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895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959B1
KR100758959B1 KR1020070011770A KR20070011770A KR100758959B1 KR 100758959 B1 KR100758959 B1 KR 100758959B1 KR 1020070011770 A KR1020070011770 A KR 1020070011770A KR 20070011770 A KR20070011770 A KR 20070011770A KR 100758959 B1 KR100758959 B1 KR 100758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base
panel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834A (ko
Inventor
강진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9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가 상기 공기 흡입부 상측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좌,우 필터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필터의 청소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필터, 베이스, 좌측 필터 가이드, 우측 필터 가이드, 공기 흡입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고정구조가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작동 정지일 때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좌,우 필터 가이드 및 필터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좌,우 필터 가이드가 베이스에 설치되고 필터가 좌,우 필터 가이드가 장착되기 전의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구가 밀폐된 사시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본체 51: 좌측면 공기 흡입구
52: 우측면 공기 흡입구 53: 공기 흡입부
54: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 55;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
56: 상면 공기 토출구 57: 전면 좌측 경사부
58: 전면 우측 경사부 59: 베이스
59a: 스토퍼 59b: 좌측 필터 가이드 리브
59c: 우측 필터 가이드 리브 59d: 좌측 보스
59e: 우측 보스 60: 캐비닛
61: 캐비닛의 배면부 62: 캐비닛의 좌측면부
63: 캐비닛의 우측면부 65: 상면 패널
72: 상부 패널 73: 상부 패널의 전면부
74: 상부 패널의 좌측면부 75: 상부 패널의 우측면부
76: 상부 패널의 상면부 77: 전면 좌측 도어
78: 전면 우측 도어 80: 도어 구동기구
81: 모터 82; 피니언
83: 좌측 구동 부재 84: 우측 구동 부재
85: 전면 커버 86: 상면 도어
87: 좌측 토출 베인 88: 우측 토출 베인
90: 좌측 하부 패널 91: 좌측 하부 패널의 좌측면부
92: 좌측 하부 패널의 전면부 93: 좌측 흡입 베인
94: 좌측 프리 필터 100: 우측 하부 패널
101: 우측 하부 패널의 우측면부 102: 우측 하부 패널의 전면부
103: 우측 흡입 베인 104: 우측 프리 필터
130: 프론트 도어 150: 송풍기
151: 송풍용 모터 152: 터보팬
153: 개구홀 154: 토출홀
155: 팬 하우징 156: 오리피스
160: 열교환기 170: 공기 정화기
171: 전기 집진기 172: 전리부
173; 포집부 176: 하부 홀더
177: 상부 홀더 178: 고전압 발생기
179: 상면 커버 180: 좌측 필터 가이드
181: 체결부재 182: 좌측 필터 가이드의 저면부
183: 좌측 필터 가이드의 측면부 184a,184b,184c: 좌측 가이드 리브
185: 우측 필터 가이드 186: 체결부재
187: 우측 필터 가이드의 저면부 188: 우측 필터 가이드의 측면부
189a,189b,189c: 좌측 가이드 리브 190: 하측 프리 필터
190a: 지지대 190b: 메쉬
191: 프리 필터 어셈블리 192: 하측 프리 필터 케이스
192a: 후크 193: 상측 헤파 필터 케이스
193a: 후크 걸이홀 194: 헤파 필터
195a: 나노 카본 필터 195b: 부직포
196: 나노 필터 어셈브리 197: 하측 나노 필터 케이스
197a: 후크 198: 상측 나노 필터 케이스
198a: 후크 걸이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에 필터를 착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구가 밀폐된 사시도이고,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이며,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고,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1)와, 상기 베이스(101)의 상측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102)과, 상기 캐비닛(102)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 상부에 전면 공기 토출구(104a)와 양측면 상부에 측면 공기 토출구(104b)(104c)가 형성되며, 양측면 하부에 공기 흡입구(104d)(104e)가 각각 형성된 전면패널(104)과, 상기 캐비닛(102)과 전면 패널(104)의 사이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120)와, 상기 송풍기(120)의 상측에 설치된 열교환기(1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10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104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104)의 전면에 상하 구동 패널(11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 구동 패널(110)의 상승시 전면 패널(104)과 상하 구동 패널(110)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104)의 전면에 전후 구동 패널(112)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104b)(104c)를 개폐함과 아울러 측면 공기 토출구(104b)(104c)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104)의 양측 상부에 좌,우 베인(114)(116)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전면 패널(104)은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104a) 및 측면 공기 토출구(104b)(104c)가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105)과,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5)의 중앙 하부과 상기 베이스(10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102)의 양측 하부와의 사이에 상기 공기 흡입구(104d)(104e)를 형성하는 전면 하부 패널(106)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하부 패널(106)의 측단과 상기 캐비닛(102) 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104d)(104e)를 보호하기 위한 좌,우 흡입그릴(107)(108)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좌,우 흡입그릴(107)(108) 각각의 배면에는 공기 흡입구(104d)(104e)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될 수 있도록 에어 필터(109)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송풍기(120)의 전면부 전방 양측에는 상기 좌,우 흡입그릴(107)(108)과 에어 필터(109)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좌,우 전기 집진기(121)(122)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기(120)가 구동되면 실내측의 공기는 상기 좌,우 흡입그릴(107)(108)과 에어 필터(109)를 통해 상기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좌,우 전기 집진기(121)(122)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이온화되어 포집되며, 상기 송풍기(120)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30)로 송풍된다.
상기 열교환기(130)로 송풍된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가열된 후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104a)와 좌측 공기 토출구(104b)와 우측 공기 토출구(104c)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난방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의 공기가 상기 좌,우 흡입 그릴(107,108)만을 통해서 흡입되고, 상기 에어 필터(109)와 전기 집진기(121,122)에 의해서 정화되므로, 보다 신속한 공기 정화 및 공기 정화 성능 향상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베이스에 공기 흡입부 및 필터를 설치하여 실내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청소나 교체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필터 케이스에 라벨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되는 좌,우 필터 가이드와;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에 착탈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수납되는 필터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좌측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우측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가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도록 좌,우측 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 각각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작동 정지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의 하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51)(52) 및 공기 흡입부(53)가 형성되고, 본체(50)의 상부에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54)(55)(56)가 형성되며, 본체(50)의 내부에 송풍기(150) 및 열교환기(160) 등이 내장된다.
상기 공기 흡입구(51)(52)는 상기 본체(50)의 하부 좌측면에 형성되는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상기 본체(50)의 하부 우측면에 형성되는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53)는 상기 본체(50)의 하부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 토출구(54)(55)(56)는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면 좌측에 형성된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면 우측에 형성된 전면 우측 토출구(55)와, 상기 본체(50)의 상면 형성된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전면 양측(57)(58)이 전면 중앙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전면 양측(57)(58)의 경사각이 20° 이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는 상기 본체(50)의 전면 좌측 경사 부(57)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는 상기 본체(50)의 전면 우측 경사부(58)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상기 공기 흡입부(53)가 형성된 베이스(59)와, 상기 베이스(59)의 상측에 설치되고 전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캐비닛(60)과; 상기 캐비닛(60)의 상면을 막도록 설치된 상면 패널(65)과,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와 상면 공기 토출구(56)가 형성된 상부 패널(72)과, 상기 상부 패널(72)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우측면 공기 흡입구(52)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하부 패널(90)(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59)는 공기 흡입부(53)가 상기 베이스(54)의 전면에서 상면까지 라운드지게 개구된다.
상기 캐비닛(60)은 하단이 상기 베이스(59)의 상면에 올려진 후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베이스(59)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59)의 상측에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61)와, 상기 배면부(61)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면부(62)와, 상기 배면부(61)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면부(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패널(7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좌측 경사부(57)와 전면 우측 경사부(58)가 형성된 전면부(73)와, 상기 전면 좌측 경사부(57)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면부(74)와, 상기 전면 우측 경사부(58)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면부(75)와, 상기 전면부(73)과 좌측면부(74)와 우측면부(75)의 상단에 형성된 상면부(76)로 이루어 진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개폐하기 위한 전면 좌측 도어(77)와,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개폐하기 위한 전면 우측 도어(78)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면 좌측 도어(77)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개폐하도록 하고, 상기 전면 우측 도어(78)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개폐하도록 하는 도어 구동기구(8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구동기구(80)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모터(81)와, 상기 모터(81)의 회전축에 축설된 피니언(82)과,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고 상기 전면 좌측 도어(77)와 연결된 좌측 구동 부재(83)와,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고 상기 전면 우측 도어(78)와 연결된 우측 구동 부재(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구동 부재(83)는 상기 전면 좌측 도어(77)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좌측 아암(83a)(83b)과, 상기 복수개의 좌측 아암(83a)(83b)과 일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8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는 좌측 랙(83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측 구동 부재(84)는 상기 전면 우측 도어(78)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우측 아암(84a)(84b)과, 상기 복수개의 우측 아암(84a)(84b)과 일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8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는 우측 랙(84c)으로 이 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방에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중앙을 덮고 상기 도어 구동 기구(80)를 보호하는 전면 커버(8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패널(72)의 상면부(76)에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개폐하기 위한 상면 도어(86)와, 상기 상면 도어(86)를 회동시키기 위한 상면 도어용 모터(86a)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부 좌측에는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토출 베인(87)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좌측 토출 베인(87)을 회전시키기 위한 좌측 토출 베인용 모터(87a)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부 우측에는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토출 베인(88)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우측 토출 베인(88)을 회전시키기 위한 우측 토출 베인용 모터(88a)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 패널(90)(10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좌측 경사부(57) 및 좌측면부(74)와 상기 베이스(59)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좌측 하부 패널(90)과,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우측 경사부(58) 및 우측면부(75)와 상기 베이스(59)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우측 하부 패널(100)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좌측면부(74)와 상기 베이스(59)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좌측면부(91)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좌측 경사부(57)와 상기 베이스(59)의 상면 사이에 배치된 전면부(92)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 구(51)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흡입 베인(93)과, 상기 좌측 흡입 베인(93)을 회동시키기 위한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와,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걸림되는 좌측 프리 필터(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우측면부(75)와 상기 베이스(59)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우측면부(101)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우측 경사부(58)와 상기 베이스(59)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102)로 구성되고,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흡입 베인(103)과, 상기 우측 흡입 베인(103)을 회동시키기 위한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와,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걸림되는 우측 프리 필터(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50)는 상기 전면 커버(85)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59)의 상단 사이를 여닫는 전면 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도어(130)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상면에 설치된 상측 힌지 브라켓(130a)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59)의 상면에 설치된 상측 힌지 브라켓(130b)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송풍기(150)는 상기 캐비닛(60)의 배면부(61) 전방에 설치된 송풍용 모터(151)와, 상기 송풍용 모터(151)의 회전축에 축설된 송풍 팬(152)과, 상기 송풍팬(152)의 외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팬 하우징(155)과, 상 기 팬 하우징(155)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팬 하우징(155)의 전면에 설치되는 오리피스(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팬 하우징(155)은 상기 송풍팬(152)을 둘러싸고 전면에 개구홀(153)이 형성되며 상면에 토출홀(154)이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160)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하부와 상기 캐비닛(60)의 상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오리피스(156)의 전방에 설치되는 공기 정화기(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 정화기(170)는 전기 집진기(171)와, 상기 전기 집진기(171)의 하부가 올려져 걸림 장착되는 하부 홀더(176)와, 상기 전기 집진기(171)의 상부가 걸림 장착되는 상부 홀더(1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 집진기(171)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이온화시키도록 방전극과 방전대응극으로 이루어진 전리부(172)와, 상기 전리부(172)에서 이온화된 먼지 등이 포집되는 포집전극과 가속전극으로 이루어진 포집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홀더(177)에는 상기 전리부(172) 및 포집부(173)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178)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홀더(177)의 전면에는 상기 상부 홀더(177)의 전면을 막는 상면 커버(17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9)의 상면에 설치되는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와, 상기 공기 흡입부(53) 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에 착탈되는 필터(190)(191)(1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190)(191)(196)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9)의 상면에 올려져 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는 하측 프리 필터(190)와,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0)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거르는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와,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의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을 제거하는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0)는 지지대(190a)와, 상기 지지대(190a)에 설치된 메쉬(190b)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는 헤파 필터 케이스(192)(193)와, 상기 헤파 필터 케이스(192)(193)의 내부에 수납된 헤파 필터(1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는 상기 헤파 필터(194)의 상측에 복수개의 나노 카본 필터(195a)가 올려지고, 상기 나노 카본 필터에서 카본이 날리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나노 카본 필터의 상측을 부직포(195b)로 덮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는 나노 필터 케이스(197)(198)와, 상기 나노 필터 케이스(197)(198)의 내부에 배치된 나노 구리 필터(199a)와 나노 은 필터(199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59)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프리 필 터(190)와,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와,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 중 적어도 하나가 후방으로 걸림되는 스토퍼(59a)가 형성되는 바, 이하 하측 프리 필터(190)가 걸림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좌,우 필터 가이드 및 필터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좌,우 필터 가이드가 베이스에 설치되고 필터가 좌,우 필터가 장착되기 전의 사시도이다.
상기 베이스(59)에는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0)가 상기 베이스(59)의 상면으로 전후 슬라이딩 착탈될 수 있도록 그 상면에‘ㄱ’모양으로 좌,우 필터 가이드 리브(59b)(59c)가 대향되게 돌출된다.
상기 베이스(59)에는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가 나사(181)(186)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도록 좌,우측 보스(59d)(59e)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는 좌우 공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좌,우 대칭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는 상기 나사(181)(186)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182a)(187a)이 형성된 저면부(182)(187)와, 상기 저면부(182)(187)에서 상향 돌출된 측면부(183)(188)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는 상기 측면부(183)(188)의 사이에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와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183)(188)의 간격이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의 좌우 폭 및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의 좌우 폭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는 상기 측면부(183)(188)의 대향면에,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와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가 전후 슬라이딩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와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의 측단부가 안내되는 좌,우 가이드 리브(184a)(184b)(184c)(189a)(189b)(189c)가 상하 이격되게 돌출된다.
한편,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의 헤파 필터 케이스(192)(193)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개구되고 선단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측 헤파 필터 케이스(192)(193)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상기 상,하측 헤파 필터 케이스(192)(193)에는 일측 헤파 필터 케이스(192)를 타측 헤파 필터 케이스(193)에 거는 후크(192a)가 내장되는 바, 일측 헤파 필터 케이스(192)의 선단부의 배면에는 후크(192a)가 형성되고, 타측 헤파 필터 케이스(193)의 선단부에는 후크 걸이홀(193a)이 형성된다.
상기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의 나노 필터 케이스(197)(198)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개구되고 선단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측 나노 필터 케이스(197)(1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측 나노 필터 케이스(197)(198)에는 일측 나노 필터 케이스(197)를 타측 나노 필터 케이스(198)에 거는 후크(197a)가 내장되는 바, 일측 나노 필터 케이스(197)의 선단부의 배면에는 후크(197a)가 형성되고, 타측 나노 필터 케이 스(198)의 선단부에는 후크 걸이홀(198a)가 형성된다.
즉,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 및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는 후크(192a)(197a)가 전면측에 설치되지 않고 내부에 구비되므로, 그 전면부에 라벨 등을 부착하기 용이하고, 전면부의 미관이 향상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190c는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0)의 선단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193b는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브리(190) 특히, 상측 헤파 필터 케이스(193)의 선단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198b는 상기 나노 필터 어셈브리(196) 특히, 상측 나노 필터 케이스(198)의 선단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운전시 상기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와, 상기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와,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모터(81)와, 상면 도어용 모터(86a)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우측면 공기 흡입구(52)와,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와, 상면 공기 토출구(56)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용 모터(151)가 구동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우측면 공기 흡입구(52)와 공기 흡입부(53)를 통해 상기 본체(50) 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좌측 프리 필터(94)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이 걸름되고,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우측 프리 필터(104)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이 걸름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5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0)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걸름되고, 이후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걸름되며, 상기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 등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전기 집진기(171)의 전리부(172)와 포집부(173)와 오리피스(156)와 팬 하우징(155)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되고, 상기 열교환기(16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 혹은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 혹은 가열된 실내 공기는 일부가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방측으로 송풍되고, 대부분이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전방측으로 송풍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 청정 운전시 상기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와, 상기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와,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모터(81)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우측면 공기 흡입구(52)와,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가 밀 폐되고, 상기 상면 도어용 모터(86a)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어 상면 공기 토출구(56)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리부(172) 및 포집부(173)에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178)에서 발생된 고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송풍용 모터(151)는 구동된다.
상기 송풍용 모터(151)의 구동시, 상기 공기 흡입부(5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냉/난방 운전시와 같이,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0)와 헤파 필터어셈블리(191)와 나노 필터(196)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이후 상기 전기 집진기(171)의 전리부(172)와 포집부(173)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이온화되어 포집되며, 이후 상기 오리피스(156)와 팬 하우징(155)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60)를 열교환없이 통과하고, 이후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방측으로 집중 송풍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0)를 청소/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면 도어(130)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본체(50)의 전면 중앙 하부를 개방하고, 이후,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하측 프리 필터(190)는 상기 베이스(59)의 좌,우 필터 가이드 리브(59b)(59c)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후, 청소되거나 새로운 하측 프리 필터(190)를 상기 베이스(59)의 좌,우 필터 가이드 리브(59b)(59c) 사이로 밀어 넣으면, 하측 프리 필터(190)는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 리브(59b)(59c)에 의해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베이스(59)의 스토퍼(59a)에 걸림되어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헤파 필터(194)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본체(50)의 전면 중앙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는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의 측면부(183)(188) 및 좌,우 가이드 리브(184a)(184b)(189a)(189b)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런 다음, 상기 상측 헤파 필터 케이스(193)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헤파 필터(194)를 꺼내고, 새로운 헤파 필터(194)를 하측 헤파 필터 케이스(192)에 올린 다음, 상기 상측 헤파 필터 케이스(193)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하측 헤파 필터 케이스(192)에 후크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헤파 필터(194)가 교체된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를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의 좌,우 가이드 리브(184a)(184b)(189a)(189b) 사이로 밀어 넣으면,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1)는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의 측면부(183)(188) 및 좌,우 가이드 리브(184a)(184b)(189a)(189b)에 의해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의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나노 필터(199a)(199b)를 청소/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본체(50)의 전면 중앙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196)는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의 측면부(183)(188) 및 좌,우 가이드 리브(184b)(184c)(189b)(189c)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런 다음, 상기 상측 나노 필터 케이스(198)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나노 필터(199a)(199b)를 꺼내고, 청소되거나 새로운 나노 필터(199a)(199b)를 상기 하측 나노 필터 케이스(197)에 올린 다음, 상기 상측 나노 필터 케이스(198)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하측 나노 필터 케이스(197)에 후크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나노 필터(199a)(199b)가 청소/교체된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를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의 좌,우 가이드 리브(184b)(184c)(189b)(189c)의 사이로 밀어 넣으면, 상기 나노 필터 어셈블리(196)는 상기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의 측면부(183)(188) 및 좌,우 가이드 리브(184b)(184c)(189b)(189c)에 의해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80)(185)의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이스에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부의 상측에 필터가 배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에 좌,우 필터 가이드가 설치되어,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필터의 청소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는 좌우 공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대칭되게 형성되어, 좌,우 필터 가이드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설비로 좌,우 필터 가이드를 성형할 수 있어 좌,우 필터 가이드 생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 가이드에는 필터가 전후 슬라이딩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의 측단이 안내되는 좌,우 가이드 리브가 대향되게 돌출되어, 필터의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및 좌,우 가이드 리브는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필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 어셈블리와, 나노 필터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가 후방으로 걸림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 어셈블리와, 나노 필터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고, 그 장착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헤파 필터 어셈블리는 헤파 필터가 수용되고, 선단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크가 내장된 상,하측 헤파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그 전면부에 라벨 등을 부착하기 용이하고, 헤파 필터 케이스의 전면부 미관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나노 필터 어셈블리는 나노 필터가 수용되고, 선단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크가 내장된 상,하측 나노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전면부에 라벨 등을 부착하기 용이하고, 나노 필터 케이스의 전면부 미관이 향상되게 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되는 좌,우 필터 가이드와;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에 착탈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수납되는 필터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좌측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우측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가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도록 좌,우측 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 각각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8. 삭제
  9. 삭제
KR1020070011770A 2007-02-05 2007-02-05 공기조화기 KR10075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70A KR100758959B1 (ko) 2007-02-05 2007-02-0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70A KR100758959B1 (ko) 2007-02-05 2007-02-05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819A Division KR20060081483A (ko) 2005-01-07 2005-01-07 공기조화기의 필터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834A KR20070022834A (ko) 2007-02-27
KR100758959B1 true KR100758959B1 (ko) 2007-09-14

Family

ID=4162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770A KR100758959B1 (ko) 2007-02-05 2007-02-0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59B1 (ko) * 2007-11-21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3156U (ko) * 1977-08-30 1979-03-24
KR19990018961A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KR20010001914A (ko) * 1999-06-09 2001-01-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착탈구조
KR20030087315A (ko) * 2002-05-08 2003-11-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오 방향 토출형 에어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3156U (ko) * 1977-08-30 1979-03-24
KR19990018961A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KR20010001914A (ko) * 1999-06-09 2001-01-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착탈구조
KR20030087315A (ko) * 2002-05-08 2003-11-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오 방향 토출형 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834A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4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2070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444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8816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9B1 (ko) 공기조화기
KR1005913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1340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81483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고정 구조
KR1008443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98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376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0163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913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48965B1 (ko) 공기조화기
KR10112331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8811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83415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부 구조
KR20060122291A (ko) 공기조화기
KR100732043B1 (ko) 공기조화기
KR10062480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3448B1 (ko) 공기조화기
KR100767998B1 (ko) 공기조화기
KR10085914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882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