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3631B1 -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631B1
KR100753631B1 KR1020060013419A KR20060013419A KR100753631B1 KR 100753631 B1 KR100753631 B1 KR 100753631B1 KR 1020060013419 A KR1020060013419 A KR 1020060013419A KR 20060013419 A KR20060013419 A KR 20060013419A KR 100753631 B1 KR100753631 B1 KR 10075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nourishing cream
composition
ca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502A (ko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102006001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6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8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6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인 자연 소재물인 아주까리와 참깨의 추출물을 상품화할 수 있도록 적절히 가공하여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1) 아주까리, 참깨를 분쇄하고 열수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2) 상기 추출액을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알카리화시키는 단계;
(3) 상기 알카리화된 추출액을 순화정제시키는 단계;
(4) 상기 순화정제된 추출액에 지황, 반하, 흑상심, 토코페롤로 구성된 순수 비타민을 ‘추출액’ 대 ‘순수 비타민’의 중량비가 8:1 내지 12:1이 되도록 첨가하는 단계;
(5) 상기 조성물에 에틸 알콜을 ‘조성물’ 대 ‘에틸 알콜’의 부피비가 40:60이 되도록 첨가하여 액화시키는 단계;
(6) 또 다시 상기 조성물에 친환경 실리콘을 혼합하되 그 비율은 ‘위의 단계까지 처리된 물질 전체’ 대 ‘실리콘’의 부피비가 7:3이 되도록 하고, 이를 다시 물과 섞되 ‘실리콘까지 합한 전체’ 대 ‘물’의 중량비가 2:8이 되도록 하여 모발 영양크림을 만드는 단계.
모발 영양크림, 아주까리, 참깨, 친환경

Description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The manufacturing method of hair treatment material using castor-bean, and the product}
본 발명은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며 이미 일정한 효능이 알려진 자연 소재물인 아주까리와 참깨의 추출물을 상품화할 수 있도록 적절히 가공하여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공장의 연소가스와 자동차 배기가스 중의 유황산화합물(SO2, SO3), 질소산화물(NO, NO2) 등에 의한 화학적 손상과 대기 중의 티끌, 먼지 등에 의한 모표피의 물리적 손상에 의해 일상적으로 훼손되고 있어서 적절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게 필요하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는 샴푸와 린스(Rinse) 등으로 영양을 공급하고 있으나 샴푸 또는 린스의 영양공급은 그 효력이 아주 미약하다. 샴푸 또는 린스의 사용 후 모발을 헹구게 되어 있어 신속한 흡수가 어렵고 그 사용방법, 온도 등의 차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효과가 일정하지 않다.
또한 현대인들은 모발에 경직성을 주고자 젤, 무스, 스프레이와 같은 모발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하거나 파마된 머리의 형체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헤어스타일링 제품은 헤어스타일을 손쉽게 연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일정한 머리 형태를 오랜 시간 유지시켜 주며 광택 및 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품 중의 하나로, 1960년대 헤어스프레이가 첫선을 보인 후 매우 빨라진 화장품 업계의 급진적 발전 등으로 무스, 젤 등과 함께 대중적인 헤어스타일링 제품으로 등장하면서 제품사용이 계속 증가해 왔다. 그럼에도 이러한 제품들은 그 효과성만을 강조하여 각종 화학 헤어스타일링제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헤어스타일링 젤에 증점제, 피막제로 사용되어온 고분자 폴리머는 모발 표면에 물리적인 코팅을 하여 모발의 물리적인 성질과 형태를 바꾸는 것으로 우수한 셋팅력을 가지나, 피부의 지방을 빼앗거나 단백질을 변화시키기도 하며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고분자폴리머들은 석유화학적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분해되지 않고 자연계에 그대로 남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이 축적되어 환경에 유해요소로 남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사용자들도 경우에 따라 고분자 화합물에 의한 모발 절모현상, 엉킴 현상 및 수분 손실 등으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화장품 업계에서도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강화로 수질오염과 오존층 파 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예컨대 오존층 파괴로 세계적인 환경문제로 등장한 헤어스프레이의 프레온가스는 지난 92년부터 사용이 중단되고, 그 대신 공기를 압축하여 사용하는 에어펌프 타입의 스프레이 제품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 상황하에서, 모발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으면서 셋팅력이 우수하고 코팅 효과 및 점증 효과(날라가지 않는 효과)가 탁월한 환경친화적인 헤어스타일링 영양크림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라면 자연 식물 성분을 우선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아주까리(피마자)는 화장품 업계나 학계에서 두피세정, 두피보호, 탈모예방 및 두발의 셋팅효과를 갖는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실제로도 아주까리는 옛날부터 동백나무와 함께 머리 기름, 등화용 기름을 공급해주는 식물로 우리선조들의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그 외에 아주까리는 포마드에 주 원료로 쓰이고 있으며, 코팅제의 주 원료로도 널리 쓰이고 있기도 하다.
아주까리의 위와 같은 효능들은 거기에 포함된 대표적인 지용성 성분인 아주까리 특유의 리시놀레산(Ricinoleic)과 올레인산(Oleic) 등으로 인한 효과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예컨대 아주까리의 추출 기름을 모발에 사용할 경우 모발은 물론 두피에 나노 단위의 코팅이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이는 아주까리의 성분이 열로부터 모발은 물론 더 나아가 두피까지 보호하는 기능을 발휘한다는 점을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주까리 기름이 나노 단위의 피막을 형성하는 특성을 감안, 이미 선진국에서는 방청제의 주원료로도 널리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모발과 두피에 골고루 코팅되어 있던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샴푸 시 함께 머금고 있던 모발 및 두피의 각종 때와 함께 떨어짐으로써 탁월한 세정 효과를 발휘하였다.
문제는 위와 같은 효능을 가지는 아주까리 기름을 모발 크림으로 제품화하는 기술이 없었다는 데 있다. 즉 아주까리 기름을 물을 비롯한 다른 성분과 섞어 적절히 액화하여 상품화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었고, 이 때문에 우수한 특성을 갖는 아주까리 기름을 화장품에 도입하기가 곤란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바로 이 점을 해결한 데에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아시아를 포함하여 자연계에 널리 재배되는 아주까리의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상품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그 성분의 효과로 인해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고 두피세정, 두피보호, 탈모예방 및 모발의 셋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모발 접착제 대용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자들은 아주까리를 주원료로 하되, 올레인산(Oleic) 등의 성분을 보강하고 다른 효능을 더 부가하기 위하여 참깨의 추출물을 섞고, 거기에 다른 영양물질들을 혼합하는 한편, 적절한 처리를 함으로써 아주까리 기름의 상품화를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웰빙식물인 아주까리와 참깨의 주성분 및 모발영양에 이상적인 한방제제를 재료로 하고 이를 그 용도에 맞게끔 적절한 방법으로 가공하거나 처리하여 이들 성분에 의한 효과인 모발영양공급, 두피세정, 두피보호, 탈모예방 및 모발에 경직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 아주까리, 참깨를 분쇄하고 열수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2) 상기 추출액을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알카리화시키는 단계;
(3) 상기 알카리화된 추출액을 순화정제시키는 단계;
(4) 상기 순화정제된 추출액에 지황, 반하, 흑상심, 토코페롤로 구성된 순수 비타민을 ‘추출액’ 대 ‘순수 비타민’의 중량비가 8:1 내지 12:1이 되도록 첨가하는 단계;
(5) 상기 (4)에서 얻은 조성물에 에틸 알콜을, ‘(4)의 조성물’ 대 ‘에틸 알콜’의 부피비가 40:60이 되도록 첨가하여 액화시키는 단계;
(6) 또 다시 상기 (5)에서 얻은 조성물에 친환경 실리콘을 혼합하되 그 비율은 ‘위 (5)의 단계까지 처리된 물질 전체’ 대 ‘실리콘’의 부피비가 7:3이 되도록 하고, 이를 다시 물과 섞되 ‘실리콘까지 합한 전체’ 대 ‘물’의 중량비가 2:8이 되도록 하여 모발 영양크림을 만드는 단계;로 구성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단계 (1)은 동량의 아주까리와 참깨를 섞은 혼합물에 물을 중량비 1:2 내지 1:3이 되도록 섞고 80~90℃의 온도에서 중탕으로 48~60시간 고온 가열한 후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계 (2)는 ‘추출액’ 대 ‘트리에탄올아민’을 1:2의 중량비로 섞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계 (3)은 알카리화된 추출액을 400℃에서 감압증류하여 순화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계 (4)의 순수 비타민은, 지황, 반하, 흑상심을 물에 중량비 1:1:1:1로 혼합하여 80~90℃로 60시간 가열하여 열수추출한 후, 상기 ‘지황, 반하, 흑상심의 물 추출액’과 ‘토코페롤’을 중량비 1:1로 혼합하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아주까리와 참깨의 추출액에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알카리화시키는 이유는 아주까리 특유의 고약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알카리화된 추출액을 순화정제시키는 이유는, 이러한 과정을 거침으로서 아주까리 및 참깨 특유의 끈적임 성분을 정제시켜 모발 및 두피에 강력한 흡수력과 리시놀레산(Ricinoleic) 특유의 성질을 이용하여 피막형성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이때 순화정제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 물질은, 아주까리와 참깨에 함유된 추출물질 중 리시놀레산, 올레인산 또는 팔미티산인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뒤에서 실험 사실을 통하여 밝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지막 단계인 에틸 알콜로 액화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알코올의 향이 없으면서 동시에 희석이 가능하게 되는, 알코올과 조성물의 조성비는 매우 중요한바, 이러한 견지에서 가장 바람직한 조성 물 대 에틸 알콜의 부피비는 40:6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물질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고유의 특성을 갖고 있는바, 발명자는 이들을 적절히 혼합하고, 나아가 그 최종 생성물이 모발 세팅제로서 적절한 특성을 갖도록 다른 물질을 섞어서 처리하거나 가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에서 언급된 각 수치는, 발명자들이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이 용도상 가져야 할 적절한 적정한 점도나 경제성까지 고려하여 다양한 시험을 거친 결과 바람직하다고 인정되는 범위로 한정한 것임을 밝혀둔다.
아주까리와 참깨는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지에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데다 환경오염을 초래하지 않는 자연성분을 갖는 원료라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아주까리는 인도나 소아시아에서, 참깨는 인도나 이집트에서 더욱 쉽게 구해질 수 있다. 발명자들은 이를 가공하여 여기에서 얻은 액을 헤어영양크림에 첨가하여 모발에 영양 공급과 두발에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사용 시 끈적임을 제거하며 두피 세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수질보호효과가 탁월한 생분해성으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헤어스타일링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신규한 헤어 영양크림 조성물을 안출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영양제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아주까리(피마자)]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 아주까리는 대극과 또는 회양목과에 속하며 온대지방에서는 1년생 초본이지만 열대지방에서는 다년생 나무로 취급되고 있다. 온대지방의 피마자는 1.5~3m까지 자라고 줄기 속은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고 비어 있으며 가지가 듬성듬성 갈라지고 긴 잎자루를 가진 커다란 갈라진 잎이 나있다. 열매는 넓은 둥근 꼴이며 표면에 가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뉘는데, 모두 약용으로 쓰이며 속에 검은 무늬의 씨앗이 들어 있다. 다른 식물성 기름과 달리 점도가 매우 높고 마찰계수는 매우 낮다.
[호마(胡麻, 참깨)]
생기름을 내서 대머리에 바르면 머리털이 나온다. 그리고 검정참깨를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해서 가루 내어 대추살고(棗膏)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희어졌던 머리털이 검어진다. 참깨 잎을 달인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길게 자란다(본초).
[지황(地黃) Rehmanniae Radix]
마른 지황과 찐 지황(숙지황) 이 2가지는 수염과 머리털을 검어지게 하는 좋은 약인데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술을 빚어 먹어도 좋다(본초).
[반하(半夏, 끼무릇) Pinelliae Tuber]
눈썹과 머리털이 빠져서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먼저 생강으로 세 번 문지른 다음 끼무릇(반하)을 가루내서 참기름에 개어 바르면 털이 곧 나온다(입문 ).
[흑상심(黑桑, 익은 오디) Mori Fructus]
희어진 머리털을 검어지게 하는데 술을 빚어 먹어야 좋다. 또한 익은 오디 600g을 올챙이 한 되와 함께 병에 넣고 마개를 막아서 동쪽처마 밑에 일백일 동안 매달아두면 다 녹아 거멓게 되고 풀기가 있게 된다. 이것을 희어진 머리털이나 수염에 바르면 옻칠한 것같이 검어진다(본초).
[토코페롤(비타민E)]
비타민 E를 보충시키지 않으면, 노화진전 및 탈모가 촉진된다. 즉, 유리기는 매우 잘 반응하는 소량의 화학물질 비타민E가 없으면 이물질은 동맥벽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동맥경화증상에 원인이 된다. 항노화 비타민 (말초혈관)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므로 모낭에 모발영양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현대인은 고칼로리식 때문에 체내에 과산화 지질이 증가하여 말초혈관의 혈류도 악화된다. 이것이 탈모가 증가되는 원인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험예를 설명한다.
1. 아주까리, 참깨 추출액의 제조
아주까리와 참깨를 통째로 깨끗이 세척한 후 이를 잘게 분쇄하여 중량비 1:1의 비율로 섞고, 아주까리 참깨의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2.5로 하여 섞고 90℃의 온도에서 중탕으로 50시간 동안 고온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다음, 상기 추출액에, 추출액:트리에탄올아민이 1:2의 중량비가 되도록 트리에탄올아민을 섞고, 이를 400℃에서 감압증류하여 순화정제시켰다.
2.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
지황, 반하, 흑상심을 잘게 분쇄(0.5~1mm 크기)하고 물과 중량비 1:1:1:1이 되도록 혼합한 후 80~90℃로 60시간 가열하여 열수추출하였다. 다음, 상기 지황, 반하, 흑상심의 추출액과 토코페롤을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콜로이드상으로 하였다[발명자들은 이 단계까지 완료된 콜로이드상의 물질을 ‘아주까리 올레인(CASTOR OLEIC)’이라 명명하였다].
3.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위 1에서 얻은 추출액과 2에서 얻은 비타민 조성물을 중량비 9:1로 혼합하였다.
다음 위 혼합물에 에틸 알콜을 40:60의 부피비로 혼합하고(40:60의 부피비에 대해서는 하기 실험 1 참조), 상기 조성물과 친환경 실리콘을 7:3의 부피비로 혼합한 다음, 그 전체 혼합물에 물을 2:8의 중량비가 되도록 섞어서 원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을 얻었다.
만들어진 제품은 엷은 우유 빛을 띠고 있었으며 머리를 셋팅시킬 수 있는 성 질을 갖으나 끈적임은 없었다.
4. 실험 1
본 발명의 뒷 단계인, 조성물에 천연 알코올(에틸 알콜)을 첨가하여 액화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알코올의 향이 없으면서 동시에 희석이 되게 하는 게 필요한바, 실험 결과 조성물과 알콜의 부피비는 40:60이어야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1).
[표 1]
아주까리 및 참깨의 추출액과 비타민의 혼합물 : 알코올의 부피비 희석 정도
50 : 50 어느 정도 액화가 이루어지나 상품으로서 부적합
40 : 60 액화가 잘 이루어짐
30 : 70 액화는 이루어지나 알코올 향이 강함
20 : 80 액화가 이루어지나 알코올 향과 아주까리 특유의 향이 너무 강함.
5. 실험 2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위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두피 및 모발 세정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대에서 50대까지 남녀 각각 20명에게 본 제품을 매일 1~2회 사용하고 3일 후에 샴푸하게 한 후, 본 발명의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3일 만에 샴푸한 경우와 세정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이 실험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고 샴푸했을 시, 사용하지 아니하고 샴푸했을 때에 비해서 세정력이나 가려움증 해소에 더 나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
성별 나이 본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본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20 1 3
23 1 3
27 1 3
32 1 3
34 1 3
37 1 3
40 1 2
43 2 3
47 1 3
49 1 3
21 2 2
24 1 3
25 1 3
29 2 3
32 1 3
37 1 3
38 1 3
41 1 2
45 1 3
48 1 3
1 : 두피가 가렵거나 비듬이 많이 떨어진다.
2 : 두피가 약간 가렵거나 비듬이 약간 떨어진다.
3 : 두피의 간지러움이나 비듬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은 아시아 전 지역에서 재배되는 리시놀레(Ricinoleic), 올레일(Oleic) 등을 함유한 아주까리와, 참깨를 고온으로 순화 정제하고, 여기에 한국에서 자생하는 몇 가지의 한방제로부터 얻은 정유를 중화해 순수 비타민을 만들어 첨가한 다음, 상품화할 수 있도록 적당한 가공을 거쳐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조성물은 자연물질을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탁월한 생분해성으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성격을 띤다.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종래부터 아주까리 기름의 우수성은 알려졌으나 이를 상품화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던바 본 발명은 아주까리 기름을, 물을 비롯한 다른 성분과 섞어 적절히 액화하여 상품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는 데에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샴푸 후 이를 모발에 골고루 도포함으로써 형성하고자 하는 머리형체를 이룰 수 있으며 끈적임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성분상 두피, 모발에 각종 영양을 부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아주까리 기름의 효능인 두피세정, 피막 형성에 의한 두피보호, 탈모예방 및 두발의 셋팅효과를 갖는 모발크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리시놀레산 성분에서 기인하는 운데실레산이 무좀균을 비롯한 병원성 사상균을 죽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아토피 등 각종 피부병에도 월등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9)

  1. 삭제
  2. (1) 아주까리, 참깨를 분쇄하고 열수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2) 상기 추출액을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알카리화시키는 단계;
    (3) 상기 알카리화된 추출액을 순화정제시키는 단계;
    (4) 상기 순화정제된 추출액에 지황, 반하, 흑상심, 토코페롤로 구성된 순수 비타민을 ‘추출액’ 대 ‘순수 비타민’의 중량비가 8:1 내지 12:1이 되도록 첨가하는 단계;
    (5) 상기 (4)에서 얻은 조성물에 에틸 알콜을, ‘(4)의 조성물’ 대 ‘에틸 알콜’의 부피비가 40:60이 되도록 첨가하여 액화시키는 단계;
    (6) 또 다시 상기 (5)에서 얻은 조성물에 친환경 실리콘을 혼합하되 그 비율은 ‘위 (5)의 단계까지 처리된 물질 전체’ 대 ‘실리콘’의 부피비가 7:3이 되도록 하고, 이를 다시 물과 섞되 ‘실리콘까지 합한 전체’ 대 ‘물’의 중량비가 2:8이 되도록 하여 헤어 영양크림을 만드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단계 (1)은 동량의 아주까리와 참깨 혼합물에 물을 중량비 1:2 내지 1:3이 되도록 섞고 80~90℃의 온도에서 중탕으로 48~60시간 고온 가열한 후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단계 (2)는 ‘추출액’ 대 ‘트리에탄올아민’을 1:2의 중량비로 섞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계 (3)은 알카리화된 추출액을 400℃에서 감압증류하여 순화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단계 (4)의 순수 비타민은, 지황, 반하, 흑상심을 물에 중량비 1:1:1:1로 혼합하여 80~90℃로 60시간 가열하여 열수추출한 후, 상기 지황, 반하, 흑상심의 물 추출액과 토코페롤을 중량비 1:1로 혼합하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단계 (4)의 순수 비타민은, 지황, 반하, 흑상심을 물에 중량비 1:1:1:1로 혼합하여 80~90℃로 60시간 가열하여 열수추출한 후, 상기 지황, 반하, 흑상심의 물 추출액과 토코페롤을 중량비 1:1로 혼합하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5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
  9.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
KR1020060013419A 2006-02-13 2006-02-13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753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419A KR100753631B1 (ko) 2006-02-13 2006-02-13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419A KR100753631B1 (ko) 2006-02-13 2006-02-13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502A KR20070081502A (ko) 2007-08-17
KR100753631B1 true KR100753631B1 (ko) 2007-08-30

Family

ID=3861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4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3631B1 (ko) 2006-02-13 2006-02-13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6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8614A (ja) 1987-02-13 1988-08-17 Pola Chem Ind Inc 発毛・育毛促進料
KR930021186A (ko) * 1992-04-21 1993-11-22 한동근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비타민 e를 함유하는 두발화장료
JPH0680535A (ja) * 1992-07-13 1994-03-22 Kanebo Ltd 泡沫状頭髪化粧料
KR950016689A (ko) * 1993-12-20 1995-07-20 김정순 손상모발용 헤어 스프레이형 무스 조성물
KR960033436A (ko) * 1995-03-03 1996-10-22 한동근 거품분사형 모발화장료 조성물
KR20010037953A (ko) * 1999-10-21 2001-05-15 최기남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8614A (ja) 1987-02-13 1988-08-17 Pola Chem Ind Inc 発毛・育毛促進料
KR930021186A (ko) * 1992-04-21 1993-11-22 한동근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비타민 e를 함유하는 두발화장료
JPH0680535A (ja) * 1992-07-13 1994-03-22 Kanebo Ltd 泡沫状頭髪化粧料
KR950016689A (ko) * 1993-12-20 1995-07-20 김정순 손상모발용 헤어 스프레이형 무스 조성물
KR960033436A (ko) * 1995-03-03 1996-10-22 한동근 거품분사형 모발화장료 조성물
KR20010037953A (ko) * 1999-10-21 2001-05-15 최기남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502A (ko) 200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KR101997177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샴푸 조성물
KR102030021B1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97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06062A (zh) 一种防脱发植物精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应用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33307B1 (ko) 생약추출액이 함유된 샴푸조성물
KR100774973B1 (ko) 모발 보호제 조성물
KR102323659B1 (ko)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EP1383466A1 (en) Cosmetic and perfume products with amber
KR10101712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62230B1 (ko)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3631B1 (ko) 아주까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모발 영양크림 조성물
CN105832612A (zh) 一种毛孔细致型安全卸妆油及其制备方法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US20030191046A1 (en) Cosmetic and perfume products with amber
CN105496885A (zh) 一种含植物元素的化妆品及其生产方法
CN106038418A (zh) 山姜茶麸洗发剂及其制备方法
KR10076487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제조된 조성물
KR20000072654A (ko) 한방 제재로 만든 모발강정 조성물.
KR20200031430A (ko) 모발 디톡스 및 펌 염색 크리닉을 위한 샴푸 조성물 및 시술방법
US7919124B1 (en) Composition for hair growth
RU2702907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маска-пленка
KR20240092810A (ko) 30초 퀵 버블 시트프리 마스크팩 조성물
Shubham et al. A Review on Natural Herbs for Hair Grow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