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066B1 - Sterilizing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 Google Patents
Sterilizing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1066B1 KR100751066B1 KR1020050119246A KR20050119246A KR100751066B1 KR 100751066 B1 KR100751066 B1 KR 100751066B1 KR 1020050119246 A KR1020050119246 A KR 1020050119246A KR 20050119246 A KR20050119246 A KR 20050119246A KR 100751066 B1 KR100751066 B1 KR 1007510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ozone
- agricultural
- water
- cha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29940090046 jet injector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33 desa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채류, 근채류, 염채류, 과일류 등의 농산물과 멸치, 오징어 등의 수산물을 세척실의 물에 담그고 세척실의 하부에서 노즐을 통해 오존을 포함한 공기방물을 미립화하여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분출시킴에 따라 농수산물을 세척하면서 오존에 의해 살균과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클러스터를 분해시켜 줌으로써 농수산물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merses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fruit, root vegetables, salt vegetables, fruits, and marine products such as anchovies and squid in water of the washing chamber, and atomizes air droplets including ozone through nozzle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chamber to eject them at a relatively high press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ation washer for mobile agricultural products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by removing the sterilization and harmful substances by ozone and decomposing clusters while wash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농수산물, 멸치, 오존발생기 Agricultural products, anchovy, ozone generato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ilizing cleaner for moving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 state sterilizing cleaner for moving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용 제트인젝터의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et injector for moving sterilization washer for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의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sterilization washer for moving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의 오존발생실과 세척실을 보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zone generating chamber and the washing room of the sterilization washing machine for moving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본체 102: 바퀴100: main body 102: wheels
110: 격벽 120: 기계실110: bulkhead 120: machine room
130: 오존발생실 140: 세척실130: ozone generating chamber 140: washing chamber
200: 오존발생기 310: 펌프200: ozone generator 310: pump
320: 제트인젝터 330: 노즐320: jet injector 330: nozzle
332: 제트분출홀 400: 컨트롤박스332: jet jet hole 400: control box
500: 세척강화부 510: 플레이트500: washing strengthening unit 510: plate
512: 다공 514: 지지턱512: porous 514: support jaw
520: 용기 522: 안내공520: container 522: guideman
530: 뚜껑530: lid
본 발명은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채류, 근채류, 염채류, 과일류 등의 농산물과 멸치, 오징어 등의 수산물을 세척실의 물에 담그고 세척실의 하부에서 노즐을 통해 오존을 포함한 공기방물을 미립화하여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분출시킴에 따라 농수산물을 세척하면서 오존에 의해 살균과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클러스터를 분해시켜 줌으로써 농수산물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terilization washing machine for farm products, and more particularly,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fruits, vegetables, root vegetables, salt vegetables, fruits, and aquatic products such as anchovies and squids are immersed in the water of the washing room and through a nozzle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room. By discharging air defenses including ozone to eject at a relatively high pressure, sterilization and harmful substances are removed by ozone while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disintegrating clusters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It is about.
수작업을 통하여 농수산물을 세척하는 경우, 정밀한 세척을 할 수 있고 세척 결과를 일일이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개인간의 능력 차이에서 오는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세척 정도가 균일하지 못하므로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큰 차이가 생기게 된다.When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by hand,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lean and check the washing results one by one, but the overall washing degree is not uniform due to the unevennes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ability between individuals. There will be a difference.
또한, 모양이 복잡한 수삼이나 포도의 경우, 수작업을 하더라도 세척이 어렵고 세척물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In addition, ginseng or grapes with a complicated shape are difficult to clean even by hand, and the washings are likely to be damaged.
따라서, 사람의 힘이 아닌 기계의 힘을 이용한 세척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세척기는 그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이러한 유형에 따라 그 내부 구조를 달리하고 있다. Therefore, a washing machine using a mechanical force rather than a human power is used. There are various types of the washing machines according to their use, and their internal structures vary according to these types.
이러한 다양한 용도 및 구조의 세척기 중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세척기는 주로 농산물을 다량으로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체를 사용하여 대상의 표면에 붙어 있는 미세한 먼지를 씻어내어 이를 제 The washing machine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mong these various uses and structures is mainly for washing a large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using a liquid to wash off fine dus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bject
농수산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로서는, 예를 들면 브러쉬형 세척기와 텀블러(tumbler)형 세척기가 개발되어 있다.As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for example, a brush washing machine and a tumbler washing machine have been developed.
브러쉬형 세척기는 브러쉬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불순물의 층이 깊고 점착성이 높은 당근, 무와 같은 근채류의 경우에 이용하지만 세척 과정에서 세척물의 표피를 전체적으로 깍아낸것과 같은 손상을 남기는 단점이 있다.Brush-type washing machine is a brush, it is used in the case of root vegetables, such as carrots and radish with a relatively deep impurity layer and sticky, but has the disadvantage of leaving damage such as the entire skin cut off during the cleaning process.
그런데,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브러쉬형 세척기는 건조, 발효 등의 가공 공정에서 별 문제점이 없고, 세척기의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운영비가 낮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However, in spite of these disadvantages, the brush type washing machine has no problem in the drying, fermentation, and other processing processes, and is widely used because the washing machine is low in cost and low in operating cost.
한편, 인삼, 각종 생약, 구근류 및 멸치 등과 같은 농수산물 세척기로 폭 넓게 사용되는 텀블러 세척기는 인삼의 흠집 사이를 깨끗이 씻어주고 특히, 인삼 세척시에 중미 등 작은 뿌리라도 몸통에서 떨어지지 않게 해주므로 상품 가치를 높여 주는 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umbler Washer, which is widely used as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cleaners such as ginseng, various herbs, bulbs and anchovies, cleans ginseng scratches and prevents small roots such as Central America from falling off the body.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그러나, 종래 농수산물 세척기는 농수산물들이 일부 포함하고 있는 페놀이나 농약, 철분, 수은등과 같은 각종 유해물질들을 제거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washing machine has a problem that can not remove various harmful substances such as phenol, pesticides, iron, mercury, etc. which are included in som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그리고, 종래 농수산물 세척기는 강한 물살에 의해 세척 후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washer has a problem that the product quality after washing by the strong water drop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압력수를 이용하는 제트인젝터에 오존 가스를 흡입시켜 압력수와 함께 노즐을 통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농수산물의 살균력과 세척력을 강화시킴과 아울러 수산물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며 이취(異臭)를 제거하고, 세척실의 내부에서 농수산물의 부유를 방지하며 공기 방울을 미립화 하여 농수산물의 구석구석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njecting ozone gas into the jet injector using the pressure water to be ejected through the nozzle with the pressure water to enhance the sterilization and cleaning power of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 marine produc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infectant washing machine for removing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from the inside of the washing room, preventing the floating of agricultural and aquatic products in the interior of the washing room, and cleaning the corners of the agricultural and aquatic produc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격벽을 설치하여 기계실 및 물을 채운 오존발생실 및 물과 세척할 농수산물을 담은 세척실로 각각 구획하며 상기 오존발생실과 세척실을 연통하여 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격벽에 유체이동공을 통공한 본체와, 상기 오존발생실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공기 중에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어 상기 오존발생실에 채워진 물을 상기 세척실로 펌핑하며 상기 오존발생실과 세척실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상 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실로 펌핑되는 물의 흐름을 제트화하며 오존공기공급호스를 상기 오존발생기와 연결하여 내부를 통과하는 물에 오존을 포함시키는 제트인젝터와, 상기 제트인젝터의 끝단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상기 세척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농수산물의 탈염, 세척 및 살균을 위해 상기 세척실에 잠기는 부위에 제트분출홀을 다수 개 통공하여 물방울과 함께 오존을 포함한 공기방울을 분출하는 노즐과, 상기 펌프와 제트인젝터 및 상기 오존발생기를 외부에서 조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컨트롤박스로 구성되는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artitioned into a machine chamber and an ozone generating chamber filled with water and a washing chamber containing water and agricultural and aquatic products to be washed, and the water is communicated through the ozone generating chamber and the washing chamber. In order to pump the body filled with the fluid movement hole in the partition wall, the 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in the air flowing in the ozone generating chamber, the water installed in the machine chamber filled in the ozone generating chamber to the washing chamber A pump for circulating the water in the ozone generating chamber and the washing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pump to jet the flow of water pumped into the washing chamber, and connects an ozone air supply hose to the ozone generator to ozone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Jet injector comprising a, and at least on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jet injector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Nozzle for ejecting air bubbles including ozone along with water droplets through a plurality of jet blowing holes in the submerged area in the washing room for desalination, washing and sterilization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he pump, the jet injector and the ozone generator It is intended to propose a sterilization washer for moving agricultural products consisting of a control box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operation in the.
그리고, 본 발명은 노즐과 유격되도록 상기 세척실 내부에 안착되며 다수 개의 다공을 통공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다수 개 적층되며 각각의 내부에 농수산물을 담고 미립화된 공기방울을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을 둘레에 통공한 용기와, 상기 세척실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세척실을 닫음시 상기 용기를 눌러 채워진 물 위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로 구성된 세척강화부를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side the washing cha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ozzle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a plurality of stacked on the plate to contain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in each inside to guide the atomized air bubbles inside A sterilization washer for moving agricultural and aquatic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iner through which a guide hole is circumferentially formed,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chamber and preventing the floating of the water over the filled water when the washing chamber is closed. I would like to sugges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sterilization washer for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 state sterilization washer for agricultural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용 제트인젝터의 분해 사시도이다.An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et injector for sterilization washing machine for moving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의 오존발생실과 세척실을 보인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mobile sterilization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zone generating chamber and the washing room of the mobile sterilization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는 본체(100) 내부에 오존발생기(200), 펌프(310) 및 제트인젝터(320)를 구비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2 and 4, the sterilizing cleaner for moving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상기 본체(100)는 설치 장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에 바퀴(102)를 구비한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T'자 형상의 격벽(110)을 설치하여 세 개의 실(室)로 구획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본체(100)는 격벽(110)을 기준으로 좌측 상부에 기계실(120)을 구비하고, 좌측 하부에 오존발생실(130)을 형성하며, 우측에 세척실(140)을 설치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오존발생실(130)과 세척실(140)은 내부에 물을 충진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오존발생실(130)은 내부에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200)를 구비하는데, 상기 오존발생기(200)는 오존발생실(130) 내부에 담겨진 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물의 부력에 의해 중력에 의한 인력을 줄여 본체(100)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오존발생기(200)는 오존발생실(130)에 채워진 물에 일부 담궈 지게 설치됨으로써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수냉식으로 간단히 식힐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세척실(140)은 내부의 물에 농수산물을 담궈 탈염, 세척 및 살균을 행하기 위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오존발생실(130)과 세척실(140)을 구획하는 격벽(110)에는 유체이동공(112)이 통공된다.In particular, the
상기 유체이동공(112)은 세척실(140)과 오존발생실(130) 간의 물의 흐름을 안내하기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세척실(140)은 농수산물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발생되는데, 이 이물질이 유체이동공(112)을 통해 오존발생실(130)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그래서, 상기 유체이동공(112)은 걸름망(114)을 고정 설치한다.Thus, the
또한, 상기 본체(100)는 세척실(140)의 둘레에 해당하는 측면 하부에 배수관(142)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상기 배수관(142)은 세척실(140)의 물이 상당히 더러워진 상태이거나 장기간의 경과로 부패했을 경우 세척실(14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그리고, 상기 배수관(142)은 세척실(140)에 담긴 물의 배수를 단속하기 위해 개폐밸브(144)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개폐밸브(144)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림 및 닫힘 되는 밸브로 한다.At this time, the opening and
한편, 상기 오존발생실(130)은 오존발생기(200)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오존발생기(200)는 상부뚜껑(210), 하부뚜껑(220), 플랜지(230), 유브이램프(240) 및 투명관(250)으로 크게 구성된다.The
상기 상부뚜껑(210)은 상면에 컨트롤박스(400)를 고정 설치하며, 기계실(120)과 오존발생실(130)을 동시에 덮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The
이때, 상기 상부뚜껑(210)은 본체(100) 테두리와 볼트(205)로써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하부뚜껑(220)은 기계실(120)과 오존발생실(13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The
그래서, 상기 상부뚜껑(210)과 하부뚜껑(220) 사이에는 항상 공기가 존재하거나 저장된다.Thus, air is always present or stored between the
이때, 상기 기계실(120)과 오존발생실(130)을 구획하는 격벽(110)은 기계실(120)과 세척실(140) 및 오존발생실(130)과 세척실(140)을 구획하는 격벽(110)보다 낮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기계실(120)과 오존발생실(130)의 둘레에는 걸림턱(224)이 형성되어 하부뚜껑(220)을 지지한다.Then, the locking
그래서, 상기 하부뚜껑(220)은 걸림턱(224)에 볼트(205)로써 체결 고정된다.Thus, the
또한, 상기 하부뚜껑(220)은 오존발생실(130)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공(222)을 통공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플랜지(230)는 하부뚜껑(220)의 설치공(222)에 고정되게 삽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플랜지(230)는 상부뚜껑(210)과 하부뚜껑(22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공기유입구(232)를 형성하고, 발생된 오존가스와 공기(이하, '오존공기'라 한다.)를 제트인젝터(320)로 안내하기 위한 오존공기배출구(234) 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공기유입구(232)는 외부 공기 유입시 공기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에어필터(236)를 구비한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오존공기배출구(234)와 제트인젝터(320)는 오존공기공급호스(322)로 연결되는데, 오존공기공급호스(322) 상에는 체크밸브(323)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체크밸브(323)는 오존발생기(200)에서 발생된 공기를 제트인젝터(320) 내부로 안내하며, 그 반대 방향으로의 오존공기 이동을 차단한다.The
한편, 상기 유브이램프(240)는 컨트롤박스(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의 공급시 발광되며 오존을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유브이램프(240)는 공기유입구(232)로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켜 오존공기를 오존공기배출구(234)로 안내하도록 'U'자 형상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투명관(250)은 하부뚜껑(220)의 설치공(222)에 밀봉되게 삽입 고정되며, 유브이램프(24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오존발생실(130)의 물 속에 담궈지게 설치되어 유브이램프(24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수냉식으로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기계실(120)은 내부에 펌프(310)와 제트인젝터(320)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펌프(310)는 양쪽으로 각각 펌핑관(312)을 구비하여 오존발생실(130)과 세척실(140)의 물 속에 잠기도록 연장한다.The
상기 펌프(310)가 작동하면, 상기 오존발생실(130)의 물은 펌핑관(312)을 통해 세척실(140)로 펌핑되고, 세척실(140)의 물은 유체이동공(112)을 통해 오존발생 실(130)로 안내된다.When the
그래서, 상기 펌프(310)의 작동으로 오존발생실(130)과 세척실(140)의 물은 순환하게 된다.Thus, the water of the
또한, 상기 펌프(310)에서 연장되어 세척실(140)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관 상에는 제트인젝터(32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상기 제트인젝터(320)는 펌프(310)에서 펌핑되는 물의 흐름을 제트 플로어(jet flow), 즉 압력수로 변환한다.The
그리고, 상기 제트인젝터(320)는 오존공기공급호스(322)를 삽입한다.The
상기 오존공기공급호스(322)는 오존발생기(200)의 오존공기유출구(206)와 연결되어 오존발생기(200)에서 발생된 오존공기를 제트인젝터(320) 내부로 안내한다.The ozone
그래서, 상기 제트인젝터(320)는 펌프(310)에서 펌핑되는 물과 오존공기를 함께 비교적 높은 수압으로 분출시킨다.Thus, the
또한, 상기 제트인젝터(320)는 노즐(330)을 연장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트인젝터(320)는 펌핑관(312)과 일단을 나사 결합하며, 타단 내부에 걸림턱부(344)를 형성한 제 1몸체(340)와, 상기 제 1몸체(340)의 걸림턱부(344) 내에 삽입되고,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속을 증가시키는 삽입체(350)와, 상기 삽입체(350)의 끝단부가 끼워져 흐르는 물에 와류 현상을 일으키며, 둘레 상부로 돌출부(362)를 형성한 제 2몸체(360)와, 상기 제 2몸체(360)의 돌출부(362)에 삽입되는 스프링(392)·상기 스프링(392)의 탄성력을 받아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볼(394)·상기 돌출부(362)와 나사 결합되고 오존 공기공급호스(322)와 연결되는 캡부재(396)으로 이루어져 제 2몸체(360) 내부로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개폐부(390)와, 상기 제2몸체(40)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과 오존을 혼합하기 위해 와류를 형성하며 와류스프링(37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나선형와류날개(370)와, 상기 제 2몸체(360)의 타단에 결합되며 노즐(330)과 연결되어 물과 오존공기를 노즐(330)로 안내하는 제 3몸체(380)로 구성된다.Here, as shown in Figure 3, the
또한, 상기 노즐(330)은 격벽(110) 중 물이 차지 않은 부위를 통과한 후 격벽(110)을 따라 하강되어 세척실(140)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노즐(330)은 세척실(140)의 물 속에 잠긴 부위의 둘레에 다수 개의 제트분출홀(332)을 통공한다.In addition, the
그래서, 상기 제트인젝터(320)에서 분출되는 물과 오존공기는 제트분출홀(332)을 통해 세척실(140)에 담긴 물로 분출된다.Thus, water and ozone air jetted from the
이때, 상기 제트분출홀(332)을 통해 분출되는 오존공기로 인해 세척실(140) 내부에는 공기방울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ir bubbles are formed in the
또한, 이 공기방울이 높은 분출압력으로 인해 세척실(140) 내부에 담긴 농수산물을 타격하기 때문에 농수산물은 삼투압 작용에 의해 클러스터가 분해되면서 세척되고, 공기방울에 포함된 오존에 의해 탈염되고 살균되며, 수산물의 경우 육질이 부드러워진다.In addition, since the air bubbles hit the agricultural products contained in the
한편, 상기 오존발생기(200)와 펌프(310) 및 제트인젝터(320)는 컨트롤박스(400)에서 수동에 의해 작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컨트롤박스(400)는 오존발생기(200)와 펌프(310) 및 제트인젝터 (320) 각각을 온, 오프하기 위해 해당하는 기능스위치(402)를 구비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400)는 오존발생기(200)의 상부뚜껑(201)에 고정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실(140)은 바닥에 설치된 노즐(330)의 제트분출홀(332)을 통해 높은 수압으로 물방울 및 공기방울이 상부 방향으로 분출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and 5, the
이때, 상기 세척실(140)에 담궈진 농수산물은 이 수압에 의해 세척실(140)의 수면 위로 떠오르거나 세척실(140) 외부로 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soaked in the
그리고, 상기 제트분출홀(332)을 통해 분출되는 물방울 및 오존공기의 공기방울은 입자가 커서 농수산물의 구석구석을 탈염, 세척 및 살균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droplets and the air bubbles of the ozone air that are ejected through the
그래서, 상기 세척실(140)은 세척강화부(500)를 별도로 구비하여 농수산물을 항상 세척실(140)의 물 속에 잠겨 있도록 하며, 물방울 및 공기방울의 입자를 미립화하여 농수산물의 구석구석을 탈염,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도록 한다.Thus, the
이때, 상기 세척강화부(500)는 플레이트(510)와 용기(520) 및 커버(530)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플레이트(510)는 세척실(140)의 내부에서 지지턱(514)에 지지됨과 아울러 노즐(330)과 소정 간격 유격되게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 개의 다공(512)을 형성한다.The
상기 플레이트(510)가 노즐(330)과 소정 유격되는 이유는 노즐(330)의 제트분출홀(332)을 통해 분출되는 물방울 및 공기방울의 진행파장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즉, 상기 플레이트(510)와 노즐(330)의 간격이 너무 짧으면, 물방울과 공기방울의 분출시 발생되는 파장이 플레이트(510)에 부딪히며 상쇄된다.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510)와 노즐(330)의 간격이 너무 길면, 물방울과 공기방울의 분출시 발생되는 파장이 너무 약화된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상기 노즐(330)의 제트분출홀(332)에서 분출된 물방울 및 오존공기의 공기방울은 비교적 큰 입자를 이루기 때문에 미립화 해서 플레이트(510)를 통과하도록 플레이트(510)는 표면에 다공(512)을 통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droplets and the air bubbles of the ozone air ejected from the
또한, 상기 플레이트(510) 상에는 용기(520)가 적층되고, 농수산물을 용기(520) 내부에 담겨지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용기(520)는 둘레에 안내공(522)을 통공하여 플레이트(510)의 다공(512)을 통해 상부로 분출되는 미립자 상태의 오존공기를 통과시켜 삼투압 작용으로 농수산물을 탈염, 세척 및 살균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적층된 용기(520) 중 최상층의 용기(520)에 담긴 농수산물은 오존공기의 분출속도에 의해 세척실(140)의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At this time,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contained in the
그래서, 상기 본체(100)는 세척실(140)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530)를 구비한다.Thus, the
상기 커버(530)는 세척실(140)과 완전히 분리 가능하며, 세척실(140)을 닫음으로서 외부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오존공기의 분출속도에 의해 용기(520) 및 농수산물이 세척실(14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즉, 상기 용기(520)는 플레이트(510) 상에 적층되고, 최상층의 용기(520)는 테두리를 커버(530)와 접하게 되면서 세척실(140)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용기(520)끼리는 서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520) 사이의 농수산물은 용기(520)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며, 최상층의 용기(520) 내부의 농수산물은 커버(530)에 의해 용기(520)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한다.At this time, since the
그리고, 상기 커버(530)는 손잡이(532)를 구비하여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세척실(140)은 마주하는 내측벽에 동일 선상으로 지지턱(514)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래서, 상기 플레이트(510)는 지지턱(514)에 의해 노즐(330)과 소정 거리 유격된다.Thus, the
한편, 상기 커버(53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제트분출홀(332)에서 분출되는 물방울 및 공기방울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막힘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농수산물의 세척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오존발생실(130)에 해당하는 본체(100)의 측면에는 내부의 오존발생기(200)의 유브이램프(240)의 발광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04)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는 제트인 젝터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수압력으로 농수산물을 빠른 시간 내에 탈염함에 따라 농수산물이 물 속에 오래 담겨짐에 따른 상품성 저하를 방지하고, 양질의 오존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sterilization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jet injecto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merchandise due to long soaking of aquatic products in water by desalting the aquatic products with high water pressure in a short time, and high quality ozone wa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upply.
그리고, 본 발명은 농수산물에 유브이램프의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농수산물을 살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erilizing power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because it irradiates the light of the agricultural u-lamps.
또한,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오존가스로 세척하며 살균하기 때문에 살균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terilization power is enhanced because it sterilizes and washes agricultural products with ozone gas.
그리고, 본 발명은 오존가스로 농수산물을 세척 및 살균하기 때문에 농산물의 이취(異臭)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remove the off-flavor (off) of agricultural products because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washed and sterilized with ozone gas.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9246A KR100751066B1 (en) | 2005-12-08 | 2005-12-08 | Sterilizing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9246A KR100751066B1 (en) | 2005-12-08 | 2005-12-08 | Sterilizing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4646U Division KR200409965Y1 (en) | 2005-12-08 | 2005-12-08 | Sterilizing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0205A KR20070060205A (en) | 2007-06-13 |
KR100751066B1 true KR100751066B1 (en) | 2007-09-05 |
Family
ID=3835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92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1066B1 (en) | 2005-12-08 | 2005-12-08 | Sterilizing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106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8842B1 (en) * | 2021-01-07 | 2021-06-01 | 주식회사 해청테크 | Seafood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
KR102258841B1 (en) * | 2020-10-29 | 2021-06-01 | 주식회사 해청테크 | Laver aquaculture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97876B (en) * | 2020-03-26 | 2022-08-26 | 海清技术株式会社 |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for laver farm |
KR102413449B1 (en) | 2021-10-27 | 2022-06-27 | 주식회사 이엔지스토리 | Cleaning system by controlling movement and flow of object through rotating of plat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0049A (en) | 1998-04-10 | 1999-10-26 | Matsushita Refrig Co Ltd | Washing of vegetable and machine for washing vegetable |
KR100229776B1 (en) | 1997-10-17 | 1999-11-15 | 문희갑 | Ozonic water washing apparatus of bean for bean sprouts |
JP2002119203A (en) | 2000-10-17 | 2002-04-23 | Hoshizaki Electric Co Ltd | Cold water treating apparatus |
KR20020076831A (en) * | 2001-03-30 | 2002-10-11 | 배근수 | Grain processing method using ozon and device thereof |
KR100421780B1 (en) | 2001-12-28 | 2004-03-11 | 한국기계연구원 | The washer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equipped with ejecters |
KR20050090148A (en) * | 2004-03-08 | 2005-09-13 | 조성오 | Multipurpose farm produce sterilization dry machine |
-
2005
- 2005-12-08 KR KR1020050119246A patent/KR10075106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9776B1 (en) | 1997-10-17 | 1999-11-15 | 문희갑 | Ozonic water washing apparatus of bean for bean sprouts |
JPH11290049A (en) | 1998-04-10 | 1999-10-26 | Matsushita Refrig Co Ltd | Washing of vegetable and machine for washing vegetable |
JP2002119203A (en) | 2000-10-17 | 2002-04-23 | Hoshizaki Electric Co Ltd | Cold water treating apparatus |
KR20020076831A (en) * | 2001-03-30 | 2002-10-11 | 배근수 | Grain processing method using ozon and device thereof |
KR100421780B1 (en) | 2001-12-28 | 2004-03-11 | 한국기계연구원 | The washer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equipped with ejecters |
KR20050090148A (en) * | 2004-03-08 | 2005-09-13 | 조성오 | Multipurpose farm produce sterilization dry machi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8841B1 (en) * | 2020-10-29 | 2021-06-01 | 주식회사 해청테크 | Laver aquaculture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
KR102258842B1 (en) * | 2021-01-07 | 2021-06-01 | 주식회사 해청테크 | Seafood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0205A (en) | 2007-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1017B1 (en) | Cleansing apparatus by flowing water and micro bubble | |
US5562114A (en) | Produce washer with rotating basket | |
US5551461A (en) | Produce washer | |
KR20140086573A (en) | A washing and disinfection device of a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micro-bubble | |
JP4414482B1 (en) | Food cleaning equipment | |
JP2002085036A (en) | Cleaning machine | |
JP6427217B2 (en) | Vegetable washing apparatus and vegetable wash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100751066B1 (en) | Sterilizing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 |
KR20200080855A (en) | Three washing tubs connected Bubble Automatic Washer | |
KR20170138335A (en) |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264143B1 (en) | Apparayus for sterilizing and washing vegetables | |
JP2001169934A (en) | Washing machine | |
WO2020233654A1 (en) | Crop cleaning machine | |
KR100644763B1 (en) | Vegetable washer | |
KR200409965Y1 (en) | Sterilizing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 |
CA2584895A1 (en) | Lift/immersion bath | |
JP2005295866A (en) | Food processing device | |
KR101289909B1 (en) | A water-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live fish aquarium | |
JP2007228981A (en) | Machine for washing fruit vegetable food with hand | |
JPH08239A (en) | Microbicidal apparatus for food | |
KR100522406B1 (en) | Cleaning system using ultrasonic for dissolved air flotation | |
JP4009909B2 (en) | Hand washing machine for fruit vegetables | |
KR200379422Y1 (en) | Ultrasonic cleaner | |
CN108451405A (en) | A kind of microbubble vegetables and fruits slot | |
CN200938832Y (en) | Multifunction vegetables and fruits detoxify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