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4510B1 -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510B1
KR100754510B1 KR1020060047263A KR20060047263A KR100754510B1 KR 100754510 B1 KR100754510 B1 KR 100754510B1 KR 1020060047263 A KR1020060047263 A KR 1020060047263A KR 20060047263 A KR20060047263 A KR 20060047263A KR 100754510 B1 KR100754510 B1 KR 10075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roove
opening
closing cap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대
Original Assignee
원정제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정제관(주) filed Critical 원정제관(주)
Priority to KR102006004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5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2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co-operating peripheral ribs an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용기본체, 용기본체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배출구 및 손잡이가 형성된 상판,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캡, 용기본체 하단에 결합되는 하판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개폐캡의 상면부에는 끼움홈을 형성하며, 상판에는 배출구에 접하는 부분에 배출구의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눌림홈을 형성한 상태로 손잡이가 접하는 부분에 손잡이 돌출 단 하부가 삽입되는 손잡이하부홈을 가지며, 개폐캡의 위치에 대응되는 하판에는 내측에 개폐캡의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를 형성한 상태로 배출구에 결합된 개폐캡이 대응 삽입결합하는 고정요홈부를 구비하고, 손잡이하부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하판에는 손잡이 돌출 단 상부가 삽입되는 손잡이상부홈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포장용 용기는, 개폐캡에 끼움홈을 형성한 상태로 하판에는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가지는 고정요홈부를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배출구에 결합된 개폐캡을 삽입결합하며, 손잡이에 대응되는 하판 위치에 손잡이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손잡이상부홈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포장용 용기를 적층시 기울어짐이 없이 상호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포장용, 용기, 적층, 적재

Description

포장용 용기{Packaging container}
도 1a는 종래의 포장용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적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평면도,
도 3b 및 도 3a의 A-A 단면도,
도 4a는 도 2의 저면도,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를 적층한 상태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 및 하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를 적층한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포장용 용기 100:용기본체
200:상판 210:배출구
220:눌림홈 230:손잡이하부홈
300:손잡이 310:손잡이판
400:개폐캡 410:끼움홈
500:하판 510:고정요홈부
511:끼움돌기 520:손잡이상부홈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를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되게 적재 적층하여 안전사고 및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용기는 기름, 오일, 공업용 화학약품이나 유류, 식용류등을 담는 것이다.
이러한, 포장용 용기(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재를 절곡시켜 용기본체(2)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본체(2)의 상하부에는 각각 상판(3)과 하판(5)을 결합시켜 내부에 저장하려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육면체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3)에는 내용물을 상기 용기본체(2) 내부에 담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4)가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구(4)를 개폐시키는 개폐캡(6)을 구비하며, 상기 상판(3)의 대략 중앙부에는 손잡이판(8)에 의해 결합되어 포장용 용기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7)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포장용 용기(1)는 제조시나 제조 후에 내용물을 충 전하여 개폐캡(6)으로 배출구(4)를 밀봉한 상태에서 다층으로 적재하여 출고하거나 판매점에 적재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용 용기(1)는 적재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의 배출구(4)에 체결하는 개폐캡(6)과 손잡이(7)가 상기 용기본체(2) 테두리 부분보다 돌출됨으로 인해 적층시 상부의 다른 포장용 용기(1a)가 기울어지게 되면서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적재 적층시 개폐캡과 손잡이의 돌출에 의한 기울어짐 발생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하게 하여 안전사고 및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모서리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캡과,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결합되는 하판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의 상면부에는 끼움홈을 형성하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배출구에 접하는 부분에 상기 배출구의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눌림홈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손잡이 돌출 단 하부가 삽입되는 손잡이하부홈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에는 내측에 상기 개폐캡의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배출구에 결합된 개폐캡이 대응 삽입결합하는 고정요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하부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에는 상기 손잡이 돌출 단 상부가 삽입되는 손잡이상부홈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하부홈은 상기 상판의 상기 손잡이 단부가 접하게 되는 부분에 마주보도록 한 쌍을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상부홈은 상기 손잡이하부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 부분에 상기 손잡이상부홈과 동일하게 마주보도록 한 쌍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요홈부는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의 일측 모서리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하부홈은 상기 상판에 부착되는 상기 손잡이의 설치방향에 따라 접하게 되는 부분을 연결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상부홈은 상기 손잡이하부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 부분에 상기 손잡이하부홈과 동일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요홈부는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 각각의 모서리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 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A-A단면도, 도 4a는 도 2의 저면도, 도 4b는 도 4a의 A-A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장용 용기(10)는 용기본체(100), 상판(200), 손잡이(300), 개폐캡(400), 하판(5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판재를 절곡, 각접기하여 육면체를 이루도록 형성한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용기본체(100)를 제작하는 판재로는 비금속이나 금속재질, 합성수지, 플라스틱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절곡 및 각접기 작업에 따른 조직약화가 작게 발생하는 금속이나 비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200)은 상기 용기본체(100) 상단을 밀폐하기 위해 시밍 결합되는 부재로서, 일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 및 외부로 배출가능하게 하는 배출구(2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200)의 상기 배출구(210)와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배출구(210)의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눌림홈(2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2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스팟용접된 손잡이판(310)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포장용 용기(1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3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판(200)의 상기 손잡이(300) 단부가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손잡이(300)의 돌출된 단 하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손잡이하부홈(2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하부홈(230)은 상기 상판(200)의 대략 중앙부에 스팟용접된 손잡이판(310)에 의해 회전상태로 결합된 상기 손잡이(300) 단부가 회전시 접하게 되는 부분에 마주보도록 한 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눌림홈(220) 및 상기 손잡이하부홈(230)은 각각 상기 배출구(210) 및 상기 손잡이(300)의 상방으로의 돌출높이를 낮게 하여 상부에 다른 포장용 용기(10)를 적층시 기울어짐 각도를 작아지게 한다.
상기 개폐캡(400)은 상기 상판(200)에 형성된 배출구(210)에 착탈됨에 따라 상기 배출구(210)를 개폐시키는 마개로서, 상면부 내측에 끼움홈(410)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캡(400)에 형성하는 끼움홈(410)은 도 2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형 및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판(500)은 상기 용기본체(100) 하단을 밀폐하기 위해 시밍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개폐캡(4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500)에는 내측에 상기 개폐캡(400)의 끼움홈(410)에 대응되는 끼움돌기(511)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배출구(210)에 결합된 상기 개폐캡(400)이 대응 삽입결합되는 고정요홈부(5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요홈부(510)는 상기 배출구(2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500)의 일측 모서리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판(500)의 상기 손잡이하부홈(23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층시 다른 포장용 용기(10) 상판(200)에 부착된 상기 손잡이(300)의 돌출된 단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손잡이상부홈(5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상부홈(520)은 상기 손잡이하부홈(230)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500) 부분에 마주보도록 한 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판(200) 및 하판(500)은 상기 용기본체(100)와 동일한 재질의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포장용 용기(10)의 상단부에 다른 포장용 용기(10)를 적층하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판(500)의 상기 고정요홈부(510)에 다른 포장용 용기(10) 상판(200)의 상기 배출구(210)에 결합된 상기 개폐캡(4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캡(400)의 끼움홈(410)과 상기 고정요홈부(510)의 끼움돌기(511)가 상호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300)의 돌출 단 하부는 상기 상판(200)의 상기 손잡이하부홈(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00)의 돌출 단 상부가 다른 포장용 용 기(10)의 상기 하판(500)에 형성된 상기 손잡이상부홈(520)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다른 복수개의 포장용 용기(10)를 적층시 기울어짐이 발생되지 않는 상호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c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10)의 상기 상판(200) 및 상기 하판(500)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6a는 상판(200)의 단면도, 도 6b는 하판(500)의 단면도, 도 6c는 서로 다른 포장용 용기의 결합 상태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하부홈(230)은 상기 상판(200)에 부착되는 상기 손잡이(300)의 설치방향에 따라 접하게 되는 부분을 연결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고정요홈부(510)는 상기 배출구(2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500) 각각의 모서리부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상부홈(520)은 상기 손잡이하부홈(230)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500) 부분에 상기 손잡이하부홈(230)과 동일한 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용 용기(10)의 상단부에 다른 포장용 용기(10)를 적층시 포장용 용기(10)의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배출구(210)에 결합된 개폐캡(400) 및 상기 손잡이(300)를 다른 포장용 용기(10)의 상기 하판(500)에 형성된 상기 고정요홈부(510) 및 상기 손잡이상부홈(520)에 삽입결합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포장용 용기를 기울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적층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는, 개폐캡에 끼움홈을 형성한 상태로 하판에는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가지는 고정요홈부를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배출구에 결합된 개폐캡을 삽입결합함과 더불어 손잡이에 대응되는 하판 위치에 손잡이의 돌출 단부가 삽입되는 손잡이상부홈을 형성하여 서로 다른 포장용 용기를 적층시 기울어짐이 없이 상호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모서리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캡과,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결합되는 하판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의 상면부에는 끼움홈을 형성하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배출구에 접하는 부분에 상기 배출구의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눌림홈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손잡이 돌출 단 하부가 삽입되는 손잡이하부홈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에는 내측에 상기 개폐캡의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배출구에 결합된 개폐캡이 대응 삽입결합하는 고정요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하부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에는 상기 손잡이 돌출 단 상부가 삽입되는 손잡이상부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하부홈은 상기 상판의 상기 손잡이 단부가 접하게 되는 부분에 마주보도록 한 쌍을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상부홈은 상기 손잡이하부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 부분에 상기 손잡이상부홈과 동일하게 마주보도록 한 쌍을 형 성하고, 상기 고정요홈부는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의 일측 모서리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하부홈은 상기 상판에 부착되는 상기 손잡이의 설치방향에 따라 접하게 되는 부분을 연결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상부홈은 상기 손잡이하부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 부분에 상기 손잡이하부홈과 동일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요홈부는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판 각각의 모서리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KR1020060047263A 2006-05-25 2006-05-25 포장용 용기 Active KR10075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263A KR100754510B1 (ko) 2006-05-25 2006-05-25 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263A KR100754510B1 (ko) 2006-05-25 2006-05-25 포장용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122U Division KR200423232Y1 (ko) 2006-05-25 2006-05-25 포장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510B1 true KR100754510B1 (ko) 2007-09-04

Family

ID=3873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263A Active KR100754510B1 (ko) 2006-05-25 2006-05-25 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5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077Y1 (ko) * 2002-03-05 2002-05-18 주식회사 대륙제관 다층으로 적재가능한 포장용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077Y1 (ko) * 2002-03-05 2002-05-18 주식회사 대륙제관 다층으로 적재가능한 포장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154B2 (en) Synthetic resin bottle
PL201847B1 (pl) Pojemnik składany z urządzeniem wylewowym, do wkładania jeden w drugi
EP3604151B1 (en) Paper container
US12246887B2 (en) Paper container
KR20100127256A (ko) 적층가능한 화장품 병
KR100754510B1 (ko) 포장용 용기
KR200423232Y1 (ko) 포장용 용기
KR100810133B1 (ko) 포장용 용기
JP6238753B2 (ja) 段ボール箱
KR200423233Y1 (ko) 포장용 용기
KR200423231Y1 (ko) 포장용 용기
KR200437656Y1 (ko) 포장용 용기
KR20070113689A (ko) 포장용 용기
JP3200813U (ja) 食品包装用容器
JP7094542B2 (ja) 蓋部材
JP6906855B2 (ja) 容器
KR20080000695U (ko) 포장용 용기
JP7423029B2 (ja) 容器
KR200276077Y1 (ko) 다층으로 적재가능한 포장용 용기
KR102551082B1 (ko) 액체 운반 및 저장 컨테이너
JP7054175B2 (ja) 包装用内嵌合容器
JP5266473B2 (ja) 注出具
KR200370717Y1 (ko) 대형 토출구를 가진 적재가능한 사각캔
JP3137275U (ja) 果実包装用容器
JP3118762U (ja) 流体輸送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