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6703B1 - 스마트카드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스마트카드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703B1
KR100746703B1 KR1020050034758A KR20050034758A KR100746703B1 KR 100746703 B1 KR100746703 B1 KR 100746703B1 KR 1020050034758 A KR1020050034758 A KR 1020050034758A KR 20050034758 A KR20050034758 A KR 20050034758A KR 100746703 B1 KR100746703 B1 KR 10074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ard
cob module
dimple
smart c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824A (ko
Inventor
유진호
채종훈
김순용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05003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70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7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02K7/145Hand-held machine to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식 및 비접촉식 스마트카드 또는 콤비카드 즉,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배열로 적층된 스마트카드 제조시 COB 모듈의 실장부 이면에 발생되는 딤플(Dimpl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매립되는 비접촉식 COB 모듈이 위치하는 상·하부 시트의 접촉부, 또는 COB 모듈의 댐부가 위치하는 인쇄시트의 이면 부분에 쿠션 역활을 할 수 있는 볼록층을 형성시킨 다음에 카드에 적합한 적층 구성으로 상부 보호필름 및 인쇄시트와 두께 조절층, 하부 인쇄시트 및 하부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스마트카드를 구성하는 공정에서 볼록층을 형성시킨 시트를 적층의 구성층으로 사용하는 칩 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COB 모듈의 댐부가 위치하는 인쇄시트 이면에 딤플 방지를 위해 쿠션 역활을 할 수 있는 볼록층을 형성시켜; 상층으로 상부 보호층과 인쇄층을, 중간층으로는 COB모듈의 댐부 두께에 적합한 두께 조절층과 하층으로는 이면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이 형성된 하부 인쇄층 그리고 하부 보호층을 순차적으로 정합한 후 각 적층 시트간 움직이지 않도록 정전기를 제거하여 밀착시킨 후 인두 등으로 점 접착하여 각 층을 가접하고 COB 모듈을 실장하여 경면판 사이에 넣고 라미네이터에서 열과 압력으로 적층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COB 모듈 이면에 위치한 시트부에 딤플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스마트카드, COB 모듈, 적층, 딤플 방지 볼록층

Description

스마트카드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A Smart-card making method for prevention of its dimple}
도 1은 종래의 스마트카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마트카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은 종래의 콤비카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콤비카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 구성 시트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딤플 방지용 볼록층이 형성된 이면 인쇄시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COB모듈과 카드내부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을 콤비카드에 적용된 COB모듈과 카드내부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스마트카드에 적용된 COB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매립되는 비접촉식 칩(COB모듈)에 적용된 딤플 방지용 볼록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 보호층 20 : 하부 인쇄층
25 : 딤플 방지용 볼록층 30 : 안테나 코일 삽입층
31 : 안테나 코일 32 : 댐 위치 관통부
33 : 안테나 단자(전도성섬유) 34 : 안테나 단자(코일)
35 : 두께 조절층 37 : COB모듈의 댐부 관통부
40 : 상부 인쇄층
42 : 상부 인쇄층의 COB모듈 위치 관통부
50 : 상부 보호층
52 : 상부 보호층의 COB모듈 위치 관통부
70 : 카드 본체 72 : 카드본체에 형성된 요부홈
100 : COB모듈 101 : COB모듈의 댐부
104 : COB모듈의 단자 108 : 전도성 접착제
111 : 핫-멜트 테이프 112 : ACF
본 발명은 접촉식 스마트카드 또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사용할 수 있 는 콤비형 스마트카드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배열로 적층된 스마트카드에서 매립되는 비접촉식 칩(COB모듈) 및 COB모듈 실장 시 발생되는 딤플(Dimpl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COB모듈이 위치하는 상·하부 시트 부분에 쿠션 역활을 할 수 있는 딤플 방지용 볼록층을 형성시킨 다음, 카드에 적합한 시트의 적층 구성으로 상부 인쇄시트 및 보호필름과 두께 조절층, 하부 인쇄층 및 하부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스마트카드를 구성하는 데 있어 COB모듈이 실장되는 부위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이 형성된 시트를 적용하여 칩 카드 제조시 발생되는 딤플을 방지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접촉식 스마트카드 또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콤비형 스마트카드의 COB모듈 실장시 또는 열압착시 COB모듈 댐부 위치에 발생되는 딤플을 방지하기 위하여 COB모듈의 댐부가 위치하는 하부 인쇄시트 뒤 부분에 딤플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의 종류로는 표면에 노출된 접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촉식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와 내장된 안테나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비접촉식 RF카드(Radio frequency non-contact card)가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카드는 PVC, ABS, PC, PETG, PET 등의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 시트로 만들어진 카드로서 하부 보호층(10), 하부 인쇄층(20), 상부 인쇄층(40) 그리고 카드 상부 보호층(50)이 순차적으로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접촉식 IC카드와 하부 보호층(10), 하부 인쇄층(20), 안테나 코일이 위치되는 안테나 코일 삽입층(30), 상부 인쇄층(40) 그리고 카드 상부 보호층(50)이 순차적으로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접촉식, 비접촉식 콤비카드가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스마트카드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스마트카드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각각의 카드 하부 보호층(10), 하부 인쇄층(20), 상부 인쇄층(40) 및 카드 상부 보호층(5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하나의 적층판을 이루도록 눌러서 적정한 열과 압을 가하여 압축시켜 펀칭하여 카드 본체(70)를 구성한다.
카드 본체(70)가 구성되면, 카드 본체(70)에서 COB모듈(100)이 위치하는 곳에 요부홈(72)를 형성하고, 그 요부홈(72) 내로 Hot-melt 테이프(111)가 부착된 장방형의 COB모듈(100)을 요부홈(72)에 삽입한다.
장방형의 COB모듈(100)이 요부홈(72)에 삽입되면, COB모듈(100) 위에서 열과 압력을 부가하여 COB모듈(100) 이면에 처리된 핫-멜트(Hot-Melt) 테이프(111)와 카드본체(70)가 접착되어 하나의 스마트카드가 완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스마트카드는 COB모듈(100)이 부착된 카드 이면에 딤플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4에는 종래의 콤비카드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안테나 코일 삽입층(30)에 가장자리를 따라 안테나 코일(31)을 감고, 그 일부분에는 안테나 코일과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34)를 형성한다.
상기 안테나 단자(34)가 형성되면 각각의 카드 하부 보호층(10), 하부 인쇄층(20), 안테나 코일 삽입층(30), 상부 인쇄층(40) 및 카드 상부 보호층(5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하나의 적층판을 이루도록 눌러서 적정의 열과 압을 가하여 압축시켜 펀칭하여 카드 본체(70)를 구성한다.
카드 본체(70)가 구성되면, 카드 본체(70)에서 안테나 코일(31)의 안테나 단자(34)가 위치하는 부분에 카드 본체에 형성된 요부홈(72)를 형성하고, 그 요부홈(72) 내로 노출된 안테나 코일(31)의 안테나 단자(34)에 점성의 도전성 접착제(108)를 도포한 후, 장방형의 COB 모듈(100)를 요부홈(72)에 삽입한다.
장방형의 COB 모듈(100)가 요부홈(72)에 삽입되면, COB 모듈(100) 위에서 열과 압력을 부가하여 COB 모듈(100)에 처리된 핫-멜트 테이프(111)와 카드본체(70)를 접착함과 동시에 도전성 접착제(108)의 경화에 의해 안테나 코일(31)의 안테나 단자(34)와 COB 모듈(100)의 단자(10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콤비카드가 완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콤비카드는 COB 모듈(100)가 부착된 카드 이면에 딤플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매립되는 비접촉식 칩, 스마트카드 및 콤비카드 제조공정에서 나타나는 딤플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단순한 딤플 방지용 볼록층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여 제조 공정상의 외관 불량을 최소화하여 그에 따른 생산성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양호한 스마트카드 및 콤비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종 스마트카드 및 콤비카드의 적층에 구성되는 이면 인쇄시트 또는 COB모듈 댐부나, 매립되는 비접촉식 COB모듈과 접촉하는 상·하부 인쇄층의 접촉부위에 쿠션 역활을 할 수 있는 딤플 방지용 볼록층을 형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형성시킨 딤플 방지용 볼록층이 형성된 시트는 카드에 적합한 구성인 상부 보호필름 및 인쇄층(시트), 두께 조절층과 이면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을 형성시킨 하부 인쇄층 및 보호필름을 적층하여 정합한 후 COB 모듈를 실장하거나 또는 딤플 방지용 볼록층이 형성된 매립되는 시트는 COB 모듈의 상하부 시트로 구성되고 각 적층시트간 움직이지 않도록 정전기를 제거하여 밀착시킨 후 인두 등으로 점 접착하여 각 층을 가접한 후 경면판 사이에 넣고 라미네이터에서 열과 압력으로 적층판을 형성하는 과정과;
이렇게 딤플 방지용 볼록층이 형성된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된 적층판은 아이씨칩 이면에 딤플이 발생되지 않으며, COB모듈이 정위치에 오도록 펀칭함으로써 COB모듈 이면의 카드외관이 양호한 스마트카드 또는 콤비카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먼저, 카드 본체(70)를 구성하는 각 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 보호층(50)이 있고 다음으로는 상부 인쇄층(40)이 있다. 중간에 카드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두께 조절층(35)을 적합하게 맞추고 딤플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층(25)이 형성된 하부 인쇄층(20)과 하부 보호층(1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적층 시트들이 흔들려 움직이지 않도록 도구를 이용하여 열 등으로 접착하여 고정시킨 다음 적정한 열과 압력으로 적층판을 만들어 일체화시킨 후 정 위치 펀칭하여 카드 본체(70)가 구성되면, 카드 본체(70)에서 COB모듈이 위치하는 곳에 요부홈(72)를 형성하고, 그 요부홈(72) 내로 핫-멜트 테이프(111)가 부착된 장방형의 COB모듈(100)을 요부홈(72)에 삽입한다.
장방형의 COB모듈(100)이 요부홈(72)에 삽입되면, COB모듈(100)위에서 열과 압력을 부가하여 COB모듈(100)에 처리된 핫-멜트 테이프(111)와 카드본체(70)가 접착되어 하나의 스마트카드가 완성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마트카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부 인쇄층의 COB모듈 위치 관통부(52)가 형성된 상부 보호층(50)이 있고 다음으로는 관통부(42)가 형성된 상부 인쇄층(40)이 있다.
중간에 카드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댐위치 관통부(37)가 형성된 두께 조절층(35)을 적합하게 맞추고 딤플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층(25)이 형성된 하부 인쇄층(20)과 하부 보호층(1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적층 시트들이 흔들려 움직이지 않도록 도구를 이용하여 열 등으로 접착하여 고정시킨 다음, 핫-멜트 테이프(111)가 부착된 COB모듈(100)을 형성된 요부홈(72)에 적정한 열과 압력으로 가접시킨 후 라미네이터에서 적정한 열과 압력으로 적층판을 만들어 일체화시킨 후 정 위치 펀칭하여 스마트카드를 완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카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안테나코일(31)과 안테나단자(34)가 형성된 안테나 코일 삽입층(30)의 상층으로는 상부 인쇄층(40) 및 카드 상부 보호층(50), 하층으로는 딤플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층(25)이 형성된 하부 인쇄층(20), 하부 보호층(1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하나의 적층판을 이루도록 눌러서 적정의 열과 압을 가하여 압축시켜 펀칭하여 카드 본체(70)를 구성한다.
카드 본체(70)가 구성되면, 카드 본체(70)에서 안테나 코일(31)의 안테나 단자(34)가 위치하는 부분에 카드 본체에 형성된 요부홈(72)를 형성하고, 그 요부홈(72) 내로 노출된 안테나 코일(31)의 안테나 단자(34)에 점성의 도전성 접착제(108)를 도포한 후, 핫-멜트 테이프(111)가 부착된 장방형의 COB 모듈(100)를 요부홈(72)에 삽입한다.
장방형의 COB모듈(100)이 요홈부(72)에 삽입되면, COB모듈(100) 위에서 열과 압력을 부가하여 COB모듈(100)에 처리된 핫-멜트 테이프(111)와 카드본체(70)를 접착함과 동시에 도전성 접착제(108)의 경화에 의해 안테나 코일(31)의 안테나 단자(34)와 COB모듈(100)의 단자(10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여 딤플 현상이 없는 하나의 콤비카드가 완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콤비카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 구성 시트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층으로부터 각 적층 시트를 살펴보면, COB모듈 위치 관통부(52)가 형성된 상부 보호층(50)이 있고 다음으로는 관통부(42)가 형성된 상부 인쇄층(40)이 있다.
안테나 코일(31)의 안테나 코일 삽입층(30)은 COB모듈(100)과 ACF(112)에 의하여 접합 또는 통전되거나 핫-멜트 테이프(111)와 접합되고 전도성 접착제(108)에 의해 통전되고 있다.
그리고 그 아래로는 COB모듈 댐부(101) 위치 관통부(37)가 형성된 안테나 코일 두께 조절층(35)을 적합하게 맞추고 딤플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층(25)이 형성된 하부 인쇄층(20)과 하부 보호층(10)으로 구성된다. 각 적층 시트들이 흔들려 움직이지 않도록 도구를 이용하여 열 등으로 접착하여 고정시킨 다음 적정한 열과 압력으로 적층판을 만들어 일체화시킨 후 정 위치 펀칭하여 콤비카드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카드 COB모듈(100)과 콤비카드 COB모듈(100)을 부착시킬 때 칩 부착기기에 의해서건 라미네이터에 의한 카드적층에 의한 방법이건 모두 도 7에서와 같은 딤플 방지 볼록층(25)이 필요하다.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의 구성하는 물질로는 다음과 같다.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은 탄성 있는 물질이면 딤플 방지 효과가 양호하게 나타난다. 각종 비닐 점착테이프(예 : PVC, PP 등) 및 종이테이프도 딤플 방지 효과가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특히 에멀젼타입 Vinyl-acetate 계 수성수지, UV코팅제 또는 UV 잉크(예 : Polyurethan- acrylate계) 등의 적용 실시예에서 딤플 방지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점착형 테이프의 경우 일반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테이프의 기재는 종이, PVC 및 PP 등이고 두께는 0.05~0.20㎜, 성분은 고무계 및 핫-멜트 계, 비닐계로 두께는 0.01~0.03㎜ 이다.
상기의 점착형 테이프를 적정한 정방형의 면적 0.5㎠에서 1.6㎠의 크기로 잘라 딤플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트의 이면에 붙임으로서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시트를 다수의 시트와 함께 적층 구성하여 COB모듈(100)을 실장하는 공정을 실시한 결과 열과 압력에 대한 딤플 방지효과가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에멀젼타입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계 수성수지를 스크린인쇄로 딤 을을 방지하고자하는 시트의 이면 또는 하부인쇄시트(20) 뒷면에 적용하는 데 있어면적은 0.5㎠에서 1.5㎠의 크기로 하고, 볼록층의 높이는 40㎛에서 120㎛ 정도로 볼록층(25)을 형성시킨다.
이 방법은 수성타입의 잉크 특성상 건조 및 작업성이 미흡하였으나 이렇게 형성된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이 형성된 시트를 다수의 시트와 함께 적층 구성하여 COB모듈(100)을 실장하는 공정을 실시한 결과 열과 압력에 대한 딤플 방지효과가 우수하였다.
[실시예 3]
UV잉크 바니시(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드, 우레탄-아크릴레이드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를 스크린인쇄로 볼록층(25)을 딤플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트의 이면 또는 하부인쇄시트(20) 뒷면에 적용하는데 있어 면적은 0.5㎠에서 1.5㎠의 크기로 하고, 볼록층의 높이는 40㎛에서 120㎛ 정도로 볼록층(25)을 형성시킨다.
이 방법은 UV광을 이용하여 형성시킨 볼록층을 건조시킴으로써 정밀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딤플 방지용 볼록층이 형성된 시트를 시트를 다수의 시트와 함께 적층 구성하여 COB모듈(100)을 실장하는 공정을 실시한 결과 열과 압력에 대한 딤플 방지효과가 우수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적층 시트사이에 딤플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층(25)이 형성된 시트를 COB모듈(100)의 하부 인쇄층(20) 또는 매립되는 비접촉식 칩의 상·하부 시트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스마트카드 및 콤비카드 제조공정에서 나타나는 COB모듈 (100) 실장 이면에 나타나는 딤플 현상을 극복하고, 보다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여 제조공정상의 외관불량을 최소화하여 그에 따른 생산성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양호한 스마트카드 및 콤비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딤플 현상 방지용 볼록층을 제공함으로써 매립되는 비접촉식 COB모듈의 적층 가공시 또는 스마트카드 및 콤비카드 제조 공정의 COB모듈 실장시 나타나는 COB모듈 이면의 딤플 현상을 제거하고, 보다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여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7)

  1. 스마트카드 및 콤비카드의 카드 본체(70)를 구성하는 다수의 시트 적층에 있어 COB모듈(100)이 실장되는 하부 인쇄층(20) 또는 하부 인쇄층(20)의 COB모듈(100) 및 댐부(101)가 위치하는 한 부분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이 형성되도록 적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2. 매립되는 비접촉식 COB모듈(100) 및 댐부(101)가 위치하는 부분의 하부 인쇄층(20) 및 상부 인쇄층(40)의 한 부분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이 형성되도록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COB모듈(100) 댐부(101)가 위치하는 부분의 인쇄층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을 형성하는 물질로 플라스틱 필름(예 : PVC, PP 등), 합성수지, 종이 등을 기재로 하는 점착테이프, 에멀젼타입의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성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트(Polyurethan- acrylate)계 UV코팅제 또는 UV 잉크를 사용하여 볼록층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COB모듈(100)의 댐부(101)가 위치하는 부분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을 형성하는데 있어 면적이 0.5㎠에서 1.6㎠이내고, 두께는 40㎛에서 120㎛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점착테이프의 두께는 0.05~0.20mm, 성분은 고무계 및 핫-멜트계, 비닐계로 두께는 0.01~0.03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COB모듈(100) 의 댐부(101)가 위치하는 부분의 시트에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스크린 인쇄 및 정량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7.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층 인쇄층이나 시트의 성분은 PVC, PC, PETG, PET, ABS 등의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 시트의 구성으로 딤플 방지용 볼록층(25)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KR1020050034758A 2005-04-26 2005-04-26 스마트카드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74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758A KR100746703B1 (ko) 2005-04-26 2005-04-26 스마트카드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758A KR100746703B1 (ko) 2005-04-26 2005-04-26 스마트카드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824A KR20060113824A (ko) 2006-11-03
KR100746703B1 true KR100746703B1 (ko) 2007-08-06

Family

ID=3765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7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6703B1 (ko) 2005-04-26 2005-04-26 스마트카드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7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636A (ko) 2013-12-26 2015-07-06 한국조폐공사 스마트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스마트카드
KR102085105B1 (ko) * 2019-05-20 2020-03-05 주식회사 엔에이블 박막화 가능한 전자 여권용 스마트 카드
KR102223098B1 (ko) 2020-08-20 2021-03-04 주식회사 링크플러스온 덤플링 적층 구조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00380A (ko)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엔에이블 메탈 하우징을 구비한 전자카드
KR20230126788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엔에이블 발광소자를 구비한 전자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549A (ko) * 1996-07-11 1998-04-30 김광호 칩 온 보드(Chip On Board) 패키지의 기판 표면 구조
KR19980015325A (ko) * 1995-08-25 1998-05-25 게브하르트 코흐 칩 카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00068288A (ko) * 1997-06-23 2000-11-25 사토 게니치로 Ic모듈 및 ic카드
KR20040048360A (ko) * 2002-12-02 2004-06-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c 카드
KR20040079501A (ko) * 2003-03-07 2004-09-16 한국조폐공사 콤비카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325A (ko) * 1995-08-25 1998-05-25 게브하르트 코흐 칩 카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980013549A (ko) * 1996-07-11 1998-04-30 김광호 칩 온 보드(Chip On Board) 패키지의 기판 표면 구조
KR20000068288A (ko) * 1997-06-23 2000-11-25 사토 게니치로 Ic모듈 및 ic카드
KR20040048360A (ko) * 2002-12-02 2004-06-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c 카드
KR20040079501A (ko) * 2003-03-07 2004-09-16 한국조폐공사 콤비카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636A (ko) 2013-12-26 2015-07-06 한국조폐공사 스마트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스마트카드
KR102085105B1 (ko) * 2019-05-20 2020-03-05 주식회사 엔에이블 박막화 가능한 전자 여권용 스마트 카드
WO2020235736A1 (ko) * 2019-05-20 2020-11-26 주식회사 엔에이블 박막화 가능한 전자 여권용 스마트 카드
KR20220000380A (ko)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엔에이블 메탈 하우징을 구비한 전자카드
KR102223098B1 (ko) 2020-08-20 2021-03-04 주식회사 링크플러스온 덤플링 적층 구조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26788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엔에이블 발광소자를 구비한 전자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824A (ko) 200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643B1 (ko) 섬유상 물질로 된 안테나 지지체를 이용한 무접촉 혼성스마트 카드의 제조방법
US7777317B2 (en) Card and manufacturing method
EP2143046B1 (en) Chip car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chip card
US20110002107A1 (en) Transponder and Booklet
EP1756757B1 (en) Combi-car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851854A (en) Method for producing a data carrier
US8028923B2 (en) Electronic inlay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313981B2 (en) Chip card,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746703B1 (ko) 스마트카드 칩 실장시 딤플 방지 구조
KR100938214B1 (ko) 고용량 메모리칩 카드의 제조방법
JP2007511811A5 (ko)
KR100622140B1 (ko) 섬유단자를 갖는 콤비카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4043843B2 (ja) 非接触icカード
KR20040049981A (ko) 호일 적층을 통한 ic카드 제조방법
KR100679285B1 (ko) 조립식 콤비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8140B1 (ko) 디스플레이카드의 제조방법
KR100726414B1 (ko) 콤비카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4402420B2 (ja) 板状枠体付きuimとその製造方法
JPH11265429A (ja) Icキャリア
JP2023070191A (ja) 多層チップカード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多層チップカード
KR101078804B1 (ko) 콤비카드용 인레이층 및 그 제조방법
JP2009140387A (ja) Icカード
KR100968139B1 (ko) 디스플레이카드의 제조방법
JP2014211847A (ja) 接触式icカ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3735A (ko) 콤비형 아이씨 카드 제조를 위한 핫멜트 시트의 접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