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1030B1 - 차량용 플로어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플로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030B1
KR100761030B1 KR1020060035278A KR20060035278A KR100761030B1 KR 100761030 B1 KR100761030 B1 KR 100761030B1 KR 1020060035278 A KR1020060035278 A KR 1020060035278A KR 20060035278 A KR20060035278 A KR 20060035278A KR 100761030 B1 KR100761030 B1 KR 100761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portion
skirt
pad
reinforcing ribs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티
Priority to KR102006003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03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로어매트는, 스커트부(14)의 저면에, 스커트부(14)의 횡방향 및 종방향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갖는 평면상 곡선형태의 보강립(18)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강립(18)은, 양선단이 스커트부(14)의 외주단에 접하고, 중간부위가 스커트부(14)의 내주단에 접하는 원호(圓弧)형태 내지는 양선단이 스커트부(14)의 내주단에 접하고, 중간부위가 스커트부(14)의 외주단에 접하는 원호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강립(18)은, 스커트부(14)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진행되어 스커트부(14)의 외주단과 내주단에 반복적으로 접하는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로어매트에 의하면, 보강립의 구성상, 스커트부의 변형이 적극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에 사용편의성 및 상품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유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플로어매트{floor mat for car}
도 1은 종래 차량용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차량용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Ⅱ - 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보강립이 구비된 차량용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패드부 122: 돌기
14: 스커트부 18: 보강립
19: 보강립
본 발명은 차량용 플로어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립의 구성상 쉽게 변형되지 않는 차량용 플로어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과 2에 나타난 것과 차량용 플로어매트(10)는 연질 PVC 또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드부(12)와, 상기 패드부(12)의 가장자리에 구성되어 패드부(12) 밑으로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커트부(14)로 이루어져 있는데, 패드부(12)와 스커트부(14)의 상면에는 카페트와 같은 쿠션 및 보온효과를 얻기위해 섬모(121)가 식재되어 있으며, 패드부(12)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1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커트부(14)는 패드부(12)의 선단에서 소정높이만큼 융기되어 서서히 하향하는 만곡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플로어매트는 차량의 실내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돌기(122)가 차량의 플로어카페트(5)에 박히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발동작에 의해서도 쉽게 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스커트부(14)의 형태특성상 스커트부(14)의 선단이 아래로 쳐져서 플로어카페트(5)에 접하게 됨으로써, 패드부(12)가 돌기(122)에 의해 떠받쳐져서 형성되는 패드부(12)와 플로어카페트(5) 사이의 간극으로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플로어카페트(5)가 더러워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스커트부(14)가 패드부(12)의 가장자리로부터 급격히 융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스커트부(14)의 저면이 바닥(플로어카페트)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탑승자의 발동작) 등이 장기간 반복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커트부(14)의 외측 가장자리가 점차 상방으로 구부러져서 들뜨는 변형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14)가 변형되면, 플로어매트(10) 전체의 외관미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패드부(12) 밑으로 이물질이 쉽게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커트부(14)의 저면에 보강립(16)이 구비된 형태의 플로어매트(10')도 안출되었다.
상기 보강립(16)은 스커트부(14)의 저면에 형성되며, 스커트부(14)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직선형태로서, 스커트부(14)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구조이며,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강립(16)이 구비된 종래의 차량용 플로어매트(10')는, 스커트부(14)가 들뜨는 변형현상이 보강립(16)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안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보강립(16)이 구비된 차량용 플로어매트(10')의 경우, 보강립(16)의 형태가 앞서 말한바와 같이 스커트부(14)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단순한 직선형태이며 서로 평행하기 때문에, 스커트부(14)가 들뜨는 현상 즉, 상방으로 구부러지는 변형현상은 억제되지만, 스커트부(14)의 보강립(16)과 보강립(16) 사이 부위는 점차 아래로 주저앉거나 들뜨게 됨으로써 스커트부(14)가 길이방향으로 구불구불해지는 파형굴곡(波形屈曲)현상이 유발된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스커트부(14)가 파형굴곡되면, 플로어매트(10')의 외관미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먼지 등의 이물질이 패드부(12) 밑으로 유입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커트부가 상방으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파형만곡되지 않도록 곡선형상의 보강립이 구비된 차량용 플로어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차량용 플로어매트는, 스커트부의 저면에, 스커트부의 횡방향 및 종방향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갖는 평면상 곡선형태의 보강립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강립은, 양선단이 스커트부의 외주단에 접하고, 중간부위가 스커트부의 내주단에 접하는 원호(圓弧)형태 내지는 양선단이 스커트부의 내주단에 접하고, 중간부위가 스커트부의 외주단에 접하는 원호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강립은, 스커트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진행되어 스커트부 의 외주단과 내주단에 반복적으로 접하는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 4a 부터 도 5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4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커트부(14)의 저면에, 스커트부(14)의 횡방향 및 종방향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곡선형태의 보강립(18)이 구성되는데, 상기 보강립(18)은 양선단(181)이 스커트부(14)의 내주단(142)에 접하고, 중간부위(182)가 스커트부(14)의 외주단(141)에 접하는 원호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립(18)은 다수개가 일렬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원호중심이 스커트부(14)의 바깥쪽에 있는 형태로서, 양선단간(181)의 간격으로 결정되는 보강립(18)의 크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립(18)은, 도 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양선단(181)이 스커트부(14)의 외주단(141)에 접하고, 중간부위(182)가 스커트부(14)의 내주단(142)에 접하는 원호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원호의 중심점이 스커트부(14)의 안쪽에 있는 형태로서 이 역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일렬배치되며, 보강립(18)의 크기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호형 보강립(18)은 인접하는 보강립과 양선단(181)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립이 서로 이격된 경우에 비하여 스커트부(14)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패드부(12)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커트부(14)의 길 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진행되며 스커트부(14)의 외주단(141)과 내주단(142)에 반복적으로 접하는 지그재그형태의 보강립(19)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립의 형태적인 특성상, 보강립(18)(19)이 스커트부(14)의 횡방향 및 측방향에 대한 버팀작용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으로써 스커트부(14)가 상방향으로 구부러져서 들뜨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 구불구불해지는 현상 또한 방지된다.
즉, 스커트부(14)의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변형에 대해서는 보강립(18)(19)의 횡방향 성분이 버팀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스커트부(14)의 종방향으로 발생하는 변형에 대해서는 보강립(18)(19)의 종방향 성분이 버팀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각 방향별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로어매트는, 보강립의 구성상, 스커트부의 변형이 적극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에 사용편의성 및 상품성이 높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상기 패드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가장자리에서 융기되어 서서히 하향하는 만곡구조로 이루어진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횡방향 및 종방향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스커트부의 저면에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 선단이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단에 접하고 중간부위가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단에 접하는 원호(圓弧)형태의 보강립;
    을 포함하는 차량용 플로어매트
  2.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상기 패드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가장자리에서 융기되어 서서히 하향하는 만곡구조로 이루어진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횡방향 및 종방향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스커트부의 저면에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 선단이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단에 접하고 중간부위가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단에 접하는 원호(圓弧)형태의 보강립;
    을 포함하는 차량용 플로어매트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보강립 중에서 적어도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립은 그 선단이 인접하는 보강립의 선단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로어 매트
  4.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상기 패드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가장자리에서 융기되어 서서히 하향하는 만곡구조로 이루어진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횡방향 및 종방향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스커트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단과 내주단에 교대로 반복적으로 접함으로써 지그재그형태로 연속된 곡선구조를 가지는 보강립;
    을 포함하는 차량용 플로어매트
KR1020060035278A 2006-04-19 2006-04-19 차량용 플로어매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76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278A KR100761030B1 (ko) 2006-04-19 2006-04-19 차량용 플로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278A KR100761030B1 (ko) 2006-04-19 2006-04-19 차량용 플로어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030B1 true KR100761030B1 (ko) 2007-09-21

Family

ID=3873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2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1030B1 (ko) 2006-04-19 2006-04-19 차량용 플로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47Y1 (ko) 2009-10-21 2013-11-14 이상연 자동차용 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7142A (ja) * 1987-12-22 1989-08-08 Pelzer Helmut 自動車内に組み込むための足空間内張り部材
JPH08150111A (ja) * 1994-11-29 1996-06-11 Shoichi Suzuki めくれ止め付きマット
JP2001046313A (ja) 1999-08-13 2001-02-20 Milliken & Co 少なくとも1つの一体化ゴム突起を含むクッションカーペットフロアカバー製品
KR20010071295A (ko) * 1999-03-19 2001-07-28 히라이 가쯔히꼬 Frp 지붕재, 그의 제조 방법,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
JP2002356124A (ja) 2001-05-31 2002-12-10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
KR20040039131A (ko) * 2002-11-04 2004-05-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보조매트와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7142A (ja) * 1987-12-22 1989-08-08 Pelzer Helmut 自動車内に組み込むための足空間内張り部材
JPH08150111A (ja) * 1994-11-29 1996-06-11 Shoichi Suzuki めくれ止め付きマット
KR20010071295A (ko) * 1999-03-19 2001-07-28 히라이 가쯔히꼬 Frp 지붕재, 그의 제조 방법,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
JP2001046313A (ja) 1999-08-13 2001-02-20 Milliken & Co 少なくとも1つの一体化ゴム突起を含むクッションカーペットフロアカバー製品
JP2002356124A (ja) 2001-05-31 2002-12-10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
KR20040039131A (ko) * 2002-11-04 2004-05-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보조매트와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47Y1 (ko) 2009-10-21 2013-11-14 이상연 자동차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8726B (zh) 用于家具组件的下拉座板
US10676004B2 (en) Floor mat with isolated support members
US11535140B2 (en) Vehicle floor mat with supports for irregular vehicle floor
JP6549371B2 (ja) イス
PL178168B1 (pl) Mata, zwłaszcza dla osób pracujących w pozycji stojącej
US3648320A (en) Door mat
JP5446853B2 (ja) 車体上部構造
KR100761030B1 (ko) 차량용 플로어매트
PT926970E (pt) Ponte de mola para uma base de colchao
FI90196C (fi) Patja
US20090061148A1 (en) Auxiliary mat for vehicle
KR100802032B1 (ko)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KR101210375B1 (ko) 작업용 바닥매트
KR100802031B1 (ko) 차량용 복합형 플로어매트
KR101796123B1 (ko) 보강용 탄성블럭이 구비된 셀프포켓 매트리스
US4573432A (en) Wire mesh flooring
KR20130063665A (ko) 차량용 청정매트
JP5694756B2 (ja) ホーム先端転落防止材
JP6548232B2 (ja) ラインテープ
JP3590791B2 (ja) ブロー成形体
JP4705085B2 (ja) 車両用ステップ
CN214450511U (zh) 一种防止内卷的汽车脚垫
RU62871U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напольный коврик
JP4296891B2 (ja) 建設機械用フロアマット及び建設機械
JP3515715B2 (ja) 車両用敷設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3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