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8265B1 -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265B1
KR100748265B1 KR1020070059080A KR20070059080A KR100748265B1 KR 100748265 B1 KR100748265 B1 KR 100748265B1 KR 1020070059080 A KR1020070059080 A KR 1020070059080A KR 20070059080 A KR20070059080 A KR 20070059080A KR 100748265 B1 KR100748265 B1 KR 100748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ating
chamber
short circuit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성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성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5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26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둘레부에 가스가 주입되어 밀폐되는 챔버를 갖는 고무재질의 관형상으로, 외부 전선으로부터 분전된 다수의 전력선을 각각 내설하여 실내벽체에 배선되는 피복과; 피복의 챔버내에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고유한 지정신호를 발신하는 압력센서와; 피복과 짝을 이루도록 피복에 상응하는 갯수로 누전차단기에 설치되는 LED; 압력센서의 지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피복을 확인하고, 짝을 이루는 LED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누전차단기에 설치되어진 LED를 확인하여, 파손된 피복의 손상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선을 신속히 교체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Protecting Stucture of Short Circuit of Wired Electrical line in an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가 누전차단기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의 설명 *
10:전력선, 20:피복,
21:챔버, 30,31,32,33,34:압력센서,
40,41,42,43,44:LED, 50:제어부,
100:누전차단기, L:통신라인,
W:전선.
본 발명은 전선의 합선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복의 파손을 감지하여 전선간의 합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동주택에 배선되는 전선은, 벽체나, 기둥, 천정이나 바닥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어, 외부 전력을 전기장치로 전달하는 수단이다. 그런데, 전선의 피복이 외력에 의해 파손을 입거나 노화로 인해 벗겨지면 해당 피복의 내부에 설치된 전력선과, 피복이 손상된 또 다른 전력선과 서로 맞닿아 합선의 위험이 있다. 또한, 피복의 손상 부위에 우수가 유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한 누전 또는 감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실내에는 각종 전선이 다수 개 설치되므로 어느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어 합선의 위험을 안고 있는지 알 수 없어서, 해당 전선뿐 아니라 정상적인 전선 모두를 교체하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손된 피 복을 손쉽게 확인하여 효율적인 전선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둘레부에 가스가 주입되어 밀폐되는 챔버를 갖는 고무재질의 관형상으로, 외부 전선으로부터 분전된 다수의 전력선을 각각 내설하여 실내벽체에 배선되는 피복과; 피복의 챔버내에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고유한 지정신호를 발신하는 압력센서와; 피복과 짝을 이루도록 피복에 상응하는 갯수로 누전차단기에 설치되는 LED; 압력센서의 지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피복을 확인하고, 짝을 이루는 LED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의 측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둘레부에 가스가 주입되어 밀폐되는 챔버(21)를 갖는 고무재질의 관형상으로, 외부 전선(W)으로부터 분전된 다수의 전력선(10)을 각각 내설하여 실내 벽체에 배선되는 피복(20)과; 피복(20)의 챔버(21)내에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고유한 지정신호를 발신하는 압력센서(30)와; 피복(20)과 짝을 이루도록 피복(20)에 상응하는 갯수로 누전차단기(100)에 설치되 는 LED(40); 압력센서(30)의 지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피복(20)을 확인하고, 짝을 이루는 LED(40)를 점등시키는 제어부(50)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피복(20)은, 가요성 고무재질이고, 가스가 주입되는 챔버(21)가 형성되는데, 챔버(21) 내 가스주입방식은 둘레부에 주입구(미도시)를 형성하여 가스를 주입한 뒤 주입구마개(미도시)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도록 형성될수도 있고, 초기 제작시 주입한 뒤 밀봉하여 제작될수도 있다. 또한, 상기 챔버(21)에 주입되는 가스가 대기압과 구분되는 높은 압력을 갖게 되면, 피복(20)이 파손될 경우 가스가 외부로 쉽게 누출되므로, 챔버(21)로 주입되는 가스의 기압은 대기압보다 차이가 클수록 유리할 것이다. 한편, 상기 챔버(21)로 주입되는 가스는 인체에 무해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30)는, 기준압력을 갖도록 설정되고, 계속적으로 압력을 측정하여, 자체에 설정된 기준압력보다 챔버(21)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낮으면 더 이상의 측정은 하지 않고 고유한 지정신호를 통신라인(L)을 통해 제어부(50)로 발신한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30)는 챔버(21) 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피복(20)의 제작방식에 따라 설치방법이 달라지는데, 일례로 주입구와 주입구마개가 형성된 피복(20)이라면, 주입구와 챔버(21)는 압력센서(30)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상기 LED(40)는, 피복(20)에 설치되는 압력센서(30)와 짝을 이루도록 상응하는 갯수로 누전차단기(100)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피복(20)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50)는, 누전차단기(100)에 내설되고, 압력센서(30)와 통신라인(L)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복(20)이 파손되면, 챔버(21) 내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어, 압력이 일정 기압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해당 압력센서(30)는 측정된 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보다 낮으므로, 더 이상의 측정은 하지 않게 되며, 제어부(50)에서는 지정신호를 확인하여 파손된 피복(20)에 상응하는 LED(40)를 점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배전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의 작동상태를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이 벽체에 설치된 뒤, 상기 피복(20)이 파손되어 설정치 이하로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압력센서(30)는 통신라인(L)을 매개로 제어부(50)에 고유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압력센서(30)에서 발신된 고유신호를 입력받아, 도 3과 같이 누전차단기(100)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해당 LED(40)를 점등시킨다.
한편, 상기 피복(20)이 정상상태일 경우에 LED(40)는 소등상태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각각의 전선에 설치된 여러 압력센서(31,32,33,34)들 중 임의의 피복(20)에 파손이 발생되면, 해당 피복(20)이 내설된 압력센서(30)만 측정을 멈추고 제어부(50)에 지정신호를 발신하게 되고, 제어부(50)에서는 지정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해당하는 LED(40)만 점등시켜 외부로 표시한다. 따라서, 누전차단기(100)에 설치된 LED(41,42,43,44)들을 확인하여 해당 전선만 교체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누전차단기(100)에 설치된 LED(40)를 확인하여, 파손된 피복(20)의 손상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전선을 신속히 교체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둘레부에 가스가 주입되어 밀폐되는 챔버(21)를 갖는 고무재질의 관형상으로, 외부 전선(W)으로부터 분전된 다수의 전력선(10)을 각각 내설하여 실내벽체에 배선되는 피복(20)과; 피복(20)의 챔버(21)내에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고유한 지정신호를 발신하는 압력센서(30)와; 피복(20)과 짝을 이루도록 피복(20)에 상응하는 갯수로 누전차단기(100)에 설치되는 LED(40); 압력센서(30)의 지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피복(20)을 확인하고, 짝을 이루는 LED(40)를 점등시키는 제어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KR1020070059080A 2007-06-15 2007-06-15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748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80A KR100748265B1 (ko) 2007-06-15 2007-06-15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80A KR100748265B1 (ko) 2007-06-15 2007-06-15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265B1 true KR100748265B1 (ko) 2007-08-10

Family

ID=3860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0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8265B1 (ko) 2007-06-15 2007-06-15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2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35B1 (ko) 2012-07-04 2013-01-09 태양기술단(주)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306972B1 (ko) 2013-05-13 2013-09-09 (주)부흥이앤씨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led)의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885840B1 (ko) 2017-10-13 2018-08-07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공동 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 내선 배전반
KR102346047B1 (ko) * 2021-05-07 2022-01-03 (주)한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선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601A (ko) * 1996-02-24 1999-11-25 디터 라우디엔, 만프레드 크라이스 펩티드 및 애쥬번트에 기초한 면역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601A (ko) * 1996-02-24 1999-11-25 디터 라우디엔, 만프레드 크라이스 펩티드 및 애쥬번트에 기초한 면역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9-008260(1999.01.2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35B1 (ko) 2012-07-04 2013-01-09 태양기술단(주)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306972B1 (ko) 2013-05-13 2013-09-09 (주)부흥이앤씨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led)의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885840B1 (ko) 2017-10-13 2018-08-07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공동 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 내선 배전반
KR102346047B1 (ko) * 2021-05-07 2022-01-03 (주)한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선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265B1 (ko)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KR101119624B1 (ko)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ES2344630T3 (es) Enchufe electrico de seguridad con circuito logico de control.
EA038628B1 (ru) Сенс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танги штанговой крепи
KR102143458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KR101262797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CN108847651B (zh) 一种电力电缆接头运行状态监测的防爆盒及事故预防方法
KR1008757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1898126B1 (ko)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형 전선 트레이
KR100859863B1 (ko)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ES2596802T3 (es) Dispositivo para detectar y señalizar fallos durante el uso de aparatos eléctricos
KR102089184B1 (ko) 절연통 보호장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306972B1 (ko)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led)의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JP2004022172A (ja) トラッキング火災防止装置
KR100860574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20160120921A (ko) 지상개폐기함의 온도 모니터링 장치
KR101372557B1 (ko) 히팅 케이블 제어함의 과부하 보호기의 단락을 알리는 경보 시스템
CN107576356A (zh) 一种地下设备故障检测方法
KR102596780B1 (ko) 건축물 실내전기의 수배전반 인입선 보호커버
KR101069754B1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CN109038470A (zh) 一种电缆中间头保护装置
KR10224722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2164326B1 (ko) 건축물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200399368Y1 (ko) 단로기 인디케이터
JP7127766B2 (ja) 差込接続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8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