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424B1 - Stand Air Conditioners - Google Patents
Stand Air Conditio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5424B1 KR100745424B1 KR1020060085963A KR20060085963A KR100745424B1 KR 100745424 B1 KR100745424 B1 KR 100745424B1 KR 1020060085963 A KR1020060085963 A KR 1020060085963A KR 20060085963 A KR20060085963 A KR 20060085963A KR 100745424 B1 KR100745424 B1 KR 1007454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panel
- blade
- air conditioner
- wind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토출 풍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풍향 조절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양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토출 블레이드와, 1토출 블레이드와 함께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토출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특히 토출구에 인접한 본체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토출 공기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토출 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는데, 그러면 바닥에 앉아 있거나 누워 있는 사용자에게도 바람을 직접적으로 보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mproved wind direction control structure to change the discharge wind direction in various forms.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charge po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ir conditioner,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the first discharge blad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ort together with the one discharge blade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A second discharge blade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particular, at least one third discharge blade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You can send it directl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nel assembly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패널 조립체에 토출 블레이드들이 결합되는 모습을 사시도.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blades coupled to the panel assembly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각도 조절용 리브와 손잡이부의 관계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adjusting rib and the handle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본체 15 : 토출구 10: main body 15: discharge port
20 : 제1토출 블레이드 30 : 제2토출 블레이드 20: first discharge blade 30: second discharge blade
50 : 제3토출 블레이드 53 : 손잡이부 50: third discharge blade 53: handle portion
100 : 패널 조립체 110 : 제1패널 100
120 : 제2패널 121 : 각도 조절용 리브 120: second panel 121: angle adjustment rib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조절을 위한 구조를 개선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of air discharged into a room.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증발, 응축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나 습도 등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크게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과, 실내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으로 세분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air by using heat transfer generated during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and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a separate air conditioner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addition,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may be subdivided into a stand typ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room and a wall type installed on the indoor wall.
공기조화기에는 열교환 과정을 마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되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서는 토출구가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개선하고, 또 여러 방향을 통해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측면 쪽에 토출구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가 일반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after the heat exchange process back to the ro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in the conventional stand-type air conditioner. However, in recent years,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discharge por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and to improve the cooling / heating performance by discharging air through various directions.
이와 같이 본체의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예는 등록특허 제47381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토출구와, 각 토출구에 하나씩 설치되어 토출구의 개폐정도를 변화시키면서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토출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 example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483818. The disclos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binet, a pair of discharge port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cabinet, and discharge blades installed at each discharge port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while chang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discharge port.
그러나 개시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각 토출구에 설치되는 하나의 토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풍향을 변화시키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풍향을 조절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However, in the disclosed air conditioner, since the wind direction is changed by using one ejection blade installed in each ejection port, there is no limit to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in various directions.
특히 개시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집중공조 모드 시에 공기조화기의 전방의 영역만을 집중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을 뿐, 그 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실내 공간을 집중적으로 냉/난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disclosed, only the area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intensively cooled / heated in the concentrated air conditioning mode, and the other areas have a problem in that the indoor space cannot be intensively cooled / heated. .
또한 개시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좌우 방향으로만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닥에 앉아 있거나 누워 있는 경우에 충분한 양의 바람을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할 때 따뜻한 바람을 사용자가 있는 실내 바닥 쪽으로 충분히 보내지 못하면 따뜻한 공기가 그대로 상승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난방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disclose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send a sufficient amount of wind directly to the user when the user is sitting or lying on the floor. In particular, when the air conditioner does not send enough warm wind toward the floor of the user when the heating operation, the warm air rises as it is, the user feels the heating performance is reduc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토출 풍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풍향 조절 구조를 가지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type air conditioner having an improved wind direction control structure to change the discharge wind direction in various for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양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토출 블레이드;와 상기 제1토출 블레이드와 함께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토출 블레이 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on both sides; and the first discharge blade is installed to be rotated to the discharge port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and with the first discharge blade And a second discharge blade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discharge port so as to control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상기 토출구에 인접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토출 공기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토출 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At least one third discharge blade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3토출 블레이드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회동축부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날개부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서 상기 토출구 쪽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hird discharge blade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ng portions dispos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 rotation shaft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wing portion, and a handl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wing portion toward the discharge hole so that a user grips and rotates the wing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ealth.
상기 본체는 양 측면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패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조립체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의 전방에서 상기 제1패널에 결합되는 제2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3토출 블레이드는 상기 제2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main body includes a panel assembly having discharge ports formed at both sides, the panel assembly includes a first panel and a second panel coupled to the first panel in front of the first panel, and the third discharge The bla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anel.
또한 상기 제1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제3토출 블레이드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 조절용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ngle adjusting rib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anel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third discharge bla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패널 조립체에 토출 블레이드들이 결합되는 모습을 사시도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nel assembly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nel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blades coupled to the assembl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이스(11), 캐비 닛(12), 패널 조립체(100) 및 하부패널(13)로 구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부패널(13)과 패널 조립체(100)는 캐비닛(12)의 전방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한다. 하부패널(13)의 양 측면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4)가 형성되고, 패널 조립체(100)의 양 측면에는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5)가 형성된다. The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장치와 실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1, the inside of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조립체(100)는 제1패널(110)과, 제1패널(110)의 전방에서 제1패널(110)에 결합되는 제2패널(120)과, 제2패널(120)의 전방에서 제2패널(120)에 결합되어 하부패널(13)과 함께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패널(110)의 양 측면에는 개구부(111)가 마련되고, 제2패널(120)의 양측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패널 조립체(100)의 양 측면에 토출구(15)가 형성되게 된다. 1 to 3, the
이러한 토출구(15)에는 폐쇄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회동하며 풍향을 조절하는 제1토출 블레이드(20)가 설치되고, 제1토출 블레이드(20)의 전방에는 제1토출 블레이드(20)와 함께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토출 블레이드(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토출 블레이드(30)는 제1토출 블레이드(20)가 토출구(15)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토출 블레이드(20)의 내측에 위치된다(도 5d 참조). The
제1토출 블레이드(20)와 제2토출 블레이드(30)의 상측에는 제1토출 블레이드(20)와 제2토출 블레이드(30)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두 개의 스텝모터(41, 42)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패널(110)의 상면(110a) 양측부와 제2패널(120)의 상면(120a) 양측부에는 스텝모터(41, 42)의 장착을 위한 모터장착홈(43, 44)이 마련되는데, 이 모터장착홈(43, 44)은 하나의 커버(45)에 덮여져서 외관이 마무리된다. Two
제1토출 블레이드(20)의 상단에 마련된 회전축(21)은 제1패널(110)의 상면(110a)을 관통해 스텝모터(41)에 연결되고, 또 제2토출 블레이드(30)의 상단에 마련된 회전축(31)은 제2패널(120)의 상면(120a)을 관통해 스텝모터(42)에 연결된다. 또 제1토출 블레이드(20)의 하단에 마련된 힌지축(22)과 제2토출 블레이드(30)의 하단에 마련된 힌지축(32)은 제1패널(110)의 저면(110b)에 마련된 두 개의 힌지홈(112, 113)에 각각 결합된다.The rotating shaft 2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또한 토출구(15)와 인접한 곳에는 토출 공기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기위한 제3토출 블레이드(50)가 설치된다. 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제1패널(110)이 제2패널(120)에 결합된 상태와 결합되기 전의 상태(점선으로 표시된 제1패널(110))를 동시에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he
제3토출 블레이드(5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51)와, 날개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회동축부(52)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날개부(51)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날개부(51)의 일측에서 토출구(15) 쪽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53)와, 복수의 날개부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날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도 3에서는 제3토출 블레이드(50)가 3개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었는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날개부(51)의 수를 늘려 토출구(15)의 전 영역에 걸쳐 1개의 제3토출 블레이드(50)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서로 분리된 3개의 제3토출 블레이드(50)를 적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제일 상측에 있는 블레이드는 수평 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도록 하고 그 하측에 있는 나머지 2개의 블레이드는 하방으로 바람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하거나, 제일 상측에 있는 블레이드는 상방으로, 중간에 있는 블레이드는 수평 방향으로, 제일 하측에 있는 블레이드는 하방으로 바람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풍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In FIG. 3, three
제3토출 블레이드(50)의 회동축부(52)는 제1패널(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제1패널(110)의 개구부(111)에 인접한 제1패널(110)의 전면에는 전방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114)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114)에는 회동축부(52)의 삽입을 위한 다수의 삽입홈(115)이 마련된다.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각도 조절용 리브와 손잡이부의 관계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adjusting rib and the handle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패널(120)의 후면(120b)에서 제3토출 블레이드(50)의 손잡이부(53)와 마주보게 되는 지점에는 손잡이부(53) 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각도 조절용 리브(121)가 마련된다. 이러한 각도 조절용 리브(121)들은 사용자가 손잡이부(53)를 잡고 제3토출 블레이드(50)를 회동시킬 때 손잡이부(53)의 전단(53a)이 걸리도록 하여 제3토출 블레이드(50)의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a point facing the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부(53)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 손잡이부(53)는 리브 R1과 R2 사이에 위치된다. 이 때 사용자가 풍향을 아래쪽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손잡이부(53)를 아래로 일정 각도 회동시키면, 손잡이부(53)가 리브 R2를 넘어가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리브 R2와 R3사이에 걸리면서 풍향이 아래쪽으로 바뀌게 된다. 또 풍향을 더욱 아래쪽으로 변화시키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부(53)를 아래로 더욱 회동시켜 손잡이부(53)가 리브 R3와 R4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리브 R1의 상측에 위치되는 리브 R5 및 R6은 사용자가 손잡이부(53)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풍향을 위쪽 방향으로 바꾸고자 할 때 손잡이부(53)의 회동 각도를 조절한다. When the
도 3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 블레이드만을 도시하였으나, 반대측 토출구에도 같은 방식으로 토출 블레이드가 설치된다. In FIG. 3, only the discharge blades installed in one discharge port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but the discharge blades are installed in the same way on the opposite discharge port.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한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본체(10) 내부의 송풍장치가 동작하면 흡입구(14)를 통해 실내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고,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가열된 후 토출구(15)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 때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는 패널 조립체(100)에 설치된 일련의 토출 블레이드(20, 30, 50)에 의해 그 풍향이 조절된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to operate the blower inside the
도 5a는 제1토출 블레이드(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제2토출 블레이드(30)가 제1토출 블레이드(20)의 내측에서 회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냉기 또는 온기가 실내 쪽으로 배출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풍향이 연속적으로 변화게 된다. FIG. 5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또한 도 5b와 같이 제1토출 블레이드(20)와 제2토출 블레이드(30)의 회동 위치를 결정하면, 토출구(15)에서 배출되는 대부분의 바람이 전방으로 집중되며, 도 5c와 같이 제1토출 블레이드(20)와 제2토출 블레이드(30)의 회동 위치를 결정하는 때에는 전방에서 일정 일정 각도 치우친 측방으로 대부분의 바람이 집중되게 된다.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도 5a 내지 도 5c는 제1토출 블레이드(20)와 제2토출 블레이드(30)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풍향을 조절하는 일부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외에도 제1토출 블레이드(20)와 제2토출 블레이드(30)의 회동 동작을 적절히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5A to 5C illustrate some examples of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e
한편 상하 방향으로도 풍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토출구(15)에 노출되어 있는 제3토출 블레이드(50)의 손잡이부(53)를 잡고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user can hold the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종료되면 도 5d와 같이 제2토출 블레이드(30)가 먼저 토출구(15)의 내측으로 회동하여 접혀진 다음에 제1토출 블레이드(20)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토출구(15)를 폐쇄하게 된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5D, th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토출 블레이드와 제1토출 블레이드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토출 블레이드의 회동 동작을 적절히 조합하여 좌우 방향으로 풍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varying the wind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irst discharge blade and the second discharge blade installed inside the first discharge blade.
또한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제3토출 블레이드를 통해 실내 바닥에 앉아 있거나 누워 있는 사용자에 직접적으로 바람을 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체감하는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oling / heating performance that the user feels by allowing the user to directly send the wind to the user sitting or lying on the floor through the third discharge blade that can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5963A KR100745424B1 (en) | 2006-09-07 | 2006-09-07 | Stand Air Condition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5963A KR100745424B1 (en) | 2006-09-07 | 2006-09-07 | Stand Air Condition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5424B1 true KR100745424B1 (en) | 2007-08-02 |
Family
ID=3860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59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5424B1 (en) | 2006-09-07 | 2006-09-07 | Stand Air Condition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542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30715A (en) * | 2019-04-25 | 2019-07-1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guide plate assembly, control method there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CN113757969A (en) * | 2021-08-16 | 2021-12-07 |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2661A (en) * | 2002-11-15 | 200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KR20040106050A (en) * | 2003-06-10 | 2004-1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JP2006064217A (en) * | 2004-08-25 | 2006-03-09 | Daikin Ind Ltd | Floor-mounted air conditioner |
-
2006
- 2006-09-07 KR KR1020060085963A patent/KR10074542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2661A (en) * | 2002-11-15 | 200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KR20040106050A (en) * | 2003-06-10 | 2004-1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JP2006064217A (en) * | 2004-08-25 | 2006-03-09 | Daikin Ind Ltd | Floor-mounted air condition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30715A (en) * | 2019-04-25 | 2019-07-1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guide plate assembly, control method there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CN110030715B (en) * | 2019-04-25 | 2023-07-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deflector assembly, control method there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CN113757969A (en) * | 2021-08-16 | 2021-12-07 |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CN113757969B (en) * | 2021-08-16 | 2022-09-02 |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electronic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5939B1 (en) | An air conditioner | |
JP2007198641A (en) | Floor-mounted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 |
JP4169517B2 (en) | Air conditioner | |
KR100506896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861954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745424B1 (en) | Stand Air Conditioners | |
CN215260111U (en) | Air conditioner | |
KR100870626B1 (en) | Air conditioner | |
KR19990071209A (en) | Window Air Conditioning Grille Hinges | |
JPH0960960A (en) | Indoor equipment of air conditioner | |
KR100725744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473818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732420B1 (en) | Air conditioner | |
JP2587468Y2 (en) | Air conditioner | |
JP3804537B2 (en) | Air conditioner | |
CN113154534A (en) | Air conditioner | |
JPH07248125A (en) |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 |
KR100274984B1 (en) | Indoor unit of multi-split air conditioner | |
KR20110019218A (en) | Air conditioner | |
KR100947612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 |
JP3997793B2 (en) | Air conditioner | |
CN221005231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CN222298035U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KR100831773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789710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