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228B1 - Thatched Cabin - Google Patents
Thatched Cab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2228B1 KR100752228B1 KR1020040019857A KR20040019857A KR100752228B1 KR 100752228 B1 KR100752228 B1 KR 100752228B1 KR 1020040019857 A KR1020040019857 A KR 1020040019857A KR 20040019857 A KR20040019857 A KR 20040019857A KR 100752228 B1 KR100752228 B1 KR 100752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f
- frame
- upper roof
- pillars
-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577 thatc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claims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claims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0219112 Cucumi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510 Cucumis melo subsp melo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219109 Citru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FJJCIZWZNKZHII-UHFFFAOYSA-N [4,6-bis(cyanoamino)-1,3,5-triazin-2-yl]cyanamide Chemical compound N#CNC1=NC(NC#N)=NC(NC#N)=N1 FJJCIZWZNKZH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2 straw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 B65F7/005—Devices, mounted on refuse collecting vehicl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refuse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21—Handling or manipulating containers, e.g. moving or rotating containers in cleaning devices, conveying to or from 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4—Garbage trucks, e.g. refuse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두막형태로 볏짚으로 지붕을 형성하고, 중앙에 형성된 2개 내지 4개의 기둥에 지붕을 이중구조로 하여 상부지붕은 하부지붕의 중앙상부에 형성된 통공보다는 크며 하부지붕보다는 약간 작게 설치하고, 하부지붕에는 중앙상부에 구비된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붕의 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하게 하여 원두막내에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하부에 2개 내지 4개의 유압기를 설치하여 기둥을 상하로 작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여 사용하며, 상기 유압기의 상부에는 탁자를 형성하였고, 최하부의 받침대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초가 원두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oof with a straw straw in the form of a bean film, the roof is a double structure in the two to four pillars formed in the center, the upper roof is larger than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roof and installed slightly smaller than the lower roof, The lower roof forms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roof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air in the bean film, and installs two to four oil pressure units at the bottom to operate the column up and down. It is used to adjust to the desired posi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ydraulic machine is formed on the table, and relates to a thatch bean film that can be used by installing the lowermost pedestal.
추억의 원두막. 지붕. 기둥. 유압기. 받침대. 바퀴.Membrane of memory. roof. Pillar. Oil press. Pedestal. wheel.
Description
도1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전체도1 is an overall view of a thatch bea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프레임 정면상세도Fig. 2 is a frontal detail view of the thatched cottag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프레임 평면상세도 Fig. 3 is a plan view of thatched cottag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프레임 측면상세도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thatched cottag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상부지붕프레임 평면상세도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roof top roof frame th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하부지붕프레임 평면상세도6 is a plan view of the lower thatched membrane lower roof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탁자프레임 상세도Figure 7 is a detailed view of thatched bean tea tabl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받침대프레임 평면상세도 Figure 8 thatched cottage pedest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을 하강시킨 상태도Fig. 9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thatched bea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도10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전체도Fig. 10 is a whole view of a thatch bean film of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정면상세도Fig. 11 is a frontal detail view of a thatch bean head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프레임 정면상세도Fig. 12 is a frontal view of a thatched cottage fram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용마루프레임 상세도Fig. 13 is a detailed view of the thatched cortex for ridge fram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상부지붕프레임 상세도Fig. 14 is a detailed view of the thatched cottage upper roof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하부지붕프레임 상세도Fig. 15 is a detailed view of the thatched cortex lower roof fram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받침대프레임 평면상세도 Figure 16 is a plan view detail thatched cottage pedestal frame of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7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을 하강시킨 상태도Fig. 17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thatched pea fil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받침대(1,1'), 유압실린더안치부(2), 유압실린더(3), 제1,2,3,4기둥 (4,4',4",4"'), 짚(5), 이음줄(6), 상부지붕(7,7'), 하부지붕(8,8'), 기둥커버(9), 탁자(10), 유압실린더커버(11), 탁자프레임(12), 기둥통공(13), 조작부(20), 상부지붕프레임(30,30'),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31'), 상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32,32'), 상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33,33'), 하부지붕프레임(40,40'),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41'), 기둥중간부고정프레임(42,42'), 하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43,43'), 하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44,44'), 통공(45), 용마루프레임(50), 기둥연결보(51), 용마루(60)Pedestal (1,1 '), hydraulic cylinder mounting portion (2), hydraulic cylinder (3),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illars (4,4', 4 ", 4" '), straw (5), Joint (6), upper roof (7,7 '), lower roof (8,8'), column cover (9), table (10), hydraulic cylinder cover (11), table frame (12), column through hole ( 13), the
본 발명은 초가 원두막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형성되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2개 내지 4개의 기둥에 지붕프레임을 이중구조로 설치하고, 지붕프레임에 볏짚 올려놓고 끈으로 고정시켜 원두막형태로 지붕을 형성하고, 하부지붕의 상부중앙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통공과 틈새로 공기가 유동하게 하여 원두막내에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구조를 개량하여 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 유압실린더로 기둥을 하강시켜 지붕이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골목의 한적한 곳에 설치하거나 판매장, 쉼터 및 사거리의 교통순경이 교통을 정리하는 정리대등으로 사용 하여 옛 추억을 회상하도록 하여 물질 문명화된 한 국민의 정서를 함양시킬 수 있는 한 초가 원두막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atched cottage film, which is formed in the center and is installed in a double structure of the roof frame to the two to four pillars moving up and down by a hydraulic cylinder, put a straw on the roof frame and fixed with a string to the roof in the form of a bean film In the upper central part of the lower roof, the air flows through the hole and the gap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air in the bean film.In case of heavy wind, the column is lowered by the hydraulic cylinder. As long as it can prevent damage, it can be installed in a secluded area of alleys or used as a traffic yard for sales, shelter, and crossroads to organize the traffic so that the old memories can be recalled to cultivate the emotion of a material civilized people. Candles are the beans.
일반적으로 원두막이 언제부터 시작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옛날부터 참외밭을 지킨다는 구실 외에도 동네 사람들의 좋은 피서처였으며 밤이면 젊은이들의 모임 장소가 되었다. 또 낮에는 길손들이 땀을 들이고 가는 휴식장소이기도 하였다. In general, it is not clear when the coffee beans started, but in addition to the pretext of protecting the melon field from olden times, it was a good haven for the locals and became a gathering place for young people at night. It was also a resting place during the day when the hands went sweating.
'원두'라는 말은 원래 참외·오이·수박·호박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수박·참외·딸기 따위는 현장에서 따먹기가 쉽고, 옛날에는 동네의 짓궂은 청소년들이 서리를 하는 버릇이 있어 이를 막기 위하여 막을 짓고 지켰다. The term 'bean' is originally used to refer to melon, cucumber, watermelon, and pumpkin. Watermelons, melons, and strawberries are easy to eat in the field, and in the olden days, the dirty youngsters in the neighborhood had a habit of frost.
원두막은 기둥 4개를 세워 꼭대기에 짚으로 이엉을 엮어 지붕을 만들고 그 밑에 판자나 통나무로 누대(樓臺)를 만든다. 사방은 볏짚이나 밀짚을 엮어 둘러치되 개폐식으로 하여 막대기로 버티어 열 수 있도록 하였고, 사다리를 놓아 오르내리도록 하였다. The base is made of four pillars and weaves are made of straw on top of it to make a roof, and a board or log is made from the bottom. All sides were wrapped with a straw or straw, wrapped and opened so that they could be held open by sticks and placed on ladders to move up and down.
물질문명이 급속화되어 현대사회가 물질만능시대로 변하는 시점에서, 사오십대 또는 그이상의 고령층은 옛날 시골에서 할아버지나 할머니와 함께 수박 또는 참외를 먹거나, 이웃 과수원에서 수박 또는 참외를 서리하다가 혼쭐나던 아름답고 다시 오지 않으며, 그러한 환경이 이미 사라진 추억을 누구나 한번쯤은 간직하고 살아가고 있다.As the material civilization has accelerated and modern society has turned into an all-round age, the Sao teens and older are beautiful and confusing when they eat watermelons or melons with their grandfathers or grandmothers in the old countryside, or frost watermelons or melons in neighboring orchards. It does not come again, and everyone lives with the memories that the environment has already disappeared at least once.
삭막해진 현대사회에 찌들은 한국인에게 한국의 정서에 맞는 원두막을 재현 하여 잠시라도 평온을 갖도록 하고자 한국형 추억의 원두막을 도심지에 널리 설치하고자 본 발명을 개량한 것이다.In the desolate modern society, the bobber is an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idely install Korean-style memories in the city center so that Koreans can have peace even for a while by reproducing the coffee beans that match the Korean emotion.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4927호에는 환기구의 상단부에 소정의 환기공간을 두고, 이 환기공간의 상단부에는 간이판매대 또는 전시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공간을 설치하며, 이 구조물의 하단부에는 소정 수량의 이동바퀴를 설치하여 인력으로 밀어서 수동으로 이동시키거나, 지붕상에 설치한 이동용 후크를 사용하여 소형크레인 탑재차량으로 이동시키는 환기구 상부 공간 활용 가설구조물이 기재되어 있으며,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54927, a predetermined ventilation spac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ventilation opening, and an upper space of the ventilation space is provided with a use space that can be used as a simple sales stand or an exhibition spac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ventilation opening for install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moving wheels and manually moving them by manpower or moving them to a small crane-mounted vehicle using a mobile hook installed on the roof is described.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64435호에는 상단에 체결홈을 구성한 체결캡을 체결함과 함께 상기 체결환의 체결홈에 장식그늘판을 2이상 체결시켜 우산형태의 파고라를 구성함으로서 기둥에 장식그늘판을 체결하는 파고라가 공개되어 있으나,In the publication No. 20-0264435, fastening caps constituting fastening grooves at the top and fastening two or more decorative shade plates to the fastening grooves of the fastening ring to form an umbrella-shaped pagora to form decorative shade plates on the pillars. Pagora to sign is open,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정자나, 이동식건물의 이동시키거나 그늘을 구성하는 기술구성으로서, 옛날, 어렸을 때 시골의 원두막을 연상하지 못하며 현대화되어 한국적인 정자를 대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Conventional techniques as described above, as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moving or shading the sperm or a mobile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reminiscent of the country's bean hut when young, modernized to represent the Korean sper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35362호 발명의 명칭; 이동식 원두막을 개량한 것으로서, 기둥 및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압식상하강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장치의 상부에 탁자를 형성하 고, 상부에 지붕을 이중으로 형성하며, 상부지붕과 하부지붕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지붕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여 통공과 틈새로 공기가 유동하게 하여 원두막내에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켜 태풍이 불어와도 흔들림이 없도록 구조를 개량한 초가 원두막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name of the invention of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35362 filed by the applicant; It is an improvement of the movable coffee membrane, and it installs a column and a support, and a hydraulic lifting device which adjusts the height automatically or manually at the lower part thereof, forms a table on the upper part of the device, and doubles the roof on the upper part. It forms a space between the upper roof and the lower roof, and forms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of the lower roof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gap,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air in the bean film to prevent the structure from being shaken even when a typhoon blow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thatched coffee membra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두막형태로 볏짚으로 지붕을 형성하고, 중앙에 형성된 2개 내지 4개의 기둥에 지붕을 이중구조로 하여 상부지붕은 하부지붕의 중앙상부에 형성된 통공보다는 크며 하부지붕보다는 약간 작게 설치하고, 하부지붕에는 중앙상부에 구비된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붕의 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하게 하여 원두막내에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하부에 2개 내지 4개의 유압기를 설치하여 기둥을 상하로 작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여 사용하며, 상기 유압기의 상부에는 탁자를 형성하였고, 최하부의 받침대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초가 원두막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oof with a straw straw in the form of a bean film, the upper roof is larger than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lower roof with a double structure of the roof to two to four pillars formed in the center Slightly smaller than the roof, the lower roof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roof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air in the coffee bean film. It is installed to operate the column up and down to adjust to the desired posi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ydraulic machine is formed on the table, and relates to a thatched beans that can be used by installing the lowermost pedestal.
상기에서 유압기의 작동방법 및 조작부의 조작은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장치를 이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핵심부분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장치의 구조 및 작동원리는 생략하기로 하였다.The operation method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hydraulic pressure is used as a conventional device used in the art, and since the core portion is not a ke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specific device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프레임 정 면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프레임 평면상세도, 도4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프레임 측면상세도, 도5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상부지붕프레임 평면상세도, 도6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하부지붕프레임 평면상세도, 도7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탁자프레임 상세도, 도8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 받침대프레임 평면상세도, 도9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을 하강시킨 상태도, 도10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전체도, 도11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정면상세도, 도12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프레임 정면상세도, 도13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용마루프레임 상세도, 도14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상부지붕프레임 상세도, 도15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하부지붕프레임 상세도, 도16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 받침대프레임 평면상세도, 도17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을 하강시킨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받침대(1,1'), 유압실린더안치부(2), 유압실린더(3), 제1,2,3,4기둥(4,4',4",4"'), 짚(5), 이음줄(6), 상부지붕(7,7'), 하부지붕(8,8'), 기둥커버(9), 탁자(10), 유압실린더커버(11), 탁자프레임(12), 기둥통공(13), 조작부(20), 상부지붕프레임 (30,30'),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31'), 상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 (32,32'), 상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33,33'), 하부지붕프레임(40,40'),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41'), 기둥중간부고정프레임(42,42'), 하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43,43'), 하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44,44'), 통공(45), 용마루프레임 (50), 기둥연결보(51), 용마루(6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Fig. 1 is a view of the whole thatched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al detail of the thatched conic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ar detail of the thatched head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 view of the upper roof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top roof frame, Fig. 6 is a plan view of the lower roof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Fig.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lowering the surrogate bea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of the entirety of thatch of the 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rontal detail view of the form of the thatch of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Fig. 13 is a detailed view of the frame front view, Fig. 13 is a detailed view of the thatched cortex membrane flooring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thatched cortex lower roof frame of another form, Fig. 16 shows a plan view of the thatched pedestal pedestal fram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show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thatched cottage of the 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1 '), hydraulic
구조를 살펴보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타원형상의 받침대(1)와, 상기 받침대(1)의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유압실린더(3)와, 상기 두 개의 유압실린더(3)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조작부(20)와, 상부에서 하부로 세로로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유압실린더(3)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제1,2기둥(4,4')과, 상기 제1,2기둥(4,4')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상협하광의 구조로 좌우로 길게 형성된 상부지붕프레임(30)에 짚(5)을 올려놓고 이음줄(6)로 고정시켜 형성된 상부지붕(7)과, 상기 상부지붕(7)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협하광의 구조로 중앙 상부에는 통공이 형성된 하부지붕프레임(40)에 상기 상부지붕(7)과 같이 짚(5)을 올려놓고 이음줄(6)로 고정시켜 형성된 하부지붕(8)과, 상기 제1,2기둥(4,4')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기둥커버(9)와, 상기 기둥커버(9)의 하부에 타원형상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된 탁자(10)와, 상기 탁자(10)의 양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를 감싸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유압실린더커버(11)로 구성된 초가 원두막인 것이다.Looking at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s 1 to 4, an elliptical pedestal (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two hydraulic cylinders (3)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edestal (1), the two hydraulic The
상기 상부지붕(7)은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2기둥 (4,4')에 최상부에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용접 또는 나사를 이용해 설치된 상부지붕프레임(30)에 짚(5)을 올려놓고 이음줄(6)로 고정시켜 형성됨으로서 상협하광의 구조를 이루며, 측면에서 볼 때에는 삼각형상의 구조를 이룬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상기 상부지붕(7)의 골격이 되는 상부지붕프레임(30)은 제1,2기둥(4,4')의 최상부에 용접 또는 나사로 결합되어 상기 제1,2기둥(4,4')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지붕(7)의 중심이 되는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과, 상기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을 중심으로 타원형 형상을 이루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바둑판형상으로 가로 세로 일정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개의 상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32)과, 상기 상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32)의 최하부를 형성하는 상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3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하부지붕(8)은 도1 내지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붕(7)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협하광의 구조로 중앙 상부에는 통공(45)이 형성된 하부지붕프레임(40)에 상기 상부지붕(7)과 같이 짚(5)을 올려놓고 이음줄(6)로 고정시켜 형성됨으로서, 상기 상부지붕(7)처럼 상협하광의 구조를 이루며, 측면에서 볼 때에는 삼각형상의 구조를 이룬다.As shown in FIGS. 1 to 4 and 6, the
상기 하부지붕프레임(40)은 타원형상으로 상부에 형성된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과, 상기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의 양측면에는 두 개의 제1,2기둥(4,4')에 용접 또는 나사로 결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중간부고정프레임(42)과, 상기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의 하부에 형성되며 타원형 형상을 이루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바둑판형상으로 가로 세로 일정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43)과, 상기 하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43)의 최하부를 형성하는 하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4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기둥커버(9)의 하부에 형성된 탁자(1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형상의 탁자프레임(12)과, 상기 탁자프레임(12)의 양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제1,2기둥(4,4')이 삽입되는 기둥통공(13)과, 상기 탁자프레임(12)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된 두 개의 유압실린더커버(11)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table 1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제1,2기둥(4,4')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상부지붕프레임(30)에 의해 상부지붕(7)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는 기둥연결보(51)에 의해 두 개의 제1,2기둥(4,4')이 연결되어 있고, 중간 일측에는 하부지붕프레임(40)에 의해 하부지붕(8)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유압실린더(3)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3)의 실린더로드의 결합부 외측에는 기둥커버(9)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first and
조립 및 설치방법은 도1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is as shown in Figure 1 to Figure 4,
먼저 일정간격으로 위치시킨 두개의 제1,2기둥(4,4')의 최상부에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을 용접 또는 나사로 연결한 다음, 상기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을 중심으로 타원형 형상을 이루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바둑판형상으로 가로 세로 일정간격으로 경사지도록 다수개의 상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 (32)과 상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33)을 설치하여 상부지붕프레임(30)을 구성한 다음, First, the upper roof
상기 상부지붕프레임(30)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두 개의 제1,2기둥 (4,4')의 하부중간 일측에 타원형형상인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의 양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기둥중간부고정프레임(42)을 용접 또는 나사로 결합시킨 다음, 기둥연결보(51)로 제1,2기둥(4,4')의 중간부를 서로 연결시킨 후에, 상기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의 하부에 타원형 형상을 이루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바둑판형상으로 가로 세로 일정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43)과 하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44)을 설치하여 하부지붕프레임 (40)을 구성한 다음,A plurality of spac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oof
받침대(1)의 양측에 설치되어 조작부(20)에 의해 동작하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3)의 실린더로드에 제1,2기둥(4,4')의 하부를 연결시킨 후, 그 연결부에 기둥커버(9)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의 하부에 탁자(10)를 설치하여 탁자(10)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유압실린더커버(11)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3)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 다음, After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first and
상기 상부지붕프레임(30)과 하부지붕프레임(40)에 짚(5)을 틈새 없이 안치한 후에 이음줄(9)로 고정시켜 상,하부지붕(7,8)을 형성시켜 조립을 완성하는 것이다.After the
작동 방법은 상기 두 개의 유압실린더(3)는 하나의 조작부(20)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어 제1,2기둥(4,4')을 상하로 작동시키며,In the operating method, the two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에 통공이 형성된 탁자(2)는 제거하여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table 2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may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초가 원두막은 도10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Another form of thatch be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0 to 18,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상의 구조로 모서리부에는 4개의 유압실린더안치부 (2)가 형성된 받침대(1')와, 상기 받침대(1')의 유압실린더안치부(2)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유압실린더(3)와, 상기 4개의 유압실린더(3)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조작부(20)와, 상부에서 하부로 세로로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제1,2,3,4기둥(4,4',4",4"')과, 상기 제1,2,3,4기둥(4,4',4",4"')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된 상부지붕프레임(30')과, 상기 상부지붕프레임(30')의 상부에 안치되어 용접 또는 나사에 의해 설치되는 사각뿔형상의 용마루프레임(50)에 짚(5)을 올려놓고 이음줄(6)로 고정시켜 형성된 상부지붕(7')과 용마루(60)와, 상기 상부지붕(7')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협하광의 구조로 중앙 상부에는 통공이 형성된 하부지붕프레임(40')에 상기 상부지붕(7')과 같이 짚(5)을 올려놓고 이음줄(6)로 고정시켜 형성된 하부지붕(8')과, 상기 제1,2,3,4기둥(4,4',4",4"')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기둥커버(9)로 구성된 초가 원두막인 것이다.Rounded corners with a rectangular structure, four hydraulic cylinder mounting portions (2 ') having four hydraulic cylinder mounting portions (2) formed at the corners, and four hydraulic cylinder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hydraulic cylinder mounting portions (2) of the support (1'). A
상기 상부지붕(7')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제1,2,3,4기둥 (4,4',4",4"')의 최상부에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용접 또는 나사를 이용해 설치된 상부지붕프레임(30')에 짚(5)을 올려놓고 이음줄(6)로 고정시켜 형성됨으로서 상협하광의 구조를 이루며,As shown in FIG. 12, the upper roof 7 'is welded to the top of the four first, second, third and
상기 상부지붕(7')의 골격이 되는 상부지붕프레임(30')은 제1,2,3,4기둥 (4,4',4",4"')의 최상부에 바둑판형상으로 용접 또는 나사로 결합되어 상기 제1,2,3,4기둥(4,4',4",4"')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지붕(7')의 중심이 되는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과, 상기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을 중심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바둑판형상으로 가로 세로 일정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개의 상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32')과, 상기 상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32')의 최하부를 형성하는 상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3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roof frame 30 'serving as a skeleton of the upper roof 7' is welded or screwed to the top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상기 용마루(6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프레임에 의해 사각뿔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지붕(7')의 상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31')에 안치되어 용접 또는 나사에 의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1, the
상기 하부지붕(8')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붕(7')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된 하부지붕프레임(40')에 상기 상부지붕(7')과 같이 짚(5)을 올려놓고 이음줄(6)로 고정시켜 형성됨으로서, 상기 상부지붕(7')처럼 상협하광의 구조를 이루며,As shown in FIG. 13, the lower roof 8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of 7' and has an upper roof (40 ') formed in a lower roof frame 40' formed of upper and lower beams. 7 ') is formed by placing the straw (5) and fixed with a joint line (6), forming a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light like the upper roof (7'),
상기 하부지붕프레임(40')은 양측부에 통공(45')이 형성된 바둑판형상으로 상부에 형성된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과, 상기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의 모서리부에는 4개의 제1,2,3,4기둥(4,4',4",4"')에 용접 또는 나사로 결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중간부고정프레임(42')과, 상기 하부지붕최상부테두리프레임(41')의 하부에 형성되며 타원형 형상을 이루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바둑판형상으로 가로 세로 일정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43')과, 상기 하부지붕중앙테두리프레임(43')의 최하부를 형성하는 하부지붕최하부테두리프레임(4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lower roof frame 40 'has a lower roof top border frame 41' formed at an upper end in a checkerboard shape having through holes 45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nd a corner of the lower roof top border frame 41'. A plurality of pillar intermediate fixing frames 42 'formed by welding or screwing to four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illars (4,4', 4 ", 4" '), and the lower roof top edge frame And a plurality of lower roof center border frames 43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41' and having an elliptical shape, the diameter of which is increased toward the bottom, and inclin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hape of a checkerboard, and the lower roof center border frame 43 '. It consists of a lower roof lower edge frame (44 ') forming the lowermost part of').
상기 제1,2,3,4기둥(4,4',4",4"')은 상부에는 상부지붕프레임(30')에 의해 상부지붕(7')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는 기둥연결보(51)에 의해 4개의 제1,2,3,4기둥(4,4',4",4"')이 연결되어 있고, 중간 일측에는 하부지붕프레임(40')에 의해 하부지붕(8')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유압실린더(3)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3)의 실린더로드의 결합부 외측에는 기둥커버(9)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illars (4,4 ', 4 ", 4"') have an upper roof (7 ') formed by an upper roof frame (30') at the upper part, and a pillar at the middle part. Four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illars (4,4 ', 4 ", 4"')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작동 방법은 상기 4개의 유압실린더(3)는 하나의 조작부(20)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어 제1,2,3,4기둥(4,4',4",4"')을 상하로 작동시키며,In the operating method, the four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유압실린더(3)의 상부에 탁자(2)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table 2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설치방법은 상기 제1,2기둥으로 형성된 초가 원두막과 동일 유사하여 생략한다.The installation method is similar to that of the thatched bean film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and is omitt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관능검사)(Sensory test)
상기와 같은 초가 원두막을 설치하여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기호도 등에 대해 실시하였다. The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20 trained sensory evaluation personnel by installing the above-mentioned semiconical membran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preference and the like.
<표 1>TABLE 1
관능평점 - 1 : 아주 나쁘다, 아주 약하다Sensory Score-1: Very bad, very weak
2 : 나쁘다, 약하다 2: bad, weak
3 : 보통이다 3: is normal
4 : 좋다, 강하다 4: good, strong
관능검사결과 본 발명의 초가 원두막은 전체적으로 한국인의 정서에 화합되어 친근감, 분위기, 옛적의 회상등이 종래의 개량된 정자보다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 it was found that the thatch bea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generally harmonized with the emotions of the Korean people, and that the familiarity, mood, and reminiscence of the old were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improved sper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벼를 탈곡한 볏짚으로 지붕을 형성하고, 기둥의 하부에는 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압식상하강장치를 설치하고, 천장중앙에는 이중으로 하여 틈새로 공기가 유동하게 하여 원두막내에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켜 태풍이 불어와도 흔들림이 없도록 구조를 개량한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며, 한국형 정자인 추억의 원두막으로서, 골목의 한적한 곳에 설치하거나 판매장, 쉼터 및 사거리의 교통순경이 교통을 정리하는 정리대등으로 사용하여, 옛날을 회상하도록 하여 물질문명화된 한국민의 정서를 함양시키는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a roof with rice straw threshing rice, install a hydraulic lif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height of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double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gap in the bean film It has the direct effect of improving the structure so that it does not shake even when the typhoon blows by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air.It is a Korean style sperm, the memory of which is installed in a secluded area of the alley, or the traffic cop of the sales floor, shelter and crossroads organizes the traffic. It can be used as a sorting table, to recall the old days, and indirectly to cultivate the emotion of the material civilized Korean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9857A KR100752228B1 (en) | 2004-03-24 | 2004-03-24 | Thatched Cab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9857A KR100752228B1 (en) | 2004-03-24 | 2004-03-24 | Thatched Cabi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4964A KR20050094964A (en) | 2005-09-29 |
KR100752228B1 true KR100752228B1 (en) | 2007-08-28 |
Family
ID=3727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9857A KR100752228B1 (en) | 2004-03-24 | 2004-03-24 | Thatched Cab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222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329B1 (en) * | 2006-09-07 | 2007-09-05 | 오순상 | Roof structure |
CN108252537B (en) * | 2017-12-21 | 2020-07-31 | 安徽瀚一景观规划设计院有限公司 | Building view pavilion with adjustable |
KR102520319B1 (en) * | 2022-10-13 | 2023-04-13 | 태양조경 주식회사 | Expansion method and pergola roof expansion rescus |
KR102528642B1 (en) * | 2022-10-13 | 2023-05-09 | 태양조경 주식회사 | Expansion method and pergola roof expansion rescu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05097A (en) * | 1996-05-14 | 1997-11-28 | Sekisui House Ltd | Device for experiencing inclination of residential building |
JP2001220824A (en) * | 2000-02-05 | 2001-08-17 | Tsutomu Omisha | Assembly and disassembly type shed |
KR200254959Y1 (en) | 2001-09-05 | 2001-11-27 | 김성태 | Portable assembly bungalow |
KR200316140Y1 (en) | 2003-03-11 | 2003-06-11 | 김성태 | Portable assembly bungalow or canopy tent |
KR100406421B1 (en) * | 2003-06-02 | 2003-11-19 | Jeong Dae Lee | Moving lookout shed |
KR20190000870A (en) * | 2018-12-24 | 2019-01-03 | (주)제이브이엠 | 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 |
-
2004
- 2004-03-24 KR KR1020040019857A patent/KR10075222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05097A (en) * | 1996-05-14 | 1997-11-28 | Sekisui House Ltd | Device for experiencing inclination of residential building |
JP2001220824A (en) * | 2000-02-05 | 2001-08-17 | Tsutomu Omisha | Assembly and disassembly type shed |
KR200254959Y1 (en) | 2001-09-05 | 2001-11-27 | 김성태 | Portable assembly bungalow |
KR200316140Y1 (en) | 2003-03-11 | 2003-06-11 | 김성태 | Portable assembly bungalow or canopy tent |
KR100406421B1 (en) * | 2003-06-02 | 2003-11-19 | Jeong Dae Lee | Moving lookout shed |
KR20190000870A (en) * | 2018-12-24 | 2019-01-03 | (주)제이브이엠 | 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04064210000 |
132208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4964A (en) | 2005-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12011103142B4 (en) | Container-type system stand for indoor / outdoor exhibition or indoor / outdoor event | |
JPH05503330A (en) | multipurpose stadium | |
KR100752228B1 (en) | Thatched Cabin | |
US3788014A (en) | Roof | |
US10323370B2 (en) | Traffic cone | |
CN100582422C (en) | Gazebos | |
CN202145777U (en) | Gardening tent | |
CN101809241A (en) | Auditorium | |
US3854254A (en) | Patio canopy structure | |
CN201326289Y (en) | Double-layer tent | |
KR200495798Y1 (en) | Roof steel sheet apparatus for improvement a water distribution | |
KR100893107B1 (en) | Outdoor tent structure | |
KR200386284Y1 (en) | Large tent structure with tension regulating system of awning | |
CN208011524U (en) | A kind of gardens Landscape Lighting being easily installed | |
CN113187309A (en) | Multifunctional tent for field camping | |
CN204950209U (en) | Multilayer mosquito net | |
EP1452671A1 (en) | Screen element | |
RU98455U1 (en) | PAVILION Dismountable Awning (OPTIONS) | |
AU2019100153A4 (en) | a tent with multiple rooms | |
JP3393331B2 (en) | Simple assembly circular house | |
CN206299209U (en) | A kind of three guarantees Mongolia pack arrangement | |
AU2019100142A4 (en) | a tent rooftop covering and a tent | |
JPH0681524A (en) | Enclosing frame body, enclosure, screen and decorative mount | |
CN217461624U (en) | Outdoor wayside pavilion | |
CN213391341U (en) | Assembled landscape corridor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