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6449B1 -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449B1
KR100756449B1 KR1020060043932A KR20060043932A KR100756449B1 KR 100756449 B1 KR100756449 B1 KR 100756449B1 KR 1020060043932 A KR1020060043932 A KR 1020060043932A KR 20060043932 A KR20060043932 A KR 20060043932A KR 100756449 B1 KR100756449 B1 KR 10075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lamp
refrigerator door
opened
light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449B1/ko
Priority to US11/747,439 priority patent/US7670018B2/en
Priority to JP2007130697A priority patent/JP512884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449B1/ko
Priority to US12/330,592 priority patent/US20090097227A1/en
Priority to US12/330,582 priority patent/US20090097226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냉장고 내에 구비되는 램프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 내에 보관되는 식품 종류에 따라 상이한 색상을 갖는 LED램프가 구비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LED램프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냉장고 도어가 미개방시에는 LED램프를 정상 구동시켜 일정 파장을 갖는 광원을 식품에 직접 조사하도록 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LED램프를 오프시킨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LED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원 세기를 감소시키고 다시 도어가 미개방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가 개방될 때 식품 신선도를 위해 광원을 조사하는 LED램프가 오프되거나 광원 세기가 감소되기 때문에, 사용자 눈에 직접 광원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냉장고, 식품 신선도, LED램프, 광원.

Description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 lamp in refrigerator inner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냉장고 내에 식품 종류별로 램프가 장착된 실시 예 도면.
도 2는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램프의 광원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상태를 보인 실시 예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3에 따라 냉장고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램프 구동상태를 보인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도 5에 따라 냉장고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램프 구동상태를 보인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6,7 : 적색/녹색/황색 LED 램프
8 : 냉장고 도어 10 : 감지부
20 : 제어부 30 : 스위치
40 : 디밍 모듈
본 발명은 냉장고 내에 설치된 램프 제어동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램프가 도어 개폐에 따라 오프(off) 또는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신선도 개선을 위해 제공된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식품 등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냉장고와 같은 저장고가 이용된다. 그런데 이 경우 냉장고 내에는 각기 다른 식품의 냄새가 혼합되어 악취 및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거나, 미생물 및 세균의 번식으로 인하여 식품이 쉽게 변질 또는 부패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이 상하거나 맛이 변질되어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없고, 또한 도어를 열면 악취 및 유해가스등이 유출되어 불쾌감이 유발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냉장고 내의 신선도를 향상시켜 식품을 오래 보관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 등이 적용되고 있다.
통상, 식품은 각기 다른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활성산소나 자외선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체내에서 생성하지 못하는 각종 필수 영양분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식품은 그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관이 필수적이었다. 이에, 식품별로 좋아하는 빛의 색상을 식품에 직접 조사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방안이 냉장고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이 식품별로 적절한 색상을 조사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냉장고 내에 식품 종류별로 램프가 장착된 실시 예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1) 내의 식품 저장부(1')에 저장되는 야채(2), 과일(3), 김치(4) 등과 같은 식품에 대하여 식품별로 좋아하는 색상을 조사하도록 하나 이상의 램프(5)(6)(7)가 장착된다. 상기 램프(5)(6)(7)는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LED 램프가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LED램프(5)(6)(7)는 상기 식품별로 좋아하는 색상을 조사하도록 다른 색상을 갖는 램프이다. 예컨대, 야채(2)는 적색 광원파장에 의해 가장 적절하게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적색 LED 램프(5)가 채용된다. 또한 과일(3)은 녹색 광원파장에 의해 가장 적절하게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녹색 LED램프(6)가 채용된다. 또한 김치(4) 등의 식품은 황색 광원파장에 의해 가장 적절하게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황색 LED램프(7)가 채용된다. 물론, 상기 LED램프의 색상은 식품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1) 내에 식품별로 각각 다른 색상을 조사할 수 있는 램프(5)(6)(7)가 장착되고, 그 램프(5)(6)(7)로부터 식품(2)(3)(4)에 직접 조사되는 광원의 파장에 의해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시켰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상기 램프(5)(6)(7)가 장착된 냉장고 도어(8)를 개방하였을 때 램프(5)(6)(7)의 광원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순간적 눈부심으로 인하여 가시 확보가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램프(5)(6)(7)는 냉장고 도어(8)가 닫혀있을 때 냉장고(1) 내의 식품(2)(3)(4)에 직접 조사하여 신선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냉장고 도어(8)가 열렸을 때에도 계속 온 구동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장착된 램프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장착된 램프의 광원세기를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는, 냉장고 도어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램프 구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 수단을 단속 제어하여 상기 램프 구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는, 냉장고 도 어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램프 구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량을 감소하는 디밍 수단과,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디밍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원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미개방시 램프의 정상적인 구동여부를 확인하는 동작램프가 상기 냉장고 외측에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램프는 식품 종류별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식품 종류별로 제공된 동일 색상의 램프도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방법은, 냉장고 도어 개폐 감지 단계와, 상기 냉장고 도어 개방시 램프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방법은, 냉장고 도어 개폐 감지 단계와,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원 세기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장고 도어 미개방시 상기 램프는 정상적인 광원 세기를 조사하여 동작한다.
상기 냉장고 도어 개방시 상기 조사되는 광원 세기가 상기 램프별로 다르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을 이용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장고에 구비된 램프가 그 냉장고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제어되 기 때문에, 도어 개방시에 사용자의 눈이 램프 광원으로부터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따라 냉장고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램프 구동상태를 보인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설명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8)가 미개방시 냉장고 내의 식품 저장부(1')에 보관된 식품을 조사하도록 상기 냉장고 도어(8)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LED램프(5)(6)(7)가 구비된다. 상기 LED램프(5)(6)(7)는 식품 종류별로 서로 상이한 색상을 조사하는 LED 램프이며, 냉장고 식품 저장부(1')의 용량에 따라 동일한 색상을 갖는 LED램프가 복수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품 저장부(1')에 저장되는 식품인 야채(2), 과일(3), 김치(4) 종류에 따라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인 적색 LED램프(5), 녹색 LED램프(6), 황색 LED램프(7)가 대응되어 제공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8)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10)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LED램프(5)(6)(7)의 온/오프 구동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30)는 각 LED 램프(5)(6)(7)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LED램프별로 각각 온/오프하 기 위한 스위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스위치(30)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0)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30)가 개폐되는바, 상기 스위치(30)는 기본적으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물리적인 스위치, 계전지(Relay), 트랜지스터(TR) 등 다양한 스위칭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LED램프(5)(6)(7)의 정상 동작 유무를 냉장고 도어가 닫혔을 때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동작램프(미도시)가 상기 냉장고 외부의 소정 개소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 위치는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면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냉장고 전원 인가에 따라 전반적인 냉장고 기능이 수행됨과 아울러 상기 냉장고 도어(8)가 미개방된 상태이면 상기 식품 저장부(1')와 대응되어 냉장고 도어(8) 내측에 구비된 복수의 LED램프(5)(6)(7)도 동작된다(도 4의 A, C, E 부분). 상기 LED램프(5)(6)(7) 동작은 제어부(20)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30)가 온 상태에서 실시된다.
상기 식품 저장부(1')에 저장된 식품 종류별로 각각 대응되어 구비된 LED램프(5)(6)(7)가 동작하면 그 LED램프(5)(6)(7)로부터 직접 조사되는 광원에 의해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LED램프(5)(6)(7)는 식품 종류별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고서 광원을 조사하기 때문에 그 식품별로 신선도를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다(도 4의 B', D'시점). 그러면 상기 감지부(10)는 냉장고 도어(8) 개방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LED램프(5)(6)(7)와 연결된 스위치(30)를 오프시킨다.
상기 스위치(30) 오프에 따라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LED램프(5)(6)(7)도 오프되어 광원 조사가 중단된다(도 4의 B 및 D부분). 즉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8)를 개방하면 이를 감지하여 LED 램프(5)(6)(7)의 구동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LED램프(5)(6)(7)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30)는 모든 LED램프(5)(6)(7)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며 그 스위치(30) 오프로 인하여 모든 LED램프(5)(6)(7)를 오프시키게 된다. 만일, 복수개의 상기 LED램프(5)(6)(7)들에 대해 각각 스위치가 구비된 상태인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LED램프(5)(6)(7)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냉장고 도어(8)를 개방했을 때 사용자 눈에 직접 조사하기 어려운 위치에 구비된 LED램프는 계속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냉장고 도어(8)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힌지부측에 구비된 LED램프는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사용자 눈에 미치는 영향이 작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그 해당되는 LED램프를 계속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8)가 개방되기만 하면 LED램프(5)(6)(7)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광원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눈부심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따라 냉장고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램프 구동상태를 보인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냉장고 도어(8) 개방시에 LED램프(5)(6)(7)의 광원 세기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디밍모듈(40)이 구비된다. 즉 제 1 실시 예의 스위칭 수단 대신에 디밍회로(Dimmer)가 구비된 디밍모듈(40)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디밍모듈(40)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LED램프(5)(6)(7)의 광원 세기를 제어하도록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모든 LED램프(5)(6)(7)의 광원 세기를 제어하도록 하나의 디밍모듈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외에 상기 LED램프(5)(6)(7)에 디밍회로가 일체로 구비되어 광원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8)의 개방을 감지하는 감지부(10)의 감지신호에 따라 디밍모듈(40)을 제어하여 LED램프(5)(6)(7)의 광원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20)의 구성은 제 1 실시 예와 유사하다.
이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냉장고 전원 인가에 따라 전반적인 냉장고 기능이 수행됨과 아울러 상기 식품 저장부(1')와 대응되어 냉장고 도어(8) 내측에 구비된 복수의 LED램프(5)(6)(7)도 동작된다(도 6의 F, H, J부분). 상기 LED램프(5)(6)(7) 동작은 상기 냉장고 도어(8)가 미개방 상태일 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식품 저장부(1')에 저장된 식품 종류별로 각각 대응되어 구비된 LED램프(5)(6)(7)가 동작하게 되고 그 LED램프(5)(6)(7)로부터 직접 조사되는 광원에 의해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다(도 6의 G', I'시점). 그러면 상기 감지부(10)는 냉장고 도어 (8)개방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디밍모듈(40)을 온 구동시킨다. 상기 디밍모듈(40)이 온 구동되면 상기 LED램프(5)(6)(7)의 광원 세기가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디밍모듈(40)은 냉장고 도어(8) 개방시에 제어부(20)의 제어동작에 따라 LED램프(5)(6)(7)로 인가되는 전원을 감소시켜 실질적으로 광원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광원 세기가 감소되는 G 및 I부분은 실질적으로 냉장고 도어(8)의 개방된 시간에 따라 비례하여 감소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8) 개방이 장시간 계속 되는 경우에는 광원 세기가 서서히 감소되어 오프상태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고 도어(8)가 계속 개방되더라도 상기 광원 세기가 일정 레벨 이하로 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디밍모듈(40)은 냉장고 도어(8) 개방이 감지되는 시점에 저항 세기를 증가시켜 전원공급을 조절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된다.
일단, 냉장고 도어(8) 개방과 함께 제어부(20) 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디밍모듈(40)에 의해 광원 세기가 감소되도록 조절되면, 사용자가 직접 느끼는 눈부심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냉장고 도어(8)가 닫히게 되면(도 6의 H', J' 시점), 상기 제어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고 전원을 재 공급하여 상기 LED램 프(5)(6)(7)를 정상적으로 온 구동한다.
여기서,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디밍모듈(40)도 LED램프 개수에 비례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냉장고 도어(8)를 개방했을 때 사용자 눈에 직접 조사하기 어려운 위치에 구비된 LED램프의 광원 세기의 감소량을 다른 LED램프의 광원 감소량보다 차이가 작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LED램프의 광원 세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냉장고 내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냉장고 도어 내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LED램프의 동작을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 시키거나 광원 세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냉장고 도어 개방시에 LED램프가 사용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눈부심 현상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는 LED램프가 오프되기 때문에 전력량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삭제
  2. 냉장고 도어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램프 구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량을 감소하는 디밍 수단과, 그리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디밍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원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미개방시 램프의 정상적인 구동여부를 확인하는 동작램프가 상기 냉장고 외측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4. 삭제
  5. 삭제
  6. 냉장고 도어 개폐 감지 단계와,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면 하나 이상의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원 세기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 개방시 상기 램프별로 광원 세기가 상이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방법.
KR1020060043932A 2006-05-16 2006-05-16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Active KR10075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32A KR100756449B1 (ko) 2006-05-16 2006-05-16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US11/747,439 US7670018B2 (en) 2006-05-16 2007-05-11 Illumin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7130697A JP5128846B2 (ja) 2006-05-16 2007-05-16 冷蔵庫の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御方法
US12/330,592 US20090097227A1 (en) 2006-05-16 2008-12-09 Illumin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2/330,582 US20090097226A1 (en) 2006-05-16 2008-12-09 Illumin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32A KR100756449B1 (ko) 2006-05-16 2006-05-16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449B1 true KR100756449B1 (ko) 2007-09-07

Family

ID=3873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932A Active KR100756449B1 (ko) 2006-05-16 2006-05-16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4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2510A3 (en) * 2007-11-22 2011-01-05 Sanyo Electric Co., Ltd. Showcase
CN103017477A (zh) * 2013-01-05 2013-04-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
KR20180091701A (ko) * 2016-01-04 2018-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044A (ja) * 1994-03-28 1995-10-20 Toshiba Corp 冷蔵庫
KR19980068380A (ko) * 1997-02-19 1998-10-15 김광호 냉장고 고내램프의 점소등 제어장치
JP2003343971A (ja) * 2002-05-23 2003-12-03 Toshiba Corp 冷蔵庫
KR20040067549A (ko) * 2003-01-24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5065622A (ja) * 2003-08-26 2005-03-17 Mbr:Kk 野菜保存用照射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044A (ja) * 1994-03-28 1995-10-20 Toshiba Corp 冷蔵庫
KR19980068380A (ko) * 1997-02-19 1998-10-15 김광호 냉장고 고내램프의 점소등 제어장치
JP2003343971A (ja) * 2002-05-23 2003-12-03 Toshiba Corp 冷蔵庫
KR20040067549A (ko) * 2003-01-24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5065622A (ja) * 2003-08-26 2005-03-17 Mbr:Kk 野菜保存用照射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2510A3 (en) * 2007-11-22 2011-01-05 Sanyo Electric Co., Ltd. Showcase
US8272755B2 (en) 2007-11-22 2012-09-25 Sanyo Electric Co., Ltd. Showcase
CN103017477A (zh) * 2013-01-05 2013-04-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
KR20180091701A (ko) * 2016-01-04 2018-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18549B1 (ko) 2016-01-04 2021-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239702B2 (en) 2016-01-04 2022-02-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532954B2 (en) 2016-01-04 2022-12-2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8846B2 (ja) 冷蔵庫の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御方法
AU2006306845B2 (en) Refrigerator
KR20070045482A (ko) 냉장고 및 식품 보관방법
KR101652517B1 (ko) 냉장고
TW200602607A (en) Refrigerator
RU200814550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щения шкафа, реагирующее на освещение в помещении
KR100756449B1 (ko) 냉장고 내의 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CN102782427A (zh) 冰箱
CN111658796B (zh) 一种厨卫灯的工作方法
KR101736221B1 (ko) 자외선 살균기
KR100775120B1 (ko) 냉장고의 램프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46868A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의류 수납장
JP2007003022A (ja) 冷蔵庫
JP2008151357A (ja) 冷蔵庫
KR100798944B1 (ko) 냉장고용 램프 구조 및 램프 제어장치
JP4846279B2 (ja) 冷蔵庫
CN212538450U (zh) 一种新型杀菌冷柜灯具及冷柜
KR20140106908A (ko) 냉장고 조명과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모듈
KR101717499B1 (ko) 점등유지와 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20030075536A (ko) 냉장고의 램프 점등장치 및 방법
CN219829191U (zh) 冰箱
CN117804122A (zh) 具有健康功能系统的冰箱
KR20070044943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US20240316238A1 (en) System for disinfecting a closeable space
KR940000010B1 (ko) 냄새 센서를 이용한 탈취기의 동작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