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4504B1 -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504B1
KR100754504B1 KR1020030032183A KR20030032183A KR100754504B1 KR 100754504 B1 KR100754504 B1 KR 100754504B1 KR 1020030032183 A KR1020030032183 A KR 1020030032183A KR 20030032183 A KR20030032183 A KR 20030032183A KR 100754504 B1 KR100754504 B1 KR 10075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ore
tube
bush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995A (ko
Inventor
고민영
신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30032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50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5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10Supply or regeneration of working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36Supply or regeneration of working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코어와; 상기 코어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코어의 원주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 코어를 다수의 탄성편으로 분리하는 슬롯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칼럼, 부시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TELES BUSH OF LOWER TILT TELES COLUMN SHAFT}
도 1은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칼럼부시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스티어링 칼럼 210 : 틸팅장치
220 : 텔레스코픽 장치 230 : 하우징
240 : 튜브 250 : 칼럼부시
251 : 코어 252 : 플랜지
253 : 고정블럭 254 : 절개부
255 : 슬롯 256 : 탄성편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공형의 튜브로 구성 되는 스티어링 칼럼을 길이 변화시킬 때 튜브의 신장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튜브 외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은 스티어링휠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어박스를 통해 차륜에 전달해줄 수 있도록 운전석의 내부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틸트장치와 텔레스코픽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텔레스코픽 장치는 축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중공관을 삽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외부측에는 스티어링칼럼의 하우징이 설치되고, 내부측에는 튜브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티어링칼럼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을 경사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틸팅장치(100)와, 축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하는 텔레스코픽 장치(12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텔레스코픽 장치(120)는 모터와 기어 등을 구비하여 버튼의 조작으로 스티어링칼럼을 간단히 신장 및 수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텔레스코픽 동작을 위해 그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하우징(130)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중공의 튜브(140)로 구성된다.
한편, 튜브(140)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스티어링 칼럼의 변위가 조절될 때, 이를 원활히 하기 위해 하우징(130)과 튜브(140) 사이에는 반경방향 틈새가 존재하고, 이 반경방향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튜브(140)의 외주 일측에는 스 토퍼(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반경방향 틈새가 너무 작은 경우 슬라이딩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질 않고, 틈새가 너무 크면 슬리이딩 동작중에 유동이 생겨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므로 틈새의 크기는 슬라이딩에 장애가 되지 않은 한도 내에서 최소화 되어야 한다.
또한, 튜브(140)의 외부면에는 이에 밀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칼럼부시(150)가 설치되고, 그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40)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통형의 코아(151)가 구비되고, 코어의 양측을 축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절개하여 탄셩편(152)을 다수 형성하고, 이 탄성편(152)을 "V" 형태로 절곡 형성한다.
상기한 칼럼부시(15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 내에 설치되면 튜브(140)의 외주면과 탄성편(152)의 절곡부 중심이 선접촉되고 절곡부의 단부는 하우징(130)의 내면에 탄성지지되어 튜브(140)의 슬리이딩시 반경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칼럼부시(150)는 코어(151)에 다수의 탄성편(152)을 형성해야 하므로, 칼럼부시(150)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며, 탄성편(152)이 코어(151) 외측으로 탄성력에 의하여 돌출되기 때문에 하우징(130)에 삽입시 간섭이 발생하여 장착 작업이 불편하다. 또한, 탄성편(152)과 튜브(140)가 선접촉하기 때문에 접촉부가 쉽게 마모되어 탄성편(152)의 기능이 쉽게 약화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시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부시와 투브 및 부시와 하우징간의 접촉을 면접촉 시켜 부시의 마모로 발생되는 기능약화를 방지하며, 부시를 하우징에 장착시 간섭 없이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코어와; 상기 코어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코어의 원주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 코어를 다수의 탄성편으로 분리하는 슬롯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에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을 경사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틸팅장치(210)와, 축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하는 텔레스코픽 장치(220)가 설치된다.
상기한 텔레스코픽 장치(220)는 모터와 기어 등을 구비하여 조작함으로써 스티어링칼럼을 간단히 신장 및 수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텔레스코픽 동작을 위해 그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하우징(230)과, 이 하우징(2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중공의 튜브(240)로 구성된다.
한편, 튜브(240)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스티어링 칼럼의 변위가 조절될 때, 이를 원활히 하기 위해 하우징(230)과 튜브(240) 사이에는 반경방향 틈새가 존재하고, 이 반경방향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튜브의 외주 일측에는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230)내에서 튜브(240)가 슬라이딩 될 때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도록 튜브(240)의 외주에 밀착되어 칼럼부시(25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30)과 튜브(240) 사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칼럼부시(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40)와 동심원을 갖는 원통형의 코어(251)가 구비되고, 코어(251)의 일단에는 하우징(230)에 삽입된 후 하우징(230) 선단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걸림 기능을 하는 플랜지(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코어(251)의 선단 일측에는 하우징(230)에 삽입된 후 하우징(230)의 내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칼럼부시(2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블럭(253)이 형성된다.
코어(251)에 형성되는 고정블럭(253)의 양측으로는 절개부(254)을 형성하여 고정블럭(253)이 반경 방향으로 소정량 탄성 변위되도록 한다. 고정블럭(253)이 반경방향으로 탄성변위 되지 않으면 하우징(230)에 삽입될 때 하우징(230) 내경의 간섭을 받아 삽입이 어려워 지기 때문이다.
코어(251)의 일단에는 플랜지(252)가 형성되어 있다고 했는데, 플랜지(252)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코어면에는 축방향으로 슬롯(255)이 형성되고, 이 슬롯(255)은 코어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플랜지(252)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된 슬롯(255)은 코어의 끝까지 형성되어 코어(251)는 슬롯(255)에 의해 분리되어 자연스럽게 다수의 탄성편(256)이 형성된다. 즉 슬롯(255)과 슬롯(255) 사이의 코어(251)는 외측으로 벌어져 슬롯(255)의 시작부를 기준으로 하나의 탄성편(256)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칼럼부시(250)를 하우징(230)에 삽 입하여 체결하면 코어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55)에 의해 형성된 탄성편(256)이 외측으로 벌어져 하우징(230)과 튜브(240) 사이를 지지하기 때문에 튜브(240)의 슬라이딩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튜브(240)와 부시(250)의 접촉부가 면접촉 되므로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강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칼럼부시의 구조를 단순화 시켜 조립성의 향상 및 제조원가를 낮추었고, 튜브와 칼럼부시의 접촉부가 면접촉 되므로 칼럼부시의 마모에 대한 내구력이 향상된다.

Claims (2)

  1.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코어와; 상기 코어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코어의 원주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 코어를 다수의 탄성편으로 분리하는 슬롯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편은 소정량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2. 삭제
KR1020030032183A 2003-05-21 2003-05-21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Expired - Fee Related KR10075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183A KR100754504B1 (ko) 2003-05-21 2003-05-21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183A KR100754504B1 (ko) 2003-05-21 2003-05-21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995A KR20040099995A (ko) 2004-12-02
KR100754504B1 true KR100754504B1 (ko) 2007-09-03

Family

ID=3737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1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4504B1 (ko) 2003-05-21 2003-05-21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1303A (zh) * 2009-07-10 2011-01-12 江苏省徐州锻压机床厂集团有限公司 可调锥度的导柱导向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4527U (ko) * 1988-03-30 1989-10-04
KR950018308U (ko) * 1993-12-17 1995-07-22 조향장치의 랙 바 비틀림 방지장치
KR19980032497U (ko) * 1996-12-03 1998-09-05 오상수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튜브의 충격 흡수장치
KR19980049829U (ko) * 1996-12-30 1998-10-07 오상수 자동차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용 랙 부시
KR200299644Y1 (ko) * 1997-12-30 2003-02-19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조향컬럼의 충격하중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4527U (ko) * 1988-03-30 1989-10-04
KR950018308U (ko) * 1993-12-17 1995-07-22 조향장치의 랙 바 비틀림 방지장치
KR19980032497U (ko) * 1996-12-03 1998-09-05 오상수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튜브의 충격 흡수장치
KR19980049829U (ko) * 1996-12-30 1998-10-07 오상수 자동차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용 랙 부시
KR200299644Y1 (ko) * 1997-12-30 2003-02-19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조향컬럼의 충격하중 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995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8044B2 (en)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US5954317A (en) Hydraulically damping rubber bearing
US7172361B2 (en) Extendable shaft
JP2002539033A (ja) 荷重制御滑動システムを備えた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のテレスコピックシャフト
JP2010095006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19311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ライダ組立体
JP2003507669A (ja) 引張り手段伝動装置のためのテンション装置
KR101989815B1 (ko)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EP1787890A1 (en) Steering unit
KR100754504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칼럼부시
CN106347020A (zh) 用于自行车的轮毂
JPH04123775U (ja) 伸縮自在シヤフト
CN111661134B (zh) 用于转向柱的夹紧装置及用于转向柱的调节装置
US10281947B2 (en) Mounting assembly for a control pedal of a vehicle
JP5509795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07285B1 (ko) 텔레스 부시를 구비한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2002037092A (ja) ブシュおよび舵取り装置の取付構造
KR20190012401A (ko) 차량용 조향 컬럼
JP716080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6722168B2 (en) Steering locking device
KR20170114076A (ko)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
KR100691814B1 (ko) 텔레스 부시를 구비한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20010047869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용 유격감소구조
KR102076011B1 (ko)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WO2004070236A1 (en) Attaching unit of a flexible transmission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5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