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901B1 - Ornaments for ornaments - Google Patents
Ornaments for ornam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2901B1 KR100752901B1 KR1020060086510A KR20060086510A KR100752901B1 KR 100752901 B1 KR100752901 B1 KR 100752901B1 KR 1020060086510 A KR1020060086510 A KR 1020060086510A KR 20060086510 A KR20060086510 A KR 20060086510A KR 100752901 B1 KR100752901 B1 KR 100752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arent
- ornaments
- decoration
- emulsion
- flo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claims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줄, 목걸이 등과 같은 장신구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장신구용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용기 내부에 장식물과 사용자 또는 장식물과 관련한 정보를 표기한 투명표기체를 내장시켜 이에 표기된 문자나 도형이 떠서 움직이는 심미감을 주어 장식적 효과를 높여주면서 정보수용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을 목적으로 하며, 다른 목적은 투명표기체의 표기가 외부에서 확대되어 보이도록 구성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rnaments used to attach to ornaments, such as cell phone straps, necklaces, etc., in particular, a transparent mark on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container and the user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coration is embedded in the letter or The object is to construct the information receiving function while enhancing the decorative effect by giving the aesthetic sense of floating figure, and the other purpose is to configure the representation of the transparent body to be enlarg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구성은 속마개(22) 및 고리(21)가 구비된 겉뚜껑(20)을 덮어 밀폐되는 투명용기(10) 내부에 투명유액(11)을 넣고, 상기 투명유액(11) 내부에 탄생석이나 기타 모형물로 되는 장식물(30)과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기한 투명표기체(40)를 유동되게 수납하여 상기 장식물과 투명표기체에 표기된 문자나 도형이 떠다니는 것과 같은 심미감을 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장신구용 장식구이다.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t the transparent emulsion (11) inside the transparent container (10) sealed by covering the outer lid (20) provided with a fastener 22 and the ring 21, the transparent emulsion (11) inside It is configured to give the aesthetics such as floating letters or figures displayed on the decoration and the transparent representation by floating the ornament 30 and the information of the transparent representation 40 to selectively represent the birthstone or other models. It is a decoration for one orname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종단면도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발명 구성중 투명용기의 다른 실시를 예시한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paren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도 5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투명용기 11 : 투명유액10: transparent container 11: transparent liquid
20 : 겉뚜껑 21 : 고리 22 : 속마개 20: cover 21: 22 hooks
30 : 장식물 30: ornament
40 : 투명표기체40: transparent
50 : 볼록렌즈부 51 : 평면부 50: convex lens portion 51: flat portion
본 발명은 핸드폰 줄, 목걸이 등과 같은 장신구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장신구용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용기 내부에 장식물과 사용자 또는 장식물과 관련한 정보를 표기한 투명표기체를 내장시켜 이에 표기된 문자나 도형이 떠서 움직이는 심미감을 주어 장식적 효과를 높여주면서 정보수용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을 목적으로 하며, 다른 목적은 투명표기체의 표기가 외부에서 확대되어 보이도록 구성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rnaments used to attach to ornaments, such as cell phone straps, necklaces, etc., in particular, a transparent mark on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container and the user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coration is embedded in the letter or The object is to construct the information receiving function while enhancing the decorative effect by giving the aesthetic sense of floating figure, and the other purpose is to configure the representation of the transparent body to be enlarged from the outside.
일반적으로 투명용기에 단순히 장식물을 내장시켜 구성되는 장식구는 착용시 내부에 수납된 장식물이 유동 되면서 투명용기 내부에 흠집을 내어 투명도를 떨어뜨리므로 사용기간이 길어 질수록 장식적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고, 이와 같은 장식구는 단순히 형상, 모양에 의존하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기호에 만족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게 된다.In general, a decorative device that is simply embedded in a transparent container, when worn,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of the transparent container flows while scratching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container to reduce the transparency, so the longer the period of 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corative effect is lowered As such, the ornament is simply dependent on the shape and shap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taste is not satisfied.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장식적효과를 높이면서 다른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용기 내부에 투명유액을 넣고, 상기 투명유액 내부에 장식물과, 상기 장식물이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또는 기타 사항을 인쇄 또는 각인 등의 방법으로 표시되는 투명표기체를 수납하여 장식물과 투명표기 체의 표기내용이 외부에서 선명하게 보이면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느리게 유동 될때 투명표기체에 표기된 문자나 도형이 떠다니는 것과 같은 심미감을 주도록 구성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have a different function while increasing the decorative effect, put a transparent emulsion in the transparent container, the decoration in the transparent emuls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coration or the user or other The letters or figures written on the transparent objects float when the contents of the transparent objects are displayed clearly by the method such as printing or imprinting the items, and the contents of the decoration and the transparent objects are clearly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slowly move according to the wearer's movement. It is configured to give the same aesthetic.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도 1에서 전체구성을 분해하여 예시한 사시도와, 도 2, 도 3의 단면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투명용기(10) 내부에 투명유액(11)을 넣고, 상기 투명유액(11) 내부에 탄생석이나 모형물로 되는 장식물(30)과, 상기 장식물이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또는 기타 내용을 기록한 투명표기체(40)를 수납한 후 상기 투명용기(10)에 속마개(22) 및 고리(21)가 구비된 겉뚜껑(20)을 덮어 밀폐하여 상기 투명용기(10) 내에 넣은 장식물(30)과 투명표기체(40)의 기록내용은 외부에서 선명하게 투시되어 보이면서 착용시 흔들림에 따라 느리게 유동 되어 투명표기체에 표기된 문자나 도형이 떠다니는 것과 같은 심미감을 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장신구용 장식구이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ecomposition of the entire configuration in Figure 1,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Figure 3 transparent container ( 10) Put the
본 발명 실시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22)와 겉뚜껑(20)은 견고한 결착과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접착제를 도포하여 체결한다.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투명유액(11)은 물보다 점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여 그 내부에 넣은 장식물(30) 느리게 유동 되도록 하여 투명용기(10) 내부에 흠집을 내지 않도록 하며, 상기 장식물(30)은 주로 보석, 준보석, 또는 탄생석을 넣거나 기타 장식적 효과가 높은 모형물 등을 선택적으로 넣을 수 있다. The transparent emulsion (11) using a viscosity higher than the water so that the decoration (30) placed in the inside so as to flow slowly so as not to scratch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container (10), the
상기 투명표기체(40)는 주로 유액 중에서 손상되지 않는 유리나 합성수지제 판체를 사용하며, 기타 입체적인 투명체로 실시할 수도 있고, 상기 투명표기체(40)에는 투명용기(10) 내에 수납되는 장식물(30)과 관련된 정보나 장식물을 주고 받는 사용자 간에 관련된 정보 또는 수요자의 기호에 맞는 정보를 표기하며, 상기 정보는 문자 또는 도형으로 구성하여 인쇄 또는 각인 등의 방법으로 표기한다.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4 및 도 5의 예시와 같이 투명용기(10) 내면에 평면부(51)를 형성하고, 투명용기(10)의 외측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투명용기의 외측에 볼록렌즈부(50)를 형성함으로서 투명용기(10) 내부에 수납되는 장식물(30)과 투명표기체(40)에 표시된 정보, 특히, 표시된 작은 문자나 도형이 외부에서 크게 보이도록 실시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이때, 평면부(51)는 볼록렌즈가 구성되는 곡면으로도 실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투명유액(11)이 물보다 점도가 높은 유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내부의 장식물(30)은 착용자의 이동시 느리게 유동 되어 투명용기(10) 내부에 흠집을 내지 않게 되므로 투명용기의 투명도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고, 따라서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장식물(30)과 투명표기체(40)는 투명용기(10) 외부에 선명하게 투시되어 보이는 효과가 있으며, 투명표기체(40)에는 장식물(30)과 관련된 정보나 장식물을 주고 받는 수요자 간에 관련된 정보 또는 수요자의 기호에 맞는 정보를 인쇄 또는 각인하여 표기할 수 있으므로 정보수용효과가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상기와 같이 투명표기체(40)에 표기된 문자나 도형은 착용자가 움직일 때 투명유액(11) 중에서 마치 떠다니는 것 같은 심미감을 주어 장식효과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etter or figure written on the
또 다른 효과로는 투명용기(10)에 형성한 볼록렌즈부(50)에 의하여 투명용기(10) 내부에 수납되는 장식물(30)과 투명표기체(40)에 표기된 내용, 특히, 작은 문자 등을 외부에서 크게 볼 수 있으므로 판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nother effect, the contents marked on th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6510A KR100752901B1 (en) | 2006-09-08 | 2006-09-08 | Ornaments for ornam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6510A KR100752901B1 (en) | 2006-09-08 | 2006-09-08 | Ornaments for orname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52901B1 true KR100752901B1 (en) | 2007-08-28 |
Family
ID=3861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6510A KR100752901B1 (en) | 2006-09-08 | 2006-09-08 | Ornaments for orname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290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475Y1 (en) | 2015-12-07 | 2016-05-27 | 장은희 | Cap with high decorativeness |
EP4300216A3 (en) * | 2018-10-02 | 2024-02-28 | Preciflex SA | Device comprising decorative objects having restrained freedom to move and suspended in fluid |
-
2006
- 2006-09-08 KR KR1020060086510A patent/KR10075290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KR-A-2001-0000502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475Y1 (en) | 2015-12-07 | 2016-05-27 | 장은희 | Cap with high decorativeness |
EP4300216A3 (en) * | 2018-10-02 | 2024-02-28 | Preciflex SA | Device comprising decorative objects having restrained freedom to move and suspended in flui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53571B2 (en) | Fluid filled attachment device | |
JP3078160U (en) | Decorative body | |
US20130074544A1 (en) | Text messaging novelty jewelry | |
US20030131513A1 (en) | Elastically and monolithically marginated display device | |
KR100752901B1 (en) | Ornaments for ornaments | |
JP2007152931A (en) | Seal base material, seal, and decorative implement | |
KR100794335B1 (en) | Cosmetic container engraved with an intaglio shape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 |
JP3153726U (en) | Amulet set | |
KR100847764B1 (en) | Ring with traffic card function | |
CN214928622U (en) | Hanging ornament structure | |
KR100602624B1 (en) | Zipper handle | |
CN217908966U (en) | Metal powder sand painting toy | |
CN218807755U (en) | Container Ornament Structure | |
JP2013244733A (en) | Water dome type calendar | |
KR200359328Y1 (en) | A commemmorative seal | |
CN210539304U (en) | Transparent watchband is decorated to fluid | |
KR200434057Y1 (en) | Perfume Accessory Transportation Card | |
JP3161627U (en) | Soft photo frame | |
KR200361099Y1 (en) | Decorative sticker | |
KR200378522Y1 (en) | Cosmetics case of dual industrial structure | |
JPS61123825A (en) | Camera with bag part for display | |
KR19990041234U (en) | Necklace accessories | |
KR100663961B1 (en) | label | |
US20090277548A1 (en) | Sport pouch | |
KR20110050874A (en) | Buckle for Be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