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9726B1 - 악취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726B1
KR100749726B1 KR1020060026771A KR20060026771A KR100749726B1 KR 100749726 B1 KR100749726 B1 KR 100749726B1 KR 1020060026771 A KR1020060026771 A KR 1020060026771A KR 20060026771 A KR20060026771 A KR 20060026771A KR 100749726 B1 KR100749726 B1 KR 10074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odor
microorganisms
water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재
Original Assignee
(주)세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세종이엔지
Priority to KR102006002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7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8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glacier crampons, mountain climbing ir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설비의 외형을 줄이면서 처리시간과 처리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탈취장치로, 담체의 습도유지를 위한 급수장치에 별도로 미생물 배양장치를 구비하여 배양된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담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고, 탈취탑으로 유입되는 악취를 1차 처리할 수 있도록 미생물이 포함되어있는 공급수를 악취와 혼합시키는 혼합 장치를 구비하므로서 미생물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순간적인 고농도의 악취와 충격부하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악취 탈취장치이다.
본 발명은 탈취된 담체(13)를 구비한 탈취탑(10)과, 상기 담체(13)의 상부에 저장탱크(21)의 공급수를 살수하여 적정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 공급수 공급수단(20)과, 상기 탈취탑(10)에 악취를 공급하도록 탈취휀(31)에 의하여 악취를 포집하여 악취공급관(32)을 통해 강제로 공급시키도록 한 악취공급수단(30)으로 구성한 악취탈취장치로서, 상기 담체(13)에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미생물 배양기(41)로부터 펌프에 의하여 미생물 공급라인(42)을 통해 상기 공급수라인(22)에 미생물을 설정시간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자동,공급하도록 한 미생물 공급수단(4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악취탈취, 악취제거, 담체, 탈취탑, 미생물 배양기,

Description

악취 탈취장치{deodorizer}
도 1은 종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3은 혼화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탈취탑 13: 담체
20: 공급수 공급수단 21: 저장탱크
30: 악취공급수단 31: 탈취휀
32: 악취공급관 40: 미생물 공급수단
41: 미생물 배양기 50: 혼화수단
본 발명은 담체에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배양하여 공급하도록 하여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할 수 있도록 하는 악취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하. 폐수 및 분뇨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크게 3가지 방식에 의 해 처리되고 있는 바,
첫째로 활성탄 흡착을 이용한 흡착식과, 둘째로 약액 세정, 중화, 연소법의 화학적 처리식과, 셋째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를 분해하는 생물학적 분해방식 등이 있으며, 이들 중 아직은 현장별로 선택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나 모든 하. 폐수 또는 분뇨처리장에 일괄적으로 적용하는데 무리가 있다 할 것이다.
대부분의 탈취방식은 설치부지 및 초기 투자비용과 유지 관리비용 등 기타 여러 가지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투자 비용만큼의 만족할 만큼의 결과치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안정적인 운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와 비용이 필요하여 많은 인적, 물적 자원이 소요되고 있다.
그러나 허용농도 이상의 악취의 유입과 충격부하에 따른 신속한 대처는 어려우므로 그에 따른 보완책으로 부대설비를 갖추고는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제한적인 보조설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정상적인 운전이 되기 위해서는 자력적인 정상운전이 아닌 수동방식 운전이나 일정시간을 필요로 하는 운전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기존의 설비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 보완하여 신설 처리장의 설계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기존의 처리장에도 설치. 운전할 수 있는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이오 필터(Bio Filter)설비로 기본적인 구조라 할 수 있는 악취 탈취장치를 보인 것으로, 여기서 언급하는 바이오 필터는 통상적으로 생물학 적 분해방식을 의미하며, 현재 모든 하. 폐수 또는 분뇨처리장에서 사용하는 보편적인 설비방식을 의미한다.
탈취탑(1)의 중간부에 구성한 담체(3)에 공급수 저장탱크(4)에서 펌프에 의하여 공급수라인(5)을 통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살수하여 습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함과,
탈취휀(2)에 의하여 포집된 악취를 악취공급관(6)을 통해 탈취탑(1)의 하부 공간에 유입시키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처리 방식은 탈취휀(2)에 의해 포집된 악취가 탈취탑(1)으로 유입되어 일정시간(약 9초~18초)을 체류하며 미생물이 식종되어 있는 담체(3)와 접촉하면서 미생물에 의해 악취가 분해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성중 담체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보존을 위한 보조설비(7)인 영양제 및 중화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탱크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미생물이 받는 충격부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장치이나 이는 어디까지나 일시적 운전방식으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방식이라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처리방식은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이 포집된 취기가 탈취탑내로 유입되어 일정시간 체류하면서 미생물 담체와 접촉하여 악취가 분해된다. 이때 미생물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담체 표면을 흘러내리는 수분에 의해 미생물과 영양류가 유실되는 등 여러 조건에 의한 탈취효율이 점차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미생물 개체수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보조설비 인 영양제 공급장치와 순환공급수의 PH를 조절할 수 있는 중화장치를 갖추어 일정량의 영양제와 중화제를 투여하는 보조설비를 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하고도 실제적으로 급작스런 악취농도와 충격부하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어 그 효과는 미흡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영양제 등은 특히 하절기에 쉽게 부패되기 때문에 이를 유지하기 위한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 설비의 외형을 줄이면서 처리시간과 처리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탈취장치로, 담체의 습도유지를 위한 급수장치에 별도로 미생물 배양장치를 구비하여 배양된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담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고, 탈취탑으로 유입되는 악취를 1차 처리할 수 있도록 미생물이 포함되어있는 공급수를 악취와 혼합시키는 혼합 장치를 구비하므로서 미생물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순간적인 고농도의 악취와 충격부하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악취 탈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전체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혼화장치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부호 10은 탈취탑으로, 외부 상부에 탈취된 기체가 대기로 방출하도록 배기 구(11)를 설치하고 하부에 배수관(12)을 설치하면서 내부 중간부에 악취를 탈취하는 담체(13)를 구비하며, 이 담체(13)에는 미생물이 식종된다.
상기 담체(13)의 상부에 저장탱크(21)의 공급수를 펌프에 의하여 공급수라인(22)을 거쳐 일정시간 간격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노즐(23)에 의해 살수하여 적정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배수관(12)과 연결되는 공급수 공급수단(20)을 구비한다.
상기 탈취탑(10)에 악취를 공급하도록 탈취휀(31)에 의하여 악취를 포집하여 악취공급관(32)을 통해 강제로 공급시키도록 한 악취공급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담체(13)에 배양된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미생물 배양기(41)의 펌프에 의하여 미생물 공급라인(42)을 통해 상기 공급수라인(22)에 미생물을 설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자동,공급하도록 한 미생물 공급수단(40)을 구비한다.
상기 악취공급관(32)에 플랜지이음으로 설치되어 탈취탑(10)으로 유입되는 악취를 1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혼화관(51)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진공압을 발생하도록 형성한 전광후협 형상의 스프레이관(51a)에 탈취탑(10)의 하방과 연결한 재급수라인(52)을 연결하여 악취를 강제 공급할 때 미생물이 포함된 공급수가 모세관현상에 의한 스프레이 작용으로 강제로 유입되는 악취에 미세하게 혼화되도록 한 혼화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 미생물 공급수단(40)은, 내부에 배양조(41a)를 갖는 미생물 배양기(41)와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적정한 환경(온도, 영양, 산소)을 갖도록 온도 유지를 위한 히타 등의 가온기(도면에 표시되지 않음), 산소공급기(43), 일정량의 영양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영양제 투입기(44) 등으로 이루어져 일정기간 동안 미생물을 배양하여 미생물을 설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자동,공급하도록 하는 설비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탈취휀(31)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수거하여 악취공급관(32)을 통해 불어넣어 주면 악취공급관(32)에 설치된 혼화장치(50)를 통과할 때 혼화관(51)내에 형성한 스프레이관(51a)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재급수라인(52)을 통해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공급수가 스프레이관(51a)에 모세관현상으로 올라와 유입되는 악취에 미세하게 분무되어 혼화작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급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에 의하여 1차적으로 탈취작용이 이루어지면서 탈취탑(10)의 하부에 유입된다.
그리고 악취는 담체(13)를 통과하는 체류과정을 거치면서 충진된 필터 메디아에 식종되어 악취를 먹이로 하는 미생물막과 접촉에 의하여 악취를 미생물이 분해하는 탈취작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탈취가 되어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담체(13)의 상부에 저장탱크(21)의 공급수가 펌프에 의해 급수라인(22)을 거쳐 노즐로 담체(13)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살수하므로 담체(13)에 충진된 메디아에서 안정적으로 악취를 분해할 수 있도록 메디아의 습도(70-85%)를 유지하여 준다.
동시에 미생물 배양기(41)에 의하여 배양된 미생물이 펌프에 의해 상기 공급수라인(22)에 주기적으로 자동공급하므로 공급수가 담체(13)에 살수될 때 미생물이 함께 공급되어 담체(13)에 악취를 분해하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일정하게 유지 또는 증가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미생물을 직접적으로 배양하여 지속적으로 담체에 공급함으로써 미생물의 개체수를 적정하게 유지 또는 증가시켜 탈취효율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탈취탑의 외형을 대폭적으로 줄여 점유면적을 줄일 수 있고, 유입되는 악취의 농도(고농도, 저농도)에 관계없이 처리효율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유입되는 악취와 미생물이 포함된 공급수를 혼합하여 1차적으로 악취를 처리함으로써 탈취효율을 극대화하므로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기능으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상부에 배기구(11)와 하부에 배수관(12)을 설치되면서 내부 중간부에 악취를 탈취하는 담체(13)를 구비한 탈취탑(10)과, 상기 담체(13)의 상부에 저장탱크(21)로부터 공급수를 펌프에 의하여 공급수라인(22)을 통해 살수되도록 한 공급수 공급수단(20)과, 상기 탈취탑(10)의 하부에 탈취휀(30)으로 악취를 포집하여 악취공급관(32)을 통해 악취를 공급되도록 한 악취공급수단(40)과, 상기 공급수라인(22)을 통해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미생물 공급수단(40)으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공급수단(40)은 내부에 배양조(41a)를 구비하면서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급수라인(45) 및 배출라인(46)을 갖도록 한 미생물 배양기(41)의 일측으로 산소공급기(43) 및 영양제투입기(44)를 각각 연결하여 배양되는 순수 미생물을 설정시간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자동,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악취공급관(32)의 인입부선상에 플랜지이음으로 연결되면서 내부에 형성된 스프레이관(51a)에 탈취탑(10)의 하방과 연결하는 재급수라인(5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를 유입되는 악취에 분사하여 혼화되어 1차 악취 탈취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혼화관(51)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탈취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60026771A 2006-03-24 2006-03-24 악취 탈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49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771A KR100749726B1 (ko) 2006-03-24 2006-03-24 악취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771A KR100749726B1 (ko) 2006-03-24 2006-03-24 악취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726B1 true KR100749726B1 (ko) 2007-08-16

Family

ID=3861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7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9726B1 (ko) 2006-03-24 2006-03-24 악취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7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62B1 (ko) 2009-08-27 2010-01-26 오성산업(주)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972664B1 (ko) 2010-03-24 2010-07-28 주식회사 우성테크 오염된 기체 정화장치
KR101657114B1 (ko) 2015-10-12 2016-09-19 (주)세종이엔지 분진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 제거수단을 갖는 악취 탈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52A (ko) * 1999-09-17 2000-02-07 임재신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EP1059113A1 (en) 1999-06-08 2000-12-13 Monsanto Europe S.A./N.V. Method for biological cleaning of contaminated gas
JP2002210325A (ja) 2001-01-23 2002-07-30 Kubota Corp 膜型生物脱臭塔および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9113A1 (en) 1999-06-08 2000-12-13 Monsanto Europe S.A./N.V. Method for biological cleaning of contaminated gas
KR20000006652A (ko) * 1999-09-17 2000-02-07 임재신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JP2002210325A (ja) 2001-01-23 2002-07-30 Kubota Corp 膜型生物脱臭塔および運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62B1 (ko) 2009-08-27 2010-01-26 오성산업(주)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972664B1 (ko) 2010-03-24 2010-07-28 주식회사 우성테크 오염된 기체 정화장치
KR101657114B1 (ko) 2015-10-12 2016-09-19 (주)세종이엔지 분진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 제거수단을 갖는 악취 탈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307B1 (ko) 축산시설 악취처리 시스템
KR100725967B1 (ko)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저감형 액체비료의 생산 방법.
KR101056064B1 (ko) 고농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장치
KR20170003493A (ko) 냄새를 저감하는 퇴비생산 방법
CN104001421A (zh) 一种采用无泡曝气预处理的复合生物除臭工艺与装置
KR102621121B1 (ko) 미생물 탈취 장치 및 탈취 처리 시스템
KR100749726B1 (ko) 악취 탈취장치
KR20070041481A (ko) 가축분뇨 폐수 속성발효 및 퇴,액비 생산 시스템의탈취방법과 장치
KR101303335B1 (ko)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 탈취 시설
KR100267632B1 (ko) 생물학적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물질의 제거방법
JPH0833884A (ja) 脱臭装置付設廃水処理装置
CN211246098U (zh) 集装箱式除臭系统
CN211051226U (zh) 臭气除臭系统
KR20230100392A (ko) 액비화 처리설비와 연계한 악취저감용 안개분무 시스템
CN109893972B (zh) 一种可降解有机废气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033134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제거장치
KR100998193B1 (ko) 모듈형 상향류 바이오 탈취장치
JP2007283239A (ja) 脱臭方法及び脱臭装置
JP3063103B2 (ja) 生物脱臭方法
JP3868168B2 (ja) 悪臭ガスの脱臭方法および装置
JP2001163689A (ja) 家畜糞の肥料化装置用脱臭機
KR20160052093A (ko) 악취물질을 분해시킬 수 있는 Citrobacter gillenii J9 및 이를 이용한 악취가스 제거장치
JP7450914B2 (ja) 脱臭処理システム
KR100785048B1 (ko) 이중 악취 탈취장치
KR200351862Y1 (ko) 생분해와 흡착법이 결합된 악취제거용 다단식 단일반응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