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4746B1 -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746B1
KR100744746B1 KR1020070037040A KR20070037040A KR100744746B1 KR 100744746 B1 KR100744746 B1 KR 100744746B1 KR 1020070037040 A KR1020070037040 A KR 1020070037040A KR 20070037040 A KR20070037040 A KR 20070037040A KR 100744746 B1 KR100744746 B1 KR 10074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ving
adjusting device
bearing member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호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아이엠알앤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엠알앤디(주) filed Critical 아이엠알앤디(주)
Priority to KR102007003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33Rotating tyres or their components, e.g. carcasses, belt-tread packages, beads and the like, around their axis, i.e. for preventing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2030/208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the drum supporting device being rotatable around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베어링부재(30)와, 상기 베어링부재(30)를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외경에 타이어 반제품을 감기 위한 성형드럼(10)과, 상기 성형드럼(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40)로 구성되는 타이어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베어링부재(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 브라켓(110)과,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정면상태로 볼 때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120)과, 상기 고정 브라켓(120)과 나선결합을 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측면을 밀착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간격 조절구(130)로 구성되는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성형드럼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정밀하게 조절하여 공급되는 반제품을 정확하게 감을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생산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중인 성형기의 몸체 및 베어링부재를 전체적으로 개조 및 변형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타이어, 성형기, 성형드럼, 축, 중심, 위치, 조절, 센터링, 장치

Description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Center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tire forming machine}
도 1 - 일반적인 타이어 성형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2 -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 -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4 -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5 -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6 -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7 -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8 또는 도 9 -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성형드럼 20: 몸체
30: 베어링부재 40: 구동부재
100: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110: 이동 브라켓 111: 마찰방지구
112: 수용부 113: 지지구
120: 고정 브라켓 130: 이동간격 조절구
본 발명은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드럼의 중심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공정의 작업효율 및 타이어의 생산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한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형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베어링부재(30)와, 상기 베어링부재(30)를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외경에 타이어 반제품을 감기 위한 성형드럼(10)과, 상기 성형드럼(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40)로 이루어지는 성형기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제조상 필요한 반제품(트레드, 스틸벨트 등)을 회전하는 상기 성형드럼(10)의 외경에 순차적으로 감아서 접합함으로써 그린타이어를 생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성형드럼(10)의 중심위치가 정확한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회전과정에서 편심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생산되는 타이어의 전체적인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어 주행과정의 안전성을 저하시킴은 물론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또한, 상기 성형드럼(10)의 중심위치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반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 및 기타 장치가 상기 성형드럼(10)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근접할 수 없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성형공정의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설치된 상기 베어링부재(30)의 하부에 높이조절 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성형드럼(10)의 중심위치를 조절하고 있으나, 이는 1~10㎜범위의 이동거리에 따라서 상기 성형드럼(10)의 중심위치가 결정됨을 감안할 경우 정밀한 가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으로 인해서 목적에 비해 실질적인 효과는 그리 높지 않은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상기 성형드럼(10)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거리를 조절하면서 정확한 중심위치를 결정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처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지 못하므로 이로 인해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드럼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정밀하게 위치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반제품을 정확하게 감을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작업효율 및 생산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100)는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베어링부재(30)와, 상기 베어링부재(30)를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외경에 타이어 반제품을 감기 위한 성형드럼(10)과, 상기 성형드럼(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40)로 구성되는 타이어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베어링부재(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 브라켓(110)과,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정면상태로 볼 때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120)과, 상기 고정 브라켓(120)과 나선결합을 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측면을 밀착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간격 조절구(1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은 상기 베어링부재(30) 및 성형드럼(1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일측에 상기 베어링부재(30)가 설치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베어링부재(30)의 내부를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기 성형드럼(10)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 브라켓(110)은 정면상태로 볼 때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통공 및 결합공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몸체(20)와 상기 베어링부재(30)를 일측에 결합함은 물론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게 위함이다.
특히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가 맞닿는 위치에 마찰방지구(111)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가 나선회전으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측면에 점차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마찰 및 손상 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마찰방지구(111)는 내마모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열처리를 통해서 기계적인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120)은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와 나선결합된 상태로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가 나선회전으로 원활하게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120)은 상기 성형드럼(10)의 중심위치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20)의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는 작업자의 조작으로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측면을 밀착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를 위해 회전방향에 따라서 정밀하게 이동거리를 조절함은 물론 작업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공지의 볼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성형드럼(10)의 중심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를 회전시켜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성형드럼(10) 및 베어링부재(30)의 정확한 중심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100)는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이동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실시예는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100)는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베어링부재(30)와, 상기 베어링부재(30)를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외경에 타이어 반제품을 감기 위한 성형드럼(10)과, 상기 성형드럼(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40)로 구성되는 타이어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베어링부재(30)의 사이에 설치하되 상부 및 일측에는 수용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112)의 끝단에는 지지구(113)가 형성되는 이동 브라켓(110)과, 상기 수용부(1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20)과, 상기 고정 브라켓(120)과 나선결합을 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이동 브라켓(110) 또는 지지구(113)의 측면을 밀착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간격 조절구(1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112)는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가 상기 이동 브라켓(110)을 상하 또는 좌우에 설치된 이동간격 조절구(130)를 일일이 조절하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부 또는 일측에서 형성되어 상기 이 동간격 조절구(130)를 조절함으로써 양방향으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를 정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일측에 밀착되므로 점차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구(113)의 일측에 밀착되므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을 점차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좌우방향으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120)은 상기 수용부(1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을 상부 또는 일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의 나선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구(113)는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와 맞닿아 상기 이동 브라켓(110)을 상부 또는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드럼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정밀하게 위치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반제품을 정확하게 감을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생산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중인 성형기의 몸체 및 베어링부재를 전체적으로 개조 및 변형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베어링부재(30)와, 상기 베어링부재(30)를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외경에 타이어 반제품을 감기 위한 성형드럼(10)과, 상기 성형드럼(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40)로 구성되는 타이어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베어링부재(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 브라켓(110)과,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정면상태로 볼 때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120)과, 상기 고정 브라켓(120)과 나선결합을 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측면을 밀착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간격 조절구(13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2.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베어링부재(30)와, 상기 베어링부재(30)를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외경에 타이어 반제품을 감기 위한 성형드럼(10)과, 상기 성형드럼(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40)로 구성되는 타이어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베어링부재(30)의 사이에 설치하되 상부 및 일측에는 수용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112)의 끝단에는 지지구(113)가 형성되는 이동 브라켓(110)과, 상기 수용부(1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20)과, 상기 고정 브라켓(120)과 나선결합을 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이동 브라켓(110) 또는 지지구(113)의 측면을 밀착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간격 조절구(13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가 나선회전으로 상기 이동 브라켓(110)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마찰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가 맞닿는 위치에 마찰방지구(111)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간격 조절구(130)는 작업자가 손쉽게 회전시켜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볼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KR1020070037040A 2007-04-16 2007-04-16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KR10074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40A KR100744746B1 (ko) 2007-04-16 2007-04-16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40A KR100744746B1 (ko) 2007-04-16 2007-04-16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746B1 true KR100744746B1 (ko) 2007-08-01

Family

ID=3860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040A KR100744746B1 (ko) 2007-04-16 2007-04-16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7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5331A (ja) * 1994-01-11 1995-08-08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外径把持装置
JP2001096639A (ja) 1999-07-23 2001-04-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成形装置
KR20030080376A (ko) * 2002-04-08 2003-10-17 금호산업주식회사 세그먼트몰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타이어 제조용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5331A (ja) * 1994-01-11 1995-08-08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外径把持装置
JP2001096639A (ja) 1999-07-23 2001-04-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成形装置
KR20030080376A (ko) * 2002-04-08 2003-10-17 금호산업주식회사 세그먼트몰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타이어 제조용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21108B (zh) 水表机芯叶合与顶尖自动装配工装
CN103962920B (zh) 胶辊砂带抛光机
KR101306798B1 (ko) 볼링공 표면연마장치
CN104786493A (zh) 一种用于3d打印成型机的旋转喷嘴工作模式及组件
KR20150002775U (ko) 수평조절 인양장치
KR100921320B1 (ko) 오일 그루브 가공을 위한 실린더 라이너용 지그
KR20120047375A (ko) 석재가공장치
KR100744746B1 (ko) 타이어 성형기용 중심위치 조절장치
KR101476846B1 (ko) 교체 가능한 니들 실린더를 포함하는 환편기
CN101475084A (zh) 伸缩式皮带运输机
JP5633330B2 (ja) タイヤマウンター
CN206047812U (zh) 一种异形砂光机构
CN205630106U (zh) 一种钢管端头切割机进料装置
KR100920305B1 (ko) 호닝 공구
CN103978137B (zh) 轮辋卷圆机
CN108122670B (zh) 一种线头的引导防碰装置
KR101324565B1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장치
CN207757688U (zh) 一种切割机
KR200445401Y1 (ko) 바이어스 항공기 타이어의 그린케이스 성형용 밴드조립장치
KR100965997B1 (ko) 벨트서비서 거리조정 스토퍼구조
KR100730738B1 (ko) 오일 실의 연삭방법 및 장치
CN206082649U (zh) 一种铸管破碎机
KR20130071707A (ko) 타이어 반제품 제조용 비드포머장치
KR101523766B1 (ko) 장신용 체인의 가공장치
CN204711752U (zh) 磨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