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744B1 - A dispenser for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A dispenser for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3744B1 KR100743744B1 KR1020050109021A KR20050109021A KR100743744B1 KR 100743744 B1 KR100743744 B1 KR 100743744B1 KR 1020050109021 A KR1020050109021 A KR 1020050109021A KR 20050109021 A KR20050109021 A KR 20050109021A KR 100743744 B1 KR100743744 B1 KR 1007437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enser
- dispenser tray
- refrigerator
- tray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도어의 이면에 저장공간이 구비된 디스펜서의 수용부 하단에 취출관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기위한 디스펜서트레이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dispenser configured to selectively mount a dispenser tray for receiving water falling from a discharge pipe at a bottom of a receiving portion of a dispenser having a storage space on a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장고도어(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취출관(240)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되는 취출부(220)와; 상기 취출부(22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취출관(240)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받치는 디스펜서트레이(400)와;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일단과 대응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300)와;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장착시 상기 취출부(220)의 일면과 접하는 지지리브(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물 떨어짐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불만을 해소하는 이점이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100, and the extraction unit 220 is the purified water is drawn out through the discharge pipe 240; A dispenser tray 400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portion 220 so as to be detachable and supporting water falling from the outlet tube 240; A fixing part 300 which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one end of the dispenser tray 400 so that one end of the dispenser tray 400 is inserted and fixed;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dispenser tray 4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rib 440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ischarge unit 220 when the dispenser tray 400 is mounted. According to this invention which has such a structure, there exist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water fall and eliminating the discomfort in use.
냉장고, 도어, 디스펜서, 물방울, 디스펜서트레이, 착탈 Refrigerator, door, dispenser, water drop, dispenser tray, putting on and taking off
Description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ypical refrigerator.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가 채용된 냉장고도어의 외형을 보인 부분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door employing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가 채용된 냉장고 도어의 이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efrigerator door employing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요부구성인 디스펜서트레이의 장착을 보인 확대 단면도.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dispenser tray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냉장고도어 120. 바스켓100. Refrigerator door 120. Basket
200. 디스펜서 220. 취출부200. Dispenser 220. Dispenser
240. 취출관 260. 동작스위치240. Blow-out
280. 디스플레이 290. 조작버튼280.
300. 고정부 320. 경사면300. Fixed
340. 구속돌기 360. 수용홈340. Restraint
400. 디스펜서트레이 420. 걸림돌기400.
440. 지지리브440. Support Ribs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도어의 이면에 저장공간이 구비된 디스펜서의 수용부 하단에 취출관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기위한 디스펜서트레이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dispenser configured to selectively mount a dispenser tray for receiving water falling from a discharge pipe at a bottom of a receiving unit of a dispenser having a storage space on a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보관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low temperature storage of food, and is configured to freeze or refrigerate food according to a state of food to be stored.
이와 같은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이러한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냉매의 열교환작용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cooled by continuously supplied cold air, and the cold air is continuously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refrigerant repeatedly performing a cycle of compression-condensation-expansion-evaporation.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evenly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by convection, so that food in the refrigerator can be stored at a desired temperature.
이와 같은 냉장고는 사용자의 기호의 다양화와 이러한 기호의 충족을 위해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Such refrigerators are in the trend of being enlarged and multifunctional in order to diversify the user's preferences and satisfy these preferences, and products having various configurations have been released.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구성의 냉장고 중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양문형(Side by side type)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본다.The present invention looks at a side by side type refrigerators that are generally used among the refrigerators of various configurations.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반적인 냉장고의 본체(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의 내측은 음식물의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ypical refrigerator, as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body 1 of the general refrigerator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 is formed with a space for storing food .
상기 본체(1)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0)과 냉장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20)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해서 다수의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이 구비된다.The main body 1 is forme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nd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o form a
상기 개구된 본체(1)의 전면에는 각각 냉동실도어(30)와 냉장실도어(40)가 장착된다. 상기 냉동실도어(30)와 냉장실도어(40)는 각각 상기 본체(1)의 개구된 전면 즉,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2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장착된다.The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30)와 냉장실도어(40)의 전면 내측에는 상기 냉동실도어(30)와 냉장실도어(40)의 회동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도어핸들(H)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H)을 파지하여 외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냉동실도어(30) 및 냉장실도어(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door handle (H) that is easy to be gripped by the user when the
한편, 상기 냉장실도어(40)의 전면에는 홈바(42)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42)는 출입되는 음료수 또는 주류 등을 상기 냉장실도어(40)의 개방 없이 용이하게 출 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 향상은 물론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of the refrigerating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30)의 전면에는 디스펜서(5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50)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도어(30)의 내부에 구비된 제빙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정수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제빙된 얼음과 정수된 물을 외부에서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디스펜서(50)에는 사용자가 컵과 같은 용기로 용이하게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냉동실도어(30)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는 취출부(52)가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취출부(52)의 상부에는 취출구(54)가 형성되어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하방으로 공급하게 되며, 상기 취출부(52)의 후측에는 상기 취출구(54)의 조작을 위한 작동스위치(56)가 구비된다.In addition, an
또한, 상기 취출부(52)의 상방에는 디스플레이(58)와 다수의 조작버튼(59)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50) 뿐만 아니라 냉장고 전체의 동작상태를 도시하고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상기 취출부(52)는 용기의 안정적인 수용을 위해 상기 냉동실도어(30)의 내측으로 비교적 깊게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도어(30)에서 상기 디스펜서(50)가 구비된 부분의 이면은 상기 취출부(52)의 형상과 디스펜서(50)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장착으로 다소 돌출되는 형 상으로 형성된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이로 인해서 상기 냉동실도어(30)의 이면에 바스켓 또는 선반 등과 같은 저장공간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어 전체적인 저장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a storage space such as a basket or a shelf may not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펜서의 취출부가 상기 냉동실도어의 내측으로 함몰된 깊이를 얕게 하여 상기 냉동실도어 이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디스펜서가 개발되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ispenser is formed so as to utilize the space on the back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by shallowing the depth of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dispenser inwardly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이러한 디스펜서의 취출부는 상기 취출구가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만 함몰형성되며, 냉동실도어의 이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도어의 이면에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활용 가능하게 된다.The dispensing part of the dispenser is recessed only to expose the dispensing port, and provides sufficient space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does not protrude. Therefore, the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to be utiliz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취출부의 함몰깊이가 너무 얕아서 상기 취출구에서 물방울이 떨어지게 될 경우, 상기 취출부의 하면부에 물이 고여 있지 못하고 냉장고의 전면을 따라 흐르거나 바닥에 넘쳐 흐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outlet portion is too shallow, when water droplets fall from the outlet, water does not accumulate i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let portion and flows along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or or overflows the floor. This will occur.
한편,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별도의 밸브를 상기 취출구에 적용하여 정수된 물의 취출 후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재료비의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완전한 물방울의 단속이 가능하지 않아 개선이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is, a separate valve may be applied to the outlet to prevent the drop of water after taking out the purified water, but in this case, not only does it cause an increase in the material cost but also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complete drop of water, which is effectiv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도어의 이면에 저장공간이 구비된 디스펜서의 수용부 하단에 취출관 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기위한 디스펜서트레이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ispenser tray for receiving the water falling from the discharge pipe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dispenser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on the back of the refrigerator door to be selectively mounted It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dispenser configur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는, 냉장고도어의 전면에 형성되며, 취출관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되는 취출부와; 상기 취출부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취출관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받치는 디스펜서트레이와;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일단과 대응하도록 함몰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장착시 상기 취출부의 일면과 접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입구에서부터 높이가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삽입시 후방으로 안내를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후단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돌기와; 상기 구속돌기의 후단으로부터 상방과 후방으로 더 함몰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으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후단부에는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삽입시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수용되는 걸림돌기가 더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전단부는 상기 냉장고도어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the extraction unit for taking out the purified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A dispenser tra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outlet part so as to be detachably mounted to support the water falling from the outlet tube; A fixing part recessed to correspond to one end of the dispenser tray and into which one end of the dispenser tray is inserted and fixed; It includes a support rib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dispenser tray an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when the dispenser tray is mounted.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height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inlet, the inclined surface to facilitate the guide back when the dispenser tray is inserted; A convex protrusion formed round a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to selectively restrain the rear end of the dispenser tray; It is formed to be further recessed upward and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restraint projection, and comprises a receiving groove form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rear end of the dispenser tray.
The rear end of the dispenser tray is formed to protrude round upwards,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when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The front end of the dispenser tray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펜서에서 물떨어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user's dissatisfaction by preventing water from falling in the dispens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dispenser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리고, 냉장고 전체의 구성은 일반적인 양문형(Side by side type)냉장고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ntire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side by side refrigerato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가 채용된 냉장고도어의 외형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가 채용된 냉장고 도어의 이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door employing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efrigerator door employing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도어(100)의 전면에는 외부에서 정수된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2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200)는 외부에서 정수된 물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취출부(220)가 상기 냉장고도어(100)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ront of the
상기 취출부(220)는 정수된 물의 취출시 사용자가 컵과 같은 용기를 밀착시키는 곳으로, 상기 냉장고도어(100)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취출부(220)의 함몰 깊이는 상기 냉장고도어(100)의 두께와 비교할 때 비교적 얕은 깊이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취출부(220)는 전체적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어 외관이 더욱 돋보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은 상기 냉장고도어(100) 전면에 대해 수직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ake-out
한편, 상기 취출부(220)의 함몰 깊이가 얕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냉장고도어(100)의 내측에 상기 디스펜서(200)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장부품들의 장착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take-out
즉, 상기 냉장고도어(100)의 이면이 돌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디스펜서(200)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장부품의 장착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냉장고도어(100)의 이면에 바스켓(120)과 같은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at is,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상기 취출부(220)의 상부 대략 중앙부에는 취출관(240)이 구비된다. 상기 취출관(240)은 정수된 물이 공급되는 관으로써, 일측은 상기 냉장고도어(100) 또는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정수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취출부(22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An
따라서, 상기 취출부(220) 상부의 상기 취출관(240)에서 하방으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게 되며, 사용자는 컵과 같은 용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downward from the
그리고,상기 취출부(220)의 대략 중앙부에는 동작스위치(260)가 구비된다. 상기 동작스위치(260)는 상기 취출관(240)으로부터 정수된 물이 공급되도록 작동시 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취출부(220) 대략 중앙부 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컵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In addition, an
상기 동작스위치(260)는 상기 취출관(240) 단부의 수직 하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눌러서 작동시키는 버튼방식과 정수기의 코크와 같은 레버방식 등 다양하게 이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적외선센서 또는 근접센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취출부(220)의 상방에는 디스플레이(280)와 조작버튼(290)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80)는 상기 디스펜서(200)의 작동상태 또는 냉장고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다양한 문자와 기호로 사용자에게 작동상태를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조작버튼(290)은 상기 디스펜서(200)와 냉장고의 작동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200)로부터 취출되는 물의 온도 또는 상태를 조절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동작스위치(260)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한편, 상기 취출부(220)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디스펜서트레이(400)와 형합하여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함몰 형성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취출부(220)의 하부에 장착되는 디스펜서트레이(400)는 상기 취출관(240)으로부터 정수된 물을 취출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물이 넘치거나, 취출 종료를 위한 동작스위치(260)조작시 상기 취출관(240) 내부에 물이 잔류하여 하방으로 떨어질 때 이를 받기 위한 것으로, 서랍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는 상기 취출부(220)의 가로방향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취출부(220)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전단부는 상기 냉장고도어(100)의 전면보다 다소 돌출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가 물방울을 받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또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양측면과 전면은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가 서랍형상을 형성하여 물방울의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both side surfaces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에는 걸림돌기(420)와 지지리브(440)가 형성되며, 상기 취출부(220)의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420)가 삽입되어 형합되기 위한 고정부(30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of the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요부구성인 디스펜서트레이의 장착을 보인 확대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의 장착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dispenser tray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Looking at the mounting of the dispenser tray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취출부(220)의 하단부에는 고정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후방 함몰형성된다.A fixing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고정부(300)는 경사면(320)과 구속돌기(340) 그리고 수용홈(360)으로 구성된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fixing
상기 경사면(320)은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삽입시 후방으로의 안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개구된 상기 고정부(300)의 입구에서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를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될 경우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면(320)과 접촉하면서 후방으로 삽입된다.Therefore, when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경사면(320)의 하단부 즉,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에는 구속돌기(340)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돌기(340)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가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돌기(420)와 접하여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가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돌출된 부분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이때,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 저면에서 상기 구속돌기(340)의 하단부까지의 높이(H1)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고정부(300)의 내측 저면에서 상기 걸림돌기(420)까지의 높이(H2)보다 다소 낮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삽입 후 용이하게 탈거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height H1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fixing
상기 구속돌기(340)의 후단에는 수용홈(36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60) 은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된 걸림돌기(42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속돌기(340)에서 상방과 후방으로 다소 함몰되도록 형성된다.A receiving
따라서, 상기 고정부(300)로 삽입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는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에 수용되며, 이중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돌기(420)는 상기 수용홈(360)의 내측에 수용되며, 이때, 상기 구속돌기(340)에 걸리게 되어 용이한 탈거가 방지된다.Therefore, the rear end of the
한편,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를 살펴보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에는 걸림돌기(42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20)는 상기 고정부(300)에 삽입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rear end of the
이때, 상기 걸림돌기(420)의 높이는 상기 수용홈(360)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구속돌기의 하단부 높이보다 다소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 후 상기 구속돌기에 걸리게 되어 용이하게 탈거되지 않도록 항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locking
그리고, 상시 걸림돌기의 돌출된 상단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속돌기(340)의 라운드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기울인 상태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될 경우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구속돌기(340)의 라운드면을 넘어서 상기 수용홈(36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The protruding uppe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rounded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ound shape of the restraining
또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상기 고정부(300)로부터 탈거시킬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구속돌기(340)의 라운드면을 넘어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상기 걸림돌기(420)와 구속돌기(340)의 대응하는 면이 라운드 형상이 아닌 경사진 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때에도,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구속돌기(340)의 경사진 면을 넘어서 상기 수용홈(36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locking
한편,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반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돌기(420)의 전방에는 지지리브(44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440)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상하유동에 의한 탈거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내측에 집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440)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상기 고정부(300)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취출부(220)의 내측 전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상방 유동시 인접한 상기 취출부(220)의 내측 전면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걸림돌기(420)와 상기 지지리브(44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 후단부의 높이는 상기 고정부(300) 저면에서 상기 구속돌기(340)의 하단부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장착시 상기 구속돌기(340)와 인접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rear end of the
또한, 상기 걸림돌기(420)와 상기 지지리브(440) 사이의 거리는 상기 경사면(320)의 전단부와 상기 구속돌기(340)의 후단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장착 및 탈거를 위해 일정각도만큼 기울일 수 있는 공간은 확보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engaging
한편, 상기 걸림돌기(420)와 지지리브(440)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 전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취출부(220)의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420)와 지지리브(440)가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양측단에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300) 또한 상기 취출부(220)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if necessary, the engag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디스펜서(200)로부터 정수된 물을 취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취출되는 물의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280)로부터 확인한 후 필요시 상기 조작버튼(290)을 조작하여 상태를 조절한다.In order to take out the purified water from the
그리고, 컵과 같은 용기를 파지한 채로 상기 취출부(220)에 용기를 밀착시킨 후 상기 동작스위치(260)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동작스위치(26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취출관(240)에서는 정수된 물이 하방으로 공급되어 상기 용기에 채워지게 된다.Then, the contain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원하는 양의 물을 채운 다음에는 다시 상기 동작스위치(260)를 조작하여 상기 취출관(240)으로부터 물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고, 사용자는 용기에 담긴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After filling the desired amount of water, the
한편, 정수된 물의 취출시 물이 넘치거나 취출완료 후 물방울이 떨어지게 될때, 물을 집수하기 위해서는 디스펜서트레이(400)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장착을 위해서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를 상기 취출부(220) 하단의 상기 고정부(300)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aking out the purified water when the water overflows or drop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traction, th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가 삽입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 즉,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구속돌기(340)에 걸리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이때,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상방으로 다소 기울여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구속돌기(340)의 라운드면 또는 경사면을 넘어 상기 수용홈(360)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삽입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수용홈(360)의 내측에 완전하게 수용되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다시 하방으로 내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하면은 상기 취출부(220)의 저면에 접하여 지지된 상태가 된다.When the locking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420)는 상기 구속돌기(340)에 간섭되어 걸리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더라도 인출되어 탈거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또한, 상기 지지리브(440)는 상기 취출부(220)의 내측 전면과 인접하게 되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과도한 상방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가 탈거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장착 후에는 상기 취출관(240)을 통해 떨어지는 물방울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내측에 모이게 되어 냉장고의 벽면이나 바닥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fter the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에 집수된 물을 비우거나, 장기간 상기 디스펜서(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분리하여 보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collected in the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분리를 위해서는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상방으로 다소 기울여서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구속돌기(340)의 라운드 또는 경사진 면을 따라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 다음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를 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디스펜서트레이(400)의 후단부가 상기 취출부(220)의 고정부(30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된다.In order to separate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에서는, 디스펜서의 취출부를 비교적 얕게 하여 상기 디스펜서가 장착된 냉장고도어의 이면에 선반 또는 바스켓과 같은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it is possible to form a storage space such as a shelf or a basket on the rear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in which the dispenser is mounted by making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dispenser relatively shallow.
따라서, 냉장고도어 이면의 공간까지 저장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수납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by utilizing the storage space up to the space behind the refrigerator door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pace and the overall storage performance.
또한, 취출관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이나 물 취출시 넘치게 되는 물을 취출부 하부에 구비된 디스펜서트레이에서 받침으로써 물떨어짐으로 인한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solving the user's emotional discomfort due to the falling water by supporting the water drop falling from the discharge pipe or the water overflowed when taking out the water in the dispenser tra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펜서트레이는 상기 취출부의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탈거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상기 디스펜서트레이가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는 물론 외관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enser tray is mounted so as to be selectively removed from the fixing portion of the take-out part, so that the dispenser tray can be separated and stored in an unnecessary situation,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and improvement in appearance can be expect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9021A KR100743744B1 (en) | 2005-11-15 | 2005-11-15 | A dispenser for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9021A KR100743744B1 (en) | 2005-11-15 | 2005-11-15 | A dispenser for refrig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1448A KR20070051448A (en) | 2007-05-18 |
KR100743744B1 true KR100743744B1 (en) | 2007-07-27 |
Family
ID=3827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90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3744B1 (en) | 2005-11-15 | 2005-11-15 | A dispenser for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374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1026A (en) | 2019-04-15 | 2020-10-23 | 주식회사 대창 | Cold and hat water purifi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1341B1 (en) * | 2008-07-14 | 2011-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5713Y1 (en) | 1997-08-09 | 2000-01-15 | 구자홍 | Door handle for refrigerator |
KR20040085746A (en) * | 2003-04-01 | 2004-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enser in refrigerator |
KR100518412B1 (en) | 2003-03-19 | 2005-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ructure for holding leftover water from a refrigerator dispenser |
-
2005
- 2005-11-15 KR KR1020050109021A patent/KR10074374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5713Y1 (en) | 1997-08-09 | 2000-01-15 | 구자홍 | Door handle for refrigerator |
KR100518412B1 (en) | 2003-03-19 | 2005-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ructure for holding leftover water from a refrigerator dispenser |
KR20040085746A (en) * | 2003-04-01 | 2004-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enser in refrigerat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1026A (en) | 2019-04-15 | 2020-10-23 | 주식회사 대창 | Cold and hat water purifi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1448A (en) | 2007-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81195B1 (en) | Refrigerator having drawer | |
KR101621578B1 (en) | Refrigerator | |
KR101176458B1 (en) |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US9222722B2 (en) |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 |
US20110146335A1 (en) | Refrigerator | |
CN102269497B (en) | Refrigerator | |
KR101997259B1 (en) | Refrigerator | |
US10605511B2 (en) | Clear ice maker assembly for producing clear ice for refrigerator appliance | |
KR20110103523A (en) | Refrigerator | |
KR20080079106A (en) | Refrigerator | |
KR101713227B1 (en) | Refrigerator | |
KR20110112377A (en) | Refrigerator | |
CN109489328B (en) |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mechanically actuable spray unit for introducing a fluid mist into a freshness container | |
US7806491B2 (en) | Mounting structure of storage container for refrigerator | |
KR101350056B1 (en) | Refrigerator | |
US20100175417A1 (en) | Refrigerator | |
KR100743744B1 (en) | A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KR100991543B1 (en) | Ice or water drawer of the refrigerator | |
JP4822803B2 (en) | Storage with automatic ice maker | |
KR100688672B1 (en) | Cold Room Door | |
JP4108046B2 (en) |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 |
KR101041341B1 (en) | Refrigerator | |
KR100221147B1 (en) | Water Dispenser of Refrigerator | |
KR101260545B1 (en) | Setting structure of ice-making case for refrigerator | |
JP4121469B2 (en) |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