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560B1 - Fiber optic splice - Google Patents
Fiber optic spl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8560B1 KR100748560B1 KR1020070062066A KR20070062066A KR100748560B1 KR 100748560 B1 KR100748560 B1 KR 100748560B1 KR 1020070062066 A KR1020070062066 A KR 1020070062066A KR 20070062066 A KR20070062066 A KR 20070062066A KR 100748560 B1 KR100748560 B1 KR 1007485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optical fiber
- pressing
- optical
-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526 fusion spli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02B6/3879—Linking of individual connector plugs to an overconnector, e.g. using clamps, clips, common housings comprising several individual connector plu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벽체(12)와 이 벽체(1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판(14)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 상기 바닥판(14) 상면에 배치되고 그 상면 양측에 광심선안내부(22)와 광심선정렬부(24)가 마련된 하부커버(20);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을 덮어씌우며 그 저면에 광심선안내부(32)가 형성된 상부커버(30); 및 상기 상부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일단부가 벽체(12)에 힌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벽체(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가압핀(42)을 통해 상부커버(30)의 상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가압레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4)은 벽체(12)의 하단 중앙부에 배치되고, 이 벽체의 양단부에는 광심선(8a)의 피복(8b)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피복가압부(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작업자의 육안 확인이 없이도 광섬유에 대한 가이드 구조를 통해 광심선끼리의 접속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접속 상태가 견고하게 되며, 또한, 가압 해제 구조를 통해 광섬유의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여 다른 광섬유와의 접속을 위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10) comprising a pair of walls (12)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bottom plate (14) connecting lower ends of the walls (12); A lower cover 2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4 and provided with an optical guide line 22 and an optical line alignment part 24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An upper cover 30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20 and having an optical guide line 32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30, the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wall 12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3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all 12. In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comprising a pressing lever 40 capable of pressing and releasing the upper surface, the bottom plate 14 of the housing 10 is dispos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wall 12. Both end portions of the wall are further provided with a cover pressing section 5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cover 8b of the optical core wire 8a. Therefore, the optical fiber can be easily and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guide structure for the optical fiber without visual confirmation by the operator, and the connection state is firm, and the optical fiber can be connected and separated through the pressure release structure. Effects such as re-use are possible for connection with the optical fib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 중 광섬유가 상, 하부커버 사이로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tical fiber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lower cover of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 중 광섬유가 상, 하부커버 사이로 삽입되어 그 선단부의 광심선들이 광심선정렬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ptical fibers are inserted between upper and lower covers of an optical fibe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tical core lines of the tip portions thereof are arranged in the optical fiber alignment lin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 중 가압레버 및 피복가압레버의 가압이 동시에 이루어져 광심선과 피복이 동시에 가압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lever and the coating pressing lever of the optical fib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ame time is pressed and fixed at the same time the optical core and the coatin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섬유 접속장치가 횡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연결된 멀티구조의 광섬유 접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structure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es are connected in a lateral direc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8 : 광섬유 8a : 광심선8:
8b : 피복 10 : 하우징8b: sheath 10: housing
12 : 벽체 12a : 고정공12
14 : 바닥판 20 : 하부커버14: bottom plate 20: lower cover
22 : 광심선안내부 24 : 광심선정렬부22: optical line guide 24: optical line alignment
30 : 상부커버 32 : 광심선안내부30: upper cover 32: optical fiber guide portion
34 : 접촉돌부 40 : 가압레버34: contact protrusion 40: pressure lever
41 : 고정돌기 42 : 가압핀41: fixed protrusion 42: pressure pin
44 : 힌지핀 50 : 피복가압부44: hinge pin 50: cover pressure
51 : 받침대 51a : 피복삽입공51:
51b : 걸림턱 52 : 피복배치부51b: engaging jaw 52: covering arrangement
53 : 피복가압레버 53a : 힌지핀53:
53b : 가압돌기 53b1 : 가압부53b: pressing projection 53b1: pressing portion
53b2 : 가압해제부 53c : 걸림돌기53b2:
100 : 멀티하우징 112 : 벽체100: multi-housing 112: wall
140 : 가압레버 153 : 피복가압레버140: pressure lever 153: cover pressure lever
본 발명은 광섬유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가닥의 광섬유를 서로 반대방향에서 접속장치의 상, 하부커버 사이로 삽입 접속시켜 일차적으로 접속장치의 중앙부에서 광심선을 가압 고정시키고 이차적으로 접속장치의 양 단부에서 광심선의 피복을 가압 고정시키며,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의 가압을 해제하여 광섬유의 접속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섬유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inserting and connecting two strands of optical fiber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vers of the splicing apparatu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o primarily press-fix and fix the optical core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lic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ber splicing device which press-fixes the coating of optical cores at both ends of the device, and also releases the pressurization thereof as necessary to separate the connection of the optical fiber.
일반적으로 광섬유라 함은 빛의 전송(傳送)을 목적으로 하는 섬유 모양의 광도파로(光導波路)로서, 코어(core)라 불리는 중심 부근의 굴절률(屈折率)이 높은 부분과, 클래드(clad)라 불리는 주변의 굴절률이 낮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빛은 코어와 클래드의 경계에서 전반사(全反射)를 되풀이하면서 코어 속을 전반(傳搬)하게 되는 것이다. In general, an optical fiber is a fiber-shaped optical waveguide for the purpose of transmitting light, a portion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near the center called a core, and a clad. It consists of parts with a low refractive index, called light, which propagates through the core, repeating total reflection at the core and cladding.
이러한 광섬유는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나 혼신이 없고 도청이 힘들며, 소형 및 경량으로서 굴곡에도 강하고, 하나의 광섬유에 많은 통신회선을 수용할 수 있어 외부환경의 변화에도 강하며, 더욱이, 재료인 유리의 원료는 대단히 풍부하므로 그 효용도가 매우 높다.Such optical fiber is hard to eavesdropping without interference or interference by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s, it is small and light, strong in bending, and can accommodate many communication lines in one optical fiber, and is also strong in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raw material of is very abundant and its utility is very high.
한편, 이와 같은 광섬유의 접속을 위해서 사용되는 장소와 목적 및 시스템의 요구 조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접속방법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nnec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purpose used for the connection of such optical fibers and the requirements of the system.
그 중 종래 기술의 접속방식의 하나로서 융착 접속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융착 접속방식은 광섬유의 균등성을 살리고 신뢰성이 보장되는 영구접속으로 그 광학적 기능과 신뢰성이 높은 접속방식이다.Among them, a fusion splicing method is one of the prior art connection methods. The fusion splicing method is a permanent connection that utilizes optical fiber uniformity and guarantees reliability, and has a high optical function and reliable connec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융착 접속방식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일일이 광심선의 정열 상태를 확인한 후 본딩 처리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접속 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우며, 또한, 본딩을 하기 때문에 한번 접속하고 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However, the fusion splicing method of the prior art is difficult and cumbersome because of the bonding process after the operator has to check the alignment state of the optical fiber with the naked eye, and it is impossible to reuse once connected because of the bonding. There was a problem such as.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두 가닥의 광섬유를 서로 반대방향에서 접속장치의 상, 하부커버 사이로 삽입시켜 소정의 가이드 구조에 의해 각 선단부의 광심선이 서로 접속되도록 한 후 일차적으로 접속장치의 중앙부에서 각각의 광심선들을 가압 고정시키는 동시에 이차적으로 접속장치 양단부에서 광심선을 덮고 있는 광심선 피복을 재차 가압 고정시켜 광섬유의 횡 방향 당김에 대한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 가압을 해제하여 광섬유의 접속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육안 확인이 없이도 광섬유에 대한 가이드 구조를 통해 광심선끼리의 접속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접속 상태가 견고하게 되며, 또한, 가압 해제 구조를 통해 광섬유의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여 다른 광섬유와의 접속을 위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광섬유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two optical fibers are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vers of the connecting devic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o that the optical cores of the respective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guide structure. By pressing and fixing the respective optical cores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device, and secondly pressing and fixing the optical fiber coating covering the optical cores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device again so that the alignment of the optical fib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not disturbed. By releasing these pressures as necessary to separate the connection of the optical fib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tical core wires is made simple and easy through the guide structure for the optical fiber without visual confirmation by the operator,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state is firm, In addition,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optical fiber through the pressure release struct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that is capable of being reused for connection with other optical fibers.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장치는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벽체와 이 벽체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바닥판 상면에 배치되고 그 상면 양측에 대직경인 광심선안내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소직경인 광심선정렬부가 마련된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을 덮어씌우며 그 저면에 하부커버의 광심선안내부와 함께 광심선를 안내하는 광심선안내부가 형성된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일단부가 벽체에 힌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가압핀을 통해 상부 커버의 상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가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은 벽체의 하단 중앙부에 배치되고, 이 벽체의 양단부에는 광심선의 피복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피복가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tical fiber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housing consisting of a pair of wall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bottom plate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wall; A lower cov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large diameter optical line guide portion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entral line aligned portion having a small diameter at the center thereof; An upper cover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and having an optical guide line for guiding the optical line along with the optical guide line of the lower cover; And a press leve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to press and release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through a pressure pin while one end thereof is hinged to the wall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ll. In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apparatus,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is disposed at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wall, and both ends of the wall are further provided with a cover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and fixing the cover of the optical core w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가압부는, 상기 상부커버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 단부에 피복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받침대; 상기 피복삽입공과 상, 하부커버의 광심선안내부로 이어지는 받침대의 저면 공간인 피복배치부; 및 상기 피복배치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그 일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벽체에 힌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힌지 회전되어 받침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며 소정부위에 광심선의 피복을 가압 고정 및 해제시키는 가압돌기가 마련된 피복가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ressing portion is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cov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ll and the pedestal form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in the outer end; A covering arrangement portion that is a bottom space of the pedestal leading to the covering insertion hole and the optical core guide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vers; And a pressing protrusion disposed below the coating arrangement part, the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wall by a hinge pi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so as to be detachably caught on the pedestal, and to press and fix the cover of the optical core wir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a cover pressure le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힌지핀의 외주에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피복가압레버의 가압시 피복배치부 측으로 돌출되어 피복을 가압하는 원호 형상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서 원호 방향을 따라 연이어 형성되고 피복가압레버 가압 해제시 피복배치부 하방에서 수평을 이루며 피복과 이격되는 평면 형상의 가압해제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radially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inge pin and arc-shaped pressing portion for protruding to the coating arrangement side when pressing the coating pressure lever to press the coat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release portion is formed continuously in a circular arc direction and is formed of a planar pressure release portion that is horizontally spaced below the coating arrangemen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coating when the coating pressure lever is rel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가압레버의 타단 상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받침대의 피복삽입공 하방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covering pressure lever, and a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below the covering insertion hole of the pedestal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결합 고정되 는 가압레버의 타단부 양측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벽체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lever fixedly coupled to the wall, and a fixing hol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wall.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 상부의 가압핀과의 가압 접촉이 더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촉돌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tac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so that the pressure contact with the upper pressure pin is more accur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부는 상부커버의 상면에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rotrusion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wis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장치는 한 쌍의 벽체(12)와 바닥판(14)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바닥판(14) 상면에 배치되고 그 상면에 광심선안내부(22)와 광심선정렬부(24)가 마련된 하부커버(20)와, 이 하부커버(20)의 상면을 덮어씌우며 그 저면에 광심선안내부(32)가 형성된 상부커버(30)와, 이 상부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커버의 상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 할 수 있도록 된 가압레버(40) 및 상기 하우징(10)의 양단부에 형성된 피복가압부(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5, an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하우징(10)은 그 사이에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30) 및 가압레버(4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사각판재 형상 벽체(12)와, 이 벽체(12)의 하단부 중앙을 연결하는 바닥판(14)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각 벽체(12) 상단부, 즉, 가압레버(40)와 상부커버(30) 사이인 하우징(10)의 양 벽체(12) 사이에는 가압레버(40)의 가압에 의해 하 방으로 미세하게 탄력적으로 눌리면서 상부커버(3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된 가압핀(42)과, 상기 벽체(12)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가압레버(40)를 힌지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핀(44)들이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each
여기서, 상기 가압핀(42)과 힌지핀(44)은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가압핀(42)은 가압레버(40)의 가압에 의해 하방으로 미세하게 탄력적으로 눌려지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벽체(12)의 양단부에는 가압레버(40)의 고정돌기(41)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공(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상기 하부커버(20)는 하우징(10) 내부 바닥판(14)의 상면에 배치되는 사각막대 형상으로, 그 상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대직경인 반 원호 형상의 광심선안내부(22)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소직경인 반 원호 형상의 광심선정렬부(24)가 마련되어 있다.The
상기 상부커버(30)는 하부커버(20)의 상면을 덮어씌우는 한 쌍의 사각막대 형상으로, 각각의 저면에는 하부커버(20)의 광심선안내부(22)와 함께 광심선(8a)를 덮어씌우는 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심선(8)을 안내하는 광심선안내부(32)가 형성되어 있고, The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30)의 상면에 상부의 가압핀(42)과의 가압 접촉이 더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부커버(30)의 상면에 상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고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막대 형상의 접촉돌부(34)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가압레버(40)는 상부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각 막대 형상으로, 각각의 일단부가 하우징(10)에 힌지핀(44)으로 힌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하우징(10)의 각 고정공(12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돌기(41)가 형성되며 그 하방에 마련되어 있는 각각의 가압핀(42)을 통해 해당 상부커버(30)의 상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41)는 하우징(10)의 고정공(12a)에 탄력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Herein, the fixing
상기 피복가압부(50)는 하우징(10)의 벽체 양단부에서 광심선(8a)의 피복(8b)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 피복가압부(5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상기 피복가압부(50)는, 상부커버(30)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벽체(12)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 단부에 피복삽입공(51a)이 관통 형성된 받침대(51)와, 상기 피복삽입공(51a)과 상, 하부커버(20,30)의 광심선안내부(22,32)로 이어지는 받침대(5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빈 공간인 피복배치부(52) 및 이 피복배치부(52)의 하방에 배치되어 그 일단부가 힌지핀(53a)에 의해 벽체(12)에 힌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힌지 회전되어 받침대(51)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며 소정부위에 광심선(8a)의 피복(8b)을 가압 고정 및 해제시키는 가압돌기(53b)가 마련된 피복가압레버(5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피복가압레버(53)는 그 타단부가 받침대(51)의 외측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양단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53b)는, 상기 힌지핀(53a)의 외주에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피복가압레버(53)의 가압시 피복배치부(52)의 공간측으로 돌출되어 피복(8b)을 가압하는 원호 형상의 가압부(53b1)와, 이 가압부(53b1)에서 원호 방향을 따라 연이어 형성되고 피복가압레버(53) 가압 해제시 피복배치부(52) 하방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을 이루며 피복(8b)과 이격되는 평면 형상의 가압해제부(53b2)로 이루어져 있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피복가압레버(53)의 타단 상면에는 이 피복가압레버(53)의 힌지핀(53a) 측인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53c)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받침대(51)의 피복삽입공(51a) 하방에는 상기 걸림돌기(53c)가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1b)이 형성되어 있다. The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장치는 하우징(10)의 양 벽체(12) 사이를 통해 그 바닥판(14) 상에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30)를 차례대로 배치하고 이 상부커버(30)의 상부인 벽체(12) 사이에 가압핀(42)을 장착한 후 힌지핀(44)으로 가압레버(40)를 힌지 결합시킨다.In the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그리고, 피복가압레버(53)를 또 다른 힌지핀(53a)으로 벽체(12)에 힌지 결합하여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장치의 조립을 완성시킨다. Then, the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장치는 서로 다른 두 가닥의 광섬유(8) 접속시, 우선 양측의 가압레버(40) 및 피복가압레버(53)의 단부를 각각 상, 하방으로 젖혀놓은 후, 상기 각각의 광섬유(8)의 피복을 벗겨서 그 선단부에 광심선(8a) 및 피복(8b)이 드러나도록 하여 이들 광심선(8a)을 양측 상, 하부커 버(30,20)의 광심선안내부(32,22)를 통해 광심선정렬부(24)로 안내하여 양측 광심선(8a)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When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wo different strands of
그런 다음, 상부의 가압레버(40)를 하방으로 힌지 회동시켜 이 가압레버(40)의 고정돌기(41)가 각각의 고정공(12a)과 결합 고정되도록 하면 이와 동시에 가압레버(40)의 인접 하방에 위치되어 있는 가압핀(42)이 하방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면서 다시 그 하방의 상부커버(30)의 접촉돌부(34)를 가압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상부커버(30)와 하부커버(20) 사이의 광심선정렬부(24)에 놓여 있는 광심선(8a)을 견고히 가압하게 되면서 광섬유(8)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n, the
그리고, 하방의 피복가압레버(53)를 힌지핀(53a)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힌지 회전시켜 그 단부의 걸림돌기(53c)를 받침대(51)의 걸림턱(51b)에 걸어 고정시키면, 이와 같이 회전 동작되는 가압돌기(53b)의 원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가압부(53b1)가 피복(8b)이 놓여 있는 피복배치부(52)로 돌출되면서 피복(8b)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가압하게 된다.Then, when the lower
이는 최종적으로, 상기 광심선(8a) 간의 접속 및 결합상태를 이차적으로 지지하는 상태가 되어 그 결과 횡 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대해서 광심선(8a) 간의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This finally results in a state of secondaryly supporting the connection and coupling state between the
그리고, 이러한 광섬유(8) 간의 접속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각각의 가압레버(40)와 피복가압레버(53)의 결합을 해제하면 이와 동시에 광심선(8a) 및 피복(8b)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서 광섬유(8)들을 접속장치로부터 인출시켜 접속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우징을 복수개로 연결한 형상의 멀티하우징(100)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벽체(11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압레버(140)와 피복가압레버(153)를 마련하여 복수의 광섬유에 대해서도 서로 간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a multi-housing housing having a shape connecting a plurality of housings, and correspondingly a plurality of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장치는 두 가닥의 광섬유를 서로 반대방향에서 접속장치의 상, 하부커버 사이로 삽입시켜 소정의 가이드 구조에 의해 각 선단부의 광심선이 서로 접속되도록 한 후 일차적으로 접속장치의 중앙부에서 각각의 광심선들을 가압 고정시키는 동시에 이차적으로 접속장치 양단부에서 광심선을 덮고 있는 광심선 피복을 재차 가압 고정시켜 광섬유의 횡 방향 당김에 대한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 가압을 해제하여 광섬유의 접속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육안 확인이 없이도 광섬유에 대한 가이드 구조를 통해 광심선끼리의 접속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접속 상태가 견고하게 되며, 또한, 가압 해제 구조를 통해 광섬유의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여 다른 광섬유와의 접속을 위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optical fibers are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vers of the splicing apparatus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optical cores of the respective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guide structure.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device, each optical fiber is pressed and fixed, and the optical fiber coating covering the optical fiber at th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device is again pressed and fixed so that the alignment of the optical fib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not disturbed. By releasing these pressures, the optical fiber can be disconnected, thereby making it easy and easy for the optical cor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guide structure for the optical fiber without visual confirmation by the operator. Through the pressure releas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optical fiber Effects such as re-use are possible for connection with the optical fibe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2066A KR100748560B1 (en) | 2007-06-25 | 2007-06-25 | Fiber optic spl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2066A KR100748560B1 (en) | 2007-06-25 | 2007-06-25 | Fiber optic spl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8560B1 true KR100748560B1 (en) | 2007-08-10 |
Family
ID=3860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2066A KR100748560B1 (en) | 2007-06-25 | 2007-06-25 | Fiber optic spl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856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027B1 (en) | 2010-11-29 | 2012-01-05 |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 Mechanical Optical Splicer Splice |
EP3887885A4 (en) * | 2018-11-30 | 2022-07-27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Fiber optic align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14725A (en) * | 1990-01-05 | 1991-08-31 | 도널드 밀러 쎌 | Reusable Mechanical Connectors for Fiber Optics |
KR960024481A (en) * | 1994-12-12 | 1996-07-20 | 조백제 | Rail type fiber optic splicer |
KR19990020828A (en) * | 1997-08-30 | 1999-03-25 | 유기범 | Fiber optic splicer |
KR19990032828A (en) * | 1997-10-21 | 1999-05-15 | 유채준 | Mechanical Optical Splicer Splice |
KR20000032380A (en) * | 1998-11-13 | 2000-06-15 | 유채준 | Mechanical splicing apparatus of an optical splicer |
KR20030040087A (en) * | 2001-11-15 | 2003-05-22 |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 Connection structure of optical fiber and process for connecting optical fibers |
-
2007
- 2007-06-25 KR KR1020070062066A patent/KR10074856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14725A (en) * | 1990-01-05 | 1991-08-31 | 도널드 밀러 쎌 | Reusable Mechanical Connectors for Fiber Optics |
KR960024481A (en) * | 1994-12-12 | 1996-07-20 | 조백제 | Rail type fiber optic splicer |
KR19990020828A (en) * | 1997-08-30 | 1999-03-25 | 유기범 | Fiber optic splicer |
KR19990032828A (en) * | 1997-10-21 | 1999-05-15 | 유채준 | Mechanical Optical Splicer Splice |
KR20000032380A (en) * | 1998-11-13 | 2000-06-15 | 유채준 | Mechanical splicing apparatus of an optical splicer |
KR20030040087A (en) * | 2001-11-15 | 2003-05-22 |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 Connection structure of optical fiber and process for connecting optical fiber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027B1 (en) | 2010-11-29 | 2012-01-05 |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 Mechanical Optical Splicer Splice |
EP3887885A4 (en) * | 2018-11-30 | 2022-07-27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Fiber optic align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US12189189B2 (en) | 2018-11-30 | 2025-01-07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Fiber optic align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43941B1 (en) | Jack receptacle having optical and electrical ports | |
KR101947494B1 (en) | Fiber optic connector | |
US6456768B1 (en) | Optical fiber cable tracing system | |
JP4942327B2 (en) | Optical connector | |
WO2018118900A1 (en) | Traceable end point cable assembly having a tracing waveguide | |
US20170293102A1 (en) | Traceable end point cable assembly | |
EP2631690A1 (en) | Optical fiber terminal affixing member,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fiber cable with connector | |
KR101469804B1 (en) |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 |
KR100748560B1 (en) | Fiber optic splice | |
KR101065079B1 (en) | 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 | |
KR101792554B1 (en) |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 |
JP2000147323A (en) | Connecting plug | |
KR100927372B1 (en) | 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 | |
KR100871836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up optical fibers | |
JP4087587B2 (en) | Mounting structure of optical / electrical composite device | |
KR20160011739A (en) |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 |
KR101411581B1 (en) | optical fiber connecter | |
KR20100089454A (en) | Optical connector | |
KR100259267B1 (en) | Splicer for optical fiber | |
WO2004008214A1 (en) | Component for connecting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nnection structure, and optical fiber connecting method | |
JPH09197157A (en) | Optical fiber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optical fiber | |
JPH08240746A (en) | Optical multi-core connector | |
JP2014126667A (en) | Branch structure, kit for termination processing and termination method of optical fiber cable | |
KR100207054B1 (en) | Ultra-multicore optical cable connector devices | |
JP3642708B2 (en) | Optical connector and its adap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