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8546B1 -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546B1
KR100758546B1 KR1020070033288A KR20070033288A KR100758546B1 KR 100758546 B1 KR100758546 B1 KR 100758546B1 KR 1020070033288 A KR1020070033288 A KR 1020070033288A KR 20070033288 A KR20070033288 A KR 20070033288A KR 100758546 B1 KR100758546 B1 KR 100758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pport pile
caisson
ground
voltag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7003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러스 구조물로,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다리를 가지며, 지상에 설치되는 고압전기 철탑의 기초 구조에 있어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원판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용접 결합되며, 저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 1플렌지가 용접 결합되는 강재 드럼 앵커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플렌지와 대응되는 형태의 제 2플렌지가 용접 결합되고, 연약지반층에 삽입되는 지지 말뚝 케이슨과; 상기 강재 드럼 앵커의 제 1플렌지와 상기 지지 말뚝 케이슨의 제 2플렌지에 체결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지지 말뚝 케이슨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고압전기 철탑의 다리까지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에 그라우팅 몰탈에 의해 고정된 케이슨과 고압전기 철탑의 다리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강풍과 지반 침하, 지반 거동 등에 의해 전도 현상이 발생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고압전기, 철탑, 전도, 보강, 그라우팅

Description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THE OVERTHROW PREVENTIVE CONSTRUCTION OF HIGH PRESSURE ELECTRICITY STEEL TOWER}
도 1은 일반적인 송전용 철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철탑의 보강 구조중 강재 드럼 앵커와 지지 말뚝 케이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설명>
1 : 고압전기 철탑 3 : 다리
110 : 강재 드럼 앵커 120 : 지지 말뚝 케이슨
130 : 체결 볼트 140 :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본 발명은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과 지반 침하, 지반 거동 등에 의해 전도 현상이 발생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 거주 구역에는 많은 주택이 있고, 또한 새로운 주택도 계속적으로 건 축되고 있다. 각각의 주택에는 사람들이 거주하기 때문에 사람의 거주를 위해 필요한 가전 제품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전원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각각의 주택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발전소에서 주택까지 여러 경로를 거치게 된다. 거주 지역에서 주택으로 연결되는 배전선은 전신주를 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도시를 벗어난 지역 즉, 농촌과 같은 장소는 발전소와의 거리가 멀다. 또한, 전기를 필요로 하는 곳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형태의 지형 지물이 위치하고 있어, 지형 지물을 통과하기 위해서 고압전기 철탑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고압전기 철탑(1)은 송전선로 등을 가설하기 위해 수십 미터의 지상높이로 시공되는 트러스(truss) 형태의 철제구조물로서, 자체 중량이 수십톤에서 수백톤에 이르는 고중량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철탑은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다리(3)를 가지며, 각 다리(3)의 하단이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5)에 연결됨으로써 지상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고압전기 철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반을 터파기하여 수평으로 바닥 콘크리트면을 평활하게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고, 각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에 적당한 각도로 경사지게 매설되어 상단이 노출된 메인 기둥들에 일정길이를 갖는 앵글(angle)을 소요높이까지 트러스 형태로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완성시켜 나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압전기 철탑은 강풍과 지반 침하, 지반 거동 등에 의해 전 도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인근 주택가의 단전과 같은 사고와, 전복에 의한 피해 같은 대형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그라우팅 몰탈에 의해 고정된 케이슨과 고압전기 철탑의 다리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강풍과 지반 침하, 지반 거동 등에 의해 전도 현상이 발생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트러스 구조물로,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다리를 가지며, 지상에 설치되는 고압전기 철탑의 기초 구조에 있어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원판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용접 결합되며, 저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 1플렌지가 용접 결합되는 강재 드럼 앵커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플렌지와 대응되는 형태의 제 2플렌지가 용접 결합되고, 연약지반층에 삽입되는 지지 말뚝 케이슨과; 상기 강재 드럼 앵커의 제 1플렌지와 상기 지지 말뚝 케이슨의 제 2플렌지에 체결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지지 말뚝 케이슨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고압전기 철탑의 다리까지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 말뚝 케이슨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는 몰탈 배출홀을 구비하되, 서로 이웃하는 몰탈 배출홀끼리 상호 엇갈리는 형태로 형성되 고, 제 2플렌지는 중앙부에 몰탈 주입홀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강재 드럼 앵커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면에 상기 고압전기 철탑의 다리가 용접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철탑의 보강 구조중 강재 드럼 앵커와 지지 말뚝 케이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구성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철탑의 보강 구조(100)는, 강재 드럼 앵커(110)와, 지지 말뚝 케이슨(120)과, 체결 볼트(130)와,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140)로 이루어진다.
먼저, 강재 드럼 앵커(110)는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원판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111)가 용접 결합되며, 저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 1플렌지(113)가 용접 결합된다. 여기에서, 강재 드럼 앵커(1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상면에 고압전기 철탑(1)의 다리(3)가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 말뚝 케이슨(12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 1플렌지(113)와 대응되는 형태의 제 2플렌지(121)가 용접 결합되고, 지반층에서 암반선까지 삽입된다. 여기에서, 지지 말뚝 케이슨(120)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는 몰탈 배출홀(123)을 구비하되, 서로 이웃하는 몰탈 배출홀(123)끼리 상호 엇갈리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 2플렌지(121)는 중앙부에 몰탈 주입홀(125)이 형성된다.
또한, 체결 볼트(130)는 강재 드럼 앵커(110)의 제 1플렌지(113)와 지지 말뚝 케이슨(120)의 제 2플렌지(121)에 너트(131)에 의해 체결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시킨다.
또,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140)은 지지 말뚝 케이슨(120)의 상단부로부터 고압전기 철탑(1)의 다리(3)까지 타설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철탑의 보강 구조의 설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140)이 삽입되는 깊이까지 지반의 터파기를 수행한 다음 송전용 철탑(1)의 다리(3)와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지지 말뚝 케이슨(120)을 굴착 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암반선까지 삽입한다.
그런 다음, 그라우팅 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제 2플렌지(121)에 형성된 몰탈 주입홀(125)을 통해 지지 말뚝 케이슨(120) 내부로 그라우팅 몰탈을 주입한다.
그러면, 지지 말뚝 케이슨(120)의 몰탈 배출홀(123)을 통해 그라우팅 몰탈이 지반으로 배출되어 지지 말뚝 케이슨(120)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침하 및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 말뚝 케이슨(120)의 제 2플렌지(121)와 강재 드럼 앵커(110)의 제 1플렌지(113)를 체결 볼트(130)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시킨다. 이때, 강재 드럼 앵커(1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면에는 고압전기 철탑(1)의 다리(3)가 미리 용접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런 다음, 강재 드럼 앵커(110)의 상하부를 고정시키도록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140)을 타설한다.
이후,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140)에서 노출된 다리(3)에 일정길이를 갖는 앵글(angle)을 소요높이까지 트러스 형태로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고압전기 철탑을 완성시킨다.
따라서, 고압전기 철탑의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기 전에 지반 암반선까지 케이슨을 박고, 케이슨에 그라우팅 몰탈을 주입하여 고정시키고, 케이슨과 고압전기 철탑의 다리를 앵커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시키고, 그 주변에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압전기 철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에 따르면, 지반에 그라우팅 몰탈에 의해 고정된 케이슨과 고압전기 철탑의 다리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강풍과 지반 침하, 지반 거동 등에 의해 전도 현상이 발생이 발생하 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

  1. 삭제
  2. 트러스 구조물로,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다리를 가지며, 지상에 설치되는 고압전기 철탑의 기초 구조로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원판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용접 결합되며, 저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 1플렌지가 용접 결합되는 강재 드럼 앵커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플렌지와 대응되는 형태의 제 2플렌지가 용접 결합되고, 연약지반층에 삽입되는 지지 말뚝 케이슨과;
    상기 강재 드럼 앵커의 제 1플렌지와 상기 지지 말뚝 케이슨의 제 2플렌지에 체결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지지 말뚝 케이슨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고압전기 철탑의 다리까지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말뚝 케이슨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는 몰탈 배출홀을 구비하되, 서로 이웃하는 몰탈 배출홀끼리 상호 엇갈리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플렌지의 중앙부에 몰탈 주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
  3. 삭제
KR1020070033288A 2007-04-04 2007-04-04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 KR100758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288A KR100758546B1 (ko) 2007-04-04 2007-04-04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288A KR100758546B1 (ko) 2007-04-04 2007-04-04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546B1 true KR100758546B1 (ko) 2007-09-13

Family

ID=3873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288A KR100758546B1 (ko) 2007-04-04 2007-04-04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5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35B1 (ko) 2009-12-29 2011-03-08 (주)한국에스코 고압전기 철탑의 기초 전도방지장치
KR101163293B1 (ko) * 2010-01-11 2012-07-05 이상헌 다목적 기둥 기초
CN102912811A (zh) * 2012-11-22 2013-02-06 中国水电顾问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 一种多基座的重力式基础结构
CN107859411A (zh) * 2017-10-26 2018-03-30 广州电力设计院 钢管杆雨水、凝结水集排结构及高压输电铁塔
CN109296248A (zh) * 2018-09-27 2019-02-01 深圳利都科技有限公司 一种通讯用具有光伏结构可进行照明的抗震型信号塔
KR102755008B1 (ko) 2024-08-13 2025-01-21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전도방지기능을 가지는 지주용 기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6706A (en) 1978-04-17 1979-10-24 Taihei Sakudo Kk Method of executing foundation pillar for temporarily installing structuer on snow
JPS5641935A (en) 1979-09-12 1981-04-18 Toshiba Corp Foundation bed for temporary machine
JPH01230810A (ja) * 1988-03-08 1989-09-14 Jotaro Kishi 埋設支持力を増強したスパイラル杭とスパイラル杭の埋設樹立方法
JPH0473381A (ja) * 1990-07-13 1992-03-09 Nippon Chikou Kk 自立電柱及びその建柱工法
KR200253363Y1 (ko) 2001-08-08 2001-11-22 주식회사 케이.알 지주고정기구
JP2003119801A (ja) 2001-10-09 2003-04-2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鋼管杭と構造物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200420017Y1 (ko) 2006-03-29 2006-06-30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고압전기 철탑 기초부의 앵커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6706A (en) 1978-04-17 1979-10-24 Taihei Sakudo Kk Method of executing foundation pillar for temporarily installing structuer on snow
JPS5641935A (en) 1979-09-12 1981-04-18 Toshiba Corp Foundation bed for temporary machine
JPH01230810A (ja) * 1988-03-08 1989-09-14 Jotaro Kishi 埋設支持力を増強したスパイラル杭とスパイラル杭の埋設樹立方法
JPH0473381A (ja) * 1990-07-13 1992-03-09 Nippon Chikou Kk 自立電柱及びその建柱工法
KR200253363Y1 (ko) 2001-08-08 2001-11-22 주식회사 케이.알 지주고정기구
JP2003119801A (ja) 2001-10-09 2003-04-2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鋼管杭と構造物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200420017Y1 (ko) 2006-03-29 2006-06-30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고압전기 철탑 기초부의 앵커 설치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35B1 (ko) 2009-12-29 2011-03-08 (주)한국에스코 고압전기 철탑의 기초 전도방지장치
KR101163293B1 (ko) * 2010-01-11 2012-07-05 이상헌 다목적 기둥 기초
CN102912811A (zh) * 2012-11-22 2013-02-06 中国水电顾问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 一种多基座的重力式基础结构
CN102912811B (zh) * 2012-11-22 2015-04-22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基座的重力式基础结构
CN107859411A (zh) * 2017-10-26 2018-03-30 广州电力设计院 钢管杆雨水、凝结水集排结构及高压输电铁塔
CN109296248A (zh) * 2018-09-27 2019-02-01 深圳利都科技有限公司 一种通讯用具有光伏结构可进行照明的抗震型信号塔
KR102755008B1 (ko) 2024-08-13 2025-01-21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전도방지기능을 가지는 지주용 기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546B1 (ko) 고압전기 철탑 기초 전도방지 구조
US7004683B1 (en) Helice pierhead mounting plate and bolt assembly
US9328474B2 (en) Soil anchor footing
KR101319784B1 (ko) 철탑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
CN102561384A (zh) 钢抱箍桁架式高桩承台塔吊基础的施工方法及结构
US202300919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Under-Slab Utilities From Changes in Soil Volume
KR102197261B1 (ko) 송전철탑의 내진설계가 보강된 베이스구조
JP2004011210A (ja) 風力発電施設用主塔
KR100662883B1 (ko) 송전용 철탑의 보강 구조
CN109577277B (zh) 一种壁挂式排水锚杆挡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928785B (zh) 适用于山地区域的风电阶梯型装配式基础及其装配方法
KR102156736B1 (ko) 산업단지 철탑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앙카 장치
JP7107564B2 (ja) 地下シェルター及びその設置方法
KR20120132713A (ko) 송전철탑의 분리형 콘크리트 기초대 구조
KR101019735B1 (ko) 고압전기 철탑의 기초 전도방지장치
CN105297763A (zh) 一种山区输电线路装配式柔性半掏挖基础
CN205171537U (zh) 一种山区输电线路装配式柔性半掏挖基础
CN202577316U (zh) 一种微型桩结合复合土钉墙结构
CN215715401U (zh) 一种可拆卸土钉墙结构
CN206986917U (zh) 锚栓风机基础
Tambe et al. How safe are our rural structures? Lessons from the 2011 Sikkim Earthquake
KR20130032710A (ko) 암반용 조립식 강관전주의 지지대
KR102236919B1 (ko) 태양광 판넬 구조물 지지용 콘크리트 기초
CN214943131U (zh) 预制装配式围墙
JP3172512U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架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3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