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에는 당업자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설명하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본 발명자가 고려하는 최선의 형태를 제시한다. 그러나, 개선된 코인 분배기에 통합되거나 또는 기존의 코인 분배 장치에 개장(retrofitted)될 수 있는 코인 분배기에서의 코인 걸림을 판정하기 위한 검출 유닛을 특히 제공하기 위 해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가 본원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 공통적인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제공될 수 있다. 용어 "코인"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디스크, 메달(medallions), 금속, 토큰과 전자오락실(arcade), 오락기, 버스 토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분배할 수 있는 물건(item)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어 "코인"은 유통 화폐(monetary currency devices)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호퍼 또는 저장통 내에서 회전하는 코인 픽업 장치(pickup device or selector; 도시되지 않음)는 회전 디스크(114)와 이격된 핀(117)을 포함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코인이 각각 선택되고, 핀(117)에 의해 이격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 디스크(114) 상에서 상방향으로 점차 이동하여,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 부재(121)와 접촉한다. 코인 통로(B)는 호퍼 베이스(112), 하부 가이드(2), 상부 가이드(3)와 도 2에 도시된 커버(4)를 포함한다. 코인 통로(B)의 경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하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고 하부 가이드(2)는 코인보다 약간 두꺼워 구름 지지면(rolling support surface)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2)는 나이프 부재(121)의 상부면(121s)의 단부 부근에 위치되고 나사(5)에 의해 커버(4)의 배면측(reversed side)에 고정된다. 하부 가이드(2)는 제 1 가이드(2a)와 제 2 가이드(2b)와 검출 가이드(2c)를 포함하는 기다랗고 좁은 형상을 가진다. 제 1 가이드(2a)는 나이프 부재(121)의 상부면(121s) 과 같은 높이이고 나이프 부재(121)의 상부면(121s)에 연속한다. 가이드(2b)는 제 1 가이드(2a)로부터 좌하향으로 경사지고 검출 가이드(2c)로 합쳐진다. 가이드들은 코인 통로에서 나란히 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하부 지지면을 집합적으로 제공한다. 가이드(2b)와 검출 가이드(2c) 사이의 높이 갭(6; elevation gap)은 가이드(2c) 상의 장애물(blockage or obstruction)에 의해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앞서의 코인과 접촉할 때 가이드(2b) 상에서 이동하고 있는 다음의 제 2 코인을 지지하여 제 2 코인이 가이드(2b)의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상방향으로 밀리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 2 코인이 코인 통로에서 코인의 정상 주행 경로 위쪽의 연장부 또는 구획으로 상승할 수 있다.
코인 통로의 상부는 커버(4)를 통해 후방 지지부(8)로 연장하는 나사(7)에 의해 커버(4)의 뒤쪽에 고정되는 상부 가이드(3)의 형상에 의해 정의된다. 상부 가이드(3)는 수평 방향에서 대략 "L"자 형상 또는 정현파 형상을 가지며, 하부 가이드(2)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물결 모양의 상부면을 갖는 상부 가이드(3)는 코인의 외측 형상과 서로 보완되는(complemented) 형상을 갖는다. 검출 가이드(2c)가 코인의 직경보다 길고 상부 가이드(3)가 가이드(2b) 위쪽의 제 2 가이드(3a)와, 오목부(3d)와, 오목부(3b)와, 제 3 가이드(3c)를 포함한다. 오목부(3a, 3b)는 코인 통로에 장애물이 있을 때 코인을 수용하고 코인의 위치를 지지하기 적합한 구획을 형성한다.
역전된 "U"자 형상을 갖는 커버(4)는 나사(7)에 의해 호퍼 베이스(112)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4)의 하부 본체는 나사(29)에 의해 나사체결 또는 고정되는 안 내 판(28)에 의해 호퍼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코인 통로의 두께는 특정한 형상 또는 종류의 코인을 수용하도록 종속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 호퍼(112) 내의 커버(4)에 의해 정해진다. 코인 통로(D)는 제 1 통로(b1), 제 2 통로(b2), 제 3 통로(b3), 제 4 통로(b4)를 포함한다. 통로(b1)는 가이드(2b)와 제 2 가이드(3a)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통로(b2)는 오목부(3d) 내의 가이드(2b)에 의해 형성된다. 제 3 통로(b3)는 가이드(2b)와 오목부(3b)에 의해 형성된다. 제 4 통로(b4)는 검출 가이드(2c)와 제 3 가이드(3c)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 출구(136)는 제 4 통로(b4)의 끝에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통로(b1)의 높이는 코인의 직경의 대략 1½배이다. 도 4에 도시된 코인 영역(e)은 제 1 통로(b1)이다. 제 2 통로(b2)의 높이는 코인의 직경보다 약간 높고, 제 3 통로(b3)의 높이는 다시 코인의 직경의 크기의 대략 1½배이다. 마지막으로, 제 4 통로(b4)의 높이는 코인의 직경보다 약간 높다.
코인 검출기 또는 센서(C)는 하기와 같이 작동한다. 기다란 구멍(4h)이 오목부(3b)에 인접하게 커버(4) 아래에 제공된다. 이 구멍은 가이드(2b, 2c)의 지지면 사이의 갭(6)의 반대측으로 연장한다. 축(10)은 코인 통로 위쪽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고정된다. 삼각형 검출 레버 유닛(11)은 채널(channel)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측면판(11a, 11b; side board)과, 연결 판(11c)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검출 레버(11)는 삼각형 형상이고 측면판(11a, 11b) 사이에서 연장하는 고정된 축(10) 상에 회전 지지된다. 스프링(12)은 검출 레버(11)를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바이어스시킬 수 있고, 스프링은 커버(4)의 돌출부(4b)와 연결 판(11c)에 장착 또 는 걸릴(hook) 수 있다. 제 1 축(13)의 단부는 측면판(11a, 11b)에 고정되고 호퍼 베이스(112)의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축(13)은 코인이 막힐 때 제 1 격실 또는 오목부에 도달할 수 있는 상승된 코인과 접촉하는 검출기(14)를 형성한다(도 5 참조). 검출기(14)는 기다란 구멍(4h)을 통해 코인 통로(B)로 돌출하고, 제 3 통로(3b)의 오목부(3b) 부근에 위치된다. 기다란 구멍(4h)의 하단부는 검출기(14)와 결합하고 막히지 않은 코인의 정상적인 통로 위쪽에 이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검출기(14)가 스프링(12)에 의해 스토퍼로 바이어스되면, 검출기는 코인과 접촉하지 않아 코인이 정상적으로 제 3 통로(b3)를 지나간다. 다른 실시예에서 검출기(14)의 일부를 형성하는 축(13)에 롤러가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환 메커니즘 또는 전환부 유닛(D)이 사용될 수 있다. 전환부 유닛(D)은 전환부인 스크레이퍼 부재(21), 레버(22), 연결봉(23)을 포함한다(도 30 참조). 스크레이퍼 부재(21)는 커버(4)의 브라켓(24a, 24b)에 고정되어 있는 축(25) 상에 장착된다. 스크레이퍼 부재(21)는 고정된 축(25)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다. 고정된 축(2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b) 위에 위치된다. 스크레이퍼 부재(21)는 혀모양이고 호퍼 링(118)의 오목부(118r)로 이동될 수 있는 돌출 팁(21t; projecting tip)을 갖는다. 이러한 오목부(118r)는 나이프 부재(121s)의 상면의 중간부 위에 위치된다. 스크레이퍼 부재(21)와 연결되어 있는 레버(22)는 고정된 축(25) 반대쪽으로 연장하고 회전 디스크(114) 반대쪽으로 연장한다. 경사진 기다란 구멍(22b)은 단부(23a)에서 연결봉(23a)에 의해 관통된다. 핀(26)이 레버(22)의 레벨 부품(22a; level piece)에 고정되어 기다란 구멍(22b)을 지나가 구멍(22b)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연결봉(23)의 다른 단부는 검출 레버(11)의 측면판(11a, 11b) 상의 고정된 축(27)에서 회전지지된다. 연결봉(23)의 중간은 가이드판(28)의 상부(28a)와 커버(4) 사이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한다(도 2 참조). 이러한 특정한 형상 또는 구조는 압축력으로 인한 연결봉(23)의 파단을 최소화한다. 정상 작동시에, 검출기(14)는 기다란 구멍(4h)의 하단부에서 결합되고, 스크레이퍼 부재(21)가 도 2에 도시된 경사진 기다란 구멍(22b), 핀(26), 연결봉, 축(27)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스크레이퍼 부재(21)의 단부인 돌출 팁(21t)은 지지면(116) 위에 위치하고 지지면에 대해 예정된 거리를 갖는다(도 2 및 도 3 참조). 결과적으로, 경사진 지지면(116) 상에 안착된 코인이 정상적으로는 스크레이퍼 부재(21)와 접촉하지 않는다.
정상 작동시, 검출기(14)가 기다란 구멍(4h)의 하단부에서 결합되고, 스크레이퍼 부재(21)의 단부(21t)가 시계방향으로 반원으로 움직이도록 검출기(14)에 링크된다. 결과적으로, 혀모양의 단부인 돌출 팁(21t)이 코인 통로를 통해 분배되도록 코인을 지지하는 회전 디스크(114)로부터 예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디스크(114)의 회전중에, 코인은 지지면(116)으로부터 나이프 부재(121)의 상부면(121s)으로 분리되도록 이동한다. 코인은 핀(117)의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면의 좌측으로 밀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코인은 스크레이퍼 부재(21) 아래를 지나간다. 코인이 핀(117)에 의해 눌려 상부면(121s)으로부터 제 1 가이드(2a)로 이동할 때, 코인은 도 2에 도시된 카운트 롤러(133)와 마주하고 이 롤러를 상방향으로 민다. 결과적으로, 이 계수 레버(132)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 고, 예시되지 않은 종래의 방식으로 검출기에 의해 계수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코인이 각각의 통로(b1, b2, b3)를 지나 코인 출구(136)로 방출될 때 전방으로 나아가 가이드(2b) 상에서 구른다.
그러나, 어떤 사람 또는 물체가 이러한 코인의 통로를 막는다면(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참조), 제 1 코인(z1)이 제 3 통로(b3)와 제 4 통로(b4) 사이에 유지된다. 후행의 제 2 코인(z2)이 제 1 코인과 접촉하고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통로에 유지된다. 제 2 코인(z2)과 접촉하고 이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제 3 코인(z3)이 제 2 통로(b2)와 제 1 통로(b1) 사이에 유지되며, 핀(117)에 의해 눌린 제 4 코인(z4)이 나이프 부재(112)의 상부면(121s)으로부터 제 1 가이드(2a) 지지면을 향해 이동한다. 생성된 작용력으로 인해, 제 3 코인(z3)은 제 3 통로(b3)에서 코인 출구(136)를 향해 전방으로 제 4 코인(z4)에 의해 밀리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코인(z3)은 하향 돌출부(3d)에 의해 가이드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상승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고 제 2 코인(z2)에 작용력 벡터를 가하여 이 제 2 코인이 상방향으로 타고 올라가고 검출기(14)와 접촉하고 제 1 구획 또는 오목부(3b)로 상승되게 한다. 그러므로, 코인은 코인 통로(b) 내에서 쌓이지 않고 제 3 코인(z3)의 벡터 f2에 의해 밀린다. 표면(2c, 2b) 사이에 높이의 차 또는 갭이 있기 때문에 벡터 f2의 방향은 가이드(2b)에 대해 평행하고, 제 2 코인(z2)은 제 3 코인(z3)의 누르는 작용력 f2와 반대측의 유지되어 있는 제 1 코인(z1)의 작용력 f1 사이에서 압축된다. 대향 작용력(f1, f2) 간의 각도는 둔각(obtuse angle)이고, 코인은 곡면을 가지므로, 대응하는 벡터 작용력(f3)을 받을 때 코인(z2)은 오목부(3b)로 향해진다. 제 2 코인(z2)은 오목부(3b)의 벽과 검출기(14)에 의해 안내되고 결국에는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코인 형상과 같이 제 1 구획에 도달한다. 검출기(14)는 제 2 토인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려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연결봉(23)은 도면에서 좌측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움직임은 핀(26)이 단부(23a)와 레버(22)에 의해 밀리게 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스크레이퍼 부재(21)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크레이퍼 부재(21)의 돌출 팁(21t)은 오목부(118r)로 이동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디스크(114)의 지지면(116)에 인접한 전환 위치에 위치된다. 제 4 코인(z4)은 제 2 코인(z2)이 오목부(3b)로 이동한 후 핀(117)에 의해 눌린다. 결과적으로, 제 4 코인(z4)은 제 2 격실 또는 원호 부분(3a)으로 이동하고 도 5에 도시된 제 3 코인(z3)에 의해 이 위치에 유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코인은 카운트 롤러(133)를 더 밀고 이 위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3 코인(z3)과 카운트 롤러(33) 사이에 유지되며 계수용 모서리(count corner)는 제 4 코인을 정확히 계수할 수 있고 핀(117)은 코인(z4) 아래를 지나갈 수 있다. 회전 디스크(114)의 회전시에 제 3 코인(z3)이 핀(117)에 의해 밀릴 수 있다. 오목부(3d)의 상대적인 위치가 충분히 높아 코인(z3)이 약간 움직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회전하는 핀(114)은 자유롭게 그 회전을 계속하고 제 3 코인(z3)은 핀(117)이 지나갈 때마다 핀(117)에 의해 약간 움직인다. 스크레이퍼 부재(21)는 전환 위치에 위치되어 지지면(116) 상의 코인이 스크레이퍼 부재(21)의 돌출 팁(21t)과 접촉하지 않는다. 스크레이퍼 부재(21)의 돌 출 팁은 지지면(116)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결과적으로, 코인은 스크레이퍼 부재(21)의 돌출 팁(21t)의 단부에 의해 지지면(116)으로부터 들어올려지고 슬라이딩하여 동전통(119)으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코인은 나이프 부재의 상부면(121s)으로부터 떨어지고 카운트 롤러(133)에 도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코인 출구(21)가 막힐 때, 코인은 코인 통로에서 막히지 않고 4개의 코인만이 계수되고 유지된다. 그러므로, 동전을 계수하는 것을 방해하려고 하는 사람은 코인 통로를 막아도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부품(30)이 나이프 부재(121)의 중간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원호 형상이고 좌측으로 약간 경사진 가이드 면(31)을 갖는다. 검출 가이드(32)를 형성하는 경사진 면이 가이드 부품(30) 뒤에서 나이프 부재(121)의 상부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가이드(2b)와 검출 가이드(2c) 사이의 갭(33)이 높이차(h2)로 나타난다. 각각의 가이드(31)와 검출 가이드(32)는 경사면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가이드(35)는 정삼각형 형상이고 호퍼 베이스(112)에 고정된다. 제 4 가이드(36)는 수평 직선으로 연장하고 상부 가이드(35)의 하부면에 위치한다. 코인 출구(236)는 호퍼 베이스(112)에 고정되는 판(37) 사이에 형성된다.
가이드(30), 나이프 부재(121), 상부 가이드(35)는 회전 디스크(114) 상의 핀(117) 주위에 위치된 스페이서(51)에 고정된다. 스페이서(51)의 가장자리는 안내면(51a)에서 경사져 지지면(116)과 접촉하지 않는다. 나이프 부재(121)와 상부 가이드(35)는 도 6에 도시된 커버(24)에 부착될 수 있는 나사(39)와 같은 패스너(fastener)에 의해 고정된다. 코인 통로(2b)는 가이드(31), 검출 가이드(32), 제 4 가이드(35), 스페이서(51), 커버(24)와 판(37)에 의해 형성된다. 코인 통로(2b)의 enRP는 제 1 실시예의 두께와 유사하다. 판(37)은 코인 통로(2b)의 끝을 덮는다. 제 1 통로(2b1)는 가이드(31)와 제 4 가이드(36)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통로(2b2)는 가이드(31)와 제 4 가이드(36)에 의해 형성된다. 제 3 통로(2b3)는 가이드(31)와 제 4 가이드(36)와 판(37)에 의해 형성된다. 제 4 통로(2b4)는 판(37)의 하부 가장자리(37a)와 검출 가이드(32)에 의해 형성된다.
검출 가이드(2c)는 호퍼 베이스(112)로부터 연장하는 고정된 축(41) 둘레에 회전지지된 검출 레버(42)를 포함한다. 검출 판(43)은 검출 레버(42)의 상부에 있고, 호퍼 베이스(112)의 측면으로 만곡된다. 검출 판(43)은 검출 가이드(2c)의 한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개구(45; opening)가 커버에 형성된다. 개구(4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45)에 인접한 호퍼 베이스 반대쪽에 있다. 검출 레버(42)의 상부의 검출 판(43)이 개구(45, 46) 사이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검출 판(43)이 제 3 통로(2b3)에 위치된다. 검출 판(43)이 개구(45, 46)의 하부 가장자리와 접촉하기 때문에,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편의(bias)되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검출 레버(42)가 제 1 위치에 유지된다. 제 1 위치는 코인의 정상적인 분배 경로 밖에 있다.
도 7에 도시된 전환 장치(2d; diverting device)는 고정된 축(131) 둘레에 회전지지된 레버 부재(50)를 포함한다. 레버 부재(50)는 스프링(예시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제네바 메커니즘(52; Geneva mechanism)은 레버(50a) 의 표면(52a)의 에지(edge)와 레버(42a)의 표면(52b)의 에지를 포함한다.
스크레이퍼 부재(53)는 레버(50)의 검출 레버(42)의 반대측에서 돌출한다. 스크레이퍼 부재(53)는 호퍼 링(118)의 오목부(118r)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단부 돌출부 또는 설상부(53t; end protrusion or tongue)를 갖는다. 그러므로, 스크레이퍼 부재(53)의 단부(53t)는 회전 디스크(114)의 지지면(116) 부근에 위치된 오목부(118r)에 위치된다. 단부(53t)는 지지면 상에 위치될 수 있는 경사진 부분(53m)을 포함한다. 제네바 메커니즘(52)은 하기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레버(42a)의 가장자리면(52b)은 돌출부(55)를 포함한다. 원호 면(56; arc surface)의 중심이 축(41)에 고정된다. 레버(50a)의 에지 면(52a)은 돌출부(57)와 원호 면(56)과 동일한 원호 치수를 갖는 원호 면(58)을 포함한다. 검출 레버(42)는 예정된 거리만큼만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레버(50a)는 돌출부(55)가 돌출부(57)를 누르기 때문에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레버(58)는 돌출부(55)가 돌출부(57)를 누를 때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검출 레버(4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레버(53)의 단부(53t)는 오목부(118r)로 움직인다. 단부(53t)가 예정된 위치로 이동하면 원호 면(56)은 레버(58)와 만난다.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 레버(42a)가 예정된 부분 이상으로 움직여 레버(50a)가 움직이지 않는다.
제 2 실시예의 작동중에, 검출 레버(42)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검출 판(43)은 개구(45, 46)의 하부 에지(45a, 46a)와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검출 판(43)은 정상적으로는 가이드(31)에서 안내되는 코인과 접촉하지 않는다. 레버(50)는 돌출부(57)가 레버(42a)의 돌출부(55)와 결합되므로, 스프링에 의해 밀려 반시계방향 움직임을 멈춘다. 단부(53t)는 오목부(118r) 외측에 위치하며 지지면(116)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회전 디스크(114)가 회전할 때, 코인은 회전 디스크(114) 상의 지지면(116)으로부터 나이프 부재(121)의 상부면(121s)으로 움직인다. 핀(117)은 코인을 상부면(121s) 상에서 좌측으로 밀고, 이 이동 중에 중간부(121m)로 이동되면 카운트 롤러(133)를 누른다. 센서가 카운트 롤러(133)가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코인은 중간부(121m)에서 나아가 제 1 통로(2b1), 제 2 통로(2b2), 제 3 통로(2b3)로 구른다. 코인은 갭(33)과 검출 가이드(32)로 구르고, 코인 출구(236)로 방출된다.
그러나, 출구가 막혀있으면 코인 출구(236)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다. 제 1 코인(z1)이 제 3 통로(2b3)와 제 4 통로(2b4)에 위치된다. 제 2 코인(z2)은 제 1 코인(z1)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제 3 통로(2b3)에 위치된다. 제 3 코인(z3)은 제 2 코인(z2)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제 2 통로(2b2)와 제 1 통로(2b1)에 위치된다. 핀(117)이 회전할 때, 제 4 코인(z4)이 나이프 부재의 상부면(121s)으로부터 중간부(121m)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제 4 코인(z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의 상부면(51b)에 위치된다. 제 2 코인(z2)은 제 3 코인(z3)에 의해 눌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4 가이드(36)로 위쪽으로 밀린다. 결과적으로, 제 2 코인(z2)은 검출 판(43)과 검출 레버(42)로 밀리고 레버(42a)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레버(50a)의 돌출부(57)는 돌출부(55)에 의해 하향으로 눌리고 스크레이퍼 부재(5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축(131) 둘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단부(53t)는 오목부(118r)로 움직여 회전 디스크(114)의 지지면(116) 부근에 위치되어 임의의 새로운 코인을 전환시켜 호퍼 내에 저장되도록 이들을 복귀시킨다.
제 4 코인(z4)은 제 2 코인(z2)이 제 4 가이드(36)를 향해 이동하므로 가이드(31) 근처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 4 코인(z4)은 코인이 스페이서(51)의 상부면(51b)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핀(117) 상으로 약간 들어올려져 있는 오프셋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핀(117)은 제 4 코인(z4)과 접촉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고, 회전 디스크(114)는 계속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검출 레버(42)는 제 2 코인(z2)이 제 1 코인(z1) 뒤에서 상방향으로 캠 운동(cammed)하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계속 있는다. 전환 위치에서, 코인은 단부(53t) 및 경사진 부분(53m)과 접촉하여 이들 코인이 코인 통으로 돌아가고 카운트 롤러(133)와 접촉하여 계수되지 않고, 또한 코인의 최대 방출량은 4개만이고 이들이 기록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부 가이드 부분(302)이 회전 디스크(114)와 호퍼 베이스(112)에 걸쳐 연장하는 커버(304)에 의해 덮혀 있다. 하부 가이드 부분은 지지면(116)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가이드 부재(32x)와, 역시 지지면(116)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가이드 부재(32y)와, 호퍼 베이스(112)를 가로지르는 검출 가이드(32z)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면(32a)이 제 1 가이드 부재(32x)에 구비되고 하향 방향에서 좌측으로 곧게 경사져 있다. 제 2 가이드면(32b)이 가이드 부재(32y)에 구비되고 역시 좌측으로 곧게 경사져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면(32a)에 간극(gap)을 제공하기 위 해 오프셋되어 있다. 검출 가이드면(32c)은 검출 가이드(32z)의 상부면이고 가이드면(32b)으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분(h3)만큼 아래에 위치되고 좌측으로 곧게 경사져 있다. 상부 가이드 부재(303)는 오목한 원호 부분(33b)과 수직으로 연장하는 하향 판(37; downward board)을 갖는다. 상부 가이드면(33b)은 제 2 가이드면(33a)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는 직선 부분(33d)을 또한 포함한다. 검출 유닛(3c)은 커버(304) 상에 고정되어 있는 축(60) 둘레에서 회전지지된 회전하는 검출 레버(61)를 포함한다. 검출 레버(61)의 하부 에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베이스(112)의 측면에서 돌출하는 검출 부품(62)을 갖는다. 검출 레버(61)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밀린다. 기다란 구멍(34h)과 유사한 기다란 구멍(112h)이 호퍼 베이스(112)에 형성된다. 검출 부품(62)은 기다란 구멍(112h)과 기다란 구멍(34h) 사이에 삽입되어 제 3 통로(3b3) 내에 위치된다.
기다란 구멍(34w)이 코인 통로(3b3)를 따라 커버(304)에서 개구되어 코인 위치를 눈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전환부 장치(3d)가 기다란 구멍(62c)으로 연장하는 핀(92)에 의해 검출 레버(61)로 연결된다. 레버(91)는 고정된 축(131) 둘레에서 회전하고 일단부에서 삼각형 형상의 단부(93t)를 갖는 스크레이퍼 부재(93)를 지지하게 된다.
레버(91)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크레이퍼 부재(93)는 오목부(118r)로 이동하고 경사진 면(93s)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116) 근처에 위치된다. 경사진 면(93s)의 기울기는 코인을 지지면(116)의 회전방향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제 3 실시예에서 코인이 정상적으로 배출될 때, 검출 레버(61)는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밀린다. 검출 부품(62)은 기다란 구멍(34h, 112h)의 하부 에지와 접촉하고, 이 위치에서 검출 부품은 이들이 정상적으로는 가이드(62)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코인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핀(9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레버(61a)에 의해 위로 밀린다. 그러므로, 레버(91)가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스크레이퍼(93)의 단부(93t)가 지지면(116)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된다. 디스크(114)의 회전 중에, 코인은 회전 디스크(114)의 지지면(116)으로부터 나이프 부재(121)의 상부면(121s)으로 이동한다.
코인이 상부면(121s)으로부터 제 1 가이드(32a)로 이동할 때, 코인은 나이프 부재(121)와 카운트 롤러(133) 사이를 지난다. 카운트 롤러(133)는 코인에 의해 밀려 센서가 코인의 방출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그 다음에 코인은 개개의 가이드면(32a, 32b, 32c)으로 굴러가 각각 제 1 통로(3b1), 제 2 통로(3b2), 제 3 통로(3b3), 제 4 통로(3b4)를 지나 코인 출구(336)에서 방출된다.
코인 출구(336)가 막히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코인(z1)이 제 3 통로(3b3)와 제 4 통로(3b4) 사이에 유지된다. 제 2 코인(z2)이 가이드면(32b) 상의 제 3 통로(3b3)에 위치된다. 후행의 제 3 코인(z3)이 제 2 통로(3b2)와 제 1 통로(3b1)에 위치된다.
제 4 코인(z4)이 핀(117)에 의해 눌릴 때, 상부면(121s)과 제 1 가이드면(32a)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밀려 제 2 코인(z2)이 격실 또는 구멍(33b)으로 상방향으로 힘을 받고 검출 부품(62)과 접촉한다. 검출 부품(62)은 상방향으로 상 승되어 검출 레버(61)와 링크 레버(61a)가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레버(91)는 핀(92)이 하향으로 눌리기 때문에 유사하게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스크레이퍼(93)의 단부(93t)가 오목부(118r)로 움직이면 지지면(116) 근처에 있게 되고 전환부 위치에 있게 된다(도 12 참조).
또한, 제 4 코인(z4)은 제 2 코인(z2)이 오목부(33b)를 향해 이동할 때 제 2 가이드면(33a) 근처에서 상방향으로 움직인다. 제 4 코인(z4)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코인(z3)과 카운트 롤러(133)에 의해 이 위치에 유지된다. 정해진 바에 따라, 회전 디스크(114)는 핀(117)이 제 4 코인(z4)의 표면 아래를 지나기 때문에 계속 회전할 수 있다. 제 2 코인(z2)이 제 1 코인(z1)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검출 레버(61)는 도 12에 도시된 위치를 계속 유지하고, 코인 통로를 들어가려고 하는 임의의 새로운 코인은 단부(93t)에서 경사면(93s)과 접촉하고, 카운트 롤러(133)에 도달할 수 있기 전에 동전통(119)으로 다시 떨어진다. 다시 코인의 최대 방출량은 계수되는 4개만으로 된다.
제 4 실시예가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나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위치 부재(65)가 커버(404)에 고정되고, 검출 레버(61)가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 스위치 부재(65)의 작동 부재가 푸셔(67; pusher)에 의해 밀리도록 배치된다(도 14 참조).
도 1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어 회로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70)는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용되는 식별 회로(71)를 포함한다. 스위치(65)가 작동될 때, 식별 회로(71)는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식별 회로(71)는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변화될 수 있어 리셋 스위치(72)에 의해 리셋된다. 식별 회로(71)로부터의 출력은 전기 모터(113)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73)로 향해진다. 식별 회로(71)가 정지 신호를 출력할 때, 전원 회로(74)의 접점(75; contact)은 모터 제어 회로(73)에 의해 개방된다. 알람 제어 회로(76)도 식별 회로(7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접점(79, 82)은 알람 제어 회로(76)에 의해 개폐된다. 접점(76)과 제어 회로(78)는 알람 램프 또는 시각 신호기(77; visual signal)를 작동시키고, 전원 회로(74)의 접점(82)은 오디오 알람 스피커(80)를 작동시킨다.
제 4 실시예의 작동시, 검출 부품(62)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에지 개구(44h)와 접촉하도록 저널지지(journaled)될 수 있다. 코인이 회전 디스크(114)로부터 나이프 부재의 상부면(121s)으로 이동할 때, 핀(117)에 의해 상부면에 걸쳐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레버(132)가 시계방향으로 움직일 때 카운트 롤러(133)가 코인에 의해 눌려 코인의 존재를 검출한다. 그 다음 코인이 가이드(42b)를 가로질러 굴러가 제 1 통로(4b1)와 제 2 통로(4b2)를 지나간다. 코인은 갭(406)과 검출 가이드(42c)를 건너 더 굴러가 제 3 통로(4b3)를 지나간다. 코인이 제 3 통로(4b3)를 지나갈 때, 코인은 검출 부품(62)과 접촉하지 않는데, 이는 검출 부품이 코인 직경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 코인은 제 4 통로(4b4)를 지나가고 코인 출구(436)로부터 방출된다.
코인 출구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혀있으면, 제 2 코인(z2)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 2 통로(4b2) 위에서 오목부 또는 격실(43b)을 향해 밀린다. 결과적으로, 검출 부품(62)은 제 2 코인(z2)에 의해 밀리고 검출 레버(61)가 시계방향 으로 회전지지축(60) 둘레로 움직인다. 스위치의 작동 부품(66)이 푸셔(67)에 의해 밀리기 때문에 스위치(65)가 작동된다.
식별 회로(76)가 스위치(65)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이 회로는 모터 제어 회로(73)에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알람 제어 회로(76)를 작동시킨다. 접점(75)은 정지 신호를 수신하는 모터 제어 회로(73)에 의해 개방된다. 모터(113)와 회전 디스크(114)가 정지한다. 또한, 접점(79)이 알람 제어 회로(76)에 의해 닫히기 때문에 알람 램프(77)가 켜진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가 도 17 내지 도 20에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는, 코인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검출 레버(511)가 있다. 예전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후행의 코인이 코인 통로면 위의 저장 격실까지 상승될 수 있고, 일련의 레버를 작동시켜 코인 막힘 검출 신호를 제공하고 전환부 부재의 배치를 바꿔 추가의 코인이 코인 통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인 통로(5b)는 호퍼 베이스(112), 하부 가이드(502), 상부 가이드(503) 및 커버(504)를 포함한다. 코인 통로(5b)는 좌측 하향으로 경사져있다. 하부 가이드(50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디스크(114)와 호퍼 베이스(112)를 향해져 있는 커버(504)의 하부 만곡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만곡 부분은 코인보다 약간 두껍다. 하부 가이드(502)는 제 1 가이드(52x), 가이드 부품(52y) 및 검출 가이드(52z)를 포함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52x)는 지지면(116)에 인접한 반면, 가이드 부품(52y)은 호퍼 베이스(112)에 인접한다. 제 1 가이드(52x)는 상부 나이프(121) 표면으로부터 코인 출구(536)를 향해 하향으로 모두 경사져 있는 분리된 제 1 가이드 부품(52x1)과 제 2 가이드 부품(52x2)을 포함한다. 갭 또는 통로(52s)는 제 1 가이드 부품(52x1)과 제 2 가이드 부품(52x2) 사이에 존재하여 핀(117)의 통로가 된다. 제 1 가이드(52a)는 제 1 가이드 부품(52x1)과 제 2 가이드 부품(52x2)의 상부면이다.
제 1 가이드(52a)는 좌측 하향으로 경사지고 상부 표면(121s)으로 이어진다. 가이드(52b)는 가이드(52y)의 상부면이고 제 1 가이드(52a)보다 큰 경사각을 갖고 좌측 하향으로 경사진다. 검출 가이드(52c)는 검출 가이드 부품(52z)의 상부면이고 제 1 가이드(52a)보다 약간 더 경사져 있다. 가이드(52b)는 가장 큰 경사각을 갖고 가이드(52b)의 연장선이 검출 가이드(52c)에서 교차한다. 갭(506)은 제 1 가이드(52a)와 검출 가이드(52c) 사이에 있고 높이(h5)의 차를 갖는다. 프레스 성형하는 금속 시트(sheet)에 의해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실시예는 저렴하다.
상부 가이드의 두께는 하부 가이드(502)와 동일하고 한 개의 코인의 두께보다 크고 두 개의 코인의 두께보다 작다. 상부 가이드(503)는 제 2 가이드(53a), 오목부 가이드(53b), 제 3 가이드(53c), 제 4 가이드(53d)를 포함한다. 제 2 가이드(53a)는 제 1 가이드(52a)를 마주하고 제 1 가이드(52a)보다 더 경사져 있다. 가이드(53b)는 가이드(52b)와 마주하고 홈통(trough) 형상을 갖는다. 제 3 가이드(53c)는 검출 가이드(52c)와 마주하고 검출 가이드(52c)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 제 4 가이드(53d)는 검출 가이드(52c)와 평행하고 제 3 가이드(53c)에 이어진다.
코인 통로(5b)는 진입 통로(5b1), 주행 통로(5b2), 제 3 통로(5b3), 출구 통 로(5b4)를 포함한다. 진입 통로(5b1)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수직방향이 제 1 가이드(52a)와 제 2 가이드(53a)에 의해 한정된다. 주행 통로(5b2)의 수직 방향은 가이드(52b)에 의해 한정되고 다른 통로보다 높다. 제 3 통로(5b3)의 수직 방향은 검출 가이드(52c)와 제 3 가이드(53c)에 의해 한정되고 사다리꼴 형상이다. 출구 통로(5b4)의 수직 방향은 검출 가이드(52)와 제 4 가이드(53c)에 의해 한정된다. 코인 출구(536)는 출구 통로(5b4)의 개구의 가장자리이다. 출구 통로(5b4)는 좌하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방향 분기 통로(upward branch passage)를 가지며 Y자 형상이다. 통로(5b)의 두께는 두 개의 코인의 두께보다 작다.
검출기(5c)는 커버(504)의 브라켓(54a, 54b)에 고정된 축(510) 둘레에서 움직이는 검출 레버(511)를 포함한다. 검출 레버(511)의 축 베어링(513a, 513b)은 축(510) 둘레에서 움직인다. 레버(511)는 제 3 통로(5b3)를 따라 위치한다. 레버(511)의 하부 에지(511L)는 커버(504)를 향해 만곡되고 검출 개구(54h)를 통해 제 3 통로(5b3)와 출구 통로(5b4)로 갈 수 있다. 스토퍼(511u; stopper)가 검출 레버(511)의 상부 에지에 형성되고 호퍼 베이스(112)를 향해 만곡된다. 스토퍼(511u)는 커버(504)의 스토퍼 개구(54s)를 통해 주행 통로(5b2)로 갈 수 있다. 스프링(515)이 커버(504)와 검출 레버(511) 사이에 위치되고 도 18에 도시된 레버(511)를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검출 레버(511)의 하부 에지(511L)는 검출 개구(54h), 제 3 통로(5b3), 출구 통로(5b4)를 통해 호퍼 베이스(112)와 접촉한다. 검출 가이드(52c) 상에서 구르는 코인의 중심은 하부 에지(511L)의 위치를 지나간다. 이때, 스토퍼(511u)는 주행 통 로(5b2)로부터 이동한다. 이 실시예의 검출기(5c)는 검출 레버(511)의 하부 에지(511L)에 있다.
이제 전환부(5d)를 설명한다.
고정된 축(520)이 검출 개구(54h) 위의 커버(504)에 고정된다. 전환 레버(521)의 베이스는 고정된 축(520) 주위에서 움직인다. 전환 레버(521)는 채널 형상의 베이스를 갖는다. 전환 레버(521)의 측면판(521a, 521b)은 고정된 축(520) 둘레에 회전지지된다. 전환 레버(521)의 삼각형 단부는 카운트 롤러(133)의 상류측에 위치된다. 단부면은 회전 디스크(114)의 표면을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진 전환부(523)이다.
전환부(523)가 부품(529a)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움직일 때, 삼각형 단부는 코인 이송 통로(5e)로 움직이고 회전 디스크(114) 근처에 위치된다. 코인 이송 통로(5e)는 회전 디스크(114)에 의해 이송되는 코인을 위한 코인 통로이다. 이 지점에서, 경사부(523s)는 회전 디스크(114)의 지지면(116)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종동 레버(529)는 커버(504)에 고정된 제 3 축(527) 둘레에 회전지지될 수 있다. 종동 부품(529a)은 종동 레버(529)의 단부에 있다. 종동 레버(529)의 고정된 축(20) 측단부는 호퍼 베이스(112)를 향해 만곡된다. 이 단부는 커버(504) 내의 개구(54j)를 통해 주행 통로(5b2)에 위치된다. 핀(531)이 종동 레버(529)의 다른 단부와 전환부 레버(521)의 중간부에 연결된다. 부시(533; bush)가 제 3 축(527)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전환부 레버(521)는 스프링(535)에 의해 도 17 및 도 18의 반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상부 가이드(503)는 커버(504)와 지지부(540) 사이에 끼워지고 나사(541)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부(540)는 크랭크(crank) 형상이다. 이 구성요소는 호퍼 베이스(112)에 의해 덮히고 나사(542)에 의해 호퍼 베이스(112)에 고정된다. 커버(504)는 지지면(116)으로 이어지는 코인 통로(5b)를 구성한다.
제 5 실시예의 정상 작동이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검출 레버(521)가 부시(533)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멈춰져 있다. 전환부(523)의 단부는 회전 디스크(114)로부터 떨어져 있고 코인과 접촉하지 않는다. 종동 레버(529)는 핀(531)을 통해 레버(521)를 검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종동 부품(529a)은 개구(54j)의 하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이 상황에서, 종동 부품(529a)은 가이드(52b) 상에서 구르는 코인과 접촉하지 않는다. 검출 레버의 하단부가 호퍼 베이스(112)와 접촉하기 때문에, 검출 레버(511)는 정지한다.
회전 디스크(114)가 회전할 때, 코인은 회전 디스크(114)의 지지면(116)으로부터 나이프(121)의 상부면(121s)으로 이동한다. 전환부가 코인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코인은 핀(117)에 의해 상부면(121s)의 좌측 및 전환부(523) 아래로 이동한다. 그 다음에, 코인은 핀(117)에 의해 밀려 상부면(121s)으로부터 제 1 가이드(52)의 제 1 가이드 부품(52x1)으로 이동한다. 코인은 카운트 롤러(133)로 밀린다. 센서는 롤러(133)가 밀렸음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코인은 제 2 가이드 부품(52x2) 상에서 구르고 진입 통로(5b1)를 지난다. 진입 통로(5b1)는 상류측을 향한 방향에서 아래측 사이즈보다 위측 사이즈가 더 큰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코인이 카운트 롤러(133)에 의해 계수된 후, 코인은 진입 통로(5b1)로 안내되고 제 2 가이드(53a)까지 안내된다. 다음에, 코인은 주행 통로(5b2)와 제 3 통로(5b3)를 지나간다. 코인은 검출 가이드(52c) 상에서 구르고 출구 통로(5b4)를 통해 출구로부터 방출된다. 코인이 제 3 통로(5b3)와 출구 통로(5b4)를 지날 때, 코인은 스프링 힘에 의해 바이어스된 검출 레버(511)의 하부 에지(511L)를 민다. 코인이 지나간 후, 검출 레버(511)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호퍼 베이스(112)에 의해 정지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사람 또는 물체가 출구(536)를 닫아 이러한 과정을 방해하려고 하면, 제 1 코인(z1)이 제 3 통로(5b3)와 출구 통로(5b4)에 위치한다. 검출 레버(511)의 하부 에지(511L)는 제 1 코인(z1)에 의해 밀린다. 검출 레버(51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에서 축(510) 둘레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스토퍼(511u)는 주행 통로(5b2)로 돌출하고 코인은 가이드 부품(52x2)과 접촉하고, 제 2 코인(z2)은 진입 통로(5b1)와 주행 통로(5b2)에 위치된다. 제 3 코인(z3)은 제 1 가이드 부품(52x1) 상에서 구르고 제 2 코인(z2)에 의해 정지되고 진입 통로(5b1)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핀(117)은 제 3 코인(z3)을 밀고 제 3 코인(z3) 아래를 지난다. 이 때, 제 2 코인(z2)은 움직이지 않는다.
다음에, 제 4 코인(z4)은 상부면(121s)으로부터 제 1 부품(52x1)으로 이동하고, 제 3 코인(z3)을 도 20에서 좌측으로 민다. 제 3 코인(z3)은 제 2 가이드(53a)에 의해 안내되고 코인(z2)을 좌측으로 민다. 결과적으로, 제 2 코인(z2)은 스토퍼(511u)로부터 제 2 코인(z2)과 제 3 코인(z3)의 접촉점을 향해 반대 방향 힘(5f1)을 받는다. 또한, 제 2 코인(z2)은 제 2 코인(z2)과 제 3 코인(z3) 사이의 접촉점으로부터 제 2 코인(z2)의 중심을 향해 힘(5f2)을 받는다. 제 2 코인(z2)은 힘(5f1)과 힘(5f2) 사이의 합력(5f3)에 의해 오목부 가이드(53b)를 향해 밀린다. 종동 레버(529)가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핀(531)을 아래로 민다.
전환부 레버(521)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스토퍼(54c)에 의해 정지된다. 결과적으로, 전환부(523)의 상부는 지지면(116) 근처의 전환부 위치에 위치한다. 제 2 코인(z2)은 가이드(53b)와 종동 부품(529)에 의해 도 20의 위치에 위치되고, 전환부 레버(521)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위치에 유지된다. 제 2 코인이 가이드(53b)를 향해 움직이기 때문에, 제 4 코인(z4)은 핀(117)에 의해 밀려 제 1 가이드 부품(52x1) 상에서 움직인다. 그러나, 제 4 코인(z4)이 제 2 코인(53a)으로 움직이고 핀(117)이 제 4 코인(z4) 아래를 지나기 때문에, 회전 디스크(144)는 그 회전을 계속한다.
전환부(523)가 전환 위치에 있을 때, 코인은 경사부(523s)와 접촉하고, 코인의 상부 부분은 동전통(119)을 향해 밀린다. 결과적으로, 코인은 상부면(121s)으로부터 떨어지고 카운트 롤러(133)로 가지 않는다.
제 6 실시예가 도 21 내지 25 및 도 27에 의해 설명된다.
코인 통로(6b)는 좌하향으로 경사지고 호퍼 베이스(112), 하부 가이드(602), 상부 가이드(603), 커버(604)를 포함한다. 하부 가이드(602)는 회전 디스크(114)를 향해 만곡된 커버(604)의 하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가이드(602)의 길이는 코인 한 개의 두께보다 크다. 이 때, 상부 가이드(603)가 가이드(62b)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 3 코인(z3)의 움직임은 상부 가이드(603)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회전 디스크(114)는 핀(117)이 지나갈 때마다 핀(117)에 의해 움직이는 제 3 코인(z3)과 함께 계속 회전한다. 전환부(623)가 전환부 위치에 있을 때, 지지면(116) 상의 코인은 지지면(116)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전환부(623)의 경사부(623s)와 접촉한다. 경사부는 도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있다. 결과적으로, 코인의 상부는 경사부(623s)에 의해 지지면(116)으로부터 들려지고 동전통(119)으로 편향된다. 코인은 나이프 부재의 상부면(121s)으로부터 떨어지고 카운트 롤러(133)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구가 어떤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해 닫히면, 코인은 코인 통로(6b)에 막히지 않는다. 제 1 코인(z1)을 정지시키는 힘이 변하면, 제 1 코인(z1)은 코인 출구(636)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제 2 코인(z2)이 약간 아래쪽에 위치되고, 검출 레버(611)가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움직인다. 그러나, 스토퍼(611s)가 전환 레버(621)와 접촉할 때까지, 코인은 코인 통로(6b)로 분배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가요성 연결부(6e)는 검출 레버와 전환부가 예정된 위치에서 하나로서 움직이고 전환 레버만이 다른 예정된 위치에서 움직이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전환부(6d)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레버(611)와 전환 레버(621)를 판 스프링(630; leaf spring)에서 연결하고 구성한다. 하부 가이드(602)는 제 1 가이드 부품(62x), 가이드(62y), 검출 부품(62z)을 포함한다. 제 1 가이드 부품(62x)은 회전 디스크(114)의 지지면(116)과 마주한다. 가이드(62y)는 호퍼 베이스(112) 및 지지면(116)과 마주한다. 검출 부품(62z)은 호 퍼 베이스(112)와 마주한다. 제 1 가이드 부품(62x)과 가이드(62y)는 코인 출구(636)를 향해 경사진 사선(slant line) 상에 위치된다. 핀(117)은 제 1 가이드 부품(62x)과 가이드(62y) 사이의 통로를 지나간다. 제 1 가이드(62a)는 제 1 가이드 부품(62x)의 상부면이다. 제 1 가이드(62a)는 좌하향으로 경사지고, 나이프 부재(121)의 상부면(121s)으로 이어진다. 제 2 가이드(62b)는 가이드 부품(62y)의 상부면이다. 가이드(62b)는 제 1 가이드(62a)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다. 검출 가이드(62c)는 검출 부품(62z)의 표면이다. 검출 가이드(62c)는 제 1 가이드(62a)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경사진다. 가이드(62a)의 연장선과 가이드(62b)는 검출 가이드(62c)의 연장선에서 교차한다. 갭(606)은 제 2 가이드(62b)와 검출 가이드(62c)의 사이에 있고, 높이(6h)의 차를 갖는다. 부품들이 프레스 성형에 의해 타출(stamping)될 수 있으므로, 이 실시예 또한 저렴하다.
상부 가이드(603)의 두께는 하부 가이드(602)와 동일하다. 상부 가이드(603)는 제 2 가이드(63a), 오목부 가이드(63b), 제 3 가이드 또는 격실(63c), 제 4 가이드(63d)를 포함한다. 제 2 가이드(63a)는 제 1 가이드(62a)와 마주하고, 제 1 가이드(62a)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 가이드(63b)는 제 1 가이드(62a) 및 가이드(62b)와 마주하고, 홈통 형상이다. 만입된(indented) 제 3 가이드(63c)는 가이드(62b)와 마주하고, 가이드(63b)에 이어진다. 제 4 가이드(63d)는 수평 출구이고 제 3 가이드(63c)에 이어진다.
코인 통로(6b)는 진입 통로(6b1), 주행 통로(6b2), 제 3 통로(6b3), 출구 통로(6b4)를 포함한다. 진입 통로(6b1)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수직방향이 제 1 가이 드(62a)와 제 2 가이드(63a)에 의해 한정된다. 주행 통로(6b2)의 수직 방향은 제 1 가이드(62a)와 가이드(62b)와 제 2 가이드(63a)에 의해 한정된다. 주행 통로(6b2)의 수직 방향은 제 1 가이드(62a)와 가이드(63b)에 의해 한정되고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 3 통로(6b3)의 수직 방향은 제 2 가이드(62b)와 제 3 가이드(63c)에 의해 한정되고 사다리꼴 형상이다. 출구 통로(6b4)의 수직 방향은 검출 가이드(62c)와 제 4 가이드(63d)에 의해 한정된다.
코인 출구(636)는 출구 통로(6b4)의 개구의 가장자리이다. 출구 통로(6b4)는 가이드(63b)와 제 3 가이드(63c)에 의해 톱니 형상을 갖고 통로(6b)의 두께는 두 개의 코인의 두께보다 작다.
검출기(6c)의 작동을 설명한다.
원호 형상의 기다란 구멍(64h)은 제 3 가이드(63c)와 마주하는 커버(604)에 형성된다. 원호 형상의 기다란 구멍(64h)은 도 23에 도시된 갭(606)의 방향으로부터 떨어져 연장한다. 고정된 축(610)이 커버(604)에 고정된다. 검출 레버(611)는 채널 형상을 갖고 한 쌍의 측면판(611a, 611b)과 연결 판(611c)을 포함한다. 측면판(611a, 611b)은 고정된 축(610) 둘레에 회전지지된다. 연결 판(611c)은 기다란 구멍(64h)을 통해 제 3 통로(6b3)로 돌출하는 검출 부품(614)을 포함한다. 구멍(64c)의 하단부는 검출 부품과 접촉하고 검출 부품(614)의 움직임을 정지시킨다.
검출 부품(614)이 기다란 구멍(64h)에 의해 정지될 때, 제 3 통로(6b3)를 지나가는 코인과 접촉하지 않는다. 검출 부품(614)은 검출기(6c)의 구성요소이다. 검 출기 유닛은 롤러에도 부착될 수 있는 검출 부품(614)을 사용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전환부(6d)를 설명한다. 전환부(6d)는 검출 레버(611)와, 전환 레버(621), 가요성 연결부(6e)를 포함한다. 전환 레버(621)의 베이스는 고정된 축(610)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고 채널 형상이다. 측면 판(621a, 621b)은 고정된 축(610) 둘레에서 회전지지되어 있다. 전환 레버(621)의 단부는 삼각형 형상이고 카운트 롤러(133)보다 높게 위치된다. 전환부(623)는 전환 레버(621)의 끝에 있고 경사부(623s)를 민다. 이 경사부는 회전 디스크(114)의 지지면의 방향으로부터 떨어져 경사진다.
가요성 연결부(6e)는 전환 레버(611)와 전환부 레버(621) 사이를 연결한다. 예정된 위치에서, 전환 레버(611)와 전환부 레버(621)는 하나의 유닛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정된 위치에서,가요성 연결부(6e)는 스프링(612)이다. 스프링(612)의 중간부는 고정된 축(610)에 대해 감기고, 부품의 일단부가 전환 레버(621)에 걸리고, 그 다른 단부가 연결 판(611c)에 걸린다. 스프링(612)은 탄성체이고,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환 레버(621)는 검출 레버(611)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토퍼(611s)에 의해 정지된다. 결과적으로, 전환 레버(621)와 검출 레버(611)는 직선 형상이다. 전환부(6d)가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 전환 레버(621)의 단부는 회전 디스크(114)의 외벽에 연결되고, 검출 레버(611)만이 시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검출 레버(611)와 전환 레버(621)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나이프(jackknife)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전환 레버(621)는 가요성 연결부(6e)의 힘을 받기 때문에 회전 디스크(114)와 계속 접촉한다.
코인 통로(6f)는 회전 디스크(114)에 의해 코인이 이송되는 통로이다. 전환 레버(621)의 단부가 회전 디스크(114)의 원주와 접촉하는 상황에서, 미는(push up) 경사부(623s)는 지지면(116)으로부터 떨어져 경사진다. 상부 가이드(603)는 커버(604)와 지지부(625) 사이에 위치되고 나사 등으로 고정된다. 이 구성요소는 역전된 채널 형상을 갖고, 호퍼 베이스(112)에 고정된다. 관찰 구멍(64a)이 커버(604)의 코인 통로(6b)를 따라 개구된다. 커버(604)의 하단부는 고정되지 않으므로, 호퍼 베이스(112)에 고정된 보강 부품(627)에 의해 보강된다.
스프링(628)은 부품(627s)과 검출 레버(6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환부(6d)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고 기다란 구멍(64h)의 하단부에 의해 정지된다. 검출 부품이 기다란 구멍(64h)의 하단부에 의해 정지되면, 전환부(6d)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전환 레버(621)는 가요성 연결부(6e)의 힘을 받고 스토퍼(611s)에 의해 정지된다. 전환부(623)의 단부(623t)는 코인 통로(6f)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전환부(623)는 지지면(116)까지 이송된 코인과 접촉한다.
제 6 실시예의 정상 작동 중에, 검출 부품(614)은 기다란 구멍(64h)의 하단부에서 정지된다. 전환부(623)의 단부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 통로(6f)의 외측에 위치된다. 코인은 핀(117)에 의해 밀리기 때문에 회전 디스크(114)로부터 상부면(121s)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코인은 핀(117)에 의해 상부면(121s)으로부터 제 1 가이드(62a)로 이동하고 전환부(623) 아래를 지나간다. 코인은 핀(117) 에 의해 상부면(121s)으로부터 제 1 가이드(62a)로 이동한다. 카운트 롤러(133)는 코인에 의해 밀린다. 결과적으로, 센서 유닛은 레버(132)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롤러(133)가 밀렸음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그 다음에 코인은 가이드(62b)에서 구르고, 제 1 통로(6b1)와 제 2 통로(6b2)를 지나간다. 그후, 코인은 제 1 가이드(62a), 가이드(62b), 검출 가이드(62c)를 따라 구르고, 진입 통로(6b1), 주행 통로(6b2), 제 3 통로(6b3), 출구 통로(6b4)를 지나 코인 출구(636)로부터 방출된다.
어떤 사람 또는 물건이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636)를 닫으려 하면, 제 1 코인(z1)은 제 3 통로(6b3)와 제 4 통로(6b4)에 위치된다. 제 2 코인(z2)은 제 1 코인(z1)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가이드(62b)에 의해 안내되고 가이드(62b)에 위치된다. 제 3 코인(z3)은 제 2 코인(z2)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제 1 가이드(62a) 상에서 구르고 주행 통로(6b2)에 위치된다. 제 4 코인(z4)은 핀(117)에 의해 상부면(121s)으로부터 제 1 가이드(62a)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 3 코인(z3)은 주행 통로(6b2)를 다라 코인 출구(636)를 향해 밀리고,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코인(z2)을 민다.
벡터인 힘 f61의 방향은 가이드(62b)에 평행하다. 벡터인 힘 f61은 제 3 코인(z3)으로부터 제 2 코인(z2)으로 제공되는 힘이다. 제 1 코인(z1)에 의해 밀리는 제 2 코인(z2)의 작용력 방향은 갭(606)이 있기 때문에 접촉점(6p1)과 제 2 코인(z2)의 중심 사이에서 연결된 선 상에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코인(z2)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코인(z1)의 반대 방향 힘 6f2과 제 3 코인(z3)의 미는 힘 6f1으로부터 힘을 받는다. 반대 방향 힘 6f2과 미는 힘 6f1 사이의 각도는 둔각이고, 제 2 코인(z2)은 힘 6f1, 6f2으로부터 제 3 가이드(63c)를 향한 힘 6f3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제 2 코인(z2)이 검출기(614)를 향해 밀린다. 제 2 코인(z2)은 제 3 가이드(63c)와 검출기(614)의 벽에 의해 안내되고, 도 25에 도시됨 점선에 위치된다.
따라서, 전환 레버(621)는 도 24에서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전환부(623)의 단부(623t)는 코인 통로(6f)로 움직이고 회전 디스크(114)의 주변과 접촉한다. 다음에, 제 4 코인(z4)은 제 2 코인(z2)이 제 3 가이드(63c)를 향해 이동한 후, 핀(117)에 의해 밀린다. 결과적으로, 제 4 코인(z4)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코인(z3)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오목부로 이동된다. 제 4 코인(z4)은 카운트 롤러(133)를 밀고 제 3 코인(z3)과 카운트 롤러(133) 사이를 지나간다. 다음에, 카운트 롤러(133)는 스프링 힘에 의해 정상 위치로 복귀한다. 제 4 코인(z4)은 제 3 코인(z3)과 카운트 롤러(13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제 1 가이드(62a)로부터 떠난 오목부(63b)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검출 레버(611)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스프링(612)은 전환 레버(621)를 이 위치를 유지하도록 변화시켜 전환부(623)가 회전 디스크(114)와 저촉한다. 코인 계수기(130)는 이동하는 제 4 코인(z4)을 계수한다. 핀(117)이 제 4 코인의 측면으로 이동하면, 제 4 코인(z4)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 제 4 코인(z4)은 핀(117)과 접촉하지 않는다. 제 3 코인(z3)은 스프링(612)이 가요성 연결부(6e)이기 때문에, 회전 디스크(114)의 회전시 핀(117)에 의해 약간 밀린다. 도 27에서, 검출 레버(611)와 전환 레버(621)는 고정된 축(610) 둘레에 회전지지된다. 자석(631b)이 검출 레버(611)에 고정되고, 자석(631b)이 전환 레버(621)에 고정된다. 자석(631a, 631b)은 서로를 당긴다. 이 경우에, 자석이 가요성 연결부(6e)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석(631a)과 자석(631b) 사이의 반발력이 사용될 수 있다.
코인 방출 장치(coin let off device)가 코인 패스 구멍(coin pass hole)을 갖는 회전 디스크로 바뀔 수 있다. 검출기는 이동하는 코인을 검출하므로, 코인에 의해 점유된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기는 선택적으로 코인을 검출할 수 있다. 구매자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알람, 예를 들어 모터(113) 알람 램프(77), 알람(80)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알람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가 적절히 위치되면, 코인은 코인 호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수정될 수 있고, 사실상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실시되면서, 일 실시예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합성될 수 있다. 또한, 검출기 유닛이 오목부 또는 격실로 상승된 코인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고, 제어 센터로 전달되는 사일런트 알람(silent alarm)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알람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지금까지 설명한 양호한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특정적으로 설명한 것이 아니라 첨부도니 청구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