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7237B1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237B1
KR100757237B1 KR1020060136223A KR20060136223A KR100757237B1 KR 100757237 B1 KR100757237 B1 KR 100757237B1 KR 1020060136223 A KR1020060136223 A KR 1020060136223A KR 20060136223 A KR20060136223 A KR 20060136223A KR 100757237 B1 KR100757237 B1 KR 100757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parts
filter
h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활
Original Assignee
김지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활 filed Critical 김지활
Priority to KR102006013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237B1/ko
Priority to JP2009543930A priority patent/JP2010514756A/ja
Priority to CN200780048717A priority patent/CN101646423A/zh
Priority to US12/520,951 priority patent/US20100104646A1/en
Priority to PCT/KR2007/006781 priority patent/WO2008082123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23Organic compounds, e.g. fats, sug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삼 6중량부, 인삼 1중량부, 산초 7중량부, 홍화 6중량부, 당귀 12중량부, 당귀 12중량부, 천궁 8 중량부, 석류피 4중량부, 녹차잎 4중량부, 사상자 7중량부, 홍삼 1중량부, 솔잎 3중량부로 구성된 건재료와 물을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80~90℃의 온도로 3~4시간 끓여 건재료의 성분을 추출하여 실온에서 방냉하고, 냉각된 추출액에 비타민제 6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메쉬 크기의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과 큰 입자성분을 걸러낸 후 여액을 0.8㎛ 크기의 필터와 0.45㎛ 크기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미립자의 추출액을 얻고,
상기 미립자의 추출액을 콩에서 추출한 레시친 추출물과 1:1 비율로 혼합한 후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켜 레시친 추출물이 중간혼합물의 미립자를 둘러싸는 나노캡슐이 형성되도록 하여 얻어진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서, 천연한방 원료를 주재료로 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나노캡슐이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각 원료들에서 추출된 나노입자 조성물이 두피 깊숙히 침투하여 혈액순환 및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세포의 자극을 통한 세포활성화를 꾀하고, 이를통해 머리카락의 신진대사 작용을 돕고, 두피의 항산화작용을 도와 탈모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이와동시에 양모의 기능을 갖도록 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방지, 양모, 단삼, 홍화, 산초, 사상자, 천궁, 홍삼, 솔잎, 나노캡슐, 나노입자,

Description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Composite that have improvement effect vitality of hair}
도 1 은 본 발명 조성물의 나노입자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 조성물이 두피에 침투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나노입자를 보인 사진.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연한방 원료를 주재료로 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나노캡슐이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각 원료들에서 추출된 나노입자 조성물이 두피 깊숙히 침투하여 혈액순환 및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세포의 자극을 통한 세포활성화를 꾀하고, 이를통해 머리카락의 신진대사 작용을 돕고, 두피의 항산화작용을 도와 탈모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이와동시에 양모의 기능을 갖도록 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고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 한다.
이러한 주기는 3내지 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60 내지 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빠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빠지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호르몬 불균형 등 내분비계의 이상, 자율신경계, 혈액순환 불량설,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비듬균 및 기타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설, 모근의 영양 결핍, 알레르기, 세균감염,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있지 않으며, 최근들어 식생활의 변화, 사회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탈모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최근에는 샴푸, 무스, 퍼머, 염색, 드라이 열에 의한 모발과 두피손상이 커다란 탈모 원인으로 작용하여 20~30 대의 젊은 층에서도 탈모가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의 탈모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전세계적으로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여성 호르몬제, 혈행 촉진제, 비타민 E, 비타민 B2 조성물, 카로틴 용해제, 살균제 등의 약물요법과 모발 이식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미국 제약회사인 머크(Merck)사에서 시판하는 프로페시아(Propecia)는 임상 연구 결과 68% 정도의 탈모 방지효과와 복용한 군의 66% 정도에서 발모 현상을 보였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이러한 치료효과는 투여할 당시에는 그 약효과 유효하고, 약을 끊으면 몇달 후 비복용자와 같이 탈모가 다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가격이 워낙 고가여서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복용시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커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harmacia & Upjohn 사는 오래 전에 미녹시딜(Minoxidil) 제제를 개발, 혈관이완 작용을 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 약제를 복용하게되면 부작용으로 머리, 팔, 다리 등의 전신에 털이 2~4Cm 까지 자라는 것에 착안하여 바르는 발모제로 2% 미녹시딜액을 만들어 로가인(Rogaine)이란 이름으로 발매를 하였고, 최근 미녹시딜 제제의 특허가 만료되면서 다른 회사에서 유사품을 만들어 값싸게 판매하기 시작하자, 5% 액을 만들어 팔고 있다.
그러나 미녹시딜 제제는 과다 사용시 두피 건조, 홍반 등의 두피 자극 증상,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안면부 다모증과 혈관 확장 즉, 항고혈압 작용에 의한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의 부작용을 일으켜 장기 사용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설명과 같이 탈모기능을 갖는 종래의 조성물은 대부분이 통상적 탈모방지 및 발모에 충분한 효과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부적당한 농도의 호르몬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피부에 염증을 일으켜 오히려 탈모가 더욱 심해지는 등 생체 안전성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삼 6중량부, 인삼 1중량부, 산초 7중량부, 홍화 6중량부, 당귀 12중량부, 당귀 12중량부, 천궁 8 중량부, 석류피 4중량부, 녹차잎 4중량부, 사상자 7중량부, 홍삼 1중량부, 솔잎 3중량부로 구성된 건재료와 물을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80~90℃의 온도로 3~4시간 끓여 건재료의 성분을 추출하여 실온에서 방냉하고, 냉각된 추출액에 비타민제 6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메쉬 크기의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과 큰 입자성분을 걸러낸 후 여액을 0.8㎛ 크기의 필터와 0.45㎛ 크기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미립자의 추출액을 얻고,
상기 미립자의 추출액을 콩에서 추출한 레시친 추출물과 1:1 비율로 혼합한 후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켜 레시친 추출물이 중간혼합물의 미립자를 둘러싸는 나노캡슐이 형성되도록 하여 얻어진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서, 천연한방 원료를 주재료로 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나노캡슐이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각 원료들에서 추출된 나노입자 조성물이 두피 깊숙히 침투하여 혈액순환 및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세포의 자극을 통한 세포활성화를 꾀하고, 이를통해 머리카락의 신진대사 작용을 돕고, 두피의 항산화작용을 도와 탈모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이와동시에 양모의 기능을 갖도록 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의하여,
제 1 혼합물로서 단삼추출물 10 중량%, 홍화추출물 10 중량%, 산초추출물 12 중량%, 사상자 추출물 12 중량%, 천궁추출물 14 중량%, 녹차잎 추출물 6중량%, 석류추출물 6중량%, 솔잎 추출물 8 중량%, 홍삼추출물 2중량%, 인삼추출물 2중량%, 당귀추출물 18중량%를 혼합하여 구비하고, 제 2 혼합물로서 정제수 91중량%, 니코틴산아미드와 초산토코페롤로 이루어진 비타민제 9 중량%를 혼합하여 구비하며, 상기 제 1 혼합물과 제 2 혼합물을 4:6의 비율로 혼합하여 중간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중간혼합물을 100메쉬 크기의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과 큰 입자성분을 걸러낸 후 여액을 0.8㎛ 크기의 필터와 0.45㎛ 크기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미립자의 중간혼합물을 얻고,
상기 미립자의 중간혼합물을 콩에서 추출한 레시친 추출물과 1:1 비율로 혼합한 후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켜 레시친 추출물이 중간혼합물의 미립자를 둘러싸는 나노캡슐이 형성되도록 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의하여,
단삼 6중량부, 인삼 1중량부, 산초 7중량부, 홍화 6중량부, 당귀 12중량부, 당귀 12중량부, 천궁 8 중량부, 석류피 4중량부, 녹차잎 4중량부, 사상자 7중량부, 홍삼 1중량부, 솔잎 3중량부로 구성된 건재료와 물을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80~90℃의 온도로 3~4시간 끓여 건재료의 성분을 추출하여 실온에서 방냉하 고, 냉각된 추출액에 비타민제 6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메쉬 크기의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과 큰 입자성분을 걸러낸 후 여액을 0.8㎛ 크기의 필터와 0.45㎛ 크기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미립자의 추출액을 얻고,
상기 미립자의 추출액을 콩에서 추출한 레시친 추출물과 1:1 비율로 혼합한 후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켜 레시친 추출물이 중간혼합물의 미립자를 둘러싸는 나노캡슐이 형성되도록 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천연한방 원료를 주재료로 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으면서 나노입자로 제조하여 두피에 바를 경우 두피 깊숙히 침투하여 두피 내측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면서 영양을 공급하여 모세포 자극을 통한 세포활성화를 꾀하고, 이를통해 머리카락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며, 두피의 항산화작용을 도와 탈모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양모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제 1 혼합물로서 단삼추출물 10 중량%, 홍화추출물 10 중량%, 산초추출물 12 중량%, 사상자 추출물 12 중량%, 천궁추출물 14 중량%, 녹차잎 추출물 6중량%, 석류추출물 6중량%, 솔잎 추출물 8 중량%, 홍삼추출물 2중량%, 인삼추출물 2중량%, 당귀추출물 18중량%를 혼합하여 구비하고, 제 2 혼합물로서 정제수 91중량%, 니코틴산아미드와 초산토코페롤로 이루어진 비타민제 9 중량%를 혼합하여 구비하며, 상기 제 1 혼합물과 제 2 혼합물을 4:6의 비율로 혼합하여 중간혼합물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혼합물을 100메쉬 크기의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과 큰 입자성분을 걸러낸 후 여액을 0.8㎛ 크기의 필터와 0.45㎛ 크기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미립자의 중간혼합물을 얻고,
상기 미립자의 중간혼합물을 콩에서 추출한 레시친 추출물과 1:1 비율로 혼합한 후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켜 레시친 추출물이 중간혼합물의 미립자를 둘러싸는 나노캡슐이 형성되도록 하여 나노입자 조성물이 제조되는 것이다.
제 1 혼합물을 이루는 단삼추출물, 홍화추출물, 산초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천궁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석류추출물, 솔잎추출물, 홍삼추출물, 인삼추출물, 당귀추출물은 재료를 건조시킨 후 물을넣고 다려서 추출물을 채취한다.
상기 설명에서 중간혼합물을 100메쉬, 0.8㎛, 0.45㎛ 크기의 필터에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에 따라 입자 크기가 큰 이물질이 제거됨은 물론 나노크기의 작은 입자로 이루어진 각 추출물의 액기스만이 남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기스(미립자의 중간혼합물)를 레시친 추출물과 1:1의 비율 로 혼합하여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키면 레시친이 액기스 입자를 감싸는 이른바 나노캡슐을 형성하게 된다.
레시친은 콩에서 추출되는 것으로 세포간지질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상기 설명과 같이 레시친이 액기스 입자에 캡슐을 형성하게 되면 액기스를 두피에 발랐을때 두피 세포 또는 헤어 큐티클에 깊숙히 침투하게되어 액기스의 효과가 한층 더 향상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혼합물을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단삼 : 단삼은 중국이 원산지로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40~80cm이고, 전체에 털이 많이 난다. 줄기는 모나고 자줏빛을 띠며 곧게 자라고 가지를 친다. 뿌리는 붉은 색이고, 잎은 마주마고 홀잎 또는 2회 깃꼴겹잎으로 긴 잎자루가 있다. 작은잎은 1~3쌍으로 달걀 모양 또는 바소 모양이고 밑 부분이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층층이 달린다. 꽃대에 선모(腺毛)가 빽빽이 있다. 포는 줄 모양 또는 바소 모양이고 작은 꽃자루보다 짧다. 꽃받침은 길이 8~10cm 의 통(筒) 모양이고 자줏빛이 돈다. 화관은 입술 모양이고 길이가 2~2.5cm이며, 아랫입술꽃잎이 3갈래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 중 가운데 것이 가장 길고 끝이 파지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수술은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는 2~3개의 소견과이고, 둥근 달걀 모양이다. 뿌리는 특이한 냄새가 나고 약간 쓴맛이 나는데 한방에서 약재로 쓴다. 여성의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 복통에 사용되고, 어혈성의 심복부동통과 타박상을 치료하며, 불면증 피부발진 등에 사용한다.
* 천궁 : 천궁은 중국이 원산지이며 약용실물로 재배한다. 높이 30~60cm이며 속이 비어있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회 3회 깃꼴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8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5개이고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며 줄 모양이다.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는다. 땅속에 있는 마디 사이는 길이 5~10cm, 지름 3~5cm의 덩어리처럼 생기고 강한 향기가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진정, 진통, 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주인병 등에 사용한다. 방향성 식물이며 민간에서는 좀을 예방하기 위해 옷장에 넣어둔다. 죽어가는 소나무 뿌리에 천궁 삶은 물을 주면 나무가 회생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세포회생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 산초 : 산초는 천초, 향초자, 야초, 향초유, 분지나무, 분디나무, 민산초나무, 상초, 애초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운행과의 낙엽관목으로서 높이가 3m 내외이며, 잔가지에 가시가 많다. 잎은 기수일회우상복엽(奇數一回羽牀複葉)이며, 잔잎은 1~21개이고, 타원형 피침형으로 끝이 좁아지면서 요두(凹頭)로 끝난다. 잎의 길이는 1.5~5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파도모양의 잔톱니가 있고 엽축(葉軸)에 가시가 있다.
8~9월에 꽃이 피는데 꽃은 연한 녹색이며 향기가 없고 가지나 줄기 끝에 나는 길이 5~10cm의 산방화서(山房化序)에 달린다. 10월에 삭과가 여무는데 삭과는 녹갈색이고 검은색의 종자가 들어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린줄기와 새싹 잎을 덜익은 과실과 함께 장채(醬菜)를 하여 먹었으며 과실은 짜내어 점등료(點燈料) 및 향미료(香味料)로 널리 쓰인다.
산초는 공업용, 밀원용, 약용으로 쓰이고 민간요법으로는 열매나 나무껍질, 잎을 말려 가루로 내어 밀가루와 초(酢)로 반죽하여 튼튼한 종이나 헝겁에 펴 바르면 유선염과 종기, 타박상에 좋으며, 치질에는 산초의 어느 부분이든지 달인물로 씻으면 효과가 있고 뿌리는 불에 태워 소말(燒末)로 하여 쓰기도 한다. 달인물을 마시면 두통과 기침을 멈추게 하며 입에 물고 있으면 충치의 아픔도 멈춘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탕을 끓이거나 욕탕에 넣어 사지슬통(四肢膝痛)을 제거하는 데 쓰이고 풍한습비(風寒濕痺)에도 좋으며 또 산초는 온성인 자극성 살충 살균제이며 건위, 구풍, 해응(解凝), 이뇨작용이 있다고 하며, 열매, 나무껍질, 잎 등을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더욱 졸여 엿과 같이 만든다음 이것을 작은 스푼으로 한 스푼씩 1일 3회 복용하면 부종에도 효과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찰에서는 10월에 약간 덜 여문 열매를 채취하여 간장을 여러번 끓여 부어 오래보관하면서 먹을 수 있는 산초간장을 밑반찬으로 해마다 담근다. 특히 죽반찬으로 산초간장이 일품이다.
* 홍화 : 홍화는 예로부터 자연색소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뼈가 부러진데 신비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금속인 백금(Pt)은 사람이나 동물에 치명적인 독이 될 수 있는데 홍화씨에 들어있는 유기백금은 항암작용이 뛰어나고 골절, 다공증을 치료하며, 사람의 수명을 늘리는 등 놀라운 약성을 지니고 있다.
홍화유의 주성분은 리놀산(Linoleicacid)과 유산(glyceride)인데, 노화를 억제하는 비타민 E 도 90ml 나 들어있다. 또한 홍화는 약성이 따뜻하며 피를 다스리므로 어혈, 통경약으로 쓰고 있다. 꽃은 본디 파혈(破血)하나 동시에 생혈(生血), 보혈(補血)한다.
이러한 홍화 추출물을 두피에 바를경우 혈액순환을 개선시킨다.
* 당귀(當歸) : 당귀는 산과 들에 자라며 재배하기도 한다. 잎과 줄기는 이른 봄에 나물로 먹기도 하며 뿌리를 캐어 말려서 약으로 쓴다. 살이 많고 여위지 않은 것이 약효가 좋다.
당귀는 모든 풍병, 혈병, 허로를 낮게하고 굳은 피를 헤치고 새피가 생겨나게 한다. 가슴에 무언가 맺혀있는 증상과 부인의 탈질, 임신 못하는 증상에 좋으며 여러가지 나쁜 염증과 쇠붙이에 다쳐서 어혈이 뭉친 것을 낫게 하고 이질로 배가 아픈증상과 추웠다 더웠다하는 증상을 낫게 하고 오장을 보하며 살이 살아나게 한다. 당귀의 머리 부분을 쓰면 어혈을 헤치고 잔뿌리를 쓰면 출혈이 멈춘다. 만일 전체를 쓰면 한편으로 피를 헤치고, 한편으로 피가 멈추므로 피를 고루게 한다. 당귀는 보혈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가장 흔히 쓰이는 약재라 할 수 있다.
이런 당귀를 두피에 바를경우 두피 내부의 혈액순환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 석류 : 석류는 지름 6~8cm에 둥근 모양이다. 단단하고 노르스름한 껍질이 감싸고 있으며, 과육 속에는 많은 종자가 있다. 먹을 수 있는 부분이 약 20% 인데, 과육은 새콤달콤한 맛이 나고 껍질은 약으로 쓴다. 종류는 단맛이 강한 감과와 신맛이 강한 산과로 나뉜다. 원산지는 서아시아와 인도 서북부 지역이며 한국에는 고려초기에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중부와 남부지방에서 정원수와 과수로 재배한다.
주요성분은 당질(포도당. 과당)이 약 40%를 차지하며 유가산으로는 새콤안 맛을 내는 시트르산이 약 1.5% 들어있다. 수용성 비타민(B1,B2,아니아신)도 들어있으나 양은 적다. 껍질에는 타닌, 종자에는 갱년기 장애에 좋은 천연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들어 있다.
열매와 껍질 모두 고혈압. 동맥경화 예방에 좋으며, 부인병, 부스럼에 효과가 있다.. 특히 이질에 걸렸을대 약효가 뛰어나고 휘발성 알카로이드가 들어있어 기생충, 특히 촌충 구제약으로 쓴다. 과즙은 빛깔이 고와 과일주를 담그거나 농축과즙을 만들어 음료나 과자를 만드는데 쓴다. 올리브유와 섞어 변비에 좋은 오일을 만들기도 한다.
녹차잎 : 녹차입은 그 성분 중 epicatechin-3-gallate 와 epigallocatechin-3-gallate 가 5알파 recuctase 효소를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녹차 잎에서 추출한 카테친(Catechins) 성분이 항안드로겐 특성을 가짐으로 해서 탈모방지에 효능이 있다는 미국 시카고 대학의 연구가 발표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탄닌성분인 카테친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모발이 빠지거나 탈색되는 것은 체내 섭취된 불포화 지방산이 산화되어 생기는 과산화지질이 세포조직속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일어나는데, 녹차잎에 들어있는 카테친은 비타민C 가 항산화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과산화지질을 억제하여 노화를 억제한다. 또한 녹차는 알카리성 무기질, 비타민B군과 C군을 함유한 것으로 피부의 탄력을 주며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저해하여 피부를 곱게한다.
이러한 녹차잎 추출물을 두피에 바르게 되면 모근의 항산화력을 높여주게 된다.
* 인삼 : 인삼에는 사포닌 글리코시드(사포닌배당체)인 긴세노사이드류, 스테로이드, 비타민 B군, 콜린등이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한방에서 인정되고 있는 인삼의 약효를 요약하면 강장, 강심, 건위, 보정, 진정, 자양등의 약으로 사용되고 위장등의 기능 쇠약에 의한 물질대사 기능의 저하에 부활제로 사용된다.
따랏, 인삼추출물을 두피에 바르게되면 두피 내의 세포중 쇠약한 세포의 활성에 기여하게 된다.
* 사상자 : 사상자는 뱀도랏이라고도 한다. 풀밭에서 자라며, 높이 30~70cm이다. 전체에 눈털이 나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 2회 깃꼴로 갈라지며 길이 5~10cm 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의 밑부분은 잎집처럼 원줄기를 감싼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바소꼴이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희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복산형꽃차례(複傘刑花序)로 달린다. 소산경(小傘梗)은 5~9개이며, 길이 1~3cm로서 각 6~20개의 꽃이 달린다. 총포는 4~8개이고 줄 모양이며 길이 1cm 정도이고, 작은 총포는 줄 모양이며, 작은꽃자루에 붙는다. 열매는 분열과로서 달걀 모양이며 길이 2.5~4mm 이다. 4~10개씩 달리고 짧은 가시 같은 털이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열매는 수렴제, 소영제, 살충제 등으로 쓴다.
* 홍삼 :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項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적응소(適應素))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柄),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홍삼추출물을 두피에 발라줄경우 모근세포가 스트레스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갖게됨은 물론 조혈작용에 의해 혈액순환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게된다.
* 솔잎 : 동의보감에서는 솔잎을 오랫동안 생식하면 늙지 않고 원기가 왕성해지며 머리가 검어지고 추위와 배고픔도 모른다고 기재하고 있다. 향약집성방에서는 솔잎 적당량을 좁쌀처럼 잘게 썰어 보드랍게 갈아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힘이 속으며 추위를 타지 않는다는 효능을 소개하고 있다.
솔잎 성분 가운데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이 공기중으로 날아가버리는 휘발성 성분인 테르펜(terpene)이다. 현재 솔잎의 테르펜은 밝혀진 것만 40종이 넘는다. 가장 많은 성분은 알파-피넨, 베타-피넨, 베타-펠란드렌, 베타-카료필렌, 미르센, 캄페인, 알파-테르피놀렌 등이다. 활엽수도 저마다 독특한 테르펜을 갖지만 침엽수가 훨씬 풍부한 테르펜을 가지고 있다. 한방적으로는 솔잎은 맛이 쓰지만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으며, 주로 심경과 비경에 작용한다. 최근의 중국과 북한의 약리 실험에서는 생체조직의 산화환원과정의 촉진 작용, 수렴성 염증 없애기작용, 피멈춤작용 등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따라 솔잎추출물을 두피에 바를경우 생체조직의 산화환원 촉진 기능에 의해 두피 내의 세포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혼합물을 이루는 단삼, 홍화, 산초, 사상자, 천궁, 녹차잎, 석류, 솔잎, 홍삼, 인삼, 당귀 등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제 2 혼합물을 이루는 비타민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영상성분이므로 추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 제 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단삼 6중량부, 인삼 1중량부, 산초 7중량부, 홍화 6중량부, 당귀 12중량부, 당귀 12중량부, 천궁 8 중량부, 석류피 4중량부, 녹차잎 4중량부, 사상자 7중량부, 홍삼 1중량부, 솔잎 3중량부로 구성된 건재료와 물을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80~90℃의 온도로 3~4시간 끓여 건재료의 성분을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실온에서 방냉시킨다.
냉각된 추출액에 비타민제 6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메쉬 크기의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과 큰 입자성분을 걸러낸 후 여액을 0.8㎛ 크기의 필터와 0.45㎛ 크기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미립자의 추출액을 얻는다.
그리고, 상기 미립자의 추출액을 콩에서 추출한 레시친 추출물과 1:1 비율로 혼합한 후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켜 레시친 추출물이 중간혼합물의 미립자를 둘러싸는 나노캡슐이 형성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조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나노입자 조성물이 두피 내의 모근에 침투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모근에 붙어있는 나노입자 조성물은 미립화된 한방추출액을 레시친이 감싸고 있는 이른바 나노캡슐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 조성물을 두피에 발랐을때 나노입자 조성물이 두피세포 깊숙히 침투하는 현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 조성물은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두피에 발랐을때 피부 깊숙히 침투하여 혈액순환을 개선시킴은 물론 혈액순환 및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세포의 자극을 통한 세포활성화를 꾀하고, 이를통해 머리카락의 신진대사 작용을 돕고, 두피의 항산화작용을 도와 탈모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이와동시에 양모가 촉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3 (a)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동결건조시켜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3 (b)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 조성물의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3 (a)의 사진과 같이 본 발명의 나노입자 조성물은 나노캡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 나노입자의 크기는 도 3 (b)와 같이 5~50 nm(나노미터)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단삼 6중량부, 인삼 1중량부, 산초 7중량부, 홍화 6중량부, 당귀 12중량부, 당귀 12중량부, 천궁 8 중량부, 석류피 4중량부, 녹차잎 4중량부, 사상자 7중량부, 홍삼 1중량부, 솔잎 3중량부로 구성된 건재료와 물을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80~90℃의 온도로 3~4시간 끓여 건재료의 성분을 추출하여 실온에서 방냉하고, 냉각된 추출액에 비타민제 6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메쉬 크기의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과 큰 입자성분을 걸러낸 후 여액을 0.8㎛ 크기의 필터와 0.45㎛ 크기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미립자의 추출액을 얻고,
상기 미립자의 추출액을 콩에서 추출한 레시친 추출물과 1:1 비율로 혼합한 후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켜 레시친 추출물이 중간혼합물의 미립자를 둘러싸는 나노캡슐이 형성되도록 하여 얻어진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서, 천연한방 원료를 주재료로 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나노캡슐이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각 원료들에서 추출된 나노입자 조성물이 두피 깊숙히 침투하여 혈액순환 및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세포의 자극을 통한 세포활성화를 꾀하고, 이를통해 머리카락의 신진대사 작용을 돕고, 두피의 항산화작용을 도와 탈모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이와동시에 양모의 기능을 갖도록 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제 1 혼합물로서 단삼추출물 10 중량%, 홍화추출물 10 중량%, 산초추출물 12 중량%, 사상자 추출물 12 중량%, 천궁추출물 14 중량%, 녹차잎 추출물 6중량%, 석류추출물 6중량%, 솔잎 추출물 8 중량%, 홍삼추출물 2중량%, 인삼추출물 2중량%, 당귀추출물 18중량%를 혼합하여 구비하고, 제 2 혼합물로서 정제수 91중량%, 니코틴산아미드와 초산토코페롤로 이루어진 비타민제 9 중량%를 혼합하여 구비하며, 상기 제 1 혼합물과 제 2 혼합물을 4:6의 비율로 혼합하여 중간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중간혼합물을 100메쉬 크기의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과 큰 입자성분을 걸러낸 후 여액을 0.8㎛ 크기의 필터와 0.45㎛ 크기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미립자의 중간혼합물을 얻고,
    상기 미립자의 중간혼합물을 콩에서 추출한 레시친 추출물과 1:1 비율로 혼합한 후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켜 레시친 추출물이 중간혼합물의 미립자를 둘러싸는 나노캡슐이 형성되도록 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2. 단삼 6중량부, 인삼 1중량부, 산초 7중량부, 홍화 6중량부, 당귀 12중량부, 당귀 12중량부, 천궁 8 중량부, 석류피 4중량부, 녹차잎 4중량부, 사상자 7 중량부, 홍삼 1중량부, 솔잎 3중량부로 구성된 건재료와 물을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80~90℃의 온도로 3~4시간 끓여 건재료의 성분을 추출하여 실온에서 방냉하고, 냉각된 추출액에 비타민제 6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메쉬 크기의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과 큰 입자성분을 걸러낸 후 여액을 0.8㎛ 크기의 필터와 0.45㎛ 크기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미립자의 추출액을 얻고,
    상기 미립자의 추출액을 콩에서 추출한 레시친 추출물과 1:1 비율로 혼합한 후 1000bar 압력상태인 고압균질기에 통과시켜 레시친 추출물이 중간혼합물의 미립자를 둘러싸는 나노캡슐이 형성되도록 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KR1020060136223A 2006-12-28 2006-12-28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75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223A KR100757237B1 (ko) 2006-12-28 2006-12-28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JP2009543930A JP2010514756A (ja) 2006-12-28 2007-12-24 脱毛予防及び発毛促進のためのナノ粒子組成物
CN200780048717A CN101646423A (zh) 2006-12-28 2007-12-24 用于防止脱发和促进头发生长的纳米颗粒组合物
US12/520,951 US20100104646A1 (en) 2006-12-28 2007-12-24 Nanoparticle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hair loss and promotion of hair growth
PCT/KR2007/006781 WO2008082123A1 (en) 2006-12-28 2007-12-24 Nanoparticle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hair loss and promotion of hair grow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223A KR100757237B1 (ko) 2006-12-28 2006-12-28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237B1 true KR100757237B1 (ko) 2007-09-10

Family

ID=3873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2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7237B1 (ko) 2006-12-28 2006-12-28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04646A1 (ko)
JP (1) JP2010514756A (ko)
KR (1) KR100757237B1 (ko)
CN (1) CN101646423A (ko)
WO (1) WO200808212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39B1 (ko) 2010-11-25 2013-03-26 아쿠아그린텍(주) 디에콜을 함유하는 감태 추출물 또는 감태 유래 디에콜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536996B1 (ko) * 2014-01-22 2015-07-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모성분이 탑재되고 피부 온도 감응성을 나타내는 이온성 고분자가 고정화된 지능형 지질 나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6696A (ko) * 2017-10-26 2019-05-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507972B1 (ko) * 2022-06-03 2023-03-09 (주)유알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32432B1 (ko) * 2022-06-03 2023-05-16 (주)유알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5782A1 (en) * 2009-05-25 2010-12-01 Keune Haircosmetics Manufacturing B.V.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and method of preparation
KR101233910B1 (ko) * 2010-04-07 2013-02-18 고인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EP2627309A2 (en) * 2010-10-15 2013-08-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Use of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to improve epithelial biology
WO2012091440A2 (en) * 2010-12-30 2012-07-05 Lg Life Sciences Ltd. Composition for improvement, treatment and prevention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MX2013015434A (es) 2011-06-22 2014-10-14 Vyome Biosciences Pvt Ltd Profarmacos antifungicos y antibacterianos a base de conjugado.
EP3003031A1 (en) 2013-06-04 2016-04-13 Vyome Biosciences Pvt Ltd Coated particl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FR3036955A1 (fr) * 2015-06-03 2016-12-09 Jean Paul Djian Kit de densification, de stabilisation et de maintien de la pousse de cheveux
KR102475127B1 (ko) * 2015-09-30 2022-12-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44259B1 (ko) * 2016-07-05 2019-01-30 농업회사법인지에프엔주식회사 천연소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CN108042413A (zh) * 2017-11-30 2018-05-18 赵茹伊 一种洗发水
JP7112208B2 (ja) * 2018-02-28 2022-08-03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CN109260437A (zh) * 2018-11-12 2019-01-25 河南聚美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乌发中药擦剂及其制备方法
CN111110721A (zh) * 2020-01-19 2020-05-08 朱炜 一种毛发防脱再生的复合制剂及其使用方法
CN114366707A (zh) * 2022-02-23 2022-04-19 山东大学 具有养发育发功效的中草药活性物@囊泡复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4225320A1 (ja) * 2023-04-28 2024-10-31 Med R&D株式会社 活力向上剤、活力向上用組成物、及び活力向上用食品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30A (ko) * 2004-01-02 2005-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9763A (ko) * 2005-04-18 2006-10-23 (주)파워모코리아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216A (ja) * 1996-08-30 1998-03-17 Kinya Adachi アルミニウム、ガリウム、インジウム、タリウム、アンチモン、ビスマスイオンを可動種とする新規な固体電解質
KR100258419B1 (ko) * 1997-11-03 2000-07-01 한승희 탈모를예방하는모발용화장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EP1435899B1 (en) * 2001-09-28 2009-03-11 LG Household &amp; Health Care Ltd. A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KR100675808B1 (ko) * 2005-03-24 2007-01-29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헤나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파티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나노파티클의 제조방법
KR20060121424A (ko) * 2005-05-24 2006-11-29 박형문 발모촉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79775A (ko) * 2006-06-07 2006-07-06 (주)퓨어마린 나노 캡슐화 된 측백나무·후박나무추출물이 함유된여성청결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30A (ko) * 2004-01-02 2005-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9763A (ko) * 2005-04-18 2006-10-23 (주)파워모코리아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39B1 (ko) 2010-11-25 2013-03-26 아쿠아그린텍(주) 디에콜을 함유하는 감태 추출물 또는 감태 유래 디에콜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536996B1 (ko) * 2014-01-22 2015-07-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모성분이 탑재되고 피부 온도 감응성을 나타내는 이온성 고분자가 고정화된 지능형 지질 나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6696A (ko) * 2017-10-26 2019-05-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9083287A3 (ko) * 2017-10-26 2019-07-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06712B1 (ko) * 2017-10-26 2020-05-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11904038B2 (en) 2017-10-26 2024-02-2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development, comprising phellandrene as active ingredient
KR102507972B1 (ko) * 2022-06-03 2023-03-09 (주)유알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32432B1 (ko) * 2022-06-03 2023-05-16 (주)유알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방법
WO2023234466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유알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방법
KR20230168111A (ko) * 2022-06-03 2023-12-12 (주)유알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740991B1 (ko) * 2022-06-03 2024-12-10 (주)유알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14756A (ja) 2010-05-06
CN101646423A (zh) 2010-02-10
US20100104646A1 (en) 2010-04-29
WO2008082123A1 (en)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23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JP4912411B2 (ja)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Vardhana Direct uses of medicinal plants and their identification
KR100870253B1 (ko) 샴푸
JP5646117B2 (ja) 発毛促進剤及び製造方法
MX2009001324A (es) Estimulante del crecimiento del cabello y metodo para la preparacion del mismo.
Phillips The book of herbs: An illustrated AZ of the world's most popular culinary and medicinal plants
Meuninck Medicinal plants of North America: a field guide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Shaikh et al. Medicinal Flora of Poona College
Haghighi et al. The introduction of extinct endemic vegetables of Iran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53863B1 (ko) 탈모방지 및 양모 활성 보조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5003307A1 (zh) 一种促进生发中药制剂及制备方法
KR20110020691A (ko)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2819B1 (ko)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한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Ilyina et al. Alimentary and medicinal plants in functional nutrition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Mobale et al. A review on some wound healing plants traditionally used in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Dougnon et al. Treatment of urinary tract infections with medicinal plants: Monographs of some plants species revealed by traditherapists
KR102256711B1 (ko)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Manolova Natural pharmacy
KR100773421B1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63826B1 (ko) 한방 재료로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7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57237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9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9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