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7518B1 -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518B1
KR100747518B1 KR1020010018318A KR20010018318A KR100747518B1 KR 100747518 B1 KR100747518 B1 KR 100747518B1 KR 1020010018318 A KR1020010018318 A KR 1020010018318A KR 20010018318 A KR20010018318 A KR 20010018318A KR 100747518 B1 KR100747518 B1 KR 10074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gital
external
ic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256A (ko
Inventor
고동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5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지털 TV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상파, 케이블, 위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와 크기로 중첩 또는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또는 외부 신호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TV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채널이나 외부 신호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크기에 대한 화면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에 연결되어 저장된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전환 또는,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외부 신호를 받아들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지털 TV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디지털 TV의 성능도 향상시킨다.
다중 화면, 임의 위치, 임의 크기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 screen in digital TV}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양한 예들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DTV 수신부 102 : 외부기기 입력부
103 : 디스플레이 관리부 104 : 사용자 입력 수신부
105 : 디스플레이 처리부
본 발명은 디지털 TV 환경에서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크기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TV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날로그 TV에서는 TV 프로그램을 TV 화면에 여러개 디스플레이할 경우 PIP(Picture In Picture)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그리고, 이미 지정된 위치에 서브 화면 형태로 제한된 표현을 하였다. 한편, TV는 아날로그 TV에서 디지털 TV로 전환되고 있고,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디지털 TV의 대화면에 여러 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싶은 화면 분할 욕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력기기(예, PC(Personal Computer), DVD(Digital Versatile Disc), VCR(Video Cassette Recorder)등)가 다중으로 연결된 상황에서 사용자는 외부 입력 기기와 여러 가지 TV 방송을 한 화면에 임의의 위치에 배열하여 보고자 하는 욕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아날로그 TV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미 지정된 위치에서만 다수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외부 입력 기기가 다중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이를 모두 디스플레이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리모콘의 채널 업/다운 키등을 이용한 채널 전환등의 방법으로 채널을 서핑하는 것은 DTV 환경에서의 입력 소스의 다중화 및 다채널화된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TV 환경에서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크기로 다수개의 TV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외부 입력 기기에서 전달된 신호와 TV 프로그램을 화면에 혼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TV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V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채널 또는, 외부 입력 기기에서 전달된 외부 신호 등을 아이콘 형식으로 최소화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채널 전환과 같은 화면 전환을 쉽게 수행하는 디지털 TV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여 복조 및 디코딩처리하는 디지털 TV 수신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들을 디지털 TV 포맷에 맞게 처리하는 외부 기기 입력부; 그리고 상기 디지털 TV 수신부와 외부 기기 입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 프로그램과 외부 신호들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TV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한 위치와 크기로 화면을 중첩 또는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의 상기 아이콘은, 상기 채널이나 외부 신호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크기에 대한 화면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에 연결되어 저장된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전환 또는,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외부 신호를 받아들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의 상기 아이콘은, TV 전원 온시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들 또는 마지막으로 본 채널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 또는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외부 신호를 받아들여 디스플레이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TV 환경에서 다중 채널 및 외부 기기에서 전달된 신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임의의 크기로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한 채널(외부 입력 기기를 통해 입력된 신호 포함.) 또는 선호채널들에 대해 아이콘화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화면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RF 신호 수신부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DTV 수신부(101)는 지상파나 케이블 또는 위성을 통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TV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비디오 신호는 MPEG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관리부(103)로 출력한다. 또한, DTV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서 출력되는 외부 신호는 외부 기기 입력부(102)에서 DTV 포맷에 맞게 처리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103)로 출력된다.
한편, 리모콘 등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입력 수신부(104)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103)로 출력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103)는 화면 및 아이콘 정보 저장부와 화면 및 아이콘 검색부 그리고, 화면 및 아이콘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DTV 신호 및 외부 신호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된 채널이나 외부 신호의 아이콘화 및 아이콘화된 채널이나 외부 신호의 화면 저장,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화면의 검색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처리부(105)는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103)의 제어에 의해 DTV 신호나 외부 신호를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103)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와 크기로 상기 DTV 수신부(101)에서 출력되는 DTV 신호 또는, 외부 기기 입력부(102)에서 외부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가 요구하는 화면이 다수개이면서 중첩이 필요한 경우, 상기 DTV 신호 또는 외부 신호는 디스플레이 관리부(103)의 제어에 의해 일부 또는 전체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103)는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이나 외부 신호를 아이콘화하면서 이때의 화면의 위치 및 크기에 관련된 화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click)할 경우 선택된 아이콘에 연결된 화면을 화면 및 아이콘 정보 검색부에서 검색한 후 상기 화면 및 아이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상태로 디스플레이시키면서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사용자가 자연 다큐멘타리를 하는 채널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사용자가 지정된 위치와 크기로 자연 다큐멘타리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자연 다큐멘타리나 자연 다큐멘타리를 하고 있는 채널임을 알 수 있는 아이콘이 생성되어 TV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자연 다큐멘타리 화면이 활성 화면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아이콘은 하이라이트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자연 다큐멘타리 화면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축구를 하고 있는 채널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자연 다큐멘타리 화면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크기는 저장되면서 사용자가 새로이 지정한 위치와 크기로 축구를 하고 있는 채널의 화면이 활성화되어 도 2a의 왼쪽과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축구나 축구를 하고 있는 채널임을 알 수 있는 아이콘이 생성되어 TV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되는데, 이 경우 축구 화면이 활성 화면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축구 화면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된다. 이때, 상기 자연 다큐멘타리 화면은 TV 화면 상에서 제거될 수도 있고, 또는 축구 화면과 중첩된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도 2a의 오른쪽 화면과 같이 남아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자연 다큐멘타리를 가리키는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도 2a의 오른쪽 화면과 같이 저장되어 있던 위치와 크기로 자연 다큐멘타리 화면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자연 다큐멘타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된다.
한편, 도 2b의 왼쪽 화면에서와 같이 축구 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해당 아이콘의 클릭을 통해 화면 최대화를 요청하면, 도 2b의 오른쪽 화면과 같이 축구 화면이 최대화 즉, TV 화면의 최대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사용자는 여러개의 채널 또는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전달된 외부 신호를 TV 화면에 임의의 위치, 임의의 크기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화면의 최대화, 최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도 2c와 같이 축구 화면과 자연 다큐멘타리 화면의 위치와 크기를 변경하면 도 2c의 오른쪽 화면과 같이 축구 화면과 자연 다큐멘타리 화면의 위치와 크기가 변경된다. 이때에도 변경된 화면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가 화면 및 아이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도 2d와 같이 다수개의 TV 프로그램이 다중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신호가 입력되면 도 2d의 오른쪽 화면과 같이 외부 신호도 TV 신호와 함께 중첩되어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외부 신호가 입력되면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외부 신호가 이미 디스플레이된 다른 신호들과 중첩되어 TV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에도, 외부 신호가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해당 외부 신호나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생성되어 TV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외부 신호가 TV 화면에서 제거되거나 비활성화되면 이때의 외부 신호의 화면 위치와 크기에 대한 저장된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관리부(103)는 외부 기기 입력부(102)를 통해 해당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신호를 받아들이고, 그 외부 신호는 디스플레이 처리부(105)를 통해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에는 활성화된 외부 신호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된다.
이때, TV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의 숫자와 TV 화면 상에 다중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외부 신호 포함)의 수는 일정 값으로 한정되며, 이는 설계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TV의 전원을 온할때에도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본 채널 또는,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채널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본 채널부터 역순으로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들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이때, DTV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가 있다면 그 외부 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들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아이콘 들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상 기 선택된 아이콘과 연결된 화면 정보 및 입력 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전환 또는,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받아들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TV 환경에서 다중 윈도우 형식의 TV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되며, 다른 외부 입력 소스와도 혼재되어 함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여러 개의 채널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TV 화면에 임의의 위치, 임의의 크기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화면의 최대화, 최소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현재 수신을 선택한 프로그램 또는, 외부 입력 화면을 아이콘화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화면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에 의하면, 디지털 TV 환경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 프로그램들과 외부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들을 중첩 또는 분할하여 임의의 위치, 임의의 크기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동시에 화면 정보를 저장한 아이콘을 통하여 쉽게 화면 전환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디지털 TV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디지털 TV의 성능도 향상시킨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지상파, 케이블, 위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여 복조 및 디코딩처리하는 디지털 TV 수신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들을 디지털 TV 포맷에 맞게 처리하는 외부 기기 입력부; 그리고
    상기 디지털 TV 수신부와 외부 기기 입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 프로그램과 외부 신호들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TV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한 위치와 크기로 화면을 중첩 또는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의 상기 아이콘은,
    상기 채널이나 외부 신호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크기에 대한 화면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에 연결되어 저장된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전환 또는,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외부 신호를 받아들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의 상기 아이콘은,
    TV 전원 온시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들 또는 마지막으로 본 채널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 또는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외부 신호를 받아들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
KR1020010018318A 2001-04-06 2001-04-06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KR10074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318A KR100747518B1 (ko) 2001-04-06 2001-04-06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318A KR100747518B1 (ko) 2001-04-06 2001-04-06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256A KR20020078256A (ko) 2002-10-18
KR100747518B1 true KR100747518B1 (ko) 2007-08-08

Family

ID=2770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318A KR100747518B1 (ko) 2001-04-06 2001-04-06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993A (ko) * 2012-09-13 2015-05-20 낫소스 파이낸스 에스에이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73B1 (ko) * 2004-12-31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0616B1 (ko) * 2005-04-0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87968B1 (ko) * 2005-04-13 2006-06-14 김종구 디지털다중정보 다분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690619B1 (ko) * 2005-04-1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TVLink 방식의 프레임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76822B1 (ko) * 2005-05-25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화면 기능을 가진 영상처리장치
KR100888595B1 (ko) * 2005-08-05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MX2008001422A (es) * 2005-08-05 2008-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ato para proporcionar pantallas multiples y metodo para configurar dinamicamente pantallas multiples.
US8243198B2 (en) 2005-08-05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KR100900975B1 (ko) * 2005-08-05 2009-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0891111B1 (ko) * 2005-08-05 2009-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0900974B1 (ko) * 2005-08-05 2009-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0900973B1 (ko) * 2005-08-05 2009-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WO2007018369A1 (en) * 2005-08-05 2007-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KR100757867B1 (ko) * 2005-08-30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WO2007114675A1 (en) * 2006-04-06 2007-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765789B1 (ko) * 2006-06-27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와,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101642290B1 (ko) * 2014-12-30 2016-07-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기기와 연동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80B1 (ko) * 1994-09-30 1998-04-16 배순훈 더블 피아이피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9990008711A (ko) * 1997-07-03 1999-02-05 윤종용 방송방식이 서로다른 복수화면의 동시시청 가능한 tv수신 장치
KR100197837B1 (ko) * 1995-09-14 1999-06-15 윤종용 더블스크린을 이용한 정보 및 외부신호 표시장치
KR19990042500A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KR20010005915A (ko) * 1997-04-03 2001-01-15 밀러 제리 에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하며 위치 의존 커서와 기능 제어를 하는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80B1 (ko) * 1994-09-30 1998-04-16 배순훈 더블 피아이피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0197837B1 (ko) * 1995-09-14 1999-06-15 윤종용 더블스크린을 이용한 정보 및 외부신호 표시장치
KR20010005915A (ko) * 1997-04-03 2001-01-15 밀러 제리 에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하며 위치 의존 커서와 기능 제어를 하는 디스플레이
KR19990008711A (ko) * 1997-07-03 1999-02-05 윤종용 방송방식이 서로다른 복수화면의 동시시청 가능한 tv수신 장치
KR19990042500A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993A (ko) * 2012-09-13 2015-05-20 낫소스 파이낸스 에스에이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
US9521352B2 (en) 2012-09-13 2016-12-13 Naxos Finance Sa Television set capable of identifying a plurality of peripherals and allowing to select and display the contents of one of the same
KR101698284B1 (ko) * 2012-09-13 2017-01-19 낫소스 파이낸스 에스에이 복수의 주변장치를 식별하고 주변장치 중 하나의 주변장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256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51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US7050117B2 (en) Channel selection device used in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US5838384A (en) System for assigning multichannel audio signals to independent wireless audio output devices
KR100513050B1 (ko) Tv 시스템의 다중 pop에서 슬롯 이동 방법 및 장치
EP1435731A1 (en) Broadcast receiver
US20070118852A1 (en) Virtual television channels for audio-video system
US20020101540A1 (en) Channel selection device for use in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and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0425319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선택 방법
US20050064831A1 (en) Software signal receiver
US20130014167A1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program selecting method
JP4979024B2 (ja) チャンネル選択を可能にする方法
KR20030085906A (ko) 복수의 튜너를 갖는 텔레웹정보 수신장치 및 채널검색방법
US77213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hannel selection in a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20120254916A1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program selecting method
KR100447902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장르별 프로그램 탐색 방법
JPH10145689A (ja) チャンネル選択方法及び装置
US20050071875A1 (en) Programmable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0319869B1 (ko) 방송 신호 선택방법
JP3759581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1035629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KR20020032802A (ko) 다중 매체를 통한 동일방송 수신 방법
KR100739128B1 (ko)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KR20090074639A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KR20050120419A (ko) 선호채널의 검색 및 선국이 간단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39861A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에서의 선호 메뉴 실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0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4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