 724에서 수동으로 홈 네트워크를 선택하면("예"), 이동국은 홈 네트워크를 등록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단계 726). 만일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고 오히려 소정 시간이 단계 724에서 경과하면("타임 아웃"), 이동국은 홈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등록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단계 726).
만일 홈 네트워크가 단계 722에서 되돌려 식별된 대로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최종 사용자에 의한 수동 선택을 위해 모든 활용가능한 네트워크의 리스트가 표시되게 한다(단계 728). 만일 최종 사용자가 단계 728에서 모든 활용가능한 네트워크의 표시된 리스트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면("선택"), 이 동국은 수동으로 선택된 네트워크를 등록하고 상기 수동으로 선택된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단계 730). 만일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고 오히려 소정의 시간이 단계 728에서 경과하면("타임 아웃"), 이동국은 긴급 서비스(즉, "911" 통화와 같은 긴급 서비스를 제외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가 없는)만을 제공하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등록하고, 상기 긴급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임의의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단계 732).
도 7에서는 바람직하게, 최종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수동 선택 모드에서 조차, 이동국은 최종 사용자에게 적시에 조심성있게 홈 네트워크의 최신 활용가능성을 일깨워준다. 결국, 이동국은 수동 선택 모드에서 조차도 최종 사용자를 위한 최상의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최종 코멘트. 네트워크 신호 복구 및/또는 파워 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되었다. 자동 네트워크 선택과 관련되는 하나의 예시에서, 이동국은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 그 다음으로 이동국은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또는 파워 다운 상태)를 경험하지만, 후속으로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다(또는 파워 백 온된다). 응답에 있어서, 이동국은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캔한다. 만일 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HPLMN)가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은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한다. 그렇지 않고, 만일 이전의 넌-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RPLMN)가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은 이전의 넌-홈 통신 네트워 크와의 동작을 계속한다.
본 출원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기술을 갖는 이동국은 무선 트랜시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결합된 안테나, 및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시키고,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 후에, 또는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 된 후에, 상기 이동국이 동작하고 있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캐닝하는 단계; 만일 상기 이동국의 홈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스캐닝에 의해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시키는 단계; 및 그렇지 않고, 만일 상기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스캐닝에 의해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시키는 단계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통신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출원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기술을 갖는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네트워크, 제2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국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홈 통신 네트워크로서 명시된 제2 통신 네트워크를 갖는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하도록 동작적이고, 또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 후에, 또는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 된 후에, 상기 이동국이 동작하고 있는 커버리지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캐닝하는 단계; 만일 상기 이동국의 홈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스캐닝에 의해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시키는 단계; 및 그렇지 않고, 만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스캐닝에 의해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시키는 단계가 수행되게 하도록 동작적이다.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 있어서, 이동국이 함께 동작할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네트워크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 후에, 또는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 온된 후에, 이동국은 커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캔한다. 만일 이전의 수동-선택된 네트워크(예를 들어, RPLMN)가 활용가능하지만 홈 네트워크는 스캐닝에 의해 식별된 바와 같이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상기 이전의 수동-선택된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한다. 그러나, 홈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HPLMN)가 스캐닝에 의해 활용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동국은 홈 네트워크의 수동 선택을 위해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표시되게 한다.
본 출원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기술을 갖는 이동국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무선 트랜시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결합된 안테나, 및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국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 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동-선택된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수동-선택된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시키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 후에, 또는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 된 후에, 상기 이동국이 동작하고 있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캐닝하는 단계; 만일, 상기 스캐닝으로부터 식별된 대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가능하지만 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시키는 단계; 및 만일, 상기 스캐닝으로부터 식별된 대로, 상기 이동국의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가능하면,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의 수동적인 선택을 위해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표시되게 하는 단계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출원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기술을 갖는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네트워크, 제2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국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홈 통신 네트워크로서 명시된 제2 통신 네트워크를 갖는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상기 이동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시키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한 후에, 또는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 된 후에, 상기 이동국이 동작하고 있는 커 버리지 영역 내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스캐닝하는 단계; 만일, 상기 스캐닝으로부터 식별된 대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가능하지만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활용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와의 동작을 계속시키는 단계; 및 만일, 상기 스캐닝으로부터 식별된 대로, 상기 이동국의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가능하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수동적인 선택을 위해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표시되게 하는 단계가 수행되게 하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만으로 의도되어 있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계의 당업자에 의해 특정한 실시예들에 변경, 변형 및 변동이 가해질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신호 복구 및/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50)

  1. 이동국(mobile station)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동작하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단계;
    넌-홈(non-home)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out-of-coverage condition)으로부터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는 것에 응답하거나,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동안에 시작된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이하의 부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국의 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와,
    상기 이동국의 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지 않고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 선택 방법 동안 등록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RPLMN)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국의 홈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HPLMN)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지 않고,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우선 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리스트에 기초하여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대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스캐닝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부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는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에 따라 동작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7. 이동국에 있어서,
    무선 트랜시버;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결합된 안테나; 및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국이 동작하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넌-홈(non-home)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의 회복에 응답하거나,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동안에 시작된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국의 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국의 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지 않고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통신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국의 동작 동안 등록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RPLMN)를 구비하는 이동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국의 홈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HPLMN)를 구비하는 이동국.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지 않고,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우선 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리스트에 기초하여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대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스캐닝에 의하여 복수의 네트워크들을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이동국.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넌-홈 통신 네트워크들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에 따라 동작하는 것인 이동국.
  13.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
    제2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이동국
    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넌-홈 통신 네트워크로 지정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와, 홈 통신 네트워크로 지정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상기 이동국이 동작하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의 회복에 응답하거나,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동안에 시작된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국의 제2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국의 제2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지 않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통신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과 함께 동작하는 동안 등록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RPLMN)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의 홈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HPLMN)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제2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지 않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우선 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리스트에 기초하여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대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것인 통신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들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에 따라 동작하는 것인 통신 시스템.
  18. 이동국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상기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한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동-선택된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수동-선택된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동안의 상기 수동-선택된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의 회복에 응답하거나, 상기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동안의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다음의 부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와,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하지 않고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도 활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들 중의 하나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및 선택된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을 위한 수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위하여,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부단계와,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는 활용 가능하지 않지만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는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들 중의 하나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및 선택된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을 위한 수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대신,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국의 홈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HPLMN)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국의 동작 동안 등록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RPLMN)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들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에 따라 동작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수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위한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에 응답하여,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등록하여 상기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23. 이동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무선 트랜시버;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결합된 안테나; 및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국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상기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하여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동-선택된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수동-선택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기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동안의 상기 수동-선택된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의 회복에 응답하거나, 상기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동안의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하지 않고,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도 활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들 중의 하나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및 선택된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을 위한 수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위하여,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는 활용 가능하지 않지만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는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들 중의 하나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및 선택된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을 위한 수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대신,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국.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국의 홈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HPLMN)를 포함하는 이동국.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국의 동작 동안 등록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RPLMN)를 포함하는 이동국.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들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에 따라 동작하는 것인 이동국.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위하여,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에 응답하는, 상기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등록하여 상기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인, 이동국.
  28.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
    제2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이동국
    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넌-홈 통신 네트워크로 지정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와, 홈 통신 네트워크로 지정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상기 이동국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기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동안의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의 회복에 응답하거나, 상기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 동안의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가 활용 가능하지 않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도 활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들 중의 하나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및 선택된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을 위한 수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위하여,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활용 가능하지 않지만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들 중의 하나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 및 선택된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을 위한 수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대신,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하여,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통신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의 홈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HPLMN)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국 동작 동안 등록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RPLMN)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네트워크들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에 따라 동작하는 것인 통신 시스템.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국은,
    상기 수동 네트워크 선택을 위하여,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에 응답하는, 상기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등록하여 상기 활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인, 통신 시스템.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는 것에 응답하여 개시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동안에 시작된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개시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3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부단계는,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는 스캐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와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는, 동일한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의 일부로서 수행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3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국.
  3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동안에 시작된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국.
  3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동일한 무선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이동국.
  4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국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이동국과 통신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국.
  4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통신 시스템.
  4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동안에 시작된 파워-오프 상태로부터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통신 시스템.
  4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동일한 무선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이동국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이동국과 통신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를 회복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44. 제18항에 있어서,
    신호 커버리지의 회복 또는 파워-온에 응답하여 부단계들이 수행될 때,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와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상기 이동국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4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 이전에, 수동 네트워크 선택을 위하여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4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시구간(time period)의 종료 이후에 수행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4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 이전에,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의 수동 네트워크 선택을 위하여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는, 상기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를 통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수동 네트워크 선택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4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 이전에, 수동 네트워크 선택을 위하여 가시적인 입력 프롬프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홈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는, 미리 결정된 시구간(time period)의 종료 이후에 수행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49. 제23항에 있어서,
    신호 커버리지의 회복 또는 파워-온에 응답하여 동작이 개시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수동 네트워크 선택 모드에서 상기 넌-홈 네트워크 및 홈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상기 넌-홈 네트워크 및 상기 홈 네트워크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이동국.
  50. 이동국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동작하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에 따라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PLMN)을 식별하는 단계;
    넌-홈 등록 PLMN(RPLMN)을 선택하여 상기 넌-홈 등록 PLMN에 대하여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넌-홈 RPLMN에 대한 아웃-오브-커버리지 상태로부터 신호 커버리지의 회복에 응답하거나, 상기 넌 홈 RPLMN에 대하여 동작하는 동안 시작된 파워-오프 상태 이후에 파워-온되는 것에 응답하여 이하의 부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국의 홈 PLMN(HPLMN)이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HPLMN을 선택하여 상기 HPLMN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와,
    상기 HPLMN이 활용 가능하지 않고, 상기 넌-홈 RPLMN이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넌-홈 RPLMN을 선택하여 상기 넌-홈 RPLMN에 대하여 동작하는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 방법.
KR1020057016216A 2003-11-13 2004-02-27 네트워크 신호 복구 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0763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951403P 2003-11-13 2003-11-13
US60/519,514 2003-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214A KR20060034214A (ko) 2006-04-21
KR100763867B1 true KR100763867B1 (ko) 2007-10-08

Family

ID=3459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216A KR100763867B1 (ko) 2003-11-13 2004-02-27 네트워크 신호 복구 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818024B2 (ko)
EP (2) EP2309802B1 (ko)
JP (1) JP4451395B2 (ko)
KR (1) KR100763867B1 (ko)
CN (1) CN100435593C (ko)
AT (1) ATE379934T1 (ko)
AU (2) AU2004310095A1 (ko)
BR (1) BRPI0408044B8 (ko)
CA (1) CA2517581C (ko)
DE (1) DE602004010425T2 (ko)
ES (2) ES2905988T3 (ko)
MX (1) MXPA05009269A (ko)
WO (1) WO20050486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000A (ko) * 2009-10-22 2011-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Home PLMN 검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9514B1 (en) 1997-07-30 2006-12-12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Cellular docking station
US20080207179A1 (en) * 1997-07-30 2008-08-28 Steven Tischer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networks and devices
US20080207197A1 (en) 1997-07-30 2008-08-28 Steven Tischer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rfacing devices with communications networks
US20080207178A1 (en) * 1997-07-30 2008-08-28 Steven Tisch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access to data
US20080192768A1 (en) * 1997-07-30 2008-08-14 Steven Tischer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rfacing communication devices
US20080194225A1 (en) * 1997-07-30 2008-08-14 Steven Tisch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and alarm communications
US20080192769A1 (en) * 1997-07-30 2008-08-14 Steven Tisch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20080194208A1 (en) * 1997-07-30 2008-08-14 Steven Tischer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ng between and controlling network devices
US20080220775A1 (en) * 1997-07-30 2008-09-11 Steven Tischer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ecurely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nd networks
US8543098B2 (en) 2002-07-15 2013-09-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nd networks
US8416804B2 (en) 2002-07-15 2013-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8554187B2 (en) 2002-07-15 2013-10-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communications between networks and devices
US8526466B2 (en) 2002-07-15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8000682B2 (en) 2002-07-15 2011-08-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access to data
US8275371B2 (en) 2002-07-15 2012-09-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and connection-oriented services to devices
US7200424B2 (en) 2002-07-15 2007-04-03 Bellsouth Inte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the use and movement of telephony devices
DE102004037839B4 (de) * 2004-08-04 2007-11-29 Siemens Ag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zur Verwendung in mehreren drahtlosen lokalen Netzwerk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CN1326424C (zh) * 2005-09-19 2007-07-11 北京天碁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选择网络注册登记的双模或多模终端和方法
CN100581286C (zh) * 2005-10-19 2010-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用户设备实现移动英特网协议去注册的方法及系统
CN100512545C (zh) * 2005-10-20 2009-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移动终端的hplmn重选方法
KR100725779B1 (ko) * 2005-12-21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긴급호출을 위한 셀 검색 방법
US7930367B2 (en) * 2006-01-04 2011-04-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ow storage portable media player
US20070178933A1 (en) * 2006-01-30 2007-08-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US7912468B2 (en) * 2006-02-24 2011-03-22 Broadcom Corporation Multi-communication pathway addres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336553B (zh) * 2006-03-15 2011-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的协议栈软件系统及其搜索移动通信网络的方法
KR101340720B1 (ko) * 2006-03-24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1060701B (zh) * 2006-04-17 2012-01-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通信网络重选的方法
US20080040743A1 (en) * 2006-07-29 2008-02-14 Srinivasa Dharmaji Micro-splicer for inserting alternate content to a content stream on a handheld device
US8522269B2 (en) 2006-08-22 2013-08-27 Goldspot Med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nate content scheduling on mobile devices
US8898073B2 (en) * 2006-07-29 2014-11-25 Goldspot Media, Inc. Advertisement insertion during application launch in handheld, mobile display devices
US8677395B2 (en) 2006-07-29 2014-03-18 Goldspot Med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icro-splicer to insert alternate content while viewing multimedia content on a handheld device
US20080051070A1 (en) * 2006-08-22 2008-02-28 Srinivasa Dharmaji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nate Content Recording and Reporting for Mobile Devices
US20080113661A1 (en) * 2006-11-15 2008-05-15 Nokia Corporation Mobile device service provider management
EP2098090A1 (en) * 2006-12-22 2009-09-09 Koninklijke KPN N.V. Mobile network, mobile network base station and method to register a mobile terminal on a network
US8571562B2 (en) * 2007-02-09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change order
KR100898237B1 (ko) * 2007-04-23 2009-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및 장치
JP5140312B2 (ja) * 2007-04-27 2013-02-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における接続制御方法、移動通信管理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CN101437279B (zh) * 2007-11-12 2010-08-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选择和注册公共陆地移动网的方法
KR20090068567A (ko) * 2007-12-24 2009-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GB2457652A (en) 2008-01-30 2009-08-26 Nec Corp PLMN selection in multi-network environment
KR101414373B1 (ko) 2008-02-13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US8670761B2 (en) * 2008-04-10 2014-03-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LMN frequency search triggered by country code change
US8073498B2 (en) * 2008-04-30 2011-12-0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of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device
EP2134126A1 (en) * 2008-05-14 2009-12-16 NEC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network selection by the home operator of a mobile user equipment capable of operating in mobile networks and fixed-wireless networks
KR101022027B1 (ko) * 2008-10-20 2011-03-16 주식회사 팬택 글로벌 로밍시의 사업자 네트워크 선택절차 개선을 위한 로밍설정방법 및 사용자 단말
JP4692637B2 (ja) * 2009-01-07 2011-06-01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GB0916582D0 (en) * 2009-09-22 2009-10-28 Software Cellular Network Ltd Subscriber identification management broker for fixed/mobile networks
EP2315464B1 (en) * 2009-10-23 2019-04-10 Vodafone Holding GmbH Modification of a secured parameter in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S9020479B1 (en) * 2010-02-18 2015-04-28 Amazon Technologies, Inc. Single version of a user device modem for use with different wireless carriers
US8965366B1 (en) 2010-02-18 2015-02-24 Amazon Technologies, Inc. World SIM
US8626165B1 (en) 2010-02-18 2014-01-07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carrier switching
US8571601B2 (en) * 2010-07-27 2013-10-29 Blackberry Limited Switching communication radio path based on power constraints
JP5425040B2 (ja) * 2010-11-15 2014-02-26 株式会社Nttドコモ 携帯端末装置及び方法
CA2724871C (en) 2010-12-10 2015-10-13 Telus Communications Company Method for instant registration of a roaming ue onto a preferred vplmn from a non-preferred vplmn
US8929892B2 (en) 2010-12-23 2015-01-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ocation based network selection
US9253630B2 (en) 2011-06-02 2016-02-02 Truphone Limited Identity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US8954111B2 (en) 2011-06-28 2015-02-1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ransferring servicing of a SIM channel to a first radio system and at least partially shutting down a second radio system of the wireless device
US8606216B2 (en) * 2011-06-28 2013-12-10 Renesas Mobile Corporation Wireless device, method of operation and computer program
CN102395175B (zh) * 2011-06-30 2018-0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公用陆地移动网络选择方法和移动终端
US9603006B2 (en) 2011-09-19 2017-03-21 Truphone Limited Managing mobile device identities
US8811363B2 (en) 2012-09-11 2014-08-19 Wavemax Corp. Next generation network services for 3G/4G mobile data offload in a network of shared protected/locked Wi-Fi access points
WO2014128641A1 (en) * 2013-02-21 2014-08-28 Marvell World Trade Ltd. Eplmn transition mechanism for manual network registration
CN105144768B (zh) * 2013-04-26 2019-05-21 英特尔Ip公司 频谱共享情境中的共享频谱重新分配
CA2816684C (en) 2013-05-17 2021-02-09 Robert Manalo Method for instant registration of a roaming ue onto a preferred vplmn using airplane mode of operation
US9332489B2 (en) * 2013-08-29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in multi-SIM mobile device
EP3737161B1 (en) * 2014-01-20 2022-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for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user equipment (ue) during manual csg selection
CN104320833B (zh) * 2014-11-19 2017-12-01 成都中科创达软件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自动选网的方法及系统
CN110177392B (zh) * 2014-11-20 2021-08-03 华为终端有限公司 小区选择方法及装置
CN108282845B (zh) 2015-04-30 2021-0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及移动通信终端
CN106454883A (zh) * 2015-08-11 2017-02-22 北京化工大学 一种异构毫微微网络的网络选择方法
WO2017031470A1 (en) * 2015-08-19 2017-02-23 Electronic Controlled Systems, Inc. Wireless network aware self pointing antenna
US10439279B2 (en) 2016-05-12 2019-10-08 Electronics Controlled Systems, Inc. Self-pointing Wi-Fi antenna
EP3402254B1 (en) 2017-05-09 2020-09-23 Vodafone GmbH Active mobile network search
US11405853B2 (en) * 2018-11-22 2022-08-02 Groundhog Inc.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WO2020235926A1 (en) 2019-05-20 2020-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recovery of network elemen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3042B1 (en) 1997-06-26 2001-04-24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of intelligent roaming using network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3780B2 (en) * 1992-03-06 2006-09-26 Aircell, Inc. System for integrating an airborne wireless cellular network with terrestrial wireless cellular networks and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JP2908950B2 (ja) 1992-12-22 1999-06-2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のサーチ方式
US5442806A (en) * 1993-06-08 1995-08-15 Oki Telecom Preferred carrier selection method for selecting any available cellular carrier frequency when neither home nor preferred cellular carrier frequencies are available
US5903832A (en) * 1995-12-21 1999-05-11 Nokia Mobile Phones Llimited Mobile terminal having enhanced system selection capability
JP3102760B2 (ja) 1996-01-31 2000-10-2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移動通信の圏外待ち受け方法
GB2315193B (en) * 1996-07-10 2000-11-1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5950130A (en) * 1997-03-18 1999-09-07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Mobile station with intelligent roaming and over-the-air programming features
US6148197A (en) * 1998-03-06 2000-11-14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Intelligent roaming system with over the air programming
KR100407933B1 (ko) * 1998-11-11 2005-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간핸드오프시스템
JP3786538B2 (ja) * 1999-02-19 2006-06-14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US6567663B1 (en) * 1999-06-11 2003-05-20 Motorola, Inc. Method for continuous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arch
EP1076463A3 (en) * 1999-08-11 2002-01-02 Lucent Technologies Inc. Supporting network in telecommunications systems
GB0009359D0 (en) * 2000-04-14 2000-05-31 British Telecomm Mobile cellular radio
NL1013930C2 (nl) * 1999-12-22 2001-06-25 Koninkl Kpn Nv Systeem voor mobiele telecommunicatie.
GB0000528D0 (en) * 2000-01-11 2000-03-01 Nokia Networks Oy Location of a st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728536B1 (en) * 2000-05-02 2004-04-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ed transmission of access specific access independent and application specific information over public IP networks between visiting and home networks
JP3560148B2 (ja) 2000-09-04 2004-09-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の接続システムとその接続サービス方法
GB2369265B (en) * 2000-09-11 2004-03-17 Cable & Wireless Hkt Csl Ltd Method of automatically establishing roaming service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B0103918D0 (en) * 2001-02-16 2001-04-04 Pathfinder Tech Resources Ltd Mobile telephone operation
US20020119774A1 (en) * 2001-02-26 2002-08-29 Regina Johannesson Method for PLMN selection
US20030003910A1 (en) * 2001-06-28 2003-01-02 Mcclure Kenneth Network assisted background scanning for mobile stations
US6799038B2 (en) * 2002-01-09 2004-09-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selection
US7826844B2 (en) * 2002-01-16 2010-1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election and acquisi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027813B2 (en) * 2002-08-23 2006-04-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determination in a mobile phone
US7830853B2 (en) * 2002-12-06 2010-11-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GSM to W-CDMA reselection
EP1513358B1 (en) * 2003-09-03 2007-03-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Home network name displaying methods and apparatus
US7318111B2 (en) * 2003-09-16 2008-01-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quality of service (QoS) criteria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US7305251B2 (en) * 2003-10-07 2007-12-04 Motorola Inc. Method for selecting a core network
US7970429B2 (en) * 2003-10-24 2011-06-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based on service communication type
US7395083B2 (en) * 2003-10-30 2008-07-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communication of cellular network information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 mobile s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3042B1 (en) 1997-06-26 2001-04-24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of intelligent roaming using network infor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000A (ko) * 2009-10-22 2011-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Home PLMN 검색 방법
KR101587657B1 (ko) * 2009-10-22 2016-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Home PLMN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1602B2 (en) 2014-05-20
DE602004010425T2 (de) 2008-10-16
AU2008203477B2 (en) 2011-10-27
BRPI0408044B8 (pt) 2021-11-16
CA2517581C (en) 2016-02-09
AU2004310095A1 (en) 2005-05-26
EP1683380A1 (en) 2006-07-26
EP2309802A1 (en) 2011-04-13
CA2517581A1 (en) 2005-05-26
AU2008203477A1 (en) 2008-08-28
US7818024B2 (en) 2010-10-19
KR20060034214A (ko) 2006-04-21
DE602004010425D1 (de) 2008-01-10
ATE379934T1 (de) 2007-12-15
EP1683380B1 (en) 2007-11-28
US20110021190A1 (en) 2011-01-27
BRPI0408044B1 (pt) 2021-10-13
BRPI0408044A (pt) 2006-02-14
WO2005048626A1 (en) 2005-05-26
CN100435593C (zh) 2008-11-19
ES2295830T3 (es) 2008-04-16
CN1757249A (zh) 2006-04-05
MXPA05009269A (es) 2005-10-19
JP2006519513A (ja) 2006-08-24
US20050107109A1 (en) 2005-05-19
ES2905988T3 (es) 2022-04-12
EP2309802B1 (en) 2021-12-08
JP4451395B2 (ja)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867B1 (ko) 네트워크 신호 복구 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
AU2004310178B2 (en)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with home network prioritization in country border regions
EP1881716B1 (en)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with home network prioritization after network signal recovery or power-on
EP22596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a mobile station
US752952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establishing a data conne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RE42460E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anual selec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for a mobile station
AU2011265385B2 (en)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with home network prioritization after network signal recovery or powe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82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