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7929B1 -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929B1
KR100747929B1 KR1020010087737A KR20010087737A KR100747929B1 KR 100747929 B1 KR100747929 B1 KR 100747929B1 KR 1020010087737 A KR1020010087737 A KR 1020010087737A KR 20010087737 A KR20010087737 A KR 20010087737A KR 100747929 B1 KR100747929 B1 KR 10074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command processing
client
message conversion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663A (ko
Inventor
손명규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929B1/ko
Priority to US10/329,708 priority patent/US20030131054A1/en
Priority to CNB021583854A priority patent/CN1280750C/zh
Publication of KR2003005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9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33Object-oriented techniqu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65Distributed object oriente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4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4
    • G06F2209/544Remo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ORBA 기반하에서 하나의 EMS 서버가 서로 멀리 떨어진 다수의 전송장비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클라이언트의 명령(또는 요청, 이하 동일)이 있을 때 CORBA 기반의 명령처리 프로세스가 명령을 수행하게 될 네트워크 장비별로 명령처리 객체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로 넘겨주는 단계와; 클라이언트가 넘겨 받은 명령처리 객체에 네트워크 장비의 주소 및 처리대상 명령어 등의 명령처리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넘겨주는 단계와; 클라이언트로부터 명령처리 관련 정보를 넘겨 받은 명령처리 객체가 메시지변환 프로세스에게 해당 명령을 넘겨주는 단계와; 메시지변환 프로세스가 전달된 명령을 네트워크 장비에 맞게 변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비로 넘겨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블록킹 없이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해당 전송장비로 보내고 명령을 수행하는 장비로부터의 얼람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EMS로 다수의 전송장비를 관리하는 효율적 망관리를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Method for management of transmission equipment in CORBA based network}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CORBA 기반하의 전송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S 시스템의 객체 관계를 보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전송장비의 알람 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의 명령 처리 순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의 알람 처리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CORBA망 120 : EMS
140 : DCS 150, 230 : 전송장비
210 : 명령처리 프로세스 211 : 팩토리 객체
212 : 명령처리 객체 213 : 얼람처리 객체
220 : 메시지변환 프로세스 240 : 얼람처리 프로세스
241 : 얼람수신 객체
본 발명은 장비관리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또는 EM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이하 코바 또는 CORBA) 기반하에서 다수의 전송장비를 하나의 EMS 서버로 관리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관리시스템은 NMS(Network Management System)-EMS-CIT(Craft Interface Terminal)의 3 단계 또는 NMS-EMS의 2단계 계위를 가진다. NMS는 최상위 관리 시스템으로써 통신망 서비스 업체에서 제작하여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다수의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CIT는 하나 혹은 적은 수의 장비를 운용하기 위한 터미널이다. EMS는 하나 이상의 장비를 운용하며 CIT의 기능을 흡수하는 형태로 되고 있다. EMS의 플랫폼은 PC혹은 소형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며, 하위로는 장비와 통신을 하고 상위로는 NMS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연동기능을 갖춘다.
EMS는 관리 대상인 네트워크 장치 또는 장비(NE, Network Element)를 제어하고 상위 계층인 NMS로부터의 요구를 수행한다. 이러한 EMS는 구성관리, 성능관리, 장애관리 등의 기능을 갖는다.
효율적인 망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 노드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치(NE)의 수행상태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진다. 즉,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는 일정주기마다 EMS에 보고되며, EMS가 이 정보들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에 상위에 대한 보고를 수행한다.
한편, 네트워크 장치는 이상 동작 또는 데이터 처리 오류 등의 발생에 따른 적정한 형태의 얼람(Alarm)을 발한다. 얼람은 네트워크 요소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에 해당하므로 EMS에 보고된다.
시스템 운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EMS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각 노드들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이에 근거한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송망을 구성하는 전송장비를 관리 제어하는데 있어서, 여러 곳에 떨어져 있는 다수의 전송장비를 제어하게 되면 멀리 떨어진 장비라도 한 곳에서 통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송장비의 제어는 전송장비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EMS 또는 CIT로써 제어를 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즉, 종래 전송망 관리를 위해 각 전송장비는 EMS 또는 CIT에 직접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전송장비를 제어하는 EMS 또는 CIT가 장비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전송장비의 제어는 불가능하며, 다수의 전송장비를 제어하는 EMS가 있더라도 많은 운용자의 명령어 처리 요구에 있어서나 다수의 장치로부터의 알람 보고를 처리하는데 있어 EMS 서버의 부하가 커 시스템 구현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ORBA 기반하에서 하나의 EMS 서버가 서로 멀리 떨어진 다수의 전송장비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의 명령(또는 요청, 이하 동일)이 있을 때 CORBA 기반의 명령처리 프로세스가 상기 명령을 수행하게 될 네트워크 장비별로 명령처리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넘겨주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넘겨 받은 명령처리 객체에 네트워크 장비의 주소 및 처리대상 명령어 등의 명령처리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넘겨주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명령처리 관련 정보를 넘겨 받은 명령처리 객체가 메시지변환 프로세스에게 해당 명령을 넘겨주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변환 프로세스가 상기 전달된 명령을 네트워크 장비에 맞게 변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비로 넘겨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은, 얼람처리 프로세스가 CORBA의 보고 서비스 채널을 이용하여 얼람을 수신할 것으로 등록되는 단계와;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얼람처리 프로세스에 의해 얼람 수신할 것으로 등록된 채널에 자신도 얼람을 수신할 것으로 등록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보고되는 얼람이 상기 등록된 보고 서비스 채널을 통해 얼람처리 프로세스로 전달되는 단계와; 상기 얼람처리 프로세스가 상기 보고되는 얼람을 명령처리 프로세스를 거쳐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 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CORBA 기반하의 DCS(Digital Cross-connect System)를 포함한 전송망의 구성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S 시스템의 객체 관계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전송장비의 알람 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의 명령 처리 순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의 알람 처리 순서도이다.
CORBA는 객체관리그룹(Object Management Group, 또는 OMG)에 의해 규정된 분산요소간의 공통버스 아키텍처로, 분산요소간 형식과 상호접속 방법을 정의한다.
현재 망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유연성이나 다른 시스템과의 확장성이 좋은 CORBA 기반의 망관리시스템이 많이 채택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CORBA 기반하에서 다수의 전송장비를 관리하는 EMS를 구현한 것이다.
도1에 따르면, 기본적인 망의 프로토콜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이며, EMS(120)와 전송장비(150)들은 이러한 TCP/IP 상에서 CORBA(110)의 IIOP(Internet Inter-ORB Protocol) 통신을 함으로써 서로 ORB(Object Request Broker)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든 전송장비(150)는 IIOP를 지원하며, 라우터 또는 허브를 통하여 EMS(120)와 연결된다.
CORBA(110)의 클라이언트와 객체간의 통신모델을 보면, 명령(또는 요청)의 발행자인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있는 객체에 명령을 발행해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객체는 서버 내에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체(엔티티)에 해당하는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해 대응하는 데이터를 이용해 처리하고,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제시하는 동작을 한다. ORB는 CORBA(110)에 기반한 명령의 중개자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명령을 서버 내의 객체로 전송하고, 명령의 실행 결과를 서비스 제공 객체로부터 받아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이처럼 ORB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구성을 포함시킨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기능 전체를 나타낸다.
하나의 EMS(120)가 다수의 전송장비(150)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어 명령어들이 EMS(120) 상에서 블록킹(Blocking) 되지 않고 빨리 처리되도록 하는 EMS(120) 설계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망 운용자는 EMS(1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즉,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EMS(120)는 망 운용자의 제어 명령을 받아 들여 이를 적정하게 처리하여 전송장비(150)로 내려보내고 응답을 받아 운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다시 올려주게 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EMS(120) 자체의 클라이언트일 수도 있고, EMS(120)의 상위 운영체제인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일 수도 있다.
그런데 많은 수의 명령어가 EMS(120)로 몰릴 경우, 하나의 명령어가 처리될 때까지 다른 명령어가 처리되지 못하고 블록킹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EMS(120) 내부의 구조는 쓰레드 또는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보다는 CORBA(110)의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명령이 수행되어야 할 장비별로 프로세스(메시지 변환 프로세스)를 생성시켜 명령을 수행시키는 방식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시예는 후술한 방식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메시지 변환 프로세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내려오는 명령어를 전송장비(150)가 알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한 다음, 전송장비(150)에게 변환된 명령을 내린다. 그런 다음 전송장비(150)로부터 응답을 받아 명령처리 프로세스로 넘기고, 자신은 일정시간동안 명령이 없으면 다시 사라지게 된다.
우선, 도2를 참조하여 CORBA(110)의 기능을 이용한 명령 처리 동작은 보면,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EMS 내에서 블록킹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명령처리 프로세스(210)와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간의 통신은 비동기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객체는 모두 CORBA 객체이며, 프로세스는 명령처리 프로세스(210)와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가 구비된다.
도5에 따르면, 처음 클라이언트로부터 명령(또는 요청)이 명령처리 프로세스(210)로 넘겨지게 되면, CORBA 객체인 팩토리 객체(211)가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들인다(S51).
명령처리 프로세스(210)의 팩토리 객체(211)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각기 다른 CORBA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팩토리 객체(211)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해석하여 그 명령이 수행되어야 할 전송장비(230)별로 새로운 객체인 명령처리 객체(212)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처리 객체(212)를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준 다(S52).
클라이언트는 이처럼 생성된 명령처리 객체(212)-이 객체는 프록시 객체에 해당함-에게 해당 전송장비(230)의 주소 및 처리할 명령어 등의 정보를 넘겨 주게 된다(S53).
다음에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시키고 명령을 전송장비(230)에 전달하는 절차가 수행된다.
즉, 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를 넘겨 받은 명령처리 객체(212)는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에게 명령을 전달한다.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는 하나의 실행 파일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CORBA 구현저장소에 등록되어 있는 실행 파일이다. 서로 다른 객체에 대해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메시지변환 프로세서는 요청하는 객체가 다른 경우에 서로 다른 프로세스로 실행되도록 구현저장소에 등록되어야 한다.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를 이렇게 구현저장소에 등록함으로써 명령처리 프로세스(210)에서 생성된 객체에 따라 각각 메시지 변환 프로세스가 생성되게 된다.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는 명령처리 객체(212)로부터 명령을 전달받고 전송장비(230)에 맞는 메시지로 변환한 후 이를 해당하는 전송장비(230)에 넘긴다(S54~S55).
명령을 전달받은 전송장비(230)는 CORBA 명령을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수신된 명령을 처리하고 결과를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에게 돌려주며, 그 결과는 명령처리 프로세스(21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돌려진다(S56).
하나의 명령이 처리되는 방식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명령처리 객체(212)가 생성되고 클라이언트는 해당 객체에게 명령을 보낸다. 명령처리 객체(212)는 명령을 처리하기 위해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와 연결하게 되는데, 해당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가 살아 있다면 그 프로세스와 연결하며, 해당하는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가 없을 경우에는 CORBA에 의해 자동적으로 새로운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가 실행되고 명령처리 객체(212)는 이렇게 새로 생성된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와 연결된다.
명령처리 프로세스(210)가 명령어 처리를 하는 동안 블록킹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명령처리 객체(212)는 메시지변환 객체와 비동기적으로 명령을 처리한다. 그러므로 명령처리 객체(212)는 명령을 메시지변환 객체에게 보내고 응답이 올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이 다른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비동기식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CORBA의 콜백 또는 이벤트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이처럼 메시지변환 객체로 넘겨진 명령은 전송장비(230)의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구현되어 있는 CORBA 객체를 통하여 명령을 넘겨주고 응답을 받게 된다. 메시지변환 객체와 장비간의 연결은 동기적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비동기적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에 상관없지만, 여기서는 구현상 용이한 동기식 메시지 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는 CORBA의 기능을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명령처리 프로세스(210)나 전송장비(230)로부터의 요구가 없으면 프로세서내에서 타임아웃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소멸되게 구현함으로써, 많은 프로세스가 너무 많 은 자원을 점유하게 되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요구한 명령은 명령처리 프로세서, 메시지변환 프로세스(220), 전송장비(230)에게 전달되어 명령이 수행되고, 그 결과가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진다.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생하는 많은 요청 또는 명령을 하나의 EMS에서 처리하기 위해서 이러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EMS의 성능 및 속도면에서 우수한 EMS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송장비(230)로부터 발생하는 얼람을 처리하는 방법은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을 따른다.
이를 설명하면, 전송장비(230)로부터 보고되는 얼람은 얼람처리 프로세스(240)로 전달된 다음, 다시 명령처리 프로세스(210)의 얼람처리 객체(213)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로 보내지게 된다. 이때 얼람처리 프로세스(240)는 CORBA의 보고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면 얼람처리 프로세스(240)는 전송장비(230)로부터의 얼람을 수신하기 위하여 계속 응답을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단지 CORBA의 보고 서비스가 제공하는 채널을 이용하여 얼람을 받겠다고 등록만 해 놓으면 된다. 장비도 같은 채널에 얼람을 받겠다고 등록해 놓으면 된다. 그러면 전송장비(230)에서 보고되는 얼람을 비동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S61~S65).
이처럼 얼람 수신을 위한 EMS의 구조를 변경하여 EMS의 부하를 줄이고 장비의 얼람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CORBA 기반의 망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다수의 전송장비(230)를 하나의 EMS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EMS 서버가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명령을 블록킹 없이 빠르게 수행하여야 하며, 또한 전송장비(230)로부터의 얼람 보고도 블록킹 없이 수신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적용을 통해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EMS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에 따르면, 블록킹 없이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해당 전송장비로 보내고 명령을 수행하고, 또한 장비로부터의 얼람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EMS로 다수의 전송장비를 관리하는 효율적 망관리를 가능케 한다.

Claims (6)

  1. 클라이언트의 명령(또는 요청, 이하 동일)이 있을 때 CORBA 기반의 명령처리 프로세스가 상기 명령을 수행하게 될 네트워크 장비별로 명령처리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넘겨주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넘겨 받은 명령처리 객체에 네트워크 장비의 주소 및 처리대상 명령어 등의 명령처리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넘겨주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명령처리 관련 정보를 넘겨 받은 명령처리 객체가 메시지변환 프로세스에게 해당 명령을 넘겨주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변환 프로세스가 상기 전달된 명령을 네트워크 장비에 맞게 변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비로 넘겨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처리 프로세스와 메시지변환 프로세스간의 통신은 비동기식으로 이루어져 CORBA 명령어 수행시 블록킹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명령이 있는 때 명령처리 객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명령처리 프로세스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받게 되면 CORBA의 팩토리 객체가 해당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들이고, 상기 명령처리 프로세스의 팩토리 객체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해석하여 해당 명령이 수행되어야 할 네트워크 장비별로 명령처리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변환 프로세스는,
    CORBA 구현저장소에 등록되어 있는 실행 파일이며, 서로 다른 객체에 대해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명령처리 객체가 다른 경우에는 서로 다른 프로세스로서 실행되도록 구현저장소에 등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메시지변환 프로세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내려오는 명령어를 전송장비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비에게 변환된 명령을 내리고, 해당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응답을 받는 경우에는 해당 응답을 상기 명령처리 프로세스로 넘기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명령처리 프로세서로부터 새로운 명령이 전달되어 오지 않으면 구동을 중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변환 프로세스가 전달한 명령을 받게 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해당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명령 처리 결과를 상기 메시지변환 프로세스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변환 프로세스로 전달된 상기 명령 처리 결과가 상기 명령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돌려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KR1020010087737A 2001-12-29 2001-12-29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4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737A KR100747929B1 (ko) 2001-12-29 2001-12-29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US10/329,708 US20030131054A1 (en) 2001-12-29 2002-12-27 CORBA based transmission ele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B021583854A CN1280750C (zh) 2001-12-29 2002-12-30 基于corba的传输单元管理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737A KR100747929B1 (ko) 2001-12-29 2001-12-29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663A KR20030057663A (ko) 2003-07-07
KR100747929B1 true KR100747929B1 (ko) 2007-08-08

Family

ID=1971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7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7929B1 (ko) 2001-12-29 2001-12-29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131054A1 (ko)
KR (1) KR100747929B1 (ko)
CN (1) CN128075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929B1 (ko) * 2001-12-29 2007-08-08 엘지노텔 주식회사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US7330722B1 (en) * 2004-03-03 2008-02-12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utomated provisioning and maintenance of Operations Support Systems
CN100375443C (zh) * 2005-02-25 2008-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业务管理系统接入网元管理系统的方法
US7729287B2 (en) * 2006-11-10 2010-06-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of providing simulation for communications systems and related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2130944B (zh) * 2010-12-30 2013-05-15 中国民航信息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对自助柜机和自助系统的监控管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739A (ko) * 2000-06-21 2000-09-05 김성우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US6260062B1 (en) * 1999-02-23 2001-07-10 Pathnet, Inc. Element management system for heterogeneous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20033222A (ko) * 2000-10-30 2002-05-06 구자홍 전송장비 관리시스템 사이의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20055946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코바 기반하에서의 다수의 디시에스를 관리하는 이엠에스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57663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421B2 (en) * 1998-05-31 2002-03-2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mputer internet remote management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US6731627B1 (en) * 1998-11-17 2004-05-04 Cisco Technology, Inc. Virtual loop carrier system
US6708207B1 (en) * 1999-06-03 2004-03-16 Fujitsu Network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management protocols in a network element
US6968553B1 (en) * 2001-03-01 2005-11-22 Alcatel Element manager common gateway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062B1 (en) * 1999-02-23 2001-07-10 Pathnet, Inc. Element management system for heterogeneous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00054739A (ko) * 2000-06-21 2000-09-05 김성우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KR20020033222A (ko) * 2000-10-30 2002-05-06 구자홍 전송장비 관리시스템 사이의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20055946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코바 기반하에서의 다수의 디시에스를 관리하는 이엠에스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57663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0158A (zh) 2003-07-16
CN1280750C (zh) 2006-10-18
KR20030057663A (ko) 2003-07-07
US20030131054A1 (en)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1594A (en) Remote node maintenance an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multiprotocol agents
US7664844B2 (en) Managing network errors communicated in a message transaction with error information using a troubleshooting agent
US62559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object filtering
US57685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domain alarm correlation
US8239520B2 (en) Network service operational status monitoring
JPWO2004071014A1 (ja) Snmpプロキシエージェント、及び管理情報中継方法
US20040205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component-based system
US20050235058A1 (en) Multi-network monitoring architecture
KR20110014943A (ko)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서비스 QoS 제공방법
CN112448987B (zh) 一种熔断降级的触发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4157715B (zh) 一种骨干网络控制器的网络信息管理方法及系统
US20020120694A1 (en) Distributed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operations automation
KR100747929B1 (ko) 코바 기반하에서의 전송장비 관리 방법
US20020042847A1 (en) Method for a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processing event information, as well as management object, discriminator object and managed object for it
JP2008071197A (ja) Snmpメッセージにより機器から情報を取得する機器情報取得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20050015476A1 (en) Network element system for providing independent multi-protocol service
JP5348907B2 (ja) サービス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Lopes et al. On the use of mobility in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US20020042848A1 (en) Method of providing services in a network management system having an open system architecture and also a service object, a request object and a request manager therefor
KR100256672B1 (ko) 통신관리망 환경에서의 데이터 일치 방법
KR20020055946A (ko) 코바 기반하에서의 다수의 디시에스를 관리하는 이엠에스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00505B1 (ko) 자율망간 환경에서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위한웹기반기업관리 기반의 차등화 경로보호를 이용한장애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613856B1 (ko) 장애 관리용 통신 프로토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장애 관리 방법
WO20250690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ne or more instances of policy execution engine (peegn)
WO20250624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operations on network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U15-X000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508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80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