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3601B1 -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 Google Patents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601B1
KR100763601B1 KR1020060012493A KR20060012493A KR100763601B1 KR 100763601 B1 KR100763601 B1 KR 100763601B1 KR 1020060012493 A KR1020060012493 A KR 1020060012493A KR 20060012493 A KR20060012493 A KR 20060012493A KR 100763601 B1 KR100763601 B1 KR 100763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tension
air
band
degenerative arthrit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938A (ko
Inventor
류승준
Original Assignee
류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승준 filed Critical 류승준
Priority to KR102006001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601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6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1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 E04B2/70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with longitudinal horizont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펌프에 의한 공기압으로 무릎관절의 안쪽부분을 벌려 허벅지뼈와 종아리뼈를 닿지 않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보행시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측무릎 인장밴드는, 내측무릎의 관절부분을 감싸는 내측무릎 인장부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에 배치되어 인장 및 수축가능한 에어튜브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무릎 슬개골을 감싸는 무릎전면 보호부와, 상기 무릎전면 보호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에어펌프와, 상기 무릎전면 보호부에서 연장되어 외측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되고 일단에 인장고리를 구비한 내측결속부와, 내측무릎 인장부의 일단에서 연장된 무릎후면 보호부와, 상기 무릎후면 보호부에서 띠 형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안쪽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외측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퇴행성 관절염, 무릎, 인장밴드, 에어펌프, 에어튜브

Description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Inside-Knee Tension Band of 3-Point Pressing Type for Patient of Degenerative Rheumatism}
도 1은, 종래의 관절치료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관절치료기 착용시 무릎관절의 변화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2a는 착용전, 2b는 착용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무릎관절 보호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4a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4b는 본 발명이 착용된 상태의 사시도 .
도 5는, 도 4a의 배면도.
도 6는,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측무릎 인장밴드를 착용한 후 에어튜브가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측무릎 인장밴드의 착용에 의해 허벅지뼈와 종아리뼈가 벌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내측무릎 인장부 11...내측결속부
13...무릎후면 보호부 14...주름부
20...에어튜브 30...에어펌프
40...외측결속부 50...실리콘접착제
60...플록킹섬유 70...무릎전면 보호부
본 발명은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의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인들이 혼자 힘으로 손쉽게 착용한 후, 에어펌프에 의한 공기압으로 내측무릎 인장밴드 부분만을 팽창시켜 무릎의 안쪽부분만을 벌려줌으로써, 통증을 느끼지 않고 보행할 수 있고, 착용 후 보행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며 무릎을 용이하게 굽힐 수 있도록 한 내측무릎 인장밴드에 관한 것이다.
팔과 다리의 관절부위에는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많은 사용으로 인하여 관절염, 관절신경통, 퇴행성관절염 등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 또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고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서, 이 질환이 지속되면 통증과 관절의 기형이 유발되고, 특히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은 만성적으로 신체의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퇴행성관절염은 관절부위의 외상, 관절의 과다 사용, 어긋난 모양으로 잘못 연결된 관절, 또는 과체중으로 관절과 연골에 과도한 부담이 있을 경우 발생하 게 되며, 특히 연로한 노인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러한 퇴행성관절염은 통상 소염 진통제나 마사지팩 등을 사용하여 치료하고 있으나, 이는 일시적으로 진정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실질적 치료에는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통증을 느끼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허벅지뼈와 종아리뼈 사이에 위치하여 쿠션과 충격완화 작용을 하는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아래위의 두 뼈가 닿기 때문인데, 상기 허벅지 뼈와 종아리뼈를 서로 닿지 않게만 해준다면 아주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이다.
즉, 퇴행성관절염은 내측부터 닳기 시작하는 연골로 인하여 허벅지뼈와 종아리뼈가 서로 닿게 되면서 통증을 유발하게 되므로, 무릎안쪽의 관절부분을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하고 이를 계속 유지만 해준다면 보행시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바로 이점에 착안한 것이다.
한편, 무릎관절을 보호 내지 치료하기 위한 기구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보조기구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도 1은 이러한 관절치료기 중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무릎 관절치료기는, 온열패드에 의한 온열치료 및 원적외선 방출로 관절을 치료하는 관절치료기에 상하 견인수단을 채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무릎관절의 상단에 위치한 제2공기튜브(20')를 팽창시켜 허벅지뼈를 상단방향으로 견인하고, 무릎관절의 하단에 위치한 제3공기튜브(20")를 팽창시켜 종아리뼈를 하단방향으로 견인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관절치료기는 공기압에 의해 허벅지뼈 및 종아 리뼈의 실질적인 견인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무릎 관절치료기를 착용하기 전의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0)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도 1의 관절치료기에 의해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0)가 상하로 견인된 상태를 가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무릎 관절치료기에 의하면,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0)의 내측과 외측을 동시에 견인하는 구조도 되어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의 내측(도면상 오른쪽부분) 및 외측(도면상 왼쪽부분)에는 동일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0)의 내측부분을 일정간격(도면상 ℓ로 표시)으로 벌리기 위해서는,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의 외측부분(도면상 왼쪽부분)의 길이를 L에서 L'로 늘려야 하는 데, 이는 에어펌프에 의한 공기압으로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실제로 정형외과에서는 상기 허벅지뼈와 종아리뼈를 견인하기 위해, 각각의 뼈에 못을 박고 양쪽에서 무거운 추를 사용하여 당기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을 정도이다.
이처럼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무릎 관절치료기는 무릎 관절의 치료에 주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도 2b와 같은 상태로 허벅지뼈와 종아리뼈를 벌려서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고 보행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도 1의 종래의 무릎 관절치료기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이므로, 관절치료기를 착용한 상태로는 보행할 수 없고, 작동구조가 복잡하여 노인들이 스스로 사용하기에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무릎관절 보호대도 제안된 바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무릎관절 보호대는, X자형의 밴드로 구성되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힘이 약한 노인들에게는 그 효과가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도 3과 같은 무릎관절 보호대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강한 힘으로 밴드를 당겨주어야 하는데, 힘이 약한 노인들은 밴드를 강하게 압박하기 어렵기 때문에 노인들 스스로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노약자들이 혼자 힘으로 용이하게 착용한 후, 무릎관절의 안쪽부분을 벌려 통증을 느끼지 않고 보행할 수 있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가 보행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착용중에도 무릎을 용이하게 굽힐수 있도록 한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중 관절부분의 압박강도가 느슨해지는 경우 즉시 압박강도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착용시 발생하는 땀을 흡수하고 혈액순환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무릎관절 인장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무릎관절 인장밴드는, 상부밴드와 하부밴드가 초음파용접으로 접합되어 내측무릎의 관절부분을 감싸는 내측무릎 인장부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의 상부밴드와 하부밴드 사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에어의 주입 또는 배기에 의해 인장 및 수축가능한 에어튜브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무릎 슬개골을 감싸는 무릎전면 보호부와, 상기 무릎전면 보호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시키는 에어펌프와, 상기 무릎전면 보호부에서 연장되어 외측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되고 일단에 인장고리를 구비한 내측결속부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의 일단에서 연장된 무릎후면 보호부와, 상기 무릎후면 보호부에서 띠 형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안쪽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외측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체의 피부와 접촉되는 상/하부밴드중 어느 한 표면에는 실리콘접착제가 도포되고, 실리콘접착제에 플록킹섬유가 정전흡착의 방식으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릎전면 보호부의 중앙에는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릎후면 보호부의 중앙에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암/수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무릎관절 사이즈에 관계없이 결속이 가능하고, 노약자도 손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튜브의 에어압력이 감소되더라도 즉시 에어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무릎 안쪽부분을 소망하는 압력으로 압박할 수가 있다.
또한, 무릎 슬개골 부위를 감싸는 무릎전면 보호부의 중앙부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후에도 보행이 자유로울 뿐 만 아니라, 무릎후면 보호부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부에 의해 착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무릎을 굽힐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측무릎 인장밴드(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부밴드(10a)와 하부밴드(10b)가 초음파용접으로 접합되어 내측무릎의 관절부분을 감싸는 내측무릎 인장부(10)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10)의 상부밴드(10a)와 하부밴드(10b) 사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에어의 주입 또는 배기에 의해 인장 및 수축가능한 에어튜브(20)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무릎 슬개골을 감싸는 무릎전면 보호부(70)와, 상기 무릎전면 보호부(70)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에어튜브(20)에 에어를 주입시키는 에어펌프(30)와, 상기 무릎전면 보호부(70)에서 연장되어 외측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되고 일단에 인장고리(31)를 구비한 내측결속부(11)와, 내측무릎 인장부(10)의 일단에서 연장된 무릎후면 보호부(13)와, 상기 무릎후면 보호부(13)에서 띠 형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안쪽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외측결속부(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내측무릎 인장밴드(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부의 무릎관절과 경골의 무릎관절 부분에, 암/수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내측결속부(11) 및 외측결속부(40)를 상호 접착되도록 하여 결속시킨 후, 에어펌프(30)를 작동시켜서 에어튜브(20)에 적당량의 에어압을 공급하여 사용한다.
상기 에어튜브(20)에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에어튜브(20)가 팽창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무릎 인장부(10)가 상하방향으로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무릎안쪽의 허벅지뼈와 종아리뼈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사람이 본 발명의 내측무릎 인장밴드(100)를 착용하고 보행할 경우, 통증을 느끼지 않고 보행할 수 있으며, 장시간 착용시 관절부분에 활액(滑液)이 충전되면서 관절염의 치료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측무릎 인장밴드를 착용할 경우의 허벅지뼈와 종아리뼈의 위치변화 상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의 왼쪽그림은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환자의 무릎관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0)의 오른쪽부분이 서로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0)가 닿기 때문에 통증을 느끼게 되고 특히 보행시 많은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내측무릎 인장밴드를 착용한 후 에어를 공급하게 되 면 내측무릎 인장부(10)가 팽창하게 되어, 도 9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맞닿아 있던 허벅지뼈(11)와 종아리뼈(120)의 오른쪽 부분이 서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보행시 통증을 느끼지 않고 보행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인장밴드에 의하면,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0)의 내측 부분이 벌어지게 되더라도, 내측무릎 인장밴드의 착용전의 외측부분(도면상 왼쪽부분) 뼈 사이의 거리 L은 변화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견인방식에 의하면 무릎 외측부분(도면상 왼쪽부분)의 거리가 L에서 L'로 증가되기 때문에 견인이 매우 어려운 반면, 본 발명의 압박방식은 종아리뼈(120)의 좌측단부를 회전중심축(Fulcrum)으로 하여 종아리뼈(120)의 내측부분(도면상 오른쪽 부분)만을 벌리게 되므로, 무릎 외측부분(도면상 왼쪽부분)의 거리(L)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의 내측부분만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벌릴 수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종래의 방식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견인방식은,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0)를 상하 방향으로 견인하는 방식이므로 공기압에 의해 실질적으로 도 2b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 불가능하나, 본 발명은 무릎을 수평방향으로 압박하는 방식이므로, 비교적 낮은 공기압으로도 맞닿은 뼈부분을 용이하게 벌릴 수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도 9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후면 보호부(31)에 의해 왼쪽부분을 압박하고, 내측무릎 인장부(10)에 의해 오른쪽 2부분을 수평으로 압박하는 3점 압박식의 구조로 되어 있다. 바로 이점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무릎보호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뼈와 종아리뼈를 상하로 견인하는 방식이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로서 무릎전체를 압박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무릎을 3지점에서 압박하면서도 무릎의 안쪽부분만을 벌려주도록 함으로써,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노인들이 용이하게 착용하여 통증을 느끼지 않고 보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무릎 슬개골 부위를 감싸는 무릎전면 보호부(70)의 중앙에는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무릎의 후면 즉 접혀지는 부분을 감싸는 무릎후면 보호부(13)의 중앙부위에는 주름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무릎전면 보호부(70)에 형성된 구멍 및 무릎후면 보호부(13)에 형성된 주름부(14)에 의해, 착용자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보행할 수 있으며, 인장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무릎을 굽힐 수가 있다.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10)는 가죽이나 섬유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신체와의 접촉시 땀의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록킹(flocking)섬유(6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록킹섬유(60) 사용시에는, 상부밴드(10a)의 표면에 실리콘접착제(50)를 도포시킨 후 정전흡착의 방식으로 플록킹섬유를 실리콘접착제(50)에 심는다. 이 렇게 하면 플록킹섬유(60)가 신체가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통풍을 원할하게 하여 땀의 발생을 억제시키고, 또한 발생된 땀을 흡수하여 피부의 청결상태를 유지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측무릎 인장밴드의 착용과정 및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내측무릎 인장부(10)가 무릎의 안쪽에 오도록 하여 내측결속부(11)를 무릎부위에 올려놓고, 한손으로 내측결속부(11)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인장고리(31)를 잡아당기면서 다른 손으로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외측결속부(40)의 상부를 내측결속부(11)의 표면에 결속한다. 이어서 외측결속부(40)의 하부를 내측결속부(11)의 상면에 결속한다.
결속이 완료되면 에어펌프(30)에 의해 에어튜브(20)에 에어를 주입하여 내측무릎 인장부(10)를 팽창시킨다. 이에 의해 무릎의 안쪽부분만이 벌어지게 되면서 맞닿았던 허벅지뼈(110)와 종아리뼈(120)가 서로 벌어지게 되므로 통증없이 보행 할 수가 있다.
내측무릎 인장밴드(100)를 착용한 뒤에, 에어튜브(20)로부터 에어압이 배기되어 내측무릎 인장부(10)가 수축되는 경우에는, 즉시 에어펌프(30)를 작동시켜 소망하는 압력으로 에어압을 유지시키면 된다.
상기 에어펌프(30)는 전동식 또는 수동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에어펌프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측무릎 인장밴드에 의하면, 내측결속부에 형성된 인장고리 및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힘이 없는 노인들도 혼자 힘으로 손쉽게 착용할 수 있으므로, 퇴행성 관절염을 가진 노약자들이 스스로 착용하여 통증을 느끼지 않고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3점 압박방식을 채용하여 내측무릎 인장부만을 팽창시키므로, 적은 량의 에어공급 만으로도 무릎의 안쪽부분을 용이하게 벌려줄 수가 있다.
또한, 무릎 슬개골 부위를 감싸는 무릎전면 보호부의 중앙부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후에도 보행이 자유로울 뿐 만 아니라, 무릎후면 보호부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부에 의해 착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무릎을 굽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무릎 인장밴드의 일면에 플록킹섬유(60)를 채용함으로써, 장기간 착용하더라도 발생된 땀을 흡수할 수 있고 핼액순환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부밴드(10a)와 하부밴드(10b)가 초음파용접으로 접합되어 내측무릎의 관절부분만을 감싸는 내측무릎 인장부(10)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10)의 상부밴드(10a)와 하부밴드(10b) 사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에어의 주입 또는 배기에 의해 인장 및 수축이 가능한 에어튜브(20)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무릎 슬개골을 감싸며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무릎 전면보호부(70)와;
    상기 무릎 전면보호부(70)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에어튜브(20)에 에어를 주입시키는 에어펌프(30)와;
    상기 무릎 전면보호부(70)에서 연장되어 외측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되고, 일단에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인장고리(31)를 구비한 내측결속부(11)와;
    상기 내측무릎 인장부(10)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그 중간부분에 주름부(14)가 형성된 무릎 후면보호부(13)와;
    상기 무릎 후면보호부(13)에서 띠 형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안쪽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2개의 외측결속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무릎의 내측만을 인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60012493A 2006-02-09 2006-02-09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Expired - Fee Related KR100763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493A KR100763601B1 (ko) 2006-02-09 2006-02-09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493A KR100763601B1 (ko) 2006-02-09 2006-02-09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646U Division KR200415120Y1 (ko) 2006-02-09 2006-02-09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38A KR20070080938A (ko) 2007-08-14
KR100763601B1 true KR100763601B1 (ko) 2007-10-09

Family

ID=3860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3601B1 (ko) 2006-02-09 2006-02-09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63B1 (ko) 2009-12-23 2010-09-28 김기홍 기능성 무릎 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019B1 (ko) 2021-11-23 2022-04-08 정병오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123A (ko) * 1999-02-12 2000-09-15 채준석 관절치료용 무릎보호대
KR200367679Y1 (ko) 2004-08-11 2004-11-12 김경옥 기능성 팬티
KR20050078087A (ko) * 2004-01-30 2005-08-04 현대메디칼 주식회사 무릎관절 보호 및 치료대
KR20060034514A (ko) * 2004-10-19 2006-04-24 류실근 에어 튜브가 부착된 허리보호대
KR20060100541A (ko) * 2005-03-15 2006-09-21 채양기 디스크보호 및 치료에어복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123A (ko) * 1999-02-12 2000-09-15 채준석 관절치료용 무릎보호대
KR20050078087A (ko) * 2004-01-30 2005-08-04 현대메디칼 주식회사 무릎관절 보호 및 치료대
KR200367679Y1 (ko) 2004-08-11 2004-11-12 김경옥 기능성 팬티
KR20060034514A (ko) * 2004-10-19 2006-04-24 류실근 에어 튜브가 부착된 허리보호대
KR20060100541A (ko) * 2005-03-15 2006-09-21 채양기 디스크보호 및 치료에어복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63B1 (ko) 2009-12-23 2010-09-28 김기홍 기능성 무릎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38A (ko)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2590B2 (ja) 足用圧迫装置
EP2077102B1 (en) Positive pressure chamber for extremities
KR101840223B1 (ko) 무지외반증의 기계적 치료를 위한 교정기
JP4519125B2 (ja) 四肢用圧迫装置
CN101646404A (zh) 防止和/或治疗拇趾外翻的加强的长袜或者短袜
KR102313736B1 (ko) Ems무릎보호대 및 무릎보조기
KR101778983B1 (ko) 공기압 마사지용 다리커프
JP2022013653A (ja) 関節支持装置
KR101542463B1 (ko) 무릎관절 운동기구
KR102584800B1 (ko) 의료용 혈류 개선을 위한 가압 장치 및 그 구성요소
JP2022524661A (ja) 移動型四肢圧迫循環装置
KR100763601B1 (ko)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US11110021B2 (en) Medical pressure therapy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KR101778984B1 (ko) 공기압 마사지용 다리커프
KR200415120Y1 (ko)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KR101815274B1 (ko) 무릎보조기
EP1240880B1 (en) Therapeutic elastic envelope
KR20190051232A (ko)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JP2008207000A (ja)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該マッサージユニットを具えたマッサージ機
KR200351286Y1 (ko) 무릎보호대
KR20110103146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낭습방지용 기구
CN209187120U (zh) 下肢皮牵引装置
KR102799916B1 (ko) 공기를 이용한 인대 지지 기능이 구비된 발목 보호대
KR101066130B1 (ko) 냉온가압치료 무릎보조기
KR200336506Y1 (ko) 무릎관절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6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63601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100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9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92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