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9055B1 - 덕트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덕트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055B1
KR100749055B1 KR1020050121811A KR20050121811A KR100749055B1 KR 100749055 B1 KR100749055 B1 KR 100749055B1 KR 1020050121811 A KR1020050121811 A KR 1020050121811A KR 20050121811 A KR20050121811 A KR 20050121811A KR 100749055 B1 KR100749055 B1 KR 100749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type air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091A (ko
Inventor
전종기
박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0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의 냉/난방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외형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외형을 형성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구로 강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토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열교환기와 송풍팬을 구비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복수의 열교환핀으로 분리 형성되어 상호간에 접면된 후 케이싱에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종래의 열교환기보다 더욱 경사지게 설치되어 공기 접촉면적은 감소되지 않으면서도 높이가 낮아진다.

Description

덕트형 공기조화기{A Duct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개략적으로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을 개략적으로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케이싱 11..흡입구
12..토출구 13..송풍팬
20..열교환기 22..제1열교환핀
23..삽입홀 24..제2열교환핀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높이를 최대한 낮춤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을 구성하는 덕트의 내부에 실내기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형을 형성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양측에 구비된 케이싱과,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와, 외부 공기를 케이싱 내부로 강제 유입함과 동시에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케이싱은 외부에서는 볼 수 없으며, 다만 실내의 천장에 노출되어 있는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 만이 상기 실내기와 연통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건물의 한정된 공간에서 보다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천장을 구성하는 덕트의 높이를 낮추어야 하는데, 이때 특히 요구되는 것이 공기조화기의 사이즈 즉, 공기조화기의 높이이다. 하지만, 공기조화기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내부의 열교환기 높이 또한 낮아지게 되므로, 이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열교환능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공기조화기의 높이는 낮추면서도 열교환기의 열교환능력은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열교환기를 최대한 경사지게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열교환기를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열교환기를 형성하는 열교환핀을 사선방향으로 절단하여야 하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이용되는 열교환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3열로 이루어진 열교환기 모재를 절단하여 12단의 열교환기로 만들고자 할 경우, 냉매용 동관이 삽입되는 삽입홀(2)을 절단하지 않으면서 각도(θ)를 최대한 크게 하기 위해서는 1열 2단(1A×1b)의 삽입홀과 3열 3단(1C×1c)의 삽입홀의 각 접선방향을 잇는 라인(L)을 따라 절단하여야 하므로, 그 이상으로 열교환기 모재를 경사지게 절단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의 공기 접촉면적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더욱 경사지게 열교환기를 설치할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외형을 형성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구로 강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토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열교환기와 송풍팬을 구비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복수의 열교환핀으로 분리 형성되어 상호간에 접면된 후 케이싱에 경사지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N열의 열교환핀으로 이루어지되, N-1열의 제1열교환핀과, 1열의 제2열교환핀으로 분리 마련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열교환기는 3열의 열교환핀으로 이루어지되, 2열로 이루어진 제1열교환핀과 1열의 제2열교환핀으로 분리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핀은 주위 삽입홀은 절단하지 않으면서 제1열 제1단 삽입홀의 접선과 제2열 제2단 삽입홀의 접선을 잇는 라인과 나란하게 방향으로 절단되어 상기 케이싱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핀은 제1열교환핀과 연통 배관되는 동관의 삽입홀이 정렬 배치됨과 동시에, 끝단이 수직하게 절단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와, 토출구(12)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13)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흡입구(11)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20)를 구비한다.
이러한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0)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브라켓(14)을 천장에 고정되어 있는 앵커(미도시)에 체결함으로써 천장과 덕트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 및 도 5는 이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20)는 복수의 열교환핀으로 분리 형성되어 상호간에 접면된 후 케이싱(10)에 경사지게 마련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열교환기(20)가 N열의 열교환핀으로 이루어진 경우, N-1열의 제1열교환핀(22)과 1열의 제2열교환핀(24)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일례로서 3열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는 삽입홈(23)을 고려하면서 사선으로 절단할 경우 최대 경사 각도가 상술한 바와 같이 θ에 불과하나, 2열로 이루어진 제1열교환핀(22)을 삽입홈(23)을 고려하여 절단하게 되면 그 경사각도가 θ +α로 더 커지게 된다.
즉, 삽입홈(23)을 절단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사선으로 제1교환핀(22)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열 제1단(1A×1a) 삽입홈(23)의 접선과 제2열 제2단(2B×2b) 삽입홈(23)의 접선을 잇는 라인(L2)과 나란하게 제1교환핀(22)을 절단해야 하는데, 이것은 3열의 열교환기를 상기 조건에서 절단할 경우 발생하는 라인(L1)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절단된 경사면을 가진 제1열교환핀(22)을 케이싱(10) 내부에 설치하게 되면, 종래의 일체형 열교환기보다 α 각도 만큼 더 눕혀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제품에 적용한 결과, 종래의 경우는 약 207.8mm 이였으나, 본 발명은 199mm로 그 높이가 현저히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1열의 제2열교환핀(24)은 제1열교환핀(22)과 연통 배관되는 동관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삽입홀(23)의 간격을 정렬하여 제1열교환핀(22)에 접면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열교환핀(24)의 양 끝단은 직각으로 절단되는데 이것은 모듈화 되어 있는 열교환핀에 불필요한 짜투리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제2열교환핀(24)의 최상단과 최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열교환핀(22)의 경사면과 달리 단차지게 돌출되므로, 여기에 형합하도록 공기조화기의 케이싱(10) 내부에서 열교환기(20)의 양단을 고정하는 방음 및 단열용 합성수지(15)와 드레인팬(16)의 일부를 변형 및 절곡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제1열교환핀(22)와 제2열교환핀(24)은 조립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홀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7)에 양 측면이 고정되어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며, 이때 각 홀들은 U자형 니뿔(18) 등을 통해 이웃하는 홀과 연통 배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열12단의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2열의 제1열교환핀과 1열의 제2열교환핀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열의 열교환핀 3개를 적층하여 열교환기를 형성하는 등 적절한 수정 및 변형에 의해 다른 규격의 열교환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종래 일체형 열교환기를 제1열교환핀과 제2열교환핀으로 분리 형성하므로써 열교환기를 종래보다 더욱 눕혀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접촉면적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공기조화기의 외관 사이즈 특히 높이를 더욱 낮출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외형을 형성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강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열교환기와 송풍팬을 구비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핀에는 제1열 내지 제3열 삽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열교환핀은 상기 제1열 및 제2열 삽입홀이 마련된 제1 열교환핀과, 상기 제3열 삽입홀이 마련된 제2 열교환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열교환핀과 제2 열교환핀은 상호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열교환핀은 상기 제1 열교환핀의 제1열 제1단 삽입홀과 상기 제2열 제2단 삽입홀 간의 접선과 평행하게 절단되어 설치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5. 외형을 형성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강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열교환기와 송풍팬을 구비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핀에는 제1열 내지 제4열 삽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열교환핀은 상기 제1열 내지 제3열 삽입홀이 마련된 제1 열교환핀과, 상기 제4열 삽입홀이 마련된 제2 열교환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열교환핀과 제2 열교환핀은 상호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열교환핀은 상기 제1 열교환핀의 제1열 제1단 삽입홀과 상기 제3열 제2단 삽입홀 간의 접선과 평행하게 절단되어 설치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핀의 양끝단은 직각으로 절단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20050121811A 2005-12-12 2005-12-12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0749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811A KR100749055B1 (ko) 2005-12-12 2005-12-12 덕트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811A KR100749055B1 (ko) 2005-12-12 2005-12-12 덕트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091A KR20070062091A (ko) 2007-06-15
KR100749055B1 true KR100749055B1 (ko) 2007-08-13

Family

ID=3835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811A KR100749055B1 (ko) 2005-12-12 2005-12-12 덕트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0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5244U (ko) 1973-10-17 1975-06-12
JPS5681312U (ko) 1979-11-28 1981-07-01
JPS6083814U (ja) 1983-11-17 1985-06-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S62192128U (ko) 1986-05-28 1987-12-07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5244U (ko) 1973-10-17 1975-06-12
JPS5681312U (ko) 1979-11-28 1981-07-01
JPS6083814U (ja) 1983-11-17 1985-06-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S62192128U (ko) 1986-05-28 1987-12-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091A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0798B1 (en) Heat exchanger
CN103261828B (zh) 热交换器和安装有该热交换器的空气调节机
KR20100056556A (ko) 공기 조화기용 실내기
US6877331B2 (en) Air conditioner
EP2933570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H0814650A (ja) 空気調和機
JP3714264B2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
KR100749055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JP2006153291A (ja) 熱交換器
JP2003214724A (ja) 空気調和機
KR20060015976A (ko) 천장형 에어콘 실내기 구조
CN101398239A (zh) 热交换器以及具备该热交换器的空气调节器
US11118796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2003097820A (ja) 空気調和機
KR10213746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WO2014199514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の製造方法
JP2003343878A (ja) 空気調和機
JP2006084051A (ja) 冷凍装置の室外機
JP7464872B1 (ja) 熱交換器
JP3250903B2 (ja) 空気調和機
JP581898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H09159313A (ja) 熱交換器
JP3304536B2 (ja) 空気調和機
KR100615786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대용량 실외기
JP2000088476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