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4169B1 -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169B1
KR100744169B1 KR1020060100018A KR20060100018A KR100744169B1 KR 100744169 B1 KR100744169 B1 KR 100744169B1 KR 1020060100018 A KR1020060100018 A KR 1020060100018A KR 20060100018 A KR20060100018 A KR 20060100018A KR 100744169 B1 KR100744169 B1 KR 10074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
aromatic polyamide
same
para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0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169B1/ko
Priority to US12/445,408 priority patent/US7838091B2/en
Priority to PCT/KR2007/004910 priority patent/WO2008044851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with both amino and carboxylic group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romatic diamines and aromatic dicarboxylic acids with both amino and carboxylic group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5Polya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yamide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색 투명하고 내열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무기염의 첨가 없이도 극성의 유기용매에 쉽게 용해되는 등 가공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판용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파라배향의 방향족 디아민을 포함한 반복단위와 메타 또는 메타-파라 배향의 방향족 디아민을 포함한 반복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형태의 신규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용의 광학 필름이 제공된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디스플레이, 내열성, 착색, OLED, LCD, 전자종이, ITO

Description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Aromatic polyamide, polymerization method thereof and optical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무색 투명하고 내열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무기염의 첨가 없이도 극성의 유기용매에 쉽게 용해되는 등 가공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신규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용의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스플레이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LCD나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총아로 떠오른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은, 종래 유리를 기판 재료로 사용하여 그 위에 투명전극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고분자 필름을 기판으로 하는 이른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구현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유리 기판상에 투명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ITO 등 전극 재료들을 사용할 경우, 적어도 180℃,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의 고온에서 수분에서 20~30분 정도의 열처리를 통해 전극 형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의 재질로는 무색 투명성과 내열성을 겸비한 고분자 소재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한편,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은 고강도, 고탄성률, 고내열성, 절연성, 낮은 수분 및 기체 투과성을 가지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 저장용 고성능 자기 테이프, 플렉시블 인쇄회로 기판 등의 전기 전자분야 소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알려진 대부분의 파라 배향의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아주 낮아 극성의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상당량의 무기물(LiCl, CaCl2)을 첨가하여야 하고, 이 무기물은 필름으로부터 후습식공정을 통해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공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벤젠핵과 아미드기 간의 전자 이동에 의해 황색 또는 갈색의 착색을 띠므로, 디스플레이 재료 및 광학재료로서의 기능성이 떨어지므로, 광통신분야, 디스플레이분야 등의 광학재료로서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또한 폴리이미드계통의 낮은 착색(Y.I. 7 전후), 높은 투명성을 갖는 방향족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 및 연구성과가 보고되고는 있으나, 이들은 고가이거나 착색문제의 해결이 미흡한 등으로 인해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으며, 특히 무색 투명한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관해서는 아직 알려진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고유의 내열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보유하면서, 무색 투명하여 광학용 소재로서 적합할 뿐만 아니라, 무기염의 첨가 없이도 극성의 유기용매에 쉽게 용해되어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 신규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을 이용하여 손으로 접어 주름을 가했을 때 파단이나 크레이즈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열성과 투명성을 가지며 착색이 거의 없는 디스플레이 기판용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은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6074194746-pat00001
(여기서, A는 -SO-, -SO2-, -CH2-, -CF2-, -C(CH3)2-, -C(CF3)2- -CONH-, 또는 -NHCO-중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R, R'은 -H, -F, -Cl, -I, -NO2, -CN, 탄소수 1~4의 알콕시, 또는 -CF3 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Ar은 벤젠고리 또는 나프탈렌고리로서 메타 또는 파라배향을 갖는다. 이하, 동일하다.)
Figure 112006074194746-pat00002
(여기서, A'는 -O-, -S-, -SO-, -SO2-, -CH2-, -CF2-, -C(CH3)2-, -C(CF3)2-, -CONH-, 또는 -NHCO-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아민기에 대해 각각 메타-메타 또는 메타-파라 위치에 있으며, R", R"'는 -H, -F, -Cl, -I, -NO2, -CN, 탄소수 1~4의 알콕시, 또는 -CF3 중의 어느 하나로서 R", R"'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고, R, R'와도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Ar'는 벤젠고리 또는 나프탈렌고리로서 메타 또는 파라배향이고, Ar과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이하, 동일하다.)
여기에서, 상기 파라배향의 방향족 디아민을 사용한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에 있어서의 상기 A는 착색을 띠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전자 공여성이 없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들 중 전자를 당기는 작용을 하는 -SO2-, -CF2- 또는 -C(CF3)2-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파라배향의 방향족 디아민을 사용한 반복단위는 내열성과 착색성, 투광성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극성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떨어뜨려 도프(dope)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용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적정량의 메타배향 또는 메타-파라 배향의 방향족 디아민 유래의 상기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께 포함하는 공중합체 형태로 한다.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에 있어서의 A'는 A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달라도 무방하지만, 극성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CONH-, -NHCO-가 바람직하며, 치환기인 R" 또는 R"' 중의 어느 하나로서도 -F, -Cl, -I, -NO2, -CN과 같은 극성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함유비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극성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반면, 열적 안정성을 다소간 저하시켜 고온에서의 황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에 비해서는 소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A'의 종류와 치환기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전체 반복단위증에 몰비로 5~50%정도 포함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되어 황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미만이면 용해도가 나빠 가공성이 떨어진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하기 일반식 (Ⅲ) 또는 (Ⅳ)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염화물과 일반식 (Ⅴ)로 표시되는 파라배향 방향족 디아민 및 일반식 (Ⅵ)으로 표시되는 메타-메타 또는 메타-파라 방향족 디아민과의 축합 공중합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74194746-pat00003
Figure 112006074194746-pat00004
Figure 112006074194746-pat00005
Figure 112006074194746-pat00006
여기서, 상기 일반식 (V)로 표시되는 파라배향 방향족 디아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하기 화학식 (Ⅶ)로 표시되는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44DDS)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일반식 (Ⅵ)으로 표시되는 메타배향 방향족 디아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하기 화학식 (Ⅷ)로 표시되는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33DDS)을, 메타-파라 배향의 화합물로는 화학식 (Ⅸ)로 표시되는 4,3'-디아미노-2-시아노벤즈아닐라이드(34DACYB)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74194746-pat00007
Figure 112006074194746-pat00008
Figure 112006074194746-pat00009
공중합반응은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용액축합반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일반식 (Ⅲ) 또는 (Ⅳ)로 표시되는 메타 또는 파라 배향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염화물과, 일반식 (V)로 표시되는 파라배향 방향족 디아민 및 일반식 (Ⅵ)으로 표시되는 메타배향 또는 메타-파라배향의 방향족 디아민의 혼합물을 디카르복실산과 디아민 혼합물을 등몰로 하여, 예컨대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와 같은 극성의 유기용매 내에서 0~50℃의 온도로 1분 내지 24시간 용액축합반응시킴으로써 일반식 (Ⅰ) 및 (Ⅱ)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용의 광학 필름은, 상기 일반식 (Ⅰ) 및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화합물을 극성의 유기용매에 용해한 도프를 제조하고, 이를 필름상으로 성형,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두께 80±20㎛을 기준으로 Y.I.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7 이하이며, 250℃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의 Y.I.도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Y.I.가 3 이하의 수준이면 육안으로 보아 거의 착색이 없으며, 7 이하이면 다소간의 착색이 있으나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10 이상이면 착색이 과도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소재로서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250℃에서 30분 정도의 고온의 열처리를 거친 이후에도 Y.I.가 7 이하를 유지하고, 광투과도에서도 변화가 없기 때문에, ITO 등의 투명전극형성 과정에서 고온의 열처리를 거쳐야 하는 LCD, OLED, 전자종이 등의 디스플레이용의 플렉시블 기판소재로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3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중합
N2 기류하에서 500㎖ 용량의 반응기에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200㎖를넣고 교반하면서,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44DDS) 19.466g(0.0784mol(70몰%)과 4,3'-디아미노-2-시아노벤즈아닐라이드(34DACYB) 8.468g(0.0366mol(30mol%)을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5℃로 냉각하고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드(IPC) 11.369g(0.056mol)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반응이 진행하면서 반응물의 온도가 30℃로 상승하면 다시 5℃로 냉각하고 IPC 11.37g(0.056mol)을 더 투입하여 강하게 교반하였다. 반응이 진행하면 온도는 다시 30℃로 상승하고, 약 10분 후부터는 점성이 급격히 상승하여 고점성의 중합체 용액이 얻어졌다. 이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중합을 계속하여 얻어진 생성물을 다량의 물에 부어 고화시킨 뒤, 여과, 분쇄하고, 물로 세척하고, 암모니아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 다시 물, 메탄올, 아세톤의 순으로 세척을 반복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중합체를 100℃의 진공오븐 내에서 건조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 시료 1(폴리(44DDS/34DACYB/IPC))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의 수율을 99%이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의 제조
상기 중합공정에서 얻어진 방향족 폴리아미드 시료 1 5.994g을 DMAc 27.3.g에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 시료가 DMAc에 완전히 용해된 18wt% 농도의 무색 투명한 도프를 제조하였다. 이 도프의 일부를 저장안정성을 체크하기 위해 따로 밀폐용기에 보관하고, 3개의 유리판에 도포하고 85℃의 열풍 건조기에 넣고 1시간 동안 건조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100℃, 150℃, 200℃, 230℃, 250℃의 순서로 30분간 건조하면서, 200℃(실시예 1), 230℃(실시예 2), 250℃(실시예 3)의 건조를 완료한 시점에서 하나씩 시료를 꺼내어 냉각한 후 유리판으로부터 필름을 분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얻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의 시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실시예 1~3)에 대해 각각 두께를 측정하고, 400㎚, 440㎚ 및 500㎚에서의 광투과도와 Y.I.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들과 비교예에 있어서, 광투과도와 Y.I.의 측정은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이루어졌다.
투과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필름을 Datacolor SF 600 PLUSTM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고, 광원으로 D6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Y.I.(Yellowness Index)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필름을 Datacolor SF 600 PlusTM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ASTM E313법에 의거 투과율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4~10
방향족 디아민의 종류와 사용량을 각각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변경하고, 나머지 조건들을 실시예 1에 준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 시료와 이를 이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각각 제조하고, Y.I.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7
방향족 디아민의 종류와 사용량을 각각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변경하고, 나머지 조건들을 실시예 1~3에 준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 시료와 이를 이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각각 제조하고, Y.I.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10
방향족 디아민의 종류와 사용량을 각각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변경하고, 나머지 조건들을 실시예 1에 준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 시료와 이를 이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각각 제조하였다.
다만,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의 제조시에 중합공정을 통해 얻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시료를 6wt% LiCl/DMAc 용액에 넣고 교반하여 용해함으로써 도프를 제조하였으며, 도프를 유리판에 도포하여 85℃에서 건조한 후에는, 물에 침지하여 LiCl을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100℃에서 건조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으로부터 동일한 방법으로 Y.I.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비교예 11
시판의 OHP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여 두께와 Y.I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PET의 내열성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의 착색성과 투명성의 비교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열처리전의 시료에 대해서만 투과율과 Y.I.를 측정하여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4194746-pat00010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인 실시예 1~10은 자체로서 PET에 필적하는 우수한 투과도와 Y.I.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250℃에서의 열처리 과정을 거치더라도 황변이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극성 유기용매에 용해성과 도프의 저장 안정성도 비교적 높아 필름으로의 가공공정 등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10의 다른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도프의 저장안정성이 1일 미만으로 가공공정상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거나(비교예 1~2),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급격한 황변이 일어나거나(비교예 3~5), 자체적으로 착색 정도가 높아 디스플레이용의 광학필름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비교예 6~10).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화합물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고유의 내열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보유하면서, 무색 투명하여 광학용 소재로서 적합할 뿐만 아니라, 무기염의 첨가 없이도 극성의 유기용매에 쉽게 용해되어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손으로 접어 주름을 가했을 때 파단이나 크레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강인성과, 우수한 내열성 및 투명성을 가지며 착색이 거의 없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특히 플렉시블 OLED, LCD, 전자종이용의 기판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광학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무기염의 첨가 없이도 극성의 유기용매에 쉽게 용해되고 방사원액의 저장안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2)

  1. 하기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
    Figure 112006074194746-pat00011
    Figure 112006074194746-pat00012
    (여기서, A는 -SO-, -SO2-, -CH2-, -CF2-, -C(CH3)2-, -C(CF3)2- -CONH-, 또는 -NHCO-중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A'는 -O-, -S-, -SO-, -SO2-, -CH2-, -CF2-, -C(CH3)2-, -C(CF3)2-, -CONH-, 또는 -NHCO-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아민기에 대해 각각 메타-메타 또는 메타-파라 위치에 있으며, A와 A'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R, R', R" 및 R"'는 -H, -F, -Cl, -I, -NO2, -CN, 탄소수 1~4의 알콕시, 또는 -CF3 중의 어느 하나로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Ar, Ar'는 벤젠고리 또는 나프탈렌고리로 메타 또는 파라배향을 가지며,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SO2-, -CF2- 또는 -C(CF3)2-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는 -CONH- 또는 -NHC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 또는 R"' 중 어느 하나는 -F, -Cl, -I, -NO2, -CN과 같은 극성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전체 공중합체의 반복단위 중에 몰비로 5~50%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
  6. 하기 일반식 (Ⅲ) 또는 (Ⅳ)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염화물과 일반식 (Ⅴ)로 표시되는 파라배향 방향족 디아민 및 일반식 (Ⅵ)으로 표시되는 메타-메타 또는 메타-파라 방향족 디아민과의 축합 공중합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기재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06074194746-pat00013
    Figure 112006074194746-pat00014
    Figure 112006074194746-pat00015
    Figure 112006074194746-pat00016
    (여기서, A는 -SO-, -SO2-, -CH2-, -CF2-, -C(CH3)2-, -C(CF3)2- -CONH-, 또는 -NHCO-중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A'는 -O-, -S-, -SO-, -SO2-, -CH2-, -CF2-, -C(CH3)2-, -C(CF3)2-, -CONH-, 또는 -NHCO-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아민기에 대해 각각 메타-메타 또는 메타-파라 위치에 있으며, A와 A'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R, R', R" 및 R"'는 -H, -F, -Cl, -I, -NO2, -CN, 탄소수 1~4의 알콕시, 또는 -CF3 중의 어느 하나로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방향족 디카르복 실산염화물의 -COCl기는 벤젠고리 또는 나프탈렌고리에서 메타 또는 파라배향을 가지진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Ⅴ)로 표시되는 파라배향 방향족 디아민은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Ⅵ)으로 표시되는 메타-메타 또는 메타-파라 방향족 디아민은 4,3'-디아미노-2-시아노벤즈아닐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9. 하기 일반식 (Ⅰ) 및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한 도프를 필름상으로 성형,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Y.I.가 10 이하이고, 250℃에서 30분 열처리한 후의 Y.I.도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용 광학 필름:
    Figure 112006074194746-pat00017
    Figure 112006074194746-pat00018
    (여기서, A는 -SO-, -SO2-, -CH2-, -CF2-, -C(CH3)2-, -C(CF3)2- -CONH-, 또는 -NHCO-중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A'는 -O-, -S-, -SO-, -SO2-, -CH2-, -CF2-, -C(CH3)2-, -C(CF3)2-, -CONH-, 또는 -NHCO-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아민기에 대해 각각 메타-메타 또는 메타-파라 위치에 있으며, A와 A'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R, R', R" 및 R"'는 -H, -F, -Cl, -I, -NO2, -CN, 탄소수 1~4의 알콕시, 또는 -CF3 중의 어느 하나로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Ar, Ar'는 벤젠고리 또는 나프탈렌고리로 메타 또는 파라배향을 가지며,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10. 제 9항에 있어서, Y.I.가 7 이하이고, 250℃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의 Y.I.도 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용 광학 필름.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극성의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도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용 광학필름.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OLED, 플렉시블 LCD 또는 전자종이와 같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의 기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용 광학필름.
KR1020060100018A 2006-10-13 2006-10-13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학 필름 Expired - Fee Related KR10074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18A KR100744169B1 (ko) 2006-10-13 2006-10-13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학 필름
US12/445,408 US7838091B2 (en) 2006-10-13 2007-10-09 Aromatic polyamide, polymerization method thereof, and optical film using the same
PCT/KR2007/004910 WO2008044851A1 (en) 2006-10-13 2007-10-09 Aromatic polyamide, polymerization method thereof, and optical fil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18A KR100744169B1 (ko) 2006-10-13 2006-10-13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학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169B1 true KR100744169B1 (ko) 2007-08-06

Family

ID=3860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0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4169B1 (ko) 2006-10-13 2006-10-13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학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38091B2 (ko)
KR (1) KR100744169B1 (ko)
WO (1) WO200804485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5671A1 (ko) * 2013-05-13 2014-11-20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고기능성 폴리아미드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방사 도프 조성물 및 그의 성형물
US10025140B2 (en) 2015-04-08 2018-07-17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20210012704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미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7496B2 (en) * 2011-03-23 2016-10-04 Akron Polymer Systems, Inc. Aromatic polyamide films for transparent flexible substrates
US9963548B1 (en) * 2012-04-24 2018-05-08 Akron Polymer Systems, Inc. Solvent resistant, aromatic polyamide films for transparent flexible substrates
TW201425468A (zh) * 2012-09-24 2014-07-01 Akron Polymer Systems Inc 用於製造顯示元件、光學元件或發光元件的芳香族聚醯胺溶液
KR101935089B1 (ko) * 2012-09-24 2019-01-03 아크론 폴리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광학 또는 조명 소자 제조를 위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ES2725901T3 (es) * 2013-08-30 2019-09-30 Gogoro Inc Dispositivo portátil de almacenamiento de energía eléctrica
JP2016535104A (ja) * 2013-10-04 2016-11-10 アクロン ポリマー システムズ,インク. 樹脂組成物、基板、電子装置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5472A1 (de) * 1989-10-25 1991-05-02 Hoechst Ag Vollaromatische poly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araus geformte gebilde
DE3938209A1 (de) 1989-11-17 1991-05-23 Hoechst Ag Verwendung fluorierter aromatischer polyamide als orientierungsschicht fuer fluessigkristall-schalt- und anzeigevorrichtungen
AU6711694A (en) 1993-04-21 1994-11-08 University Of Akron, The Negative birefringent polyimide films
JPH07276591A (ja) * 1994-04-06 1995-10-24 Mitsubishi Chem Corp ポリアミド系積層二軸延伸フイルム
KR0171994B1 (ko) * 1995-07-13 1999-03-30 구광시 방향족 폴리아미드, 광학적 이방성 도우프와 성형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795265B2 (ja) * 1996-05-20 1998-09-10 東レ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0309074A (ja) * 1999-02-23 2000-11-07 Toyobo Co Ltd 積層二軸配向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2004205569A (ja) 2002-12-24 2004-07-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250569A (ja) 2003-02-20 2004-09-09 Toray Ind Inc 光学用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
WO2005018892A1 (en) 2003-08-19 2005-03-03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Impact-modified polyamide film
JP2005300722A (ja) 2004-04-08 2005-10-27 Toray Ind Inc 光学用高分子フィルム
JP2005298590A (ja) 2004-04-08 2005-10-27 Toray Ind Inc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プラスチック基板
JP2005298749A (ja) 2004-04-15 2005-10-27 Toray Ind Inc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996-701924호(1996.03.28.)
국내특허공보 제1996-16100호(1996.11.27.)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50569(2004.09.09.)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98749(2005.10.27)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5671A1 (ko) * 2013-05-13 2014-11-20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고기능성 폴리아미드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방사 도프 조성물 및 그의 성형물
KR20140135915A (ko) * 2013-05-13 2014-11-27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고기능성 폴리아미드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방사 도프 조성물 및 그의 성형물
US9803054B2 (en) 2013-05-13 2017-10-31 Woojung Chem. Co., Ltd. Highly functional polyamide polymer, spinning dope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product thereof
RU2647598C2 (ru) * 2013-05-13 2018-03-16 Воодзунг Чем. Ко., Лтд. Ультравысокомолекулярный полиамид, густ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ядения и формовое изделие из нее
US10233288B2 (en) 2013-05-13 2019-03-19 Woojung Chem Co., Ltd. Highly functional polyamide polymer, spinning dope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product thereof
KR102104658B1 (ko) 2013-05-13 2020-04-27 우정케미칼주식회사 고기능성 폴리아미드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방사 도프 조성물 및 그의 성형물
US10025140B2 (en) 2015-04-08 2018-07-17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20210012704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미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102749884B1 (ko) 2019-07-26 2025-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미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38091B2 (en) 2010-11-23
US20100036085A1 (en) 2010-02-11
WO2008044851A1 (en)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169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학 필름
CN104114532B (zh) 二胺、聚酰亚胺、以及聚酰亚胺膜及其利用
KR102062939B1 (ko) 폴리이미드 및 그의 성형체
CN114026179B (zh) 透明聚酰亚胺薄膜及其制造方法
JP6236349B2 (ja) ポリイミドおよびその利用
US11396582B2 (en) Polyamic acid, polyimide film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polyimide film
KR20160094086A (ko) 폴리(이미드-아미드)를 포함하는 성형품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폴리(이미드-아미드)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7137443A (ja) ポリイミド、ポリイミド溶液、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ポリイミドフィルムを含有するプラスチック基板材料
CN104130409B (zh) 一种酚酞型聚酰亚胺的制备方法
KR101721555B1 (ko) 폴리이미드 수지의 제조방법
EP2725067B1 (en) Flameproofed alicyclic polyimide resin composition and thin-walled molded body of same
TWI708769B (zh) 新穎四羧酸二酐、及由該四羧酸二酐所衍生的聚醯亞胺,以及由該聚醯亞胺所構成之成形體
CN118339218A (zh) 薄膜和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KR20170007227A (ko) 폴리이미드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폴리이미드 필름
JP6905227B2 (ja) ジアミンおよびポリイミド、並びにそれらの利用
US5266677A (en) Thiophene-based polymers
US4954610A (en) Polyamide-imide polymers having fluorine-containing linking groups
JP2010235859A (ja) ポリイミド系材料、フィルム及び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WO2006126454A1 (ja) ポリベンゾオキサゾール系基板材料およびそのフィルム
WO2021033655A1 (ja) 樹脂原料用組成物
US4963647A (en) Polyamide-imide polymers having 12-F fluorine-containing linking groups
KR100491930B1 (ko) 이중 결합 함유 이미드 측쇄기를 갖는 폴리아믹산 유도체
KR100909066B1 (ko) 저온공정용 치환체를 가지는 지방족 고리계 가용성폴리이미드 광배향막 및 이를 이용한 액정 셀
KR20220016917A (ko) 폴리이미드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74675A (ko)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및 고분자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7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72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