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5086B1 -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PF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PF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086B1
KR100745086B1 KR1020060078579A KR20060078579A KR100745086B1 KR 100745086 B1 KR100745086 B1 KR 100745086B1 KR 1020060078579 A KR1020060078579 A KR 1020060078579A KR 20060078579 A KR20060078579 A KR 20060078579A KR 100745086 B1 KR100745086 B1 KR 100745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cell
resources
repeat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재균
안재영
이효진
정정한
이운식
강채언
이황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7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0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08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지칭)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DM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를 셀 경계에 배치함으로써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중계기들에 서로 직교하는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인접 셀 간의 간섭 효과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중계기를 운용함에 있어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을 중계기와 사용자들간의 송수신을 하는데 필요한 자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한다.In an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ell coverage can be extended by arranging repeaters at cell boundaries, and interference effects between neighboring cells can be eliminated by allocating orthogonal resources to repeaters located at cell boundary regions. In addition, in operating the repeater maximizes resource efficiency by recycling the resource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period to the resources necessary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user.

Description

OFDM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s}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도 1은 일반적인 셀 경계 지역에서 순방향과 역방향의 간섭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orward and reverse interference situation in a general cell boundary region.

도 2는 일반적인 Alcatel에서 제안한 셀 경계 지역에서 사용자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간섭 조정 방법의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users in a cell boundary region proposed by a general Alcatel.

도 3은 일반적인 간섭 조정 기법의 사용에 따른 간섭 세기를 나타낸 분석 그래프이다.3 is an analysis graph showing interference intensity according to the use of a general interference coordination technique.

도 4는 일반적인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고정 중계기를 배치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 fixed repeater is disposed in a general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중계기 배치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peater arrangement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섹터간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에 따른 간섭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of interference according to a base station using an intersector omn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위한 중계기 주파수 변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peater frequency conversion for efficiency of resource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peater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의 그룹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grouping of re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경계지역에 사용자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의 자원 할당의 예시도이다.10A and 10B are diagrams illustrating resource allocation when a distribution of users is not uniform in a cell boundary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셀 경계지역으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셀간 간섭을 피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ethod for avoiding inter-cell interference when a base station directly provides a service to a cell bounda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경계지역의 중계기 배치에 변화가 생길 경우 자원 할당 방법의 예시도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ource allocation method when there is a change in repeater arrangement of a cell bounda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 수신 성능과 기존 OFDM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 수신 성능을 비교한 예시도이다.13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terminal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terminal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자원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source allocation method capable of improving resource efficiency of a mobile terminal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1∼2GHz 대역과는 달리, 3.5GHz에서 5GHz 정도의 고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높은 대역의 전파는 빛의 성질과 유사하여 회절보다는 직진의 성질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신호 도달 영역에 제한이 생긴다. 따라서, 크고 높은 빌딩이 고밀도로 분포해 있는 도심 지역에서는 셀의 커버리지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nlike the 1 to 2 GHz band used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high frequency band of 3.5 GHz to 5 GHz is allocated and used. This high band propagation is similar to that of light and thus has a property of going straight rather than diffraction, thereby limiting the signal arrival area. Therefore, in urban areas where large and tall buildings are densely distributed, cell coverage is inevitably reduced.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당 10Mbps 이상의 대용량 무선 링크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당 자원 할당량이 커지게 된다. 만약 자원이 할당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효율성(Spectrum Efficiency)이 높지 않을 경우, 기지국당 수용 가능한 사용자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한 기지국이 감당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이 이전에 비해 크게 축소된다. 그러므로 기지국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ims to provide a large capacity wireless link of 10Mbps or more per user, resource allocation per user increases. If the resource efficienc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resources are allocated is not high, the service area that one base station can handle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because the number of users that can be accommodated per base station is limi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base station increas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계기(Relay)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WWRF(IEEE Communication Magazine. September 2004 “Relay-Based Deployment Concepts for Wireless and Mobile Broadband Radio”)에서는 중계기 도입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중계기는 단말보다 좋은 수신감도를 가지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며, 기지국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단말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음영지역 혹은 셀 경계지역 사용자를 커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laim has been made to introduce a relay, and research on thi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fact, IEEE Communication Magazine. September 2004 “Relay-Based Deployment Concepts for Wireless and Mobile Broadband Radio” (WWRF) is conducting research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repeaters. The repeater receives a signal through an antenna having a better reception sensitivity than the terminal,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terminal using less power than the base station to cover the user in the shadow area or the cell boundary area as well as to expand the cell coverage as a whole. Effect.

그러나, 이러한 연구 시도는 고전적인 의미에서의 중계기 활용을 단순히 정리한 정도의 수준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라 보기 어렵고 큰 유용성을 기대하기도 어렵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또한, 셀간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중계기 배치 및 그와 관련된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However, this research attempt is a level that simply summarizes the use of repeaters in the classical sense, and is dominated by evalu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see new ideas and to expect great usefulness. In addition, it has not been proposed a relay arrangement and associated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that can eliminate the inter-cell interfere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 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중계기에 따른 셀 커버리지를 확장함과 동시에 셀간 간섭을 제거하여 자원 효율성의 최대치를 만족할 수 있는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bas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expand the cell coverage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 repeater and at the same time eliminate the inter-cell interference to maximize the resource efficiency It provides a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that can be satisfied.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하여 형성되는 셀에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계기들과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들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resource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repeater is disposed in a cell formed by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repeaters and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 In the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erminals connected to the network,

상기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의 셀 경계 지역--여기서 셀 경계 지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음--에 위치하며, 상기 중계기 또는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a)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자원을 상기 기지국의 셀 경계 지역에 제공할 셀 경계 영역 자원과 상기 셀 내부--여기서 셀 내부는 하나의 셀에서 타 셀과의 인접한 셀 경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나타냄--에 제공할 셀 내부 영역 자원으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제공할 자원을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한 상기 중계기로 제공--여기서 제공된 자원은 상기 셀 경계 영역에 분포한 단말에 할당됨--하는 단계; 및 (c) 상기 셀 내부에 제공할 자원을 상기 셀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repeater is located in a cell boundary region of the base station, where the cell boundary region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region, and the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to the repeater or the terminal, (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ell boundary region resources to provide all resources allocated to the cell boundary reg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inside of the cell, where the inside of the cell represents a region other than the cell boundary region adjacent to another cell in one cell. Dividing into intra-cell area resources to provide; (b) providing resources to be provided to the cell boundary region to the repeater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wherein the resources provided are allocated to terminals distribu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nd (c) providing resources to be provided inside the cell to the terminal located inside the cell.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자원 할당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들이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중계기들과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들과 연결되어 있는 단 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source allocation method, wherein at least one repeater is disposed in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relays ar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s. In a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in the terminal,

상기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의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하며, 상기 중계기 또는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a)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셀 경계 영역을 소정의 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자원을 상기 소정의 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셀 경계 영역에 제공할 자원과 상기 셀 내부--여기서 셀 내부는 하나의 셀에서 타 셀과의 인접한 셀 경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나타냄--에 제공할 자원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c)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제공할 자원으로 분할된 자원을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한 상기 중계기로 제공하고, 상기 셀 내부에 제공할 자원으로 분할된 자원을 상기 셀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repeater is located in a cell boundary reg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repeater or the terminal includes: (a) dividing the cell boundary region divided into the at least one regio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 regions; step; (b) resources to provide the entire resource alloc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a cell boundary area divided in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ub-areas and the inside of the cell, where the inside of the cell is a cell adjacent to another cell; Dividing into regions to be provided except for the boundary region; And (c) providing a resource divided into resources to be provided to the cell boundary region to the repeater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nd providing a resource divided into resources to be provided inside the cell to the terminal located inside the cell. It includes a step.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재사용 율이 1로 되면서 셀 경계지역 에서 사용자간의 간섭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셀에서의 간섭 상황은 크게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 1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frequency reuse rate is 1, and the interference problem between users in the cell boundary area is emerging. The interference situation in the cell can be considered to be divided into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일반적인 셀 경계 지역에서 순방향과 역방향의 간섭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orward and reverse interference situation in a general cell boundary region.

도 1을 살펴보면, 순방향에서의 간섭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가해지는데, 단말 A보다 단말 B가 타 기지국으로부터 받는 간섭 세기가 큼을 알 수 있다. 즉, 기지국에서 멀수록, 타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영역인 셀에 의한 간섭이 심하게 된다. 특히, 두 셀 간의 경계에 위치한 단말에서, 자신의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신호 세기는 가장 적고, 타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간섭 세기는 가장 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경계 지역 사용자 문제” 또는 간단히 “경계 사용자 문제”라고 한다.1, the interference in the forward direction is appli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ference strength received by the terminal B from the other base station than the terminal A is greater. That is, the farther away from the base station, the more severe interference caused by a cell, which is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area of another base station. In particular, in a terminal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wo cells, a problem occurs that the signal strength from its base station is the smallest and the interference strength from another base station is the largest. ”

순방향과는 반대로 역방향에서의 간섭은 단말이 기지국에 영향을 주게 된다. 역방향에서, 보통 전력 제어(Power Control) 기법을 통해 기지국에서 멀리 위치한 단말이 신호 세기를 키워서 해당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므로, 기지국이 받는 신호 세기는 단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타 셀 간섭의 경우, 셀의 경계 지역에 있는 사용자의 전력이 큰 간섭 신호로써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보통 기지국은 여러 개의 수신안테나를 사용하고, 안테나의 수신 감도 및 신호 처리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순방향의 경우와 비교할 경우 그 간섭 문제는 심각성이 덜하다고 할 수 있다.In contrast to the forward direction, interference in the reverse direction causes the terminal to affect the base st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since a terminal located far from the base station increases the signal strength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power control scheme,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case of other cell interference, the power of the user in the boundary region of the cell acts as a large interference signal.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usually uses multiple reception antennas, and the interference problem is less serious when compared to the forward case because the antenna has excellent reception sensitivity and signal processing capability.

다음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순방향 또는 역방향에 따른 셀 경계 지역에서의 사용자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간섭 조정(Interference Coordination)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user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ccording to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일반적인 Alcatel에서 제안한 셀 경계 지역에서 사용자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간섭 조정 방법의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users in a cell boundary region proposed by a general Alcatel.

Alcatel에서는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간 간섭을 줄이기 위해 간섭 조정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전체 주파수 영역을 서로 연속되지 않은 주파수로 그룹화한 다음 해당 주파수 그룹들을 특정 지역에 할당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Alcatel uses interference coordination to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users located at the cell boundary area. It groups the entire frequency domain into non-contiguous frequencies and assigns the frequency groups to specific region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target) 셀의 인접 셀 경계 지역에 동일한 주파수 그룹을 할당한다. 그러면, 타겟 셀에서는 셀간 간섭 영향이 1번 주파수 그룹에 한정될 것이고, 따라서 1번 주파수 그룹의 주파수만 사용을 피한다면 사용자간 간섭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평면 구역에서의 등방성 전파를 가정하고, 할당된 주파수 블록 번호를 갖는 기타 셀들로부터 스트립(strips)을 표시한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자원 사용을 사용하는 완전 대칭을 갖는 구역에 걸쳐 모든 주파수(1∼9)가 골고루 사용한다. 이때 1번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타겟 셀에 인접하며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에는 1번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에 대한 자원을 할당한다면, 사용자간 간섭에 따른 영향력이 줄어들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ame frequency group is allocated to an adjacent cell boundary region of a target cell. Then, in the target cell, the inter-cell interference effect will be limited to the first frequency group, so if only the frequency of the first frequency group is avoided, the inter-user interference effect can be reduced. Assuming isotropic propagation in the planar zone and indicating strips from other cells with assigned frequency block numbers, all frequencies across the zone with full symmetry using the full resource usage as shown in FIG. (1-9) is used evenly. In this case, if resources for frequencies other than frequency 1 are allocated to a terminal adjacent to a target cell using frequency 1 and located in a cell boundary region,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between users may be reduced.

다음은,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섭 조정 방법을 사용한 경우의 간섭 세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간섭 세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비교하기로 한다.Next, the interference intensity when the interference adjustment method is us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interference intensity when not the case will be compar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일반적인 간섭 조정 방법의 사용에 따른 간섭 세기를 나타낸 분석 그래프이다.3 is an analysis graph showing interference intensity according to the use of a general interference adjustment method.

도 3을 살펴보면, 간섭 조정 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면 부호 50으로 표시된 그래프와 같이 모든 주파수 영역에 고루 퍼진 간섭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간섭 조정 방법을 사용한 경우, 모든 간섭 영향은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번 주파수 그룹에 제한되고, 나머지 주파수 그룹에서 간섭 영향은 매우 줄어들게 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is not used, as shown in a graph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50,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evenly spread in all frequency domains. However, when the interference adjustment method is used, all interference effects are limited to the frequency group 1 as described in FIG. 2, and the interference effects in the remaining frequency groups are greatly reduced.

이상적으로 동작한다면 도면 부호 52로 표시된 그래프와 같이 1번 주파수 그룹을 제외한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는 간섭 영향이 전혀 없는 상황이 되지만, 간섭 영향은 인접 셀 뿐만 아니라 다른 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실제로 다른 주파수 영역에서도 간섭 영향이 발생한다. 그러나 그 크기는 상당히 감소된 형태로, 도면 부호 51로 표시된 그래프와 같은 간섭을 받게 된다.Ideally, as in the graph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52, there is no interference effect in all frequency domains except the frequency group 1, but the interference effect is influenced not only by neighboring cells but also by other cells, so that other frequency domains are actually different. Interference effects also occur at. However, the size is considerably reduced, subject to interference such as the graph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1.

다음은, WWRF에서 설명한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고정 중계기(fixed relay)를 배치하는 것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arrangement of the fixed relay in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described in the WWR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일반적인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고정 중계기를 배치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 fixed repeater is disposed in a general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신호를 중계하는데 있어 기지국과 중계기 모두 f1이라는 동일한 주파수를 시간 축에서 서로 나누어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b)는 기지국에서 f1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정보를 송신 받고, f2 주파수로 변환하여 중계기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주파수 상에서 자원을 서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다.As shown in FIG. 4, (a) illustrates a case where both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use the same frequency, f1, in the time axis in order to relay the signal. (b)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base station receives information using the frequency f1 and converts the frequency to f2 to provide a service to repeater users. This is a case where resources are divided and used on a frequency.

(c)는 (b)와 동일하게 주파수 자원 상에서 자원을 서로 분할하여 사용하지만,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에 또 다른 중계기(설명의 편의상 “변환 중계기”라 지칭)를 설치하여 주파수 변환을 수행한 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의 변환 중계기는 일반 중계기와 달리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는데 이용되지 않고 단지 주파수 변환에만 사용된다.(c) divides the resources from each other on the frequency resources in the same manner as in (b), but uses another repeater (referred to as a “converted repeater”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perform frequency convers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The case is illustrated. At this time, the conversion repeater is not used to service users, unlike general repeaters, and is used only for frequency conversion.

이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셀 커버리지 축소 문제와 셀 경계지역에서의 간섭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현재 유일하게 제공 가능한 셀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은 중계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계기를 사용하여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며 셀간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중계기 배치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a serious problem of cell coverage reduction and interference at the cell boundary area, the only method that can extend the cell coverage currently available is to use a repeater. As described above, a repeater arrangement method capable of extending cell coverage using a repeater and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중계기 배치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peater arrangement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몇 가지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Prior to describing an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terms are first defined as follows.

· 기지국 임계값: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일정 품질의 신호 레벨(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이하 “SINR”이라 지칭)을 의미한다. 단말은 기지국 임계값 이상의 신호 레벨을 수신해야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지국 임계값은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Base station threshold: means a signal level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NR") of a certain quality received by the terminal from the base station. A terminal may provide a service to a user only after receiving a signal level higher than a base station threshold value, and the base station threshold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 system.

· 중계기 임계값: 단말이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일정 품질의 신호 레벨인 SINR을 의미한다. 단말은 중계기 임계값 이상의 신호 레벨을 수신해야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중계기 임계값은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Repeater Threshold: The SINR, which is a signal level of a certain quality received by the terminal from the repeater. The terminal may provide a service to the user only after receiving a signal level higher than the repeater threshold, and the repeater threshold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ystem.

· 셀 반경: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기지국 임계값과 같아지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Cell radius: means the distance to the point wher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becomes equal to the base station threshold.

· 중계기 반경: 중계기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중기계 임계값과 같아지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Repeater Radius: The distance from the repeater to the point where the signal transmitted equals the heavy machinery threshold.

· 내반경: 셀 반경에서 중계기 반경만큼 감한 값을 의미한다.Inner radius: It means the value subtracted from the radius of the cell by the radius of the repeater.

· 외반경: 셀 반경에서 중계기 반경만큼 더한 값을 의미한다.Outer radius: The radius of the cell plus the radius of the repeater.

· 셀 경계 영역: 내반경과 외반경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Cell boundary area: the area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adius.

상기에서 정의한 용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 하에서 기지국과 중계기를 배치한다.Based on the terms defined above,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are arranged under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첫째, 두 기지국 사이의 거리가 외반경의 두 배보다는 작고, 셀 반경의 두 배보다는 크도록 기지국을 배치한다. First, base stations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wo base stations is less than twice the outer radius and greater than twice the cell radius.

둘째, 중계기들은 셀 반경에 배치하되, 같은 기지국 내의 중계기 사이의 거리는 중계기 반경의 두 배보다 작은 거리 내에서 서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한다.Second, the repeaters are arranged in the cell radius, the distance between the repeaters in the same base station is arranged to be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within a distance less than twice the radius of the repeater.

셋째, 단말들은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품질이 좋은 신호를 보내는 기지국 혹은 중계기와 연결되어 통시한다. 이때 신호의 품질은 일반적으로 파일롯 신호의 세기로 결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ird, the terminals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that sends the best signal at the current location. In this case, the quality of the signal may be generally determined by the strength of the pilot sign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여기서 외반경, 셀 반경 또는 중계기 반경등에 대한 정보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설계하기 앞서 설계하고자 하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성능에 따른 스펙이 시스템 설계자에게 제공되고, 시스템 설계자는 정보를 토대로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배치한다.Here, information about the outer radius, the cell radius, or the repeater radius is provided to the system designer with specification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to be designed b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esigned, and the system designer arranges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based on the information. .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기지국과 중계기를 배치할 때, 일반적인 셀 배치는 기하학적 모양을 띠고 이루어지므로 셀 반경의 모양도 특정 기하학 도형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육각형으로 간주하였으며, 이 경우에도 위의 조건으로 기지국과 중계기를 배치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en arranging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under such conditions, since the general cell arrangement is made of a geometric shape, the shape of the cell radius may also be assumed as a specific geometric figu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regarded as a regular hexagon, and even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may be arrang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기존에 중계기를 이용한 자원 할당 방법에서는 셀 경계 지역에 서로 직교성이 보장되도록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여 간섭을 피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자원을 중계기에 할당하더라도 셀 경계 지역에서 자원간의 직교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conventional resource allocation method using a repeater, a method of avoiding interference by allocating resources to terminals so as to ensure orthogonality with each other in a cell boundary region has been used.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ame resource is allocated to a repeater, the resource is al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Ensure orthogonality betwee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100)으로 표기된 부분은 중계기 신호의 도달 범위를 의미하고, 동일한 패턴으로 채워진 부분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화살표(110)는 중계기 신호가 서로간의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As shown in FIG. 5, the portion denoted by the circle 100 means the reach of the repeater signal, and the portion filled with the same pattern means an area using the same frequency. Arrow 110 also shows that the repeater signals are likely to caus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중계기에서 송신한 신호의 도달 범위는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 특성을 이용한다면 셀 경계 지역 전체에는 동일한 자원을 할당하더라도 중계기의 배치에 따라 직교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셀 경계 지역에 동일한 자원을 할당한다 하더라도 간섭을 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ach rang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is limited, orthogonality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repeater even if the same resource is allocated to the entire cell boundary region. That is, even if the same resource is allocated to the cell boundary region, interference can be avoided.

도 5에 도시한 방법으로 기지국과 중계기를 배치한 후 이를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하면, 셀 경계 지역에서 사용되는 자원과 셀 내부에서 사용되는 자원은 서로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셀 내부 사용자들끼리는 전혀 간섭 영향을 받지 않고, 셀 경계 지역의 동일한 자원을 할당받은 중계기들 사이에서만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적으로 볼 때 간섭의 세기가 상당히 줄어든다. 여기서 셀 내부는 하나의 셀에서 타 셀과 인접한 경계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의미한다.Wh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are arranged in the method shown in FIG. 5 and resources are allocated using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the resources us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nd the resources used inside the cel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in-cell users are not affected by interference at all, and since the interference occurs only between repeaters assigned the same resources in the cell boundary area, the strength of the interference is considerably reduced as a whole. In this case, the inside of a cell means a region except for a border region adjacent to another cell in one cell.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과 중계기가 설치될 때, 기지국에서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예상되는 간섭의 일례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example of interference expected when the omnidirectional antenna is used in the base station wh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ar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섹터간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에 따른 간섭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of interference according to a base station using an intersector omn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살펴보면,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120)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간섭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 화살표(130)는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하게 될 경우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될 간섭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실선 화살표(130)와 같은 간섭이 발생하는 원인은, 인접 셀에서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통신을 위하여 송신된 신호가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에게 간섭을 미치기 때문에 나타난다.Referring to FIG. 6, the arrow 120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interferen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solid line arrow 130 illustrates the interference effect that will additionally occur when the omnidirectional antenna is used. The cause of the interference, such as the solid arrow 130, is caused because the signal transmitt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period in the adjacent cell interferes with the user at the cell boundary region.

이와 같은 간섭의 영향은 기지국에서 빔 포밍(beamforming) 안테나를 사용하게 될 경우 완전히 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간섭만이 존재하게 된다.The influence of such interference can be completely solved when the base station uses a beamforming antenna. Accordingly, only interference as described in FIG. 5 exists.

다음은, 빔 포밍 안테나를 사용하게 될 경우 주파수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ethod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requency resources when using a beamforming antenn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위한 중계기 주파수 변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peater frequency conversion for efficiency of resource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포밍 안테나를 사용하면,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을 중계기와 사용자간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긴다. 여기서 중계기는 송수신 신호간의 격리(isolation)가 완벽하지 않은 이상 수신 신호의 피드백(feedback) 현상 때문에 동시에 같은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없으므로, 주파수 변환이 필수적이다.Using the beamforming antenna as shown in Figure 7,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ource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period can be recycled as resource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user. Since the repeater cannot transmit and receive the same frequency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feedback phenomenon of the received signal unless the isolation between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signals is not perfect, frequency conversion is essential.

따라서 빔 포밍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자원과 중계기와 단말간의 자원을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두 링크간의 자원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eamforming antenna is not used, resource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period and resources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terminal should be used separately. Otherwise, the resources between the two links will interfere with each other.

그러나, 빔 포밍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면, 송신 신호의 범위가 한 중계기에 한정되기 때문에, 이웃해 있는 중계기에 간섭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따라서, 중계기의 주파수 변환이 필수적이라 하더라도 기지국으로부터 자원을 받아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때, 조금 떨어져 있는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받는 자원으로 주파수를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송수신 자원을 중계기와 단말간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beamforming antenna is used, since the range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limited to one repeater, there is no interference effect on neighboring repeaters. Therefore, even if the frequency conversion of the repeater is essential, when receiving the resource from the base station and performing the frequency conversion, the transceiving resour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period is transmitted to the user by converting the frequency into the resourc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t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terminal.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로 출력되는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 처리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주 파수 영역의 신호를 처리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빔 포밍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도면 부호 311로 표기된 중계기 영역에서 전송되는 중계기-단말간 사용 주파수 자원을 도면 부호 302로 표기된 기지국-중계기간 주파수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7, the signal output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repeater FFT (Fast Fourier Transform) processing to convert the signal into the frequency domain signal processing the signal of the transformed frequency region to form a beam forming in the desired direction Do it. Using such a method, the repeater-terminal use frequency resource transmitted in the repeater region indicated by 311 may be used as the base station-relay period frequency resource denoted by 302.

이와 동일하게, 도면 부호 301로 표기된 중계기 영역에서 전송되는 중계기-단말간 사용 주파수 자원은 도면 부호 322로 표기된 기지국-중계기간 주파수 자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 부호 321로 표기된 중계기 영역에서 전송되는 중계기-단말간 사용 주파수 자원을 도면 부호 312로 표기된 기지국-중계기간 주파수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파수 자원의 재활용에 따른 효율성이 좋아진다. 여기서, 빔 포밍을 형성하여 중계기에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milarly, the repeater-terminal use frequency resource transmitted in the repeater region indicated by 301 may also be used as the base station-relay period frequency resource denoted by 322. In addition, the repeater-terminal use frequency resource transmitted in the repeater region indicated by 321 may be used as the base station-relay period frequency resource denoted by 312.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 recycling of frequency resources is improved. Here, the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to the repeater by forming the beam forming is already known,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은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자원 할당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ethod of allocating a frequency resourc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peater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단계는 초기화 단계(S100)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주어진 전체 자원을 셀 내부에 사용할 자원과 셀 경계 지역에 사용할 자원으로 구분하는 부분이다.The step of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first step is an initialization step (S100), which divides the entire resources give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to resources to be used in the cell and resources to be us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두 번째 단계는 셀 경계 지역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 당 단계(S200)로, 셀 경계 지역에서 요구되는 자원 량에 따라 기지국과 중계기가 서로 연계하여 가장 효율적인 자원 할당량을 찾는다. 마지막 단계는 셀 내부 사용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내부 사용자 자원 할당 단계(S300)로, 앞서 두 번째 단계인 셀 경계 지역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고 남은 자원의 분포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가까운 사용자들에게 우선 자원을 할당한다. The second step is a resource allocation step of allocating resources to user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S200).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ind the most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sources requir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The last step is an internal user resource allocation step (S300) for allocating resources to users in a cell. The second step is to allocate resources to users in the cell boundary area and close to user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remaining resources. Allocates resources first.

이때 기지국과 중계기는 서로 연계하여 셀 중심 사용자들에게 먼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고 난 후, 셀 내부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이것은 자원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first allocate frequency resources to cell-centric users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nd then allocate frequency resources to users within the cell. This indicates that the use efficiency of resources can be maximized.

다시 말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한 후 남는 주파수 자원을 셀 중심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할당하면, 주파수 자원의 간섭 세기가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들이 느끼는 간섭 세기보다는 다소 커진다. 그러나 남는 자원의 낭비 없이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셀 중심 사용자들이 느끼는 간섭은 타 셀의 경계 지역에 있는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frequency resources are allocated to the users at the cell center after the frequency resources are allocated to the users located at the cell boundary region, the interference strength of the frequency resources is somewhat larger than the interference strength felt by the users at the cell boundary region. However, the efficiency of resources can be increased without wasting extra resources. Here, the interference felt by the cell-centric users means interference occurring between users in the boundary region of another cell.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중계기가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이 사용한 자원의 신호 세기를 다소 감소시켜 셀 내부의 사용자들에게 다시 할당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간섭의 세기는 다소 증가하지만 주파수 자원의 재사용율을 1 이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의 간섭은 셀 내부의 사용자와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간에 발생하는 간섭을 의미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peater somewhat reduces the signal strength of resources used by the users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area and reassigns them to the users in the cell. This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interference somewhat, but has the advantage that the reuse rate of the frequency resource can be set to 1 or more. Interference here refers to interference occurring between a user inside a cell and a user located in a cell boundary region.

이와 같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이 사용한 자원을 셀 중심에 위치 한 사용자 혹은 셀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 다시 할당할 수 있는 이유는, 사용자들에게 할당된 자원이 빔 포밍을 통해 할당되었기 때문이다. 자원 할당을 위한 빔 포밍은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분포 정도가 균일한지 여부에 상관 없이 수행된다. 즉, 사용자의 분포가 균일할 때에는 최적의 대역폭 계산 과정 없이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대역폭 계산 과정을 거친 후 사용자들에게 자원이 할당된다. 빔 포밍은 시스템 복잡도와 시스템 간섭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The reason why the resources used by the users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can be reassigned to the users located in the cell center or the users located inside the cell is because the resources allocated to the users are allocated through beamforming. Beamforming for resource allocation is performed regardless of whether the distribution of users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is uniform. That is, when the distribution of users is uniform, resources may be allocated without an optimal bandwidth calculation process. If the distribution is not uniform, resources are allocated to users after a separate bandwidth calculation process. Beamforming is used to minimize system complexity and system interferenc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사용자에게 자원이 할당되고 나면, 서비스를 시작한다. 만약 셀 경계 지역에서 요구하는 자원에 변화가 생길 경우에는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 분포를 다시 확인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이와 같이 크게 세 단계로 나눈 자원 할당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after all users have been allocated resources, the service starts. If there is a change in resources required by the cell boundary region, the user distribution of the cell boundary region is checked again to allocate resources. Looking at the resource allocation method divided into three steps a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첫 번째 단계인 초기화 단계(S100)는 기지국이 중계기 또는 단말로 자원을 각각 분할하여 할당하기 위해 윤곽을 잡는 단계로, 부전송파 순서화(Sub-carrier Ordering) 단계(S110)와 주파수 자원 그룹화(Frequency Grouping) 단계(S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전송파 순서화 단계(S110)는 기지국에 할당된 전체 자원에 대하여 연속된 자원의 할당이 아닌 임의의 자원을 중계기 또는 단말로 할당하기 위해 랜덤하게 선택하는 과정이다. First, an initializing step (S100) is a step in which the base station is contoured to divide and allocate the resources to the repeater or the terminal, respectively, sub-carrier ordering step (S110) and frequency resource grouping (Frequency) Grouping) step (S120). Here, the sub-carrier sequencing step (S110) is a process of randomly selecting any resource to allocate to a repeater or a terminal, not a continuous resource allocation, for all resources allocated to the base station.

랜덤하게 선택된 자원은 주파수 자원 그룹화(S120) 단계를 통해 기지국-중계기 자원 영역과 기지국-단말 자원 영역으로 구분한다. 이와 같이 주파수 자원 그룹화(S120) 단계를 통해 간단하게 셀 내부에서 사용할 자원(또는, 기지국-단말 자원 이라고도 함)과 셀 경계 지역에서 사용할 자원(또는, 기지국-중계기 자원이라고도 함)이 구분된다. 여기서 첫 번째 단계는 자원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들이 모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자원을 구분한다.The randomly selected resources are divided into a base station-relay resource region and a base station-terminal resource region through a frequency resource grouping step (S120). In this way, the frequency resource grouping step (S120) simply distinguishes resources to be used inside the cell (or also referred to as base station-terminal resources) and resources to be used in a cell boundary region (or also referred to as base station-relayer resources). Here, the first step is to classify resources on the assumption that all users who will receive services using the resources are uniformly distributed.

다음 두 번째 단계(S200)는 실질적으로 셀 경계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부분으로써, 첫 번째 단계(S100)와는 달리 사용자들의 분포가 균일할 경우와 균일하지 않을 경우를 고려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S120 단계를 통해 주파수 자원이 그룹화되면, 기지국은 셀 경계 지역에 사용자들의 분포 정도를 확인(S210)한다. The next second step (S200) is a part of allocating resources to a plurality of users substantially distribu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unlike the first step (S100), the case where the distribution of users is uniform and not uniform. Allocate resources with consideration. When the frequency resources are grouped through the step S120, the base station checks the distribution of user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S210).

사용자들의 분포 정도를 확인한 결과 균일하지 않게 분포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최적의 대역폭을 계산(S220)하고 계산된 대역폭을 토대로 중계기가 사용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빔 포밍(S230)한다. 빔 포밍을 수행(S230)한 후 기지국은 중계기로 자원을 할당(S240)한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바로 중계기는 사용자들에게 자원 할당을 하기 위한 빔 포밍을 수행(S230)한다. 자원 할당을 위한 빔 포밍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분포 정도가 균일한지 여부에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users is not uniformly determined, the optimal bandwidth is calculated (S220), and the repeater performs beamforming (S230) to successfully allocate resources to the users based on the calculated bandwidth. After performing beamforming (S230), the base station allocates resources to the repeater (S240).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are uniformly distributed, the repeater immediately performs beamforming for resource allocation to the users (S230). As described above, beamforming for resource allocation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whether a distribution degree of users located at a cell boundary region is uniform.

이때, 상기 S210 단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들의 분포 정도가 균일한지 균일하지 않음을 판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을 설계할 때 소정의 균일도를 설정하고, 기지국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특정 영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신호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균일도보다 크거나 작지 않을 경우 사용자들의 분포가 균일하다고 판단한다. 만약 수신 신호가 소정의 균일도보다 클 경우는 해당 영역에 사용자들의 분포가 밀집해 있다고 판단하고, 수신 신호의 수가 균일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사용자들의 분포가 소하다고 판단한다.At this tim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stribution degree of the user performed in step S210 is uniform or not is as follows. First, when designing a system, a predetermined uniformity is set, and when a base station receives a signal from a user's terminal, the distribution of users is uniform when the received signal from a specific area is not greater or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uniformity. To judge. If the received signal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uniform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ribution of users is concentr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If the number of received signals is smaller than the uniform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ribution of users is small.

다음 셀 내부 사용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세 번째 단계(S300)를 수행하는데, 세 번째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어 수행된다. 기지국에서 중계기로 자원을 모두 할당한 후 남아있는 주파수 자원을 확인(S310)하고, 셀 중심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S320)한다. Next, a third step (S300) of allocating resources to users in a cell is performed, and the third step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teps. After allocating the resources to the repeater in the base station to check the remaining frequency resources (S310), and assigns the frequency resources to the users in the center of the cell (S320).

여기서 셀 중심에 있는 사용자라 함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셀 중심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먼저 주파수 자원을 할당(S320)한 다음 셀 내부에 있는 자원을 할당 받지 못한 사용자들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S330)하여 서비스를 제공(S340)한다. Here, the user at the center of the cell means a user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First, frequency resources are allocated to the users at the cell center (S320), and then, frequency resources are allocated to the users who have not been allocated the resources in the cell (S330).

상기와 같이 세 번째 단계까지 모두 자원 할당이 수행되면, 지속적으로 되돌아오는 자원의 유무 또는 중계기로부터 더 많은 자원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400)한다. 이는 A 기지국에서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하던 사용자가 자원 사용을 멈추거나 B 기지국으로 옮겨가는 경우, 되돌아오는 자원의 유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셀 경계 지역에서 요구하는 자원의 변화가 생기거나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 분포에 변동이 있을 경우, 중계기로부터 더 많은 자원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확인할 수 있다. 판단된 이후에는 상기 S210 단계 또는 S240 단계를 수행한다.When allocating the resources up to the third step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more resource requests from the repeater or the presence of resources continuously returned (S400).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sources returned when a user who has been allocated and used resources at base station A stops using resources or moves to base station B. In addition, when there is a change in resources requir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or a change in user distribution in the cell boundary region, it may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more resource requests from the repeater. After the determination, step S210 or step S240 is performed.

다음은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인접 셀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자원을 그 룹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ethod of grouping resources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neighboring cel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의 그룹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grouping of re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에 주어진 전체 자원을 셀 경계 지역에 있는 사용자들을 위한 자원과 셀 내부에 있는 사용자들을 위한 자원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셀 경계 지역 사용자들을 위한 자원 부분을 셀 경계 지역을 구분한 수만큼의 자원으로 나누고 셀 내부 사용자들을 위한 자원은 세 부분으로 나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셀 경계 지역의 자원을 세 부분으로 구분하였으며, 셀 경계 지역의 자원과 셀 내부 자원을 구분하는 수는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9, the total resources given to the system are divided into resources for user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nd resources for users in the cell. The resource portion for the cell boundary region is divided into as many resources as the cell boundary region is divided, and the resource for the user inside the cell is divided into three por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urces of the cell boundary region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the number of dividing the resources of the cell boundary region and the resources within the cell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자원을 그룹화하고 자원을 다수의 수로 구분하는 것은 하기 도 12에서 설명할 중계기 자원 할당 부분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함이며,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중계기 자원 영역 및 기지국-단말 자원 영역의 구분과도 관련된다. 모든 셀에서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원을 할당하고, 사용자들은 자신이 속한 지역에 할당된 자원 할당량으로부터 자원을 할당 받아 서비스를 받게 된다. 이때, 할당받는 자원을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기법과 업링크(uplink)로 피드백되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가 좋은 부전송파를 우선 할당받는다.This grouping of resources and dividing the resources into a plurality of numbers is for allocating resources more efficiently in the repeater resource allocation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below. As illustrated in FIG. It is also related to the division of the terminal resource area.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in all cells, resources are allocated, and users are allocated a service from a resource quota allocated to their region. In this case, a subcarrier having a good channel state is first allocated to the allocated resource by using a frequency hopping technique and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through an uplink.

다음은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사항 중 S210 단계를 통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효과적인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ribution of users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is not uniform through the step S21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a method of performing effective resource allo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do.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경계지역에 사용자의 분포 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의 자원 할당의 예시도이다.10A and 10B are diagrams illustrating resource allocation when a distribution of users is not uniform in a cell bounda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안된 자원 할당 방법은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에서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을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에 송수신을 위한 자원으로 재활용한다. 이때,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의 분포가 균일하다면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면 자원 낭비가 심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source allocation method proposed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ycles resources us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as resource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esource. At this time, if the distribution of user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is uniform, no problem occurs. If the distribution is uneven, resource waste may be severe.

도 10a 및 도 10b를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셀 경계 지역에 사용자들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서, 모든 사용자가 요구하는 자원의 양은 동일하며 각 셀에서 요구하는 자원 요구량인 g1, g2, g3 값은 항상 같은 값이라고 가정한다.10A and 1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llocate resources to users when users are unevenly distributed in cell boundary regions, the amount of resources required by all users is the same and each cell is the same. It is assumed that the resource requirements g 1 , g 2 , and g 3 are always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들이 셀 경계 지역에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때,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자원 량은 다음과 같다. 각 지역에서 필요한 최소 자원 요구 량을 R(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셀 경계 지역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으므로 최소 자원 요구 량을 R1, R2, R3으로 정의할 수 있음)이라고 할 경우, 중계기가 사용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최소 자원 요구 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When users are unevenly distribu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amount of resources required to provide services to users is as follows. The minimum resource requirement required in each region may be referred to as R (here, the minimum resource requirement may be defined as R 1 , R 2 , and R 3 since the cell boundary reg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repeater to serve the user, the repeater must receive information on the minimum resource requirement from the base station.

또한, 해당 자원의 주파수를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세 지역 중 자원 요구 량이 가장 큰 지역의 두 배에 해당하는 2RMax의 자원이 필요하다. 여기서 자원 요구량이 가장 큰 지역의 두 배를 하는 것은, 기지국에서 중계기로 할당하는 자원과 중 계기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자원 두 값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지국의 입장에서는 두 값을 모두 지원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since the frequency of the corresponding resource needs to be converted, 2R Max resources, which are twice as large as the resource demand among the three regions, are needed. The reason for doubling the area where the resource demand is greatest is that the resources alloca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repeater and the resources transmitted from the relay to the base station are the two values because the base station must support both values. .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in this way.

그리고 세 지역을 모두 서비스하기 위해서 “R1 + R2 + R3”에 해당하는 자원이 필요하다. 결국, 서비스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최소 자원 요구치는 상기 설명한 두 값 즉, 2RMax 및 R1 + R2 + R3값 중 최대 값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최소 자원 요구 량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자원 할당 방법은 다음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And to service all three regions, resources corresponding to “R 1 + R 2 + R 3 ” are needed. As a result, the minimum resource requirement for smooth service corresponds to the maximum of the two values described above, that is, 2R Max and R 1 + R 2 + R 3 . In this way, the resource allocation method that can satisfy the minimum resource requirement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cases.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지역의 요구치가 다른 두 지역의 자원 요구 량의 합 보다 작은 경우 즉, “R1 < R2 + R3”인 경우를 생각하자. 이와 같은 경우에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세 지역 중 자원 요구 량이 가장 적은 지역을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기준은 최적화된 대역폭을 계산하는데 기준 즉 기지국-중계기 자원 영역을 세 영역으로 나눌 때 하나의 영역에 할당되는 자원의 크기에 대한 기준이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 부호 311 지역이 기준이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0A, consider a case where a requirement of a specific region is smaller than the sum of resource requirements of two other regions, that is, “R 1 <R 2 + R 3 ”. In this case, the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is based on the region with the lowest resource demand among the three regions. Here, the reference is a criterion for calculating an optimized bandwidth, that is, a reference for the size of resources allocated to one area when the base station-relay resource area is divided into three areas. do.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301로 표기된 셀에 위치한 사용자는 11명, 도면 부호 311로 표기된 셀에 위치한 사용자는 6명, 도면 부호 321로 표기된 셀에 위치한 사용자는 7명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러므로 두 번째 지역 즉 도면 부호 311로 표기된 셀에서 자원 할당을 요구한 자원 요구 량인 6이 최소 요구 량이 되고, 이 자원 량을 세 지역에 공통적으로 할당한다. As shown in FIG. 10A, 11 users are located in a cell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301, 6 users are located in a cell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311, and 7 users are located unevenly distributed in a cell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321. have. Therefore, in the second region, that is, the cell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11, 6, which is a resource requirement request for resource allocation, is the minimum requirement, and this resource amount is commonly allocated to the three regions.

최소 요구 량이 세 지역에 공통적으로 각각 6씩 할당되면, 첫 번째 지역(도면 부호 301 셀 영역)에 대한 자원 할당을 계속한다. 여기서 첫 번째 지역에는 11명의 사용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g2와 g3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로 첫 번째 지역 사용자들의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나서 g1을 이용하여 중계기에서 사용자들에게 송신하는데, g1이 6이므로 부족한 자원 량(11 - 6 = 5)은 기지국에서 추가적으로 자원을 할당(g5 = 5)하여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한다.If the minimum requirement is allocated to each of six areas in common, the resource allocation for the first area (cell area 301) continues. Since there are 11 users in the first region,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region users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repeater using g 2 and g 3 . Then, g 1 is used to transmit to the users. Since g 1 is 6, the insufficient amount of resources (11-6 = 5) is additionally allocated by the base station (g 5 = 5) to serve the users.

세 번째 지역(도면 부호 321 셀 영역)에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원을 할당하며, 부족한 자원 량은 역시 기지국에서 추가로 자원을 할당(g4 = 3)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를 수행하면, 전체적으로 셀 경계 지역에 할당되는 자원은 “g1(6) + g2(6) + g3(6) + g4(3) + g5(5) = 24”가 된다. 이때, 2RMax는 22이고, R1 + R2 + R3은 24이므로, 둘 중에 큰 값인 24가 최소 자원 요구 량이 된다. In the third region (cell area 321), the resources are alloc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sufficient amount of resources is also allocated to the resource by the base station (g 4 = 3) to serve the user. In this way, the resources allocated to the cell boundary area as a whole are “g 1 (6) + g 2 (6) + g 3 (6) + g 4 (3) + g 5 (5) = 24”. do. In this case, since 2R Max is 22 and R 1 + R 2 + R 3 is 24, the larger of 24 is the minimum resource requirement.

다음은 특정 지역의 자원 요구 량이 다른 지역들의 자원 요구 량의 합 보다 큰 경우 즉, R1 > R2 + R3인 경우의 실시예를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source requirement of a specific region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resource requirements of other regions, that is, R 1 > R 2 + R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B.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지역에 공통적으로 할당되는 자원 량은 세 지역 중 가장 적은 양을 요구하는 지역의 자원 량이 된다. 이는 상기 도 10a에 설명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 부호 311으로 표기된 영역의 자원 량이 그것이 된다. 이 경우에 다른 두 지역의 자원 요구 량의 합이 가장 많은 자원 을 요구하는 지역의 자원 량보다 작기 때문에, 이 두 지역의 자원 량을 합하더라도 첫 번째 지역에서 원하는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 없게 된다. As shown in FIG. 10B, the amount of resources commonly allocated to the three regions becomes the amount of resources of the region that requires the least amount among the three regions.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A,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amount of resources in the region indicated by 311. In this case, since the sum of the resource demands of the other two region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region that requires the most resources, the sum of the resources of these two regions does not provide all the information desired in the first region.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로 송신하기 위한 추가적인 자원 할당(g4 = 3)이 요구되고, 또한 이 지역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기 위한 자원(g5 = 7)도 추가적으로 할당되어야 한다. 결국, 셀 경계 지역을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 할당량은 “g1 + g2 + g3 + g4 + g5 = 22”가 된다. 이는 최소 요구 량인 2RMax = 22를 만족한다.Therefore, an additional resource allocation (g 4 = 3) for transmitting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repeater is required, and also a resource (g 5 = 7) for serving the users of this area must be additionally allocated. As a result, the resource allocation required to serve the cell boundary area is “g 1 + g 2 + g 3 + g 4 + g 5 = 22”. This satisfies the minimum requirement of 2R Max = 22.

다음은 상기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셀 경계 지역으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셀 경계 지역에서 셀간 자원의 직교성을 보장하여 셀간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whe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provides a service to a cell boundary region, intercell interference may be avoided by guaranteeing orthogonality of intercell resource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셀 경계지역으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셀간 간섭을 피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ethod for avoiding inter-cell interference when a base station directly provides a service to a cell bounda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지국에서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들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때, 빔 포밍 기법을 이용하여 서비스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셀 경계 지역 사용자들을 위해 그룹화된 자원을 제공하면, 인접한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들과 간섭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셀 내부 사용자들을 위해 할당된 자원을 세 부분으로 그룹화한다. 그리고 기지국에서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들에게 추가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의 경계 지역에서 서로 직교하는 자원의 그룹을 이용하여 서비스하면, 자원의 직교성이 보장된다. When a base station directly provides a service to users in a cell boundary area,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ervice using a beamforming technique. Thus, providing grouped resources for cell border area users results in interference with users in adjacent cell border areas.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9, resources allocated for users in a cell are grouped into three parts. When the base station additionally allocates resources to user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s shown in FIG. 11, if the service is performed using a group of resources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boundary region of each cell, resource orthogonality is guaranteed.

다음은, 셀 경계 지역에 배치된 중계기의 위치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에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when a change occurs in a position of a repeater disposed in a cell boundary reg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경계지역의 중계기 배치에 변화가 생길 경우 자원 할당 방법의 예시도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ource allocation method when there is a change in repeater arrangement of a cell bounda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시스템을 운용하면서 지형적인 요인이나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부득이하게 중계기가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중계기마다 별도로 자원 영역을 할당하고 관리한다면, 인접한 셀의 중계기에서 사용하는 자원과의 간섭 문제, 자원 그룹화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중계기의 추가/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While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repeater may be inevitably added or removed depending on geographical factors or the number of users. In this case, if the resource area is allocated and managed separately for each repeater, the addition / removal of the repeater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due to the interference problem with the resources used in the repeater of the adjacent cell and the change of the resource group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주파수 할당 방법이나 인접한 중계기와 셀간의 간섭 환경을 변화시키지 않고 중계기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역(Region) 개념을 도입하였다. 즉, 기존의 중계기가 송신하는 범위를 나타낸 원을 지역 개념인 서브 영역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of adding or removing a repeater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frequency allocation method or the interference environment between adjacent repeaters and cell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gion is used. The concept was introduced. In other words, the circle representing the range transmitted by the existing repeater is changed into a sub-region that is a local concept.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셀 경계 지역의 중계기 수에 의존하지 않고 셀 경계 지역을 세 지역으로 나눈 후, 상기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원을 할당한다면, 중계기 수의 변화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바꾸지 않고도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if the base station allocates resources as described in FIGS. 10A and 10B after dividing the cell boundary region into three regions without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peater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Therefore, the service can be continued without chang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다음은 중계기 없이 FIFO(선입선출, First Input First Output) 방식에 의해 자원을 순차적으로 단말로 할당하는 기존 OFDM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계기 배치 및 자원 할당 방법을 따르는 OFDM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수신 성능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ollowing is an existing OFDM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sequentially allocating resources to a terminal by FIFO (First Input First Output) method without a repeater, and OFDM based mobile according to a relay arrangement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 reception performance of a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 수신 성능과 기존 OFDM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 수신 성능을 비교한 예시도이다.13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terminal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terminal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기지국 당 3개의 섹터로 구분된 총 19개의 기지국이 존재하고(3 Tier 시나리오), 각 섹터는 300개의 주파수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총 3000명의 사용자가 균일한 분포로 30km/h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13은 일반적인 자원 할당 방법에 따른 단말의 성능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호대 간섭 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의 분포를 표시하였다.As described in FIG. 6, there are a total of 19 base stations divided into 3 sectors for each base station (3 Tier scenario), each sector has 300 frequency resources and a total distribution of 30 km / s with a uniform distribution of 3000 users. Suppose you are moving at a speed of h. FIG. 13 illustrates a distribution of a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of a user in order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general resource allocation method with tha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식에 따라 자원을 할당한 경우에는 50% 이상의 사용자가 5dB 이하의 SINR을 확보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원을 할당한 경우 90% 이상의 사용자가 11dB 이상의 SINR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그래프의 Y 축이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이므로 Y 축에 대한 면적을 시스템 총 용량으로 생각해 봤을 때, 일반적인 방식에 따라 자원을 할당한 경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원을 할당한 경우의 차이가 확연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원을 할당한 경우 훨씬 높은 시스템 용량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resource is allocated according to the general scheme, 50% or more users have a SINR of 5dB or less. However, when resources are alloc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0% or more users have 11dB or more. SINR may be provided. That is, since the Y axis of the graph is a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when the area of the Y axis is regarded as the total system capacity, the resource is allocated according to a general method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one case is obvious. That is, it can be seen that a much higher system capacity can be secured when allocating re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가 11dB 이상의 높은 수신 품질을 제공받는다는 것은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 상당수가 중계기로부터 고품질의 신호를 간섭 없이 수신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셀간 간섭을 줄이고, 넓은 서비스 영역을 확보한다는 등의 목표로 했던 사항들이 성공적으로 충족되었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ct that most users receive a high reception quality of 11 dB or more means that a large number of users in the cell boundary area receive high-quality signals from the repeater without interference. Therefore, as a whole, it can be seen that the targets, such as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and securing a wide service area, have been successfully met.

게다가, 상기 도 6에 도시된 상황은 기지국에서 빔 포밍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고 섹터간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하는 상황이고, 이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섹터간 전방향 안테나의 사용으로 인한 간섭 영향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간섭의 영향이 가장 크게 작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1dB 이상의 높은 수신 품질을 보장한다는 것은, 필요에 따라 빔 포밍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주파수 호핑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더욱 높은 수신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ituation shown in FIG. 6 is a situation in which the base station uses an intersector omnidirectional antenna instead of using a beamforming antenna, which is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use of the intersector omnidirectional antenna as described in FIG. It is an increasing situation. This is a situation in which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may be most effecti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vertheless, ensuring a high reception quality of 11 dB or more means that higher reception quality can be ensured by using a beamforming antenna or introducing a frequency hopping scheme as needed.

여기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Here,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를 사용함으로써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셀 경계 지역에서 중계기마다 서로 직교하는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인접 셀간의 간섭 효과를 없앨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cell coverage can be extended by using a repeater, and interference effects between adjacent cells can be eliminated by allocating resources orthogonal to each repeater in a cell boundary region.

또한, 중계기를 운용함에 있어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을 중계기와 사용자들간의 송수신을 하는데 필요한 자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on of the repeater to maximize the resource efficiency by recycling the resource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and user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source use.

또한, 셀 내부 사용자들과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들간의 자원도 서로 직교성이 보장되도록 할당함으로써 시스템 전반적인 간섭의 세기가 크게 감소한다.In addition, by allocating resources between users in the cell and user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to ensure orthogonality with each other, the strength of system-wide interference is greatly reduced.

또한, 시스템 운용 방식에 따라 간섭의 세기는 조금 증가하더라도 셀 경계 지역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신호 세기를 감소시켜 기지국 인근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는데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재 사용 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strength of interference increases slightly depending on the system operation method, the frequency band us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can be used to serve the users near the base station by reducing the signal strength, thereby increasing the frequency reuse rate.

Claims (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하여 형성되는 셀에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계기들과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들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to a terminal formed in a cell formed by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repeaters and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s, 상기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의 셀 경계 지역--여기서 셀 경계 지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음--에 위치하며, 상기 중계기 또는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The repeater is located in a cell boundary region of the base station, where the cell boundary region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region, and the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repeater or the terminal, (a)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자원을 상기 기지국의 셀 경계 지역에 제공할 셀 경계 영역 자원과 상기 셀 내부--여기서 셀 내부는 하나의 셀에서 타 셀과의 인접한 셀 경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나타냄--에 제공할 셀 내부 영역 자원으로 분할하는 단계;(a) a cell boundary region resource to provide all resources alloc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a cell boundary reg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inside of the cell, where the inside of the cell excludes a cell boundary region adjacent to another cell in one cell; Dividing into an in-cell area resource to provide to the remaining area; (b)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제공할 자원을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한 상기 중계기로 제공--여기서 제공된 자원은 상기 셀 경계 영역에 분포한 단말에 할당됨--하는 단계; 및(b) providing resources to be provided to the cell boundary region to the repeater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wherein the resources provided are allocated to terminals distribu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nd (c) 상기 셀 내부에 제공할 자원을 상기 셀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c) providing resources to be provided inside the cell to the terminal located inside the cell;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 단계는,In step (a),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전체 자원에 대하여 상기 셀 경계 영역 자원 또는 셀 내부로 할당하기 위한 자원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부전송파 순서화 단계; 및A subcarrier sequencing step of randomly selecting a cell boundary region resource or a resource for allocating into a cell with respect to all resources allocated to the base station; And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자원을 이용하여 셀 경계 영역 자원과 셀 내부 영역 자원으로 그룹화하여 구분하는 주파수 자원 그룹화 단계A frequency resource grouping step of grouping and classifying a cell boundary region resource and an internal cell resource using the randomly selected resource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b) 단계는,In step (b), (i)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여기서 단말은 상기 셀 경계 영역의 자원을 제공받음--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균일도 수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i) receiving a signal from a terminal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where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resources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nd whether the number of received signals is withi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uniformity number range; Determining; (ii)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가 상기 균일도 수의 범위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상기 기지국-중계기 자원 영역에 대한 대역폭을 계산하는 단계;(ii) calculating a bandwidth for the base station-relay resource region when the number of signals received from the terminal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range of the uniformity number; (iii) 상기 계산된 대역폭을 토대로 상기 중계기가 상기 단말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상기 자원에 대한 빔 포밍을 수행하는 단계; 및(iii) performing beamforming on the resources so that the repeater can allocate resources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calculated bandwidth; And (iv) 상기 중계기로 상기 빔 포밍이 수행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iv) allocating the beamformed resource to the repeater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ii) 단계는,Step (ii), (ii-1) 상기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로부터 요청된 다수의 자원 요구량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ii-1) comparing the sizes of the plurality of resource requirements request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divided into the one or more regions; (ii-2) 상기 다수의 자원 요구량 중 특정 영역의 자원 요구량이 나머지 영역들의 자원 요구량들의 합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특정 영역의 자원 요구량을 상기 대역폭 계산의 기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ii-2) setting a resource requirement of the specific area as a criterion of the bandwidth calculation if the resource requirement of the specific area among the plurality of resource requirements is smaller than the sum of the resource requirements of the remaining areas; And (ii-3) 상기 다수의 자원 요구량 중 가장 큰 자원을 요구한 영역의 자원 요구량에 소정 수치만큼 곱한 값과, 상기 대역폭 계산의 기준으로 설정된 자원 요구량을 비교하여 큰 수를 최소 자원 요구치로 설정하는 단계(ii-3) comparing a resource multiplied by a predetermined number with a resource requirement of an area that has requested the largest re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resource requirements, and setting a large number as a minimum resource requirement by comparing a resource requirement set based on the bandwidth calculation; step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iv)단계가 상기 최소 자원 요구치를 토대로 상기 분할된 셀 경계 영역에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 방법.And in step (iv), allocates resources to the divided cell boundary regions based on the minimum resource requirement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ii-2) 단계에서 상기 특정 영역의 자원 요구량이 나머지 영역들의 자원 요구량들의 합 보다 큰 경우,In step (ii-2), if the resource requirement of the specific region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resource requirements of the remaining regions, 상기 특정 영역의 자원 요구량을 상기 대역폭 계산의 기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Setting a resource requirement of the specific region as a reference of the bandwidth calculation; And 상기 다수의 자원 요구량 중 가장 큰 자원을 요구한 영역의 자원 요구량에 소정 수치만큼 곱한 값과, 상기 대역폭 계산의 기준으로 설정된 자원 요구량을 비교하여 큰 수를 최소 자원 요구치로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large number as a minimum resource requirement by comparing a resource multiplied by a predetermined value to a resource requirement of an area that has requested the largest re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resource requirements and a resource requirement set as a basis of the bandwidth calculation;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다수의 자원 요구량의 크기 중 가장 작은 자원을 요구한 영역의 자원 요구량을 상기 다수의 셀 경계 영역에 공통적으로 할당하는 자원 할당 방법.The resource allocation method of allocating the resource requirement of the area which requested the smallest resource among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resource requirements to the plurality of cell boundary areas in comm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 단계는,In step (c), 상기 분할된 자원을 상기 중계기 또는 단말에 할당한 후, 남아있는 자원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Allocating the divided resources to the repeater or the terminal, and then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any remaining resources; 상기 중계기 또는 단말에 할당되지 않고 자원이 남아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의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Allocating resources to a terminal in a cell center of the base station when resources remain without being allocated to the relay or the terminal; And 상기 셀 중심--여기서 셀 중심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이미 설정된 설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의미함--에 있는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고 남은 자원을 셀 내부에 있는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Allocating a resource to a terminal in the cell center, where the cell center means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et from the base station, and allocating the remaining resource to the terminal in the cell.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남아있는 자원이 없는 경우, 셀 내부에 있는 단말에 우선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If there is no remaining resource, the step of preferentially allocating resources to the terminal in the cell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계기로부터 회수되는 자원이 있는지 또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추가적으로 자원 할당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resource recovered from the repeater or if there is an additional resource allocation request from the repeater; And 회수되는 자원 또는 추가 자원 할당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If there is a resource to be recovered or an additional resource allocation request, performing step (b)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셀 경계 지역은 내반경--여기서 내반경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상기 기지국의 임계값과 같아지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셀 반경에서 중계기 반경만큼 감한 값을 의미함--과 외반경--여기서 외반경은 셀 반경에서 중계기 반경만큼 더한 값을 의미함-- 사이의 영역인 자원 할당 방법.The cell boundary region is an inner radius, where the inner radius means a value subtracted by a repeater radius from a cell radius indicating a distance to a point at whic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becomes equal to a threshold of the base station. Where outer radius is the radius of the cell plus the radius of the repeater.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들이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중계기들과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들과 연결되어 있는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repeaters and the base station or a terminal connected to the repeaters when at least one repeater is disposed in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의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하며, 상기 중계기 또는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The repeater is located in a cell boundary region of the base station, the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repeater or the terminal,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셀 경계 영역을 소정의 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a) dividing a cell boundary area divided into at least one area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 areas; (b)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자원을 상기 소정의 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셀 경계 영역에 제공할 자원과 상기 셀 내부--여기서 셀 내부는 하나의 셀에서 타 셀과의 인접한 셀 경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나타냄--에 제공할 자원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b) resources to provide the entire resource alloc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a cell boundary area divided in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ub-areas and the inside of the cell, where the inside of the cell is a cell adjacent to another cell; Dividing into regions to be provided except for the boundary region; And (c)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제공할 자원으로 분할된 자원을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한 상기 중계기로 제공하고, 상기 셀 내부에 제공할 자원으로 분할된 자원을 상기 셀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c) providing a resource divided into resources to be provided to the cell boundary region to the repeater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and providing a resource divided into resources to be provided inside the cell to the terminal located inside the cell; step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c) 단계는,In step (c),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을 소정의 수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Grouping terminals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by a predetermined number; And 상기 자원의 일부 중 상기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한 단말로 할당되는 자원은 상기 셀 경계 영역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할당되는 단계Allocating resources allocated to a terminal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of the portion of the resource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cell boundary region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060078579A 2006-08-21 2006-08-21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PF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xpired - Fee Related KR1007450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579A KR100745086B1 (en) 2006-08-21 2006-08-21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PF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579A KR100745086B1 (en) 2006-08-21 2006-08-21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PF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086B1 true KR100745086B1 (en) 2007-08-01

Family

ID=3860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5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5086B1 (en) 2006-08-21 2006-08-21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PF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08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213B1 (en) 2007-12-11 2010-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opagation resource reuse system and method
KR101095469B1 (en) * 2008-05-16 2011-12-16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ixed repeater and its resource allocation method
KR101479774B1 (en) 2008-02-27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Cell
KR101607132B1 (en) 2008-05-21 201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region using by broadcated reference signal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me
US11950108B2 (en) 2020-12-02 2024-04-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using resources in a wireless rela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445A (en)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 of virtual cell in of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48261A (en) * 2003-11-19 2005-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resource space partition, a physical channel assignment, and power assignment in cellular based on ofdma
KR20050081136A (en)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operating tdd/virtual fdd hierarchical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60057937A (en)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Multi-carrier System
KR20060060487A (en) * 2004-11-30 2006-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Adaptive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KR20070027468A (en) * 2005-09-06 2007-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ource Division, Allocation Method, and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Downlink for Inter-cell Interference Mitiga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ellular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445A (en)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 of virtual cell in of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48261A (en) * 2003-11-19 2005-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resource space partition, a physical channel assignment, and power assignment in cellular based on ofdma
KR20050081136A (en)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operating tdd/virtual fdd hierarchical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60057937A (en)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Multi-carrier System
KR20060060487A (en) * 2004-11-30 2006-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Adaptive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KR20070027468A (en) * 2005-09-06 2007-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ource Division, Allocation Method, and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Downlink for Inter-cell Interference Mitiga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ellular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213B1 (en) 2007-12-11 2010-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opagation resource reuse system and method
US8392783B2 (en) 2007-12-11 2013-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radio resources
KR101479774B1 (en) 2008-02-27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Cell
KR101095469B1 (en) * 2008-05-16 2011-12-16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ixed repeater and its resource allocation method
KR101607132B1 (en) 2008-05-21 201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region using by broadcated reference signal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me
US11950108B2 (en) 2020-12-02 2024-04-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using resources in a wireless relay
US12284535B2 (en) 2020-12-02 2025-04-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864B1 (en) Method for flexible surpoting NON-symmetrical service in multi-carrier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390406B2 (en) Resource use system and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US6201972B1 (en) Cellular system and frequency carrier allocation method
JP6062410B2 (en)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relay systems
US9204306B2 (en) Cellular network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2044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wireless transmission resources
US20100227620A1 (en) Multi-Hop Load Balancing
KR101540815B1 (en) A method of managing radio resources for uplink and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541300A (en) Method for allocating bandwidth from a radio frequency spectrum in a cellular network including a set of cells
Al-Falahy et al. Network capacity optimisation in millimetre wave band us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KR20120024645A (en) Ofdma cellular network and method for mitigating interference
Haroon et al. Coverage analysis of ultra-dense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with interference management
KR1018809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tier cluste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00081441A1 (en) Dynamic Radio Frequency Allocation for Base Station Cooperation with Interference Management
KR100745086B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PF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62983C (en) Method and device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GSM base station
CN101742519B (en)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GB2427792A (en)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CN110177340A (en) A kind of super-intensive network resource allocation method of customer-centric
CN101297569A (en) Wireless base station, channel allocation system and channel allocation method
KR101078478B1 (en) Method for allocating reverse link resourse in based macro-diversity for cellular ofdma system
KR101532436B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adjustment
KR20110048820A (en) Dynamic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Sectorized Cell-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479774B1 (en)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Cell
KR1010787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cell-based flexible frequency reus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7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72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