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3714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714B1
KR100743714B1 KR1020050033219A KR20050033219A KR100743714B1 KR 100743714 B1 KR100743714 B1 KR 100743714B1 KR 1020050033219 A KR1020050033219 A KR 1020050033219A KR 20050033219 A KR20050033219 A KR 20050033219A KR 100743714 B1 KR100743714 B1 KR 100743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discharge space
etc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961A (ko
Inventor
김홍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71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7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과, 상기 전극 위에 형성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 위에 2층 이상의 다층구조를 가지는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이 하층부로 갈수록 식각력이 높은 물질로 구성되어 방전공간 저면부의 식각률을 높여 방전공간의 체적을 확대시킬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 식각력, 방전공간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가 도시된 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실시예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전면기판 20: 배면기판
22: 격벽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플라즈마 디스 플레이 패널 격벽의 상층부 및 하층부의 식각력을 달리하여, 에칭에 의해 상기 격벽이 형성될 때 격벽 하층부의 식각력을 높여 방전공간 저면부 및 측면부가 충분히 식각됨에 따라, 방전공간을 확보하여 형광체 도포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기판(A)과 배면기판(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면기판은 배면기판과 대향하여 스트라이프형으로 배열 형성되는 복수개의 버스 전극(1) 및 ITO 전극(2)과, 상기 버스 전극을 덮도록 적층되어 방전시 방전 전류를 제한하고 벽전하 생성을 용이하게 하는 유전체층(3)과, 상기 유전체층을 보호하기 위한 유전체 보호층(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면기판(B)은 상기 전면기판의 버스 전극(1)과 직교하도록 스트라이프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버스 전극과 함께 전체 화면을 복수개의 셀로 구분하는 복수개의 어드레스 전극(6)과, 상기 배면기판의 전면에 도포되어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보호하고 전기적인 절연을 수행하기 위한 유전체층(8)과, 상기 유전체층 상에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 형성되어 방전공간 형성하는 격벽(7)과,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된 방전공간 내부에 인쇄, 도포되어 각 셀의 방전시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가시광을 방출하는 형광체(9)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7)은 통상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 프레스(Press) 또는 감광 물질을 이용한 식각 방법(Etching) 등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패터닝(Patterning) 된 후, 45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격벽(7)을 형성하기 위해 PbO, ZnO, MgO의 혼합물로 구성된 격벽 페이스트를 유전체(8)가 형성된 배면기판(B)위에 도포하고, 상기 배면기판에 에칭엑을 분사하여 격벽 페이스트를 식각함에 따라 격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PbO의 성분 함량에 의해 상기 격벽의 식각력이 결정된다.
이때,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7)의 하층부는 에칭액에 의해 충분히 식각되지 못하여 상기 격벽의 측면 하단부 및 방전 공간의 저면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오목한 호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격벽(7) 측면 및 방전 공간 하단부가 충분히 식각되지 못하여 방전 공간의 체적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상기 방전공간에 도포되는 형광체(9)의 도포면적 또한 줄어들게 되므로, 방전시 가시광선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해 방전 효율이 감소되고 휘도가 저하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의 식각력이 하층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다층 구조의 격벽을 형성함에 따라, 격벽 하단부의 식각력을 높여 방전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형광체 도포 면적을 증대시킴에 따라 방전 효율이 개선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과, 상기 전극 위에 형성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 위에 2층 이상의 다층구조를 가지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10)에는 면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버스 전극쌍(11)과 ITO 전극(12)이 형성되고, 상기 버스 전극쌍 및 ITO 전극 위에 유전체(13)와 유전체 보호층(14)이 차례로 형성된다.
배면기판(20)에는 영상 데이터에 따라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전극(21)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위에 유전체(23)가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 위에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22)과 방전 공간에 도포되어 방전시 가시광선을 여기/발광하는 형광체(24)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22)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식각력이 다른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22)이 두 개의 층을 가지는 2층 구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격벽이 상층부(22a)와 하층부(22b)는 식각력이 다른 물질로 구성되는데, 상층부에 비해 하층부의 식각력이 커지도록 격벽이 구성되면 에칭액에 의해 격벽 측면 및 방전 공간 하단부가 충분히 식각되어 방전 공간의 체적을 늘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격벽(22)은 PbO, ZnO, MgO의 혼합물로 구성된 격벽 페이스트를 유전체(23)가 형성된 배면기판(20)위에 도포하고, 격벽 패턴에 따라 노광/현상 후 애칭액으로 식각한다.
이때, 상기 격벽(22)의 식각률은 격벽 페이스트 성분 중 PbO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상기 격벽 하층부(22b)가 상층부(22a)에 비해 PbO 함량이 많아지도록 격벽 페이스트의 성분을 조성하여 격벽 상층부 및 하층부의 식각력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격벽 페이스트의 PbO 함량이 50% 이상인 경우에 애칭액에 의해 식각되므로 상기 격벽 상층부(22a)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 페이스트는 PbO 함량이 50% 이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격벽 하층부(22b)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 페이스트는 상기 상층부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 페이스트보다 PbO 함량이 커져야 한다.
상기와 같이 격벽 하층부(22b)의 식각률이 상층부(22a)보다 높게 형성되면, 에칭 공정시 상기 격벽 하층부가 충분히 식각되어 상기 격벽(22) 측면 및 상기 방전 공간 저면부가 종래와 같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지 않고 평탄하게 형성되어 방전 공간의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방전 공간의 체적이 증가하면, 상기 방전 공간에 도포되는 형광체(24)의 도포 면적이 증대되는 바, 방전시 플라즈마에서 발생되는 진공자외선(VUV)에 의해 생성되는 가시광선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발광 효율이 좋아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형광체(24) 도포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가시광선 의 발생이 증가하면, 휘도를 높일 수 있어 휘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22')은 다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이 6개의 층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격벽(22')은 하층부로 갈수록 식각력이 높게 형성되면 에칭 공정시 상기 격벽 측면 및 방전 공간 저면부의 식각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구조의 격벽(22)에 비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층 구조의 격벽(22')을 가지게 되면, 에칭 공정시 상기 격벽 측면부의 식각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격벽(22') 측면부가 평탄하게 형성되고 에칭 되는 깊이가 깊고 넓어지게 되어 에칭 공정시 형성되는 방전 공간의 체적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형광체(24) 도포 후 방전시 방전 효율을 더욱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격벽(22, 22')을 2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격벽을 구성하는 층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에칭 공정 후 격벽 측면부의 평탄도 및 방전 공간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방전시 발생되는 가시 광선의 양이 늘어나게 되어 방전 효율 및 휘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방전 공간의 체적이 늘어나게 되면 형광체(24) 도포 면적이 증대되어 가시 광선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방전시 플라즈마를 더 크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방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 단계에서 전극이 형성된다(S1). 상기 전극은 글라스상에 전극 패턴을 인쇄하고 건조/소성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패턴 인쇄법 또는 글라스상에 감광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건조하여 노광/현상 후 소성하여 형성하는 감광성 페이스트법을 주로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전극 위에 유전체가 형성된다(S2). 유전체는 유전체를 형성하는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건조/소성하여 형성하거나 유전체 시트를 라미테이팅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3 단계에서는 다층 구조의 격벽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는 격벽의 층수에 맞도록 격벽 페이스트를 도포(S3, S4) 하고 노광(S5)/현상(S6) 후 식각(S7)하여 격벽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2층 구조의 격벽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유전체가 형성된 기판위에 격벽 하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격벽 상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 페이스트를 적층하는데, 상기 격벽이 2층 구조를 가지는 바, 격벽 페이스트의 도포 높이는 단층의 격벽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격벽 페이스트의 도포 높이보다 낮아져야 한다.
만일, 격벽의 층수가 늘어나면, 격벽 층수에 맞도록 격벽 페이스트의 도포 횟수를 늘려 격벽을 형성하고, 원하는 격벽 층수만큼 격벽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의 도포 높이가 형성하고자 하는 격벽 높이보다 20㎛ 이상 높이지지 않도록 하여 최종 형성된 격벽의 높이가 100㎛ 내지 180㎛ 범위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격벽은 하층부로 갈수록 식각력이 높아지도록 해야 하므로, 상기 격벽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페이스트는 하층으로 갈수록 식각력이 높아지도록 해야 한다. 상기 식각력은 격벽 페이스트에 함유되는 PbO의 함량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PbO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식각력은 높아지는데, 상기 PbO가 50% 이상 함유되어야 격벽 페이스트가 에칭액에 노출되었을 때 식각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층 구조의 격벽을 형성 한 후, 방전 공간 내부에 형광체를 도포(S8)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격벽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면 에칭 공정 후 격벽 측면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 형성되는 방전공간의 깊이 및 저면부의 폭이 증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방전 공간의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방전 공간 내부에 도포되는 형광체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방전시 발생되는 가시광선의 양이 증가하여 방전 효율을 높이고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층부와 하층부의 식각력이 다른 다층 구조의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은 하층부로 갈수록 식각력이 높은 물질로 구성되어 방전공간 측면부 및 저면부의 식각력을 높여 굴곡없는 격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방전공간의 체적을 증가시켜 형광체 도포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방전 효율을 높여 휘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극과;
    상기 전극 위에 형성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 위에 형성되는 2층 이상의 다층구조를 가지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하층부로 갈수록 식각력이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하층부로 갈수록 PbO 조성비가 높아지되,
    상기 PbO 조성비는 적어도 50% 이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33219A 2005-04-21 2005-04-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100743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219A KR100743714B1 (ko) 2005-04-21 2005-04-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219A KR100743714B1 (ko) 2005-04-21 2005-04-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61A KR20060110961A (ko) 2006-10-26
KR100743714B1 true KR100743714B1 (ko) 2007-07-30

Family

ID=3761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2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3714B1 (ko) 2005-04-21 2005-04-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9202B1 (en) 2009-02-17 2013-11-20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39838A (ko) 2009-10-12 2011-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828A (ja) * 1992-10-30 1994-05-31 Sumitomo Kinzoku Ceramics:Kk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障壁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828A (ja) * 1992-10-30 1994-05-31 Sumitomo Kinzoku Ceramics:Kk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障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61A (ko)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8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366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37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29933A (ko) 평면형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0219797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78863B1 (ko) 버스 전극을 개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149103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0452277C (zh) 等离子显示板及其制造方法
US20090189524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6966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91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94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0285808A (ja) 放電型表示装置の背面側基板の隔壁構造
KR100982408B1 (ko) 복수 층의 유전층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패널
KR100718995B1 (ko)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73330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788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JPH11329255A (ja) Ac型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基板とその製造方法
US20090021165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15634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605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JPWO2008032355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蛍光体層形成方法
KR1999000352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 방법
JP200616452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US20080122360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