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9110B1 - 플로워용 방진장치 - Google Patents

플로워용 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110B1
KR100759110B1 KR1020060104658A KR20060104658A KR100759110B1 KR 100759110 B1 KR100759110 B1 KR 100759110B1 KR 1020060104658 A KR1020060104658 A KR 1020060104658A KR 20060104658 A KR20060104658 A KR 20060104658A KR 100759110 B1 KR100759110 B1 KR 10075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lower plates
floor
suppor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만
Original Assignee
이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만 filed Critical 이상만
Priority to KR102006010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0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onsisting of a stack of similar elements separated by non-elastic intermediat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워용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베이스면과 플로워에 각각 지지토록 형성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하나 이상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및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일정이상의 탄성력이 작용할 때 작용토록 되면서 일단이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진다.
고정돌기, 탄성부재, 상,하부플레이트, 충격흡수홀

Description

플로워용 방진장치{A Shock Absorber System for The Floor}
도1은 종래의 방진스프링 마운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5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진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및 이에 따른 단면도 이다.
도6a,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고정돌기 114...가이드턱
116...댐퍼부재 119...가이드플레이트
153...충격흡수홀 156...진공챔버
173...서브스프링부재
본 발명은 플로워용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베이스면과 플로워에 각각 지지토록 형성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하나 이상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및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일정 이상의 탄성력이 작용할 때 탄성력이 작용토록 되면서 일단이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져 일정범위내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플로워용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진 마운트는 진동이 발생하는 각종 장치나 설비 등(이하 진동체라 함)을 바닥이나 벽체 등(이하 지지체라 함)에 지지할 때 진동체와 지지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진동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진동을 감쇠시키거나 지지체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방진 마운트는 운동에너지를 잘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완충재를 이용하여 진동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며, 비교적 하중이 크고 정적변위량이 많은 진동체의 방진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완충재로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진 스프링 마운트가 널리 사용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방진 스프링 마운트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진스프링 마운트는 코일형상의 스프링과, 상기한 스프링의 한쪽 끝부분이 안착되고 스프링의 반대쪽에 진동체가 얹혀지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한 스프링의 상부지지부재 반대쪽 끝부분을 감싸서 지지하고 양측 끝부분에는 지지체에 고정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재와, 상기한 상부지지부재에 나사결합되어 진동체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로 이루어 지며, 하 부지지부재와 지지체 사이에는 방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진 스프링 마운트는 스프링이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 사이에 견고히 체결되지 않고 양쪽 끝부분이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이동시 약간의 외력이 작용하거나 유동이 발생하면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 스프링이 각각 낱개의 부품으로 분해되기 쉬워 운반이나 적재가 용이하지 않고 이동중에 부품이 분실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진동체로부터 발생하는 횡하중에 의하여 스프링이 일측으로 쏠려서 완충기능이나 방진기능을 상실하게 되거나, 정해진 범위 이상으로 변위가 발생되면 상,하부지지부개가 서로 부딪쳐서 파손되거나 진동체와 지지체가 서로 부딪쳐서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310303호에 방진 스프링 마운트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한쪽면에 제1안착부(12)가 형성되는 캡형상의 제1지지부재(10)와, 제1안착부(12)와 마주보는 반대쪽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쪽 모서리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2안착부(22)가 형성되고 개구된 반대쪽 끝면에는 안내공(24)이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20)와, 상기 제1안착부(12)와 제2안착부(22) 사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30)과, 상기 제2지지부재(20)의 안내공(24)을 관통하는 한쪽 끝부분에는 조절너트(44)가 조립되는 조절볼트(42)와, 상기 제2지지부재(20)의 길이방향 중심부와 수직인 위치에 관통홀(51)이 형성되는 고정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캡볼트(48)가 고정너트(13)로서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체결홀(52)이 더 구비되면서 상기 체결홀 및 관통홀에 대응토록 체결공(62)과 관통공(61)을 갖는 고무판(6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프링마운트 역시, 스프링(3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호 대응되는 별도의 제1,2지지부재(10)(20)를 구비하여야 하여 부품수가 증가하게 되고, 스프링(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볼트(48)의 길이로 스프링의 충격흡수시 간섭이 있으며, 일정크기 이상의 충격력에서만 동작토록 하고, 충격력에 따라 스프링의 크기 및 캡볼트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충격 및 큰 충격을 하나의 장치에 의해 동시에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간편한 조립구조로서 충격력에 따른 댐퍼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며, 다양한 사용장소에 따라 대응되는 다양한 댐퍼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충격흡수시 높이방향에서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며, 스프링의 노출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플로워용 방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면과 플로워에 각각 지지토록 형성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하나 이상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및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일정이상의 탄성력이 작용할 때 작용토 록 되면서 일단이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진 플로워용 방진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제1탄성부재는 수직방향에 다수의 관통공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관통공에 밀착토록 복수의 고정돌기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개재하여 지지된 플로워용 방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탄성부재는 수직방향에 고정돌기가 지지되는 관통공이 수평방향에 다수의 충격흡수홀이 구비된 플로워용 방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탄성부재는 수직방향에 고정돌기가 지지되는 관통공이 수평방향에 다수의 진공챔버가 구비되는 플로워용 방진장치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관통공에는 일단이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스프링부재가 삽입되는 플로워용 방진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면과 플로워에 각각 지지토록 형성되는 상,하부플레이트(110)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하나 이상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50)및 상기 제1탄성부재(150)에 일정이상의 탄성력이 작용할 때 작용토록 되면서 일단이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17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150)는 수직방향에 다수의 관통공(151)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에 복수의 고정돌기(112)가 적어도 한방향 이상에 구비되는 가이드플레이트(119)를 개재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19)는, 그 중앙부에 제2탄성부재(170)와의 간섭을 방지토록 장착홀(1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19)는 도3에서와 같이, 상,하부플레이트의 고정돌기(112)가 삽입되지 않는 관통공에 각각 지지토록 그 양면에 복수의 후크 형상인 고정돌기(112)가 구비되며, 적층되는 가이드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돌기는 제1탄성부재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각각 삽입토록 복수개 구비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150)는, 고리형상으로 그 수직및 수평방향에 다수의 충격흡수홀(15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150)는, 내측에 수직방향의 충격력을 흡수토록 다수의 진공챔버(15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홀(153)에는 일단이 상,하부플레이트 및 가이드플레이트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스프링부재(173)가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2탄성부재(170)는, 제1탄성부재보다 큰 충격력에 동작하는 스프링부재로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이 상,하부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너트부재(115)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115)는 상,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통하여 외부에서의 연결부재가 회전결합토록 설치되며, 다른 상,하부플레이트는 압축되는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토록 가이드턱(114a)이 구비된다.
계속하여,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장착부에서의 소음을 방지토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댐퍼부재(116)가 더 장착된다.
또한, 도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부플레이트(110)중 상부측 상,하부플레이트는 적층되는 가이드플레이트(119) 및 제1탄성부재(150)의 일부를 그 외경측 높이방향에서 커버링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방진장치는 주로 체육관이나 공연장등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플로워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건축물의 바닥면과 플로워 사이에 설치되어 플로워에 작용되는 충격력을 흡수토록 함으로써 운동이나 공연시 낙하에 의한 부상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방진장치는, 바닥면과 플로워에 각각 면 접촉되는 상,하부플레이트(110)와 적어 충격력에 작용하는 복수의 제1탄성부재(150) 및 상기 제1탄성부재(150) 보다 큰 충격력에 동작하는 제2탄성부재(170)의 조립구조로서 이루어져 일정범위내의 약한 충격력과 강한 충격력을 모두 흡수토록 한다.
상기 방진장치의 조립은, 상,하부플레이트(110)와 가이드플레이트(190)및 제1탄성부재(150), 제2탄성부재(170)를 준비한 후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통하여 복수의 제1탄성부재(150)를 적층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170)는, 미리 일측의 상,하부플레이트(110)에 고정되어 제1탄성부재(150)의 적층시 그 내측에 삽입토록 되고, 일측의 상,하부플레이트에는 미리 댐퍼부재(116)가 부착되어 바닥면에 밀착시 금속재의 상,하부플레이트가 바닥면에 지지될 때 발생되는 이동이나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19) 및 상,하부플레이트(110)를 제1탄성부재(150)에 고정하는 구성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하부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돌기(112)가 관통공(151)에 진입시 걸리게 되는 후크및 걸림턱 형상으로 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한 결합상태의 유지가 가능토록 되어 다양한 적층수의 구현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150)는, 그 수직및 수평방향에 복수의 충격흡수홀(153)이 구비되어 상,하부플레이트(110)를 통한 충격력의 전달시 링이 복수개 적층되는 형상으로 충격력을 순차로 흡수 및 분산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150)는, 내측에 진공챔버(156)가 구비되어 상,하부플레이트(110)를 통한 충격력의 전달시 진공챔버로서 충격력을 흡수 및 분산토록 한다.
계속하여, 그 충격력이 증가하여 복수의 제1탄성부재(150)가 압축되면 일측의 상,하부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170)가 타측의 상,하부플레이트에 접촉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토록 한다.
이때, 상기 일측의 상,하부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가이드턱(114a)에 제2탄성부재(170)의 일단이 지지되어 압축력의 작용시 제2탄성부재(170)가 유동되어 소음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115)는 상,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플로워지지용 브라켓의 볼트등이 용이하게 회전결합토록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제1탄성부재(150)의 적층수를 달리하거나 제2탄성부재(170)의 높이를 높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그 장착높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장착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은 충격 및 큰 충격을 하나의 장치에 의해 동시에 흡수하여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간편한 조립구조로서 충격력에 따른 댐 퍼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 져 시공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사용장소에 따라 대응되는 다양한 댐퍼의 구현이 가능하고, 충격흡수시 높이방향에서의 간섭이 방지되어 이에 따른 소음등이 없으며, 스프링의 노출을 최소화 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베이스면과 플로워에 각각 지지토록 형성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가이드플레이트를 통하여 하나 이상 적층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탄성력 이상의 충격력이 작용할 때 동작토록 설치되면서 일단이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는 플로워용 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그 내경측에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수직방향에 걸림턱 형상인 관통공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는, 상기 관통공에 각각 지지토록 후크 형상인 복수의 고정돌기가 한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하부플레이트의 고정돌기가 삽입되지 않는 관통공에 각각 지지토록 그 양면에 복수의 후크 형상인 고정돌기가 구비되며, 적층되는 가이드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돌기는 제1탄성부재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각각 삽입토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워용 방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고리형상으로 그 수직및 수평방향에 다수의 충격흡수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워용 방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내측에 수직방향의 충격력을 흡수토록 다수의 진공챔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워용 방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충격흡수홀에 일단이 상,하부플레이트 및 가이드플레이트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스프링부재가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워용 방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는, 일면에 압축되는 제2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토록 가이드턱이 구비되며, 다른면에 댐퍼부재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워용 방진장치
KR1020060104658A 2006-10-26 2006-10-26 플로워용 방진장치 KR10075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658A KR100759110B1 (ko) 2006-10-26 2006-10-26 플로워용 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658A KR100759110B1 (ko) 2006-10-26 2006-10-26 플로워용 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110B1 true KR100759110B1 (ko) 2007-09-19

Family

ID=3873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658A KR100759110B1 (ko) 2006-10-26 2006-10-26 플로워용 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326B1 (ko) 2009-02-04 2011-10-17 최재우 구조물의 다방향 충격흡수장치
KR101708215B1 (ko) * 2016-10-26 2017-02-21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비선형 내진 스프링을 장착한 내진 배전반
CN115961708A (zh) * 2021-10-08 2023-04-14 京畿大学校产学协力团 顶棚耐震及制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376U (ko) * 1995-11-22 1997-06-20 주식회사유일산업 방진구
KR0179479B1 (ko) * 1995-11-22 1999-03-20 한승준 자동차용 엔진의 방진장치
JPH11270621A (ja) * 1998-03-20 1999-10-05 Kobe Steel Ltd 積層ゴム支承
KR20050076702A (ko) * 2004-01-21 2005-07-26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그방법을 수행하는 멀티프로세서 및 프로세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376U (ko) * 1995-11-22 1997-06-20 주식회사유일산업 방진구
KR0179479B1 (ko) * 1995-11-22 1999-03-20 한승준 자동차용 엔진의 방진장치
JPH11270621A (ja) * 1998-03-20 1999-10-05 Kobe Steel Ltd 積層ゴム支承
KR20050076702A (ko) * 2004-01-21 2005-07-26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그방법을 수행하는 멀티프로세서 및 프로세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326B1 (ko) 2009-02-04 2011-10-17 최재우 구조물의 다방향 충격흡수장치
KR101708215B1 (ko) * 2016-10-26 2017-02-21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비선형 내진 스프링을 장착한 내진 배전반
CN115961708A (zh) * 2021-10-08 2023-04-14 京畿大学校产学协力团 顶棚耐震及制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5431B2 (ja) 吸振体
KR102148133B1 (ko) 함체용 면진장치
KR102742359B1 (ko) 진동 감쇠 브래킷 및 전자 장치
KR20080037804A (ko) 모듈형 동조질량감쇠기
KR100759110B1 (ko) 플로워용 방진장치
KR102305479B1 (ko) 잭 서포트 3단 충격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 서포트 설치구조
KR100903363B1 (ko) 충격흡수용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댐퍼유니트
KR200310303Y1 (ko) 방진 스프링 마운트
KR100390542B1 (ko) 구조물의 진동 제어장치
KR102693849B1 (ko) 배전설비 내진 보호장치
KR101393694B1 (ko) 이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CN215442493U (zh) 一种减震型钢结构节点构件
KR102247871B1 (ko) 가변구조 내진스토퍼
KR101146284B1 (ko) 하중물의 충격흡수용 완충시스템
KR101613567B1 (ko) 방진 마운트
JP6013204B2 (ja) 減震装置
KR101699282B1 (ko) 진동흡수장치
KR20020011631A (ko) 3차원 진동 방지 장치
KR102780857B1 (ko) 방진 마운트
GB2346667A (en) Device for absorbing vibrations in a structure
JP2627862B2 (ja) 構造物の制振装置
KR101965421B1 (ko) 전도방지 스토퍼
KR20080065433A (ko) 압축기의 지지장치
KR102314390B1 (ko) 함체용 면진장치
CN216447351U (zh) 减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